KR20080029414A - 안전모의 통풍구조 - Google Patents

안전모의 통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414A
KR20080029414A KR1020060095503A KR20060095503A KR20080029414A KR 20080029414 A KR20080029414 A KR 20080029414A KR 1020060095503 A KR1020060095503 A KR 1020060095503A KR 20060095503 A KR20060095503 A KR 20060095503A KR 20080029414 A KR20080029414 A KR 20080029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hat
air
hole
fan
fa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관욱
Original Assignee
설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관욱 filed Critical 설관욱
Priority to KR1020060095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9414A/ko
Publication of KR20080029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6Ventilating arrangements with forced flow, e.g. by a fa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42B3/283Air inlets or outlets, with or without closure shutte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의 통풍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안전모 내부에서 머리 부위에 대한 강제적인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착용시에도 안전모 내부의 온도상승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머리부위에서의 땀발생 등으로 인한 악영향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충격력 완충을 위해 소정 두께를 이루는 가운데 하부가 개방되어져 있는 통상의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내주면 상부에는 공기의 강제 유동을 위한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서브모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전모, 방탄모, 모자, 통풍, 송풍팬

Description

안전모의 통풍구조{CIRCULATE AIR STRUCTURE OF SAFETY CA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단면 구조도.
도 2는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단면 구조도.
도 4는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배면 구조도.
도 5는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안전모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상기 응용예에 따른 안전모의 배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체결핀 9 : 내부 지지링
10,20,30 : 안전모 11 : 송풍팬
12 : 서브모터 13 : 케이블
14 : 전원공급부 15 : 팬하우징
15a: 유입구 15b: 송풍구
21 : 통기공 21a: 외측연통공
21b: 내측연통공 22 : 완충재
31 : 유입공 32 : 배출공
본 발명은 안전모의 통풍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에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에서 머리부위에서 내부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전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산업현장에서의 안전모와, 군용 방탄모 등을 들 수 있으며 기타 오토바이 운전자나 작업자 등 특수한 경우 안전을 위해 반드시 착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안전모는 착용시 내부가 밀폐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통기부족으로 인하여 외기에 비해 안전모 내부가 고온으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두통을 호소하거나, 착용 부위의 두피가 손상되어 피부염 및 비듬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모발 손상으로 인해 심한 경우 탈모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안전모는 무더운 여름철과 같이 외기 온도가 높은 경우 내부에서 땀이 발생하고, 이러한 땀은 얼굴쪽으로 흘러내려 착용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는 등의 안전성 저해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안전모 내부에 외부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통풍구 조를 제공함으로서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보다 쾌적한 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외부 충격력 완충을 위해 소정 두께를 이루는 가운데 하부가 개방되어져 있는 통상의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내주면 상부에는 공기의 강제 유동을 위한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서브모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통풍구조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공사현장용 작업모 또는 군용 방탄모에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10)의 내주면 상부에 본 발명의 송풍팬(11)을 장착시켰으며, 송풍팬(11)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서브모터(12)가 팬하우징(15)과 함께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팬하우징(15)은 도 1의 요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둘레를 따라 다수의 돌출 핀 사이에 공기유입구(15a)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저면에는 송풍팬(11)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송풍구(15b)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서브모터(12)에는 외부로 부터 전원 공급을 위한 케이블(13)의 일단이 연결되어져 있는데, 케이블(13) 타단에는 전원공급부(14)가 연결되었다. 상기 전원 공급부(14)는 작업자의 상의 포켓 등에 보관되어지게 된다.
미설명 부호 9는 안전모(10)내에 체결핀(8)에 의해 부착되어져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며 지지하는 내부 지지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안전모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안전모(10)를 착용하게 되면 전원공급부(14)는 상의 포켓 또는 견장에 고정 장착시키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공급부(14)의 스위치(미도시)를 "on" 시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안전모(10) 내의 상단에 장착된 서브모터(12)의 구동에 의해 송풍팬(11)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송풍팬(11) 동작에 따라 안전모(10) 내부에서는 강제적인 공기유동이 발생하면서 착용자의 머리부위에 바람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내부 지지링(9)에 의해 이격되어져 있는 안전모(10) 내벽과 머리 사이의 공간(d)을 통해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전모(10)는 상기와 같이 내부에서 강제 통풍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장시간 착용한 상태에서도 내부온도 상승으로 인한 머리부위의 악영향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통풍구조가 오토바이 헬맷이나 인라인 헬맷 등에 적용된 다른 실시 예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스포츠 안전모(20)는 내부에 머리부를 안전모 내벽과 이격시켜 지지하는 별도의 구조체가 없기 때문에 별도의 통기공(21)을 형성시켜 주어야 한다.
즉, 통기공(21)은 도 4에서와 같이 일정 두께를 이루고 있는 안전모(20)를 관통하는 가운데 송풍팬(11)을 중심으로 다수개가 방사 형태를 이루어 형성되어져 있으며, 각각의 통기공(21) 양단은 외부와 연통되는 외측 연통공(21a) 및 안전모(20) 내부와 연통되는 내측 연통공(21b)을 이루고 있다.
특히, 외측연통공(21a)은 외부로 부터의 빗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모(20)의 하단에 구비하였다.
미설명 부호 22는 착용자의 머리부위의 충격력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스폰지 또는 스티로폼 형태의 완충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상기 스포츠 안전모(20)에서의 송풍동작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스포츠 안전모(20)를 착용한 상태에서 전원공급부(14)로 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 팬하우징(15) 내의 송풍팬(11)이 구동되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안전모(20) 내에서는 공기의 강제 송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통기공(21)을 통해 외부 공기가 안전모(2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짐과 함께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11)에 의해 송풍되어 착용자의 머리부위를 송풍시키게 되는 것이다.
<응용예>
한편, 상기 제2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서는 하나의 통기공(21)에서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이 함께 이루어지게 됨으로 내부에서 와류가 발생하여 효과적인 송풍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됨은 물론 이로인한 내부소음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와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응용예에서는 외부로 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31)과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32)을 각각 별도로 구성하였다.
즉,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유입공(31)을 안전모(30) 전면측에 배치하고, 배출공(32)을 후면측에 배치함에 있어, 유입공(31)을 팬하우징(15)의 유입구(15a)와 근접하는 상부에 형성시키고, 배출공(32)은 팬하우징(15) 보다 소정높이(h) 낮은 위치에 형성시킴으로 유입공(31)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곧바로 팬하우징(15)의 유입구(15a)로 유입되어질 수 있게 되고, 송풍구(15b)를 통해 송풍되어진 공기는 배출공(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질 수 있게 됨으로 안전모(30) 내부에서 보다 원활한 공기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의 신선한 공기는 전면측의 유입공(31)을 통해 유입되며, 안전모(30) 내부 공기는 배출공(32)을 통해 후면측으로 배출되어지게 됨으로, 착용자의 호흡기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안전모내 송풍팬 장착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안전모 내부에 장착된 송풍팬의 동작에 의해 머리 부위에 대한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장시간 착용시에도 안전모 내부의 온도상승을 감소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머리부위에서의 땀발생 등으로 인한 악영향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안전모와 머리부위가 밀착되는 밀폐구조의 경우에도 안전모 자체의 통기공 구조로 인하여 외부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공기의 유입과 배출이 각각의 통기공에서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원활한 공기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Claims (11)

  1. 외부 충격력 완충을 위해 소정 두께를 이루는 가운데 하부가 개방되어져 있는 통상의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10,20) 내주면 상부에는 공기의 강제 유동을 위한 송풍팬(11) 및 상기 송풍팬(11)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서브모터(12)가 팬하우징(15)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통풍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모터(12)에는 안전모 외부에 별도로 구성되는 전원공급부(14)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 케이블(13)이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통풍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팬하우징(15)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5a)가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져 있으며, 저면에는 송풍팬(11) 동작에 의해 송풍이 이루어지는 송풍구(15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통풍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20)에는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별도의 통기공(21)이 내부를 따라 관통 형성되되, 통기공(21)의 일단에서 외부와 연통되는 외측 연통공(21a)은 외부로 부터의 빗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모 하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통풍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21)은 다수개가 송풍팬(11)을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통풍구조.
  6. 외부 충격력 완충을 위해 소정 두께를 이루는 가운데 하부가 개방되어져 있는 통상의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30) 내주면 상부에는 공기의 강제 유동을 위한 송풍팬(11) 및 상기 송풍팬(11)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서브모터(12)가 팬하우징(15) 내에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안전모(3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31)과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32)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통풍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31)은 배출공(32) 보다 상승된 위치에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통풍구조.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32)은 송풍팬(11)이 내부에 장착된 팬하우징(15)보다 소정높이(h)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통풍구조.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31)은 안전모(30)의 전면측에 형성되고, 배출공(32)은 배면측에 각각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통풍구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팬하우징(15)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5a)가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져 있으며, 저면에는 송풍팬(11) 동작에 의해 송풍이 이루어지는 송풍구(15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통풍구조.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31)은 배출공(32) 보다 팬하우징(15)에 형성된 유입구(15a)에 근접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의 통풍구조.
KR1020060095503A 2006-09-29 2006-09-29 안전모의 통풍구조 KR20080029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503A KR20080029414A (ko) 2006-09-29 2006-09-29 안전모의 통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503A KR20080029414A (ko) 2006-09-29 2006-09-29 안전모의 통풍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947U Division KR200433419Y1 (ko) 2006-09-29 2006-09-29 안전모의 통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414A true KR20080029414A (ko) 2008-04-03

Family

ID=3953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503A KR20080029414A (ko) 2006-09-29 2006-09-29 안전모의 통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941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3724A (zh) * 2010-12-27 2011-07-06 金剑生 新型烟雾和尾气的净化帽
KR101154268B1 (ko) * 2010-10-20 2012-06-13 최계송 안전모 내부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장치
KR101237675B1 (ko) * 2011-02-21 2013-02-26 설정성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KR101240121B1 (ko) * 2011-10-10 2013-03-07 한국전력공사 고정스트랩에 의해 작동되는 송풍팬이 구비된 안전모
KR200472959Y1 (ko) * 2012-08-31 2014-06-03 김상기 안전모
WO2015009109A1 (ko) * 2013-07-18 2015-01-2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전원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안전모
CN109567297A (zh) * 2018-12-25 2019-04-05 吉林大学 一种手术用导汗无菌手术帽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268B1 (ko) * 2010-10-20 2012-06-13 최계송 안전모 내부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장치
CN102113724A (zh) * 2010-12-27 2011-07-06 金剑生 新型烟雾和尾气的净化帽
KR101237675B1 (ko) * 2011-02-21 2013-02-26 설정성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KR101240121B1 (ko) * 2011-10-10 2013-03-07 한국전력공사 고정스트랩에 의해 작동되는 송풍팬이 구비된 안전모
KR200472959Y1 (ko) * 2012-08-31 2014-06-03 김상기 안전모
WO2015009109A1 (ko) * 2013-07-18 2015-01-2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전원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안전모
CN109567297A (zh) * 2018-12-25 2019-04-05 吉林大学 一种手术用导汗无菌手术帽
CN109567297B (zh) * 2018-12-25 2021-06-08 吉林大学 一种手术用导汗无菌手术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9414A (ko) 안전모의 통풍구조
US7114194B2 (en) Safety helmet having a ventilation assembly
US7290292B1 (en) Combined solar powered fan and hat arrangement for maximizing airflow through the hat
JP2008101278A (ja) 空冷式ヘルメット
WO2013175932A1 (ja) ヘルメット
KR20130003015U (ko) 통풍이 가능한 안전모
KR200472959Y1 (ko) 안전모
KR101100558B1 (ko) 강제통풍기능을 갖춘 안전모
KR200433419Y1 (ko) 안전모의 통풍구조
JP3131987U (ja) 衝撃吸収帽子
KR101237675B1 (ko) 외기유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JP3118721U (ja) 帽体の換気装置
KR20200052179A (ko) 통풍제어 기능을 갖는 오토바이 헬멧
KR20100008599U (ko) 통풍형 안전모
JP3113280U (ja) 換気装置およびその換気装置を備えたヘルメット
KR101235257B1 (ko)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JP2007016376A (ja) 頭部冷却装置
CN218515259U (zh) 一种执勤用多功能头盔
JPH0390609A (ja) 冷却換気機構付き保護帽
CN217012937U (zh) 具有降温功能的安全帽
WO2021230211A1 (ja) ファン付き帽子
KR200260958Y1 (ko) 송풍장치를 갖는 모자
JP2018150661A (ja) 送風機内蔵ヘルメット
KR200286237Y1 (ko)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JP2878222B2 (ja) 乗車用ヘル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