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257B1 -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 Google Patents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257B1
KR101235257B1 KR1020110075534A KR20110075534A KR101235257B1 KR 101235257 B1 KR101235257 B1 KR 101235257B1 KR 1020110075534 A KR1020110075534 A KR 1020110075534A KR 20110075534 A KR20110075534 A KR 20110075534A KR 101235257 B1 KR101235257 B1 KR 101235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hard hat
outside
rain
w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3750A (ko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5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2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3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42B3/283Air inlets or outlets, with or without closure shutte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풍이 가능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모의 측면 주연부에 다수의 통풍공을 형성하되, 그 통풍공의 상부에 융출부를 형성하여 상부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모 내부의 머리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 및 외부의 자연 바람이 안전모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는 등 공기의 원활한 순환으로 안전모 내부의 온도를 절절히 유지시켜줌으로, 작업자로 하여금 땀의 발생을 방지하여 작업중 땀을 닦기 위해 안전모를 벗는 등 위험한 행동을 예방하고, 이로 인해 안전모 착용 기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안전모 착용 후 작업중 과다한 열기로 인한 어지럼증이나 두통 유발 및 땀으로 인한 두피 피부질환이나 탈모증 등 두피에 전해지는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통풍공 상부에 융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우천시 빗물이 통풍공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Safty helmet having ventilation system preventing inflow of rain water}
본 발명은 통풍이 가능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모의 주연부에 다수의 통풍공을 형성하되, 상기 통풍공의 상부에 융출부를 형성하여 상부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물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안전모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안전모의 착용감을 향상시켜줌과 동시에 작업자에게 있어서 더운 날씨나 실내 작업시 머리에 땀이 발생하여 안전모를 벗고 땀을 닦아내는 등의 불편함을 없애고, 이에 따른 위험한 행동을 예방할 수 있게 한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공사현장에서 작업자의 두부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필수용품으로, 공사현장에서는 작업중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모의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일반적인 안전모는, 외력에 의한 충격시 그 충격을 견뎌내기 위해 강화플라스틱 등의 단단한 소재로 된 중공상의 반구형의 내부에 지대끈 및 지지대가 설치되는 형태가 보통이며, 그 외형 또한 통풍구의 구성이 없이 완전히 밀폐된 반구형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통풍구가 없는 일반적인 안전모는,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고 작업함에 있어 더운 여름철의 경우 외기의 더운 열기에다 작업자의 머리에서 발생하는 열기마저 안전모의 외부로 제대로 배출되지 않음에 따라 작업자의 머리 부분에 과다한 열기가 발생하여 땀을 유발하므로 자주 벗었다 썼다 하면서 열기를 식혀 주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모 착용을 기피하게 되어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하고,
안전모를 착용한 후 머리 부분에 발생하는 과다한 열기는 어지럼증이나 두통을 유발시키고, 심할 경우 두피 피부질환이나 탈모증까지 발생하게 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20-0428857호와 같이, 통풍구가 형성된 차광용 모자가 있어 통풍을 유지하면서 자외선 등을 차단하는 모자가 있기는 하나, 안전모자로 사용하기는 부적합할 뿐 아니라 통기공에 대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차단구성이 없어 비가 올 때에는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안전모의 측면 주연부에 다수의 통풍공을 형성하되, 그 통풍공의 상부에 융출부를 형성하여 상부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모 내부의 머리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 및 외부의 자연 바람이 안전모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는 등 공기의 원활한 순환으로 안전모 내부의 온도를 절절히 유지시켜줌으로, 작업자로 하여금 땀의 발생을 방지하여 작업중 땀을 닦기 위해 안전모를 벗는 등 위험한 행동을 예방하고, 이로 인해 안전모 착용 기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안전모 착용 후 작업중 과다한 열기로 인한 어지럼증이나 두통 유발 및 땀으로 인한 두피 피부질환이나 탈모증 등 두피에 전해지는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통풍공 상부에 융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우천시 빗물이 통풍공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공사현장에서 작업시 착용하는 안전모에 있어서,
안전모의 측면 둘레에 그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는 통풍공을 갖는 다수의 통풍구를 일정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각각의 통풍구 상부에는 지붕을 이루는 하향 경사형으로 하부가 개방된 융출부를 형성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는, 안전모 내,외부 공기의 원활한 순환으로 안전모 내부의 온도를 외부의 온도와 근접하게 유지시켜주어, 작업자로 하여금 땀의 발생 억제로 작업중 땀을 닦기 위해 안전모를 벗는 등의 불편함의 해소와 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함과 동시에 안전모의 착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안전모 착용 후 작업중 과다한 열기로 인한 어지럼증이나 두통 유발 및 땀으로 인한 두피 피부질환이나 탈모 등 두피의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안전모 내,외부의 통풍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그 통풍공의 상부 융출부에 의해 우천시 빗물 등이 통풍구를 통해 안전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의 공기 흐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의 빗물 유입 방지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의 단면도 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1)는, 외력에 의한 충격시 그 충격을 견뎌내기 위해 강화플라스틱 등의 단단한 소재로 된 중공상의 반구형의 외피 내부에 지대끈 및 지지대가 설치되는 통상의 안전모(1)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1)의 측면 둘레에 그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는 통풍공(12)을 갖는 다수의 통풍구(10)(10')가 일정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통풍구(10)(10')는, 안전모(1)의 외주면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를 이루는 경사홈(11)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안전모(1)를 타고 내려오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통풍공(12)은 경사홈(11)에서 안전모(1)의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통풍구(10)(10') 상부에는 우천시 안전모(1)의 상부로부터 흘러내려오는 물이 상기 통풍공(12)을 통해 안전모(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방지하기 위해 빗물 유도용으로 지붕을 이루는 융출부(20)(20')가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융출부(20)(20')는, 안전모(1)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게 하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그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는, 안전모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안전모의 착용감을 향상시켜줌과 동시에 작업자에게 있어서 더운 날씨나 실내 작업시 머리에 땀이 발생하여 안전모를 벗고 땀을 닦아내는 등의 불편함을 없애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 안전모(1)의 착용은 통상의 안전모 착용과 같이 작업자의 두부를 씌워 착용하고, 그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끈 등을 이용하여 고정 착용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작업중 장시간 안전모(1)를 착용하게 되면 밀폐된 안전모의 특성상 작업자의 두부가 수용된 내부에서는 열기를 동반한 땀이 발생하게 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고 심할 경우 두부의 질환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 안전모(1)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작업자가 안전모(1)를 착용시 통풍공(12)에 의해 내부의 뜨거운 열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고, 이와 반대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안전모(1)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므로, 안전모(1) 내,외부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안전모(1)의 내,외부 공기의 순환으로 안전모(1) 내부에서는 열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해 작업자 두부의 땀 등의 발생 억제와 착용시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의 도시와 같이 우천시에는 안전모(1)의 상부로부터 빗물이 흘러 내리는 것인바, 이때 통풍구(10)(10')의 상부에는 지붕을 이루는 하향 경사형 융출부(20)(20')가 형성된 것으로, 상부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은 그 융출부(20)(20')를 통해 통풍구(10)(10')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로 유도 낙하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융출부(20)(20')의 주연부로 흘러내리는 빗물은,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향 경사진 경사홈(11)에 의해 빗물이 통풍구(10)(10')로 역류 유입이 방지되고, 이에 빗물은 안전모(1)의 하부로 그대로 흘러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는, 안전모 내,외부의 원활한 공기의 순환으로, 작업자로 하여금 항시 안전모 내부의 청량함을 유지시켜 그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땀을 닦기 위해 안전모를 벗어야 하는 등의 위험한 행동을 취하지 않아도 되며, 특히, 우천시에도 빗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원활한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여 안전모의 착용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1 : 안전모 10,10' : 통풍구
11 : 경사홈 12 : 통풍공
20,20' : 융출부

Claims (2)

  1. 안전모(1)의 측면 둘레에 그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는 통풍공(12)을 갖는 다수의 통풍구(10)(10')를 일정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하되,
    통풍구(10)(10') 상부에는 지붕을 이루는 하향 경사형으로 하부가 개방된 융출부(20)(20')를 형성하여 구성된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에 있어서,
    통풍구(10)(10')는,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홈(11)을 이루게 형성하여 안전모(1)를 타고 내려오는 물의 역류 유입을 방지하되,
    경사홈(11)에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는 통풍공(12)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2. 삭제
KR1020110075534A 2011-07-29 2011-07-29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KR101235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534A KR101235257B1 (ko) 2011-07-29 2011-07-29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534A KR101235257B1 (ko) 2011-07-29 2011-07-29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750A KR20130013750A (ko) 2013-02-06
KR101235257B1 true KR101235257B1 (ko) 2013-02-19

Family

ID=4789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534A KR101235257B1 (ko) 2011-07-29 2011-07-29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2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711B1 (ko) * 2016-04-12 2017-12-27 이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하고 헬멧 착용자간의 위치공유가 가능한 헬멧 시스템
KR102454369B1 (ko) 2022-07-12 2022-10-14 (주)일신이앤씨 시설물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308A (ko) * 1997-09-11 1999-04-06 백전호 공기가 주입된 에어모자를 이용한 다용도 안전 모자와 헬멧
KR200324622Y1 (ko) * 2003-05-29 2003-08-25 노병기 레저용 헬멧
KR200374041Y1 (ko) * 2004-11-08 2005-01-27 하나검사기술 주식회사 안전모
KR200428857Y1 (ko) * 2006-07-28 2006-10-16 최종주 차광용 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308A (ko) * 1997-09-11 1999-04-06 백전호 공기가 주입된 에어모자를 이용한 다용도 안전 모자와 헬멧
KR200324622Y1 (ko) * 2003-05-29 2003-08-25 노병기 레저용 헬멧
KR200374041Y1 (ko) * 2004-11-08 2005-01-27 하나검사기술 주식회사 안전모
KR200428857Y1 (ko) * 2006-07-28 2006-10-16 최종주 차광용 모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711B1 (ko) * 2016-04-12 2017-12-27 이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하고 헬멧 착용자간의 위치공유가 가능한 헬멧 시스템
KR102454369B1 (ko) 2022-07-12 2022-10-14 (주)일신이앤씨 시설물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750A (ko)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061B1 (ko) 착용감 개선을 위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US7398560B1 (en) Hat/visor with brim vent
KR20130003015U (ko) 통풍이 가능한 안전모
KR101235257B1 (ko) 빗물유입 방지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KR20080029414A (ko) 안전모의 통풍구조
KR101100558B1 (ko) 강제통풍기능을 갖춘 안전모
KR20130052845A (ko) 통풍이 가능한 안전모
CN203776223U (zh) 森林防护头盔
KR100753489B1 (ko) 통풍모자
KR200430641Y1 (ko) 안전모
KR200444807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JPH0642928U (ja) 冷風冷却ヘルメット
KR200489509Y1 (ko) 기능성 안전모
KR101078594B1 (ko) 통기구가 형성된 마스크 및 머플러
KR200472826Y1 (ko) 자외선 및 빗물 차단용 안면보호장치
KR200453122Y1 (ko) 안전 방한모
KR101380923B1 (ko) 통풍 안전모
CN214414240U (zh) 一种镁合金安全帽
CN205337771U (zh) 一种遮阳帽
KR102073550B1 (ko) 탈부착 가능한 모자
JP2009041149A (ja) 帽子
GB2426428A (en) Ventilated headwear
ES1219774U (es) Chaqueta para motoristas
CN205125193U (zh) 一种冬夏季通用的武警大檐帽
KR200433254Y1 (ko) 통풍구를 갖는 자외선 차양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