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642A -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 및 충격흡수 가능한 IoT 안전모 - Google Patents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 및 충격흡수 가능한 IoT 안전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6642A KR20200086642A KR1020200002821A KR20200002821A KR20200086642A KR 20200086642 A KR20200086642 A KR 20200086642A KR 1020200002821 A KR1020200002821 A KR 1020200002821A KR 20200002821 A KR20200002821 A KR 20200002821A KR 20200086642 A KR20200086642 A KR 202000866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sink
- thermoelectric
- iot
- present
- temperature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5—Ventilating arrangements with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6—Ventilating arrangements with forced flow, e.g. by a fan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 및 충격흡수 가능한 IoT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작업모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 작업자의 착용부위와 접촉하는 내피; 상기 외피 일측에 형성되는 팬; 및 상기 외피 내측에 배치되는 열전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 및 충격흡수 가능한 IoT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모의 내피가 작업자의 착용부위와 소정 간격 이격을 형성하여 작업모 내부에서 공기순환이 가능하고, 작업모의 외피를 6각형 셀의 집합체로 구성하여 외부충격을 효율적으로 분산 가능하며, 열전소자의 제어로 인해 냉각/온열을 통한 작업모 내부 열제어가 가능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 및 충격흡수 가능한 IoT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열전 변환 재료를 이용한 전자냉각은 재료의 양단간에 직류전류를 인가하면 일단이 발열하고 타단이 흡열하는 Peltier 효과를 이용하는 반도체 냉각 방식으로서 오존층 파괴와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Freon등의 냉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이며, 또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신뢰성이 높고, 기계적 작동부품이 없기 때문에 소음과 진동이 없으며, 회로의 국소 부위에 대한 선택적인 냉각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최근에는 전자부품의 소형화, 고 전력화, 고밀도실장 화 추세에 부응하여 선진각국에서 적외선 센서, laserdiode 및 CCD 소자의 focal plate 냉각 등 각종 전자기기나 IC 제품의 국부냉각에 전자냉각방식이 적용되고 있으며, 과학 계측장비, 의료용 장비뿐만 아니라 냉장고, 에어컨 및 열교환기 등의 가전산업분야에도 점차 응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미 전자냉각방식을 이용한 냉정수기, 김장독, 자동차용 냉온장고, 물수건 제조기 등 다양한 가전제품분야, 컴퓨터 CPU chip의 cooler, 광통신용 laser diode modulator,ink jet printer head의 항온제어 등 전자부품분야와 이동통신 무인기지국, 통신용 전자부품캐비넷 등에 전자냉각방식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 이외에도 반도체 제조용 chiller, 과학계측기기, 의료기기, 진공장치 등에 다양하므로 응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열전모듈(Thermoelectric module)은 n, p type 열전반도체 (Thermoelectricsemiconductor)를 전기적으로는 직렬로, 열적으로는 병렬로 되도록 ð형으로 연결한 모듈의형태로 사용된다. 여기에 DC 전류를 흘렸을 때는 열전효과에 의해서 모듈의 양면에 온도차가 발생하고 또, 동시에 발전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열전모듈이란 Peltier 현상에 의해 나타나는 냉각효과를 이용하는 고체식 히트펌프(solid state heat pump)를 말한다.
열전현상은 열과 전기의 흐름이 연관되어 함께 나타나는 현상으로 Seebeck effect, Peltiereffect, Thomson effect의 3가지 효과로 나타난다.
종래의 일반 반구형 작업모를 착용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열제어가 불가능하고 통풍이 되지 않는 작업모의 구조로 인해 열악한 작업환경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없어 인명재해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열전소자 방식은 부피와 무게로 인하여 안전모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안전모의 내피가 작업자의 착용부위와 소정간격 이격을 형성하여 작업모 내부에서 공기순환이 가능하고, 작업모의 외피를 6각형 셀의 집합체로 구성하여 외부충격을 효율적으로 분산 가능하며, 열전소자의 제어로 인해 냉각/온열을 통한 작업모 내부 열제어가 가능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 및 충격흡수 가능한 IoT안전모의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안전모의 내피가 작업자의 착용부위와 소정간격 이격을 형성하여 안전모 내부에서 공기순환이 가능하고, 작업모의 외피를 6각형 셀의 집합체로 구성하여 외부충격을 효율적으로 분산 가능하며, 열전소자의 제어로 인해 냉각/온열을 통한 안전모 내부 열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모듈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다자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지원함에 따라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 및 충격흡수 가능한 IoT안전모는, 안전모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 작업자의 착용부위와 접촉하는 내피; 상기 외피 일측에 형성되는 팬; 및 상기 외피 내측에 배치되는 열전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모의 내피가 작업자의 착용부위와 소정간격 이격을 형성하여 안전모 내부에서 공기순환이 가능하고, 작업모의 외피를 6각형 셀의 집합체로 구성하여 외부충격을 효율적으로 분산 가능하며, 열전소자의 제어로 인해 냉각/온열을 통한 안전모 내부 열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모듈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다자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지원함에 따라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열전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안전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안전모의 일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안전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안전모의 외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안전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안전모의 일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안전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안전모의 외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상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 반구형 작업모는 열제어가 불가능하고 통풍이 되지 않아 작업자의 위험을 초래하기까지 한다. 여기에 열전소자 방식을 적용한다면 열제어가 가능할 수는 있으나, 현재 열전소자 방식에 따르면 열전모듈의 부피와 무게로 인해서 안전모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열전모듈의 부피를 축소시켜 안전모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통신모듈을 통해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다자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열전모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열전모듈(10)은 제1 방열판(11), 열전소자(13) 및 제2 방열판(15)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방열판(11)은 히트싱크(heatsink)이고, 제2 방열판(15)은 콜드싱크(coldsknk)로서, 제1 방열판(11)의 크기가 제2 방열판(15)의 크기 보다 대력 3배 이상 크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20)은 제1 방열판(21), 열전소자(23) 및 제2 방열판(25)를 포함한다. 종래의 열전모듈(10)과 마찬가지로, 제1 방열판(21)은 히트싱크(heatsink)이고, 제2 방열판(25)은 콜드싱크(coldsknk)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20)은 종래의 열전모듈(10)과는 다르게 제1 방열판(21)의 크기와 제2 방열판(25)의 크기가 동일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20)의 전체 부피를 축소될 수 있다.
하기 <표 1>은 종래의 열전모듈(10)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20)의 성능을 비교한 성능 비교표이다.
열전모듈(10) | 열전모듈(20) | |
크기(W×D×H) | 91×180×105 | 40×60×24 |
무게(g) | 757 | 60 |
성능 | dT 5℃ @35℃ 유입 공기 온도 대비 토출 공기 온도 |
dT 5~7℃ @35℃ 유입 공기 온도 대비 토출 공기 온도 |
콜드싱크 온도(안정시) | 25℃ @35℃ | 27℃ @35℃ |
소비전력 | 36W | 약 8W 수준 (블로어 12V 포함) |
또한, 하기 <표 2>는 종래의 열전모듈(10)의 방열판(13)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20)의 방열판(3)을 비교한 표이다.
열전모듈(10) | 열전모듈(20) | |||
부품명 | HEATSINK | COLDSINK | HEATSINK | COLDSINK |
타입 | 압출 타입 | 압출 타입 | 폴디드 핀(FOLDED FIN) | 폴디드 핀 (FOLDED FIN) |
재질 | 알루미늄 | 알루미늄 | 구리 | 구리 |
크기(W×D×H) | 91×180×32 | 62×120×20 | 40×60×10 | 40×60×10 |
무게(g) | 570 | 180 | 12 | 12 |
전열면적 | 316,074 | 50,352 | 51,580 | 51,580 |
상기의 <표 1> 및 <표 2>를 통해 볼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열전모듈(10)에서 제2 방열판(15)의 크기가 제1 방열판(11)의 크기 보다 현저히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20)에서 제1 방열판(11)의 크기와 제2 방열판(15)의 크기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열전모듈(10)은 제1 방열판(11) 및 제2 방열판(15)을 AI60과 같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용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20)은 제1 방열판(21) 및 제2 방열판(25)을 구리 재질로 이용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20)은 종래의 열전모듈(10)은 보다 가벼운 무게를 갖게 됨에 따라 안전모에 적용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제1 방열판(11) 및 제2 방열판(15)은 압출 타입인 반면에, 제1 방열판(21) 및 제2 방열판(25)은 폴디드 타입, 즉, 구불구불하게 접힌 형상을 갖도록 함에 따라 보다 넓은 면적을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20)의 성능 또한 종래의 열전모듈(10) 대비 향상될 수 있다.
열전소자(23)는 냉각기능 및/또는 온열기능을 하여 안전모(100)의 내부 온도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안전모에는 열전모듈(20)이 적용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안전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안전모의 일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안전모(이하, 안전모)(100)는 바디부(110), 내장부(130), 통신모듈(150), 배터리 장착부(170) 및 배터리(190)를 포함한다.
바디부(110)는 안전모(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와 작업자의 착용부위와 접촉하는 내피로 구성되며, 작업자의 머리에 씌울 수 있도록 모자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디부(100)의 일부에는 버튼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열전모듈(20)에 대한 동작을 온/오프함은 물론, 쿨링모드 또는 히팅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내장부(130)는 작업자가 안전모(100)를 착용했을 때, 작업자의 후두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바디부(110)의 외피 내측에 열전모듈(20), 덕트부(미도시) 및 팬부(미도시)가 내장된다.
한편, 내장부(130)의 상단부에는 열, 즉, 내부에서 발생한 뜨거운 공기가 방출되는 제1 방출부(111)가 형성되고, 작업자의 착용부위와 접촉하는 내피 쪽에 형성되어 냉각된 공기가 방출되는 제2 방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내장부(130)의 하단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인입되는 인입부(113)가 형성된다.
통신모듈(150)은 바디부(100)의 일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통신모듈(150)을 통해 작업자는 다자간의 통신(통화)할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150)은 일대일 또는 적어도 두 명 이상과 통신(통화)가 가능하다.
배터리 장착부(170)는 통신모듈(150)이 구비되는 반대편 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배터리(190)가 충전된 상태로 배터리 장착부(170)에 삽입되어 장착되면, 안전모(1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배터리(190)는 충전을 위해 배터리 장착부(170)로부터 이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배터리(190)를 배터리 장착부(170)로부터 이탈시켜 충전하면 된다. 이때, 배터리(190)는 기존의 보조 배터리가 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안전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전모(100)의 내장부(130)에는 열전모듈(20), 덕트부(30), 팬부(40) 및 제어부(50)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를 안전부(100)의 외부에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제어부(50) 또한 내장부(130)에 함께 내장된다.
작업자가 안전모(100)를 쿨링모드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 바디부(110)에 구비된 버튼을 터치 또는 누름으로써 쿨링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면, 제어부(50)는 팬부(40)에 의해 인입부(113)를 통해 인입되는 외부 공기를 덕트부(30)를 통해 열전모듈(20)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그 공기가 열전모듈(20)에 의해 냉각되어 제2 방출부(미도시)를 통해 안전모의 내부로 방출되도록 제어한다. 동시에, 안전모(100)의 내피와 착용자의 두부 사이의 열기는 제1 방출부(111)를 통해 방출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작업자가 안전모(100)를 히팅모드로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 버튼을 터치 또는 누름으로써 히팅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면, 제어부(50)는 팬부(40)에 의해 인입부(113)를 통해 인입되는 외부 공기가 덕트부(30)를 통해 열전모듈(20)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그 공기가 열전모듈(20)에 의해 온열되어 제2 방출부(미도시)를 통해 안전모의 내부로 방출되도록 제어한다. 동시에, 안전모(100)의 내피와 착용자의 두부 사이의 냉기는 제1 방출부(111)를 통해 방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팬부(40)의 내부에는 도 4에 확대되어 도시된 팬(41)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는 쿨링모드 또는 히팅모드 시에 강약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를 더 구비하여 미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착용자의 제어에 의해 온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부(130)가 안전모(100)의 내부에 형성됨에 따라 안전모의 내피가 작업자의 착용부위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안전모 내부에서 공기순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내피 전면이 닿지 않음으로써 공기순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모 내부에 통풍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안전모의 외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안전모(200)의 하부에는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따라 둘레 조절이 가능한 조절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내장부의 하부에는 동작을 온/오프 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230)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전모(200)의 외피를 6각형 셀의 집합체로 구성하여 외부충격을 효율적으로 분산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일 뿐, 설계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를 통해서 착용자는 안전모 내부의 열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착용자의 안전을 보장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하여 다자간의 의사소통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열전모듈 11: 제1 방열판
13: 열전소자 15: 제2 방열판
20: 열전모듈 21: 제1 방열판
23: 열전소자 25: 제2 방열판
100: 안전모 110: 바디부
111: 제1 방출부 113: 제2 방출부
130: 내장부 150: 통신모듈
170: 배터리 장착부 190: 배터리
20: 열전모듈 30: 덕브투
40: 팬부 41: 팬
50: 제어부 200: 안전모
210: 조절부 230: 버튼부
13: 열전소자 15: 제2 방열판
20: 열전모듈 21: 제1 방열판
23: 열전소자 25: 제2 방열판
100: 안전모 110: 바디부
111: 제1 방출부 113: 제2 방출부
130: 내장부 150: 통신모듈
170: 배터리 장착부 190: 배터리
20: 열전모듈 30: 덕브투
40: 팬부 41: 팬
50: 제어부 200: 안전모
210: 조절부 230: 버튼부
Claims (5)
- 작업모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
작업자의 착용부위와 접촉하는 내피;
상기 외피 일측에 형성되는 팬; 및
상기 외피 내측에 배치되는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 및 충격흡수 가능한 IoT안전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은,
히트싱크를 형성하는 제1 방열판,
콜드싱크를 형성하는 제2 방열판 및
냉각기능 및/또는 온열기능을 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 및 충격흡수 가능한 IoT안전모.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판 및 제2 방열판은,
구리 재질로 형성되며, 구불구불하게 접힌 형상인 폴디드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 및 충격흡수 가능한 IoT안전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일측에는 블루투스를 기반의 통신 모듈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배터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장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통신 모듈 및 배터리 장착부는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 및 충격흡수 가능한 IoT안전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의 일부는,
착용자의 두부와 닿지 않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통풍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 및 충격흡수 가능한 IoT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002121 | 2019-01-08 | ||
KR1020190002121 | 2019-01-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6642A true KR20200086642A (ko) | 2020-07-17 |
KR102346731B1 KR102346731B1 (ko) | 2022-01-03 |
Family
ID=7183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2821A KR102346731B1 (ko) | 2019-01-08 | 2020-01-08 |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 및 충격흡수 가능한 IoT 안전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673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1924Y1 (ko) | 2002-07-13 | 2002-10-11 | 안성달 | 통기성이 우수한 하절기용 작업모 |
KR100880866B1 (ko) * | 2007-02-21 | 2009-01-30 | 임재호 | 안전모 |
KR101435669B1 (ko) * | 2011-12-23 | 2014-09-23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열전발전 열교환기 및 열전발전 모듈 |
KR101812711B1 (ko) * | 2016-04-12 | 2017-12-27 | 이준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하고 헬멧 착용자간의 위치공유가 가능한 헬멧 시스템 |
-
2020
- 2020-01-08 KR KR1020200002821A patent/KR1023467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1924Y1 (ko) | 2002-07-13 | 2002-10-11 | 안성달 | 통기성이 우수한 하절기용 작업모 |
KR100880866B1 (ko) * | 2007-02-21 | 2009-01-30 | 임재호 | 안전모 |
KR101435669B1 (ko) * | 2011-12-23 | 2014-09-23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열전발전 열교환기 및 열전발전 모듈 |
KR101812711B1 (ko) * | 2016-04-12 | 2017-12-27 | 이준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하고 헬멧 착용자간의 위치공유가 가능한 헬멧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6731B1 (ko) | 2022-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168302B (zh) | 一种可穿戴设备 | |
KR101921807B1 (ko) | 거리-연장형 전기버스의 순환 시스템 | |
US9622519B2 (en) | Air circling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with the same | |
US20080041066A1 (en) | Air cooling/heating device | |
KR20210001120U (ko) | 휴대용 쿨러 | |
CA2432860A1 (en) | Distributed electronic personal heat management system | |
KR20200080507A (ko) | 휴대용 냉풍기 | |
KR20130047118A (ko) | 열전시스템이 적용된 통신용 옥외 함체 | |
KR20200086642A (ko) |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 및 충격흡수 가능한 IoT 안전모 | |
JP2017110324A (ja) | 衣服用冷暖房ユニット | |
KR101190056B1 (ko) | 열전소자로 흡열과 발열을 하는 버프 장치 | |
KR20100007295U (ko) | 방냉방열 겸용 조끼 | |
KR101681924B1 (ko) | 폐쇄형 의복에 적용되는 미세기후 조절기 | |
KR102405996B1 (ko) | 휴대용 냉풍기 | |
CN208384330U (zh) | 一种发热元器件的散热系统 | |
KR20020019787A (ko) | 효율이 뛰어난 차량용 열전 냉·온장고 | |
CN109803519A (zh) | 一种移动终端散热装置 | |
CN210866764U (zh) | 激光器及其制冷装置 | |
KR101651455B1 (ko) |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차량의 냉난방장치 | |
KR200389678Y1 (ko) | 프레온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직접냉온장치 | |
JP3170883U (ja) | 電池に応用する加熱モジュール | |
KR100844201B1 (ko) | 프레온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자동차 및 산업용 친환경공조시스템 | |
CN213128250U (zh) | 一种内置冷源的可穿戴装置及含有该装置的工装 | |
KR100614254B1 (ko) | 프레온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직접냉온장치 | |
CN214370650U (zh) | 一种手持调温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