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974Y1 -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 Google Patents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974Y1
KR200497974Y1 KR2020220001957U KR20220001957U KR200497974Y1 KR 200497974 Y1 KR200497974 Y1 KR 200497974Y1 KR 2020220001957 U KR2020220001957 U KR 2020220001957U KR 20220001957 U KR20220001957 U KR 20220001957U KR 200497974 Y1 KR200497974 Y1 KR 200497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peripheral surface
cap portion
pipe
outer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0306U (ko
Inventor
이청남
Original Assignee
이청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청남 filed Critical 이청남
Priority to KR2020220001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974Y1/ko
Priority to CN202222324854.8U priority patent/CN218043932U/zh
Publication of KR202400003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3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9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캡부, 상기 캡부의 하단 외주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챙부, 상기 캡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팬 하우징부, 및 상기 캡부의 외주면 상에 통풍 유로를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리브부를 포함하는 안전모 본체; 상기 팬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안전모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팬 어셈블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팬 하우징부는, 상기 캡부의 외주면에서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되는 파이프부, 상기 파이프부의 상단 면을 폐쇄하는 블라인드 플랜지부, 및 상기 캡부의 외주면과 상기 블라인드 플랜지부 사이에서 상기 파이프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는 상기 파이프부의 내부 공간을 상기 블라인드 플랜지부에 접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캡부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결하는 흡입구를 상기 격벽부의 중앙에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부는 상기 블라인드 플랜지부와 상기 격벽부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개방된 영역과 폐쇄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된 영역을 통해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파이프부의 외부 공간에 연결되고, 상기 폐쇄된 영역은 상기 파이프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개방된 영역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안전모 본체 위로 떨어지는 낙하 물질이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파이프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터 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는 원심형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통풍 유로를 연결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는 상기 통풍 유로와 상기 캡부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토출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FUNCTIONAL SAFETY HELMET WITH VENTILATION FLOW PATH}
본 고안은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햇빛을 차단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여 안전사고 발생 시에 치명적인 부상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안전모는 안전모 내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열사병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안전모에 팬을 결합한 형태의 기능성 안전모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종래 기능성 안전모는 통풍 유로를 확보하기 위해 송풍덕트와 같은 별도의 구조물이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팬에 의해 유입된 외기가 팬이 설치된 영역, 예를 들어 정수리 부분에만 집중되어 작업자의 머리 전체에 넓게 전달되지 않는 문제도 있었다(특허문헌 2 참조).
또한, 건설현장에서는 흙과 돌 부스러기, 심지어 작은 돌멩이가 안전모 위로 자주 떨어지는데, 이와 같은 낙하 물질이 팬 케이스 내로 유입되면 팬 블레이드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고, 나아가 팬 블레이드의 파편이 안전모 내로 유입되어 작업자가 머리에 상해를 입힐 수 있는 위험도 있는 바,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여과 망과는 별도로 낙하 물질의 유입 방지를 위한 구조적 설계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5312호(2010.11.19, 냉각장치가 부착된 안전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49301호(2020.08.28, 환기 기능을 갖춘 안전모)
본 고안의 실시 예는 통풍 유로를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구조물을 추가할 필요가 없는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캡부, 상기 캡부의 하단 외주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챙부, 상기 캡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팬 하우징부, 및 상기 캡부의 외주면 상에 통풍 유로를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리브부를 포함하는 안전모 본체; 상기 팬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안전모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팬 어셈블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팬 하우징부는, 상기 캡부의 외주면에서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되는 파이프부, 상기 파이프부의 상단 면을 폐쇄하는 블라인드 플랜지부, 및 상기 캡부의 외주면과 상기 블라인드 플랜지부 사이에서 상기 파이프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는 상기 파이프부의 내부 공간을 상기 블라인드 플랜지부에 접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캡부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결하는 흡입구를 상기 격벽부의 중앙에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부는 상기 블라인드 플랜지부와 상기 격벽부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개방된 영역과 폐쇄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된 영역을 통해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파이프부의 외부 공간에 연결되고, 상기 폐쇄된 영역은 상기 파이프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개방된 영역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안전모 본체 위로 떨어지는 낙하 물질이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파이프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터 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는 원심형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통풍 유로를 연결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는 상기 통풍 유로와 상기 캡부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토출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토출공은 상기 통풍 유로를 따라 일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리브부는 상기 캡부의 전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상호간에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리브부는, 상기 파이프부에 연결되어 상기 캡부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캡부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전단과 상기 제2 영역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공은 상기 통풍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외기가 상기 캡부의 내주면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상기 캡부의 후방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캡부를 경사지게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통풍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외기를 상기 토출공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부는, 상기 블라인드 플랜지부와 상기 격벽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흡기구를 중심으로 상기 격벽부의 외측 가장자리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 중 한 쌍의 제1 지지부는 상기 폐쇄된 영역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 중 상기 개방된 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지지부는 상기 흡기구에서 상기 격벽부의 외측 가장자리까지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리브부를 활용하여 통풍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통풍 유로 확보를 위해 별도의 구조물을 추가할 필요가 없고, 리브부 내에 형성되는 공기 흐름으로 인해 완충 효과가 향상될 수도 있다.
또한, 리브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풍 유로와 캡부의 내측 공간 사이를 전면적으로 개방한 것이 아니라 복수의 토출공을 통해 제한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팬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가 통풍 유로의 끝단까지 도달할 수 있어 작업자의 머리 전체에 가능한 넓게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캡부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외기는 가이드 돌기에 의해 안내되어 토출공을 통해 원활하게 토출될 수도 있다.
또한, 캡부의 내부 공간으로 토출된 외기가 작업자의 안면이 아닌 목덜미 측으로 배출되도록 토출공을 형성함으로써, 외기 흐름에 따라 머리카락이 이마 쪽으로 흘러내려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목덜미까지 냉각시킬 수도 있다.
또한, 파이프부의 제2 공간에 원심형 임펠러를 배치하여 모터 축의 반경 방향으로 외기 흐름을 발생시키고, 리브부의 통풍 유로에 연결되는 관통 홀을 원심형 임펠러에 의한 외기 흐름 경로에 형성함으로써, 외기가 통풍 유로에 보다 빠른 유속으로 주입되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외기가 통풍 유로의 끝단까지 보다 빠른 유속으로 도달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안전모 본체 위로 떨어지는 낙하 물질이 임펠러까지 도달하지 못하도록 팬 하우징부를 구성함으로써 임펠러의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 - I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 - II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III - III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따른 전기공급유닛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7은 도 2의 IV - IV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V - V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 "상"으로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의 위 또는 아래를 의미하고,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구성요소가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10)는 안전모 본체(100), 팬 어셈블리(200) 및 전기공급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모 본체(100)는 캡부(110), 챙부(120), 팬 하우징부(130) 및 한 쌍의 리브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캡부(110)는 작업자의 머리가 삽입되도록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속이 빈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챙부(120)는 캡부(110)의 하단 외주면에서 캡부(1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챙부(120)는 캡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 내리는 빗물 등이 작업자의 안면으로 낙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팬 하우징부(130)는 캡부(1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팬 어셈블리(200)가 탑재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 하우징부(130)는 캡부(110)의 외주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리브부(140)는 각각 팬 하우징부(130)에서 분기되어 캡부(110)의 외주면 상에 통풍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리브부(140)는 캡부(1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터널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따라서, 팬 어셈블리(200)에 의해 팬 하우징부(130) 내로 유입된 외기는 통풍 유로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캡부(110)는 통풍 유로와 캡부(110)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토출공(110a)을 구비할 수 있고, 복수의 토출공(110a)은 통풍 유로를 따라 일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통풍 유로는 일단이 팬 하우징부(130)에 연결되되 타단이 막힌 구조일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리브부(140)는 캡부(110)의 전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면(A - A)을 기준으로 상호간에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리브부(140)는 팬 하우징부(130)에 연결되어 캡부(110)의 전방(X축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영역(141), 제1 영역(141)의 하측에 배치되어 캡부(110)의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142), 및 제21 영역(141)의 전단에서 만곡되어 제2 영역(142)의 전단에 연결되는 제3 영역(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142)은 제1 영역(141)으로부터 캡부(110)의 좌우 방향(Y축 방향) 및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1 영역(141) 사이의 간격은 제1 영역(141)과 제2 영역(142)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토출공(110a)은 작업자의 머리 전체에 거의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200)는 팬 하우징부(130)에 결합되어 통풍 유로에 외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전기공급유닛(300)는 안전모 본체(100)에 결합되어 팬 어셈블리(20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I - I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 - II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III - III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팬 하우징부(130)는 파이프부(131), 블라인드 플랜지부(132) 및 격벽부(133)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지지부(13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파이프부(131)는 캡부(110)의 외주면에서 파이프 형상, 예를 들어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부(131)의 중심축은 캡부(110)의 외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블라인드 플랜지부(132)는 파이프부(131)에 결합되어 파이프부(131)의 상단 면을 폐쇄할 수 있다.
격벽부(133)는 캡부(110)의 외주면과 블라인드 플랜지부(132) 사이에서 파이프부(131)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부(131)의 내부 공간은 격벽부(133)에 의해 제1 공간(131a)과 제2 공간(131b)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공간(131a)은 블라인드 플랜지부(132)에 접하는 공간일 수 있고, 제2 공간(131b)는 제1 공간(131a)과 캡부(110)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라인드 플랜지부(132)와 격벽부(133)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블라인드 플랜지부(132)와 격벽부(133)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격벽부(133)의 중앙에는 제1 공간(131a)과 제2 공간(131b)을 연결하는 흡입구(133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부(131)는 블라인드 플랜지부(132)와 격벽부(133) 사이에서 파이프부(1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개방된 영역(131c)과 폐쇄된 영역(131d)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된 영역(131c)은 파이프부(131)가 제거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제1 공간(131a)은 개방된 영역(131c)을 통해 파이프부(131)의 외부 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반해, 폐쇄된 영역(131d)은 파이프부(131)가 존재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폐쇄된 영역(131d)은 파이프부(1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개방된 영역(131c)보다 높게 배치되어 안전모 본체(100) 위로 떨어지는 낙하 물질이 제1 공간(131a)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쇄된 영역(131d)은 캡부(110)의 전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면(A - A)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폐쇄된 영역(131d)의 중심각은 140° 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150°일 수 있다.
또한, 파이프부(131)는 격벽부(133)와 캡부(110)의 외주면 사이에서 파이프부(131)의 제2 공간(131b)과 리브부(140)의 통풍 유로(P)를 연결하는 관통 홀(131e)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브부(140)는 격벽부(133)와 캡부(110)의 외주면 사이에서 파이프부(131)의 외주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팬 하우징부(130)의 개방된 영역(131c), 제1 공간(131a), 흡입구(133a), 제2 공간(131b) 및 관통 홀(131e)과 리브부(140)의 통풍 유로(P)와 캡부(110)의 토출공(110a)을 차례로 거쳐 캡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전체 유로가 완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134)는 블라인드 플랜지부(132)와 격벽부(133)를 연결할 수 있고, 흡기구(133a)를 중심으로 격벽부(133)의 외측 가장자리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부(131)의 개방된 영역(131c)으로 인해 저하될 수도 있는 팬 하우징부(130)의 강성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지지부(134) 중 한 쌍의 제1 지지부(134a)는 파이프부(131)의 폐쇄된 영역(131d)의 양단에 연결되어 폐쇄된 영역(131d)의 외주면을 따라 떨어지는 낙하 물질이 흡입구(133a)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부(134) 중 파이프부(131)의 개방된 영역(131c)에서 한 쌍의 제1 지지부(134a)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지지부(134b)는 흡기구(133a)에서 격벽부(133)의 외측 가장자리까지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134a)와 제2 지지부(134b) 사이의 개방된 영역(131c)을 통해 제1 공간(131a)으로 유입될 수도 있는 낙하 물질은 제2 지지부(134b)를 따라 떨어져서 파이프부(131)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 결과, 흡입구(133a)로의 낙하 물질의 유입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
팬 어셈블리(200)는 모터(210), 및 모터(210)에 의해 회전하는 원심형 임펠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210)는 캡부(110)의 내주면 상에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고, 모터(210)의 모터 축(210a)은 캡부(110)를 관통하여 제2 공간(131b)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모터 축(210)은 파이프부(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축(210a)은 파이프부(131)의 중심축과 일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원심형 임펠러(220)는 모터 축(210a)에 결합되어 제2 공간(131b)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원심형 임펠러(220)는 모터 축(210a)의 반경 방향으로 파이프부(131)의 관통 홀(131e)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원심형 임펠러(220)에 의해 모터 축(210a)의 반경 방향으로 발생하는 외기 흐름은 파이프부(131)의 관통 홀(131e)로 바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210)는 캡부(110)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도록 결합되거나 블라인드 플랜지부(132)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따른 전기공급유닛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기공급유닛(300)은 입력부(310), 제어부(320) 및 전기공급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10)는 팬 어셈블리(200)의 구동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 장치로서, 예를 들어 작업자는 입력부(310)를 조작하여 팬 어셈블리(200)의 온 오프 신호와 회전 속도(강, 중, 약)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310)는 슬라이딩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입력부(310)는 챙부(120)의 저면에 배치되어 조작 편의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부(320)는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 받은 구동 신호를 기초로 전기공급부(330)에 의한 전기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전기공급부(330)에 결합되는 제어 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전기공급부(330)에 대한 충전을 위한 USB 단자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전기공급부(330)는 제어부(3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팬 어셈블리(20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공급부(330)는 충전 배터리, 및 충전 배터리가 결합되는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공급부(330)는 캡부(110)의 전면부에 결합됨으로써 캡부(110)의 후면부에 결합되는 팬 어셈블리(200)로 인해 무게중심이 치우치는 문제를 개선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2의 IV - IV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V - V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토출공(110a)은 통풍 유로(P)를 따라 유동하는 외기가 캡부(110)의 내주면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캡부(110)의 후방을 향해 예를 들어 45°만큼 경사진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캡부(110)를 경사지게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부(11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110b)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10b)는 통풍 유로(P) 내에 배치되어 통풍 유로(P)를 따라 유동하는 외기를 토출공(110a)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 돌기(110b)는 토출공(110a)의 하류 단에 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토출공(110a) 상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안전모 100: 안전모 본체
110: 캡부 110a: 토출공
110b: 가이드 돌기 120: 챙부
130: 팬 하우징부 131: 파이프부
131a: 제1 공간 131b: 제2 공간
131c: 개방된 영역 131d: 폐쇄된 영역
131e: 관통 홀 132: 블라인드 플랜지부
133: 격벽부 133a: 흡입구
134: 지지부 134a: 제1 지지부
134b: 제2 지지부 140: 리브부
141: 제1 영역 142: 제2 영역
143: 제3 영역 200: 팬 어셈블리
210: 모터 210a: 모터 축
220: 임펠러 300: 전기공급유닛
310: 입력부 320: 제어부
330: 전기공급부

Claims (7)

  1. 캡부, 상기 캡부의 하단 외주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챙부, 상기 캡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팬 하우징부, 및 상기 캡부의 외주면 상에 통풍 유로를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리브부를 포함하는 안전모 본체;
    상기 팬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안전모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팬 어셈블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팬 하우징부는, 상기 캡부의 외주면에서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되는 파이프부, 상기 파이프부의 상단 면을 폐쇄하는 블라인드 플랜지부, 및 상기 캡부의 외주면과 상기 블라인드 플랜지부 사이에서 상기 파이프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는 상기 파이프부의 내부 공간을 상기 블라인드 플랜지부에 접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캡부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결하는 흡입구를 상기 격벽부의 중앙에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부는 상기 블라인드 플랜지부와 상기 격벽부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개방된 영역과 폐쇄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된 영역을 통해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파이프부의 외부 공간에 연결되고,
    상기 폐쇄된 영역은 상기 파이프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개방된 영역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안전모 본체 위로 떨어지는 낙하 물질이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파이프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터 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는 원심형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공간과 상기 통풍 유로를 연결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는 상기 통풍 유로와 상기 캡부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토출공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리브부는 상기 캡부의 전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상호간에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리브부는, 상기 파이프부에 연결되어 상기 캡부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캡부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전단과 상기 제2 영역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공은 상기 통풍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외기가 상기 캡부의 내주면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상기 캡부의 후방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캡부를 경사지게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공은 상기 통풍 유로를 따라 일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통풍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외기를 상기 토출공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부는, 상기 블라인드 플랜지부와 상기 격벽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흡입구를 중심으로 상기 격벽부의 외측 가장자리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 중 한 쌍의 제1 지지부는 상기 폐쇄된 영역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 중 상기 개방된 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지지부는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격벽부의 외측 가장자리까지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KR2020220001957U 2022-08-10 2022-08-10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KR200497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957U KR200497974Y1 (ko) 2022-08-10 2022-08-10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CN202222324854.8U CN218043932U (zh) 2022-08-10 2022-09-01 具有通风流路的功能性安全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957U KR200497974Y1 (ko) 2022-08-10 2022-08-10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306U KR20240000306U (ko) 2024-02-19
KR200497974Y1 true KR200497974Y1 (ko) 2024-05-03

Family

ID=84409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957U KR200497974Y1 (ko) 2022-08-10 2022-08-10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7974Y1 (ko)
CN (1) CN218043932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8343A (ja) * 1999-05-25 2000-11-28 Ogk Hanbai Kk 換気機能を有するヘルメット及び換気用シャッター装置
KR200415425Y1 (ko) * 2006-02-06 2006-05-03 국제안전물산주식회사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
US20170332721A1 (en) * 2016-05-20 2017-11-23 William Elwood Otey Headwear with an Integrated Cool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866B1 (ko) * 2007-02-21 2009-01-30 임재호 안전모
KR100995312B1 (ko) 2010-06-11 2010-11-19 (주)한동알앤씨 냉각장치가 부착된 안전모
KR102149301B1 (ko) 2019-06-13 2020-08-28 이윤성 환기 기능을 갖춘 안전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8343A (ja) * 1999-05-25 2000-11-28 Ogk Hanbai Kk 換気機能を有するヘルメット及び換気用シャッター装置
KR200415425Y1 (ko) * 2006-02-06 2006-05-03 국제안전물산주식회사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
US20170332721A1 (en) * 2016-05-20 2017-11-23 William Elwood Otey Headwear with an Integrated Cool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8043932U (zh) 2022-12-16
KR20240000306U (ko) 202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1862A (en) Rigid helmet having air blowing system
US7987525B2 (en) Helmet
US5086520A (en) Ventilating device for helmet
JP4996305B2 (ja) 通気衣服
US9241529B1 (en) Air-cooled hard hat
US7114194B2 (en) Safety helmet having a ventilation assembly
US20170332721A1 (en) Headwear with an Integrated Cooling System
KR101956156B1 (ko) 복합 기능을 갖춘 안전 헬멧
US20220082869A1 (en) Eyewear Having Multidirectional Venting
KR200497974Y1 (ko)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WO2013175932A1 (ja) ヘルメット
KR20080029414A (ko) 안전모의 통풍구조
CN104879308A (zh) 风扇
KR20130003015U (ko) 통풍이 가능한 안전모
TWI742190B (zh) 用於機車之內燃機的冷卻系統及具有此冷卻系統的機車
KR102469613B1 (ko)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KR200465787Y1 (ko) 작업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안전모
KR20200052179A (ko) 통풍제어 기능을 갖는 오토바이 헬멧
EP0943249A1 (en) Safety cap
SU101780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ентил ции камеры двигател самоходной сельскохоз йственной машины
KR102384071B1 (ko) 송풍 기능을 갖는 안전모
JP2001003220A (ja) ヘルメット
JPH07109610A (ja) ヘルメット
KR200433419Y1 (ko) 안전모의 통풍구조
JP2018150661A (ja) 送風機内蔵ヘル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