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425Y1 -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 - Google Patents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425Y1
KR200415425Y1 KR20060003280U KR20060003280U KR200415425Y1 KR 200415425 Y1 KR200415425 Y1 KR 200415425Y1 KR 20060003280 U KR20060003280 U KR 20060003280U KR 20060003280 U KR20060003280 U KR 20060003280U KR 200415425 Y1 KR200415425 Y1 KR 2004154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air
helmet
pipe
sile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03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규
Original Assignee
국제안전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안전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제안전물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0032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4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4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5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o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열악한 환경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에어공급 마스크 내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하여, 투시창이 구비되어 작업자의 머리 및 어깨를 덮는 두건과, 상기 두건 내에 장착되는 헬멧과, 상기 헬멧의 후방측에 연결된 에어공급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에어공급관을 통해 헬멧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는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의 에어공급관 출구측에는 소음기가 장착되고, 상기 소음기가 내장되어 상기 에어공급관과 연통되는 에어유도관이 상기 헬멧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투시창 상부측까지 연장 형성되어 장착되어지되, 상기 에어유도관 좌우 양측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분지관이 연통 형성되고 하부측에 복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소음기와 에어유도관 사이에는 흡음재가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투시창에 작업자의 호흡 및 체열로 인하여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쾌적한 상태에서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에어공급 마스크, 소음기, 에어유도관, 분지관, 배충공, 흡음재, 에어공급관

Description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Air supply mask for worker}
도 1은 종래 에어공급 마스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종래 에어공급 마스크의 주요부인 제1 호스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헬멧 내부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헬멧 내부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고안의 주요부인 소음기와 그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고안의 주요부인 에어유도관 및 분지관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소음기 200...에어유도관
210...분지관 220...배출공
230...전방 분지관 300...흡음재
본 고안은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투시창 이 구비된 두건 내에 장착되는 헬멧 내부로 에어공급을 하는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에 흡음재로 감싼 소음기를 상기 헬멧 내에 장착되는 에어유도관과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에어유도관 하부측의 배출공으로 에어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투시창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유해물질이 비산하는 인쇄 또는 도장을 실시하는 작업장이나, 광산 또는 터널 등의 굴착 작업 등 매우 열악한 환경에서는 작업자의 원활한 호흡과 쾌적한 작업 환경의 보장을 위하여 신선한 에어 공급이 필수적이다.
상기와 같은 안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등록실용 공고번호 20-0171620호의 "산소 공급 및 방진용 두건"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에어공급 마스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종래 에어공급 마스크의 주요부인 제1 호스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은 크게 헬멧(22), 투시창(62)이 설치된 고정띠(68)와 두건 커버(60) 및 산소 공급량 조절 노브(9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헬멧(22) 내부에는 작업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내피(24)가 설치되며, 상기 내피(24) 상측면에는 복수개의 구멍(74a)이 형성된 제1 호스(72)가 고정 설치되어 제1 튜브(30)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튜브(30)를 통해 상기 헬멧(22) 내로 에어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호스(72) 내측에는 도 2와 같이 제1 부직포(80)가 장착되고, 상기 제1 부직포(80) 내측에는 복수개의 구멍(74b)이 형성된 제2 호스(82) 및 제2 부직포(84)가 순차적으로 장착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제1 호스(72) 내에 장착되는 제1, 2 부직포(80, 84)에 의한 소음 차단효과는 다소간 기대할 수 있으나, 에어 공급을 위한 유로가 상기 제1, 2 부직포(80, 84)로 인하여 차단되므로 상기 헬멧(22) 내로 원활하게 에어가 공급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장시간 작업시 호흡에 어려움을 겪게 됨은 물론 작업자 자신의 호흡과 체열로 인하여 투시창(62)에 김이 서리게 되므로 시야 확보를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열악한 조건으로 작업을 하거나 수시로 두건을 벗어 상기 투시창(62)에 서린 김을 닦아내는 번거로움을 감수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상시 쾌적한 상태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다 하겠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두건에 구비된 투시창에 작업자의 호흡 및 체열로 인하여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에어가 두건 내로 공급됨으로써 작업자의 쾌적한 작업 환경 제공이 가능한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투시창이 구비되어 작업자의 머리 및 어깨를 덮는 두건과, 상기 두건 내에 장착되는 헬멧과, 상기 헬멧의 후방측에 연결된 에어공급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에어공급관을 통해 헬멧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는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관 출구측에 장착되는 소음기; 상기 소음기가 내장되어 상기 에어공급관과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헬멧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투시창 상부측까지 연장 형성되어 장착되며 좌우 양측에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분지관이 연통 형성되고 하부측에 복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에어유도관; 및 상기 소음기와 에어유도관 사이에 장착되는 흡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유도관의 전방측 단부에는 좌우 양측으로 소정길이 연통 형성되며 하부측에 복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전방 분지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흡음재는 부직포 또는 방음 스폰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을 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에어공급관(30) 출구측에 장착되는 소음기(100), 상기 소음기(100)가 내장되어 헬멧(22) 내에 장착되며 상기 에어공급관(30)과 연결된 에어유도관(200), 상기 소음기(100)와 에어유도관(200) 사이에 장착되는 흡음재(30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헬멧(22)은 투시창(62)이 구비되어 작업자의 머리 및 어깨를 덮는 두건(60) 내에 장착되는 것이다.
도 3에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로 24는 작업자의 머리가 거치되는 내피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원 고안에 따른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의 주요 구성에 관하여 도 4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4(a)는 본원 고안의 주요부인 헬멧의 내부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 4(b)는 도 4(a)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것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원 고안의 주요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대한 부호, 즉 두건의 60 및 투시창의 62는 도 3을 참고하기로 한다.
상기 소음기(100)는 공지의 것으로 원통 형상에 단부에 노즐(110)이 구비되어 상기 에어공급관(30) 출구측과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에어유도관(200)은 상기 소음기(100)가 내장되어 상기 에어공급관(30)과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헬멧(22) 내에 장착되어 상기 헬멧(22)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유도관(200)은 상기 헬멧(22)의 내측면을 따라 두건(60)의 투시창(62) 상부측까지 연장 형성되도록 장착되며, 좌우 양측으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분지관(210)이 연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유도관(200) 및 분지관(210)의 하부측에는 도 4(b)와 같이 그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배출공(220)이 형성되어 공급되는 에어가 헬멧(22)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흡음재(300)는 상기 소음기(100)와 에어유도관(200) 사이에 장착 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상기 노즐(110) 부분을 제외한 소음기(100) 외주면을 따라 감싸거나 접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장착되게 된다.
상기 흡음재(300)는 소음기(100)와 함께 에어공급관(30)을 통하여 공급되는 에어로 인한 소음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부직포 또는 방음 스폰지와 같이 흡음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원 고안에 따른 작업자용 에어 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도 5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5(a)는 본원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내부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 5(b)는 도 5(a)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것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유도관(200)의 전방측 단부에는 좌우 양측으로 소정길이 상기 에어유도관(200)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전방 분지관(230)이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분지관(230)의 하부측에는 그 형성방향을 따라 도 5(b)와 같이 복수개의 배출공(220)이 형성되어 공급되는 에어가 투시창(62) 상부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분지관(230)은 투시창(62) 상부측에서부터 에어를 배출함으로써 작업자의 호흡 및 체열로 인하여 상기 투시창(62)에 김이 서리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원 고안에 따른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는 소음기의 장착 위치를 변경한다든가, 에어유도관에 연장형성된 분지관의 형상을 변경한다든가 하는 등의 많은 변형 및 응용을 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주요부인 소음기와 그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주요부인 에어유도관 및 분지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원 고안의 주요부인 소음기(100)는 도 6(a)와 같이 헬멧(22) 내부 또는 도 6(b)와 같이 헬멧(22) 외부에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우선, 상기 소음기(100)를 도 6(a)와 같이 헬멧(22) 내부에 장착되도록 할 경우 상기 소음기(100)를 포함한 에어유도관(200) 등의 주요 구성이 모두 헬멧(22) 내부에 장착되므로 주요 부품의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음기(100)를 도 6(b)와 같이 헬멧(22) 외부에 장착되도록 할 경우 상기 에어유도관(200)을 포함한 분지관(21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보다 많은 배출공(220, 도 4 및 도 5 참고)을 구비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6(b)와 같은 경우 상기 헬멧(22) 내부에 거치되는 작업자의 두부로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에어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원 고안의 주요부인 에어유도관(200) 및 분지관(210)을 도 7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헬멧(22) 내측에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우선, 도 7(a)와 같이 본원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에 따른 형상으로 상기 에어유도관(200) 및 분지관(210)을 제작할 수 있으며, 도 7(b)와 같이 에어유도관(200) 전방측 단부에 전방 분지관(230)을 더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c)와 같이 전방 분지관(230)과 더불어 에어유도관(200)의 좌우 양측으로 적어도 한 쌍 이상, 리브(rib) 형상으로 복수 쌍 분지관(210)을 소정간격 이격 형성시켜 보다 넓은 작업자의 두부 면적에 걸쳐 에어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d)와 같이 복수 쌍의 분지관(210) 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고리 형상으로 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측두부로 에어가 배출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외에도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의 조합이 가능하다 하겠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원 고안은 두건에 구비된 투시창에 작업자의 호흡 및 체열로 인하여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에어가 두건 내로 공급됨으로써 작업자의 쾌적한 작업 환경 제공이 가능한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원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원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선, 두건에 구비된 투시창 상부측까지 헬멧 내에 연장형성되어 장착된 에어유도관의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작업자의 호흡 및 체열로 인하여 투시창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원활한 작업을 위한 시야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 다.
그리고, 흡음재로 감싼 소음기에 의하여 에어공급관과 연결된 에어유도관의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에어 공급시 소음에 의한 불쾌감을 대폭 저감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두부의 상쾌함을 지속적으로 느끼면서 작업할 수 있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투시창이 구비되어 작업자의 머리 및 어깨를 덮는 두건과, 상기 두건 내에 장착되는 헬멧과, 상기 헬멧의 후방측에 연결된 에어공급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에어공급관을 통해 헬멧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는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관(30) 출구측에 장착되는 소음기(100);
    상기 소음기가 내장되어 상기 에어공급관과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헬멧(22)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투시창(62) 상부측까지 연장 형성되어 장착되며 좌우 양측에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분지관(210)이 연통 형성되고 하부측에 복수개의 배출공(220)이 형성된 에어유도관(200); 및
    상기 소음기와 에어유도관 사이에 장착되는 흡음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도관(200)의 전방측 단부에는 좌우 양측으로 소정길이 연통 형성되며 하부측에 복수개의 배출공(220)이 형성된 전방 분지관(23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가 장착된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300)는 부직포 또는 방음 스폰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가 장착된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
KR20060003280U 2006-02-06 2006-02-06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 KR2004154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3280U KR200415425Y1 (ko) 2006-02-06 2006-02-06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3280U KR200415425Y1 (ko) 2006-02-06 2006-02-06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425Y1 true KR200415425Y1 (ko) 2006-05-03

Family

ID=4028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03280U KR200415425Y1 (ko) 2006-02-06 2006-02-06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425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8770A1 (en) * 2007-03-23 2008-10-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flow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101295880B1 (ko) 2011-12-08 2013-08-12 (주)경도상사 고글이 장착된 방호 두건
US8936022B2 (en) 2007-03-23 2015-01-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ir delivery apparatus for respirator hood
US9868001B2 (en) 2007-10-05 2018-01-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flow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10391337B2 (en) 2007-11-12 2019-08-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assembly with air flow direction control
KR20190119159A (ko) * 2017-03-31 2019-10-2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헤드기어
KR102469613B1 (ko) * 2021-05-31 2022-11-22 이청남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KR200497974Y1 (ko) * 2022-08-10 2024-05-03 이청남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8770A1 (en) * 2007-03-23 2008-10-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flow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101626809B (zh) * 2007-03-23 2012-03-21 3M创新有限公司 呼吸器流量控制装置及方法
US11130008B2 (en) 2007-03-23 2021-09-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flow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8936022B2 (en) 2007-03-23 2015-01-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ir delivery apparatus for respirator hood
US10137320B2 (en) 2007-03-23 2018-11-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flow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9868001B2 (en) 2007-10-05 2018-01-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flow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10391337B2 (en) 2007-11-12 2019-08-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assembly with air flow direction control
KR101295880B1 (ko) 2011-12-08 2013-08-12 (주)경도상사 고글이 장착된 방호 두건
KR20190119159A (ko) * 2017-03-31 2019-10-2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헤드기어
KR102162673B1 (ko) * 2017-03-31 2020-10-0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헤드기어
EP3600569A4 (en) * 2017-03-31 2021-0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EADGEAR
US11583706B2 (en) 2017-03-31 2023-02-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eadgear
KR102469613B1 (ko) * 2021-05-31 2022-11-22 이청남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KR200497974Y1 (ko) * 2022-08-10 2024-05-03 이청남 통풍 유로를 구비한 기능성 안전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5425Y1 (ko)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
KR100887496B1 (ko) 코 마스크
KR200415988Y1 (ko)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
KR200486660Y1 (ko) 휴대용 공기 청정 마스크
JP6163366B2 (ja) ヘルメット
KR20140048273A (ko) 건설 기계
KR20170069674A (ko)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JP5508692B2 (ja) フェンダープロテクタを取付けた車両
NO139430B (no) Anordning for dempning av lyd og styring av luftstroemmer i trykkluftutnyttende, personlige beskyttelsesartikler
JP2009024300A (ja) ヘルメット
US8245707B2 (en) Anti-fog breathing apparatus for the elimination of breath vapor condensation on the surfaces of protective eye lenses associated with recreational equipment
BRPI0805834B1 (pt) Sistema à prova de som destinado à evacuação dos condensados de um sistema de ar condicionado de um veículo automotivo
KR200494976Y1 (ko) 호흡이 편한 마스크
KR20200016596A (ko)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
JP7122150B2 (ja) プッシュプル型換気装置用プッシュユニットおよびプッシュプル型換気装置
KR200363617Y1 (ko)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
KR200442641Y1 (ko) 공기주머니가 내장된 헬멧 장치
JP7407080B2 (ja) 飛沫遮断装置
JP2007321392A (ja) 作業機械におけるカウンタウエイト
US10806953B2 (en) Breathing apparatus
RU2003127032A (ru) Средство защиты от негативных воздействий воздушного потока
KR200491609Y1 (ko) 귀 보온 부분을 가진 후드
CN208586355U (zh) 一种送粉式激光熔覆烟尘吸收装置
KR960006582Y1 (ko) 용접용 보안면 내의 공기정화장치
JP3780704B2 (ja) スチーム式吸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