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617Y1 -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 - Google Patents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617Y1
KR200363617Y1 KR20-2004-0020043U KR20040020043U KR200363617Y1 KR 200363617 Y1 KR200363617 Y1 KR 200363617Y1 KR 20040020043 U KR20040020043 U KR 20040020043U KR 200363617 Y1 KR200363617 Y1 KR 2003636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air
silencer
protective
air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배
Original Assignee
박춘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춘배 filed Critical 박춘배
Priority to KR20-2004-0020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6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617Y1/ko
Priority to JP2007521398A priority patent/JP4583448B2/ja
Priority to PCT/KR2005/002240 priority patent/WO2006006819A1/en
Priority to US11/652,731 priority patent/US7506646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에 관한 것으로, 에어라인(20)이 장착되어 방호모(30)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방호두건(10)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공기유입구(110)가 형성되어 상기 방호모(3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하부로는 상기 공간부(120)와 연통되어 다수개의 공기배출공(130)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라인(20)의 단부와 상기 공기유입구(110)가 결합되어 상기 방호모(30) 내측에 결합되는 소음기(10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방호두건의 내부에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되어 방호두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공간부 내부에 부딪쳐 감속되어 상기 공기배출공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 외부로 배출시킴에 의해, 공기에 의한 소음이 최소화되어 방호두건을 착용한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작업에 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hempen hood using noise suppresser for airline-hood}
본 고안은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호두건 내측에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되어,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방호두건 등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에어라인후드용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라인후드라 함은 외부로부터 후드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라인이 설치된 후드를 말하며, 에어라인후드 내부로의 공기의 유입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이다.
또한 이러한 에어라인후드로써는, 센딩작업, 쇼트닝작업, 도장작업 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착용하는 방호두건 등이 있으며, 이러한 방호두건 등을 착용하는 경우 작업자의 원할한 호흡 등을 위하여 방호두건 내부로 상기 에어라인을 통하여 신선한 공기를 계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특히 밀폐된 공간에서의 작업시에는 방호복 및 방호두건의 착용은 필수적이며, 작업자에게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방호두건에는 에어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신선한 공기는 컴프레샤 등을 이용하여 방호두건 내부로 연결된 에어라인을 통하여 방호두건 내부로 공기를 강제 주입시키는 방식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 방호두건은 통상 밀폐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바,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방호두건 내부에는 상당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소음에 의해 작업능률이 저하될 뿐 아니라 작업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호두건의 내부와 연결된 에어라인의 단부에 설치되어 에어라인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의 종단면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의 사용상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호두건 20 : 에어라인
30 : 방호모 100 : 소음기
110 : 공기유입구 120 : 공간부
130 : 공기배출공 140 : 방음스폰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에어라인이 장착되어 방호모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방호두건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방호모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하부로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어 다수개의 공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라인의 단부와 상기 공기유입구가 결합되어 상기 방호모 내측에 결합되는 소음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공은, 상기 소음기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소음기의 상부 곡면의 형상에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공기배출공은, 상기 소음기 외측으로 30도 내지 45도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은, 상기 공간부 내측면에 방음스폰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방호두건의 내부에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되어 방호두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공간부 내부에 부딪쳐 감속되어 상기 공기배출공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 외부로 배출시킴에 의해, 공기에 의한 소음이 최소화되어 방호두건을 착용한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작업에 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은, 일반적으로 에어라인(20)이 장착되어 방호모(30)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방호두건(10) 내측에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소음기(10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공기유입구(110)가 형성되어 상기 방호모(3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하부로는 상기 공간부(120)와 연통되어 다수개의 공기배출공(130)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라인(20)의 단부와 상기 공기유입구(110)가 결합되어 상기 방호모(30) 내측에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음기(100)의 상부의 형상은, 방호두건(10) 내부에 작업자의 머리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방호모(3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방호모(30)의 형상은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것이므로, 상기 소음기(100)의 상부의 형상은 위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즉 구형의 곡면으로 형성되게 하여, 방호모(30) 내부에 설치가 편리하도록 하였으며, 에어라인(20)에서 공급된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소음기(100) 내부로 유입되게 되면, 곡면형상의 소음기(100) 상부 내측면에 부딪칠때공기의 흐름을 원할하도록 하여 마찰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소음기(100)의 하부의 형상은, 곡면 또는 직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소음기(100)는 작업자의 머리부분 바로 위에 설치되게 되므로 착용 및 사용의 편리를 위해 위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게 한다. 이에 의해 상기 소음기(100) 내부에는 자연스럽게 공간부(120)가 생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소음기(100)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20)는 상기 소음기(100)의 상부 및 하부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상기 공간부(120)는, 상기 공기유입구(110)로 공급된 공기가 공간부(120) 내측벽에 부딪치면서 감속되며, 공기의 흐름을 원할히 하도록 하여 마찰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시키도록 상기 소음기(100)의 상부 및 하부의 형상에 대응되어 곡면으로 형성되게 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120) 내측면에는 방음스폰지(140)가 더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음스폰지(140)는 상기 소음기(100)의 상부 하측면, 상기 하부 상측면에 상기 공간부(120) 내측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부착되어 있으며, 스폰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음스폰지(140)는 상기 공간부(120)에 부딪치는 공기의 유속을 재차 감소시키게 되며, 공기의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음기(100)의 하부로는 상기 공간부(120)와 연통되어 다수개의 공기배출공(130)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공기배출공(130)은 상기 소음기(100)의 하부측에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음기(100)의 상부곡면의 형상에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배출공(130)은 상기 소음기(100) 하부측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라인(20)에서 공급된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공간부(120)로 유입되면, 상기 공간부(120)와 연통되게 형성된 상기 공기배출공(130)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의해 방호두건(10) 등을 착용하고 있는 작업자에게 공기가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공(130)은, 상기 소음기(100) 외측으로 30도 내지 45도 각도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공간부(120)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간부(120) 내측벽에 부딪쳐 유속이 감소된 후, 상기 공간부(120)의 곡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어진 공기배출공(130)으로 고르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저소음의 신선한 공기를 원할히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소음기(100) 상부에 형성된 공기유입구(110)를 방호두건(10)의 내부측에 돌출된 에어라인(20)의 단부와 결합시킨다. 상기 소음기(100)의 상부의 형상은 방호두건(10) 내부에 형성된 방호모(3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방호모(30) 내부에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그 다음에 외부의 에어라인(20)에 연결된 컴프레샤 등을 작동시키면 상기 에어라인(20)을 따라 공기가 유동되며, 공기유입구(110)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공기유입구(110)로 유입된 공기는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된 상기 공간부(120) 내부로 이동되어 곡면을 따라 부딪치면서 유속이 감소되게 된다. 즉 상기 공기유입구(110)로 유입된 고속의 공기는 먼저 상기 공간부(120)에 부딪쳐 유속을 감소시키게 된다.
감속된 공기는 상기 공간부(120) 내측벽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공간부(120)와 연통되게 형성된 상기 공기배출공(130)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 때 상기 공간부(120) 내측벽에 형성된 상기 방음스폰지(140)에 의해, 상기 공간부(120)에 부딪치는 공기의 유속을 재차 감소시키며, 부딪칠 때의 소리를 흡수하여 소음을 재차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방호두건의 내부에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되어 방호두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공간부 내부에 부딪쳐 감속되어 상기 공기배출공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 외부로 배출시킴에 의해, 공기에 의한 소음이 최소화되어 방호두건을 착용한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작업에 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에어라인(20)이 장착되어 방호모(30)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방호두건(10)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공기유입구(110)가 형성되어 상기 방호모(3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하부로는 상기 공간부(120)와 연통되어 다수개의 공기배출공(130)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라인(20)의 단부와 상기 공기유입구(110)가 결합되어 상기 방호모(30) 내측에 결합되는 소음기(10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공(130)은,
    상기 소음기(1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소음기(100)의 상부 곡면의 형상에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공(130)은,
    상기 소음기(100) 외측으로 30도 내지 45도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은,
    상기 공간부(120) 내측면에 방음스폰지(140)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
KR20-2004-0020043U 2004-07-14 2004-07-14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 KR2003636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043U KR200363617Y1 (ko) 2004-07-14 2004-07-14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
JP2007521398A JP4583448B2 (ja) 2004-07-14 2005-07-12 エアラインフード用消音器及びそのエアラインフード用消音器が装着された防護フード
PCT/KR2005/002240 WO2006006819A1 (en) 2004-07-14 2005-07-12 Silencer for airline-hood and hempen hood with the same
US11/652,731 US7506646B2 (en) 2004-07-14 2007-01-12 Silencer for airline-hood and protective hood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043U KR200363617Y1 (ko) 2004-07-14 2004-07-14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617Y1 true KR200363617Y1 (ko) 2004-10-02

Family

ID=49438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043U KR200363617Y1 (ko) 2004-07-14 2004-07-14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6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815B1 (ko) 2004-11-23 2006-08-11 한국산업안전공단 저소음형 송기마스크
KR100618928B1 (ko) 2006-05-18 2006-09-01 고려검사주식회사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후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815B1 (ko) 2004-11-23 2006-08-11 한국산업안전공단 저소음형 송기마스크
KR100618928B1 (ko) 2006-05-18 2006-09-01 고려검사주식회사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7266Y1 (ko)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
JP4583448B2 (ja) エアラインフード用消音器及びそのエアラインフード用消音器が装着された防護フード
WO2007035853A3 (en) Fan-based cooler for head-protection gear
WO2007035899A3 (en) Bubble diverter for use with diving equipment
KR200415425Y1 (ko) 작업자용 에어공급 마스크
KR200363617Y1 (ko)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
CN205225879U (zh) 一种静音雾炮
JPH0771389A (ja) 消音器、エアコンプレッサー組立品及び騒音低減エアコンプレッサー
CN209293884U (zh) 一种摩托车降噪装置
CN212055310U (zh) 一种矿用气压引风器中的引射部件
KR100626821B1 (ko)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
CN110043306A (zh) 一种用于隧道施工的隧道风机
KR102206508B1 (ko)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
CN208778358U (zh) 一种新型风机消声器
KR20210068871A (ko) 웨어러블 체온조절용 장치
KR200363510Y1 (ko)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
SE506337C2 (sv) Stendammbortförande anordning för handhållna motordrivna bergborrmaskiner
KR200358434Y1 (ko) 소음기
KR20090048840A (ko) 터널공사용 차량탑재형 분진제거장치
JP4829933B2 (ja) 空気圧打撃機の防音装置
CN210714531U (zh) 一种用于锚杆钻机的降扬尘装置
JP3835078B2 (ja) 釘打ち機の排気装置
KR20100001553A (ko) 에어라인후드용 공기분사 소음기
CN213437348U (zh) 一种具有防尘降噪功能的手电钻
JP2007321392A (ja) 作業機械におけるカウンタウエ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