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508B1 -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 - Google Patents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508B1
KR102206508B1 KR1020180091882A KR20180091882A KR102206508B1 KR 102206508 B1 KR102206508 B1 KR 102206508B1 KR 1020180091882 A KR1020180091882 A KR 1020180091882A KR 20180091882 A KR20180091882 A KR 20180091882A KR 102206508 B1 KR102206508 B1 KR 102206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sk
air supply
supply pip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596A (ko
Inventor
박춘배
Original Assignee
(주)경도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도상사 filed Critical (주)경도상사
Priority to KR1020180091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5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16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5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o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2Details of protective gar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1281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8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with supply or suction of gas, air or smoke inside or outside the welding hoo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와 보호복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여 송기마스크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게 하며 작업시 보호복 내부의 땀이 건조되게 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켜주는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과 머리를 감싸는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의 하부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몸을 감싸는 보호복이 구비되는 송기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 공간에서 사용자의 머리를 향해 공기가 분사되도록 복수 개의 관통구멍이 갖추어진 분사판이 구비되는 공기분사구; 상기 공기분사구와 외부에 설치되는 에어컴프레셔를 연결하며 상기 마스크의 후방으로 관통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기공급관; 및 상기 제1 공기공급관에서 T형 구조의 연결관을 통해 분리되어 보호복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 공기공급관;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air respirator having ai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와 보호복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여 송기마스크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게 하며 작업시 보호복 내부의 땀이 건조되게 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켜주는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산의 갱내 혹은 밀폐되거나 협소한 공간 내에서의 숏트블라스팅 및 용접, 그라인딩, 페인팅 등의 유해가스 및 분진이 발생하는 산업현장 등에서 인체건강을 해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송기마스크를 착용한다.
종래의 송기마스크는 안전모와 마스크 및 보호복이 일체로 이루어진 형태로 밀폐된 구조를 가지며 공기가 순환되지 않아 호흡이 곤란하여 원활한 작업이 불가능하고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외부의 깨끗한 공기가 사용자의 마스크 내로 유입되도록 한 송기마스크가 제공되었으나 몸을 감싸는 보호복 내에는 공기가 공급되지 않아 작업시 땀에 젖어 불쾌감을 조성하며 마스크 내에만 공기가 공급되어 공기가 순환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047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마스크와 보호복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여 송기마스크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게 하며 작업시 보호복 내부의 땀이 건조되게 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켜주는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과 머리를 감싸는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의 하부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몸을 감싸는 보호복이 구비되는 송기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 공간에서 사용자의 머리를 향해 공기가 분사되도록 복수 개의 관통구멍이 갖추어진 분사판이 구비되는 공기분사구; 상기 공기분사구와 외부에 설치되는 에어컴프레셔를 연결하며 상기 마스크의 후방으로 관통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기공급관; 및 상기 제1 공기공급관에서 T형 구조의 연결관을 통해 분리되어 상기 보호복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 공기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에는, 머리를 보호하는 안전모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전모의 내측 상부에 분사판이 설치되어 상기 분사판의 상부에 수용된 상기 공간을 통해 공기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공기공급관에는, 상기 에어컴프레셔와 상기 연결관 사이에 공기제어관이 설치되어 상기 제1 공기공급관과 상기 제2 공기공급관으로 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공기공급관은, 상기 마스크와 상기 보호복에 고정되도록 부착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는, 송기마스크 사용자의 상부 머리와 몸으로 공기가 분사되어 작업중 발생하는 땀을 건조시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기마스크의 마스크와 보호복 내로 공기가 분사되어 공기 순환이 원활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의 구성도이다.
산업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송기마스크(100)는 유해가스 및 분진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자의 얼굴과 머리를 감싸는 마스크(10)와 상기 마스크의 하부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몸을 감싸는 보호복(20)으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공급장치는 공기분사구(200), 제1 공기공급관(300), 제2 공기공급관(4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송기마스크(1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외부 에어컴프레셔(1)에 연결하며, 이하 에어공급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공기분사구(200)는 상기 마스크(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상부 머리를 향해 공기가 분사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분사구(200)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상부 공간(210)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210)에서 하방향으로 공기가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관통구멍(231)이 형성된 분사판(230)이 상기 공간(210)의 하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마스크(10)에는 안전모(3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안전모(30)의 내측 상부에 상기 공기분사구(2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분사구(200)는 외부의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방향의 사용자의 머리를 향해 분사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공기공급관(300)은 상기 공기분사구(200)와 외부에 설치되는 상기 에어컴프레셔(1)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공기분사구(200)는 상기 마스크(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에 설치된 상기 에어컴프레셔(1)와 연결되기 위해 상기 제1 공기공급관(300)이 상기 마스크(10)의 후방으로 관통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관통된 상기 제1 공기공급관(300) 주변으로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천이나 고무와 같은 실링부재로 관통된 지점을 감싸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제1 공기공급관(300)이 사용자의 머리에서 등으로 이어지며 상기 에어컴프레셔(1)에 연결되며 길게 이어진 상기 제1 공기공급관(300)이 상기 마스크(10)와 상기 보호복(2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부착구(3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부착구(330)는 실링부재와 같이 천이나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봉재될 수 있으며 금속 고정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기공급관(400)은 상기 제1 공기공급관(300)에서 T형 구조의 연결관(410)으로 분리되어 상기 보호복(2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2 공기공급관(400)은 상기 보호복(2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공기공급관(30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호복(20)에 추가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지 않아 공기 누설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제1 공기공급관(300)에는 상기 에어컴프레셔(1)와 상기 제2 공기공급관(400)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관(410) 사이에 상기 공기제어관(31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공기공급관(300)과 상기 제2 공기공급관(400)에 공급되는 공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제어관(310)으로 사용자의 머리와 몸을 향해 분사되는 공기의 양과 온/오프를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외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1 공기공급관(3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의 작동을 나타내는 순서로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와 상기 에어컴프레셔(1)를 연결하여 착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공기공급관(300)에 설치된 상기 공기제어관(310)을 회전시켜 공기의 유입되는 양을 제어한다.
이어서 상기 제1 공기공급관(300)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 공기공급관(400)과 상기 공기분사구(200)의 관통구멍(231)을 통해 분배되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분사구(200)의 상기 분사판(230)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로 공기가 분사되어 상기 마스크(10) 내부가 순환된다.
또한, 상기 제2 공기공급관(400)을 통해 사용자의 몸으로 공기가 분사되어 상기 보호복(20)의 내부가 순환된다.
이러한 상기 제1 공기공급관(300)과 상기 제2 공기공급관(400)에 의해 송기마스크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게 하며 작업시 보호복 내부의 땀이 건조되게 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켜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에어컴프레셔
10 : 마스크
20 : 보호복
30 : 안전모
100 : 송기마스크
200 : 공기분사구
210 : 공간
230 : 분사판
231 : 관통구멍
300 : 제1 공기공급관
310 : 공기제어관
330 : 부착구
400 : 제2 공기공급관
410 : 연결관

Claims (4)

  1. 사용자의 얼굴과 머리를 감싸는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의 하부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몸을 감싸는 보호복이 구비되는 송기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 공간에서 사용자의 머리를 향해 공기가 분사되도록 복수 개의 관통구멍이 갖추어진 분사판이 구비되는 공기분사구;
    상기 공기분사구와 외부에 설치되는 에어컴프레셔를 연결하며 상기 마스크의 후방으로 관통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기공급관; 및
    상기 제1 공기공급관에서 T형 구조의 연결관을 통해 분리되어 상기 보호복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 공기공급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공기공급관에는,
    상기 에어컴프레셔와 상기 연결관 사이에 공기제어관이 설치되어 상기 제1 공기공급관과 상기 제2 공기공급관으로 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에는,
    머리를 보호하는 안전모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전모의 내측 상부에 상기 분사판이 설치되어 상기 분사판의 상부에 수용된 상기 공간을 통해 공기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공급관은,
    상기 마스크와 상기 보호복에 고정되도록 부착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
KR1020180091882A 2018-08-07 2018-08-07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 KR102206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882A KR102206508B1 (ko) 2018-08-07 2018-08-07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882A KR102206508B1 (ko) 2018-08-07 2018-08-07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596A KR20200016596A (ko) 2020-02-17
KR102206508B1 true KR102206508B1 (ko) 2021-01-22

Family

ID=6967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882A KR102206508B1 (ko) 2018-08-07 2018-08-07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496A (ko) 2022-10-04 2024-04-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뇌파 인식형 위기 경고 방독면 및 송기 마스크
CN116371137B (zh) * 2023-04-14 2023-10-27 合肥丰蓝电器有限公司 一种潜水舱气体循环处理调节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821B1 (ko) * 2004-07-14 2006-09-25 박춘배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634A (ko) * 1999-04-07 2000-11-15 권상문 용접 작업용 헬멧
KR20180000473U (ko) 2016-08-09 2018-02-21 (주)경도상사 분리형 보호복이 구비된 송기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821B1 (ko) * 2004-07-14 2006-09-25 박춘배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596A (ko) 202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6508B1 (ko)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
US10980305B2 (en) Length adjustable shroud usable with helmet and earmuffs
KR101497280B1 (ko) 필터카트리지를 구비한 방진마스크
BR112017026465B1 (pt) Máscara facial
US20060053528A1 (en) Safety helmet having a ventilation assembly
KR20180034051A (ko) 방호복
KR101739032B1 (ko)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
KR100682734B1 (ko) 친환경 다기능 영농복
US20180042327A1 (en) Hard hat having integral misting system
KR200470783Y1 (ko) 개인 보호 장비 및 그를 구비한 시스템
JP7377519B2 (ja) 送風機付き衣服
KR20220005205A (ko)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
KR20210068871A (ko) 웨어러블 체온조절용 장치
KR101840600B1 (ko) 작업복
WO2015162695A1 (ja) 帽子内換気装置
RU2682769C2 (ru) Щиток с подачей воздуха
CN211910666U (zh) 一种隔离防护服
KR102288049B1 (ko) 공기 순환 기능을 가진 보호복
JP6978039B2 (ja) 保全工法用防護スーツシステム及び該保全工法用防護スーツ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防護スーツ
JP3185326U (ja) 防塵面
KR101841612B1 (ko) 용접 보안면 습기제거 장치
KR200454085Y1 (ko) 약액전용 보호구
KR100663232B1 (ko) 기밀형 스커트를 갖는 방독면 및 그 제조방법
KR200473670Y1 (ko) 용접가스 흡입방지를 위한 용접헬멧
CN213639719U (zh) 一种防固态颗粒物防护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