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032B1 -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 - Google Patents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032B1
KR101739032B1 KR1020150181977A KR20150181977A KR101739032B1 KR 101739032 B1 KR101739032 B1 KR 101739032B1 KR 1020150181977 A KR1020150181977 A KR 1020150181977A KR 20150181977 A KR20150181977 A KR 20150181977A KR 101739032 B1 KR101739032 B1 KR 101739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ir
disposed
gas
gas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1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8Ventilating arrangements with means for attaching respirators or breathing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42B3/283Air inlets or outlets, with or without closure sh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9/00Devices, e.g. installations, for rendering harmless or for keeping off harmful chemic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안전모 외피와 안전모 내피를 포함하는 안전모; 상기 안전모 외피와 상기 안전모 외피 사이에 일영역이 배치되는 가스 차단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차단 커버의 단부는 접철되어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안전모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스 차단 커버의 접철 해제시, 상기 가스 차단 커버는 실링 수단에 의하여 공기를 일시 저장하여 유해 가스 발생 공간을 벗어날 때까지 임시적으로 호흡을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Safety Cap for supporting breath in case of emergency}
본 발명은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두부를 보호하면서도 유해 가스 발생시 임시적으로 호흡을 지원할 수 있는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조선소, 광산 등의 산업현장을 출입하는 자는 반드시 안전모를 착용하도록 법제화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모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안전모(safety cap)는 상부에서 물건 등이 떨어졌을 때 충격 에너지가 직접 사용자의 머리에 전달되지 않도록 해먹(hammock)을 내장(內裝)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업이나 운동, 운전 등에 있어 보호하도록 구성되며 산업 건설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40690호(2006.10.25)인 '고정 띠를 포함하는 안전모'가 있다.
상기 고정 띠를 포함하는 안전모(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체(11), 머리고정대(12) 및 머리고정 조절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밀폐공간/지하실 등에서 작업중 하론/CO2 소화기가 비정상적으로 작동되어 유해 가스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안전모는 유해 가스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지켜줄 수는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해 가스 발생시 임시적으로 호흡을 지원할 수 있는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안전모 외피와 안전모 내피를 포함하는 안전모; 상기 안전모 외피와 상기 안전모 외피 사이에 일영역이 배치되는 가스 차단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차단 커버의 단부는 접철되어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안전모에 고정되는 비상 호흡지원안전모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가스 차단 커버의 접철 해제시, 상기 가스 차단 커버는 실링 수단에 의하여 공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차단 커버는 상기 가스 차단 커버의 단부를 조일 수 있는 조임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차단 커버는 상기 조임 수단의 상부에 배치되는 에어 튜브와 상기 에어 튜브의 일측에 배치되는 에어 공급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튜브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추가 실링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튜브는 상기 에어 튜브의 상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에어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 차단 커버는 투명한 비닐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는 유해 가스 발생시 유해 가스 발생 공간을 벗어날 때까지 임시적으로 호흡을 지원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모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의 사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의 가스 차단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1)는 안전모(100), 가스 차단 커버(200) 및 고정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모(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 외피(110)와 안전모 내피(12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모(100)는 낙하물 또는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두부를 보호할 수 있다.
가스 차단 커버(200)의 단부는, 일반 작업시(유해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 고정수단(300)에 의해 접철되어 고정될 수 있다.
가스 차단 커버(200)의 미사용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차단 커버(200)의 단부는 접철되어 안전모(100)의 일측에 보관되는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스 차단 커버(200)의 단부를 말아올린 후 고정수단(300)을 이용하여 안전모(100)의 일측에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고정수단(300)으로는 탄성이 있는 때 형상의 고정 띠가 이용될 수 있으며, 고정 띠의 단부에는 벨크로 등의 접착 수단을 이용하여 가스 차단 커버(200)의 고정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가스 차단 커버(200)의 일 영역은 안전모 외피(110)와 안전모 내피(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스 차단 커버(200)는 안전모 외피(110)와 안전모 내피(120)에 의해 안전모(100)에 고정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가스 차단 커버(200)의 사용시(가스 차단 커버(200) 단부의 접철 해제시), 작업자는 가스 차단 커버(200)를 내려 허리 부위 등에 가스 차단 커버(200)의 단부를 고정하여 임시 호흡을 실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고정 수단(300)을 이용하여 가스 차단 커버(200)를 안전모(100)로부터 고정 해제함으로써 가스 차단 커버(200)가 접철 해제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차단 커버(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허리까지 펼쳐질 수 있다.
가스 차단 커버(200)는 가스 차단 커버 본체(210)와 가스 차단 커버 본체(210)의 단부에 배치되는 실링 수단(2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차단 커버 본체(210)와 실링 수단(220)은 오염된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할 수 있다.
가스 차단 커버 본체(210)는 투명한 비닐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면서도 오염된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 수단(220)은 가스 차단 커버(200)의 단부에 배치되어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가스 차단 커버 본체(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되게 한다.
그에 따라, 작업자는 유해 가스 발생 공간을 벗어날 때까지 가스 차단 커버 본체(210)의 내부 공기로 호흡할 수 있다.
실링 수단(220)으로 실링 테이프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 테이프의 일측면을 뜯어 상기 실링 테이프의 일측을 작업자의 옷 등에 붙임으로써 가스 차단 커버 본체(210)의 내부로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스 차단 커버(200)는 가스 차단 커버 본체(210)의 단부를 조일 수 있도록 조임 수단(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차단 커버 본체(210)의 내부측에서 당겨 조일 수 있게 조임 끈이 조임 수단(230)으로 이용될 수 있다.
조임 수단(230)는 외력에 의하여 실링 수단 (220)이 작업자의 옷 등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혹여 실링 수단 (220)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외부 공기를 이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가스 차단 커버(200)는 조임 수단(2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에어 튜브(240)와 에어 튜브(240)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 수단(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 튜브(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추가 실링 수단(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실링 수단(260)으로는 실링 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에어 튜브(240)는 조임 수단(2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에어 공급 수단(250)에 의해 공기가 주입됨으로써, 가스 차단 커버(200)의 밀폐력을 보완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 실링 수단(260)을 에어 튜브(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하여 에어 튜브(240)에 의한 밀폐력을 더욱 향상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 튜브(240)는 가스 차단 커버 본체(210)의 내부를 향하여 배치되는 에어구(2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튜브(240)의 내부에 저장된 공기는 일차적으로 밀폐력을 확보하게 하지만 가스 차단 커버 본체(210)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부족하게 되는 경우 에어구(241)는 에어 튜브(240)의 공기를 가스 차단 커버 본체(21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작업자는 유사시 임시 호흡을 좀 더 연장하여 오염구간을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에어 공급 수단(250)을 통해 에어 튜브(240)에 공기를 주입하고, 실링 수단(220)을 통해 가스 차단 커버 본체(210)를 밀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임 수단(230)을 이용하여 가스 차단 커버 본체(210)의 단부를 조인 후 에어 튜브(240)에 배치되는 추가 실링 수단(260)을 이용하여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1)는, 유해 가스 발생시, 가스 차단 커버(200)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와의 차단 및 호흡 가능한 공기를 일시 저장하여 유해 가스 발생 공간을 벗어날 때까지 임시적으로 호흡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
100 : 안전모 110 : 안전모 외피
120 : 안전모 내피 200 : 가스 차단 커버
210 : 가스 차단 커버 본체 220 : 실링 수단
230 : 조임 수단 240 : 에어 튜브
241 : 에어구 250 : 에어 공급 수단
260 : 추가 실링 수단 300 : 고정 수단

Claims (7)

  1. 안전모 외피와 안전모 내피를 포함하는 안전모;
    상기 안전모 외피와 상기 안전모 내피 사이에 일 영역이 배치되되, 상기 안전모 내피를 덮도록 배치되는 가스 차단 커버; 및
    접철된 상기 가스 차단 커버의 단부를 상기 안전모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 차단 커버의 접철 해제시, 상기 가스 차단 커버의 단부에 배치되는 실링 테이프의 일측면을 옷에 붙임으로써 공기를 저장하고,
    접철 해제된 상기 가스 차단 커버의 단부를 조일 수 있는 조임 수단으로 제공되는 조임 끈은 상기 가스 차단 커버 본체의 내부측에서 당겨 조여지는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차단 커버는 상기 조임 수단의 상부에 배치되는 에어 튜브와 상기 에어 튜브의 일측에 배치되는 에어 공급 수단을 더 포함하는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튜브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추가 실링수단으로 제공되는 실링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튜브는 상기 에어 튜브의 상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에어구를 더 포함하는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차단 커버는 투명한 비닐재질로 형성되는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
KR1020150181977A 2015-12-18 2015-12-18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 KR101739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977A KR101739032B1 (ko) 2015-12-18 2015-12-18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977A KR101739032B1 (ko) 2015-12-18 2015-12-18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032B1 true KR101739032B1 (ko) 2017-05-23

Family

ID=5905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977A KR101739032B1 (ko) 2015-12-18 2015-12-18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0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3202A (zh) * 2018-06-18 2019-12-27 贝尔运动股份有限公司 骑行头盔配合系统的延伸连接器
KR20200021583A (ko) 2018-08-21 2020-03-02 박수빈 초소형 비상탈출마스크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
KR102465234B1 (ko) * 2021-05-07 2022-11-09 이다호 산소 공급이 가능한 안전모
KR102465235B1 (ko) * 2021-05-07 2022-11-09 이다호 산소 공급이 가능한 안전모
KR20230163708A (ko) * 2022-05-24 2023-12-01 이다호 산소 공급이 가능한 안전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69B1 (ko) * 2008-02-15 2010-01-06 이종원 일회용 구명건
CN201563685U (zh) * 2009-12-14 2010-09-01 武汉思创职安科技有限公司 煤矿井下瓦斯爆炸个体逃生安全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69B1 (ko) * 2008-02-15 2010-01-06 이종원 일회용 구명건
CN201563685U (zh) * 2009-12-14 2010-09-01 武汉思创职安科技有限公司 煤矿井下瓦斯爆炸个体逃生安全帽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3202A (zh) * 2018-06-18 2019-12-27 贝尔运动股份有限公司 骑行头盔配合系统的延伸连接器
CN110613202B (zh) * 2018-06-18 2022-08-16 贝尔运动股份有限公司 骑行头盔配合系统的延伸连接器
KR20200021583A (ko) 2018-08-21 2020-03-02 박수빈 초소형 비상탈출마스크가 내장된 캐릭터 인형
KR102465234B1 (ko) * 2021-05-07 2022-11-09 이다호 산소 공급이 가능한 안전모
KR102465235B1 (ko) * 2021-05-07 2022-11-09 이다호 산소 공급이 가능한 안전모
KR20230163708A (ko) * 2022-05-24 2023-12-01 이다호 산소 공급이 가능한 안전모
KR102656818B1 (ko) * 2022-05-24 2024-04-19 이다호 산소 공급이 가능한 안전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032B1 (ko) 비상 호흡지원 안전모
US5690095A (en) Emergency escape breathing apparatus
US10441827B2 (en) Hybrid self-rescue equipment
US8276582B2 (en) Respirator assembly
CA1196249A (en) Protective headgear
KR20080042775A (ko) 일회용 구명건
CN102258229A (zh) 一种自救逃生用安全帽
KR100767009B1 (ko) 산소발생 마스크
KR20170110791A (ko) 산소 마스크
KR20170048809A (ko) 산소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방연 및 단열, 두건형태의 마스크
US20160193485A1 (e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KR20180027483A (ko) 산소 마스크
US3068865A (en) Air supply and fire extinguishing helmet
KR102119841B1 (ko) 차세대 미래형 헬멧
KR20100001153U (ko)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
KR200346391Y1 (ko) 방독면
CN207237103U (zh) 一种防烟面具
KR200483699Y1 (ko) 휴대용 위치 추적 공기 호흡기
KR102250848B1 (ko) 개인 비상용 산소호흡기
KR102506546B1 (ko) 공기호흡기 일체형 탈부착 소방용 비상탈출 안전벨트
JP2007296032A (ja) 防煙避難用具
JP7439222B1 (ja) 呼吸器
CN207076042U (zh) 消防逃生箱
CN220654817U (zh) 一种矿用多功能安全防护装置
KR102040762B1 (ko) 방독면 수용의 구급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