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051A - 방호복 - Google Patents

방호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051A
KR20180034051A KR1020160124081A KR20160124081A KR20180034051A KR 20180034051 A KR20180034051 A KR 20180034051A KR 1020160124081 A KR1020160124081 A KR 1020160124081A KR 20160124081 A KR20160124081 A KR 20160124081A KR 20180034051 A KR20180034051 A KR 20180034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ntilation
protective
safety
protective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광
Original Assignee
강성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광 filed Critical 강성광
Priority to KR1020160124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4051A/ko
Publication of KR20180034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84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protection for the eyes, e.g. using shield or vis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호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발열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방독 마스크가 필요 없이 호흡이 가능한 일체형 방호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호복{Protection suit}
본 발명은 방호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발열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방독 마스크가 필요 없이 호흡이 가능한 일체형 방호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산업이 고도화되고 삶의 질이 윤택해진 현대사회에서 그것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보이지 않는 곳에서 많은 사람들은 분진과 가스, 도료와 오염물질은 물론 세균 및 병원균 그리고 독가스 등의 수많은 위험물질과 공해요소를 제거 및 방지하기 위한 일상을 유지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위험요인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많은 기존의 기술과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그것들은 방호복, 방진 및 방독 기능의 마스크, 보안경 등으로 각기 세분화되어 이를 모두 착용하는데 있어 불편함은 물론 통풍이 되지 않는 방호복은 체열발산이 되지 않아 특히, 무더운 여름날에는 이용자의 고통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었고, 보안경은 체열과 땀에 의한 김 서림 현상으로 본래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었다.
또한 각각의 이들 보호 장구를 번잡하게 착용 및 탈의해야 하는 과정이 현실적으로 이용자의 거부감과 기피현상을 낳게 하는 것 역시 사실임에 틀림 없다.
기존의 다양한 방호복 및 방호용품들은 모두 각각의 기능별로 세분화되어 기능별로 제품이 구분되어 있는데, 예컨대 방호복, 보안경, 방독마스크가 각각 분리되어 있어 작업자는 이를 순서대로 착용하고 이들을 끈이나 벨트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헐겁지 않게 몸에 고정시켜 작업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들 방호 장구들은 그 역할을 충실히 하는 것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방독마스크는 사용자의 호흡을 곤란하게 만들고, 방호복은 완전 밀폐되고 꽉 조여진 상태에서 체온을 상승시키고 땀의 배출이 불가능하여 상당한 고역을 겪게 되는데, 이때 체열과 땀에 의해 보안경에는 김 서림 현상이 발생하여 정상적이고 원활한 활동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많은 사용자들은 이런 고통과 애로점을 회피하여 차라리 보호 장구를 아예 갖추지 않거나 잠깐씩 일부를 착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필히 오염 및 위험물질을 처리해야 만하거나, 세균 및 병원균으로 오염된 환경에서 치료와 예방활동을 하거나, 화학물질 및 독성물질을 제독해야 하는 직업군과 같이 대단히 중요한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임에도 그 활동을 뒷받침할 수 있는 충분한 기능과 편리성 및 쾌적함을 제공해주지 못한 것이다.
인체에 유해한 화학약품이나 유독 가스가 발생되거나 생물학적인 제제 등이 존재하는 위험 지역에서 근무하는 작업자는, 이들의 물질이 피부에 닿거나 노출되었을 경우, 치명적인 피해를 받기 때문에 방호복의 착용이 필수적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물질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방호복의 원단은 주로 외부 공기가 전혀 통하지 않고 내부에서 발생된 땀이나 열 발산이 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방호복을 입고 장시간 작업 시, 오히려 작업자의 집중력과 컨디션을 저하시켜 작업능률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어 왔다.
상기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풍 및 방수성 원단으로 방호복을 제작하거나 또는 땀이 많이 발생하는 위치에 덧붙이는 형식의 방호복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 또한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쉽게 빠지지 않은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방독마스크가 필요 없이 호흡과 인체 발열을 냉각시킬 수 있는 공기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장시간 동안 시원하고 호흡에 전혀 곤란을 느끼지 않고 자유스러운 환경에서 원활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충분한 안정성과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은 몸통과 다리 및 팔을 감싸고 있으며 후드가 일체로 형성된 방호복 내부로 호흡용 및 체열 냉각용 공기를 공급받도록 한 방호복과, 안면보호구 및 보안경이 단일의 지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방호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호복 내부에 별도의 하네스(Harness) 형태의 공기 통풍로를 설치함으로서 공기주입에 따라 부풀어 올라 인체의 발열과 땀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공기 통풍로가 탄성력을 갖도록 하여 착용자의 골격 크기에 대응이 가능하고, 특히 인체의 머리를 감싸는 후드가 탄성적으로 부풀어 올라 착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 방호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 통풍로가 팽팽히 부풀어 오른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방호복과 인체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체열과 땀에 의한 김을 외부로 배출되어나갈 수 있도록 한 방호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은 충분한 안정성과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있으며, 별도의 방독마스크가 필요 없이 호흡과 인체 발열을 냉각시킬 수 있는 공기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장시간 동안 시원하고 호흡에 전혀 곤란을 느끼지 않고 자유스러운 환경에서 원활한 활동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방호복과 안면보호구 및 보안경이 일체화되고 단일 지퍼(Zipper)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신체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인체에 유해한 화학약품이나 유독 가스가 발생 되는 위험지역에서의 작업이 가능한 방호복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의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의 통풍호스가 장착되는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호스 연결부 및 통풍 하네스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호스 연결부 및 통풍 하네스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팬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몸통과 후드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후드부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패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가 배출되는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의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의 통풍호스가 장착되는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호스 연결부 및 통풍 하네스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호스 연결부 및 통풍 하네스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팬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몸통과 후드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은 몸통과 다리 및 팔을 감싸고 있으며 후드가 일체로 형성된 방호복 내부로 호흡용 및 체열 냉각용 공기를 공급받도록 한 방호복(2)과, 안면보호구(4) 및 보안경(6)이 단일의 지퍼(8)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방호복 내부에 호흡용 및 체열 냉각용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은 별도의 하네스(37)(Harness) 형태의 공기 통풍로(20)를 방호복의 몸통과 다리 및 팔을 봉재할 때 함께 봉재하여 설치하며, 공기 통풍로에는 일정한 간격에 따라 특정크기의 통풍구(26)를 설치하여 인체의 발열과 땀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동시에 통풍로는 팽팽히 부풀어 오른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방호복과 인체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체열과 땀에 의한 김을 외부로 배출되어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방호복은 오염 및 위험물질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어야 하며 세균 및 병원균으로부터 보호가능한 의류용 천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의류 재료는 액체 및 또는 미립자에 의한 침투에 저항하는 부직포, 예를 들어 타이벡 폴리에틸렌과 같은 부직포등 유용한 보호용 의류 천을 사용한다.
상기한 방호복 내부의 체열 냉각을 위해 공급된 공기는 방호복 후면에 일정하게 설치된 배출구(22)로 빠져나가고, 머리 부분의 체열 냉각 공기는 안면보호구(4)의 상단에 설치된 배출구(24)로 빠져나가 에어 커튼을 형성하도록 한 구성인 것이다.
머리 부분에 설치되는 공기 통풍로는 적어도 3개소 이상의 공기 통풍로를 구비하여 주입되는 에어에 의하여 둥그런 골격을 형성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는 폐단이 없이 착용가능하도록 한다.
방호복의 내부 공기 통풍로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방호복 후면의 허리 부분에 에어 호스 연결부(30)를 장착하여 외부의 에어 호스(32)를 손쉽게 탈착할 수 있게 구성되고 방호복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밸브(34)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방호복에 부착된 에어 호스 연결부(30)는 내 공간이 밀폐되는 박스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는 에어 휠터(31)(Air-Filter)가 설치되어 있어 외부의 공기 압축기(Air Compressor)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 중의 불순물을 걸러 각 공기 통풍로로 분기되도록 통풍 하네스(37)에 연결 구성하며, 밸브(34) 작동에 의하여 마스크와 메인으로 각 분기하여 공급되도록 한다.
에어 호스 연결부는 방호복 내부에 설치된 착용 벨트(33)에 부착되어 외부에 설치된 공기 압축기로 부터 접속된 에어 호스를 연결하여 다양한 작업 활동을 하더라도 전혀 무리 없이 호스를 끌고 다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벨트는 작업자의 허리에 맞게 고정할 수 있도록 밸크로 테이프(Velcro Tape)로 구성된 것이다.
후드의 전면에 설치되는 안면보호구(4)는 외견상 보호구와 보안경(6)으로 이루어져 있고 별도의 방독 마스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신선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보안경은 가볍고 강한 투명재질의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로 안면보호구의 프레임(37)(Frame) 역할을 하는 타원형 구조물의 내부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보안경 내부 김서림 방지용 공기분사구(41)로 배출되어 보안경 내부의 김 서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호흡에 필요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보안경의 외측 면은 작업 시 발생하는 각종 분진, 도료, 물방울 및 수증기 등의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이 점착하여 시야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안경과 직접 맞닿는 부분에는 안면보호구의 프레임(37)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보안경 표면보호용 분사공기통로(43)로 1차 공기층을 만들면서 빠져나가고, 2차적으로 머리 부분의 인체 발열을 냉각했던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오염물들이 보안경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안면보호구는 하단이 방호복의 몸통에 연결되어 있고, 외곽선을 따라 지퍼(Zipper)로 방호복과 연결 및 분리가 되어 착용 및 탈의를 할 때는 물론 필요에 따라 안면부만 열어서 사용할 수 도 있는 것으로, 이때 안면보호구에 연결된 통풍로는 방호복의 몸체와 연결된 부분에 동일하게 부착되어 방호복의 각 기능들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화하여, 기존 기술과 같이 분리되었을 경우 발생하는 많은 문제점들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안면보호구는 보안경의 표면이 이물질 및 오염물질에 의하여 시야에 방해를 받지 않는 활동을 할 경우에는 보안경 표면으로 에어 커튼(Air Curtain)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안면보호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여타의 기능과 구조는 동일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호복은 이용하는 장소가 에어 컴퓨레서(Air Compressor)와 같이 외부에서 충분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는 도5에 도시한 배터리를 이용한 에어 팬(45)(Air-Fan)을 에아호스 연결부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하여 방호복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통풍 하네스(37)와 연결되는 구조는 동일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착용 및 사용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방호복(2)의 전면 후드를 전체적으로 폐쇄하면서 결합되는 지퍼(8)를 이용하여 방호복을 최대한 개방한 후 다리 및 팔을 끼우고 후드를 머리에 쓰고 지퍼를 잠그면 방호복이 전체적으로 폐쇄되는 것이다.
이때 에어 호스 연결부(30)에 에어 호스(32)를 연결하고 에어를 공급하면 공급된 에어는 통풍 하네스(37)를 거쳐 각각의 공기 통풍로(20)로 공급된다.
이때 공기 통풍로는 방호복의 몸통과 다리 및 팔을 봉재할 때 봉재부와 함께 봉재되므로 전체적으로 봉재가 가능하며 따라서 사용자의 인체에 공기를 충분하게 공급 가능하다.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공기 통풍로는 부풀어 오르게 되고 공기 통풍로에 의하여 방호복에 유연한 골격이 형성되므로 인체에 밀착되는 현상이 없이 착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호복은 후드부에 복수개의 공기 통풍로가 형성되어 있어 후드브가 탄성력을 보유하게 되므로 머리 부분이 동그란 모양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관계없이 착용 가능한 것이다.
사용자가 방호복을 착용하고 예를 들어 자동차를 도색하는 장소에서 작업할 경우 우선 에어 호스를 연결하고 밸브를 열어 충분한 공기를 공급받고 도색 작업 즉, 페인트를 분무하면 분무되는 페인트가 사방으로 날리게 되나 본 발명의 방호복은 공기가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면서 안면보호구와 보안경 전면에 에어 커튼을 형성하여 페인트가 보안경에 달라붙는 일이 없어 작업자의 시야확보가 유지되고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방호복 내부 역시 쾌적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안면보호구는 보안경의 표면에 이물질 및 오염물질에 의하여 시야를 방해받지 않는 공간에서의 사용시에는 밸브 작동에 의하여 공기를 차단하고 김서림 방지만 작동하면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 호스가 없는 장소에서는 배터리로 작동되는 에어팬을 이용하여 공기를 공급받아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방호복 4: 안면보호구
6: 보안경 8: 지퍼

Claims (6)

  1. 몸통과 다리 및 팔을 감싸고 있으며 후드가 일체로 형성된 방호복 내부로 호흡용 및 체열 냉각용 공기를 공급받도록 한 방호복(2)과, 안면보호구(4) 및 보안경(6)이 단일의 지퍼(8)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방호복 내부에 호흡용 및 체열 냉각용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은 별도의 하네스(37)(Harness) 형태의 공기 통풍로(20)를 방호복의 몸통과 다리 및 팔을 봉재할 때 함께 봉재하여 설치하며, 통풍로에는 일정한 간격에 따라 특정크기의 통풍구(26)를 설치하여 인체의 발열과 땀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공기 통풍로가 팽팽히 부풀어 오른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방호복과 인체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체열과 땀에 의한 김을 외부로 배출되어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방호복의 내부 공기 통풍로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방호복 후면의 허리 부분에 에어 호스 연결부(30)를 장착하여 외부의 에어 호스(32)를 손쉽게 탈착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한 에어 호스 연결부(30)는 내 공간이 밀폐되는 박스형으로 구성되어 방호복 내부에 설치된 착용 벨트(33)에 부착되어 외부에 설치된 공기 압축기로 부터 접속된 에어 호스를 연결하여 다양한 작업 활동을 하더라도 전혀 무리 없이 호스를 끌고 다닐 수 있도록 구성되고, 에어 호스 연결부 내부에는 에어 휠터(31)가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 압축기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 중의 불순물을 걸러 각 공기 통풍로로 분기되도록 통풍 하네스(37)에 연결 구성하며, 에어 호스 연결부는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밸브(34)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후드의 전면에 설치되는 안면보호구(4)는 외견상 보호구와 보안경(6)으로 이루어져 안면보호구의 프레임(37) 역할을 하는 타원형 구조물의 내부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보안경 내부 김서림 방지용 공기분사구(41)로 배출되어 보안경 내부의 김 서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호흡에 필요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안경과 직접 맞닿는 부분에는 안면보호구의 프레임(37)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보안경 표면보호용 분사공기통로(43)로 1차 공기층을 만들면서 빠져 나가고, 2차적으로 머리 부분의 인체 발열을 냉각했던 공기가 빠져 나가면서 오염물들이 보안경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복.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안면보호구는 보안경의 표면이 이물질 및 오염물질에 의하여 시야에 방해를 받지 않는 활동을 할 경우에는 보안경 표면으로 에어 커튼(Air Curtain)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안면보호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복.
KR1020160124081A 2016-09-27 2016-09-27 방호복 KR20180034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081A KR20180034051A (ko) 2016-09-27 2016-09-27 방호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081A KR20180034051A (ko) 2016-09-27 2016-09-27 방호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051A true KR20180034051A (ko) 2018-04-04

Family

ID=6197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081A KR20180034051A (ko) 2016-09-27 2016-09-27 방호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405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3979A (zh) * 2020-02-14 2020-04-24 齐胜利 一种防病毒传播的大通气口罩
CN111802733A (zh) * 2020-07-24 2020-10-23 河南亚都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临床医疗的防护服
CN111955826A (zh) * 2020-07-09 2020-11-20 桑可 一种双层正压穿戴式防护装置
KR102283768B1 (ko) 2020-12-08 2021-08-02 김철준 스마트 방호복
KR20220027759A (ko) 2020-08-27 2022-03-08 ㈜엔케이이노베이션 방호복용 휴대용 냉각시스템
KR20220027770A (ko) 2020-08-27 2022-03-08 ㈜엔케이이노베이션 휴대용 냉각시스템이 적용된 방호복의 밀폐구조
WO2023008665A1 (ko) * 2021-07-29 2023-02-02 주식회사 씨엔에스컴퍼니 김서림 방지를 위한 발열필름 안면창 및 두건을 가지는 방호복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3979A (zh) * 2020-02-14 2020-04-24 齐胜利 一种防病毒传播的大通气口罩
CN111955826A (zh) * 2020-07-09 2020-11-20 桑可 一种双层正压穿戴式防护装置
CN111802733A (zh) * 2020-07-24 2020-10-23 河南亚都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临床医疗的防护服
CN111802733B (zh) * 2020-07-24 2022-02-15 河南亚都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临床医疗的防护服
KR20220027759A (ko) 2020-08-27 2022-03-08 ㈜엔케이이노베이션 방호복용 휴대용 냉각시스템
KR20220027770A (ko) 2020-08-27 2022-03-08 ㈜엔케이이노베이션 휴대용 냉각시스템이 적용된 방호복의 밀폐구조
KR102283768B1 (ko) 2020-12-08 2021-08-02 김철준 스마트 방호복
WO2023008665A1 (ko) * 2021-07-29 2023-02-02 주식회사 씨엔에스컴퍼니 김서림 방지를 위한 발열필름 안면창 및 두건을 가지는 방호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4051A (ko) 방호복
CN110325247B (zh) 头戴物
US20210077837A1 (en) Unpowered respiratory protective headset and body suit and additional improvements to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US10980305B2 (en) Length adjustable shroud usable with helmet and earmuffs
US20210308496A1 (en) Respiratory mask
KR101812681B1 (ko) 공기청정 마스크
US9643033B2 (en) Disposable safety garment with improved neck closure
WO2015005955A1 (en) Respiratory hood capable of being worn with external head gear
JP2007275190A (ja) 電動ファン付き呼吸用保護具
EP3335765A1 (en) Emergency filter system for ventilated hood
DE202020101737U1 (de) Einsatzschutzanzug
KR20180000473U (ko) 분리형 보호복이 구비된 송기 마스크
US2237305A (en) Respirator and the like
CN211458905U (zh) 一种防水防油污防静电抗菌除臭通用防尘服
JP6978039B2 (ja) 保全工法用防護スーツシステム及び該保全工法用防護スーツ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防護スーツ
TWM611208U (zh) 防護面罩之結構改良
CN111418932A (zh) 一体式防护装置
US20230037627A1 (en) Active respiratory open face shield system
KR102267637B1 (ko) 일체형 방호복을 재사용하기 위한 재사용시스템
CN211910608U (zh) 一种方便安全的医用防护头罩
CN211158232U (zh) 建筑工程施工用防尘呼吸罩
US20220062668A1 (en) Active respiratory face shield system
KR20210126850A (ko) 안면 안면 보호 기능을 갖는 방호복
KR102267633B1 (ko) 포켓주머니, 안면가리개와 덧신으로 이루어지는 포켓형 방호복을 재사용하기 위한 재사용시스템
US7856667B2 (en) Liquid-tight, pull-over, protective garment for upper tor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