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928B1 -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후드 - Google Patents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928B1
KR100618928B1 KR1020060044773A KR20060044773A KR100618928B1 KR 100618928 B1 KR100618928 B1 KR 100618928B1 KR 1020060044773 A KR1020060044773 A KR 1020060044773A KR 20060044773 A KR20060044773 A KR 20060044773A KR 100618928 B1 KR100618928 B1 KR 100618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air
work
radioactive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택
Original Assignee
고려검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검사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검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4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06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against contamination from chemicals, toxic or hostile environments; ABC sui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4Ho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방호 후드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의 허리까지 내려와 상반신을 덮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와 이음매 없이 일체로 연결된 소매 및, 상기 몸통부에 이음매 없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투명한 투시창을 갖춘 후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드부의 내면 상단 머리부분에 다수개의 공기토출구멍을 갖춘 공기주입통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기주입통로가 후드의 뒷부분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주입관과 연결되는 공기주입구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부의 하단과 소매의 선단에 조임용 고무밴드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몸통부와 후드부의 연결부분에도 조임용 고무밴드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방호 후드는 고오염 작업지역의 공기중에 부유하는 방사능 오염물질이 공급후드 속으로 침투해 들어오지 못하도록 적극적으로 차단함과 더불어, 상기 후드부가 외력에 의해 쉽게 돌아가지 않게 하여 작업자의 후드의 투시창을 통한 시야확보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한편, 후드부의 머리 위쪽에 배치된 공기주입통로의 공기토출구멍을 통하여 정화된 공기가 아래쪽으로 주입 분사되게 함으로써 공기 소음의 발생을 줄여 작업 집중율을 높일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방사능에 오염된 오염물질이 공기를 따라 작업자의 호흡기 쪽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여 작업자의 체내 피폭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방호후드, 방사능 고오염 지역 작업용 후드

Description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후드{A hood to protect the respiratory organ for working in the area highly contaminated by radioactiv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 후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 후드의 후드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 후드의 후드부 뒷면을 나타낸 후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 후드의 후드부에 설치된 공기주입통로와 공기토출구멍 및 공기 주입관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몸통부 3 - 짧은 소매
5 - 투시창 7 - 후드부
9 - 공기토출구멍 11 - 공기주입통로
13 - 공기주입구 15 - 공기주입관
17 - 고무밴드 19 - 고무밴드
21 - 목부분 23 - 고무밴드
본 발명은 방사능 고오염 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 후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작업자를 방사능에 오염된 공기로부터 적극적으로 보호해 줄 수 있게 한 방사능 고오염 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곳에서는 안전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설비의 안전 점검을 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정밀 정비 작업을 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원자력 설비의 안전 점검과 정밀 정비 작업은 현재까지 사람이 직접 하여야 하는바, 설비 시설에 따라 방사성 오염도의 정도가 다른데, 특히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수실과 같은 곳은 공기중 방사성 오염도는 물론 이동성 표면 오염도도 높기 때문에, 이러한 곳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에게 방사능 피폭량을 줄여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방사선 관리구역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은 체외 피폭과 체내 피폭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체내 피폭이 체외 피복보다 작업자의 인체에 더 무서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외 피폭은 인체가 방사선원에 노출되어 방사능이 인체의 외부에서 직접적 조사되어지는 것을 뜻한다.
이에 비해, 체내 피폭은 방사선 관리구역에서 공기중에 부유되어 있거나 바닥 표면에 떨어져 이동하는 먼지 등과 같은 미세한 방사성 물질이 호흡기를 통하여 체내에 흡수되어 인체가 피폭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체외 피폭은 방사선원을 물리적으로 차폐하거나, 방사선원이 있는 곳에서 작업자의 작업시간을 줄이는 등의 방법으로 관리할 수가 있지만, 체내 피폭은 방사능 고오염지역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작업 도중에 호흡기를 통하여 방사성 물질을 흡입하지 않게 하는 방법을 통하여서만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한편, 체내 피폭이 체외 피폭보다 더 위험한 이유는, 체내로 들어온 방사성 물질이 내뿜는 방사선에 인체가 직접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인체의 피폭 정도가 더 크게 되며, 인체 내에 있는 방사성물질이 모두 체외로 빠져나가기 까지 많은 시간 동안 피폭이 지속되고, 방사성 물질이 인체 내에 있기 때문에 제염처리가 불가능하며 또한 방사성 물질이 방출하는 α, β, γ 모든방사선에 피폭되기 때문에 피폭피해가 더 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위험한 체내 피폭의 문제를 줄이기 위해 방사능 고오염 지역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작업 중에 공기 중에 부유된 방사성 물질을 호흡하지 않게 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에 따르면 방독면과 같이 공기정화기를 갖춘 마스크를 착용하고 작업을 하여 왔는데, 이와 같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작업을 하면 호흡이 불편하고, 앞으로 돌출 설치된 공기정화기가 주변 설비에 부딪혀 마스크가 작업자의 안면으로부터 벗어나게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마스크의 틈새사이로 새 어 들어와 내부 피폭이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공고 20-203726호의 “공기 공급형 호흡기 방호 후드”와 같은 고안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고안은 작업자의 목에 걸 수 있게 만들어진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공급관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머리에서부터 목부분까지 뒤집어 쓸 수 있는 후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드를 관통하여 공기공급관에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원과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상기 고안에 따른 방호 후드 역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어 실제 사용하기가 불편한데, 그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과 후드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고안에 따른 방호후드를 착용할 때 공기공급관을 착용한 후에 후드를 착용하여야 하므로 착용 절차가 까다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둘째, 공기공급관과 방호 후드가 별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작업 후에 방사성 폐기물의 발생량이 많아진다.
셋째, 방호 후드가 목부분의 바로 아래 어깨까지만 내려오도록 되어 있으면서, 방호후드가 어깨부분에 단순히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어깨 부분으로 내려와 있는 방호 후드의 선단과 신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오염된 공기가 침투할 수 있다.
넸째, 목둘레에 감겨진 공기공급관을 통하여 위쪽으로 분사되어 올라오기 때문에, 방호후드와 신체 사이의 공간 틈새를 통하여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침투해 들어오는 현상이 가속되어지게 된다.
다섯째, 외부에서 주입되는 공기가 목부분에서 올라오기 때문에 작업할 때 호흡이 곤란하고, 고압의 공기가 배출되면서 소음을 발생시켜 작업할 때 집중이 잘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호흡할 때 내뿜은 습기에 의해 투시창에 김이 서려서 시야확보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정해진 시간 내에 작업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된다.
여섯째, 방호 후드가 작업자의 머리에 단순히 뒤집어 씌워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방호 후드가 작업자의 머리와 따로 움직이게 되므로, 작업을 하는 도중에 길게 늘어뜨려져 있는 공기공급호스가 당겨지거나 주변 시설물에 닿는 경우에, 방호 후드가 작업자의 머리와 따로 돌아가서 전면에 마련된 투시창이 작업자의 시선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작업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의 문제점들 중에서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의 문제는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 발생기 수실과 같이 작업 공간이 방사선량율이 대단히 높고, 공기중 방사성 오염도와 바닥 표면의 이동성 오염도도 대단히 높을 뿐 아니라, 한사람이 겨우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협소한 경우에는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된다.
통상, 고방사성 오염지역을 작업하는 경우에는 한 사람이 투입되어 작업할 수 있는 시간이 정해져 있고, 그 허용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게 하여 방사선 피폭량을 조절하게 되어 있는데, 작업을 하는 도중에 방호 후드의 투시창이 시선에서 벗어나 돌아가게 되면 작업자가 방호 후드를 잡고 돌려서 투시창이 제위치로 돌아오게 하는 동작을 취하면 그 동작에 필요한 시간만큼 작업 지연이 발생할 뿐만 아니 라, 나아가 작업자가 방호장갑 등을 착용한 손으로 방호 후드를 돌리기 위해 만지면 방호 후드의 오염된 부분이 더 증가하게 되므로 방사능 피폭량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방사능 고오염 지역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방사능 허용 피폭량과 작업 시간이 제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고안에 따른 방호 후드를 착용하고 작업을 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이유들로 인하여 효과적으로 체내 방사능 피폭량을 줄여 주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 후드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작업자에게 항상 깨끗한 공기를 공급해 줄 수 있으면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 작업 집중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방호 후드속으로 침투되어 들어오지 못하게 적극적으로 차단해 주는 한편, 작업중에 방호 후드가 돌아가 투시창이 시선에서 벗어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 오염도를 줄이면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 후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허리까지 내려와 상반신을 덮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와 이음매 없이 일체로 연결된 소매 및, 상기 몸통부에 이음매 없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투명한 투시창을 갖춘 후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부의 하단과 소매의 선단에 조임용 고무밴드가 각각 설치되 어 있으며, 상기 몸통부와 후드부의 연결부분에도 조임용 고무밴드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후드부의 내면 상단 머리부분에 다수개의 공기토출구멍을 갖춘 공기주입통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기주입통로가 후드의 뒷부분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주입관과 연결되는 공기주입구와 연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방호 후드는 소매와 몸통부의 선단에 고무밴드가 설치되어 방사능 고오염 지역의 공기중에 부유하는 방사능 오염물질이 공급후드 속으로 침투해 들어오지 못하게 함과 더불어, 몸통부와 후드부 사이에 설치된 고무밴드가 작업자의 목부분을 조여 밀착시켜 줌으로써 후드부가 외력에 의해 쉽게 돌아가지 않게 하여 작업자의 후드의 투시창을 통한 시야확보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호 후드는 후드부의 머리 상단에 배치된 공기주입통로의 공기토출구멍을 통하여 정화된 깨끗한 공기가 아래쪽으로 주입 분사되게 함으로써 공기 소음의 발생을 줄여 작업 집중율을 높일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방사능에 오염된 오염물질이 공기를 따라 작업자의 호흡기 쪽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여 작업자의 체내 피폭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 후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 후드의 후드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사능 고오염 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 후드는 작업자의 허리까지 내려와 상반신을 덮는 몸통부(1)와, 상기 몸통부(1)에 이음매 없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짧은 소매(3) 및, 상기 몸통부(1)에 이음매 없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투명한 투시창(5)을 갖춘 후드부(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후드부(7)의 내면 상단 머리부분에 다수개의 공기토출구멍(9)을 갖춘 공기주입통로(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기주입통로(11)는 후드부(7)의 뒷부분에 설치된 공기주입구(13)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주입구(13)는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주입관(15)과 연결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1)의 하단과 짧은 소매(3)의 선단에 조임용 고무밴드(17,19)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몸통부(1)와 후드부(7)를 연결하는 목부분(21)에도 조임용 고무밴드(23)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공기주입통로(11)는 도면 2에서 단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드부(7)의 윗면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방호 후드를 착용하였을 때 상기 공기주입통로(11)가 작업자의 머리 위에 위치하게 되어 있는데, 이러한 공기주입통로(11)는 방호후드를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한 재질의 재료를 소정의 폭과 길이로 잘라 준비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공기토출구멍(9)을 미리 뚫은 다음, 후드부(7)의 내면에 배치하여 가장자리를 접착제로 바르거나 열융착시킴으로써 간단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통로(11)는 도면 3과 도면 4에서 2줄이 나란하게 배치된 구조를 도시하여 나타내었지만, 필요에 따라 1줄 또는 3줄 이상 여러 줄을 만들어 사용할 수가 있으며, 이와 같이 여러 개의 줄로 이루어진 공기주입통로(11)는 후드부(7)의 뒤쪽에 설치한 하나의 공기주입구(13)와 연통시켜 전체 공기주입통로(11)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해 줄 수가 있게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방호 후드는 작업자가 방사능 고오염지역을 작업하러 들어가지 전에 간단하게 머리에서부터 뒤집어 쓴 다음 양쪽 소매(3)를 팔에 끼우고, 후드의 뒤쪽에 설치된 공기주입구(13)에 공기주입관(15)을 연결시키면 착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호후드를 착용하면, 몸통부(1)와 소매(3) 및 후드부(7)가 이음매 없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연결부를 통하여 방사능으로 오염된 공기가 침투해 들어갈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몸통부(1)의 하단에 구비된 고무밴드(17)는 작업자의 허리부분을 죄어 주고, 소매(3)의 선단에 구비된 고무밴드(19)는 팔의 윗부분에서 팔을 죄어 주게 되므로, 작업자의 신체와 몸통부(1) 및 소매(3)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방호후드 속으로 오염된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주입관(15)을 통하여 후드부(7)의 공기주입구(13)에 정화된 신선한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면, 공기가 공기주입통로(11)를 따라 이동하면서 토출구멍(9)을 통하여 작업자의 머리위에서 후드부(7)의 내부로 분사되어지게 된다.
이렇게 고압의 공기가 공기주입통로(11)를 통하여 작업자의 머리위쪽에서 분사되어지면, 작업자의 귀에 공기가 분사될 때 공기가 머리에 부딪힌 다음 아래로 내려오면서 분산되게 되므로 공기가 고속으로 분사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어 작업자가 공기 소음에 의해 집중력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호 후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압의 공기가 후드부(7)의 머리 위쪽에서 분사되어 아래로 내려와서, 몸통부(1)와 소매(3)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게 되어 있으므로, 몸통부(1)와 소매(3)를 통하여 방사능 고오염 지역의 오염된 공기가 침입하여 작업자의 호흡기에 오염된 공기에 의해 체내 피폭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방호 후드는 외부의 공기가 후드부의 머리 위쪽에서 아래로 분사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작업 중에 내뿜는 호흡의 습기에 의해 후드부(7)의 투시창(5)에 성애가 끼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호 후드는 몸통부(1)와 후드부(7)를 연결하는 목부분(21)에 고무밴드(23)가 설치되어 있어 목부분을 조여 후드부(7)가 머리와 일체를 이루도록 지지해 주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중에 공기주입관(15)이 당겨지거나 기타 다른 외력이 후드부(7)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후드부(7)가 당겨지거나 밀려져 좌/우로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후드부(7)의 투시창(5)이 작업자의 시선과 항상 일치하게 되므로, 후드부(7)의 투시창(5)이 작업자의 시선에서 벗어남으로 인하여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 후드는 작업자의 상반신과 머리를 일체를 감싸도록 되어 있으면서 소매(3)와 몸통부(1)의 선단에 조임용 고무밴드(17,19)가 설치되어 방호 후드사이를 통하여 방사능으로 오염된 공기가 작업자의 호흡기 쪽으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드부(7)의 상단에 공기토출구멍(9)이 형성된 공기주입통로(11)가 배치되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작업자의 머리 위쪽에서 공급해 주도록 되어 있으므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작업자의 귀위쪽에서 발생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귀에 잘 들리지 않게 할 수가 있으며, 외부에서 주입되는 신선한 공기가 작업자의 머리에 부딪힌 다음 아래로 분산하여 내려오기 때문에 공기 주입으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줄여 작업 집중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또, 본 발명의 방호 후드는 신선한 공기가 후드의 위쪽에 주입되어 소매와 몸통부를 거쳐 배출되므로 소매와 몸통부를 통해 방사능에 오염된 오염물질이 후드속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 수가 있어 작업자의 체내 피폭을 적극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호후드는 몸통부와 후드부 사이에 설치된 고무밴드가 작업자의 목부분을 조여 밀착시켜 줌으로써 후드부가 외력에 의해 쉽게 돌아가지 않게 하여 후드부의 투시창을 통한 작업자의 시야확보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어 작업 능률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작업자의 허리까지 내려와 상반신을 덮는 몸통부(1)와, 상기 몸통부(1)와 이음매 없이 일체로 연결된 소매(3) 및, 상기 몸통부(1)에 이음매 없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투명한 투시창(5)을 갖춘 후드부(7)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부(1)의 하단과 소매(3)의 선단에 조임용 고무밴드(17,19)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부(1)와 후드부(7)의 연결부분에도 조임용 고무밴드(23)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후드부(7)의 내면 상단 머리부분에 다수개의 공기토출구멍(9)을 갖춘 공기주입통로(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기주입통로(11)가 후드부(7)의 뒷부분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주입관(15)과 연결되는 공기주입구(13)와 연통된 구조로 이루어진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후드
KR1020060044773A 2006-05-18 2006-05-18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후드 KR100618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773A KR100618928B1 (ko) 2006-05-18 2006-05-18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773A KR100618928B1 (ko) 2006-05-18 2006-05-18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8928B1 true KR100618928B1 (ko) 2006-09-01

Family

ID=3762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773A KR100618928B1 (ko) 2006-05-18 2006-05-18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9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708B1 (ko) * 1983-10-20 1990-02-07 이사오 다나까 약제 살포를 위한 방호복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293552Y1 (ko) 2002-07-19 2002-10-31 박춘배 쇼트작업용 방호두건
KR200363617Y1 (ko) 2004-07-14 2004-10-02 박춘배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708B1 (ko) * 1983-10-20 1990-02-07 이사오 다나까 약제 살포를 위한 방호복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293552Y1 (ko) 2002-07-19 2002-10-31 박춘배 쇼트작업용 방호두건
KR200363617Y1 (ko) 2004-07-14 2004-10-02 박춘배 에어라인후드용 소음기가 장착된 방호두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460B1 (ko) 방진 및 방독 마스크
US20210322800A1 (en) Emergengy filter system for ventilated hood
JP2010133772A (ja) 防護服
CN212279957U (zh) 一种适宜固定场所应用的煤矿职业病防护智能穿戴装备
KR100618928B1 (ko)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후드
KR200446628Y1 (ko) 공기 주입형 방사선 방호복
KR200493595Y1 (ko) 향균 패치를 구비한 마스크
CN205598457U (zh) 一种空气净化呼吸系统及其头盔
EP3335765A1 (en) Emergency filter system for ventilated hood
JP2004239023A (ja) トンネル内におけるエアラインマスクシステム
KR200221034Y1 (ko) 두건형 방독면의 오염가스 유입차단장치
CN205337779U (zh) 一种消防员用头盔
KR20130076385A (ko) 용접 마스크
KR20200016596A (ko) 에어공급장치가 구비된 송기마스크
KR20190002016U (ko) 차세대 용접 마스크
KR200454085Y1 (ko) 약액전용 보호구
KR20000065634A (ko) 용접 작업용 헬멧
KR200203726Y1 (ko) 공기공급형 호흡기 방호후드
CN2860530Y (zh) 一种防尘防毒呼吸器
RU2544131C2 (ru) Система жизнеобеспечения исполнителя работ
KR101264970B1 (ko) 휴대용 정화공기 공급 방호복
SU71508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органов дыхани сварщика
CN210144859U (zh) 一种环保型劳动防护用具
KR960006582Y1 (ko) 용접용 보안면 내의 공기정화장치
CN205964737U (zh) 出气组件及包含此出气组件的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