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708B1 - 약제 살포를 위한 방호복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제 살포를 위한 방호복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708B1
KR900000708B1 KR1019830004952A KR830004952A KR900000708B1 KR 900000708 B1 KR900000708 B1 KR 900000708B1 KR 1019830004952 A KR1019830004952 A KR 1019830004952A KR 830004952 A KR830004952 A KR 830004952A KR 900000708 B1 KR900000708 B1 KR 900000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lothing
water
fabric
dough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682A (ko
Inventor
이사오 다나까
Original Assignee
이사오 다나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사오 다나까 filed Critical 이사오 다나까
Priority to KR1019830004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708B1/ko
Publication of KR850003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약제 살포를 위한 방호복용 직물 및 그 제조 방법
제1a도는 본 발명의 방호복용 직물로 제작된 방호복의 한구체예의 정면도.
제1b도는 동 이면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방호복용 직물로 제작된 방호복 두건(頭巾)의 한 구체예의 정면도.
제2b도는 동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방호복용 직물의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방호복용 직물의 미세한 통기공의 확대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방호복용 직물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호복의 본체 2 : 보강포
3 : 투시판 4 : 고무줄
5 : 끈 6 : 호흡용 조(組)직포
7 : 두건 8 : 방호복용 직물
9 : 통기공
본 발명은 방독작용을 가진 약제살포를 위한 방호복용 직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약을 주체로한 약제를 살포할 때 착용하는 방호복에 대해서는 생지(生地)나 형식등 모두 여러 가지로 잡다하여, 완전한 방호복이라는 것은 없으며 한두가지의 예를 들면 평상시에 농사용 작업복을 착용하고 작업모자를 쓰고 수건등으로 마스크를 한 스타일이던가 혹은 비옷등으로 몸을 싸고 수건등으로 머리를 가리우고 수중안경과 같은 것으로 눈을 보호하는 등 이런 스타일이 통상의 농약을 살포할 때의 작업형태로 되어 있다.
농약등의 약제는 한마디로 말해서 유해한 것으로서 개중에는 맹독성 약제도 허다하여 이정도의 장비로서는 무방비와 다름 없다고 단언해도 과언은 아니다.
농약이 인체에 미치는 약해의 위험은 사회적으로 상식으로 되어 있으면서도 결정적 역할을 할 방호복이 개발되지 않은 채로 오늘에 이르고 있는데, 그 이유중의 하나로 국가적 측면에 있어서의 안전기준 제정이 없다는 것에도 기인하고 본다. 하지만 농약의 개발기술이 일진월보 진보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도 이에 걸맞는 방호복 장비의 기술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것이 현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예의 연구한 바,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농약제 살포시 착용하여 약해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방독작용을 지닌 방호복용 직물과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용 직물은 그 생지로서 합성섬유계 섬유를 사용하여 제직하여 일정 분량의 불소계수지라던가 혹은 우레탄수지에 수용성 수지를 혼합한 후 생지 전면 또는 이면에 도포 가공한 후 수세등의 방법에 의해 수용성 수지를 용락(溶落)시킴으로써 미크론이하의 통기공을 보유하도록 피막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사불화에틸렌의 다공성 필름을 생지이면에 붙이거나 또는 생지와 생지사이에 샌드위치상으로 전면에 붙여서 미세한 통기공을 형성시켜, 우레탄계 또는 불소계수지의 발수성(撥水性) 및 방수성과 투습성의 특성을 발휘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를 소재로 하여 제작한 방호복은 무수히 부착하려고 하는 농약제를 자연의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탈착시키는 동시에 한편으로는 체내에서 발산하는 땀등의 습기를 미세한 통기공을 통하여 방호복밖으로 배출하고, 외부로부터는 신선한 공기를 미세한 통기공을 통하여 방호복 내부로 흡입한다고 하는 우수한 방독작용을 가진 방호복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우중에 다량의 빗방울을 맞는 일이 있더라도 0.2미크론이라고 하는 구멍의 크기는 물방울의 약 5,000 내지 20,000분의 1, 증기분자의 약 700배에 해당하여 물방울은 방호복속으로 전혀 침입될 수가 없고, 다만 증기만이 자유로히 통과될 수가 있는, 방수성과 투습성의 상반하는 성질을 동시에 갖추고 있다.
다음에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1a도와 제1b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용 직물로 제작한 방호복의 한 구체예로서 그를 구성하는 직물은 합성섬유등의 고분자물질의 생지에 불소계수지를 생지이면에 도포하는 동시에, 미세한 통기공을 가지도록 가공처리하는 외에도 발수성도 구비하도록 가공되어 있다.
제2a도와 제2b도는 각각 상기 구체예에서의 방호복 두건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며 상기(제1도와 제2도) 도면중 (1)은 방호복의 본체, (2)는 보강포, (3)은 투시판, (4)고무줄, (5)는 끈, (6)은 호흡용 조(組)직포, (7)은 두건부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평면도이며, 제4도는 확대경으로 본 경우의 통기공을 표시한 것이며, 도면중 (8)은 생지, (9)는 통기공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단면도이다. 이 본 발명의 직물은 종래부터 일반에게 널리 이용되고 있는 통상의 직기로 직조된 생지를 불소계수지등에 의해서 통기공이 있도록 가공시켜서 형성한 것으로, 도면에 한 구체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방호복에 사용되어 방호복 본체(1)로 봉제된다.
본 발명의 물성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1. 발수성(점) 내수성 투습도(g/㎡/24h)
100 100 내지 1500mm 3500
약제의 성질, 살포의 목적에 따라서 물성을 변경하기 위하여 다른 수지를 약간 혼입하는 일도 있을 수 있으나 직물의 강도와 방수성이라던가 통기공을 안정되게 유지하기 위하여 우레탄수지 또는 불소계수지의 연신 필름을 생지에 라미네이트 가공하는 일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이 방호복은 제1도(6)의 곳에 호흡을 고려하여 일부 조직포(6)를 사용한 외는 전면에 걸쳐서 완전 밀폐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약제살포목적에 따라서는 제1도의 (3)부분과 (6)부분을 제거하는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호복용 직물은 미세한 통기공을 형성하는 동시에 방수, 발수성 효과를 발휘시켜서 무수히 부착하려는 농약제를 용이하게 이탈시키는 동시에, 체내에서 발산하는 땀등의 습기를 미세한 통기공을 통하여 방호복 밖으로 배출하고 외부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미세한 통기공을 통하여 흡입한다고 하는 투습성을 겸비한 인체의 내외부의 방독작용을 가진 방호복용 직물로서 약제살포를 위한 방호복으로서는 종래에 없었던 극히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Claims (2)

  1. 합성섬유등의 주체로한 생지에, 불소계수지 또는 우레탄계수지에 수용성 수지를 혼합하여 생지의 표면 또는 이면의 전면에 도포가공한 후 수새등의 방법에 의해 수용성 수지를 용락시킴으로써 미크론 이하의 통기공을 보유하는 피막을 형성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져서, 체내에서 발산하는 땀과 습기는 방호복을 통하여 몸 밖으로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가 유통자재하며 아울러 발수성과 방수성을 갖춘 직물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살포를 위한 방호복용 직물의 제조방법.
  2. 사불화에틸렌의 다공성 필름이며 두께 0.001인치 ± 10% 전후, 최대공경 0.2 미크론, 공공율(空孔率) 82% ± 10% 전후의 연신필름을 생지의 이면에 붙이거나 또는 생지와 생지와의 사이에 샌드위치상으로 전면에 붙여서 미세한 통기성을 유지하도록 피막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살포를 위한 방호복용 직물.
KR1019830004952A 1983-10-20 1983-10-20 약제 살포를 위한 방호복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900000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4952A KR900000708B1 (ko) 1983-10-20 1983-10-20 약제 살포를 위한 방호복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4952A KR900000708B1 (ko) 1983-10-20 1983-10-20 약제 살포를 위한 방호복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682A KR850003682A (ko) 1985-06-26
KR900000708B1 true KR900000708B1 (ko) 1990-02-07

Family

ID=19230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952A KR900000708B1 (ko) 1983-10-20 1983-10-20 약제 살포를 위한 방호복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7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928B1 (ko) * 2006-05-18 2006-09-01 고려검사주식회사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후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928B1 (ko) * 2006-05-18 2006-09-01 고려검사주식회사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후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682A (ko) 1985-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2078A (en) Unitized garment system for particulate control
US4430759A (en) Glove
US4469744A (en) Protective clothing of fabric containing a layer of highly fluorinated ion exchange polymer
US5221572A (en) Stretchable protective fabric and protective apparel made therefrom
NO850786L (no) Beskyttende plagg for hindring av passasje av partikkelformig materiale
US5466515A (en) Weather protective fabric combination, outerwear constructed therefrom
CN105876935B (zh) 手术室用防辐射抑菌杀毒防护服及其制造方法
KR900000708B1 (ko) 약제 살포를 위한 방호복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EP1433394A1 (en) Air permeable garment and fabric with integral aerosol filtration
EP3706590B1 (en) Wetness indicator article
KR101569812B1 (ko)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56412B1 (ko) 통기성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CN105644103A (zh) 雪尼尔沙发布料
WO2021248700A1 (zh) 一种防水透气型防护服
US2007007783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exposed fabric edge
JPH0529720Y2 (ko)
CN216885566U (zh) 一种高强吸湿抗菌柔软复合涤纶布
CN220482788U (zh) 一种新型防晒服面料
CN213564765U (zh) 轻薄微孔涂层面料
CN214710437U (zh) 一种透气性好的跑步服
TWI634978B (zh) 防水透濕多功能聚氨酯複合套
CN209883120U (zh) 吸湿排汗面料及透气排汗的运动服
JPS6333931Y2 (ko)
JPH0418103A (ja) 防寒被服セット
JPH0611922B2 (ja) 一体化された外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30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