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552Y1 - 쇼트작업용 방호두건 - Google Patents

쇼트작업용 방호두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552Y1
KR200293552Y1 KR2020020021585U KR20020021585U KR200293552Y1 KR 200293552 Y1 KR200293552 Y1 KR 200293552Y1 KR 2020020021585 U KR2020020021585 U KR 2020020021585U KR 20020021585 U KR20020021585 U KR 20020021585U KR 200293552 Y1 KR200293552 Y1 KR 200293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lens
protective hood
see
protectiv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배
Original Assignee
박춘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춘배 filed Critical 박춘배
Priority to KR2020020021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5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552Y1/ko

Links

Landscapes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호두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이 개구되고 인체의 두부에 씌어지는 방호두건 본체(100)와; 상기 방호두건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인체의 머리에 씌워지는 방호모와; 중앙에 투시창이 형성되고,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호두건 본체(100)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투시창프레임(110)과; 판형상의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투시창 프레임(110)의 투시창에 접촉되어 적층되는 투시용 보호렌즈(120); 그리고, 상기 보호렌즈(120)의 테두리부와 상기 투시창프레임(110)의 외표면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상기 적층된 보호렌즈(120)의 테두리부와 투시창 프레임(110)의 외표면에 부착접촉되어 적층된 보호렌즈(120)를 상호간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보호렌즈(120)를 투시창 프레임(11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쇼트작업용 방호두건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쇼트작업시 인체의 두부를 보호시킴과 동시에 작업도 중 파손된 보호렌즈의 교체가 용이하며 밀폐된 공간에서 장시간 작업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쇼트작업용 방호두건{protective hood}
본 고안은 쇼트작업 시 사용되는 방호두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쇼트작업시 인체의 두부를 보호시키는 방호두건에 안전모를 삽입 설치함과 동시에투시창에 보호렌즈를 설치하되 파손된 보호렌즈의 교체가 용이한 쇼트작업용 방호두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트작업, 도장작업 등을 하기 위해서는 방호복 및 방한두건을 착용하고 작업을 하게된다.
특히 밀폐된 공간에서의 작업에서는 방호복 및 방호두건의 착용은 필수적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방호두건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렌즈(51)의 교환작업은 작업자가 별도 준비하여 이루어진 깨끗한 렌즈를 더러워진 렌즈와 바꿔 끼워서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바꿔 끼우는 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품을 요하고, 이 작업이 번잡하게될 뿐 아니라 부품 교환작업에 의해서 도장작업등이 중단되는 고로 본래의 도장작업등의 능률저하를 가져온다고 하는 큰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외부렌즈(51)의 교환작업은 매우 좁은 개구부(50)를 통하여 외부렌즈(51)를 삽탈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그 교환작업을 요령있게 행하는데는 방호마스크를 떼어 내지 않으면 안되는 등 매우 번잡하고 성가신 것으로 되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교환하는 외부렌즈(51)의 비용을 싼값으로 하기 위해 이 외부렌즈(51)를 얇고 무른 부재를 사용하면그 장착시에 다수의 주름이 발생하여 작업자의 시계가 손상되어, 소정의 작업에 지장을 생기게하는 난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외부렌즈(51)를 두껍고 단단한 것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그 부품비용이 고가로되는 문제점도 갖고 있었던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인 경우에는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호흡용 공기가 공급되지 못하므로 밀폐된 공간에서의 작업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또한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쇼트작업시 인체의 두부를 보호시키는 방호두건에 안전모를 삽입 설치함에 의해 작업자의 두부를 안전하게 보호시키는 쇼트작업용 방호두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방호두건의 투시창에 보호렌즈를 설치하되 파손된 보호렌즈의 교체가 용이하여 작업이 편리한 쇼트작업용 방호두건을 제공하는 것을 또한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부에서 호흡용 공기가 공급됨에 의해 밀폐된 공간에서 장시간 작업이 가능한 쇼트작업용 방호두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 - 종래기술에 따른 방호두건을 나타낸 도.
도2 - 본 고안에 따른 쇼트작업용 방호두건의 사시도.
도3 - 분해사시도.
도4 - 투시창프레임에 보호렌즈가 적층된 형상을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방호두건본체 110 : 투시창프레임
111 : 받침턱 112 : 수용부
113 : 스폰지 114 : 나사결합부재
120 : 보호렌즈 121 : 내부보호렌즈
122 : 외부보호렌즈 130 : 결합부재
140 : 공기유입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면이 개구되고 인체의 두부에 씌어지는 방호두건 본체와; 상기 방호두건 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인체의 머리에 씌워지는 방호모와; 중앙에 투시창이 형성되고,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호두건 본체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투시창프레임과; 판형상의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투시창 프레임의 투시창에 접촉되어 적층되는 투시용 보호렌즈; 그리고, 상기 보호렌즈의 테두리부와 상기 투시창프레임의 외표면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상기 적층된 보호렌즈의 테두리부와 투시창 프레임의 외표면에 부착접촉되어 적층된보호렌즈를 상호간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보호렌즈를 투시창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쇼트 작업용 방호두건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방호두건 본체의 후면에는 공기유입관이 연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쇼트작업시 인체의 두부를 보호시킴과 동시에 작업도 중 파손된 보호렌즈의 교체가 용이하며 밀폐된 공간에서 장시간 작업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쇼트 작업용 방호두건의 사시도이고, 도3은 분해사시도이며, 도4는 투시창 프레임에 보호렌즈가 적층된 형상을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쇼트 작업용 방호두건은 크게 방호두건 본체(100)와, 방호모(미도시)와, 투시창프레임(110)과, 보호렌즈(120), 그리고 결합부재(130)로 구성된다.
먼저 방호두건 본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방호두건 본체(100)는 하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전면 또한 개구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인체의 두부에 씌워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즉, 인체의 머리에서 부터 어깨까지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작업 시, 두부측을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호두건 본체(100)의 전면 개구부에는 후술하는 투시창 프레임(11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방호두건 본체(100)의 후면에는 후술하는 공기유입관(140)과 연결되는 공기유입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방호두건 본체(100)는 쇼팅 등의 작업 시 인체의 두부측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방호모(미도시)는 통상의 안전모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방호두건 본체(100)의 내부 상측에 상기 방호두건 본체(1000에 수용된 형상으로, 상기 방호두건 본체(100)에 설치되어 방호두건 본체(100)를 뒤집어 쓰는 경우, 안전모가 머리에 씌워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투시창 프레임(110)은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며 중앙부에 관통된 투시창이 형성되어 상기 방호두건 본체(100)의 전면 개구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투시창 프레임(110)은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되며 테두리만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창 프레임(110)의 후단부에는 후단부를 따라 내측으로 형성된 형상의 받침턱(111)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투시창 프레임(110)의 전면부는 자연스럽게 수용부(112)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12)에 스폰지(113)가 설치된 후, 스폰지(113) 상면에 후술하는 보호렌즈(120)가 설치되어 외부충격에 의해 안면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시킨다.
또한 상기 받침턱(111)에는 상하 관통된 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통공에 나사가 결합됨에 의해 상기 투시창 프레임(110)이 방호두건 본체(100)에 결합된다.
상기 투시창 프레임(110)의 상단부에는 나사결합부재(114)가 상기 투시창프레임(110)과 일체로 형성되며 나사결합부재(114)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나사가 결합되어 상기 투시창프레임(110)이 상기 방호두건 본체(110)에 안정되게 재차 결합된다.
상기 보호렌즈(120)는 크게 내부보호렌즈(121)와 외부보호렌즈(122)로 구성되어 상기 투시창 프레임(110)에 차례대로 적층된다.
상기 내부보호렌즈(121)는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투명성의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구성되어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시킨다.
그리고, 상기 외부보호렌즈(122)는 투명성의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재질은 보통의 유리로 구성되어 교환이 가능하며 상기 내부보호렌즈(121)에 접촉되어 다수개가 차례로 적층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보호렌즈(120)는 상기 투시창프레임(110)에 차례로 안정되게 적층되어야 하는 바, 결합부재(130)가 상기 보호렌즈(120)를 상호간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투시창프레임(110)에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부재(130)는 접착력을 가진 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렌즈(120)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적층된 보호렌즈(120)의 외표면에 접착됨과 동시에 상기 투시창프레임(110)의 외표면을 감싸게 되어 상기 적층된 보호렌즈(120)를 상기 투시창프레임(110)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작업도중 제일 표면에 노출된 보호렌즈(120)가 손상을 입게 되면 칼 등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재(130)의 일부를 절개하는 형태로 손상된 보호렌즈(120)를 적층된보호렌즈(120)로 부터 제거시키면 된다. 상기의 상태가 되면 손상된 보호렌즈(120)는 제거되고 손상되지 않은 인접된 보호렌즈(120)가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 방호두건 본체(100)에 형성된 공기유입공에는 산소통 등과 연결된 공기유입관(140)이 결합됨에 의해 밀폐된 공간에서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에게 공기 등을 공급하게 되어 안정된 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작업자가 쇼트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보호렌즈(120)가 결합된 방호두건 본체(100)를 머리로 부터 두부측에 뒤집어 쓰게 된다. 그리고 방호두건 본체(100)를 뒤집어 쓰게 되면 방호모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게 되며 사용자는 방호모의 끈 등을 조절하여 안정된 착용이 되게 한다.
사용자는 보호렌즈(120)를 통하여 시야를 확보하여 작업을 하게 되며, 작업도중 보호렌즈(120)가 파손되는 경우 사용자는 칼 등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재(130)를 절재하여 파손된 보호렌즈(120)를 제거시킨다. 상기의 상태에서 작업을 계속하며 보호렌즈(120)가 또 파손되면 결합부재(130)를 절재하여 파손된 보호렌즈(120)를 제거하고 작업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연속적인 작업을 계속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쇼트작업시 인체의 두부를 보호시키는 방호두건에 안전모를 삽입 설치함에 의해 작업자의 두부를 안전하게 보호시키며, 파손된 보호렌즈의 교체가 용이하여 작업이 편리ㅏ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외부에서 호흡용 공기가 공급됨에 의해 밀폐된 공간에서 장시간 작업이 가능히다는 효과가 또한 있다.

Claims (2)

  1. 전면이 개구되고 인체의 두부에 씌어지는 방호두건 본체(100)와;
    상기 방호두건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인체의 머리에 씌워지는 방호모와;
    중앙에 투시창이 형성되고,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호두건 본체(100)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투시창프레임(110)과;
    판형상의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투시창 프레임(110)의 투시창에 접촉되어 적층되는 투시용 보호렌즈(120); 그리고,
    상기 보호렌즈(120)의 테두리부와 상기 투시창프레임(110)의 외표면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상기 적층된 보호렌즈(120)의 테두리부와 투시창 프레임(110)의 외표면에 부착접촉되어 적층된 보호렌즈(120)를 상호간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보호렌즈(120)를 투시창 프레임(11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작업용 방호두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두건 본체(100)의 후면에는 공기유입관(140)이 연결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작업용 방호두건.
KR2020020021585U 2002-07-19 2002-07-19 쇼트작업용 방호두건 KR200293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585U KR200293552Y1 (ko) 2002-07-19 2002-07-19 쇼트작업용 방호두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585U KR200293552Y1 (ko) 2002-07-19 2002-07-19 쇼트작업용 방호두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552Y1 true KR200293552Y1 (ko) 2002-10-31

Family

ID=73126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585U KR200293552Y1 (ko) 2002-07-19 2002-07-19 쇼트작업용 방호두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5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928B1 (ko) 2006-05-18 2006-09-01 고려검사주식회사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후드
KR101118674B1 (ko) * 2009-07-28 2012-03-06 김응우 산업용 방호두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928B1 (ko) 2006-05-18 2006-09-01 고려검사주식회사 방사능 고오염지역 작업용 호흡기 방호후드
KR101118674B1 (ko) * 2009-07-28 2012-03-06 김응우 산업용 방호두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4278B2 (en) Multi-function face protector
ES2203978T3 (es) Sistema de casco protector.
USD512797S1 (en) Protective face shield lens
NO20052623L (no) Kjolehjelm.
US20080109927A1 (en) Helmet equipped with eye shield and with face-conformable gasket along edge portion of eye shield
KR200293552Y1 (ko) 쇼트작업용 방호두건
US20110285957A1 (en) Limited access and antifog protective eyewear for welding
AU2001242213A1 (en) Anti-glare protection device
KR101178254B1 (ko) 용접용 투시 보호구
KR20110011404A (ko) 산업용 방호두건
KR200447903Y1 (ko) 마스크가 부착된 모자
KR100565383B1 (ko) 방호두건용 보안경
CN212416072U (zh) 一种防护面罩
CN207627484U (zh) 一种自动变光电焊面罩
CN216985379U (zh) 防护眼镜
CN2392519Y (zh) 方便面罩
CA2184929A1 (en) Work helmet with air filtration
CN213346319U (zh) 电焊用防尘头巾
JP2000107304A (ja) ルーズフィッティング形送気マスク
KR20090000741U (ko) 용접용 안면 보호 마스크
KR100925237B1 (ko) 다목적 용접용 보안면
KR200267931Y1 (ko) 두건용 보안경
JP2010243704A (ja) 防塵眼鏡
JPH02406Y2 (ko)
KR200354851Y1 (ko) 방호두건용 보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