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741U - 용접용 안면 보호 마스크 - Google Patents

용접용 안면 보호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741U
KR20090000741U KR2020070012021U KR20070012021U KR20090000741U KR 20090000741 U KR20090000741 U KR 20090000741U KR 2020070012021 U KR2020070012021 U KR 2020070012021U KR 20070012021 U KR20070012021 U KR 20070012021U KR 20090000741 U KR20090000741 U KR 200900007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light
lens
face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2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철
Original Assignee
신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철 filed Critical 신명철
Priority to KR2020070012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741U/ko
Publication of KR200900007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74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1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with movable shutters, e.g. filter discs; Actuat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1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with movable shutters, e.g. filter discs; Actuating means therefor
    • A61F9/062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with movable shutters, e.g. filter discs; Actuating means therefor with movable polarising filter di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4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with two windows, one for viewing and one for use during the welding proc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1/00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 F16P1/06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specially designed for wel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접 작업시 작업자의 눈과 안면을 보호하는 안면 보호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면을 감싸는 보호대(10) 중앙 상부의 착용자 눈 위치로 마련되는 차광 렌즈(20)를 각종 유해광을 차단하기 위해 아주 짙은 색상으로 처리된 통상의 차광부(21)와 상기 차광부 보다 옅은 색상으로 처리되어 작업자가 투시 가능한 투시차광부(22)를 상하로 복합 구성하되, 상기 차광 렌즈(20)의 전방 하부에 상하로 회전작동하면서 렌즈의 투시차광부(22)를 차단하는 차단판(25)을 추가 구성하므로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눈과 안면 보호는 물론 작업물 등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작업하도록 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용접장치의 용접봉에 의해 불꽃을 발생하거나 마스크를 벗어 작업물을 확인하는 불필요한 동작이 배제되므로 용접 작업성 및 용접 작업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용접, 안면, 마스크, 차광렌즈, 차광부, 투시차광부, 복합 구성, 차단판

Description

용접용 안면 보호 마스크{Protective mask for welding}
본 고안은 용접 작업시 작업자의 눈과 안면을 보호하는 안면 보호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 전면 중앙에 설치되는 차광 렌즈를 아주 짙은 색상의 통상적인 차광부과 투시가능한 투시차광부로 상하 복합 구성함에 의해 작업자의 눈과 안면 보호는 물론 작업물 등을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하므로서 작업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용접용 안면 보호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크 용접이나 가스 용접 및 기타 모재 절단 작업 등을 행하기 위해 용접장치를 사용시에는 안면 보호 마스크를 착용하게 된다.
이러한 안면 보호 마스크는 안면을 감싸는 보호대와 상기 보호대 중앙의 차광 렌즈 및 머리에 착용하기 위한 착용부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차광렌즈는 각종 유해광선을 차단하기 위해서 아주 짙은 색상으로 처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안면 보호 마스크는 착용부에 의해 머리에 착용한 뒤 상기 보호대로 작업자의 얼굴 안면을 가리도록 착용하므로서 용접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자 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으로 부터 눈을 보호함은 물론 용접광, 용접열 및 용접 파편 등에 의한 안면(머리나 목부분도 포함) 부분의 화상 등의 위험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안면 보호 마스크는 작업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아주 짙은 색상으로 되어 있는 차광 렌즈를 통해 작업물 등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의 큰 불편함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용접장치의 용접봉을 작업물에 마찰시켜 불꽃을 발생하므로서 작업물의 용접 위치를 파악하거나 마스크를 벗어 작업물을 확인한 뒤 다시 마스크를 착용하여 용접작업을 행하므로서 작업물의 용접 작업을 정밀하게 행할 수 없게 됨은 물론 용접봉을 작업물에 마찰시켜 불꽃을 발생하거나 마스크를 벗었다가 다시 착용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용접 작업성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마스크의 전면 중앙에 설치되는 차광 렌즈를 아주 짙은 색상의 통상적인 차광부과 투시가능한 투시차광부로 상하 복합 구성함에 의해 작업자의 눈과 안면 보호는 물론 작업물 등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작업하도록 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용접장치의 용접봉에 의해 불꽃을 발생하거나 마스크를 벗어 작업물을 확인하는 불필요한 동작이 배제되므로 용접 작업성 및 용접 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안면을 감싸는 보호대 중앙 상부의 착용자 눈 위치로 마련되는 차광 렌즈를 각종 유해광을 차단하기 위해 아주 짙은 색상으로 처리된 통상의 차광부와 상기 차광부 보다 옅은 색상으로 처리되어 작업자가 투시 가능한 투시차광부를 상하로 복합 구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 차광 렌즈의 전방 하부에 상하로 회전작동하면서 렌즈의 투시차광부를 차단하는 차단판을 추가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차단판이 보호대와 같이 각종 유해광을 차단하기 위한 불투명재질로 형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마스크의 전면 중앙에 설치되는 차광 렌즈를 아주 짙은 색상의 통상적인 차광부과 투시가능한 투시차광부로 상하 복합 구성하여 차광부와 투시차광부를 이용하므로서 작업자의 눈과 안면 보호는 물론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물 등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용접장치의 용접봉에 의해 불꽃을 발생하거나 마스크를 벗어 작업물을 확인하는 불필요한 동작이 배제되므로 용접 작업성을 우수하게 제공됨은 물론 용접 효율 또한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의 용접용 안면 보호 마스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을 감싸는 보호대(10)와 상기 보호대 중앙 상부의 차광 렌즈 및 머리에 착용하기 위한 착용부(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차광 렌즈(20)는 각종 유해광을 차단하기 위해 아주 짙은 색상으로 처리된 통상의 차광부(21)와 상기 차광부 보다 옅은 색상으로 처리되어 작업자가 투시 가능한 투시차광부(22)를 상하로 복합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차광부(21)는 종래 차광렌즈와 동일한 것으로서 각종 유해광을 차 단하게 됨은 물론 용접장치의 용접봉에 의해 불꽃을 발생하여야 작업물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이고, 상기 투시차광부(22)는 어느 정도의 유해광을 차단하면서 작업자가 착용 상태에서 작업물이나 작업부위 등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것이다.
상기 차광 렌즈(20)는 열에 강한 강화플라스틱(FRP) 재질로 형성하여 차광부(21)와 투시차광부(22)를 복합 구성되게 색상을 착색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착색이라 함은 수지 본래에 염료가 혼합되어 성형된 형태나 투명의 렌즈 일면에 착색된 필름을 부착한 것을 일컫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광 렌즈(20)는 보호대(10)의 중앙 상부에 눈 위치로 형성된 조립홈으로 삽입하여 결합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광 렌즈(20)의 전방 하부에는 힌지(26)에 의해 상하로 회전작동하면서 렌즈의 투시차광부(22)를 차단하는 차단판(25)이 추가 구성된다.
상기 차단판(25)는 보호대(10)와 같이 불투명재질로 제작하거나 상기 차광렌즈(20)의 차광부(21)와 같이 유해광을 차단하는 재질로 제작하므로서 종래의 보호대에 길들여서 본 고안의 보호대 사용에 숙달되지 않은 사용자를 위해 필요에 따라 상기 차단판(25)으로 투시차광부(22)를 차단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로서, 3은 차광 렌즈(20)가 삽입 설치되는 렌즈 케이스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 다.
본 고안은 작업자가 안면 보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작업물 또는 작업부위 등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용접 작업을 원활히 행하면서 각종 유해광으로 부터 눈을 보호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작업자는 착용부(30)를 이용하여 보호대(10)를 안면에 착용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보호대(10)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종래 용접작업을 위해서 2개 이상의 용접물을 결합하는 취부작업을 행하기 위해서 다른 1명의 보조자가 결합물을 잡아 주어야 하는데 반하여 작업자가 직접 한손으로 작업물의 용접위치를 취부하고 용접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작업자가 보호대(10)를 착용한 상태에서 혼자 용접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작업자가 종래와 같이 보호대를 벗거나 용접봉에 의해 불꽃을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차광 렌즈(20)의 하부에 형성된 투시차광부(22)를 통해 전방의 작업 환경을 원할히 식별하면서 용접작업을 행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작업자의 눈을 아래로 향하면서 차광 렌즈(20)를 이루는 유해광을 차단하기 위해 아주 짙은 색상으로 처리된 차광부(21) 하부의 상기 차광부 보다 옅은 색상으로 처리되어 작업자가 투시 가능한 투시차광부(22)를 통해 작업물, 작업물의 용접위치 등을 용이하게 식별함에 따라 작업물의 용접위치를 취부한 상태에서 용접봉을 작업물의 용접 위치에 정확히 위치하여 용접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접작업을 행할 때에는 작업자는 계속적으로 차광 렌즈(20)의 투시차광부(22)를 쳐다 보는 것이 아니라 차광 렌즈(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차광부(21)를 통해 식별하므로 작업자의 눈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 용접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업자가 작업물, 용접 위치 등을 확인할 때에는 투시차광부(22)를 이용하고, 용접작업시에는 차광부(21)를 이용하므로 눈을 보호하면서도 용접 작업을 우수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용접작업시에 차광 렌즈(20)의 전방 하부에 힌지(26) 결합된 차광판(25)을 상부로 회전작동하여 상기 차단판(25)이 렌즈의 투시차광부(22)를 모두 차단하도록 한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용접작업시 차광부(21)와 투시차광부(22)를 갖는 차광 렌즈(20)에 익숙하지 않아 작업의 불편을 느끼는 작업자에게 투시차광부(22)를 차단하므로서 작업의 불편을 해소함은 물론 상기 차광 렌즈(20)를 통해 각종 유해광을 차단하도록 하므로서 유해광인 고도의 자외선이나 가시광선, 적외선 등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전방을 식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판(25)을 하방향으로 원위치 회전시켜 차광 렌즈(20)의 투시차광부(22)의 차단을 해제하면서 작업물 등을 효과적으로 확인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차광 렌즈(20)의 차광부(21)와 투시차광부(22)를 상하로 복합 구성하는 것외에 좌우로 복합 구성하여 좌우 차광부와 투시차광부를 선택 이용하도록 변형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차광부와 투시차광부를 선택 이용하는 것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면도.

Claims (3)

  1. 안면을 감싸는 보호대(10)와 상기 보호대 중앙 상부의 차광 렌즈 및 머리에 착용하기 위한 착용부(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차광 렌즈(20)는 각종 유해광을 차단하기 위해 아주 짙은 색상으로 처리된 통상의 차광부(21)와 상기 차광부 보다 옅은 색상으로 처리되어 작업자가 투시 가능한 투시차광부(22)를 상하로 복합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안면 보호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렌즈(20)의 전방 하부에는 힌지(26)에 의해 상하로 회전작동하면서 렌즈의 투시차광부(22)를 차단하는 차단판(25)이 추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안면 보호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25)는 보호대(10)와 같이 각종 유해광을 차단하기 위한 불투명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안면 보호 마스크.
KR2020070012021U 2007-07-20 2007-07-20 용접용 안면 보호 마스크 KR200900007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021U KR20090000741U (ko) 2007-07-20 2007-07-20 용접용 안면 보호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021U KR20090000741U (ko) 2007-07-20 2007-07-20 용접용 안면 보호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741U true KR20090000741U (ko) 2009-01-23

Family

ID=41298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2021U KR20090000741U (ko) 2007-07-20 2007-07-20 용접용 안면 보호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74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196Y1 (ko) * 2010-03-30 2012-05-09 김근섭 전기용접용 보안경
KR102147827B1 (ko) * 2019-11-14 2020-08-25 손창오 용접마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196Y1 (ko) * 2010-03-30 2012-05-09 김근섭 전기용접용 보안경
KR102147827B1 (ko) * 2019-11-14 2020-08-25 손창오 용접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166B1 (ko) 마스크 탈착형 자동 차광 고글
AU2015315999B2 (en) Welding helmet having an HUD-type auto-darkening filter
CN105769439B (zh) 一种新型防护面屏
KR101201483B1 (ko) 용접용 마스크
AU2018335559A1 (en) Welding helmet
KR102042842B1 (ko) 안경 또는 방진마스크를 착탈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는 고글
US20070089216A1 (en) Welding helmet
KR20090000741U (ko) 용접용 안면 보호 마스크
KR102353943B1 (ko) 패널 및 ar 코팅층을 포함하는 용접 보호구
KR20090096063A (ko) 용접용 안면보호 장비
JP2005261606A (ja) 紫外レーザ用保護具及び紫外レーザ用保護具セット
KR101178254B1 (ko) 용접용 투시 보호구
FI77153C (fi) Skyddsanordning.
KR100828383B1 (ko) 용접용 안면 보호 마스크
KR100925237B1 (ko) 다목적 용접용 보안면
KR101923541B1 (ko) 안면 보호 마스크용 차광판
KR200487082Y1 (ko) 다목적 보안면
KR200395839Y1 (ko) 용접용 보안면
KR101267390B1 (ko) 용접용 마스크
KR101170960B1 (ko) 김서림 방지 용접용 마스크
JP7317313B2 (ja) 遮光具
TW201315453A (zh) 工程防護面罩
FI90623B (fi) Suojalaite
CN213646401U (zh) 多功能焊接组合护具
KR200369307Y1 (ko) 용접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