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186B1 - 자동차용 타이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186B1
KR100878186B1 KR1020070124379A KR20070124379A KR100878186B1 KR 100878186 B1 KR100878186 B1 KR 100878186B1 KR 1020070124379 A KR1020070124379 A KR 1020070124379A KR 20070124379 A KR20070124379 A KR 20070124379A KR 100878186 B1 KR100878186 B1 KR 100878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length
groove
small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훤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4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69Tie bars for linking block elements and bridging the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 B60C2011/0334Stiff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록 간의 강성차를 감소시켜서 된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의 트레드 표면에는 그루브를 형성시킴에서 오는 다수의 블록이 존재하게 되는 바, 이러한 블록에 의한 발생 소음의 주파수대를 달리하게 하여 소음의 공진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블록의 크기를 달리 형성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블록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시키게 되면 블록 간에 강성 차이가 발생하고 따라서 이상마모 및 진동 발생의 염려가 컸었다. 이에 본 발명은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블록의 크기를 달리 형성시킨다 하더라도 크기를 달리하는 블록의 강성이 유사하게 하여 이상마모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크기가 작은 블록은 인접 블록과의 사이의 그루브에 연결부를 형성시키어 연결부가 작은 블록의 강성을 보강하여 블록간의 강성차를 감소시키게 한 것임.
타이어, 블록, 그루브, 타이 바, 연결턱, 연결구역, 블록간의 강성차.

Description

자동차용 타이어{Pneumatic vehicle tire improved durability}
본 발명은 자동차용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록 간의 강성차를 감소시켜서 된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을 이루는 각개의 블록들의 크기는 상이하게 되어 있는데 이는 소음을 특정 주파수에 집중시키지 않고 분산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블록의 크기가 다르게 되면 각 블록 간에 강성의 차이가 발생되고, 이러한 강성 차이는 주행시 블록의 움직임량을 다르게 한다. 즉, 작은 블록은 강성이 약하므로 고무의 움직임이 활발하여 열이 많이 발생되어 쉽게 마모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간에 마모 정도가 상이하게 되는 중대한 결점이 있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크기가 큰 블록에는 많은 커프를 형성시키고 작은 블록에는 적은 커프를 형성시키어 블록의 강성 차이를 감소시키거나, 트레드부에 형성되는 블록이 대,중,소의 서로 다른 크기의 단위피치로 배열을 형성되는 것에 있어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블록에서 크기가 큰 블록은 양 측벽 경사각을 급격하게 형성시키고 작은 블록은 완만하게 형성시키거나(특허출원번호: 2003-0092077), 또한 트레드 외측 블록의 각각의 크기가 대중소 3단계로 구분된 저소음 설계의 타이어에 있어서, 소블록과 중블록이 이루는 그루브의 소블록측 그루브벽에는 볼록한 돌출부를 형성시키고, 중블록과 대블록이 이루는 그루브의 대블록측 그루브벽에는 오목한 함몰부를 형성시켜서 된 타이어(특허출원번호: 2006-0073694)가 제공된 바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타이어에 있어서는 큰 블록의 강성을 저하시키어 작은 블록의 강성과 조화를 이루도록 구성시킴으로써 타이어 전체의 강성을 저하시키는 중대한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큰 블록의 강성을 저하시키지 아니하고 작은 강성을 가지는 작은 블록의 강성을 강화하여 강성이 큰 쪽으로 강성이 조화되도록 함으로서 각 블록간의 강성을 조절하여, 타이어 트레드 전체적으로 강성이 약화되지 아니하게 하면서 강성이 유사하게 하여 이상 마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숄더부에 형성시키는 블록을 다수의 피치로 나누어 형성시키되, 단위 피치를, "대블록(11)-대블록(12)-중블록(21)-소블록(31)-소블록(32)-중블록(22)"으로 형성시키고 블록과 블록 사이의 횡그루브에 강성 조절을 위한 타이바(Tie bar)를 형성시키되, 대블록(11)과 대블록(12) 사이의 횡그루브(51)에는 타이바를 형성시키지 아니하고, 소블록쪽의 횡그루브로 갈수록 타이바의 높이와 폭을 증대시켜 소블록쪽의 강성을 대블록의 강성에 가깝게 강화시켜서 된 타이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큰 블록의 강성을 저하시키지 아니하고 작은 강성을 가지는 작은 블록의 강성을 강화하여 강성이 큰 쪽으로 강성이 조화되도록 각 블록 간의 강성을 조절하여, 타이어 트레드 전체적으로 강성이 약화되지 아니하게 하면서 강성이 유사하게 하여 이상 마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주행방향에 대한 블록 간의 강성차가 적어져서 진동이 줄어들게 되어 승차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트레드와 사이드월 및 비드부로 구성되고, 트레드가 주행방향의 주그루브와; 최외측 주그루브 외측의 숄더부에 블록을 형성시키며, 숄더부에 형성시키는 블록을 다수의 피치로 나누어 형성시키되, 단위 피치를, 대블록과 중블록 및 소블록으로 형성시키며, 블록과 블록 사이의 횡그루브에 강성 조절을 위한 타이바(Tie bar)를 형성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본 발명은 대블록과 대블록 사이의 횡그루브에는 타이바를 형성시키지 아니하고, 소블록쪽의 횡그루브로 갈수록 타이바의 높이와 폭을 증대시켜 소블록쪽의 강성을 대블록의 강성에 가깝게 강화시켜서 된 타이어를 제공한다.
대,중,소 블록의 배치는 필요에 따라 예컨대, "대블록-중블록-소블록"을 하나의 피치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 외측 주그루브(4)의 외측인 숄더부에 형성시키는 블록을 "대블록(11)-대블록(12)-중블록(21)-소블록(31)-소블록(32)-중블록(22)"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블록과 블록 사이의 횡그루브에 타이바를 설치함에 있어서, 본 발명은 타이바의 높이와 폭의 기준을 제공하는 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타이바의 높이 설정;
대블록과 중블록 사이의 그루브(52)에 형성시키는 타이바(6)의 높이(H1)는;
주그루브(4)깊이(D)에 소블록(31, 32)의 길이(L3)를 대블록(11, 12)의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의 1/2[H1=D*(L3/L1)/2]로 형성시키고, 중블록과 중블록 사이의 그루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형성시키는 타이바의 높이는;
주그루브(4)깊이(D)에 소블록(31, 32)의 길이(L3)를 대블록(11, 12)의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H1=D*(L3/L1)]으로 형성시키고,
중블록(21)과 소블록(31) 사이의 그루브에 형성시키는 타이바(61)의 높이는;
주그루브(4)의 깊이(D)와 중블록(21)의 길이(L2)를 대블록(12)의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의 1/2[D*(L2/L1)/2]로 형성시키며,
소블록(31)과 소블록(32) 사이의 그루브에 형성시키는 타이바(62)의 높이는;
주그루브(4)의 깊이(D)에 중블록(21)의 길이(L2)를 대블록(12)의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D*(L2/L1)]으로 형성시키며,
대블록과 소블록 사이의 그루브에 형성시키는 타이바(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높이는;
주그루브(4)의 깊이(D)에 중블록(21)의 길이(L2)를 대블록(12)의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의 1/3[D*(L2/L1)/3]로 형성시키며,
타이바의 폭 설정;
대블록과 중블록 사이의 그루브(52)에 형성시키는 타이바(6)의 폭(W);
숄더에 형성시키는 위의 대,중,소블록의 폭으로, 주그루브(4)에 접하는 블록 중앙측단으로부터 트레드 단부 까지의 거리인 숄더 블록 폭(ShW)에 소블록(31) 길이(L3)를 대블록(11, 12)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의 결과에 대해 1/2의 길이[ShW*(L3/L1)/2]로 설정한다.
중블록과 중블록 사이의 그루브에 형성시키는 타이바의 폭;
숄더 블록 폭(ShW)에 소블록(31) 길이(L3)를 대블록(11, 12)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ShW*(L3/L1)]으로 설정한다.
중블록(21)과 소블록(31) 사이의 그루브에 형성시키는 타이바(61)의 폭(W1);
숄더 블록 폭(ShW)에 중블록(21) 길이(L2)를 대블록(11, 12)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의 1/2[ShW*(L3/L1)/2]로 설정한다.
소블록(31)과 소블록(32) 사이의 그루브에 형성시키는 타이바(62)의 폭(W2);
숄더 블록 폭(ShW)에 중블록(21) 길이(L2)를 대블록(11, 12)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ShW*(L2/L1)]으로 설정한다.
대블록과 소블록 사이의 그루브에 형성시키는 타이바(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폭;
숄더 블록 폭(ShW)에 중블록(21) 길이(L2)를 대블록(11, 12)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의 1/3[ShW*(L2/L1)/3]로 설정한다.
도1은 본발명의 일시시예에 있어서의 트레드 숄더부 발췌 평면도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가-가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대블록
21, 22. 중블록
31, 32. 소블록
4. 주그루브
51, 52, 53. 횡그루브
6, 61, 62. 타이 바

Claims (3)

  1. 트레드와 사이드월 및 비드부로 구성되고, 트레드가 주행방향의 주그루브와; 최외측 주그루브 외측의 숄더부에 블록을 형성시키며, 숄더부에 형성시키는 블록을 다수의 피치로 나누어 형성시키되, 단위 피치를, 대블록과 중블록 및 소블록으로 형성시키며, 블록과 블록 사이의 횡그루브에 강성 조절을 위한 타이바(Tie bar)를 형성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본 발명은 대블록과 대블록 사이의 횡그루브에는 타이바를 형성시키지 아니하고, 소블록쪽의 횡그루브로 갈수록 타이바의 높이와 폭을 증대시켜 소블록쪽의 강성을 대블록의 강성에 가깝게 강화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타이바의 높이는;
    대블록과 중블록 사이의 그루브(52)에 형성시키는 타이바(6)의 높이(H1)가;
    주그루브(4)깊이(D)에 소블록(31, 32)의 길이(L3)를 대블록(11, 12)의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의 1/2[H1=D*(L3/L1)/2]로 형성되고, 중블록과 중블록 사이의 그루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형성시키는 타이바의 높이가;
    주그루브(4)깊이(D)에 소블록(31, 32)의 길이(L3)를 대블록(11, 12)의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H1=D*(L3/L1)]으로 형성되고,
    중블록(21)과 소블록(31) 사이의 그루브에 형성시키는 타이바(61)의 높이가;
    주그루브(4)의 깊이(D)에 중블록(21)의 길이(L2)를 대블록(12)의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의 1/2[D*(L2/L1)/2]로 형성되며,
    소블록(31)과 소블록(32) 사이의 그루브에 형성시키는 타이바(62)의 높이가;
    주그루브(4)의 깊이(D)에 중블록(21)의 길이(L2)를 대블록(12)의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D*(L2/L1)]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타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타이바의 폭은,
    대블록과 중블록 사이의 그루브(52)에 형성시키는 타이바(6)의 폭(W)이; 숄더에 형성시키는 위의 대,중,소블록의 폭으로, 주그루브(4)에 접하는 블록 중앙측단으로부터 트레드 단부 까지의 거리인 숄더 블록 폭(ShW)에 소블록(31) 길이(L3)를 대블록(11, 12)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의 결과에 대해 1/2의 길이[ShW*(L3/L1)/2]로 설정되고,
    중블록과 중블록 사이의 그루브에 형성시키는 타이바의 폭이; 숄더 블록 폭(ShW)에 소블록(31) 길이(L3)를 대블록(11, 12)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ShW*(L3/L1)]으로 설정되며,
    중블록(21)과 소블록(31) 사이의 그루브에 형성시키는 타이바(61)의 폭(W1)이; 숄더 블록 폭(ShW)에 중블록(21) 길이(L2)를 대블록(11, 12)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의 1/2[ShW*(L3/L1)/2]로 설정되고,
    소블록(31)과 소블록(32) 사이의 그루브에 형성시키는 타이바(62)의 폭(W2) 이 숄더 블록 폭(ShW)에 중블록(21) 길이(L2)를 대블록(11, 12)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ShW*(L2/L1)]으로 설정되고,
    대블록과 소블록 사이의 그루브에 형성시키는 타이바(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폭이 숄더 블록 폭(ShW)에 중블록(21) 길이(L2)를 대블록(11, 12) 길이(L1)로 나눈 값을 곱한 값의 1/3[ShW*(L2/L1)/3]로 설정하여서 된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타이어.
KR1020070124379A 2007-12-03 2007-12-03 자동차용 타이어 KR100878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379A KR100878186B1 (ko) 2007-12-03 2007-12-03 자동차용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379A KR100878186B1 (ko) 2007-12-03 2007-12-03 자동차용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186B1 true KR100878186B1 (ko) 2009-01-13

Family

ID=4048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379A KR100878186B1 (ko) 2007-12-03 2007-12-03 자동차용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509B1 (ko) * 2012-01-05 2013-11-2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이상마모방지를 위한 공기입타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016A (ja) 1998-03-30 1999-10-12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00225813A (ja) 1999-02-05 2000-08-15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01030715A (ja) 1999-07-16 2001-02-06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04161202A (ja) 2002-11-15 2004-06-10 Yokohama Rubber Co Ltd:The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016A (ja) 1998-03-30 1999-10-12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00225813A (ja) 1999-02-05 2000-08-15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01030715A (ja) 1999-07-16 2001-02-06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04161202A (ja) 2002-11-15 2004-06-10 Yokohama Rubber Co Ltd:The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509B1 (ko) * 2012-01-05 2013-11-2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이상마모방지를 위한 공기입타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9447B2 (en) Pneumatic tire
EP1669217A4 (en) TIRE
US9469159B2 (en) Pneumatic tire
US8887779B2 (en) Pneumatic tire
KR101069327B1 (ko) 타이바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WO2007023759A1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878186B1 (ko) 자동차용 타이어
KR101520281B1 (ko)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JP3898268B2 (ja) タイヤ加硫モールドの製造方法
JP2005041393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573624B1 (ko) 스노우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구조
WO2013018890A1 (ja) タイヤ
JP2007216801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592061B1 (ko)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JP2012106585A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00065958A (ko) 타이 바를 개량하여서 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KR20070010560A (ko)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KR101010750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JPH09156324A (ja)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KR101992427B1 (ko) 리브에 홈이 형성된 타이어
JPS6150804A (ja) 低騒音タイヤ
KR100826767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의 패턴구조
JP5251533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0125395Y1 (ko) 비대칭으로 구성되는 래디얼 타이어의 벨트
KR20070098004A (ko) 쏠림특성을 고려한 캡플라이가 구비된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