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030B1 - 지연 고정 루프 기반의 주파수 체배 기능을 갖는 클럭발생기 - Google Patents

지연 고정 루프 기반의 주파수 체배 기능을 갖는 클럭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030B1
KR100878030B1 KR1020050134337A KR20050134337A KR100878030B1 KR 100878030 B1 KR100878030 B1 KR 100878030B1 KR 1020050134337 A KR1020050134337 A KR 1020050134337A KR 20050134337 A KR20050134337 A KR 20050134337A KR 100878030 B1 KR100878030 B1 KR 100878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lay
clock signal
output
reference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1141A (ko
Inventor
김철우
정경훈
안성훈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134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030B1/ko
Publication of KR20070071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1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03L7/0814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the phase shifting device being digitally controll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19/00Generation of oscillations by non-regenerative frequency multiplication or division of a signal from a separate source
    • H03B19/06Generation of oscillations by non-regenerative frequency multiplication or division of a signal from a separate source by means of discharge device or semiconductor device with more than two electrodes
    • H03B19/14Generation of oscillations by non-regenerative frequency multiplication or division of a signal from a separate source by means of discharge device or semiconductor device with more than two electrodes by means of a semiconductor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89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the phase or frequency detector generating up-down puls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89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the phase or frequency detector generating up-down pulses
    • H03L7/089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the phase or frequency detector generating up-down pulses the up-down pulses controlling source and sink current generators, e.g. a charge pum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a lock detector

Landscapes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연 고정 루프 기반의 주파수 체배 기능을 갖으며 입출력 신호의 위상을 고정하는 클럭 발생기에 대하여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클럭 발생기는 기준 클럭 신호를 입력하는 직렬 연결된 다수개의 지연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클럭 신호와 상기 지연단들 중 마지막 지연단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지연단들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지연 고정 루프; 및 상기 지연 고정 루프의 출력 신호들과 이 출력 신호 들의 상보 출력 신호들의 사이의 지연 시간에 대응되는 펄스를 갖는 체배된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 체배기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한다.
클럭 발생기, 지연 고정 루프, 주파수 체배기, 위상 검출부, 전압 제어 지연선

Description

지연 고정 루프 기반의 주파수 체배 기능을 갖는 클럭 발생기{Clock generator having frequency multiplying function based delay locked loop}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럭 발생기를 설명하는 블락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도 1의 지연 고정 루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락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도 2의 지연단을 설명하는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도 1의 주파수 체배기를 설명하는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도 4의 전압 제어 지연선의 출력 신호들과 상보 출력 신호들의 관계를 설명하는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도 4의 주파수 체배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도 1의 록킹 검출부를 설명하는 블락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도 7의 록킹 검출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도 1의 위상 검출부를 설명하는 블락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도 9의 위상 검출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은 집적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연 고정 루프 기반의 주파수 체배 기능을 갖는 클럭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고성능으로 발전하면서, 컴퓨터와 디지털 통신의 여러 부품들의 대역폭이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가 전송되거나 이동하는 시간은 더욱 짧아지고 있으며, 이를 판별하여 처리하는 시간 또한 짧아지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를 저장할 때 레지스터가 안정화되는 시간은 더 이상 짧아지지 않는다.
종래의 수만에서 수십만개의 트랜지스터가 집적될 때와 달리, 수백만이나 1억개 이상의 트랜지스터가 집적되는 시스템 온 칩(SoC)의 환경에서는 잡음과 스큐의 증가가 예상된다. 왜냐하면, 시스템 온 칩에 아날로그 블록과 디지털 블록이 함께 집적됨에 따라, 디지털 블록에서 발생하는 스위칭 잡음이 전원 전압과 접지 전압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많은 트랜지스터들의 집적으로 칩의 크기가 증가하는데, 이 때문에 클록 스큐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이 점점 더 고속화, 집적화되어감에 따라 저지터의 클록 발생기의 개발은 중요하다.
한편, 저전력의 프로세서를 위해서 빠른 록킹 타임을 갖는 클록 발생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프로세서는 록킹 동작 동안 전력 소모가 커질 수 있다. 저전력의 프로세서를 구현하기 위하여, 동적 전원 전압 제어와 함께 동적 주파수 체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제안은 프로세서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 전압과 함 께 주파수를 변환하여 필요한 만큼의 전력을 소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여러 가지 블록들이 필요하지만, 필수적으로 빠른 록킹 시간을 갖고 주파수가 변화하는 클록 발생기가 요구된다.
기존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클록 발생기는 위상 고정 루프(Phase Locked Loop : PLL) 기반의 클록 발생기이다. 위상 고정 루프는 전압 제어 방식의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 VCO)의 주파수를 조정함으로 동작하게 된다. 전압 제어 발진기는 폐루프로 구성되어, 구조적으로 지터가 누적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전압 제어 발진기는 주파수가 변화할 때마다 록킹 시간이 오래 걸려 저전력을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게다가, 기존의 위상고정루프 기반의 클록 발생기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출력이 분주기를 거쳐서 기준 클럭 신호와 비교되므로, 분주기 위상만큼 오차가 발생하고 3차 이상의 특성식을 가지므로 불안정하게 동작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연 고정 루프 방식의 주파수 체배 기능을 갖고 입출력 신호의 위상을 고정시킬 수 있는 클럭 발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클럭 발생기는
기준 클럭 신호를 입력하는 직렬 연결된 다수개의 지연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클럭 신호와 상기 지연단들 중 마지막 지연단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지연단들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지연 고정 루프; 및 상기 지연 고정 루프의 출력 신호들과 이 출력 신호 들의 상보 출력 신호들의 사이의 지연 시간에 대응되는 펄스를 갖는 체배된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 체배기를 포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럭 발생기를 설명하는 블락 다이어그램이다. 이를 참조하면, 클럭 발생기(100)는 지연 고정 루프(110), 주파수 체배기(Frequency Multiplier, 120), 록킹 검출부(Lock Detector, 130), 스위칭부(140), 위상 검출부(Phase Detector, 150), 전하 펌프부(Charge Pump, 160), 그리고 루프 필터부(Loop Filter, 170)를 포함한다.
지연 고정 루프(110)는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연 고정 루프(110)는 버퍼부(210), 전압 제어 지연선(220), 초기 제어 회로(230), 위상 검출기(240), 전하 펌프(250), 그리고 루프 필터(260)를 포함한다.
버퍼부(210)는 기준 클럭 신호(fref)를 입력하여 차동 신호들(fref_in, frefb_in)을 출력한다. 전압 제어 지연선(220)은 차동 신호들(fref_in, frefb_in)을 입력하고, 제어 신호(Vc)에 따라 지연 정도를 조절한다. 전압 제어 지연선(220)은 다수개의 지연단들(221-224)로 구성된다. 각 지연단들(221-224)은 도 3의 회로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지연단들(221-224)은 전원 전압(Vcc)과 접지 전압(Vss)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M3)와 제1 트랜지스터(M1), 제4 트랜지스터(M4)와 제2 트랜지스터(M2)를 포함한다. 제3 트랜지스터(M3)와 제4 트랜지스터(M4)는 게이트와 드레인이 서로 교차 연결되어 있고, 그 드레인들이 차동 출력 신호들(out, outb)로 출력된다.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M1, M2)의 게이트들은 제1 및 제2 차동 신호(in, inb)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각 지연단들(221-224)은 전원 전압(Vcc)과 제1 및 제2 차동 출력 신호(out, outb) 사이에, 제어 신호(vc)가 그 게이트들에 연결되는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들(M5, M6)을 더 포함한다.
각 지연단들(221-224)은 제어 신호(Vc)의 전압 레벨에 따라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들(M5, M6)을 통해 제1 및 제2 차동 출력 신호들(out, outb)로 공급되는 전류 량에 따라 그 지연 시간이 달라진다.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마지막 지연단(224)의 출력 신호(D8)는 피이드백되어 초기 제어 회로(230)로 입력된다. 전압 제어 지연선(220)은 그 지연 정도가 한 주기에 맞춰져야 한다. 즉,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범위는 수학식 1과 같이 되어야 한다.
Figure 112005078077705-pat00001
만약, 전압 제어 지연선(220)이 이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지연 고정 루프(110)는 한 주기 미만에서 록킹이 되지 않거나, 두 주기에서 록킹이 되는 잘못된 록킹(false locking)을 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초기 제어 회로(230)가 이용된다. 초기 제어 회로(230)는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지연 정도가 한 주기가 되도록 조절한다. 또한 초기 제어 회로(230)는 저지터의 주파수 체배를 위해서 정적 위상 오차를 줄인다.
위상 검출기(240)는 기준 클럭 신호(Fref_in)와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출 력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업 신호(UP) 또는 다운 신호(DN)의 펄스를 발생한다. 전하 펌프(250)는 이러한 업 신호(UP) 또는 다운 신호(DN) 펄스에 따라 전하를 공급 또는 방출함으로 제어 신호(Vc)를 변화시킨다. 루프 필터(260)는 제어 신호(Vc)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다.
이에 따라, 지연 고정 루프(110)의 출력(D1~DN)은 동일한 위상차를 가지고 지연되어 출력된다. 지연 고정 루프(110)의 출력(D1~DN)은 기준 클록 신호(fref)와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마지막 지연단의 출력 신호(D8)가 동기화 된다.
주파수 체배기(120)는 체배된 클럭 신호(fmul_locked)를 출력하는 부분으로,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다중 위상 신호를 이용하는데, 마지막 위상 신호(D8)와 기준 클럭 신호(fref)의 차이가 나게 되면, 이것이 체배된 신호의 지터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지터를 없애기 위하여, 주파수 채배기(120)는 전하 펌프가 적은 전류 미스매치가 되도록 하며 전하 공유(charge sharing)를 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삭제
삭제
주파수 체배기(12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주파수 체배기(120)는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출력(D1 ~ DN)을 입력한다. 주파수 체배기(120)는 전원 전압(Vcc)이 그 소스에 연결되는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401)를 포함한다.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401)의 게이트는 접지 전압(Vss)에 연결된다. 제2 및 제3 피모스 트랜지스터(402, 403)의 소스들은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401)의 드레인과 연결되고, 그 게이트들은 접지 전압(Vss)에 연결된다.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402)의 드레인은 다수개의 체배 라인부들(412-418)과 연결되고, 제3 피모스 트랜지스터(403)의 드레인은 다수개의 체배 라인부들(411-417)과 연결된다. 체배 라인부들(412-418)은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402)의 드레인과 접지 전압(Vss) 사이에,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짝수번 출력 신호들(D2, Db2, D4, Db4, D6, Db6, D8, Db8)이 그 게이트들에 연결되는 직렬 연결된 엔모스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된다. 체배 라인부들(411-417)은 제3 피모스 트랜지스터(403)의 드레인과 접지 전압(Vss) 사이에,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홀수번 출력 신호들(D1, Db1, D3, Db3, D5, Db5, D7, Db7)이 그 게이트들에 연결되는 직렬 연결된 엔모스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된다.
도 5는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출력 신호들(D1-D8)과 상보 출력 신호들(Db1-Db8)의 관계를 설명하는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출력 신호(Di)는 홀수개의 직렬 연결된 인버터들로 입력되어, 상보 출력 신호(Dbi)로 출력된다.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출력 신호(Di)와 상보 출력 신호(Dbi)는 소정의 지연 시간을 갖고 서로 반대되는 로직 레벨로 발생된다.
도 4의 주파수 체배기(120)는 수학식 2의 관계에 의해서 주파수를 체배하게 된다.
Figure 112008021262757-pat00013
주파수 체배기(120)의 동작은 도 6과 같이 나타난다.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짝수번 출력 신호들(D2, Db2, D4, Db4, D6, Db6, D8, Db8)은 T/2+δ의 하이 펄스 듀레이션과 T/2-δ의 로우 펄스 듀레이션을 갖는 클럭 신호들로 발생된다. 주파수 체배기(120)의 출력(out)은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짝수번 출력 신호(D2, D4, D6, D8)와 상보 짝수번 출력 신호(Db2, Db4, Db6, Db8) 사이의 지연 시간 만큼의 로우 펄스를 갖는 클럭 신호로 발생된다. 주파수 체배기(120)의 출력(out)은 체배된 클럭 신호(fmul_locked)가 된다.
지연 고정 루프(110, 도 1)가 록킹이 되기 전까지 전압 제어 지연선(220, 도 2)에서 지연된 출력 신호들(D1~DN)은, 엄밀히 말해, 기준 클록 신호(fref)를 정확이 N(N은 자연수) 등분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러한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출력 신호들(D1~DN)을 주파수 체배기(120)가 사용한다면, 정확하게 체배된 클럭 신호(fmul_locked)를 얻을 수 없다. 또한 부정확하게 체배된 클록 신호들(fmul_locked)에 의해서 위상 검출부(150)의 업 신호(UP) 또는 다운 신호(DOWN)들이 오동작의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러한 오동작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지연 고정 루프(110)의 록킹 후에 두 번째 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록킹 검출부(130)를 더 구비한다.
록킹 검출부(130)는 도 7에 구체적으로 도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록킹 검출기(130)는 배타적 논리합 로직부(XOR, 710), 제1 및 제2 D-플립플롭들(720, 730), 노아 로직부(NOR, 740), 그리고 앤드 로직부(750)를 포함한다.
배타적 논리합 로직부(710)는 기준 클럭 신호(fref)와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마지막 지연단(224)의 출력 신호(D8)를 입력하여 배타적 논리합한다. 배타적 논리합 로직부(710)의 출력(N710)은 제1 및 제2 D-플립플롭들(720, 730)로 입력 된다.
제1 D-플립플롭(720)은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첫번째 지연단(221)의 출력 신호(D1)에 응답하여 배타적 논리합 로직부(710)의 출력(N710)을 래치한다. 제2 D-플립플롭(730)은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네번째 지연단(미도시)의 출력 신호(D4b)에 응답하여 배타적 논리합 로직부(710)의 출력(N710)을 래치한다.
노아 로직부(740)는 제1 D-플립플롭(720)의 출력과 제2 D-플립플롭(730)의 출력을 입력하고, 그 출력(N720)을 앤드 로직부(750)로 전달한다. 앤드 로직부(750)는 초기 제어 회로(230, 도 2)의 출력 신호와 노아 로직부(740)의 출력(N720)을 입력하여 스위치 제어 신호(SW_con)를 출력한다.
록킹 검출부(130)는 도 8과 같이 동작한다. 기준 클록 신호(fref)와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마지막 지연단(224)의 출력 신호(D8)가 동기화되어야 록킹 상태가 된다. 록킹 검출부(130)는 완벽한 록킹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목적하는 것이 아니라, 두 번째 루프가 오동작하지 않을 정도의 록킹 상태(Coarse Lock)를 검출하여 제어하게 된다. 록킹 검출부(130)의 동작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도 8의 (a) 부분과 (b) 부분은 록킹이 안된 상태이고, (c) 부분은 어느 정도 록킹이 되어서 두 번째 루프의 스위치부(140)를 온시키는 스위치 제어 신호(SW_con)를 발생하게 된다.
록킹 검출부(130)는 지연 고정 루프(110)가 록킹되어 동일한 위상차를 가지고 전압 제어 지연 신호들을 발생할 때까지 스위칭부(140)를 제어한다. 즉, 지연 고정 루프(110)가 어느 정도 록킹 상태에 이르기 전까지는 스위칭부(140)를 오프시켜 놓는다.
체배된 클록 신호(fmul_locked)는 위상 검출부(150)로 귀환하여 기준 클록 신호(fref)와 다시 위상을 비교하게 되며 동기화될 때까지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제어로 위상을 조절한다. 체배된 클록 신호(fmul_locked)는 기준 클록 신호(fref)보다 주파수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기준 클록 신호(fref)가 로직 로우 상태로 떨어지기 전에 여러번 신호 레벨을 바꿀 수 있다. 이 때문에, 위상 검출부(150)가 잘못된 업 신호(UP) 또는 다운 신호(DOWN)를 발생하므로 전하 펌프부(160)를 오작동시켜 위상을 동기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위상을 비교하기 위한 창(Window)을 이용하는 위상 검출기가 요구된다.
이러한 위상 검출부(150)는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위상 검출부(150)는 제1 버퍼부(910), 제1 윈도우 발생부(920), 기준 클럭 래치부(930), 제2 버퍼부(940), 제2 윈도우 발생부(950), 체배 클럭 래치부(960), 그리고 위상 검출기(970)로 구성된다.
제1 버퍼부(910)는 3단의 인버터 체인으로 구성되고, 기준 클럭 신호(fref)를 입력하여 반전된 기준 클럭 신호(frefb)를 출력한다. 제1 윈도우 발생부(920)는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출력 신호들(D7, Db1)을 입력하여 인에이블 신호(en)를 발생하는 앤드 게이트로 구성된다. 기준 클럭 래치부(930)는 인에이블 신호(en)와 반전된 기준 클럭 신호(frefb)를 입력하여 래치된 기준 클럭 신호(frefd)를 발생하는 낸드 게이트로 구성된다.
제2 버퍼부(940)는 3단의 인버터 체인으로 구성되고, 체배된 클럭 신호(fmul_locked)를 입력하여 반전된 체배 클럭 신호(fmulb)를 출력한다. 제2 윈도우 발생부(950)는 전압 제어 지연선(220)의 출력 신호들(D7, Db1)을 입력하여 인에이블 신호(en)를 발생하는 앤드 게이트로 구성된다. 체배 클럭 래치부(960)는 인에이블 신호(en)와 반전된 체배 클럭 신호(fmulb)를 입력하여 래치된 체배 클럭 신호(fmuld)를 발생하는 낸드 게이트로 구성된다.
위상 검출기(970)는 래치된 기준 클럭 신호(frefd)와 래치된 체배 클럭 신호(fmuld)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차에 응답하여 업 신호(UP) 또는 다운 신호(DN)를 발생한다.
위상 검출부(150)의 동작은 도 10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반전된 기준 클럭 신호(frefb)와 반전된 체배 클럭 신호(fmulb)는 인에이블 신호(en)의 로직 하이레벨 윈도우 내에서 래치된 기준 클럭 신호(frefd)와 래치된 체배 클럭 신호(fmuld)를 발생한다. 래치된 기준 클럭 신호(frefd)와 래치된 체배 클럭 신호(fmuld)의 위상차를 비교하여, 래치된 기준 클럭 신호(frefd)가 래치된 체배 클럭 신호(fmuld) 보다 앞서면 업 신호(UP)를 발생하고, 래치된 체배 클럭 신호(fmuld)가 래치된 기준 클럭 신호(frefd) 보다 앞서면 다운 신호(DN)를 발생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전하 펌프부(160)는 업 신호(UP) 또는 다운 신호(DN)에 응답하여 전압 제어 신호(Vc)의 레벨을 조절한다. 루프 필터부(170)는 전압 제어 신호(Vc)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다. 전하 펌프부(160)와 루프 필터부(170)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클럭 발생기(100)는 지연 고정 루프(110), 주파수 체배기(120) 그리고 록킹 검출부(130)로 구성되는 제1 지연 고정 루프 라인과, 스위칭부(140), 위상 검출부(150) 그리고 전하 펌프부(160)로 구성되는 제2 지연 고정 루프 라인으로 이루어진다. 2개의 지연 고정 루프 라인을 이용한 클록 발생기(100)는 1차의 안정된 특성식을 가지고 체배된 신호가 기준신호의 위상과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클럭 발생기는 1차의 안정된 특성식을 가지고, 체배된 클럭 신호가 기준 클럭 신호의 위상과 일치한다.

Claims (17)

  1. 기준 클럭 신호를 입력하는 직렬 연결된 다수개의 지연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클럭 신호와 상기 지연단들 중 마지막 지연단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지연단들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지연 고정 루프; 및
    상기 지연 고정 루프의 출력 신호들과 이 출력 신호 들의 상보 출력 신호들의 사이의 지연 시간에 대응되는 펄스를 갖는 체배된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 체배기를 포함하는 하는 클럭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고정 루프는
    상기 기준 클럭 신호를 입력하여 차동 클럭 신호들을 출력하는 버퍼부;
    상기 차동 클럭 신호를 입력하고,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지연단들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전압 제어 지연선;
    상기 기준 클럭 신호와 상기 마지막 지연단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압 제어 지연선의 지연 정도가 한 주기가 되도록 조절하는 초기 제어 회로;
    상기 기준 클럭 신호와 상기 전압 제어 지연선의 출력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검출기;
    상기 업 신호 또는 상기 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변화시키는 전하 펌프; 및
    상기 제어 신호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루프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발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체배기는
    전원 전압이 그 소스에 연결되고, 접지 전압이 그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이 그 소스들에 연결되고, 상기 접지 전압이 그 게이트들에 연결되는 제2 및 제3 피모스 트랜지스터들;
    상기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1 체배 라인부들; 및
    상기 제3 피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2 체배 라인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발생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배 라인부들은
    상기 전압 제어 지연선의 짝수번 출력 신호들과 짝수번 상보 출력 신호들이 그 게이트들에 연결되는 직렬 연결된 엔모스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발생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배 라인부들은
    상기 전압 제어 지연선의 홀수번 출력 신호들과 홀수번 상보 출력 신호들이 그 게이트들에 연결되는 직렬 연결된 엔모스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발생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생기는
    상기 기준 클럭 신호와 상기 전압 제어 지연선의 마지막 지연단의 출력 신호와의 동기화 상태를 검출하는 록킹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발생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검출부는
    상기 기준 클럭 신호와 상기 전압 제어 지연선의 마지막 지연단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는 배타적 논리합 로직부;
    상기 전압 제어 지연선의 첫번째 지연단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배타적 논리합 로직부의 출력을 래치하는 제1 D-플립플롭;
    상기 전압 제어 지연선의 네번째 지연단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배타적 논리합 로직부의 출력을 래치하는 제2 D-플립플롭;
    상기 제1 D-플립플롭의 출력과 제2 D-플립플롭의 출력을 입력하는 노아 로직부; 및
    상기 초기 제어 회로의 출력 신호와 상기 노아 로직부의 출력을 입력하는 앤드 로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발생기.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앤드 로직부의 출력 신호를 스위칭 제어신호로 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기준 클럭 신호와 상기 체배된 클럭 신호를 전송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기준 클럭 신호와 상기 체배된 클럭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고,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검출부; 및
    상기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전하 펌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발생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검출부는
    상기 기준 클럭 신호를 입력하여 반전된 기준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버퍼부;
    상기 전압 제어 지연선의 출력 신호들을 입력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윈도우 발생부;
    상기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반전된 기준 클럭 신호를 입력하여 래치된 기준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클럭 래치부;
    상기 체배된 클럭 신호를 입력하여 반전된 체배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버퍼부;
    상기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반전된 체배 클럭 신호를 입력하여 래치된 체배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체배 클럭 래치부; 및
    상기 래치된 기준 클럭 신호와 상기 래치된 체배 클럭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고, 위상차에 응답하여 상기 업 신호 또는 상기 다운 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클럭 발생기.
KR1020050134337A 2005-12-29 2005-12-29 지연 고정 루프 기반의 주파수 체배 기능을 갖는 클럭발생기 KR100878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337A KR100878030B1 (ko) 2005-12-29 2005-12-29 지연 고정 루프 기반의 주파수 체배 기능을 갖는 클럭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337A KR100878030B1 (ko) 2005-12-29 2005-12-29 지연 고정 루프 기반의 주파수 체배 기능을 갖는 클럭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141A KR20070071141A (ko) 2007-07-04
KR100878030B1 true KR100878030B1 (ko) 2009-01-13

Family

ID=3850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337A KR100878030B1 (ko) 2005-12-29 2005-12-29 지연 고정 루프 기반의 주파수 체배 기능을 갖는 클럭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0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175B1 (ko) 2008-12-26 2010-11-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KR101013920B1 (ko) 2008-07-30 2011-02-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파수 체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408B1 (ko) * 2006-11-21 2007-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연 동기 루프 회로 및 그것의 멀티플라이드 클럭생성방법
KR100913023B1 (ko) * 2007-09-14 2009-08-20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위상 클럭 발생기
KR101633860B1 (ko) * 2010-04-13 2016-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연 고정 루프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KR101480621B1 (ko) * 2013-06-21 2015-01-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하는 클럭 발생기
KR20150133327A (ko) 2014-05-19 2015-11-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반도체 시스템 및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9238A (en) 1998-05-12 2000-04-1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lock generator and clock generating method capable of varying clock frequency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delay elements
US6784707B2 (en) 2002-07-10 2004-08-3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Delay locked loop clock generator
KR100558554B1 (ko) 2004-01-07 200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내부 클럭 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9238A (en) 1998-05-12 2000-04-1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lock generator and clock generating method capable of varying clock frequency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delay elements
US6784707B2 (en) 2002-07-10 2004-08-3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Delay locked loop clock generator
KR100558554B1 (ko) 2004-01-07 200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내부 클럭 발생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920B1 (ko) 2008-07-30 2011-02-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파수 체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996175B1 (ko) 2008-12-26 2010-11-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US7986177B2 (en) 2008-12-26 2011-07-26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141A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2026B2 (en) Clock recovery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a clock recovery circuit
KR100878030B1 (ko) 지연 고정 루프 기반의 주파수 체배 기능을 갖는 클럭발생기
KR100486266B1 (ko) 멀티 위상을 갖는 지연 동기 루프
KR100340658B1 (ko) 지연형 위상 동기 회로
KR100861919B1 (ko) 다 위상 신호 발생기 및 그 방법
US6750692B2 (en)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internal clock signal
KR101379181B1 (ko) 외부 제어가 필요없는, 디지털 위상 잠금을 구비한 클록 추출 장치
KR100644127B1 (ko) 무한의 위상 이동 기능을 가지는 전압 제어 지연 라인을기반으로 하는 듀얼 루프 디엘엘
US5955902A (en) Frequency multiplier using a voltage controlled delay circuit
KR20140012312A (ko) 지연 고정 루프 회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806131B1 (ko) 패스트 락킹 위상 고정 루프
KR100682830B1 (ko) 락 검출기 및 이를 구비하는 지연 동기 루프
US10790837B1 (en) Self-tuning digital clock generator
JP5807065B2 (ja) 位相比較装置およびdll回路
WO2014008013A1 (en) Charge pump circuit
JP3755663B2 (ja) 半導体集積回路
US20110221476A1 (en) phase frequency detector
US7061287B2 (en) Delay locked loop
KR101022669B1 (ko) 지연고정루프회로
KR100303781B1 (ko) 레지스터 제어 디지털 디디엘에 있어서의 언록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언록 보상회로를 갖는 디디엘 클럭 발생기
KR100853862B1 (ko) 지연 고정 루프 기반의 주파수 체배기
CN110198162B (zh) 包括时钟发生电路的半导体器件
WO2019239984A1 (ja) 半導体装置
US7057428B2 (en) Circuit for generating phase comparison signal
Sengupta et al. A 133 MHz radiation-hardened delay-locked lo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