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659B1 - 차량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659B1
KR100877659B1 KR20070060493A KR20070060493A KR100877659B1 KR 100877659 B1 KR100877659 B1 KR 100877659B1 KR 20070060493 A KR20070060493 A KR 20070060493A KR 20070060493 A KR20070060493 A KR 20070060493A KR 100877659 B1 KR100877659 B1 KR 100877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signal
determination
bit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60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1548A (ko
Inventor
마사히로 스기우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7012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54Detection of the synchronisation error by features other than the received signal transition
    • H04L7/0066Detection of the synchronisation error by features other than the received signal transition detection of error based on transmission code ru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04L25/4904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using self-synchronising codes, e.g. split-phase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 H04L7/033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using the transitions of the received signal to control the phase of the synchronising-signal-generating means, e.g. using a phase-locked loop
    • H04L7/0331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using the transitions of the received signal to control the phase of the synchronising-signal-generating means, e.g. using a phase-locked loop with a digital phase-locked loop [PLL] processing binary samples, e.g. add/subtract logic for correction of receiver clock

Abstract

차량 통신 시스템(1)은 키 장치(3)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 장치(25, 27)로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하도록 차량 측 상에 수신 장치(1)를 갖는다. 그 후, 2개의 판단 장치(25, 27) 중 하나는 아날로그 신호가 고 임계값(VH)보다 큰 경우 고 값을 취하는 고 판정 신호를 출력하고 다른 판단 장치는 아날로그 신호가 저 임계값(VL)보다 적을 경우 저 값을 취하는 저 판정 신호를 출력한다. 그 후, 동기 신호 발생기(35)는 고 및 저 판정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 구간을 연속적으로 정의한다. 그 후, 아날로그 신호의 이진 레벨은 신호 레벨이 판단 장치(25, 27)에 의한 판단 및 부호화 규칙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없을 경우 부정 신호의 보정 및 추정과 함께, 판정 신호에 기초하여 레벨 판단 장치(37)에 의해 판단된다.
Figure R1020070060493
차량 통신 시스템, 판정 신호, 레벨 보정 장치, 수신 장치, 부호화

Description

차량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RECEIVING UNIT OF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키레스 엔트리 시스템의 블록 선도.
도2는 아날로그 신호뿐만 아니라 고-판정 신호 및 저-판정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동기 신호 발생 장치 내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4a는 데이터 레벨 판정 장치 내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4b는 데이터 레벨 판정 장치 내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5a 및 도5b는 레벨 보정 장치 내에서 사용되는 보정 규칙을 도시하는 도면.
도6a 및 도6b는 레벨 보정 장치 내에서 적용되는 보정 규칙의 보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동기 신호 발생 장치 내의 프로세스의 타임 차트.
도8은 제2 실시예의 동기 신호 발생 장치 내에서의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9a, 도9b 및 도9c는 부정 비트 구획에 대한 보정 규칙 및 보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레벨 보정 장치에서의 작동 모드 변화의 흐름도.
도11은 키레스 엔트리 시스템의 변형의 블록 선도.
도12a 및 도12b는 맨체스터 부호화 및 바이페이즈 부호화의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차량에서의 사용을 위한 차량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 장치와 휴대기 사이의 통신에 대한 다양한 기술들이 키레스 엔트리 시스템(keyless entry system), 스타트 엔트리 시스템 등으로서 사용되고, 이런 시스템은 무선 신호로부터 추출된 고유 디지털 데이터를 인증하도록 휴대기로부터 송신되고 차량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차량의 도어를 개방한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문헌 JP-A-H09-41754, JP-A-2000-170420,및 JP-A-2001-98810을 참조; JP-A-H09-41754 및 JP-A-2001-98810의 내용은 미국 특허 제US5835022호 및 제US6670883호와 동일하게 발행됨).
이런 시스템의 송신측 장치에서는, 바이페이즈 부호 또는 맨체스터 부호는 송신을 위해 디지털 데이터(NRZ 형식의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사용되고, 부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는 반송파, 예를 들어 UHF 대를 사용하여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변조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시스템의 수신측에서는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의 이진 레벨이 고 또는 저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화(decode)하기 위해서 무선 신호가 수신되고 복조된다. 이런 방법으로, 디지털 데이터가 송신되고 복원된다(즉, 재생된다).
도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체스터 부호화에서, 논리치로 1을 갖는 데이터 비트 1과 논리치로 0을 갖는 데이터 비트 0은 1 비트 구간의 중간에서의 상승(즉, 저 레벨로부터 고 레벨로의 변화) 또는 하강(즉, 고 레벨로부터 저 레벨로의 변화)을 조사함으로써 구별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맨체스터 부호화에서 비트 1은 1 비트 구간 내에서 하강 신호로서 부호화되고, 비트 0은 1 비트 구간에서 상승 신호로서 부호화된다.
또한, 도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페이즈 부호화에서, 데이터 비트 0은 1 비트 구간의 중간에서 그것의 (고-저)레벨이 반전하는 신호로서 부호화되고, 비트 1은 1 비트 구간의 끝부분에서 그것의 고-저 레벨을 반전하는 신호로서 부호화되며, 이전 비트의 고-레벨 종료는 다음 비트의 저-레벨 시작에 의해 이어지고, 이전 비트의 저-레벨 종료는 다음 비트의 고-레벨 시작에 의해 이어지게 된다는 점에서 각각의 비트의 신호 레벨의 추가적 반전을 구비한다.
따라서, 맨체스터 부호화 및 바이페이즈 부호화 모두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의 각각의 비트는 비트의 중간 또는 비트의 끝부분에서 고 레벨과 저 레벨 사이 에서 한 번 이상의 이진 레벨 변화를 갖는 신호로서 부호화된다. 또한, 상기에 기술되는 부호화 방식으로 인해, 신호의 클록은 부호화 후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복원될 수 있다.
상기에 기술되는 부호화 방식을 갖는 차량 통신 시스템은 수신측 장치에 의해 수신되고 복조되는 복조 아날로그 신호에 있어서 외부 소음등으로 인해 본래 데이터에 대해 왜곡된 파형을 가질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수신측 장치 상의 왜곡된 파형은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 내에서 이진 신호 레벨의 오판단을 이끌어, 본래 디지털 데이터의 복호화의 결과로서 잘못된 논리치를 이끌 수도 있다.
상기 및 다른 문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의 파형이 소음 등의 영향하에서 왜곡될 때조차도 수신된 데이터 내에서 논리치 판단 오류를 방지하는 차량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차량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는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하는 특정 부호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반송파를 변조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다. 디지털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방법은 하나 이상의, 비트의 내부 및 비트의 구획(즉, 초기 에지 및 끝부분 에지)에서 데이터 비트의 이진 레벨의 고 및 저를 변경한다.
따라서, 수신 장치는 복조를 위해 송신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이진 레벨의 고 및 저를 판단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를 복원한다. 수신 장치는 제1 신호 출력 장치, 제2 신호 출력 장치, 판단 신호 출력 장치, 레벨 결정 장치, 및 아날로그 신호의 이진 레벨을 판단하는 레벨 보정 장치를 포함한다.
제1 신호 출력 장치는 아날로그 신호와 고 레벨 판정용 임계값과 비교하여, 아날로그 신호가 레벨에 있어 임계값보다 높을 경우 액티브 레벨 내에 있는 고 판정 신호를 출력한다. 제2 신호 출력 장치는 아날로그 신호와 저 레벨 판정용 임계값을 비교하여, 아날로그 신호가 레벨에 있어 임계값보다 낮을 경우 액티브 레벨 내에 있는 저 판정 신호를 출력한다.
판단 구간 판단 장치는 고 판정 신호 및 저 판정 신호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신호의 이진 레벨을 판단하는 판단 구간을 순차적으로 판단한다.
레벨 결정 장치는 판단 구간 판단 장치에 의해 판단되는 각각의 판정 구간 내의 아날로그 신호의 이진 레벨을 판단하고, 이진 레벨이 판단될 수 없는 경우 부정으로써 아날로그 신호의 레벨을 판단한다. 또한, 레벨 보정 장치는 부호화 방법 및 결정 장치의 판정 결과로부터 이끌어진 추정에 기초하여 이진 레벨의 고 또는 저 중 하나를 갖도록 부정 레벨을 보정한다.
이런 방법으로, 레벨 결정 장치는 고 판정 신호의 임계값 및 저 판정 신호의 임계값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신호의 이진 레벨을 판단하여, 측정치를 고 및 저로 나누는 하나의 임계값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단순히 비교하는 판단 방법보다 디지털 데이터의 더 정확한 이진 레벨의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소정의 판정 구간 내의 디지털 데이터의 부정 레벨은 다른 판정 기간 및 코딩 방법의 규칙에 기초하여 고 또는 저의 이진 레벨을 갖도록 보정될 수도 있 어, 아날로그 신호의 왜곡된 파형으로부터 디지털 데이터의 정확한 복원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아날로그 신호의 이진 레벨의 판정 구간은 고-레벨 판정 신호 및 저-레벨 판정 신호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판정되어, 통신 시스템의 송신측 및 수신측이 각각 다른 작동 클록을 사용할 때조차도 아날로그 신호의 이진 레벨의 정확한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실시예에서, 키레스 엔트리 시스템은 차량 통신 시스템의 예로서 기술된다. 본 실시예에서 키레스 엔트리 시스템은 원격 키레스 엔트리(remote keyless entry; RKE)로서도 불릴 수도 있다.
(제1 실시예)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키레스 엔트리 시스템(1)은 차량의 사용자에 의해서 송신기로서 사용되는 전자키(3)와, 차량에 배치된 차량 장치(5)를 포함한다.
전자키(3)는 전자키(3)의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7)와, 마이크로컴퓨터(7)의 클록을 발생시키는 클록 발생 장치(9)와, 소정의 주파수(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300MHz)인 무선 신호의 반송파로서 사용되는 정현파를 발생 및 출력하는 반송 발생 장치(13)와, 마이크로컴퓨터(7)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사용함으로서 반송파의 아날로그 변조(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AM 변조)를 수행 하고 무선 신호로서 송신되도록 변조 후에 변조된 신호를 안테나(11)에 제공하는 변조 증폭기(15)와, 차량의 도어를 로크하는 버튼 타입 로크 스위치(17)와, 도어를 언로크하는 버튼 타입 언로크 스위치(19)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컴퓨터(7)가 스위치(17)가 작동을 위해 가압된 것을 검출할 경우, 마이크로컴퓨터(7)는 차량 장치(5)에 도어 로크 지시를 제공하도록 로크 명령 코드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를 변조 증폭기(15)에 출력한다. 그 후, 로크 명령 코드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를 사용함으로서 반송파를 변조하는 무선 신호가 안테나(11)로부터 송신될 것이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7)가, 스위치(19)가 가압되고 작동되었다는 것을 검출하면, 마이크로컴퓨터(7)는 차량 장치(5)에 도어 언로크 지시를 제공하도록 언로크 명령 코드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를 변조 증폭기(15)에 출력한다. 그 후, 로크 명령 코드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반송파를 변조하는 무선 신호가 안테나(11)로부터 송신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컴퓨터(7)는 도12b에 사용된 바와 같은 바이페이즈 부호화를 사용함으로써 송신 대상의 디지털 데이터(즉, 로크/언로크 명령 코드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발생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로크/언로크 명령 코드는 전자키(3)를 사용하는 차량에 대해 고유하다.
한편, 차량 장치(5)는 전자키(3)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21)와, 복조(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AM 복조)하고 안테나(21)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 회로(23)와, 전자키(3)에 의해 부호화된 디지털 신호와 동일한 디지털 형태의 파형으로 이진 레벨의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고-레벨 판정 장치(25)와, 저-레벨 판정 장치(27)와, 신호 처리 회로(29)와, 신호 처리 회로(29)의 작동 클록을 발생하고 출력하는 클록 발생기(31)와, 신호 처리 회로(29)로부터 파형 정형 후에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인증 ECU(33; 인증 제어용 전자 장치)를 포함한다.
인증 ECU(33)는 신호 처리 회로(29)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복조하고 디지털 신호에 의해 표시된 NRZ형의 디지털 데이터(즉, 이하에서는 수신 데이터)를 복원한다. 그 후, ECU(33)는 수신 데이터 내에 포함된 코드가 ECU(33) 내에 기록된 로크 명령 코드 또는 언로크 명령 코드[즉, ECU(33)를 갖는 차량에 대해 고유한 로크/언로크 명령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코드가 기록된 것과 일치한다면, ECU(33)는 도어를 로크/언로크하는 도어 로크 액츄에이터(도면에서는 도시 생략)를 구동시킨다. 바꿔 말하면, 수신 데이터 내의 코드가 로크 명령 코드일 경우 모든 도어는 로크된 상태에 놓이게 되고, 수신 데이터 내의 코드가 언로크 명령 코드일 경우 모든 도어는 언로크 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ECU(33)를 사용함으로써, 차량의 사용자는 적합한 전자키(3)의 스위치(17, 19)를 의도적으로 가압함으로써 도어의 로크/언로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증 ECU(33)는 클록 발생기(31)와는 다른 클록에 의해 발생된 클록 상에서 작동된다. 바꿔 말하면, ECU(33) 및 신호 처리 회로(29)는 동기화 없이 각각 다른 클록 상에서 작동한다.
다음, 고-레벨 판정 장치(25), 저-레벨 판정 장치(27) 및 신호 처리 회로(29)가 기술된다.
첫째, 고-레벨 판정 장치(25)와 저-레벨 판정 장치(27) 각각은 수신 회로(23)로부터 아날로그 수신 신호의 입력을 수신한다.
그 후, 고-레벨 판정 장치(25)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레벨에 관한 임계값 VH(즉, 이후에서는 고-레벨 임계값)와 아날로그 수신 신호를 비교하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레벨 판정 신호를 출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아날로그 수신 신호 > VH"인 경우, 고-레벨 신호는 액티브 레벨 내에(즉, 본 실시예에서는 HI 내에) 놓이게 되고, "아날로그 수신 신호 ≤ VH"인 경우, 고-레벨 판정 신호는 LO 레벨 내에 놓이게 된다.
유사하게, 저-레벨 판정 장치(27)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레벨에 관한 임계값 VL(즉, 이후에서는 저-레벨 임계값)과 아날로그 수신 신호를 비교하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레벨 판정 신호를 출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아날로그 수신 신호< VL"인 경우, 저-레벨 신호는 액티브 레벨 내에(즉, 본 실시예세서는 HI 내에) 놓이게 되고, "아날로그 수신 신호 ≥ VL"인 경우, 저-레벨 판정 신호는 LO 레벨 내에 놓이게 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고-레벨 판정 장치(25) 및 저-레벨 판정 장치(27) 각각은 콤퍼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고-레벨 임계값 VH는 아날로그 수신 신호의 진폭의 중심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설정되고, 저-레벨 임계값 VL은 상기의 중심 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레벨 판정 장치(25)로부터의 고-판정 신호 출력과, 저-레벨 판정 장치(27)로부터의 저-판정 신호 출력은 신호 처리 회로(29)에 입력된다. 신호 처리 회로(29)는 동기 신호 발생 장치(35), 데이터 레벨 판정 장치(37), 레벨 보정 장치(39) 및 신호 출력 장치(41)를 포함한다.
동기 신호 발생 장치(35)는,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발생된 고-판정 신호 및 저-판정 신호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신호의 이진 레벨(즉, HI 또는 LO)의 판정 구간을 순차적으로 판단하는 장치이다. 발생 장치(35)는 각각의 판정 구간의 구간(또는 길이) 및 위상을 나타내는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킨다.
동기 신호 발생 장치(35) 내에서 수행된 프로세스는 도3을 참고하여 이하에 기술된다. 이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신호 내의 각각의 레벨 변화 에지 사이의 구간은 본 실시예에서 판정 구간으로서 사용된다. 이하의 기술에서, "비트"는 1 비트의 시간 폭이고 "1/2 비트"는 1 비트 동안의 시간의 절반인 시간 폭이고, "1/4 비트"는 1 비트 동안의 시간의 1/4인 시간 폭이고, "3/4 비트"는 1 비트 동안의 시간의 3/4인 시간 폭이다. 또한, 고-판정 신호 및 저-판정 신호는 대체로 판정 신호로써 고안된다.
우선, 바이페이즈 부호화의 경우에, 데이터의 1 비트는 1 비트의 전반 및 후반으로 구성되는 두 개의 1/2 비트 구간의 신호 레벨에 의해 표현될 수 있기 때문에 판정 구간은 1/2 비트의 시간 폭을 가질 수도 있다. 판정 구간은 수신 신호 내의 각각의 비트의 타이밍과 동기화되어야만 하지만, 본 발명의 키레스 엔트리 시스템이 각각의 다른 편차 및 변동으로 각각의 다른 클록으로 인해 송신측의 전자키(3) 및 수신측의 차량 장치(5)가 각각 따로 작동하기 때문에 동기 신호 발생에 대한 판정 구간은 아날로그 수신 신호로부터(즉, 실제로는 고-판정 신호 및 저-판정 신호로부터) 1/2 비트에 상당하는 구간의 구간 길이 및 위상의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판단된다.
따라서, 동기 신호 발생 장치(35)는 하기의 <1> 내지 <4>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1> 고-판정 신호 및 저-판정 신호의 샘플링에 기초하여, 발생 장치(35)는 각각의 샘플링된 판정 신호의 펄스 폭(즉, 고 레벨 타임)을 구한다.
<2> 상기 <1>의 프로세스에서 구해진 펄스 폭이 1 비트에 상당하는 폭(이하, 1 비트 공차)으로써 고려될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 펄스 부분은 "유효한 롱 펄스"로서 판단된다. 상기 <1>의 프로세스에서 구해진 펄스 폭이 1/2 비트에 상당하는 폭(이하, 1/2 비트 공차)으로써 고려될 수 있는 소정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 펄스 부분은 "유효한 쇼트 펄스"로서 판단된다(도3의 4번째 줄 참조). 또한, 유효한 롱 펄스 및 유효한 쇼트 펄스는 유효한 펄스로서 총징된다.
<3> 상기 <2>의 프로세스에서 유효하다고 판단된 판정 신호가 저-판정 신호에 이어지는 고-판정 신호 또는 고-판정 신호에 이어지는 저-판정 신호와 같은 교번하는 방식으로 입력될 경우, 판정 신호의 펄스 폭의 2개의 중심 지점 사이의 구간(이후, 중심 지점 폭)은 샘플링에 의해 측정되고, 중심 지점 폭의 측정은 이하의 표1 내의 소정의 구간과 비교된다(도3의 5번째 줄 참조).
(표1)
이전 펄스 현재 펄스 소정의 구간(중심 지점 폭)
쇼트 펄스 쇼트 펄스 1/2 비트 폭 공차 이하
쇼트 펄스 롱 펄스 3/4 비트 폭 공차 이하
롱 펄스 쇼트 펄스 3/4 비트 폭 공차 이하
롱 펄스 롱 펄스 1 비트 폭 공차 이하
이 경우에, 표1에서, "3/4 비트 폭 공차"는 3/4 비트에 대한 폭으로 고려될 수 있는 범위이다. 1 비트 폭 공차, 3/4 비트 폭 공차 및 1/2 비트 폭 공차가 각각 H[1], H[3/4] 및 H[1/2]으로 표현될 때, 이러한 파라미터 사이의 관계는 H[1]〉H[3/4] 〉H[1/2]로서 정의된다. 또한, 도3의 5 번째 줄의 "○" 마크는 중심 지점 폭이 표1의 소정의 구간 길이를 만족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4> 펄스 폭이 유효하다고 판정되고 유효한 펄스의 중심 지점 폭이 표1의 소정의 구간 길이를 만족시킨다고 판정되는 경우, 판정 신호는 "동기 확정"으로 판단되고, 동기 신호의 다음 레벨 변화 타이밍(논리 변화 지점)은 이하의 표2의 타이밍에 따라 설정된다(도3의 마지막 줄 참조). 이런 방법으로, 동기 신호의 에지 간격은 보정된다. 또한, 신호가 "동기 확정"으로 판정되지 않는 경우, 동기 신호의 다음 레벨 변화 타이밍은 이전 레벨 변화 타이밍으로부터 1/2 비트 타임 후로 설정된다. 바꿔 말하면, 동기 신호의 에지 간격은 이 경우 보정되지 않고, 각각의 1/2 비트 타임 폭 후에서 고-저 레벨로 반전한다.
(표2)
현재 펄스 동기 신호에서 논리 변화 지점
쇼트 펄스 현재 펄스의 중심 지점으로부터 1/4 비트 타임 폭
롱 펄스 현재 펄스의 중심 지점으로부터 1/2 비트 타임 폭
<1> 내지 <4>의 프로세스를 반복함으로써, 입력 신호의 타이밍은 동기 신호에 따라 1개씩 보정되어, 안전한 판정 구간(즉, 수신 신호의 각각의 비트와 동시 화된 판정 구간)을 항상 제공한다.
이 경우에, 프로세스의 단순화를 위해 쇼트 펄스 또는 롱 펄스 중 단 하나가 판단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 레벨 판정 장치(37)는 고/저-판정 신호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수신 신호의 이진 레벨을 판단하는 장치이다. 아날로그 신호의 이진 레벨은, 이진 레벨이 아날로그 신호 내의 각각의 비트의 논리치를 판정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데이터 레벨로서 표현된다. 데이터 레벨 판정 장치(37)에 의해 행해진 프로세스의 내용은 도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된다.
데이터 레벨 판정 장치(37)는 동기 신호의 에지 간격 사이의 구간으로서 정의되는 각각의 판정 구간에 대해 고-판정 신호 및 저-판정 신호의 고 레벨 타임을 측정하여, 기본적으로 아날로그 수신 신호의 데이터 레벨과 고-레벨의 긴 구간을 갖는 측정치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도록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판정 신호의 측정치를 비교한다. 바꿔 말하면, 판정 구간 내의 고-판정 신호의 고 레벨 타임(이후, 고-신호 폭) 및 판정 구간 내의 저-판정 신호의 고 레벨 타임(이후, 저-신호 폭)이 비교되고, 판정 장치(37)는 이전 것이 더 길 경우 데이터 레벨을 고(H)로 판단하고, 나중 것이 더 긴 경우 데이터 레벨을 저(L)로 판단한다. 그러나, 데이터 레벨은 고 신호 폭 및 저 신호 폭이 동일하거나 두 신호의 폭이 실질적으로 0과 같을 경우 부정으로써 판단된다. 즉, 이하의 부등식이 만족할 경우, 데이터 레벨은 부정으로써 판단된다.
[부등식] |고-신호 폭 - 저-신호 폭| 〈 소정의 값
더 구체적으로, 데이터 레벨 판정 장치(37)는 각각의 판정 구간에 대해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레벨 판정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즉, 고-신호 폭 및 저-신호 폭이 측정되고, 우선 판정치는 두 신호 폭 측정의 절대값으로써 계산된다.
그 후, 판정치가 소정의 값보다 적지 않고(S120 : 아니오) 고-신호 폭이 저-신호 폭보다 적으면(S130 : 예), 데이터 레벨은 저로 판단된다(S140).
판정치가 소정의 값보다 적지 않고(S120 : 아니오) 고-신호 폭이 저-신호 폭보다 적지 않으면(S130 : 아니오), 데이터 레벨은 고로 판단된다(S150).
또한, 판정치가 소정의 값보다 적으면(S120 : 예), 데이터 레벨은 부정으로 판단된다(S160).
상기에 기술된 프로세스를 통해, 신호 내의 소음으로 인한 잘못된 판단은 방지되고, 각각의 판정 구간의 데이터 레벨은 고 및 저 사이의 절환 부분이 지터 또는 듀티 변화로 인해 불안정할 때조차도 정확하게 판단된다.
다음, 레벨 보정 장치(39)는 데이터 레벨 판정 장치(37)로부터 유도된 부정의 판정 결과가 판정 구간의 판정 결과 및 부호화의 규칙에 기초하여 고 또는 저의 값 중 하나를 갖도록 보정하는 장치이다. 보정 장치(39) 내에서 행해진 프로세스는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우선, 본 실시예의 바이페이즈 부호화의 경우에 있어서, 다음 비트의 개시 레벨은 부호화를 지배하는 규칙에 의해서 바로 직전 비트의 종료 레벨로부터 반전된다. 따라서, 데이터 레벨의 판정 결과가 부정으로써 설정된 경우, 레벨 보정 장 치(39)는 도5a에 도시된 표에 따라 고 또는 저의 값 중 하나를 취하도록 부정 레벨을 보정한다. 즉, 데이터 레벨은 이전 비트의 후반에 대응하는 판정 구간의 반전된 레벨로 판단된다.
또한, 비트의 후반에 대응하는 판정 구간 내의 데이터 레벨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레벨 보정 장치(39)는 도5b에 도시된 표에 따라 고 또는 저의 값 중에서 하나를 취하도록 부정의 레벨을 보정한다. 즉, 데이터 레벨은 다음 비트의 전반에 대응하는 판정 구간의 반전된 레벨로 판단된다.
따라서,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트가 고에서 저로 변함으로 인해 0이고 이후의 비트가 1-0-1인 경우, 판정 구간[4]이 소음 등의 영향으로 인해 부정으로 판단된 경우조차, 판정 주기[4]의 부정 레벨은 판정 구간[4]이 비트의 후반이기 때문에 판정 구간[5](즉, 다음 비트의 전반)의 판정 결과의 반전 레벨을 갖는다는 추정에 기초하여 고로 보정된다.
또한, 맨체스터 부호화가 적용되는 경우, 부호화는 데이터 레벨이 각각의 비트의 전반 및 후반에 반전된다는 규칙을 따른다. 따라서, 비트의 후반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레벨 보정 장치(39)는 부정을 동일한 비트의 전반의 판정 결과의 반전된 레벨로 보정하고, 비트의 전반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레벨 보정 장치(39)는 부정을 동일한 비트의 후반의 판정 결과의 반전된 레벨로 보정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판정 구간[4]의 판정 결과가 도6b에서 부정인 경우, 부정 레벨은 판정 구간[3]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저로 보정된다.
다음, 신호 출력 장치(41)는 데이터 레벨 판정 장치(37)의 판정 결과를 나타 내는 고 또는 저의 이진 레벨 신호를 동기 신호의 레벨 변화 타이밍(판정 구간의 절환 타이밍)과 동기화하여 출력한다. 즉,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열에서 기억된 판정 결과의 각각의 이진 레벨(즉, 고 또는 저)은 동기 신호의 레벨 변화 타이밍에서 두 레벨 사이의 절환을 교번하는 방식으로 신호의 출력 단자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또한, 신호 출력 장치(41)는 시프트 레지스터 등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레벨 보정 장치(39)에 의한 보정 후 판정 결과가 부정이라면[즉, 고/저 레벨을 갖도록 보정 장치(39)에 의해 보정될 수 없는 패턴이 발생한다면], 부정의 패턴은 고 및 저 레벨 중 하나로 항상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2개의 부정 레벨 구간이 연속으로 발생된 경우, 즉 부정이 1 비트의 구간을 채웠을 경우, 구간은 "데이터 없음"으로 판단될 수도 있고, 동기 신호 발생 장치(35)가 재기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신호 출력 장치(41)로부터의 이진 레벨 신호는 상기에 기술된 파형 정형 후에 디지털 신호로서 인증 ECU(33)에 입력된다. 그 후, ECU(33)는 상기에 기술된 부호화의 판정을 수행하도록 출력 장치(41)로부터 유도된 디지털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수신 데이터를 복원한다.
제1 실시예에서, 고-레벨 판정 장치(25)는 제1 신호 출력 장치와 동일하게 고려될 수도 있고, 저-레벨 판정 장치(27)는 제2 신호 출력 장치와 동일하게 고려될 수도 있고, 동기 신호 발생 장치(35)는 판단 구간 결정 장치와 동일하게 고려될 수도 있고, 데이터 레벨 판정 장치는 레벨 결정 장치와 동일하게 고려될 수도 있고, 레벨 보정 장치(39)는 레벨 보정 장치와 동일하게 고려될 수도 있고, 신호 출력 장치(41)는 신호 출력 장치와 동일하게 고려될 수도 있고, 인증 ECU(33)는 복호화 장치와 동일하게 고려될 수도 있다.
상기의 기술에서 키레스 엔트리 시스템(1)의 차량 장치(5)는 신호 처리 회로(29) 내의 데이터 레벨 판정 장치(37)를 사용함으로써 고-레벨 판정 장치(25)로부터 고-판정 신호와, 저-레벨 판정 장치(27)로부터 저-판정 신호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수신 신호의 데이터 레벨을 판정하여, 고 레벨 임계값(VH) 및 저 레벨 임계값(VL)에 따라 아날로그 수신 신호의 데이터 레벨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데이터 레벨은 정확히 판단된다.
또한, 소정의 판정 구간의 부정 판정 결과는 고 및 저 레벨 중 하나의 값을 갖도록 다른 판정 구간의 판정 결과 및 부호화 규칙에 기초하여 레벨 보정 장치(39)에 의해 보정된다.
따라서, 아날로그 수신 신호의 파형이 소음 등의 영향 하에서 왜곡되었을 경우조차 수신 신호의 데이터 레벨의 판정 결과가 정확히 판단되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인증 ECU(33)에서 행해진 수신 데이터의 잘못된 복원 결과를 방지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아날로그 수신 신호의 데이터 레벨은, 송신측 및 수신측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각기 다른 클록에 의해 작동되더라도, 동기 신호 발생 장치(35)에 의한 고-판정 신호 및 저-판정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레벨을 판단하는 판정 구간의 연속적인 판단으로 인해 항상 정확히 판단된다.
따라서, 아날로그 수신 신호가 소음의 영향 하에서 왜곡되었을 때조차도 차 량 장치(5)는 전자키(3)로부터 정확히 데이터를 획득한다.
(제2 실시예)
키레스 엔트리 시스템의 제2 실시예가 이하에 기술된다. 이하의 기술은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유사한 부분에 대해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동일한 방법이 후술되는 실시예에 적용된다.
제2 실시예에서 해결되는 문제는 도7a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7a의 도면은 아날로그 수신 신호 내에 부분적으로 왜곡된 부분을 갖는 "유효한 쇼트 펄스"(상기 기술된 <2>참조)의 연속을 도시한다.
이 경우, 아날로그 수신 신호 내의 왜곡에 대응하는 고-판정 신호의 펄스 폭의 중심 지점(이후에 도면의 중간 내의 펄스의 중심 지점은 "왜곡된 중심 지점"으로써 표시된다)과 이전 저-판정 신호의 중심 지점 사이의 간격(중심 지점 사이의 길이)이 1/2 비트 폭 공차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설명<4>에서의 작동은 "동기 확정"으로서 판단되고, 동기화 신호의 다음 레벨 변화 타이밍은 왜곡된 중심 지점으로부터 1/4 비트 폭 만큼 떨어져 설정된다(표2 참조).
그 후, 큰 듀티 변화가 동기화 신호 내에 나타나고, 또한 레벨 변화의 에지와 동기해서 신호 출력 장치(41)로부터 인증 ECU(33)로의 이진 레벨 신호가 큰 지터 또는 큰 듀티 변화를 방치한다. 즉, 이진 레벨 신호의 각각의 레벨의 연속 타임이 크게 변동한다.
따라서, 이런 큰 변동이 나타날 경우, 인증 ECU(33)는 이진 레벨 신호로부터 NRZ 형식의 디지털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원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즉, 인증 ECU(33)는 동기화 신호의 에지 간격의 큰 변동으로 인해 이진 레벨 신호 내의 비트의 소정의 레벨의 연속 타임 내에서 크게 변동한 비트의 논리치를 잘못 판단할 수도 있다. 이것은 인증 ECU(33)가 그 자신의 작동 클록을 사용함으로써 신호 출력 장치(41)로부터 이진 레벨 신호를 샘플링함으로써 고-타임 및 저-타임의 측정에 기초하여 비트 1 및 비트 0을 판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키레스 엔트리 시스템과 비교하여, 제2 실시예의 키레스 엔트리 시스템은, 신호 처리 회로(29) 내의 동기 신호 발생 장치(35)가 상기에 기술된 <4>의 프로세스에서 "동기 확정" 판단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의 다음 레벨 변동 타이밍을 설정할 경우(즉, 동기 신호의 에지 간격이 보정될 경우), 동기 신호의 에지 간격의 변동 양이 소정의 값 내에서 만들어지도록 동기 신호의 레벨 변동 타이밍을 선택한다.
즉, 단계(S2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신호 발생 장치(35)는, 상기에 기술된 <2>의 작동에서 현재 판단에서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판정 신호의 펄스의 중심 지점의 타임(ta)을 산출한다(도7b 참조). 예를 들어, 타임(ta)은 현재 펄스의 개시 시에서의 프리런 카운터의 카운트치(CT1)와 현재 펄스의 종료 시에서의 프리런 카운터의 카운트치(CT2)의 평균으로서 산출된다.
그 후, 단계(S2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신호의 에지 간격의 변화량을 제한하지 않을 경우, 다음 레벨 변화 타임(tb)은 표2에 따라 산출된다(도7b 참조). 예를 들어, 현재 펄스가 유효한 쇼트 펄스인 경우, 타임(tb)은 아래의 방법으로 산출된다. 즉, tb = ta + 1/4 비트에 상당하는 프리런 카운터의 카운트치
또한, 현재 펄스가 유효한 롱 펄스인 경우, 타임(tb)은 아래의 방법으로 산출된다. 즉, tb = ta + 1/2비트에 상당하는 프리런 카운터의 카운트치
또한, 단계(S23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신호의 에지 간격이 보정되지 않은 경우, 다음 레벨 변화 타임(tc)을 산출한다(도7b 참조). 예를 들어, 타임(tc)은 동기 신호의 이전 레벨 변화 시에 있어서 프리런 카운터의 카운트치에 1/2 비트에 상당하는 프리런 카운터의 카운트치를 더함으로써 산출된다.
또한, 단계(S240, S25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판정치 "tb - tc"를 사용함으로써, 판정치의 절대값은 그것이 소정의 값보다 적은지 여부가 판단된다. 절대값 |tb - tc|가 소정의 값보다 적을 경우, 다음 레벨 변화 타임은 단계(S2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tb)으로 설정된다. 즉, 이 경우에, 다음 레벨 변화 타임은 표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래의 타이밍으로 설정된다.
한편, 판정치의 절대값(즉, |tb - tc|)이 소정의 값보다 적지 않을 경우, 판정값 자체가 0 값과 비교된다. 판정치가 0 보다 적을 경우, 단계(S28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레벨 변화 타임은 소정의 구간(즉, tc - 소정의 값)에 의해 타임 (tc)보다도 전인 더 이른 타임으로 설정된다. 판정치가 0 이상일 경우, 다음 레벨 변화 타임은 소정의 구간(즉, tc + 소정의 값)에 의해 타임(tc) 이후의 늦은 타임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런 방식으로, 동기 신호의 에지 간격의 변화치(보정치)는 제2 실시예에서는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보정 프로세스로 소정의 값 내로 제한된다. 바꿔 말하면, 동기 신호의 현재 에지 간격과 다음 에지 간격 사이의 변화량 이 소정의 값 내에 있도록 다음 에지 간격이 설정된다. 또한, 이 경우에, 도7b의 도면은 상기에 기술된 단계(S280)의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차량 장치(5)에서, 인증 ECU(33)는 신호 출력 장치(41)로부터 유도된 이진 레벨 신호에 기초해서 NRZ 형식의 디지털 데이터를 정확히 복원한다. 이 경우, 동기 신호의 에지 간격(즉, 판정 구간)의 변화 량에 대한 제한은 아날로그 수신 신호의 데이터 레벨의 판단에 의해서 일시적인 동기 어긋남 상태가 발생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일시적인 동기 어긋남 상태는 데이터 레벨 판정 장치(37)에서는, 약간의 지터와 같이 고려되어, 데이터 레벨 판정 결과에 대해서는 큰 변화를 제공하지 않는다.
(제3 실시예)
레벨 보정 장치(39)는 아날로그 수신 신호에 있어서 비트의 구획이 판단되었다는 전제에 기초하여 도5a 및 도5b의 표에 설명된 규칙을 적용함으로써 고 또는 저 레벨 중 하나로 부정 레벨을 보정한다(즉,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판정 구간은 비트의 전반부에 상당하고, 어느 판정 구간은 비트의 후반부에 상당한다).
그러나, 어떤 프리앰블(즉, 실제 데이터 목록에 앞서는, 0 또는 1의 연속으로 이루어진 더미 데이터)도 전제되지 않은 통신 시스템인 경우, 처음부터 비트의 구획이 결정되었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차량 장치(5)의 레벨 보정 장치(39)는, 비트 구획이 판단되는 경우에는 도5a 및 도5b에 설명된 보정 논리를 사용함으로써 부정 레벨을 보정하고, 비트 구획이 명확하게 결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9a 및 도9b 의 보정 논리를 사용함으로써 부정 레벨을 보정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판정 구간은 구간으로서 언급될 수도 있다. 또한, 부정 구간은 데이터 레벨 판정 장치(37)가 부정이라고 판단한 판정 구간이며 또한, 바꿔 말하면, 보정될 판정 구간이다.
따라서,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정 구간의 이전 구간 및 다음 구간이 동일한 판정 레벨을 가질 경우는, 이전 비트의 종료 레벨은 다음 비트의 개시 레벨의 반전이라는 바이페이즈 부호화의 규칙이 동일한 레벨을 갖는 3개의 연속 구간이 존재해서는 안 된다는 경험 규칙을 이끌기 때문에, 부정 구간의 레벨은 이전/다음 구간의 레벨로부터 반전된다.
또한,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구간과 다음 구간이 각각 다른 판정 레벨을 가질 경우, 동일한 레벨을 갖는 3개의 연속 구간이 존재해서는 안 된다는 상기 규칙에 기초해서 부정 레벨을 보정하기 위해서 4개의 연속 구간이 측정된다.
이 경우, 도5a/도5b 및 도9a/도9b 사이의 비교로부터 명백하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비트 구획이 판단되지 않을 경우, 보정 논리는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정 구간 뒤의 2번째 구간 또한 부정으로써 판단되는 경우 부정 구간을 보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저하된다. 이 경우에, 보정 능력의 저하는 논리치 1에 상당하는 부분(즉, 바이페이즈 부호화에서, 고에서 고, 또는 저에서 저)을 찾도록 6구간 이상으로 판정 구간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방지될 수 있지만, 그 결과로써 보정의 지연 타임이 증가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서, 레벨 보정 장치(39)는 비트 구획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되었는지 아닌지의 조건에 따라서 작동 모드를 절환한다.
즉, 레벨 보정 장치(39)는 비트 구획이 판단되지 않을 경우(S310: 아니오) 도9a 또는 도9b에 도시된 논리를 사용함으로써 부정 레벨을 보정하고, 보정 후 4 구간의 판정 결과를 관찰한 후에 도9c에 도시된 판단 논리를 사용함으로써 비트 구획을 판단한다(S330). 그 후, 레벨 보정 장치(39)는, 비트 구획이 판정 프로세스 후에 판단된 경우(S310 : 예) 도5a 또는 도5b의 보정 논리를 사용함으로써 부정 레벨을 보정한다(S320).
그 결과, 부정 레벨은 큰 지연을 발생시키지 않고 보정 능력의 저하를 빨리 종료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보정된다.
도9b의 보정 논리에 의한 보정 결과가 도9c에 나열된다. 즉, 도9b의 보정 논리에 의한 보정 결과는 도9c의 3번째 줄 또는 5번째 줄의 패턴 중 하나에 대응한다. 따라서, 비트 구획은 부정 레벨의 보정이 도9b의 보정 논리에 의해 행해질 경우 동시에 판단될 수도 있다.
(제1 변형)
제3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이, 부정 레벨의 보정에서 큰 프로세스 지연은 동시에 4개의 판정 구간을 관찰함으로써 방지된다.
따라서, 레벨 보정 장치(39)는 비트 구획의 판단과 관계없이, 또는 부정 레벨의 보정 또는 비트 구획의 판단 중 하나를 수행하는 것과 관계없이 항상 동시에 4개의 구간을 관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레벨 보정 장치(39)는 도9c의 복수의 패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부정 레벨의 보정을 수행하는 동안 비트 구획을 판 단한다. 추가로, 판단 논리만이 보정의 조건에 따라 절환될 수도 있다.
이런 방법으로, 레벨 보정 장치(39)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신호 처리 회로(29)가 논리 회로에 의해 구성될 경우 논리 회로의 게이트 수를 절약할 수 있고, 또는 신호 처리 회로(29)가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될 경우 소프트웨어에 할당되는 메모리 사이즈를 감소시킨다.
(제2 변형)
상기 각각의 실시예의 차량 장치(5)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될 수도 있다. 즉, 미세한 펄스 제거 장치(45, 47)는 고-레벨 판정 장치(25)로부터의 고-판정 신호 및 저-레벨 판정 장치(27)로부터의 저-판정 신호로부터 미세한 펄스를 제거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미세한 펄스는 소정의 폭 이하의 폭을 갖는 펄스[즉, 클록 발생기(31)로부터 유도된 1 클록 사이클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펄스]이다.
미세 펄스 제거 장치(45, 47)의 사용은 나중의 프로세스[즉, 동기 신호 발생 장치(35) 및 데이터 레벨 판정 장치(37)에서의 프로세스]에서 더 정확하고 쉬운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미세 펄스 제거 장치(45, 47)는, 예를 들어 입력 레벨이 2 이상의 연속적인 입력 사이클 내에 동일한 레벨을 취할 경우 출력 레벨이 입력 레벨과 동일한 레벨을 취하도록 설정하는 간단한 필터 회로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고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완벽히 기술되었지만,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본 기술의 당업자들에게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키레스 엔트리 시스템뿐만 아니라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타이어 압력 감시용으로 차량의 각각의 타이어 상의 송신기로부터 타이어 압력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어 압력 감시 시스템(TPMS)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본체 상에 배치된 장치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키가 차량 장치 및 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부일 경우 차량의 사용자에 의해 운반되는 전자 키 상의 수신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신호 처리 회로(29)는 논리 회로로써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하는 부품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레벨 판정 장치(25) 및 저-레벨 판정 장치(27)는 임계값(VH, VL)에 대해 동일한 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신호 처리 회로(29) 및 인증 ECU(33)은 ECU(33)에 의해 발생되는 동일한 클록 상에서 작동하도록 일체화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신호 출력 장치(41)는 레벨 보정 장치(39)에 의해 부정 레벨을 보정한 후에 테이터 레벨의 판정 결과로부터 바로 수신 데이터를 복원하도록 제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 바이페이즈 부호화는 맨체스터 부호화, 및 BPSK 변경 부호화, 부반송파 맨체스터 부호화 등과 같은 다른 부호화 방법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런 변경 및 변형은 청구된 청구항에 의해 명확히 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있을 수 있다고 이해된다.
본 발명은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의 파형이 소음 등의 영향하에서 왜곡될 때조차도 수신된 데이터 내에서 논리치 판단 오류를 방지하는 차량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5)

  1.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는 차량 통신 시스템(1)의 수신 장치(5)이며,
    상기 부호화 방식은 디지털 데이터의 각각의 비트의 중간 및 디지털 데이터의 각각의 비트의 끝부분 중 적어도 한쪽에서 고 레벨과 저 레벨 사이의 이진 레벨 변화를 발생시키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상기 부호화 방식에 의해 변조된 반송파를 가짐으로써 송신되고, 송신기(3)로부터 송신된 상기 디지털 신호는 복조를 위해 수신되고, 복조된 아날로그 복조 신호의 고 레벨 및 저 레벨 중 하나의 이진 레벨은 상기 복조 신호의 판단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복원하도록 판단되고,
    상기 수신 장치(5)는
    상기 아날로그 복조 신호와 고 레벨 임계값(VH)을 비교하여 상기 아날로그 복조 신호가 레벨에 있어 더 높을 경우, 액티브 레벨에서 고 레벨 결정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신호 출력 장치(25)와,
    상기 아날로그 복조 신호와 저 레벨 임계값(VL)을 비교하여 상기 아날로그 복조 신호가 레벨에 있어 더 낮을 경우, 상기 액티브 레벨에서 저 레벨 결정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신호 출력 장치(27)와,
    상기 고 레벨 결정 신호 및 상기 저 레벨 결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아날로그 복조 신호의 이진 레벨의 판단 구간을 연속적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판정 구간의 길이를 나타내는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동기 신호 발생 장치(35)와,
    상기 아날로그 복조 신호의 이진 레벨이 고 레벨 또는 저 레벨 중 어느 것도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부정 레벨의 판단과 함께 상기 고 레벨 결정 신호 및 상기 저 레벨 결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판단 구간 내에서 상기 아날로그 복조 신호의 이진 레벨을 판단하는 레벨 결정 장치(37)와,
    상기 부호화 방식의 규칙 및 상기 레벨 결정 장치(37)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고 레벨 및 상기 저 레벨 중 하나로 상기 부정 레벨을 추정하고 보정하는 레벨 보정 장치(39)를 포함하는, 차량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보정 장치(39)에 의한 상기 부정 레벨의 보정 후, 상기 레벨 결정 장치(37)의 판단 결과를 나타내는 상기 고 및 저 레벨 중 하나의 이진 레벨 신호를 상기 판단 구간에 대한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출력하는 신호 출력 장치(41)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 상기 신호 출력 장치(41)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이진 레벨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장치(33)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기 신호 발생 장치(35)는 상기 판단 구간이 판단될 때 현재 판단 구간의 길이와 다음 판단 구간의 길이 사이의 변화율이 소정의 값보다 적게 다음 판단 구간을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보정 장치(39)는 상기 아날로그 복조 신호의 비트 구획이 불명확할 경우 상기 부호화 방식의 규칙 및 상기 레벨 결정 장 치(37)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비트 구획 판단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비트 구획이 상기 비트 구획 판단 프로세스에 의해 명확하게 되는 경우, 상기 부정 레벨의 보정은 상기 비트 구획이 불명확한 경우에 대한 상기 레벨 결정 장치(37)의 판단 결과보다는 적은 경우에 대한 상기 레벨 결정 장치(37)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차량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보정 장치(39)는 상기 레벨 결정 장치(37)의 4개 연속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부정 레벨을 보정하는, 차량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보정 장치(39)는 상기 부호화 방식의 규칙 및 상기 부정 레벨의 판단 구간에 가까운 하나 이상의 판단 구간의 판단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고 레벨 및 상기 저 레벨 중 하나로 상기 부정 레벨을 추정하고 보정하는, 차량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
KR20070060493A 2006-06-21 2007-06-20 차량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 KR100877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71734 2006-06-21
JP2006171734A JP4887928B2 (ja) 2006-06-21 2006-06-21 車両用通信システムの受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548A KR20070121548A (ko) 2007-12-27
KR100877659B1 true KR100877659B1 (ko) 2009-01-08

Family

ID=3872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60493A KR100877659B1 (ko) 2006-06-21 2007-06-20 차량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53185B2 (ko)
JP (1) JP4887928B2 (ko)
KR (1) KR100877659B1 (ko)
CN (1) CN101094208B (ko)
DE (1) DE10200702822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7340A (ja) * 2006-10-20 2010-03-04 シュレイダ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リミテッド Rfデータリンクにおけるデータエラー検出及び修正方法
US8203424B2 (en) * 2009-03-25 2012-06-19 Lear Corporation Automatic walk-away detection
FR2953052B1 (fr) 2009-11-20 2011-12-09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de communication sans fil entre une unite de commande et un boitier electronique monte sur un organe d'un vehicule
US8428204B2 (en) * 2010-08-20 2013-04-23 Raytheon Company Recovering distorted digital data
CN102789436B (zh) * 2011-05-18 2014-12-31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单线双向通信的主从芯片及其方法
ITBO20110461A1 (it) 2011-07-29 2013-01-30 Alfa Wassermann Spa Composizioni farmaceutiche comprendenti rifaximina, processi per la loro preparazione e loro uso nel trattamento di infezioni vaginali.
CN103095622B (zh) * 2011-11-01 2016-12-28 上海华虹集成电路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iso14443协议的bpsk信号恢复电路
JP5657596B2 (ja) * 2012-03-26 2015-01-21 株式会社東芝 近接妨害除去フィルタ装置、無線通信装置および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CN107302361B (zh) * 2014-03-06 2021-01-05 深圳市道通科技股份有限公司 通用的tpms数据编码格式转换方法及装置
EP2982764A1 (en) 2014-08-05 2016-02-10 ALFA WASSERMANN S.p.A. Identification of vaginal bacteria
JP6939332B2 (ja) * 2017-09-26 2021-09-22 株式会社アイシン パルス検出装置及びシート制御装置
FR3078460B1 (fr) * 2018-02-27 2020-01-31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Systeme et procede de detection du fonctionnement du moteur d'un vehicule automobile
JP7135657B2 (ja) * 2018-09-25 2022-09-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制御装置
JP7341653B2 (ja) * 2018-11-22 202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受信装置の制御方法
CN109936360B (zh) * 2019-04-19 2023-05-05 苏州瑞迈斯医疗科技有限公司 脉冲计数装置及辐射探测系统
CN112422132A (zh) * 2019-08-23 2021-02-26 微芯片技术股份有限公司 误码率估计和误码校正以及相关系统、方法和装置
JP2022024527A (ja) * 2020-07-28 2022-02-09 株式会社Subaru 車両通信制御装置、車両通信制御方法
CN113014522B (zh) * 2020-12-30 2022-10-25 南斗六星系统集成有限公司 一种无线数据的解码方法及系统
CN113327412B (zh) * 2021-08-04 2021-11-16 深圳宇凡微电子有限公司 无线信号解码方法、装置、设备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030A (ko) * 1998-08-26 2000-03-15 윤종용 복원 회로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50004449A (ko) * 2003-07-02 200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맨체스터 신호의 천이 오류 보정 방법
KR100466020B1 (ko) 2002-07-24 2005-01-13 블루솔텍(주) 도어 잠금 장치의 거리 감지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2242A (ja) 1987-11-18 1989-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同期信号発生装置
JPH01265718A (ja) * 1988-04-18 1989-10-23 Toshiba Corp シュミットトリガ回路
KR930009490B1 (ko) * 1991-07-15 1993-10-04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순간 테스트 모드 지정회로
US5710548A (en) * 1995-05-03 1998-01-20 Ford Motor Company Transmitter direction identifier
US5835022A (en) * 1995-08-02 1998-11-10 Nissan Motor Co., Ltd. Keyless entry system
JP3520786B2 (ja) 1998-12-09 2004-04-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JP2000307465A (ja) 1999-04-20 2000-11-02 Shinko Electric Ind Co Ltd Bpsk復調回路と該回路を有する非接触式icカードシステム
JP3415514B2 (ja) * 1999-10-01 2003-06-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遠隔ドアロック制御装置
KR100378181B1 (ko) 2000-06-09 200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Efm/efm+ 디코딩에 의해 검출된 에러위치를 이용한c1/pi 워드의 에러정정 방법 및 장치
US6804574B2 (en) * 2002-07-25 2004-10-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using a computer with a laser drilling system
JP3852697B2 (ja) * 2003-03-31 2006-12-06 ソニー株式会社 車両への情報提供装置、車両及び車両への情報提供方法
US6963295B1 (en) * 2004-07-02 2005-11-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of recovering and decoding of Manchester coded data
JP4539392B2 (ja) * 2005-03-22 2010-09-08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データ読取装置
WO2007007409A1 (ja) * 2005-07-14 2007-01-18 Fujitsu Limited データ復号方法及び,これを適用するデータ復号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030A (ko) * 1998-08-26 2000-03-15 윤종용 복원 회로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0466020B1 (ko) 2002-07-24 2005-01-13 블루솔텍(주) 도어 잠금 장치의 거리 감지 회로
KR20050004449A (ko) * 2003-07-02 200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맨체스터 신호의 천이 오류 보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7028221A1 (de) 2007-12-27
US7953185B2 (en) 2011-05-31
CN101094208B (zh) 2012-07-11
JP4887928B2 (ja) 2012-02-29
KR20070121548A (ko) 2007-12-27
US20080008253A1 (en) 2008-01-10
CN101094208A (zh) 2007-12-26
DE102007028221B4 (de) 2010-03-11
JP2008005157A (ja) 200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659B1 (ko) 차량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
EP1737174B1 (en) Transmitter circuit, receiver circuit,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system
US7020178B2 (en) Microprocessor decoder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receiver
US20040001531A1 (en)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decoder
US4425666A (en) Data encoding and decoding communication system for three frequency FSK modulation and method therefor
JPH11330970A (ja) マンチェスタ符号化データ復号化装置
JPH07264250A (ja) シリアルデータ伝送装置
US4525848A (en) Manchester decoder
EP3185220B1 (en) Use of a biphase code matched filter to receive protocols with code violations
US4759040A (en) Digital synchronizing circuit
US69448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pseudo pixel error rate
JP2010507340A (ja) Rfデータリンクにおけるデータエラー検出及び修正方法
JP4539392B2 (ja) データ読取装置
KR100285538B1 (ko) 주파수 가변 맨체스터 코딩 시스템
JP4461982B2 (ja) 受信装置
US7085339B2 (en) Data recovery device
RU2101862C1 (ru) Способ радиопередачи и радиоприема потока цифр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4277607B2 (ja) デジタル通信における送受信同期方法及び装置
JPH104436A (ja) クロック再生回路
EP3483014B1 (en) Pattern detection for automotive access
JP3478290B2 (ja) Duty補正回路
WO2020066799A1 (ja) 車両制御装置
CN117176295A (zh) 一种曼彻斯特码的接收解码方法和装置
US20100215076A1 (en) Redundant Signal Transmission
KR19990061654A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장치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