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458B1 - 광 픽업 헤드 장치와, 광 기억 매체 재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 픽업 헤드 장치와, 광 기억 매체 재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458B1
KR100877458B1 KR1020070018882A KR20070018882A KR100877458B1 KR 100877458 B1 KR100877458 B1 KR 100877458B1 KR 1020070018882 A KR1020070018882 A KR 1020070018882A KR 20070018882 A KR20070018882 A KR 20070018882A KR 100877458 B1 KR100877458 B1 KR 100877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ed
light
light beam
receiving unit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9070A (ko
Inventor
마사또시 히로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70089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11B7/131Arrangement of detectors in a multiple ar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11B7/133Shape of individual detector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1Non-lens elements for altering the properties of the beam, e.g. knife edges, slits, filters or sto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9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 G11B2007/001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for carriers having multiple discrete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광원은 광 빔을 출사한다. 집광 유닛은 제1 정보 기록층에 광 빔을 집광한다. 광 검출 유닛은 광 저장 매체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광 빔을 검출한다. 제한 소자는 제1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반사되는 제1 반사 광 빔을 광 검출 유닛에 입력하고, 제2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반사되는 제2 반사 광 빔의 광 검출 유닛으로의 입력을 제한 또는 차폐한다
편광 빔 분할기, 편광 소자, 정보 기록층, 반사 광 빔, 수광 유닛

Description

광 픽업 헤드 장치와, 광 기억 매체 재생 장치 및 방법{OPTICAL-PICKUP HEAD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OPTICAL STORAGE MEDIUM}
도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기억 매체 재생 장치 내의 광학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면 2층형 광 디스크 내의 정보 기록층 상에 집광된 광 빔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
도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적 층으로부터 반사된 광 빔의 광축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로 광량을 제한하는 광 검출 유닛 상으로의 광 빔의 조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
도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목적 층으로부터 반사된 광 빔의 광축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로 광량을 제한하는 광 검출 유닛 상으로의 광 빔의 조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
도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검출 유닛 상에 투영된 반사 광 빔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기억 매체 재생 장치 내의 광학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사된 0차 회절 빔의 반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 한 개략도.
도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사된 0차 회절 빔의 반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
도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영역의 중앙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
도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사된 1차 회절 빔이 통과하는 2개의 영역의 각각 중앙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
도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편광 소자의 개구 분할을 도시한 개략도.
도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수광 유닛의 구조 및 수광 유닛 상의 반사 광 빔의 분포를 도시한 개략도.
도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편광 소자의 개구 분할을 도시한 개략도.
도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수광 유닛의 구조 및 수광 유닛 상의 반사 광 빔의 분포를 도시한 개략도.
도1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편광 소자의 개구 분할을 도시한 개략도.
도1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수광 유닛의 구조 및 수광 유닛 상의 반사 광 빔의 분포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반도체 레이저
102:편광 빔 분할기
103:미러
104, 1004:편광소자
105:대물 렌즈
106, 107:정보기록층
108, 112:반사 광 빔
109:검출 렌즈
111, 1011:수광 유닛
113:회절 광학 소자
115:광 디스크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81026호
본 발명은, 단면 다층형 광 디스크로부터 발생되는 층간의 혼선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복수개의 정보 기록층이 제공된 단면 다층형 광 디스크(single-sided multilayer optical disk)가 광 디스크의 대용량화를 위해 개발되었다. 정보 기록층 중에서,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층을 목적 층이라고 가정하고, 다른 층을 비목적 층이라고 가정한다. 단면 다층형 광 디스크용 광 픽업 헤드 장치는 광 빔을 목적 층에 집광하고 이 목적 층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을 수광 함으로써, 정보 기록층 중에서 목적 층에 대해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한다. 광 빔은 광원인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다. 광 빔은 편광 빔 분할기를 투과하고, 광 디스크 상에 수직 방향으로 입사되도록 미러에 의해 편향되고, 편광 소자를 투과하여 대물 렌즈에 의해 목적 층에 집광된다. 광 빔은 목적 층으로부터 반사되고, 반사 광 빔은 다시 편광 소자를 투과하여, 반사된 광 빔의 편광은 입사 광 빔의 편광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선형 편광으로 변환된다. 이 후 광 빔은 편광 빔 분할기에서 반사되고, 검출 렌즈를 통해 광 검출 유닛의 수광 소자 상에 집광된다.
단면 다층형의 광 디스크에서는, 레이저 빔이 입사되는 광 디스크의 면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열된 마지막 정보 기록층 이외의 정보 기록층은 반투명이기 때문에, 정보 기록층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및 데이터의 재생이 광 디스크의 단면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반사 광 빔이 광 검출 유닛의 수광 소자 상에 조사될 때, 비목적 층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은 크게 초점 부정합되고, 이는 층간 혼선을 야기한다. 비목적 층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이 스트레이 빔(stray beam)을 야기하기 때문에, 광 검출 유닛의 검출 신호가 열화된다.
층간 혼선을 저감하기 위해,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81026호는 푸시-풀(push-pull)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 광 빔을 검출하는 영역에서, 반사 광 빔의 광축 둘레의 영역을 제외함으로써 푸시-풀 신호로부터 스트레이 빔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렇지만, 종래 기술은 비목적 층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의 광축 둘레의 영역을 한정하여 이 영역이 푸시-풀 신호용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하기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푸시-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1차 회절 빔이 완전하게 제거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2개의 인접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으로부터의 1차 회절 광 빔이 중앙부 근방에서 중첩되기 때문에, 푸시-풀 신호로부터 스트레이 빔을 제거하고, 반사 광 빔의 광축 둘레의 영역의 광 빔을 단순히 제외함으로써 층간 혼선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광 픽업 헤드 장치는 복수개의 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광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광 픽업 헤드 장치는 광 빔을 출사하는 광원과, 광 빔을 제1 정보 기록층에 집광하는 집광 유닛과, 광 기억 매체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을 검출하는 광 검출 유닛과, 제1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반사된 제1 반사 광 빔을 광 검출 유닛에 입력하고, 제2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반사된 제2 반사 광 빔의 광 검출 유닛으로의 입력를 제한 또는 차폐하는 제한 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복수개의 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광 기억 매체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는 광 빔을 출사하는 광원과, 광 빔을 제1 정보 기록층에 집광하는 집광 유닛과, 광 기억 매체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을 검출하는 광 검출 유닛과, 제1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반사된 제1 반사 광 빔을 광 검출 유닛에 입력하고, 제2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반사된 제2 반사 광 빔의 광 검출 유닛으로의 입력를 제한 또는 차폐하는 제한 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복수개의 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광 기억 매체의 재생 방법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을 제1 정보 기록층에 집광하는 단계와, 광 기억 매체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을 검출하는 광 검출 유닛을 포함하는 검출 단계와, 제1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반사된 제1 반사 광 빔을 광 검출 유닛에 입력하는 단계 및 제2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반사된 제2 반사 광 빔의 광 검출 유닛으로의 입력를 제한 또는 차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한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기억 매체 재생 장치는 단면 2층형 광 디스크 상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되며, 광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와, 광 디스크 상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광 픽업 헤드 장치와, 광 픽업 헤드 장치가 장착되는 캐리지를 포함한다. 단면 2층형 광 디스크는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목적 층 및 목적 층 이외의 비목적 층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기억 매체 재생 장치는 광 픽업 헤드 장치의 광학계의 구성으로서, 반도체 레이저(100), 콜리메이터 렌즈(101), 회절 광학 소자(113), 편광 빔 분할기(102), 미러(103), 편광 소자(104), 대물 렌즈(105), 제한 소자(114), 검출 렌즈(109), 및 광 검출 유닛(110)을 포함한다.
반도체 레이저(100)는, 레이저 광(빔)을 출사하며, 콜리메이터 렌즈(101)는, 반도체 레이저(100)로부터 입력된 발산 빔을 평행 빔으로 변환한다. 회절 광학 소자(113)는 입사 빔을 0차 회절 빔 및 1차 회절 빔(2개의 1차 회절 빔)으로 회절시킨다. 편광 빔 분할기(102)는 소정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선형 편광 빔을 투과시키고, 이 소정의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다른 선형 편광 빔을 반사시킨다. 다시 말해서, 편광 빔 분할기(102)는 반도체 레이저(100)로부터 출사되어 광 디스크(115)를 향해 전달되는 광 빔을 투과시키고, 광 디스크(115)로부터 반사되어 편광 소자(104)에 의해 편광된 광 빔을 반사시킨다.
미러(103)는 입사 빔을 수직 방향으로 반사하여, 광 빔을 광 디스크(115)에 입력한다. 편광 소자(104)는 입사되는 선형 편광 빔을 원형 편광 빔으로 변환하고, 입사되는 원형 편광 빔을 선형 편광 빔으로 변환하는, 예컨대 1/4 파장 판이다. 대물 렌즈(105)는 입사 빔을 광 디스크(115)의 정보 기록층 상에 집광한다.
검출 렌즈(109)는 입사 빔을 광 검출 유닛(110) 상에 집광한다. 광 검출 유닛(110)은 광 빔의 전력(power)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광 빔을 수광하는 수광 유닛(111)을 포함한다.
제한 소자(114)(제한 유닛)는 비목적 층으로부터 광 검출 유닛(110)의 수광 유닛(111) 내로 반사되는 입사 빔의 입력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115)는 예컨대, 재생 및 기록층으로서 적층된 2개의 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단면 2층형 광 기억 매체이다. 설명을 위해, 목적 층(106)은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비목적 층(107)은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광 디스크의 표면의 일면 상에 적 층된 목적 층(106)의 반사 필름은 반투명 재료로 만들어지고, 따라서, 광 디스크(115)의 단일면을 통해 목적 층(106) 및 비목적 층(107) 모두에 대해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광 디스크(115)는 예컨대, 디지털 다목적 추기형 디스크(DVD-R) 또는 디지털 다목적 재기입형 디스크(DVD-RW)이며, 각각은 랜드/그루브 구조를 가진다.
반도체 레이저(100)로부터 출사된 광 빔은 콜리메이터 렌즈(101)에 의해 평행 광으로 변환되고, 회절 광학 소자(113)에 의해, 주 빔인 0차 회절 빔과, 보조 빔인 +/- 1차 회절 빔으로 회절된다. 회절 빔은 편광 빔 분할기(102)에 선형 편광으로서 입력되며, 입력 빔의 거의 100%가 편광 빔 분할기(102)를 투과한다. 편광 빔 분할기(102)를 투과한 0차 회절 빔 및 1차 회절 빔은, 미러(103)에 의해 반사되어 광 디스크(115)에 수직 입력된다. 이 후, 0차 회절 빔 및 1차 회절 빔은 편광 소자(104)에 의해 원형 편광으로 변환되고, 대물 렌즈(105)를 통해 광 디스크(115) 상의 정보 기록층에 집광된다. 도1에 따르면, 광 디스크(115) 내로 입력되는 0차 회절 빔과,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0차 회절 빔의 반사 광 빔(108)과,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0차 회절 빔의 반사 광 빔(112) 만이 도시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기억 매체 재생 장치는 광 디스크(115)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123)를 포함하고, 광 픽업 헤드 장치의 내부에, 대물 렌즈(105)를 광 디스크의 반경 방향 및 이 반경 방향에 수직한 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튜에이터(122)와 제어 유닛(121)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121)은 포커스 서보(focus servo) 및 트랙킹 서보(tracking servo)를 행하기 위해 광 검출 유닛(110)의 수광 유닛(111)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액튜에이터(122)를 구동한다. 제1 실시예에 따라, 포커스 서보는 나이프 엣지법을 사용하여 수행되고, 트랙킹 서보는 차동 푸시-풀(DPP)법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또한, 제어 유닛(121)은 스핀들 모터(123)의 회전을 제어한다.
단면 2층형 광 디스크(115)의 목적 층(106)상에 집광된 광 빔이 도2에 도시된다. 도2에는, 광 디스크(115) 내로 입력되는 0차 회절 빔과, 목적 층(106) 및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0차 회절 빔만이 도시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 빔(201)은 목적 층(106)에서 집광되고 정반사된다. 한편, 목적 층(106)의 반사 필름은 반투명이기 때문에, 입사 빔(201)은 비목적 층(107)에 도달하고 반사 광 빔(202)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도 발생된다.
광 디스크(115)의 목적 층(106) 및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각각의 반사 광 빔은 편광 빔 분할기(102)에 입력되고, 입력 빔의 거의 100%가 반사된다. 이후에,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수광 유닛(111)에의 반사 광 빔(112)의 입력은 제한 소자(114)에 의해 제한되고, 목적 층(106)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108)은 수광 유닛(111)에 의해 집광되고 수광된다.
제한 소자(114)는 광 검출 유닛(110)의 수광 유닛(111)을 조사하는 반사 광 빔(108 및 112)의 광축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의 광 빔의 광량을 제한함으로써,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수광 유닛(111)에의 반사 광 빔(112)의 조사를 제한한다. 제한 소자(114)로서는, 예를 들면 개구 제한 소자 및 부분 투과율 필터(partial attenuation filter)가 있다. 또한, 제한 소자(114)는 제한 패턴이나 제한 레벨을 전기적으로 변조하는 액정 소자일 수 있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광 빔은 광 검출 유닛(110)의 수광 유닛(111)과 결합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광 검출 유닛(110) 상의 조사 시에 크게 초점 부정합된다. 그러므로, 만일 반사 광 빔의 광축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의 광 빔의 광량이 제한되면, 광 빔의 광량이 제한된 영역의 강도 분포가 광 검출 유닛(110) 상에 투영된다. 그 결과, 반사 광 빔의 조사는 광 빔의 광량이 제한된 영역에 상응하는 영역 내로 제한된다.
한편,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은 광 검출 유닛(110)의 수광 유닛(111)과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광축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로 광 빔의 광량을 제한한 경우에도, 수광 유닛(111) 상에 광 스폿을 형성해서 집광된다.
따라서, 광 검출 유닛(110) 상의 반사 광 빔의 조사가 제한되는 영역의 크기가 수광 유닛(111)의 크기보다 크게 되도록 제한 소자(114)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5에서, 0차 회절 빔이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될 때 생성된 반사 광 빔(108)과 0차 회절 빔이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될 때 생성된 반사 광 빔(112)이 광 검출 유닛(110) 상으로 조사된다.
도면 부호 315로써, 목적 층(106)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108)이 광 검출 유닛(110) 상에 조사될 때 형성된 광 스폿이 도시된다. 도면 부호 316으로써,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112)이 광 검출 유닛(110) 상에서 초점 부정합된 영역이 도시된다. 반사 광 빔(112)의 조사는 도면 부호 316으로 도시된 영역의 중 앙부에서 제한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광 빔(112)의 조사가 제한되는 영역의 크기가 수광 유닛(111)의 크기보다 커질 수 있도록 제한 소자(114)의 크기가 결정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광축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로 광 빔을 제한하는 제한 소자(114)는 편광 빔 분할기(102)와 검출 렌즈(109)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112)이 조사되는 영역이 목적 층(106)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108)이 집광되어 스폿을 형성하는 수광 유닛(111)의 크기보다 커질 수 있도록, 제한 소자(114)의 크기가 결정된다. 그 결과, 목적 층(106)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108)과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112)이 분리될 수 있고, 층간 혼선이 감소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한 소자(114)가 편광 빔 분할기(102)와 검출 렌즈(109) 사이에 설치되지만,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한 소자(114)는 광 검출 유닛(110)과 검출 렌즈(109)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한 소자(114)는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의 광량을 제한하지만, 제한 소자(114)는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을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 빔 분할기(102)와 검출 렌즈(109) 사이에 설치된 제한 소자(114)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반면에,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픽업 헤드 장치는 대물 렌즈(105)와 미러(103) 사이에 설치된 편광 소자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기억 매체 재생 장치는,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광 디스크(115)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123)와, 광 디스크(115) 상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광 픽업 헤드 장치와, 광 픽업 헤드 장치가 장착되는 캐리지를 포함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기억 매체 재생 장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픽업 헤드 장치의 광학계의 구성으로서, 반도체 레이저(100), 콜리메이터 렌즈(101), 편광 빔 분할기(102), 미러(103), 편광 소자(1004)(제한 수단), 대물 렌즈(105), 검출 렌즈(109), 및 광 검출 유닛(110)을 포함한다.
각각의 반도체 레이저(100), 콜리메이터 렌즈(101), 편광 빔 분할기(102), 미러(103), 대물 렌즈(105), 및 검출 렌즈(109)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기억 매체 재생 장치도, 제1 실시예의 동일 구성과 마찬가지로, 스핀들 모터(123)와, 광 픽업 헤드 장치의 내부에 액튜에이터(122) 및 제어 유닛(121)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기억 매체 재생 장치 내의 제어 유닛(121)에 의해, 포커스 서보는 나이프 엣지법을 사용하여 수행되고, 트랙킹 서보는 푸시-풀법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픽업 헤드 장치는, 편광 소자(1004)에 의해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을 회절시켜, 광 검출 유닛(110)의 수광 유닛(111) 상으로의 반사 광 빔의 조사를 제한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7에서, 실선은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의 광로를 나타내고, 점선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의 광로를 나타낸다. 도7에서, 2개의 반사된 0차 회절 빔은 광축 상을 통과하는 광 빔 내에 완전히 중첩된다.
도8에서, 실선은,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의 광로를 나타내고, 점선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된 반사 광 빔의 광로를 나타낸다. 도8 에서, 2개의 반사된 1차 회절 빔은, 푸시-풀 신호에 사용되는 반사된 1차 회절 빔이 통과하는 영역(이하, "푸시-풀 영역")의 중앙부를 지나가는 광 빔(801)으로서 완전히 중첩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인접한 2개의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반사된 1차 회절 빔은 푸시-풀 영역의 중앙부에서 중첩된다. 그러므로, 광축 둘레의 반사 광 빔을 제한하는 것만으로는 스트레이 빔이 제한될 수 없고, 층간 혼선이 감소될 수 없다.
따라서,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0차 회절 빔이 광축 둘레의 영역에서 회절되고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1차 회절 빔이 푸시-풀 영역의 중앙부에서 회절되면,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수광 유닛(111)에의 반사 광 빔의 입력은 제한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된 1차 회절 빔 중에서 중첩된 빔의 반사각은 이하의 식(1)으로 표현될 수 있고,
sinθPP=λ/(2a) (1)
여기서, θPP는 광축으로부터의 각도, "λ"는 레이저 빔의 파장, "a"는 광 디스크의 그루브 피치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된 1차 회절 빔이 통과하는 2개의 영역의 각각의 중앙부가 식(1)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이 회절될 수 있고 수광 유닛(111)상으로의 조사가 제한되도록 편광 소자(1004)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 광 빔이 회절될 수 있고 수광 유닛(111)상으로의 조사가 제한되도록 편광 소자(1004)는 편광 홀로그램에 의해 구성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편광 소자(1004)의 개구 분할은 목적 층(106)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에 의해, 나이프 엣지법을 사용하는 포커스 서보를, 푸시-풀법을 사용하는 트랙킹 서보를 수행할 수 있는 수광 유닛(1011)에 상응하는 구성을 가진다.
편광 소자(1004)의 개구(1117)는 6개의 영역(1118ab, 1118c, 1118d, 1118e, 1118f, 1118g)으로 분할된다. 목적 층(106)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은 6개의 영역 중에서 5개의 영역(1118ab, 1118c, 1118d, 1118e, 1118f)을 통과하고, 각 영역으로부터의 각 빔은 각각의 대응 수광 유닛(1011a, 1011b, 1011c, 1011d, 1011e, 1011f)에서 검출된다. 영역(1118c 및 1118d)은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1차 회절 빔이 통과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영역(1118ab)에는 홀로그램이 형성되지 않고, 포커스 오차 신호를 위한 목적 층(106)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 은 영역(1118ab)으로부터 출사되어 수광 유닛(1011a, 101lb)내로 입력된다.
영역(1118g)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0차 회절 빔이 통과하는 광축 둘레의 부분과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1차 회절 빔이 통과하는 푸시-풀 영역의 중앙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0차 회절 빔 및 1차 회절 빔은 회절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광 검출 유닛(110)의 수광 유닛(1011)은 편광 소자(1004)의 개구 분할에 대응해서 6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도12에서, 도6에 도시된 목적 층(106)과 비목적 층(107)의 배열 순서가 역전된 것으로 가정한다. 즉, 목적 층(106)은 광 빔이 입력되는 표면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열되고, 비목적 층(107)은 광 빔이 입력되는 표면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배열된다. 또한,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이 초점 부정합된 상태가 도12에 도시된다.
수광 유닛(1011)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수광 유닛(1011a, 101lb, 1011c, 1011d, 1011e, 1011f)으로 분할된다. 수광 유닛(1011a, 101lb)으로부터 생성된 신호들 사이의 차이 신호에 의거하여, 나이프 엣지법에 의한 포커스 오차 신호가 생성된다. 수광 유닛(1011c, 1011d)으로부터 생성된 신호들 사이의 차이 신호에 의거하여, 트랙킹 오차 신호로서 푸시-풀 신호가 생성된다. 수광 유닛(1011e, 1011f)으로부터 생성된 신호에 의해 대물 렌즈(105)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야기된 푸시-풀 신호의 오프셋이 보정될 수 있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은 각각의 영역(1118c, 1118d, 1118e, 1118f)에 의해, 거의 100%의 효율로서 각각 의 수광 유닛(1011a, 1011b, 1011c, 1011d, 1011f)을 조사하도록 회절된다.
또한, 편광 소자(1004) 내의 영역(1118g)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의 수광 유닛(1011a, 1011b, 1011c, 1011d, 1011e, 1011f)으로의 조사를 제한하도록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을 회절시킨다. 구체적으로, 편광 소자(1004) 내의 영역(1118g)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을 수광 유닛(1011a, 1011b, 1011c, 1011d, 1011e, 1011f)을 향하는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회절시킨다.
도12에서, 각각의 영역(1215ab, 1215c, 1215d, 1215e, 1215f, 1220c, 1220d)은 목적 층(106)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이 각각의 대응 수광 유닛(1011a, 1011b, 1011c, 1011d, 1011e, 1011f) 상으로 집광되는 광 스폿이다. 영역(1216ab, 1216c, 1216d, 1216e, 1216f)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0차 회절 빔의 조사 상태를 도시한다. 영역(1221c, 1221d)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1차 회절 빔의 조사 상태를 도시한다.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이 초점 부정합될 때, 반사 광 빔(1216ab)의 단부가 수광 유닛(1011e, 1011f) 상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편광 소자(1004) 내의 영역(1118ab)의 단부는 제거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수광 유닛(1011a, 1011b, 1011c, 1011d, 1011e, 1011f)에의 조사가 제한될 수 있도록,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0차 회절 빔 및 1차 회절 빔은 편광 소자(1004)에 의해 회절될 수 있다. 한편,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은 광 스폿을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수광 유닛(1011a, 1011b, 1011c, 1011d, 1011e, 1011f)에서 집광된다. 결과적으로, 목적 층(106)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과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이 분리될 수 있고, 층간 혼선이 감소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광 검출 유닛의 수광 유닛은 이중 나이프 엣지법을 이용한 포커스 제어와 푸시-풀법을 이용한 트랙킹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반사 광 빔을 수광하도록 구성되어서, 비목적 층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이 제한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광 기록 매체 재생 장치 및 광 픽업 헤드 장치의 광학계의 구성은, 도6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광 픽업 헤드 장치에 따르면, 편광 소자(1004)의 개구 분할의 구성이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상이하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광 픽업 헤드 장치 내의 제어 유닛(121)은 이중 나이프 엣지법을 이용한 포커스 서보 및 푸시-풀법을 이용한 트랙킹 서보를 수행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편광 소자(1004)의 개구 분할은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에 의해, 이중 나이프 엣지법을 이용한 포커스 서보 및 푸시-풀법을 이용한 트랙킹 서보를 수행할 수 있는 수광 유닛(1011)에 대응하는 구성을 가진다.
편광 소자(1004)의 개구(1317)는 영역(1318ab), 2개의 영역(1318c), 2개의 영역(1318d), 영역(1318g), 및 영역(1318hi)의 7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은 7개 영역 중에서 영역(1318ab), 2개의 영역(1318c), 2개의 영역(1318d), 및 영역(1318hi)을 통과하고, 각 영역으로부터의 각 빔은 각각의 대응 수광 유닛(1011a, 101lb, 1011c, 1011d, 1011h, 1011i)에서 검출된다. 영역(1318c, 1318d)은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1차 회절 빔이 통과하는 영역 내에 배열된다.
영역(1318g)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0차 회절 빔이 통과하는 광축 둘레의 부분과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1차 회절 빔이 통과하는 푸시-풀 영역의 중앙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광 검출 유닛(110)의 수광 유닛(1011)은 6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도14에서, 도6에 도시된 목적 층(106)과 비목적 층(107)의 배열 순서가 역전된 것으로 가정된다. 즉, 목적 층(106)은 광 빔이 입력되는 표면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열되고, 비목적 층(107)은 광 빔이 입력되는 표면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배열된다. 또한,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이 초점 부정합된 상태가 도14에 도시된다.
수광 유닛(1011)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수광 유닛(1011a, 101lb, 1011c, 1011d, 1011h, 1011i)으로 분할된다. 수광 유닛(1011a, 101lb)으로부터 생성된 신호들 사이의 차이 신호와 수광 유닛(1011h, 1011i)으로부터 생성된 신호들 사이의 차이 신호를 합산하여 생성된 합신호에 의거하여, 이중 나이프 엣지법을 이용하여 포커스 오차 신호가 생성된다. 수광 유닛(1011c, 1011d)으로부터 생성된 신호들 사이의 차이 신호에 의거하여, 트랙킹 오차 신호로서 푸시-풀 신호가 생성된다.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 은 각각의 영역(1318ab, 1318c, 1318d, 1318hi)에 의해, 거의 100%의 효율로서 각각의 수광 유닛(1011a, 101lb, 1011c, 1011d, 1011h, 1011i)을 조사하도록 회절된다.
편광 소자(1004) 내의 영역(1318g)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의 수광 유닛(1011a, 1011b, 1011c, 1011d, 1011h, 1011i)으로의 조사를 제한하도록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을 회절시킨다. 구체적으로, 편광 소자(1004) 내의 영역(1318g)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을 수광 유닛(1011a, 1011b, 1011c, 1011d, 1011h, 1011i)을 향하는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회절시킨다.
도14에서, 각각의 영역(1415ab, 1415c, 1415d, 1415hi, 1420c, 1420d)은 목적 층(106)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이 각각의 수광 유닛(1011a, 1011b, 1011c, 1011d, 1011h, 1011i) 상에 집광된 광 스폿이다. 영역(1416ab, 1416c, 1416d, 1416h, 1416i)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0차 회절 빔의 조사 상태를 도시한다. 영역(1421c, 1421d)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1차 회절 빔의 조사 상태를 도시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수광 유닛(1011a, 101lb, 1011c, 1011d, 1011h, 1011i)에의 조사가 제한될 수 있도록,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0차 회절 빔 및 1차 회절 빔은 편광 소자(1004)에 의해 회절될 수 있다. 한편,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은 광 스폿을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수광 유닛(1011a, 1011b, 1011c, 1011d, 1011h, 1011i)에서 집광된다. 결과적으로, 목적 층(106)으 로부터의 반사 광 빔과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이 분리될 수 있고, 층간 혼선이 감소될 수 있으며, 고정밀도의 포커스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 소자(1004)를 분할한 구성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을 회절시키기 위한 영역이 광축 둘레의 영역과 1차 회절 빔이 통과하는 영역(푸시-풀 영역의 중앙부)에 배열된 구성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광 기록 매체 재생 장치 및 광 픽업 헤드 장치의 광학계의 구성은, 도6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 소자(1004)의 개구 분할의 구성이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상이하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편광 소자(1004)의 개구 분할은,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된 동일 구성과 마찬가지로,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에 의해, 이중 나이프 엣지법을 이용한 포커스 서보 및 푸시-풀법을 이용한 트랙킹 서보를 수행할 수 있는 수광 유닛(1011)에 대응하는 구성을 가진다.
편광 소자(1004)의 개구(1517)는 영역(1518ab), 영역(1518c), 영역(1518d), 3개의 영역(1518g), 영역(1518hi)의 7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은 7개 영역 중에서 영역(1518c), 영역(1518d), 영역( 1518ab), 영역(1518hi)을 통과하고, 각 영역으로부터의 각 빔은 각각의 대응 수광 유닛(1011c, 1011d, 1011a, 101lb, 1011h, 1011i)에서 검출된다. 영역(1518c, 1518d)은,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1차 회절 빔이 통과하는 영역 내에 배열된다.
3개의 영역(1518g) 각각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0차 회절 빔과 1차 회절 빔이 회절될 수 있도록,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0차 회절 빔이 통과하는 광축 둘레의 부분과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1차 회절 빔이 통과하는 푸시-풀 영역의 중앙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광 검출 유닛(110)의 수광 유닛(1011)은,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6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도16에서, 도6에 도시된 목적 층(106)과 비목적 층(107)의 배열 순서가 역전된 것으로 가정된다. 즉, 목적 층(106)은 광 빔이 입력되는 표면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열되고, 비목적 층(107)은 광 빔이 입력되는 표면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배열된다. 또한,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이 초점 부정합된 상태가 도16에 도시된다.
수광 유닛(1011)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수광 유닛(1011a, 101lb, 1011c, 1011d, 1011h, 1011i)으로 분할된다. 수광 유닛(1011a, 101lb)으로부터 생성된 신호들 사이의 차이 신호와 수광 유닛(1011h, 1011i)으로부터 생성된 신호들 사이의 차이 신호를 합산하여 생성된 합신호에 의거하여, 이중 나이프 엣지법을 이용하여 포커스 오차 신호가 생성된다. 수광 유닛(1011c, 1011d)으로부터 생성된 신호들 사이의 차이 신호에 의거하여, 트랙킹 오차 신호로서 푸시-풀 신호가 생성된다.
도15 및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은 각각의 영역(1518ab, 1518c, 1518d, 1518hi)에 의해, 거의 100%의 효율로서 각각의 수광 유닛(1011a, 101lb, 1011c, 1011d, 1011h, 1011i)을 조사하도록 회절된 다.
편광 소자(1004)의 3개의 영역(1518g)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의 수광 유닛(1011a, 101lb, 1011c, 1011d, 1011h, 1011i)으로의 조사를 제한하도록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을 회절시킨다. 구체적으로, 편광 소자(1004) 내의 영역(1518g)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을 수광 유닛(1011a, 1011b, 1011c, 1011d, 1011h, 1011i)을 향하는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회절시킨다.
도16에서, 각각의 영역(1615ab, 1615c, 1615d, 1615hi, 1620c, 1620d)은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이 각각의 대응 수광 유닛(1011a, 1011b, 1011c, 1011d, 1011h, 1011i) 상에 집광된 광 스폿이다. 영역(1616ab, 1616c, 1616d, 1616h, 1616i)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0차 회절 빔의 조사 상태를 도시한다. 영역(1621c, 1621d)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1차 회절 빔의 조사 상태를 도시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수광 유닛(1011a, 101lb, 1011c, 1011d, 1011h, 1011i)에의 조사가 제한될 수 있도록,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0차 회절 빔 및 1차 회절 빔은 편광 소자(1004)에 의해 회절될 수 있다. 한편,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은 광 스폿을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수광 유닛(1011a, 1011b, 1011c, 1011d, 1011h, 1011i)에서 집광된다. 또한, 포커스 제어를 위한 이중 나이프 엣지법을 수행할 수 있는 수광 유닛이 포함된다. 결과적으로, 목적 층(106)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과 비목적 층(107)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이 분리될 수 있고, 층간 혼선이 감소될 수 있으며, 고정밀도의 포커스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 소자(1004) 내의 영역(1518g)이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0차 회절 빔이 통과하는 광축 둘레와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1차 회절 빔이 통과하는 푸시-풀 영역 중앙부에 형성되므로,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0차 회절 빔 및 1차 회절 빔이 회절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광 이용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광 픽업 헤드 장치 내의 편광 소자(1004)의 분할 구성 및 수광 유닛의 구성은 전술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록 및 재생에 사용되는 것이 아닌 비목적 층(107)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을 회절시켜서 수광 유닛 상으로의 조사를 제한할 수 있는 다른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르면, 광 검출 유닛(110)의 수광부는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을 검출하기 위해 구성된다. 전술된 구성에 의하면, 반사 광 빔의 이용 효율이 희생되기 때문에, 목적 층(106)으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을 완전히 분리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물리적 이유나 필요한 조정 정밀도의 이유 등으로 인해 수광 유닛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도 어렵다. 그러나, 수광 유닛의 크기의 물리적 제약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소형 개구부가 대형 수광 유닛 상에 형성되는 씰을 부착함으로써, 수광 유닛의 일부를 피복하는 것에 의해, 광을 수광하는 영역을 제한할 수 있다. 광 사용 효율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부분 투과율 필터 또는 미소 개구 제한의 사용을 통해 다른 정보 기록층의 간섭을 감소시킴으로써, 종래의 기술에 의해 실현된 효과로서 층간 혼선에 대한 동등 이상의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단면 단층 디스크의 사용될 때, 광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액정 소자 등과 같은 전자 제어 유닛을 개구 제한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추가적인 이점 및 수정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용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보다 광범위한 태양에 있는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구체적인 세부 사항 및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동등물에 의해 한정되는 전체적인 발명의 개념의 기술 사상 또는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구성에 따르면, 기록 또는 재생을 목적으로 하는 정보 기록층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과 정보 기록층 이외의 정보 기록층으로부터의 반사 광 빔을 분리해서 층간 혼선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Claims (7)

  1. 복수개의 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광 기억 매체용 광 픽업 헤드 장치이며,
    광 빔을 출사하는 광원과,
    광 빔을 제1 정보 기록층에 집광하는 집광 유닛과,
    광 기억 매체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을 검출하는 광 검출 유닛과,
    제1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반사된 제1 반사 광 빔을 광 검출 유닛에 입력하고, 제2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반사된 제2 반사 광 빔의 광 검출 유닛으로의 입력를 제한 또는 차폐하는 제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 검출 유닛은 초점 오차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수광 유닛과, 트랙킹 오차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수광 유닛과, 트랙킹 오차 신호를 조정하는 제3 수광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한 수단은 제1 반사 광 빔을 제1 수광 유닛, 제2 수광 유닛, 및 제3 수광 유닛에 입력하고, 적어도 제2 반사 광 빔이 통과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2 반사 광 빔을 제1 수광 유닛, 제2 수광 유닛, 및 제3 수광 유닛으로의 방향으로부터 편향된 방향으로 회절시키는 광 픽업 헤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복수개의 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광 기억 매체용 광 픽업 헤드 장치이며,
    광 빔을 출사하는 광원과,
    광 빔을 제1 정보 기록층에 집광하는 집광 유닛과,
    광 기억 매체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을 검출하는 광 검출 유닛과,
    제1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반사된 제1 반사 광 빔을 광 검출 유닛에 입력하고, 제2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반사된 제2 반사 광 빔의 광 검출 유닛으로의 입력를 제한 또는 차폐하는 제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 검출 유닛은 초점 오차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수광 유닛과, 트랙킹 오차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수광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한 수단은 제1 반사 광 빔을 제1 수광 유닛 및 제2 수광 유닛에 입력하고, 적어도 제2 반사 광 빔이 통과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2 반사 광 빔을 제1 수광 유닛 및 제2 수광 유닛으로의 방향으로부터 편향된 방향으로 회절시키는 광 픽업 헤드 장치.
  6. 복수개의 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광 기억 매체를 재생하는 장치이며,
    광 빔을 출사하는 광원과,
    광 빔을 제1 정보 기록층에 집광하는 집광 유닛과,
    광 기억 매체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을 검출하는 광 검출 유닛과,
    제1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반사된 제1 반사 광 빔을 광 검출 유닛에 입력하고, 제2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반사된 제2 반사 광 빔의 광 검출 유닛으로의 입력를 제한 또는 차폐하는 제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 검출 유닛은 초점 오차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수광 유닛과, 트랙킹 오차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수광 유닛과, 트랙킹 오차 신호를 조정하는 제3 수광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한 수단은 제1 반사 광 빔을 제1 수광 유닛, 제2 수광 유닛, 및 제3 수광 유닛에 입력하고, 적어도 제2 반사 광 빔이 통과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2 반사 광 빔을 제1 수광 유닛, 제2 수광 유닛, 및 제3 수광 유닛으로의 방향으로부터 편향된 방향으로 회절시키는 광 기억 매체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
  7. 복수개의 정보 기록층을 포함하는 광 기억 매체의 재생 방법이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 빔을 제1 정보 기록층에 집광하는 단계와,
    광 기억 매체로부터 반사된 반사 광 빔을 광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제1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반사된 제1 반사 광 빔을 광 검출 유닛에 입력하면서, 제2 정보 기록층으로부터 반사된 제2 반사 광 빔의 광 검출 유닛으로의 입력을 제한 또는 차폐하는 제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 검출 유닛은 초점 오차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수광 유닛과, 트랙킹 오차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수광 유닛과, 트랙킹 오차 신호를 조정하는 제3 수광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한 수단은 제1 반사 광 빔을 제1 수광 유닛, 제2 수광 유닛, 및 제3 수광 유닛에 입력하고, 적어도 제2 반사 광 빔이 통과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2 반사 광 빔을 제1 수광 유닛, 제2 수광 유닛, 및 제3 수광 유닛으로의 방향으로부터 편향된 방향으로 회절시키는 광 기억 매체의 재생 방법.
KR1020070018882A 2006-02-27 2007-02-26 광 픽업 헤드 장치와, 광 기억 매체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877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51284 2006-02-27
JP2006051284A JP2007234087A (ja) 2006-02-27 2006-02-27 光ピックアップヘッド装置、光記憶媒体再生装置および光記憶媒体再生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070A KR20070089070A (ko) 2007-08-30
KR100877458B1 true KR100877458B1 (ko) 2009-01-09

Family

ID=3809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882A KR100877458B1 (ko) 2006-02-27 2007-02-26 광 픽업 헤드 장치와, 광 기억 매체 재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01324A1 (ko)
EP (1) EP1826757A3 (ko)
JP (1) JP2007234087A (ko)
KR (1) KR100877458B1 (ko)
CN (2) CN1010304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7812B2 (en) * 2005-09-23 2012-01-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ynamic range measurement and calculation of optical keyless entry sensor
JP2007234087A (ja) 2006-02-27 2007-09-13 Toshiba Corp 光ピックアップヘッド装置、光記憶媒体再生装置および光記憶媒体再生方法
JP2008276860A (ja) * 2007-04-27 2008-11-13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
KR20090043883A (ko) * 2007-10-30 2009-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정보저장매체 시스템
KR101289071B1 (ko) * 2011-05-06 2013-07-22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광픽업 및 이를 적용한 광정보저장매체 시스템
JP6035840B2 (ja) * 2012-04-23 2016-11-3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記録媒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5037A (ja) 1999-07-23 2001-02-09 Sanyo Electric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WO2005043513A2 (en) * 2003-11-04 2005-05-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storage in discs having multiple data layers
JP2005216458A (ja) 2004-02-02 2005-08-11 Sharp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
EP1826757A2 (en) * 2006-02-27 2007-08-29 Kabushiki Kaisha Toshiba Optical-pickup head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optical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5279B2 (ja) * 1998-02-25 2004-12-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学式ピックアップ
JP3754422B2 (ja) * 2003-01-29 2006-03-15 株式会社リコー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WO2004068480A1 (ja) * 2003-01-30 2004-08-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光ヘッドとこれを備えた装置及びシステム
JP4234476B2 (ja) * 2003-03-28 2009-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
DE602004030301D1 (de) * 2003-06-13 2011-01-13 Panasonic Corp Optischer Kopf und damit versehene Datenverarbeitungseinrichtung
JP4311732B2 (ja) * 2004-04-13 2009-08-12 株式会社リコー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6114151A (ja) * 2004-10-15 2006-04-27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TWI328811B (en) * 2005-03-02 2010-08-11 Ricoh Co Ltd Optical system,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optical disk apparatus
JP4533349B2 (ja) * 2005-07-29 2010-09-01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4225996B2 (ja) * 2005-09-29 2009-02-18 株式会社東芝 光記録媒体、情報再生方法及び光情報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5037A (ja) 1999-07-23 2001-02-09 Sanyo Electric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WO2005043513A2 (en) * 2003-11-04 2005-05-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storage in discs having multiple data layers
JP2005216458A (ja) 2004-02-02 2005-08-11 Sharp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
EP1826757A2 (en) * 2006-02-27 2007-08-29 Kabushiki Kaisha Toshiba Optical-pickup head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optical storage medium
EP1826757A3 (en) 2006-02-27 2007-12-05 Kabushiki Kaisha Toshiba Optical-pickup head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optical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01324A1 (en) 2007-08-30
EP1826757A2 (en) 2007-08-29
CN101030402A (zh) 2007-09-05
CN101499294A (zh) 2009-08-05
EP1826757A3 (en) 2007-12-05
JP2007234087A (ja) 2007-09-13
KR20070089070A (ko)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884B1 (ko) 광픽업
US7539090B2 (en) Optical pick-up head, optical information apparatus, and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JP4759617B2 (ja) 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877458B1 (ko) 광 픽업 헤드 장치와, 광 기억 매체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08130167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6244535A (ja) 光ヘッド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4751444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8130219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1187710B1 (ko) 광픽업 장치
JP4876844B2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JP2007272980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WO2007094288A1 (ja) 光学ヘッド、光学ヘッドの制御方法及び光情報処理装置
JP4806661B2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学的情報再生装置
JP2008004239A (ja) 光ピックアップおよびこれを備える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861934B2 (ja) 光ピックアップ、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学素子
JP5119194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70119281A (ko) 호환형 광픽업
JP2006196051A (ja) 光集積ユニット
JP2011187116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KR20090043883A (ko)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정보저장매체 시스템
JP2012069183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12133850A (ja) 光ピックアップ
JP2009009673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8117455A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JP2006164442A (ja) 光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