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378B1 -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원고 첨삭 지도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원고 첨삭 지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378B1
KR100877378B1 KR1020060131050A KR20060131050A KR100877378B1 KR 100877378 B1 KR100877378 B1 KR 100877378B1 KR 1020060131050 A KR1020060131050 A KR 1020060131050A KR 20060131050 A KR20060131050 A KR 20060131050A KR 100877378 B1 KR100877378 B1 KR 100877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manuscript
original
signal
l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5319A (ko
Inventor
이흥성
황의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즈텍
Priority to KR1020060131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378B1/ko
Publication of KR2008006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06F40/211Syntactic parsing, e.g. based on context-free grammar [CFG] or unification gramma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원고 첨삭 지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컴퓨터의 기본장치인 마우스와 키보드만으로도 온라인에서 원고첨삭지도가 가능하고, 그 표현 능력이 오프라인의 종이매체를 이용한 원고첨삭지도와 같은 이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역적 제한에 따른 원고 첨삭 지도에 대한 회신기간을 단축하고, 원고 분실의 위험을 줄이면서 우편 등의 통신요금을 절감하는 한편, 언제라도 과거의 이력 등을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는 것이다.
원고, 첨삭부호, 온라인, 운영서버,

Description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원고 첨삭 지도방법{Draft correction map method of on-line that use electronic comput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컴퓨터와 마우스에 의한 온라인 원고 첨삭 지도 방법에 관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원고입력툴의 화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첨삭도구툴을 포함하는 첨삭지도의 화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작성된 원고에 첨삭 문자 입력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의 이미지 파일 화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첨삭 문자 입력공간 및 문자열에 첨삭내용 및 첨삭부호를 삽입한 상태의 이미지 파일 화면도.
도 7의 a,b,c는 첨삭부호를 이용한 작성원고의 교정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데이터베이스 12; 이미지 변환기
13; 원고입력툴 실행기 14; 첨삭도구툴 실행기
15; 첨삭 재생기 16; 음성변환부
17; 호출부 100; 제 1 컴퓨터
200; 제 2 컴퓨터 300; 인터넷망
400; 운영서버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원고 첨삭 지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의 마우스와 키보드만으로도 오프라인에서와 동일하게 첨삭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원고 첨삭 지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프라인에서의 원고 첨삭 지도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통신교육이나, 주어진 주제에 대하여 작성된 원고를 종이매체에 기록한 후 이를 직접 또는 우편 등을 통해 첨삭 지도자에게 전달하게 되고, 이에따라 첨삭 지도자는 전달받은 원고에 필기도구를 사용하여 첨삭 대상이 되는 원고 위치에 첨삭의 부호를 기록한 후 첨삭내용이 부가된 원고 용지를 다시 원고 작성자에게 우편 등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원고 작성자의 원고 작성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오프라인에서의 첨삭 지도방법은 원고 위에 첨삭 내용을 상세하게 표현 및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현재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오프라인에서 진행되는 첨삭 지도 방법은 작성된 원고를 첨삭지도할 사람에게 우편 또는 인편 등으로 전달해야 하고, 다시 첨삭 지도된 내용을 원고 작성자에게 우편 또는 인편으로 전달해야 하므로, 전달과정에서의 우편요금 발생, 전달되는 동안의 시간적인 제약, 전달과정에서의 원고 분실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원고나 첨삭 내용을 보관하는데에도 공간적인 제약이 따르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팩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성된 원고 및 첨삭이 이루어진 원고를 송수신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이용하고자 하는 원고 작성자나 첨삭 지도자 모두가 팩스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팩스를 통한 원고 출력 및 원고 위에 첨삭 지도가 이루어질 때 팩스의 종류에 따라 인쇄 품질의 차이가 발생하면서 원고 내용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팩스의 송수신시 단일의 검정색상으로만 원고 내용이 인쇄되면서 첨삭 내용에 대한 파악이 쉽지 않았고, 아울러 팩스를 통한 자료의 송수신에 통신요금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들어,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술발달로 워드프로세스 기술을 이용하여 원고를 작성하고 그 작성된 원고 파일을 이메일의 첨부파일 형태로 첨삭지도자에게 전달하여, 첨삭지도자가 작성된 원고에 워드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첨삭할 내용을 기재하는 온라인상에서의 교육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는 특허출원 제 2000-10506 호, 특허출원 제 2000-10261 호, 특허출원 제 2000-28075 호, 특허출원 제 2001-43800 호, 특허출원 제 2003-50441 호, 특허출원 제 2005-65054 호에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특허들에서의 온라인 첨삭 지도 방법은 워드프로세스로 작성된 원고의 전체적인 내용 등에 대한 의견 기술만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오프라인에서의 첨삭 지도 방법과 같이 원고 위에 첨삭 내용을 상세하게 표현 및 전달하지 못하면서 원고 작성자가 한눈에 첨삭된 내용을 이해하는데에는 부족한 면이 있고, 개개인의 원고 첨삭 지도는 가능하나, 원고 첨삭 지도 이력 등의 관리가 부족한 면이 있다.
이에따라, 종래에는 온라인상에서의 첨삭 지도에 펜입력장치(예; 펜 타블렛, 초음파 펜, 타블렛 모니터)를 이용하여 이메일의 첨부파일 형태로 전달된 원고에 첨삭을 진행하는 방법이 일부 사용되고 있지만, 이는 첨삭 지도자가 고가의 펜 입력장치를 별도로 구입해야만 하는 단점과, 펜 입력장치를 능숙하게 사용하도록 노력이 필요하며, 기기에 대한 초심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컴퓨터의 마우스와 키보드만으로 오프라인에서와 동일하게 온라인상의 원고파일에 첨삭 내용을 상세하게 표현하여, 첨삭 내용에 대한 원고 작성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원고 작성자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원고 첨삭 지도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원고 첨삭 지도 방법은,
접속된 원고 작성자의 회원등록 여부를 인증하는 제 1 단계;
상기 인증된 원고 작성자의 클릭신호에 따라 원고 입력툴로 원고 작성을 유도한 후 첨삭 지도자를 탐색하여 선택하고, 작성된 원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동시에 첨삭 지도를 위한 호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첨삭 지도자의 호출신호 수신시, 회원등록 인증을 거쳐 첨삭 지도할 작성된 원고의 열람을 승인하는 제 3 단계;
상기 승인으로부터 작성된 원고 선택시 그 작성된 원고 및 다양한 종류의 첨삭부호를 가진 첨삭도구툴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 후 첨삭 지도자의 첨삭 지도 내용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첨삭 지도의 내용 입력이 완료되면, 첨삭지도가 이루어진 원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동시에 원고 작성자의 호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5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원고 작성자의 호출신호 수신시 회원등록 여부를 인증한 후 첨삭이 부여된 원고의 열람을 승인하고, 첨삭 내용 재생기를 통해 첨삭이 부여된 원고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6 단계; 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작성된 원고는 그 저장/전송 선택시 좌상측에 문자의 시작위치 점이 표시되고, 첨삭 내용이 부여될 수 있도록 작성된 원고의 우측 및, 문자의 행과 행 사이에 첨삭 문자 입력공간이 형성되는 이미지 파일로 자동 변환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첨삭도구툴은 작성된 원고에서 수정할 위치의 문자 범위(시작점과 끝점)를 마우스로 선택시 작성된 원고에 표시되고, 상기 첨삭 문 자 입력공간은 상기 첨삭도구툴에서 하나의 첨삭도구를 선택시 문자열의 하단 또는 우측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작성된 원고에 첨삭 지도를 위한 내용 입력시 그 내용은 음성으로 자동 변환된 후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컴퓨터와 마우스에 의한 온라인 원고 첨삭 지도 방법에 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원고입력툴의 화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첨삭도구툴을 포함하는 첨삭지도의 화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작성된 원고에 첨삭 문자 입력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의 이미지 파일 화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첨삭 문자 입력공간 및 문자열에 첨삭내용 및 첨삭부호를 삽입한 상태의 이미지 파일 화면도이며, 도 7의 a,b,c는 첨삭부호를 이용한 작성원고의 교정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원고 첨삭 지도 방법은 원고 작성자의 제 1 컴퓨터(100), 첨삭 지도자의 제 2 컴퓨터(200) 및 인터넷(300), 그리고 운영서버(400)의 구축으로부터 달성되며, 상기 운영서버(400)에는 데이터베이스(11), 이미지 변환기(12), 원고입력툴 실행기(13), 첨삭도구툴 실행기(14), 첨삭 재생기(15), 음성변환부(TTS; Text to Sound)(16), 그리고 호출부(17)를 포함한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홈페이지를 운영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11)는 첨삭 지도를 위해 작성되는 원고는 물론, 첨삭 내용이 포함되는 원고를 저장함은 물론, 회원등록된 원고 작성자와 첨삭 지도자의 인증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상기 이미지 변환기(12)는 원고 작성자가 제 1 컴퓨터(100)를 통해 운영서버(400)에 접속하여 원고 작성시, 상기 작성되는 원고를 이미지 파일로 자동 변환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으며, 원고 작성자가 운영서버(400)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원고를 작성한 후 완료버튼을 클릭시 그 클릭과 동시에 작성된 원고를 이미지로 변환한 후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원고 입력툴 실행기(13)는 원고 작성자가 제 1 컴퓨터(100)를 통해 운영서버(400)에 접속한 후 그 홈페이지에서 원고작성모드를 클릭시 그 클릭신호에 따라 백지상태의 화면 또는 원고지 형태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첨삭도구툴 실행기(14)는 첨삭 지도자가 제 2 컴퓨터(200)를 통해 운영서버(400)에 접속한 후 첨삭 지도를 위한 원고를 선택하는 신호를 발생시, 실행되는 원고의 상단부위에 표시되는 것으로, 이는 작성된 원고에서 문자의 삭제, 문자와 문자의 연결과 같은 표현을 오프라인에서 실시되는 방식과 동일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첨삭부호를 포함한다.
상기 첨삭 재생기(15)는 첨삭 지도자에 의해 원고내에 첨삭부호 및 첨삭내용이 입력된 상태에서 이를 원고 작성자가 열람시, 첨삭부호 및 첨삭내용을 원고에 표현하는 것으로, 첨삭부호 및 내용의 실행프로그램이 탑재 구성된다.
상기 음성변환부(16)는 첨삭 지도자가 제 2 컴퓨터(200)를 통해 원고에 첨삭 부호 및 첨삭내용을 입력시 그 입력과 동시에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한 후 이를 운영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하는 것으로, 문자/음성 변환 프로그램이 탑재 구성된다.
상기 호출부(17)는 원고 작성자가 제 1 컴퓨터(100)를 통해 운영서버(400)의 홈페이지에서 원고 작성을 완료한 후 첨삭지도자를 선택하고 원고송신버튼(T1)을 클릭시 선택된 첨삭지도자를 호출하는 신호, 또는 첨삭 지도자가 제 2 컴퓨터(200)를 통해 운영서버(400)의 홈페이지에서 원고에 첨삭내용의 입력을 완료한 후 첨삭완료/송신버튼(T2)을 클릭시 원고 작성자를 호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의 호출신호는 텍스트 문자 형태로서 데이터베이스(11)에 등록되는 원고 작성자 또는 첨삭 지도자의 이메일, 또는 통신단말기에 SMS형태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음성변환부(16)에 의해 음성 변환이 이루어진 후 통신단말기에 전송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온라인상에서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운영서버(400)는 원고 작성자와 첨삭 지도자의 회원가입을 유도한 후, 상기 원고 작성자와 첨삭 지도자의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데이터베이스(11)에 등록 저장한다.
다음으로, 원고 작성자가 제 1 컴퓨터(100)와 인터넷망(300)을 이용하여 운영서버(400)에 접속한 후 원고 작성의 버튼을 클릭시, 상기 운영서버(400)는 원고 작성자의 회원인증을 진행한다.
이때, 등록된 회원인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내의 원고입력툴 실행기(13)는 원고입력툴 화면을 실행시킨 후 그 실행화면을 인터넷망(400)을 통해 원고 작성자의 제 1 컴퓨터(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원고 작성자는 제 1 컴퓨터(100)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원고를 작성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원고의 작성이 완료된 상태에서 원고 작성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원고 작성의 완료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상기의 클릭신호로부터 운영서버(400)내의 이미지 변환부(12)는 자동 변환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원고 작성자가 제 1 컴퓨터(100)의 키보드를 통해 작성한 원고를 이미지 파일로 자동 변환시킨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시킨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11)에 이미지 파일 및 음성정보의 원고 저장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원고 작성의 완료버튼을 클릭하는 신호로부터 원고 작성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회원등록이 이루어진 첨삭 지도자의 목록을 동시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원고 작성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첨삭 지도자들 중에서 어느 한 명을 선택하는 버튼을 클릭함과 동시에 도 3에서와 같이 원고송신버튼(T1)을 클릭시, 상기 선택 및 송신에 따른 클릭신호로부터 운영서버(400)내의 호출부(17)는 데이터베이스(11)를 탐색하여 원고 작성자가 선택한 첨삭 지도자의 개인 메일이나 통신단말기에 문자메세지 또는 음성안내의 호출메세지를 전송한다.
한편, 첨삭 지도자가 이메일 또는 통신단말기의 메세지 확인으로부터 키보드 와 마우스를 구비한 제 2 컴퓨터(200)와 인터넷망(300)을 통해 운영서버(400)에 접속한 후 회원인증절차를 거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내의 첨삭지도툴 실행기(14)에서는 첨삭 지도할 이미지 파일 형태의 원고 및 다양한 종류의 첨삭부호를 가진 첨삭도구툴을 포함하는 화면을 실행시킨 후 이를 인터넷망(300)을 통해 첨삭 지도자의 제 2 컴퓨터(200)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킨다.
그러면, 첨삭 지도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원고를 읽어 첨삭할 부분을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에 따라 마우스와 키보드를 이용하여 첨삭내용 및 첨삭부호를 도 6,7에서와 같이 입력한다.
이때, 첨삭 지도의 내용 및 첨삭부호 입력이 이루어질 때 그 입력상태는 운영서버(400)내의 음성변환부(16)에 의해 음성으로 자동 변환이 이루어지면서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되고, 상기와 같이 완료된 상태에서 첨삭지도자 첨삭완료/송신버튼(T2)을 클릭하면, 상기의 클릭신호로부터 운영서버(400)는 첨삭내용이 부여된 원고를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함과 동시에 호출부(17)를 구동 제어하고, 이에따라 상기 호출부(17)는 데이터베이스(11)를 탐색하여 원고 작성자의 개인 메일이나 통신단말기에 문자메세지 또는 음성안내의 호출메세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원고작성자가 이메일 또는 통신단말기의 메세지를 확인한 후 키보드와 마우스를 구비한 제 1 컴퓨터(100)와 인터넷망(300)을 통해 운영서버(400)에 접속하여 회원인증을 받게 되고, 이와동시에 운영서버(400)에 포함된 첨삭재생기(15)와 음성변환부(16)는 상기 첨삭내용 및 첨삭부호가 부여된 원고를 화면 및 음성으로 실행시키고, 이에따라 원고 작성자는 본인이 작성한 원고의 문제점 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첨삭내용 및 첨삭부호가 부여된 원고는 원고 작성자가 제 1 컴퓨터(100)에 연결되는 인쇄기(미도시)를 통해 오프라인으로의 인쇄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컴퓨터의 기본장치인 마우스와 키보드만으로도 온라인에서 원고첨삭지도가 가능하고, 그 표현 능력이 오프라인의 종이매체를 이용한 원고첨삭지도와 같은 이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역적 제한에 따른 원고 첨삭 지도에 대한 회신기간을 단축하고, 원고 분실의 위험을 줄이면서 우편 등의 통신요금을 절감하는 한편, 언제라도 과거의 이력 등을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원고 작성자가 운영서버에 접속시, 상기 운영서버가 접속된 원고 작성자의 회원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하는 제 1 단계;
    상기 인증된 원고 작성자가 발생시키는 클릭신호에 따라 운영서버가 원고 입력툴를 디스플레이시켜 상기 원고입력툴에 원고 작성자의 원고 작성을 유도한 후 작성자의 원고 작성 완료신호(전송신호)가 운영서버에 전달시 원고 작성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회원등록된 탐색 가능한 첨삭 지도자의 목록을 디스플레이시켜 원고 작성자에 의한 첨삭 지도자 선택신호를 받고, 상기 원고작성의 완료에 따른 전송신호에 따라 작성된 원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동시에 첨삭 지도를 위한 선택된 첨삭 지도자의 호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첨삭 지도자가 호출신호 수신시, 첨삭 지도자가 마우스와 키보드는 물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를 통해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회원인증을 받고, 회원인증 후 운영서버가 첨삭 지도할 작성된 원고의 열람을 승인하는 신호를 첨삭 지도자의 컴퓨터에 전송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첨삭 지도자의 컴퓨터로 전송되는 열림승인신호에 따라 첨삭지도자가 작성된 원고를 선택하는 신호(클릭신호)를 발생시, 첨삭지도자로부터 첨삭 지도 내용을 입력받도록 상기 선택신호로부터 선택된 원고 및 다양한 종류의 첨삭부호를 가진 첨삭도구툴들의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여 첨삭지도자의 컴퓨터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원고 및 다양한 종류의 첨삭부호를 가진 첨삭도구툴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첨삭지도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첨삭 지도의 내용을 입력하면, 상기 입력되는 첨삭 지도의 신호를 인터넷망을 통해 운영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첨삭지도가 이루어진 원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동시에 원고 작성자를 호출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로부터 원고 작성자가 호출신호를 수신한 후 운영서버에 접속시 운영서버가 회원등록 여부를 인증한 후 첨삭이 부여된 원고의 열람을 승인하고, 첨삭 내용 재생기를 통해 첨삭이 부여된 원고를 원고 작성자가 열람하도록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하고,
    상기 제 4 단계의 상기 첨삭도구툴은 작성된 원고에서 수정할 위치의 문자 범위(시작점과 끝점)를 마우스로 선택시 작성된 원고에 표시되고, 상기 첨삭 문자 입력공간은 상기 첨삭도구툴에서 하나의 첨삭도구를 선택시 문자열의 하단 또는 우측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원고 첨삭 지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작성된 원고는 그 저장을 위한 전송 선택시 좌상측에 문자의 시작위치 점이 표시되고, 첨삭 내용이 부여될 수 있도록 작성된 원고의 우측 및, 문자의 행과 행 사이에 첨삭 문자 입력공간이 형성되는 이미지 파일로 자동 변환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원고 첨삭 지도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된 원고에 첨삭 지도를 위한 내용 입력시 그 내용은 음성으로 자동 변환된 후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원고 첨삭 지도방법.
KR1020060131050A 2006-12-20 2006-12-20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원고 첨삭 지도방법 KR100877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050A KR100877378B1 (ko) 2006-12-20 2006-12-20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원고 첨삭 지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050A KR100877378B1 (ko) 2006-12-20 2006-12-20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원고 첨삭 지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319A KR20080065319A (ko) 2008-07-14
KR100877378B1 true KR100877378B1 (ko) 2009-01-08

Family

ID=3981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050A KR100877378B1 (ko) 2006-12-20 2006-12-20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원고 첨삭 지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3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8229A1 (ko) * 2014-01-15 2015-07-23 김민규 전자 문서의 첨삭을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119A1 (ko) * 2009-11-10 2011-05-19 주식회사 봄라이브러리 문장 첨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689A (ko) * 2001-07-20 2001-11-08 -- 원격교육을 통한 일대일 첨삭지도 방법
KR20020008294A (ko) * 2000-07-21 2002-01-30 이태호 실시간 첨삭 기능을 갖는 교육전용 브라우저
KR20030073810A (ko) * 2002-03-13 2003-09-19 주식회사 리즈텍 통신망을 통한 첨삭 학습지도시스템 및 학습지도방법
KR20040050543A (ko) * 2002-12-10 2004-06-16 정성채 온라인 상에서의 독서 및 글쓰기지도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294A (ko) * 2000-07-21 2002-01-30 이태호 실시간 첨삭 기능을 갖는 교육전용 브라우저
KR20010096689A (ko) * 2001-07-20 2001-11-08 -- 원격교육을 통한 일대일 첨삭지도 방법
KR20030073810A (ko) * 2002-03-13 2003-09-19 주식회사 리즈텍 통신망을 통한 첨삭 학습지도시스템 및 학습지도방법
KR20040050543A (ko) * 2002-12-10 2004-06-16 정성채 온라인 상에서의 독서 및 글쓰기지도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8229A1 (ko) * 2014-01-15 2015-07-23 김민규 전자 문서의 첨삭을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319A (ko) 2008-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iggs Journalism next: A practical guide to digital reporting and publishing
US9582095B1 (en) Integrated document editor
US201500243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Relevance-Based Categorizing and Near-Time Learning of Words
Frith Forum moderation as technical communication: The social web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technical communicators
KR20090069300A (ko) 페이퍼 및 전자 문서내의 주석의 캡처 및 디스플레이
JP2007041177A (ja) 教材処理装置、教材処理方法、教材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877378B1 (ko)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상의 원고 첨삭 지도방법
KR20110053300A (ko) 오답 노트 생성 시스템 및 오답 노트 생성 방법
TWI591501B (zh) The book content digital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JP4802075B2 (ja) コンテンツ送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送信方法
JP2006244055A (ja) 書類管理システムおよび書類管理方法
US20230134056A1 (en) Intelligent electronic signature platform
JP4356533B2 (ja) ドキュメント処理装置
KR101191677B1 (ko) 오답 노트 생성 장치
JP2003345232A (ja) 通信添削システム
Risto The impact of texting and social media on students' academic writing skills
JP4957787B2 (ja) 情報表示制御装置、電子辞書プログラム
JP4561156B2 (ja) ドキュメント処理装置
JP2006017932A (ja) 学習装置、携帯電話機、学習装置の制御方法、学習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736995B2 (ja) 電子決裁システム
Mizrahi Web content: A writer's guide
JP4501501B2 (ja) 情報表示制御装置、電子辞書プログラム
Wright et al. Born Accessible: Creating Templates for Standardized, Accessible ETDs
JP2017054041A (ja) 穴埋め問題作成システム,穴埋め問題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Berdica The positive impact of technology in trans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