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677B1 - 오답 노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오답 노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677B1
KR101191677B1 KR1020090110019A KR20090110019A KR101191677B1 KR 101191677 B1 KR101191677 B1 KR 101191677B1 KR 1020090110019 A KR1020090110019 A KR 1020090110019A KR 20090110019 A KR20090110019 A KR 20090110019A KR 101191677 B1 KR101191677 B1 KR 101191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orrect
image
block code
user
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301A (ko
Inventor
권승철
최강모
Original Assignee
권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승철 filed Critical 권승철
Priority to KR1020090110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67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3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인쇄 문제지의 각 문항에 블록 코드를 설정하며, 상기 블록 코드가 설정되어있는 복수의 문항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 그리고 네트워크 망을 통해 인쇄 문제지를 구매한 사용자 서버로부터 문제지의 각 페이지에 대한 스캐닝 이미지를 수신하여 보정하고, 오답 노트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스캐닝 이미지를 채점한 후,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문항 정보에 기초하여 오답 문항과 상기 블록 코드를 포함하는 오답 노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서버에 제공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미지 스캐닝 기술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오답 노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기록한 내용도 오답 노트에 기록할 수 있고 관리 정보를 블록 코드화하여 오답 노트에 삽입함으로써 사용자의 히스토리 및 출력 배치 등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문제 은행, 네트워크, 문제집, 오답 노트

Description

오답 노트 생성 장치{The device for manufacturing an incorrect answer note}
본 발명은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구현되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답 노트 및 노트 정리는 학생들의 학업에 매우 큰 영향력을 가지며, 매우높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수학능력 평가 시험의 100일전 오답 노트의 중요성이 발표되면서 오답 노트에 대한 필요성 및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오답 노트 및 노트 정리는 학생들이 아날로그 방식으로 노트에 직접 필기구를 이용하여 작성하였으며, 오답 노트의 경우 직접 자신이 틀린 문제를 기재하여 하드 카피로 소장함으로써 생성이 힘들고 편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노트 필기를 수업 중에 진행하므로 수업 집중이 약화되어 수업의 질이 떨어진다.
한편, 정부에서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는 문제 은행은 자기 회사의 콘텐츠를대부분의 학생들의 수업 내용과 상관없는 문제 은행식으로 구성하여 소비자의 접근성이 어렵고 문제 은행을 만드는 회사는 고비용 저효율의 문제 은행을 만들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연계된 문제지를 이미지 데이터화하여 온라인 상에서 채점하고 오답 노트를 편집하여 출력할 수 있는 오답 노트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장치는 인쇄 문제지의 각 문항에 블록 코드를 설정하며, 상기 블록 코드가 설정되어있는 복수의 문항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 그리고 네트워크 망을 통해 인쇄 문제지를 구매한 사용자 서버로부터 문제지의 각 페이지에 대한 스캐닝 이미지를 수신하여 보정하고, 오답 노트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스캐닝 이미지를 채점한 후,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문항 정보에 기초하여 오답 문항과 상기 블록 코드를 포함하는 오답 노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서버에 제공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오답 노트를 생성하는 웹 사이트를 운용하며, 상기 사용자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망의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스캐닝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서버와 송수신하는 입/출력부, 상기 스캐닝 이미지를 확대 후, 보정하는 보정부, 그리고 상기 사용자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오답 노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정부는 상기 스캐닝 이미지를 2배 확대 후, 상기 확대된 스캐닝 이미 지의 상기 블록코드의 위치의 뒤틀림 여부를 판단하여 보정 각도를 계산하고, 상기 보정 각도에 따라 상기 스캐닝 이미지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웹 사이트를 운용하며, 상기 사용자 서버의 회원 가입 시 각 사용자 서버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오답 노트 생성 요청 시, 상기 블록 코드에 기록되어 있는 정답 위치와 상기 스캐닝 이미지의 정답 위치를 비교하여 이미지 채점을 수행하고, 상기 오답 문항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사용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용지 크기 정보에 대하여 상기 오답 문항에 대한 콘텐츠 이미지의 크기를 비교하여 자동 조판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오답 노트를 소정의 비율로 축소하여 상기 사용자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방법은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사용자 서버로부터 블록 코드가 설정되어 있는 문제지의 스캐닝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 이미지를 확대하여 기준 방향으로 회전 보정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서버로부터의 오답 노트 실행 요청이 인식되면 상기 스캐닝 이미지의 채점을 수행하는 단계, 오답 문항에 대하여 이미지 조판을 수행하고 오답 문항 별 상기 블록 코드를 생성하여 오답 노트에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블록 코드가 배치되어 있는 상기 오답 노트를 소정의 비율로 축소하여 상기 사용자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캐닝 이미지는 2배로 확대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서버에 제공 시 1/2로 축소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조판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용지 크기 정보에 대하여 상기 오답 문항에 대한 콘텐츠 이미지의 크기를 비교하여 자동 조판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웹사이트에 상기 사용자 서버의 회원 가입 시, 각 사용자 서버마다 고유의 데이터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답 노트 실행 요청 시, 상기 사용자 서버로부터 상기 오답 노트의 조판 유형을 선택하는 선택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 스캐닝 기술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오답 노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기록한 내용도 오답 노트에 기록할 수 있고 관리 정보를 블록 코드화하여 오답 노트에 삽입함으로써 사용자의 히스토리 및 출력 배치 등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를 보정하여 스캐닝 오차를 보상함으로써 정확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 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시스템은 하드 카피의 문제지를 구매한 사용자가 메인 서버(100)에 접속하여 문제지의 스캐닝 이미지를 전송하면, 메인 서버(100)는 수신된 스캐닝 이미지를 채점하고, 이미지를 보정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서버(500)로부터의 오답 노트 생성 요청에 따라 오답 문제에 대한 콘텐츠를 불러들여 오답 노트 생성하고 각 콘텐츠에 따른 블록 코드를 오답 노트에 자동 배치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b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메인 서버(100)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이미지 보정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순서도에 따른 이미지 보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시스템은 메인 서버(100), 데이터 베이스(200), 복수의 제공자(300) 및 네트워크망(400)을 통하여 메인 서버(100)와 송수신하는 복수의 사용자 서버(500)를 포함한다.
메인 서버(100)는 복수의 제공자(300)와 연계하여 제공자(300)가 제공하는 복수의 문제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하고 있으며, 저장되어 있는 문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답 노트를 형성하는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를 운용하고 있다.
이러한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서버(500)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오답 노트 생성을 요청할 때, 사용자 서버(500)로부터 문제지 이미지를 수신하고, 가공하여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하며, 이러한 문제지 이미지를 가지고 오답 노트를 형성하여 사용자 서버(500)에 전송한다.
메인 서버(100)에 대하여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복수의 제공자(300)는 문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업자, 개인 및 공공 단체 등일 수 있으며, 메인 서버(100)와 연계하여 웹사이트 상에 소유의 문제 데이터를 공개하고자 하는 개체일 수 있다.
제공자(300)는 메인 서버(100)와 연계하여 각 문제 데이터마다 블록 코드를 부여하며 판매하는 문제지의 모든 페이지에 각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문제 데이터에 대한 블록 코드를 각 페이지의 특정 영역에 표시한다.
복수의 사용자 서버(500)는 일반적인 범용 컴퓨터일 수 있으며, 스캐너와 연계하여 하드카피의 문제지를 스캐닝하여 전송 가능한 장치를 포함한다.
복수의 사용자는 복수의 제공자(300)가 판매하는 문제지의 수요자로서, 하드카 피의 문제지를 이용하여 해당 문제를 풀고, 스캐너를 이용하여 문제지 이미지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사용자 서버(500)에 저장한다.
사용자 서버(500)는 메인 서버(100)가 운용하는 웹사이트에 회원가입한 후 로그인하여 이미지 파일을 네트워크 망(400)을 통해 메인 서버(100)에 전송하고, 오답 노트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
사용자 서버(500)는 웹 사이트에서 오답 노트의 이미지 조판을 위한 선택 사항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생성된 오답 노트를 출력하거나 저장함으로써 오답 노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및 도 3을 참고하여 메인 서버(1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서버(100)는 입/출력부(110), 보정부(130) 및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입/출력부(110)는 네트워크 망(400)을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 서버(500)와 송수신하며, 사용자 서버(500)로부터 문제지 이미지 및 오답 노트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생성된 오답 노트를 데이터로 전송한다.
보정부(130)는 입/출력부(110)로부터 문제지 이미지를 수신하고, 문제지 이미지를 확대 후 보정하여 정확한 방향으로 전환하고,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한다.
처리부(150)는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를 운용하고, 입/출력부(110) 및 보정부(130)를 제어한다. 또한, 처리부(150)는 사용자 서버(500)의 요청에 따라 오답 노트를 생성하고, 오답 노트에 기재되는 콘텐츠의 블록 코드를 생성하고 오답 노트에 배치한다.
도 3을 참고하여 이러한 메인 서버(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서버(500)의 사용자는 오프라인 상의 제공자(300)로부터 문제지를 구매하고, 제공자(300)와 연계되어 있는 메인 서버(100)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한다.
회원 가입을 수행한 사용자는 문제지에 기재되어 있는 문제를 풀고난 후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 서버(500)가 웹 사이트에 로그인을 수행하면, 입/출력부(110)는 사용자 서버(500)의 로그인 정보를 처리부(150)로 전송하여 처리부(150)는 해당 사용자 서버(500)를 인식한다(S100).
사용자는 로그인 후, 풀고난 문제지의 각 페이지를 스캐닝하여 문제지 이미지를 사용자 서버(500)에 저장한 후, 웹 사이트를 통하여 메인 서버(100)에 문제지 이미지를 전송한다.
메인 서버(100)가 사용자 서버(500)로부터 문제지 이미지를 수신하면(S110), 보정부(130)는 문제지 이미지를 보정한 후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 베이스(200)는 제공자(300)와 연계되어 기록하고 있는 문제 정답 데이터 베이스, 문제 유형 데이터 베이스 및 문제 해설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원가입되어 있는 각 사용자 별로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며, 각 사용자별 문제지 이미지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각각 저장된다.
이때, 문제지 이미지의 보정은 도 4 및 도 5a, b와 같이 이루어진다.
도 4를 참고하면, 먼저 입/출력부(110)가 스캐닝된 문제지 이미지를 수신하여 보정부(130)에 전달하면(S200), 보정부(130)는 수신된 문제지 이미지를 2배로 확대하여 이미지 정보로 변환한다(S210).
다음으로, 보정부(130)는 이미지 정보 하단에 기재되어 있는 블록 코드 단의위치를 파악하여 블록 코드의 좌표를 판단한다(S220).
이때, 블록 코드 단(630)이 도 5a와 같이 뒤틀려 있는 경우, 즉, 문제지 이미지(600) 전체에 대하여 블록 코드 단(630)의 좌표가 기준 좌표와 서로 다른 경우, 블록 코드 단(630)의 좌표를 기준 좌표로 옮기기 위한 보정 각도를 연산한다(S230).
다음으로 보정 각도만큼 전체 이미지를 회전하여 도 5b와 같이 스캐닝한 이미지(600)와 콘텐츠(610)의 방향을 일치시키는 보정을 수행한 후 각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S240).
이와 같이, 스캐닝한 이미지를 보정함으로써 각 문항의 이미지를 분할하여 오답 노트 형성 시 문항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오답 노트 실행을 선택하면, 메인 서버(100)의 처리부(150)는 오답 노트 생성 실행을 인식하고 오답 노트를 생성한다(S130).
오답 노트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오답 노트의 조판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8은 도 7의 블록 코드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처리부(150)는 이미지 보정 후, 보정된 이미지 정보에 대하여 채점을 수행한다(S300).
이러한 이미지 채점은 이미지 정보에 체크되어 있는 사용자의 답안과 블록 코드 상의 정답 위치를 비교하여 오답에 일정한 틀림 표시를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미지 채점을 수행 후, 처리부(150)는 채점된 이미지 정보 중 오답 문제를 추출하고, 이를 별도로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한다(S310). 이때, 정답 표시는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표시가능하다.
다음으로, 사용자 서버(500)가 용지 크기 및 옵션을 선택하여, 선택 정보를전송하면, 처리부(150)은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S320).
이때, 사용자 서버(500)의 선택 정보는 오답 문제의 블록 코드, 조판 유형, 예를 들어 용지 크기, 전단 또는 2단 및 세부 옵션인 머리말, 꼬리말 등에 대한 사항일 수 있다.
처리부(150)는 선택 정보를 인식 후 각 오답 문제, 즉 콘텐츠에 대한 메타 리스트 및 저장되어 있는 오답 문제의 콘텐츠를 읽어들인다(S330).
메타 리스트에는 식별번호, 순번, 색인번호,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크기 및 콘텐츠 유형 정보, 예를 들어, 해당 콘텐츠가 지식, 지문, 문제, 해설 중 어떤 내용을 포함하는지가 포함될 수 있고, 웹페이지, 사운드 및 동영상과 같은 다른 콘텐츠와의 연결 정보 및 바코드 식별용 이미지 좌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읽어오는 오답 문제의 콘텐츠는 사용자가 스캐닝한 이미지 정보 중 오답 문제를 분할한 이미지 콘텐츠일 수 있으며, 오답 문제에 대응하는 데이터 베이 스(200)에 저장되어 있는 순수 이미지 콘텐츠일 수 있다.
또한, 순수 이미지 콘텐츠에 스캐닝한 분할 이미지 콘텐츠를 덮어씌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스캐닝한 이미지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직접 필기한 내용 등을 오답 노트에 함께 기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처리부(150)는 오답 문제의 콘텐츠 이미지에 대하여 이미지 조판을 수행한다(S340).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설정되어 있는 용지에 절대 좌표(750)을 삽입하여, 화면 전체 크기와 용지 형태의 콘텐츠 이미지(770)의 크기를 연산하여 배치 공간을 파악한다.
즉, 화면의 용지 상에 절대 좌표(750) 3개의 포인트를 설정하여 전체 용지의 크기를 인식하고, 상하 좌우의 길이를 파악하여 배치 가능한 콘텐츠 이미지(770)의 개수를 산출하고, 이미지(77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잔여 여백을 계산한다.
이때, 계산된 잔여 여백이 마지막 이미지(770)보다 작은 경우, 마지막 이미지(770)는 다음 용지에 조판한다.
이와 같이, 화면의 용지 상의 세 개의 포인트를 기준으로 용지의 실제 크기와 이미지(770)의 크기를 서로 비교하여 이미지(770)를 배치함으로써 최소 여백을 유지하면서 조판을 설정하여 출력 배치가 자연스럽게 행해진다.
다음으로, 한 화면에 배치될 문항의 콘텐츠 이미지가 결정되면, 각 콘텐츠별 블록 코드(700)를 생성한다(S150, S350).
블록 코드(700)는 도 8과 같이 헤드(710) 아래로 한 콘텐츠당 한 열(720)을 나타내는 열차 모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블록 코드(700)의 열(720) 내에는 각 콘텐트의 바코드 정보가 집약되어 있다.
즉, 콘텐츠 고유의 식별 번호와 순서값, 콘텐츠의 시작 위치(좌표) 및 콘텐츠의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블록 코(700)는 다양한 이미지 패턴을 이용하여 도 7과 같이 각 화면의 가로 및/또는 세로에 반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오답 노트 상에 고유의 블록 코드(700)가 함께 배치됨으로써 최소의 화면 점유를 통해 최대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미지 커팅 및 배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서버(500)가 미리보기 서식을 선택한 경우, 미리보기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미리보기 선택 시 문제 관리 및 이미지 크기, 용지 규격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 코드(700)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블록 코드(700)가 배치된 오답 노트가 형성되면, 오답 노트를 소정 비율, 예를 들어 1/2로 축소하여 사용자 서버(500)로 전송한다(S160).
사용자 서버(500)는 해당 오답 노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또는 출력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메인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이미지 보정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순서도에 따른 이미지 보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답 노트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오답 노트의 조판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블록 코드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13)

  1. 블록 코드를 포함하여 인쇄된 문제집을 스캔(scan)하여 이미지로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문제지 콘텐츠는 상기 블록 코드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블록 코드가 설정된 하나 이상의 상기 문제지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사용자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문제지의 스캐닝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캐닝 이미지에 대한 위치 보정을 수행하며, 위치 보정된 상기 스캐닝 이미지를 채점하여, 채점 결과에 따라 상기 스캐닝 이미지에서의 오답 문항과 상기 오답 문항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오답 문항과 상기 블록 코드로 이루어진 오답 노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서버에게 전송하기 위한 메인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사용자 서버와 원격에서 접속할 수 있는 웹 사이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서버는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스캐닝 이미지를 업로드하며,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서버로부터 상기 스캐닝 이미지 또는 생성된 상기 오답 노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입/출력부;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스캐닝 이미지를 2배 확대 후, 상기 스캐닝 이미지를 2배 확대 후, 상기 확대된 스캐닝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블록코드의 위치 뒤틀림 여부를 판단하여 보정 각도를 계산하고, 상기 보정 각도에 따라 상기 스캐닝 이미지를 회전시켜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보정부; 및 상기 사용자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캐닝 이미지의 용지 크기 정보에 대하여 상기 오답 문항에 대한 콘텐츠 이미지의 크기를 비교하여 자동 조판을 수행하여 상기 오답 노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블록 코드는 상기 문제지 콘텐츠의 바코드 정보이며, 상기 스캐닝 이미지의 채점은 상기 스캐닝 이미지에 체크된 사용자의 답안과 상기 블록 코드에 매칭되는 정답을 상호 비교하여 채점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서버에서 전송되는 상기 오답 노트의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블록 코드에 매칭되는 정답과 상기 스캐닝 이미지의 답을 비교하여 상기 스캐닝 이미지의 채점을 수행하고, 오답 문항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오답 노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서버에서 전송되는 블록코드, 조판유형, 용지 크기, 전단 또는 2단 및 세부 옵션인 머리말, 꼬리말로 구성된 오답문제 콘덴츠의 선택정보를 수신하여 식별번호, 순번, 색인번호, 이미지의 가로, 세로 크기 및 콘텐츠 유형 정보로 구성된 메타 리스트 및 저장되어 있는 오답 문제의 콘텐츠를 읽어들인 후, 상기 오답 문제 콘텐츠의 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용지에 절대좌표(시작점), 중심좌표, 절대좌표(끝점) 3개의 포인터를 설정하여 전체 용지의 크기를 인식하고, 상하 좌우의 길이를 파악하여 배치 가능한 콘덴츠 이미지의 개수를 산출하고 이미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잔여 여백을 계산하여 용지의 실제 크기와 이미지의 크기를 서로 비교하여 이미지를 배치함으로써 최소 여백을 유지하도록 조판을 설정하여 상기 오답 노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답 노트 생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90110019A 2009-11-14 2009-11-14 오답 노트 생성 장치 KR101191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019A KR101191677B1 (ko) 2009-11-14 2009-11-14 오답 노트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019A KR101191677B1 (ko) 2009-11-14 2009-11-14 오답 노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301A KR20110053301A (ko) 2011-05-20
KR101191677B1 true KR101191677B1 (ko) 2012-10-19

Family

ID=44362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019A KR101191677B1 (ko) 2009-11-14 2009-11-14 오답 노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7433A (zh) * 2021-03-17 2021-07-27 北京焦耳科技有限公司 一种试卷扫描识别方法、设备及介质
KR102519108B1 (ko) * 2022-01-28 2023-04-10 이충훈 오답노트 정리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301A (ko) 201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4189B2 (ja) 教材処理装置、教材処理方法、教材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501872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assisted grading of printed tests
US20100075292A1 (en) Automatic education assessment service
US20100075291A1 (en) Automatic educational assessment service
US201201899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to evaluate student worksheets
US201700618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orting hard copy assessments into an automatic educational system assessment
US87682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resenting digital assessments
KR101278496B1 (ko) 오답 노트 생성 시스템 및 오답 노트 생성 방법
US94781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apturing reading assessment data
CN108563623A (zh) 一种有痕阅卷的方法和系统
CN111415282A (zh) 一种试卷扫描打印一体机及其阅卷方法
JP4868224B2 (ja) 追記情報処理方法、追記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957460B2 (ja) 授業支援装置及び授業支援プログラム
JP2010256745A (ja) 教材処理装置、教材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718535B2 (en) Data collection and transfer techniques for scannable forms
Bloomfield Evolution of a digital paper exam grading system
KR101191677B1 (ko) 오답 노트 생성 장치
JP200700595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663499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915962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8141846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7074170B2 (ja) 採点支援装置、採点支援システム、採点支援方法および採点支援プログラム
KR101479444B1 (ko) 답안 일체형 시험지 채점 방법
TW201209729A (en) Scoring system
JP2003345232A (ja) 通信添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