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977B1 - 맨드릴 및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맨드릴 및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977B1
KR100876977B1 KR1020080075053A KR20080075053A KR100876977B1 KR 100876977 B1 KR100876977 B1 KR 100876977B1 KR 1020080075053 A KR1020080075053 A KR 1020080075053A KR 20080075053 A KR20080075053 A KR 20080075053A KR 100876977 B1 KR100876977 B1 KR 100876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mandrel
fixing
fix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진
Original Assignee
(주)아이.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패스 filed Critical (주)아이.패스
Priority to KR1020080075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2Bearings, e.g. magnetic or hydrostatic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드릴 및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단 또는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감김부재가 권취되는 맨드릴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에 권취되는 감김부재의 내주면과 접하는 맨드릴의 외주면 직경은 조절 가능하되, 상기 맨드릴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반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동심원 상에 각각 다수의 결합홀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 핀고정판과 제2 핀고정판; 상기 제1 핀고정판과 제2 핀고정판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동심원들 중 어느 하나의 원주상에 형성된 결합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핀; 상기 다수의 고정핀의 외측면을 밀착하여 감싸는 정원유도 권취판; 및 상기 제1 핀고정판과 제2 핀고정판의 중심을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과 고정핀 사이에는 상기 고정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잭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맨드릴 및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에 의하면, 고정핀의 결합홀에 삽입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별도 구성의 추가가 없이도 다양한 내주면 직경을 가지는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Bush)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맨드릴, 핀고정판, 고정핀, 정원유도 권취판, 지지잭

Description

맨드릴 및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MANDRIL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COMPOSITE SLIDE BEARING}
본 발명은 맨드릴 및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내주면 직경을 가지는 복합재료 오일리스 베어링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맨드릴 및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장치에는 축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축의 지지부에 베어링이 설치되며 대개, 베어링에는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윤활유를 공급하여 축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윤활유의 공급이 곤란한 곳, 예를 들면 베어링의 설치장소가 수중이거나 고온, 저온인 곳 또는 급유로 인한 오염으로 인해 제품의 불량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윤활유의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복합재료로 이루어지는 베어링을 설치하여 축의 원활한 회전운동을 도모하고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복합재료 베어링의 제조장 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복합재료 베어링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맨드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제조장치는 복합재료 베어링의 외형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원단(F)이 감겨지는 공급롤러(200)와,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원액 충전공간이 형성되는 원액 탱크(300)와, 상기 원액 탱크(300)의 내부를 통과한 원단(F)을 권취하는 맨드릴(400)과, 상기 맨드릴(40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00) 및 상기 구동모터(500)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직사각형 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저면에는 이동가능하게 다수개의 캐스터가 설치되고, 일단 양측에는 상향으로 개방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홈에 공급롤러(2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공급롤러(200)는 복합재료 베어링을 만들기 위한 원단(F)을 권취시키기 위한 것으로, 양단부는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홈에 회전가능하고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일단 내벽에는 상기 공급롤러(200)를 통해 이송되는 원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러(600)가 다수개 설치되며, 원단(F)은 다수개의 지지롤러(600)를 지그재그로 통과하여 원액 탱크(300) 내부로 이송된다.
상기 원액 탱크(300)는 원단(F) 표면에 원액을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면이 개방되는 충전공간을 가지며 상기 충전공간에 원액이 소정 높이까지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원액 탱크(300) 내에는 다수개의 지지바(310)를 구비시켜 원단(F)이 다수의 지지바(310) 사이를 지그재그로 통화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액 탱크(300)를 통과한 원단은 한 쌍의 차단롤러(700)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차단롤러(700)는 외주면 사이에 얇은 간극이 형성되는 상태로 양단부가 상기 본체(100)의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간극에 원단(F)이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차단롤러(700)를 통과한 원단은 맨드릴(400)에 권취된다.
여기서, 상기 맨드릴(400)은 원액이 도포된 원단을 권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100)의 타단 내벽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고,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구동모터(500)와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구동모터(500)는 상기 맨드릴(4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공급롤러(200)에 감겨진 원단(F)이 맨드릴(400)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맨드릴(400)에 일정 두께의 다수층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베어링 모재부는 추후 경화작업을 거친 후, 맨드릴(400)로부터 분리되고 이어서 슬라이싱 작업 및 기타 마무리 연마작업 등을 거쳐서 복합재료 베어링 제품으로 제조된다.
종래에는 상기 베어링 모재부를 맨드릴(400)과 분리시키기 위해서 맨드릴의 측면을 유압장치 등을 통해 가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작업상 어려운 점, 즉 맨드릴(400)의 측면을 가압시키는 과정에서 베어링 모재부의 내주면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그 내주면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면서 베어링 모재부와 맨드릴(400)을 분리시키는 것이 쉽지 않았다.
또한, 맨드릴(40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구성되어 그 외주면 직경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내주면 직경을 달리하는 베어링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그때마다 외주면 직경이 상기 내주면 직경과 대응되는 치수로 형성된 맨드릴(400)을 제조해야 되므로 제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성요소의 결합위치 관계 등을 조절하여 다양한 내주면 직경을 가지는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과 그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을 제조하기 위한 함침 및 커팅 작업 전의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베어링 모재부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맨드릴 및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의 내주면의 파손을 최소한도로 방지하여 제조상 불량률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맨드릴은 원단 또는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감김부재가 권취되는 맨드릴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에 권취되는 감김부재의 내주면과 접하는 맨드릴의 외주면 직경은 조절 가능하되, 상기 맨드릴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반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동심원 상에 각각 다수의 결합홀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 핀고정판과 제2 핀고정판; 상기 제1 핀고정판과 제2 핀고정판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동심원들 중 어느 하나의 원주상에 형성된 결합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핀; 상기 다수의 고정핀의 외측면을 밀착하여 감싸는 정원유도 권취판; 및 상기 제1 핀고정판과 제2 핀고정판의 중심을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과 고정핀 사이에는 상기 고정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잭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지지잭은 회전축과 고정핀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잭은 회전축과 고정핀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링크 부재, 상기 다수 링크 부재의 펼침각도를 조절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원유도 권취판의 표면에는 비닐 코팅된 종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롤러와, 내부에 원액이 충전되는 충전공간을 가지는 원액 탱크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급롤러로부터 공급된 원단이 권취되는 맨드릴과, 상기 맨드릴에 연결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에 권취되는 원단의 내주면과 접하는 맨드릴의 외주면 직경은 조절 가능하되, 상기 맨드릴은, 반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동심원 상에 각각 다수의 결합홀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 핀고정판과 제2 핀고정판; 상기 제1 핀고정판과 제2 핀고정판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동심원들 중 어느 하나의 원주상에 형성된 결합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핀; 상기 다수의 고정핀의 외측면을 밀착하여 감싸는 정원유도 권취판; 및 상기 제1 핀고정판과 제2 핀고정판의 중심을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과 고정핀 사이에는 상기 고정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잭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지지잭은 회전축과 고정핀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잭은 회전축과 고정핀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링크 부재, 상기 다수 링크 부재의 펼침각도를 조절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원유도 권취판의 표면에는 비닐 코팅된 종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맨드릴 및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에 의하면, 고정핀의 결합홀에 삽입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별도 구성의 추가가 없이도 다양한 내주면 직경을 가지는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Bush)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별도 구성의 추가가 없으므로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비용이 감소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품 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맨드릴에 권취된 원단 층을 맨드릴과 분리 시, 제1, 제2 핀고정판과 고정핀의 결합을 해체한 후, 정원유도 권취판을 분리시키는 데 이러한 분리작업이 종래보다 수월한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모재부의 내주면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한도로 방지하여 함침, 슬라이스, 연마 등의 후 작업을 통해 제조되는 베어링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제품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핀의 길이를 조절하여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완제품이 생성되기 전의 베어링 모재부의 길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드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맨드릴 및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에 있어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종래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병기한다.
본 발명의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는, 복합재료 오일리스 베어링의 외형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원단(F)이 감겨진 공급롤러(200)와,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원액이 충전되는 충전공간을 가지며 상기 충전공간 내에 공급롤러(200)에 감겨진 원단(F)이 이송되는 원액 탱크(300)와, 상기 본체(100)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원액 탱크(300) 내부를 통과하여 원액이 도포된 원단(F)이 권취되도록 구동모터(500)에 의해 회전하는 맨드릴(400)을 포함한다.
이하, 종래기술에 비해 차별되는 특징을 가지며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맨드릴(4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맨드릴(400)은 콘트롤부(미도시)에 의해 그 회전속도가 조절 가능한 구동모터(500)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권취되는 원단(F)의 내부 직경을 조절 즉, 상기 원단(F)의 내주면과 접하는 맨드릴(400)의 외주면의 직경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맨드릴(4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핀고정판(410), 제2 핀고정판(420), 고정핀(430), 정원유도 권취판(440) 및 제1 핀고정판(410)과 제2 핀고정판(420)의 중심을 연결하며 상기 구동모터(500)와 연결되는 회전축(4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핀고정판(410)과 제2 핀고정판(420)은 각각 본체(100)의 타단 일측과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핀고정판(410)의 중앙부에는 회전축(450)이 연결되고, 제2 핀고정판(420)의 중앙부에는 회전축(450)이 결합되는 축결합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450)은 제2 핀고정판(42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회전축(450)은 제1 핀고정판(410)과 제2 핀고정판(420) 방향으로 각 각 연장되어 제1 핀고정판(410)과 제2 핀고정판(420)이 회전 가능하도록 몸체에 지지될 수 있으며, 회전축(450)의 양단에 별도의 지지부재가 연결되어 몸체에 지지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축(450)은 구동모터(450)의 구동축과 기어 또는 벨트 등의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된다.
또한, 상기 제1 핀고정판(410)과 제2 핀고정판(42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반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동심원 상에 각각 다수의 결합홀(460)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동심원 중 어느 하나의 원 상에 배치되는 다수 결합홀(460)의 원주방향 이격거리는 일정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가능하면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격거리는 후술하는 고정핀(430)을 감싸는 정원유도 권취판(440)이 완전한 원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가능하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핀(430)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길이가 긴 봉재로서, 결합홀(460)에 삽입되어 제1 핀고정판(410)과 제2 핀고정판(420)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고정핀(430)의 양단이 제1 핀고정판(410)과 제2 핀고정판(420)에 각각 볼트 결합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기타 분리가 가능한 다른 방법을 통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고정핀(430)은 제1 핀고정판(410)과 제2 핀고정판(420)의 사이에 다수개가 배치되며, 다수개의 고정핀(430)으로 형성되는 전체적인 형상의 테두리는 원형이 되도록 상기 다수의 결합홀(460) 중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수 고정핀(430)의 삽입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후술하는 정원유도 권취판(440)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추후 함침작업, 슬라이싱 작업 및 기타 연마작업 등을 거쳐서 베어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정원유도 권취판(440)에 권취되는 원단의 내부 직경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원유도 권취판(440)은 상기 다수의 고정핀(430)의 외면을 밀착하여 감싸도록 설치되며 자세하게는, 두께가 얇은 스틸판을 고정핀(430)의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감싸고 그 연결되는 단부는 용접 등에 의한 방법을 통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때, 정원유도 권취판(440)의 길이방향 단면은 정확한 원형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핀고정판(410), 제2 핀고정판(420), 고정핀(430), 정원유도 권취판(440)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제1 핀고정판(410)에 다수의 고정핀(430)을 결합하여 고정시키고 이어서, 제2 핀고정판(420)을 고정핀(430)과 결합시키고 다음, 정원유도 권취판(440)으로 상기 다수 고정핀(430)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서 마무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 고정핀(430)이 결합되는 결합홀(460)의 위치가 변경되어 다수 고정핀(430)으로 구성되는 고정핀 조합체의 직경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그 고정핀(430)을 감싸는 정원유도 권취판(440)도 상기와 같이 변경된 직경에 대응되도록 그 길이가 변경된 것을 적용하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원유도 권취판(440)의 표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후 다수층으로 적층된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 모재부와 정원유도 권취판(44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비닐 코팅된 종이(470)가 부착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분리가 용이하도록 이형제가 도포된 소재를 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비닐이 코팅된 종이(470) 이외의 다른 소재가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450)과 다수 고정핀(430)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F)이 정원유도 권취판(440)에 감기는 과정에서 원단(F)으로부터 정원유도 권취판(440)을 통해 고정핀(43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다수 고정핀(430)의 원형 테두리가 변형되고, 이로 인해 정원유도 권취판(440)의 원형의 단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형의 단면 형상이 유지되도록 지지잭(480)이 회전축(450), 고정핀(430)과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잭(480)은 회전축(450)과 고정핀(430)의 외주면에 각각 연결되는 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링크 부재로 연결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 링크 부재의 펼침각도(α)는 레버(481)를 통해 조절이 가능하다.
즉, 상기 레버(481)를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부재의 펼침각도(α)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양단부 사이의 길이 또한 조절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상기 지지잭(480)은 회전축(450)과 고정핀(430) 사이의 거리가 유 지되도록 지지하여 정원유도 권취판(440)의 단면을 원형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더욱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상기 고정핀(430)의 결합위치를 변경하여 정원유도 권취판(440)의 단면 직경을 조절하고 이로 인해 정원유도 권취판(440)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상기 베어링 모재부의 내주면 직경을 조절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핀(430)의 길이 및 이에 따라 변경되는 정원유도 권취판(440)의 원주방향 길이를 조절하여 적용함으로써 상기 베어링 모재부의 길이 또한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맨드릴(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베어링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설치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공급롤러로부터 공급된 원단 또는 필름 등을 권취시키는 기타 다양한 장치에 적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복합재료 베어링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맨드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드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0: 맨드릴 410: 제1 핀고정판
420: 제2 핀고정판 430: 고정핀
440: 정원유도 권취판 450: 회전축
460: 결합홀 470: 종이
480: 지지잭 481: 레버

Claims (12)

  1. 원단 또는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감김부재가 권취되는 맨드릴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에 권취되는 감김부재의 내주면과 접하는 맨드릴의 외주면 직경은 조절 가능하되,
    상기 맨드릴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반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동심원 상에 각각 다수의 결합홀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 핀고정판과 제2 핀고정판;
    상기 제1 핀고정판과 제2 핀고정판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동심원들 중 어느 하나의 원주상에 형성된 결합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핀;
    상기 다수의 고정핀의 외측면을 밀착하여 감싸는 정원유도 권취판; 및
    상기 제1 핀고정판과 제2 핀고정판의 중심을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과 고정핀 사이에는 상기 고정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잭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드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잭은 회전축과 고정핀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드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잭은 회전축과 고정핀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링크 부재, 상기 다수 링크 부재의 펼침각도를 조절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드릴.
  6. 제1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원유도 권취판의 표면에는 비닐 코팅된 종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드릴.
  7.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롤러와, 내부에 원액이 충전되는 충전공간을 가지는 원액 탱크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급롤러로부터 공급된 원단이 권취되는 맨드릴과, 상기 맨드릴에 연결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에 권취되는 원단의 내주면과 접하는 맨드릴의 외주면 직경은 조절 가능하되,
    상기 맨드릴은,
    반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동심원 상에 각각 다수의 결합홀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 핀고정판과 제2 핀고정판;
    상기 제1 핀고정판과 제2 핀고정판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동심원들 중 어느 하나의 원주상에 형성된 결합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핀;
    상기 다수의 고정핀의 외측면을 밀착하여 감싸는 정원유도 권취판; 및
    상기 제1 핀고정판과 제2 핀고정판의 중심을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과 고정핀 사이에는 상기 고정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잭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잭은 회전축과 고정핀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잭은 회전축과 고정핀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링크 부재, 상기 다수 링크 부재의 펼침각도를 조절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
  12. 제7항 또는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원유도 권취판의 표면에는 비닐 코팅된 종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
KR1020080075053A 2008-07-31 2008-07-31 맨드릴 및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 KR10087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053A KR100876977B1 (ko) 2008-07-31 2008-07-31 맨드릴 및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053A KR100876977B1 (ko) 2008-07-31 2008-07-31 맨드릴 및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6977B1 true KR100876977B1 (ko) 2009-01-07

Family

ID=4048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053A KR100876977B1 (ko) 2008-07-31 2008-07-31 맨드릴 및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9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4044A (zh) * 2016-12-29 2017-05-31 刘庆芳 一种绕线架结构
CN108584564A (zh) * 2017-12-28 2018-09-28 乐清市中久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小型电缆收放盘
KR102057791B1 (ko) 2018-10-10 2019-12-19 (주)신풍 유연한 선형부재의 텐션 조절장치
CN110589614A (zh) * 2019-09-12 2019-12-20 江苏顶科线材有限公司 一种线盘转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137A (ja) * 1993-08-18 1995-02-28 Gold Kogyo Kk 芯径可変型リール
JP2000233868A (ja) * 1999-02-16 2000-08-29 Sumitomo Electric Ind Ltd 線状体用ドラム
KR100307242B1 (ko) 1993-07-14 2001-12-17 히라이 가쯔히꼬 보빈홀더및그보빈홀더를구비한권취장치
KR100792800B1 (ko) * 2006-12-06 2008-01-14 (주)아이.패스 슬리브 베어링용 성형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242B1 (ko) 1993-07-14 2001-12-17 히라이 가쯔히꼬 보빈홀더및그보빈홀더를구비한권취장치
JPH0753137A (ja) * 1993-08-18 1995-02-28 Gold Kogyo Kk 芯径可変型リール
JP2000233868A (ja) * 1999-02-16 2000-08-29 Sumitomo Electric Ind Ltd 線状体用ドラム
KR100792800B1 (ko) * 2006-12-06 2008-01-14 (주)아이.패스 슬리브 베어링용 성형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4044A (zh) * 2016-12-29 2017-05-31 刘庆芳 一种绕线架结构
CN108584564A (zh) * 2017-12-28 2018-09-28 乐清市中久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小型电缆收放盘
KR102057791B1 (ko) 2018-10-10 2019-12-19 (주)신풍 유연한 선형부재의 텐션 조절장치
CN110589614A (zh) * 2019-09-12 2019-12-20 江苏顶科线材有限公司 一种线盘转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57657B (zh) 角度可调的压辊或夹辊
US5732902A (en) Method and device in winding of a web
RU2087301C1 (ru) Способ спиральной резки трубчат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0876977B1 (ko) 맨드릴 및 복합재료 슬라이드 베어링 제조장치
DE60026543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guertelmaterials fuer einen reifen
US4952202A (en) Apparatus for producing tube
DE102014001414B4 (de) Ablegekopf zum automatisierten Ablegen eines flächigen Materials, sowie Verwendung eines derartigen Ablegekopfes
JP3507508B2 (ja) らせん巻きチューブにおける継ぎ目の均一性を向上させる方法ならびに装置
MX2011001310A (es) Metodo y aparato para elaboracion de una pelicula de polimero, la cual se orienta bajo un angulo respecto a su direccion longitudinal.
CN101269563A (zh) 连续长膨化聚四氟乙烯密封材料的叠加包绕设备
US3112895A (en) Spiral tape winding machine
JP2010137347A (ja) 伸線材の表面加工方法、その装置および加工した伸線材
FR2840598A1 (fr) Systeme de perforation du papier
CN108015832A (zh) 一种可调节切割宽度的造纸切割装置
JP5074995B2 (ja) 紙管製造装置
JP6987706B2 (ja) 結合ベルト形成装置、及び結合ベルト形成方法
US3854672A (en) Multiple clutch strip tensioner
KR101905704B1 (ko) 금속 판재의 측단면 절단 장치
CN113800301A (zh) 一种可限定材料边幅的舒展辊
JP3746529B2 (ja) 円筒状管材の端縁面取機、および端縁面取された円筒状管材の製造方法
JP2019509725A (ja) 喫煙者商品の一部を形成するよう意図された半完成品を生産する装置および方法
DE202015105039U1 (de) Produktionsaufbau für Folienmaterial insbesondere in Form von Beutelmaterial vom Rollentyp
US3340128A (en) Apparatus for producing nonwoven fibrous product
CN104816965A (zh) 免停留式卷毡机
DE1635530A1 (de) Maschine zum Herstellen von Mehrschichtgeweb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