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291B1 -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291B1
KR100876291B1 KR1020070017351A KR20070017351A KR100876291B1 KR 100876291 B1 KR100876291 B1 KR 100876291B1 KR 1020070017351 A KR1020070017351 A KR 1020070017351A KR 20070017351 A KR20070017351 A KR 20070017351A KR 100876291 B1 KR100876291 B1 KR 100876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film
pen
main frame
rollers
m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7760A (ko
Inventor
장민석
김진우
양동호
박재은
Original Assignee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7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291B1/ko
Publication of KR20080077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8Inspecting transparent materials or objects, e.g. wind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021/9513Liquid crystal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편광필름에 결함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 후 결함이 발생되면 결함위치에 마킹을 할 수 있는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은 메인프레임(100)과, 권취롤러(220)에 권취된 편광필름(101)을 이송하는 로딩장치(200)와,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300)와, 속도감지부(300)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어 편광필름(101)을 제1 및 제2롤러(410,420)와 제4 및 제5롤러(450,460)로 평탄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카메라부(430,470)로 촬영하는 검사장치(400)와, 메인프레임(100)의 분할프레임(110)에 설치되어 검사장치(400)에서 촬영이 완료된 편광필름(101)이 이송되면 편광필름(101)을 제6 및 제7롤러(501,502)로 평탄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결함위치에 마킹하는 마킹장치(500)와, 마킹 작업이 완료된 편광필름(101)이 이송되면 회수롤러(620)로 회수하는 언로딩장치(600)와, 검사장치(4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마킹장치(500)가 편광필름(101)에 결함위치를 마킹할 수 있도록 결함위치정보를 산출하여 마킹장치(500)로 전송하는 제어장치(700)로 구성된다.
Figure R1020070017351
편광, 필름, 결함, 마킹, 펜, 헤드

Description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System for Inspecting a Defect of Polarizing Film}
도 1은 종래의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의 마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A" 및 "B"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마킹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펜헤드의 분리조립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메인프레임 110: 분할프레임
200: 로딩장치 210: 제1캐리어
220: 권취롤러 300: 속도감지부
400: 검사장치 430: 제1카메라부
470: 제2카메라부 500: 마킹장치
600: 언로딩장치 610: 제2캐리어
620: 회수롤러 700: 제어장치
본 발명은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편광필름에 결함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 후 결함이 발생되면 결함위치에 마킹을 할 수 있는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평판표시소자에 편광필름이 적용된다. 편광필름은 개략적으로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접착제, 편광소자, 접착제 및 TAC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제조된다. 편광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롤러(roller) 등에 의한 마찰력으로 미세한 스크래치(scratch)나 PVA 필름 층에 미세한 변형이나 손상 등의 결함이 발생될 수 있다. 편광필름에 결함이 발생되는 경우에 편광필름의 편광기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이를 사전에 검사하여 결함위치에 마킹(marking)을 하기 위한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이 사용된다.
종래의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13491호(공개일: 2005. 02.04)에 공개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13491호(공개일: 2005. 02.04)에 공개된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은 편광필름의 폭방향으로 다수개의 CCD 카메라를 2열로 배열 설치한 후 각 열에서 편광필름의 결함을 검사한다. 결함이 발생되면 결함이 발생된 위치에 도 1에 도시된 마커(marker)(8)에 의해 결함위치(K)를 마킹하게 된다.
마커(8)는 롤러(10,11)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편광필름(N)의 폭방향으 로 일렬로 설치된다. 마커(8)는 편광필름(N)에 표시된 바코드(B)에 기록되어 있는 위치정보가 바코드 해석부(12)에서 해석되면 이를 시스템 제어부(4)를 통해 수신받은 마커 구동부(9)의 제어에 의해 결함위치(K)에 마킹(M)을 하게 된다. 마커(8)에 의해 편광필름(N)의 결함위치(K)에 마킹되면 최종 제품의 형태를 갖는 편광판(20)으로 펀칭(punching)된다. 펀칭된 편광판(20)중에서 마킹(M)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는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검사 공정에서 제거된다. 편광필름(N)을 이송하는 동작에서 바코드(B)를 해석하고 해석된 결과에 따라 마커(8)에 의해 결함위치(K)를 마킹하기 위해 시스템 제어부(4)는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 도시 않음)에서 감지된 편광필름(N)의 이송속도를 이용하여 바코드 판독기(7)에 의한 바코드 판독 타이밍(timing)과 마커(8)에 의한 마킹 타이밍이 동기 되도록 구동시킨다.
종래의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에서와 같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편광필름을 2열로 배열된 CCD 카메라로 검사하고, 검사 결과에 따라 편광필름에 바코드를 기록한 후 기록된 바코드를 이용하여 마킹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이 복잡해지며 검사작업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장치와 마커 등이 요구되어 시스템 전체가 복잡해지며, 편광필름에 바코드를 기록하는 시간과 바코드를 해석하여 편광필름에 결함위치를 마킹하는 시간이 요구되어 전체적으로 편광필름의 검사작업 속도가 저하는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편광필름에 결함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저해상도로 검사한 후 다시 고해상도를 검사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결함을 검사할 수 있는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광필름의 결함을 검사한 후 결함이 발생된 위치에 마킹하는 마킹장치를 메인프레임의 분할프레임에 설치함으로써 보다 콤팩트(compact)하게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은 메인프레임(main frame)의 일측에 로딩(loading)된 제1캐리어(carrier)에 장착되는 권취롤러(roller)에 권취된 편광필름을 이송하는 로딩장치와, 메인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어 로딩장치에서 이송되는 편광필름의 이송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와, 속도감지부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편광필름을 제1 및 제2롤러로 평탄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1카메라부로 촬영하고 제3롤러에 의해 이송방향이 변경된 편광필름을 제4및 제5롤러로 평탄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2카메라부로 촬영하는 검사장치와, 메인프레임의 분할프레임에 설치되어 검사장치에서 촬영이 완료된 편광필름이 이송되면 편광필름을 제6 및 제7롤러로 평탄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결함위치에 마킹(marking)하는 마킹장치와, 로딩장치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로딩되는 제2캐리어에 장착되어 마킹 작업이 완료된 편광필름이 이송되면 회수롤러로 회수하는 언로딩(unloading)장치와, 검사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마킹장치가 편광필름 에 결함위치를 마킹할 수 있도록 결함위치정보를 산출하여 마킹장치로 전송하며 속도감지부에서 감지된 편광필름의 이송속도를 수신받아 편광필름의 이송속도에 따라 마킹장치의 마킹속도와 검사장치의 촬영속도를 동기화시키는 제어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검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은 메인프레임(100)의 일측에 로딩된 제1캐리어(210)에 장착되는 권취롤러(220)에 권취된 편광필름(101)을 이송하는 로딩장치(200)와, 메인프레임(100)의 타측에 설치되어 로딩장치(200)에서 이송되는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300)와, 속도감지부(300)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편광필름(101)을 제1 및 제2롤러(410,420)로 평탄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1카메라부(430)로 촬영하고 제3롤러(440)에 의해 이송방향이 변경된 편광필름(101)을 제4 및 제5롤러(450,460)로 평탄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2카메라부(470)로 촬영하는 검사장치(400)와, 메인프레임(100)의 분할프레임(110)에 설치되어 검사장치(400)에서 촬영이 완료된 편광필름(101)이 이송되면 편광필름(101)을 제6 및 제7롤러(501,502)로 평탄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결함위치(도시 않음)에 마킹하는 마킹장치(500)와, 로딩장치(20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로딩되는 제2캐리어(610)에 장착되어 마킹 작업이 완료된 편광필름(101)이 이송되면 회수롤러(620)로 회수하는 언로딩장치(600)와, 검사장치(4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마킹장치(500)가 편광필름(101)에 결함위치를 마킹할 수 있도록 결함위치정보를 산출하여 마킹장치(500)로 전송하며 속도감지부(300)에서 감지된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를 수신받아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에 따라 마킹장치(500)의 마킹속도와 검사장치(400)의 촬영속도를 동기화시키는 제어장치(7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편광필름 결함검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편광필름 결함검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 로딩장치(200), 속도감지부(300), 검사장치(400), 마킹장치(500), 언로딩장치(600) 및 제어장치(700)로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편광필름 결함검사 시스템의 각 구성인 로딩장치(200), 속도감지부(300), 검사장치(400), 마킹장치(500) 및 언로딩장치(600)를 각각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로딩장치(200)는 제1캐리어(210)와 권취롤러(220)로 구성된다. 제1캐리어(210)는 메인프레임(100)의 일측에 로딩되며, 제1캐리어(210)의 로딩시 제1캐리어(210)에 결함검사 예정인 편광필름(101)이 권취된 권취롤러(220)가 장착된다. 권취롤러(220)는 모터(도시 않음)에 의해 회전되어 권취된 편광필름(101)을 이송시킨다. 권취롤러(220)와 모터의 구성 관계는 일반적인 기술이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 을 생략하였다.
속도감지부(300)는 로딩장치(200)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100)의 타측에 설치되어 로딩장치(200)에서 이송되는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를 감지하여 제어장치(700)로 전송한다.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속도감지부(300)는 속도감지롤러(310)와 속도감지센서(sensor)(320)로 구성된다. 속도감지롤러(310)는 편광필름(101)의 이송력에 의해 회전된다. 속도감지롤러(310)가 회전되면 속도감지롤러(310)에 설치된 속도감지센서(320)가 속도감지롤러(31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로 제어장치(700)로 전송하게 된다.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320)는 엔코더(encoder) 센서가 적용된다.
검사장치(400)는 도 2 내지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감지부(300)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된다. 로딩장치(200)와 속도감지부(300)를 통해 편광필름(101)이 이송되면 편광필름(101)을 제1 및 제2롤러(410,420)로 평탄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1카메라부(430)로 촬영하여 편광필름(101)에 결함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제1카메라부(430)에 의한 결함검사가 완료되면 제3롤러(440)에 의해 이송방향이 변경된 편광필름(101)을 제4 및 제5롤러(450,460)로 평탄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2카메라부(470)로 촬영하여 편광필름(101)에 결함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마킹장치(500)는 메인프레임(100)의 분할프레임(110)에 설치된다. 메인프레임(100)에 분할프레임(110)을 설치하고 분할프레임(110)에 마킹장치(500)를 설치함 으로써 본 발명의 결함검사 시스템을 콤팩트(compact)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킹장치(500)의 저면(여기서 저면은 편광필름(101)이 통과하는 면을 나타냄.)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프레임(110)의 측면과 수평이 되도록 마킹장치(500)를 분할프레임(110)에 설치한다.
분할프레임(110)과 수평이 되도록 설치된 마킹장치(500)의 저면으로 편광필름(101)의 이송시 편광필름(101)의 평탄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마킹장치(500)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제6 및 제7롤러(501,502)가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된다. 제6 및 제7롤러(501,502)는 마킹장치(500)의 상/하측에 각각 이격되도록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어 검사장치(400)에서 촬영이 완료된 편광필름(101)이 이송되면 마킹장치(500)가 결함위치를 마킹할 수 있도록 편광필름(101)의 평탄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언로딩장치(600)는 제1캐리어(210)와 회수롤러(620)로 구성된다. 제2캐리어(610)는 로딩장치(20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로딩되며, 제2캐리어(610)의 로딩시 제2캐리어(210)에 결함검사가 완료된 편광필름(101)을 회수하기 위해 빈 회수롤러(620)가 장착된다. 회수롤러(620)는 모터(도시 않음)에 의해 회전되어 검사와 결함위치 마킹작업 등이 완료된 편광필름(101)을 이송받아 회수한다. 회수롤러(620)와 모터의 구성 관계는 권취롤러(220)와 같이 일반적인 기술이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제어장치(700)는 본 발명의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에서 로딩장치(200) 및 언로딩장치(600)에 의해 이송되는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를 속도감지부(300) 에서 감지되면 이를 수신받아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에 따라 검사장치(400)와 마킹장치(500)의 검사 및 마킹속도를 동기화시키며, 검사장치(4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마킹장치(500)가 편광필름(101)에 결함위치를 마킹할 수 있도록 결함위치정보를 산출하여 마킹장치(500)로 전송한다. 마킹장치(500)는 전송받은 결함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편광필름(101)에 결함위치를 마킹하게 된다. 결함위치정보의 산출과 함께 제어장치(700)는 속도감지부(300)에서 감지된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를 수신받아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에 따라 마킹장치(500)의 마킹속도와 검사장치(400)의 촬영속도를 동기화시키기 위해 마킹장치(500)와 검사장치(400)를 제어하게 된다.
마킹장치(500)의 마킹속도와 검사장치(400)의 촬영속도를 동기화시키기 위해 제어장치(700)는 속도감지부(300)에서 감지된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를 수신 받는다.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가 수신되면 제어장치(700)는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를 수신받아 검사장치(400)의 촬영속도를 제어하고, 검사장치(400)에서 영상이 촬영되면 이를 수신받아 결함위치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제어장치(700)는 결함위치정보가 산출되면 이를 마킹장치(500)로 전송하게 되고, 마킹장치(500)는 수신된 결함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편광필름(101)에 결함위치를 마킹하게 된다. 마킹장치(500)가 결함위치정보에 따라 편광필름(101)에 결함위치를 마킹시 제어장치(700)에 의해 마킹속도가 제어되다. 즉, 제어장치(700)는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에 따라 마킹장치(500)를 제어하여 마킹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제어장치(700)가 수신받아 촬영 및 마킹속도를 제어하는 편광필름(101)의 이 송속도 조절은 로딩장치(200)와 언로딩장치(600)에 각각 장착되는 권취롤러(220)와 회수롤러(620)에 설치되는 모터(도시 않음)에 의해 조절되거나, 로딩장치(200)와 언로딩장치(600) 이외에 다수개의 이송롤러(102~109)를 이용하여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수개의 이송롤러(102~109) 중 이송롤러(103,104,109) 등에 모터(도시 않음)를 설치한 후 각각의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를 제어한다. 각각에 의해 이송되는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를 속도감지부(300)에서 감지하여 제어장치(700)로 전송하게 되며, 제어장치(700)는 편광필름(101)의 이송속도를 수신받아 검사장치(400)의 촬영속도와 마킹장치(500)의 마킹속도를 제어하여 편광필름(101)의 결함을 검사한 후 결함위치에 마킹을 하게 된다.
편광필름(101)을 이송시켜 결함을 검사하고, 결함이 발생되면 결함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검사장치(400)와 마킹장치(500)의 구성 및 작용을 각각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검사장치(400)는 도 3,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롤러(410,420), 제3롤러(440), 제4 및 제5롤러(450,460), 제1카메라부(430) 및 제2카메라부(470)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롤러(410,420)는 속도감지부(300)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속도감지부(300)를 통해 이송되는 편광필름(101)을 제1카메라부(430)가 촬영할 수 있도록 평탄도를 유지시켜 준다. 이송되는 편광필름(101)의 평탄도를 유지시켜 주기 위해 제1 및 제2롤러(410,420)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동일 높이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속도감지롤러(310)와 편광필름(101)의 상/하측을 지지하여 이송시킨다.
제4 및 제5롤러(450,460)는 편광필름(101)의 평탄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동일 높이로 설치되며, 그 설치 위치는 제1 및 제2롤러(410,42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된다.
제3롤러(440)는 제1 및 제2롤러(410,420)와 제4 및 제5롤러(450,460)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된다. 제3롤러(440)는 제1 및 제2롤러(410,420)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편광필름(101)을 회전방향을 변경시켜 제4 및 제5롤러(450,460)로 이송시키고, 제1 및 제2롤러(410,420)와 제4 및 제5롤러(450,460)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제1 및 제2롤러(410,420)와 제4 및 제5롤러(450,460)에 의해 편광필름(101)의 장력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평탄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1카메라부(430)는 제1 및 제2롤러(410,4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제1LM 가이드(Linear Motion guide)(431), 제1이동 플레이트(432), 다수개의 제1카메라(433) 및 제1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조명원(434)으로 구성된다.
다수개의 제1LM 가이드(431)는 메인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제1이동 플레이트(432)는 메인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다수개의 제1LM 가이드(431)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다수개의 제1카메라(433)의 설정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수개의 제1카메라(433)는 제1이동 플레이트(432)에 제1간격(m1)으로 이격되어 일렬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제1 및 제2롤러(410,420)에 의해 평탄도가 유지된 상태에 이송되는 편광필름(101)에서 결함을 검사하기 위해 촬영한다. 제1카메라(433)의 촬영시 요구되는 조명은 제1CCFL 조명원(434)에서 발생되며, 제1CCFL 조명원(434)은 다수개의 제1카메라(433)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된다. 다수개의 제1카메라(433)와 편광필름(101)의 사이의 간격 즉, 제1카메라(433)의 높이 조정시 핸들(435)을 사용하게 된다. 핸들(435)의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을 적용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다수개의 제1카메라(433)에 의해 촬영된 편광필름(101)은 다시 제2카메라부(470)로 검사하게 된다. 제2카메라부(470)는 제4 및 제5롤러(450,46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제2LM 가이드(471), 제2이동 플레이트(472), 다수개의 제2카메라(473) 및 제2CCFL 조명원(474)으로 구성된다.
다수개의 제2LM 가이드(471)는 메인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제2이동 플레이트(472)는 다수개의 제2LM 가이드(471)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다수개의 제2카메라(473)는 제2이동 플레이트(472)에 제1카메라부(430)의 다수개의 제1카메라(433)의 제1간격(m1)보다 작은 제2간격(m2)으로 이격되어 다수개의 열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제1카메라부(430) 보다 높은 해상도로 편광필름(101)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편광필름(101)을 보다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제2CCFL 조명원(474)은 다수개의 제2카메라(473)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된다. 제1카메라부(430)와 같이 제2카메라부(470)의 제2카메라(473)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핸들(475)이 구비된다.
제2카메라부(470)에서 촬영되어 검사가 완료되어 결함이 발생되면 그 위치에 결함위치를 마킹하게 된다. 결함위치를 마킹하기 위해 마킹장치(5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고정자(510), 다수개의 가동자(520) 및 다수개의 펜헤드(pen head)(530)로 구성된다.
다수개의 고정자(510)는 메인프레임(100)의 분할프레임(110)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다수개의 가동자(520)는 다수개의 고정자(510)에 각각 설치되며, 다수개의 펜헤드(530)는 고정자(510)와 가동자(520)에 의해 X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다수개의 가동자(520)에 각각 설치되어 편광필름(101)에 결함위치를 마킹하게 된다. 다수개의 가동자(520)는 각 고정자(5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각각의 가동자(520)에 펜헤드(530)를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펜헤드(530)가 마킹작업을 완료하지 않으면 다음 펜헤드(530)가 마킹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펜헤드(530)를 이송시키기 위한 고정자(510) 및 가동자(520)는 각각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나 볼스크류(ball screw) 이송기구가 적용된다.
고정자(510)와 가동자(520)에 의해 이송되어 마킹작업을 실시하는 다수개의 펜헤드(5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펜홀더(pen holder)(531), 솔레노이드(solenoid) 이송기구(532) 및 펜(pen)(533)으로 구성된다. 펜홀더(531)는 가동자(520)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솔레노이드 이송기구(532)는 펜홀더(531)에 설치되며, 펜(pen)(533)은 솔레노이드 이송기구(532)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 이송기구(532)에 의해 승/하강되어 제6 및 제7롤러(501,502)에 의해 평탄도가 유지되는 편광필름(101)에 마킹을 하게 된다.
펜홀더(531)는 펜플레이트(pen plate)(531a), 제3LM 가이드(531b), 제1펜설치블록(block)(531c), 이동블럭(531d), 고정부재(531e) 및 제2펜설치블록(531f)으로 구성된다. 펜홀더(531)를 구성하는 펜플레이트(pen plate)(531a)는 가동자(520)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3LM 가이드(531b)는 펜플레이트(531a)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제3LM 가이드(531b)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펜설치블록(block)(531c)이 설치된다. 제1펜설치블록(531c)의 내측에는 제3LM 가이드(531b)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펜설치블록(531c)의 내측에 이동블럭(531d)이 고정 설치된다. 제1펜설치블럭(531c)이 제3LM 가이드(531b)를 따라 이동된 후 펜플레이트(531a)에 제1펜설치블록(531c)을 고정하기 위해 제1펜설치블록(531c)의 일측에 고정부재(531e)가 설치된다. 고정부재(531)로 고정되는 제1펜설치블록(531c)의 하측 위치되도록 펜플레이트(531a)에 제2펜설치블록(531f)이 설치되어 솔레노이드 이송기구(532)와 펜(533)을 지지하게 된다.
솔레노이드 이송기구(532)는 솔레노이드 가이드부재(532a), 솔레노이드 직선이송부재(532b) 및 솔레노이드(532c)로 구성된다. 솔레노이드 가이드부재(532a)는 제1펜설치블럭(531c)에 지지되도록 장착되며, 솔레노이드 직선이송부재(532b)는 솔레노이드(532c)에 의해 상/하 이송되도록 솔레노이드 가이드부재(532a)의 내측에 삽입 설치된다. 솔레노이드 직선이송부재(532b)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532c)는 솔레노이드 가이드부재(532a)의 상측에 설치된다.
솔레노이드 직선이송부재(532b)의 상/하 이동되어 편광필름(101)에 마킹을 위해 펜(533)이 솔레노이드 가이드부재(532a)의 하측에 장착되며, 펜(533)은 제1펜설치블럭(531c)에 지지되어 장착된다. 펜(533)은 펜촉이 마르지 않도록 펜커버(533a)가 구비될 수 있으며, 펜커버(533a)에 펜(533)을 보관시 펜(533)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완화시키기 위해 스프링(533b)이 펜커버(533a)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은 편광필름에 결함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검사시 먼저 저해상도로 검사한 후 다시 고해상도로 검사를 실시하여 보다 정밀하게 결함 검사를 실시할 수 있으며, 마킹장치를 분할프레임에 설치함으로써 보다 콤팩트하게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8)

  1.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로딩된 제1캐리어에 장착되는 권취롤러에 권취된 편광필름을 이송하는 로딩장치와,
    메인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딩장치에서 이송되는 편광필름의 이송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와,
    상기 속도감지부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편광필름을 제1 및 제2롤러로 평탄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1카메라부로 촬영하고 제3롤러에 의해 이송방향이 변경된 편광필름을 제4및 제5롤러로 평탄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2카메라부로 촬영하는 검사장치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분할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장치에서 촬영이 완료된 편광필름이 이송되면 편광필름을 제6 및 제7롤러로 평탄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결함위치에 마킹하는 마킹장치와,
    상기 로딩장치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로딩되는 제2캐리어에 장착되어 마킹 작업이 완료된 편광필름이 이송되면 회수롤러로 회수하는 언로딩장치와,
    상기 검사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마킹장치가 편광필름에 결함위치를 마킹할 수 있도록 결함위치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마킹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속도감지부에서 감지된 편광필름의 이송속도를 수신받아 편광필름의 이송속도에 따라 마킹장치의 마킹속도와 검사장치의 촬영속도를 동기화시키는 제어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마킹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분할프레임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자와, 상기 다수개의 고정자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동자와, 상기 고정자와 가동자에 의해 X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다수개의 가동자에 각각 설치되어 편광필름에 결함위치를 마킹하는 다수개의 펜헤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결함검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의 상기 제1 및 제2롤러는 상기 속도감지부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4 및 제5롤러는 상기 제1 및 제2롤러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3롤러는 상기 제1 및 제2롤러와 상기 제4 및 제5롤러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1카메라부는 상기 제1 및 제2롤러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2카메라부는 상기 제4 및 제5롤러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메인프레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부는 메인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LM(Linear Motion) 가이드와,
    상기 다수개의 제1LM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1이동 플레이트에 제1간격으로 이격되어 일렬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카메라와,
    상기 다수개의 제1카메라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제1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조명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카메라부는 메인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2LM(Linear Motion) 가이드와,
    상기 다수개의 제2LM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2이동 플레이트에 제1카메라부의 다수개의 제1카메라의 제1간격보다 작은 제2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의 열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2카메라와,
    상기 다수개의 제2카메라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제2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조명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펜헤드는 각각 상기 가동자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펜홀더와,
    상기 펜홀더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이송기구와,
    상기 솔레노이드 이송기구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 이송기구에 의해 승/하강되어 편광필름에 마킹하는 펜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결함검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펜홀더는 가동자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펜플레이트와,
    상기 펜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제3LM(Linear Motion) 가이드와,
    상기 제3LM 가이드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펜설치블록과,
    상기 제1펜설치블록의 내측에 제3LM 가이드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이동블럭과,
    상기 제1펜설치블럭이 상기 제3LM 가이드를 따라 이동된 후 펜플레이트에 제1펜설치블록을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제1펜설치블록의 하측 위치되도록 상기 펜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펜을 지지하는 제2펜설치블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결함검사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이송기구는 제1펜설치블럭에 지지되어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가이드부재와,
    상기 솔레노이드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직선이송부재와,
    상기 솔레노이드 가이드부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직선이송부재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결함검사 시스템.
KR1020070017351A 2007-02-21 2007-02-21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 KR100876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351A KR100876291B1 (ko) 2007-02-21 2007-02-21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351A KR100876291B1 (ko) 2007-02-21 2007-02-21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760A KR20080077760A (ko) 2008-08-26
KR100876291B1 true KR100876291B1 (ko) 2008-12-31

Family

ID=3988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351A KR100876291B1 (ko) 2007-02-21 2007-02-21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2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8216A (zh) * 2018-01-29 2018-05-22 苏州金韦尔机械有限公司 胶膜检测设备的打孔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720B1 (ko) * 2008-12-04 2013-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부착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311497B1 (ko) * 2011-10-20 2013-10-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의 결함 검사 장치
JP6784540B2 (ja) * 2015-09-30 2020-11-1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CN105424721B (zh) * 2015-12-11 2018-07-13 南京神源生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应变计缺陷自动检测系统
CN109720103A (zh) * 2017-10-31 2019-05-07 天津长荣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卷料在线检测标记装置
CN108896256B (zh) * 2018-07-04 2024-01-26 杭州国辰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套标膜在线漏气自动检测设备
KR20200061148A (ko) 2018-11-23 2020-06-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및 장치
CN116078707A (zh) * 2023-03-08 2023-05-09 江苏华存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筛检结构的存储芯片生产用检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8216A (zh) * 2018-01-29 2018-05-22 苏州金韦尔机械有限公司 胶膜检测设备的打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760A (ko) 200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291B1 (ko) 편광필름의 결함검사 시스템
KR102023581B1 (ko) 릴-투-릴 검사장치 및 릴-투-릴 검사방법
US8305569B2 (en) Apparatus for optical inspection
JP6156869B2 (ja) 位置検出装置、基板製造装置、位置検出方法、及び基板の製造方法
TWI393878B (zh) 面板檢測裝置及檢測面板的方法
CN101027612A (zh) 图像记录装置和图像记录方法
KR20070098990A (ko)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
JP2006194858A (ja) 表示用パネルの検査装置
JP5362259B2 (ja) 画像記録装置
JP2011066041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2013004951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KR101274164B1 (ko) 필름 검사장치
TWI600544B (zh) 光學顯示設備之生產系統
KR20160141652A (ko) 마스크리스 노광 장치 및 노광 방법
CN107462585B (zh) 自动光学检查机及玻璃基板的缺陷检查方法
KR101915205B1 (ko) 부품 공급 장치
KR100899558B1 (ko) 편광필름 검사장치의 마킹제어방법
JP5407318B2 (ja) 薄板の搬送面接触状態検出方法
CN112033643B (zh) 一种触摸屏断差检测设备
JP6931413B1 (ja) 切込線形成装置及び切込線形成方法
TWI801801B (zh) 描繪裝置
JPH092712A (ja) ウエッブの巻取・巻返方法およびその装置
TW305975B (ko)
KR20200061148A (ko) 광학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및 장치
CN117805130A (zh) 保护膜的缺陷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