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191B1 - 동축접촉시스템 및 동축접촉장치 - Google Patents

동축접촉시스템 및 동축접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191B1
KR100874191B1 KR1020070034603A KR20070034603A KR100874191B1 KR 100874191 B1 KR100874191 B1 KR 100874191B1 KR 1020070034603 A KR1020070034603 A KR 1020070034603A KR 20070034603 A KR20070034603 A KR 20070034603A KR 100874191 B1 KR100874191 B1 KR 100874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coaxial
signal
signal pin
di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1582A (ko
Inventor
이맹열
박민수
김성진
이용구
Original Assignee
(주)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기가레인
Priority to KR1020070034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191B1/ko
Priority to PCT/KR2008/000342 priority patent/WO2008123652A1/en
Publication of KR20080091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동축접촉시스템 및 동축접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 시스템은 테스트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에 동축케이블을 포함하는 동축접촉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축접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커플링부 및 동축접촉장치를 구비한다. 커플링부는 상기 PCB의 접지패드에 접촉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가 상기 PCB의 대응되는 접지패드에 최대한 짧은 경로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동축접촉장치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구비한다. 동축접촉장치는 상기 커플링부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PCB의 신호패드 및 상기 접지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동축케이블을 포함한다. 동축접촉장치는 신호핀, 그라운드 지지부 및 유전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접촉 시스템 및 동축접촉 장치는 동축케이블을 PCB에 연결할 때, 신호선과 접지선의 연결 경로를 짧고 안정적인 접촉을 하도록 함으로써 고주파 신호의 손실 및 왜곡을 최소화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동축접촉시스템 및 동축접촉장치{Coaxial connecting system and Coaxial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잭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잭 인터포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동축접촉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동축접촉장치의 단면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동축접촉장치가 잭과 잭 인터포저를 통해 PCB에 접촉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d) 및 (e) 상태에서의 신호의 전달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동축접촉장치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동축접촉 시스템 및 동축접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축케이블과 외부의 검사대상물의 신호 패드 및 접지 패드 사이를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접속시키는 동축접촉시스템 및 동축접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은 중앙에 놓인 신호 도전체, 신호 도전체를 둘러싸는 절연체 및 절연체를 둘러싸는 외부 실드(shield)로 구성되며, 단면을 보면 신호 도전체와 외부 실드가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이루는 구조를 가진다.
동축케이블은 일반적인 전선에 비하여 전기적 간섭이 적고 전기적 신호의 전송이 안정적이어서 정밀한 전기, 전자 장치나 테스트 장치에 많이 이용된다. 따라서, 동축케이블을 검사 대상물에 안정적으로 접속시키며 반복적으로 탈착을 계속해도 신호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동축접촉장치가 요구된다.
한편, 반도체 테스트 장치 등은 디바이스와 테스트에 필요한 신호를 생성하는 테스트 장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연결 매개체가 필요하다. 특히, 최근의 디바이스들이 고속화, 고성능화 됨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송 경로가 신호의 감쇄가 크고, 주변의 잡음에 약하다면 테스트 결과에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테스트 대상 디바이스들로 신호를 보내는 데 있어 주파수 잡음이나 신호의 감쇄 없이 안전하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연결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동축케이블과 외부 패드 사이의 신호 전송 경로를 최소화하고, 신호선의 차폐를 통하여 외부 잡음에 강하고, 신호의 손 실이 작은 동축접촉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동축케이블과 외부 패드 사이의 신호 전송 경로를 최소화하고, 신호선의 차폐를 통하여 외부 잡음에 강하고, 신호의 손실이 작은 동축접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 시스템은 테스트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에 동축케이블을 포함하는 동축접촉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축접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커플링부 및 동축접촉장치를 구비한다.
커플링부는 상기 PCB의 접지패드에 접촉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가 상기 PCB의 대응되는 접지패드에 최대한 짧은 경로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동축접촉장치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구비한다.
동축접촉장치는 상기 커플링부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PCB의 신호패드 및 상기 접지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동축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동축접촉장치는 신호핀, 그라운드 지지부 및 유전체를 구비한다. 신호핀은 상기 신호패드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상기 동축케이블의 신호 도전체와 상기 신호패드를 연결한다. 그라운드 지지부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신호핀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신호핀을 외부에서 감싼다.
유전체는 상기 신호핀의 일부분을 외부에서 감싸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로부터 절연시키며,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와 상기 신호핀 사이의 동축관계를 유지시킨다.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PCB의 상기 접지패드에 탄성적으로 직접 접촉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가 상기 PCB의 대응되는 접지패드에 최대한 짧은 경로로 연결되도록 하는 잭 인터포저(JACK INTERPOSER) 및 상기 잭 인터포저 하면에 직접 접촉하고 상기 동축접촉장치가 삽입되는 상기 홀을 구비하는 잭을 구비한다.
상기 잭 인터포저는 얇은 금속판으로서, 상기 잭의 홀에 대응되는 인터포저 홀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상기 인터포저 홀은 원둘레를 따라 사각형상의 금속판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금속판들이 상기 인터포저 홀의 수평면의 상부 및 하부로 교대로 휘어져 형성된다. 상기 잭은 얇은 금속판으로서, 상기 동축접촉장치가 삽입되는 홀의 입구가 홀 안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PCB 와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 핀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다.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동축케이블을 감싸는 그라운드 연결부 및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신호핀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신호핀을 외부에서 감싸는 원통형 가이드관을 구비한다.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은 일단부와 길이부를 구비한다.
일단부는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돌출부 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기 유전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ㄱ"자 형태로 구부러진 턱을 가진다. 길이부는 상기 일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잭의 홀에 삽입되어 홀의 내부 벽에 접촉된다.
상기 길이부는 끝단이 탄성을 가진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길이부는 상기 끝단의 원주 벽면이 규칙적으로 일정한 폭만큼 절개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신호핀은 포고핀이다.
상기 신호핀은 제 1부분, 제 2 부분 및 제 3부분을 구비한다. 제 1부분은 상기 신호패드에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이동한다. 제 2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부분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유전체의 일면을 고정시키기 위해 돌출된 고정턱을 가지며 상기 제 1부분보다 직경이 더 크다.
제 3부분은 상기 제 2 부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신호 도전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으로 상기 신호도전체가 삽입되며, 상기 제 2부분보다 직경이 더 커서 상기 유전체의 다른 일면을 고정시킨다.
상기 유전체는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의 일단부의 턱 및 상기 고정턱에 의해서 일면이 고정되고,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의 타단 및 상기 제 3부분에 의해서 타면이 고정되며, 상기 신호핀과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 사이는 상기 유전체 및 공기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 된 상태이다.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을 감싸며 내측으로 상기 유전체와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그라운드 연결부 및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잭의 홀에 삽입되어 홀의 내 부 벽에 접촉되는 길이부를 구비한다. 상기 길이부는 끝단이 탄성을 가진다.
상기 신호핀은 상기 신호패드에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제 1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부분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 1부분보다 직경이 더 크며 상기 신호 도전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으로 상기 신호도전체가 삽입되는 제 2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유전체는 상기 신호핀의 상기 제 2 부분에 억지끼움으로 압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신호핀과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는 상기 유전체 및 공기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된 상태이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장치는 외부의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에 동축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축접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호핀, 그라운드 지지부 및 유전체를 구비한다.
신호핀은 상기 신호패드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상기 동축케이블의 신호 도전체와 상기 신호패드를 연결한다. 그라운드 지지부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신호핀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신호핀을 외부에서 감싼다. 유전체는 상기 신호핀의 일부분을 외부에서 감싸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로부터 절연시키며,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와 상기 신호핀 사이의 동축관계를 유지시킨다.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동축케이블을 감싸는 그라운드 연결부 및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신호핀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신호핀을 외부에서 감싸는 원통형 가 이드관을 구비하고,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은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돌출부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기 유전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ㄱ"자 형태로 구부러진 턱을 가지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접지패드에 접촉되는 길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길이부는 끝단이 탄성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을 감싸며 내측으로 상기 유전체와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그라운드 연결부 및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잭의 홀에 삽입되어 홀의 내부 벽에 접촉되는 길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길이부는 끝단이 탄성을 가진다.
상기 신호핀은 상기 신호패드에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제 1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부분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 1부분보다 직경이 더 크며 상기 신호 도전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으로 상기 신호도전체가 삽입되는 제 2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 시스템(100)은 테스트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110)에 동축케이블을 포함하는 동축접촉장치(CAC)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축접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커플링부(115) 및 동축접촉장치(CAC)를 구비한다.
PCB(110)의 후면에는 테스트되는 디바이스들이 연결되고 전면에는 신호 패드(미도시)와 접지 패드(미도시)가 장착되어 동축접촉장치(CAC)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커플링부(115)는 PCB(110)의 접지패드에 접촉되어 동축케이블의 접지가 PCB(110)의 대응되는 접지패드에 최대한 짧은 경로로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동축접촉장치(CAC)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HL, IHL)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커플링부(115)는 PCB(110)의 접지패드에 탄성적으로 직접 접촉되어 동축케이블의 접지가 PCB(110)의 대응되는 접지패드에 최대한 짧고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잭 인터포저(JACK INTERPOSER)(120) 및 잭 인터포저(120) 하면에 직접 접촉하고 동축접촉장치(CAC)가 삽입되는 홀(HL)을 구비하는 잭(130)을 구비한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축접촉장치(CAC)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몰 드(140)가 더 개시된다. 이와 같이 동축접촉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축접촉장치(CAC)가 몰드(140)와 잭(130) 및 잭 인터포저(120)를 통해서 PCB(110)에 접촉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동축접촉장치(CAC)가 테스트되는 PCB(110)에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접속될 수 있으며 동축접촉장치(CAC)의 접지가 PCB(110)의 접지 패드(미도시)와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 고정될 수 있어 고주파 전송시 발생되는 잡음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잭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잭 인터포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잭(130)과 잭 인터포저(120)는 모두 금속 재질로 만들어지며 전기 신호의 통로로서 사용된다.
잭(130)은 얇은 금속판으로서, 동축접촉장치(CAC)가 삽입되는 홀(HL)들을 다수개 구비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홀(HL)의 입구가 홀 안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잭(130)은 PCB(110)와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 핀(GDP)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다.
가이드 핀(GDP)은 잭(130)이 PCB(110)와 결합할 경우 편차를 없애기 위한 것이다. 홀(HL) 안쪽의 경사는 동축접촉장치(CAC)의 원통형 가이드관(미도시)의 길이부(미도시)가 홀(HL)의 안쪽으로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잭 인터포저(120)는 얇은 금속판으로서, 잭(130)의 홀(HL)에 대응되는 인터포저 홀(IHL)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다. 잭(130)과 잭 인터포저(120)는 PCB(110)와 나사 결합을 한다. 잭(130)과 잭 인터포저(120)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 사 홀들(210, 210a)을 구비한다.
잭(130)의 홀(HL)과 인터포저 홀(IHL)은 PCB(110)의 접지 패드(미도시)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잭(130)의 홀(HL)과 인터포저 홀(IHL)의 내부를 통해 동축접촉장치(CAC)의 신호핀이 PCB(110)의 신호 패드(미도시)와 접촉된다
인터포저 홀(IHL)은 원둘레를 따라 사각형상의 금속판들(MP)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금속판들(MP)은 인터포저 홀(IHL)의 수평면의 상부 및 하부로 교대로 휘어져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포저 홀(IHL)의 원주상에 형성된 금속판들(MP)은 하나가 위쪽으로 굽어져 있으면 인접한 옆의 금속판은 아래쪽으로 굽어져 있고 그와 인접한 금속판은 다시 위쪽으로 굽어져 있다.
잭(130)과 PCB(110)가 나사 결합이 된다고 하더라도 잭(130)이 PCB(110)와 결합하는 면이 반듯하지 못하여 잭(130)과 PCB(110)가 이상적으로 면접촉을 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잭(130)과 PCB(110) 사이에 잭 인터포저(120)를 둔다.
잭 인터포저(120)의 금속판들(MP)이 위 아래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잭(130)과 PCB(110) 사이에 탄성을 주어 잭(130)과 잭 인터포저(120) 및 PCB(110)가 확실하게 접촉되며, 동축접촉장치(CAC)의 접지가 최대한 짧은 경로로 PCB(110)의 접지 패드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동축접촉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동축접촉장치의 단면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동축접촉장치(CAC)의 구조가 설명된다. 동축접촉장 치(CAC)는 잭(130)의 홀(HL)에 삽입되어 PCB(110)의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동축케이블(410)을 포함한다.
동축케이블(410)은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도전체(410c), 신호 도전체(410c)를 둘러싸는 유전체(410b), 유전체(410b)를 둘러싸는 접지(410a)와 접지(410a)를 둘러싸는 피복을 구비한다.
동축접촉장치(CAC)는 신호핀(420), 그라운드 지지부(425), 및 유전체(450)를 구비한다. 그라운드 지지부(425)는 동축케이블(410)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고 신호핀(42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신호핀(420)을 외부에서 감싼다.
그라운드 지지부(425)는 동축케이블(410)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며 동축케이블(410)을 감싸는 그라운드 연결부(430) 및 그라운드 연결부(430)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신호핀(42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신호핀(420)을 외부에서 감싸는 원통형 가이드관(440)을 구비한다.
동축접촉장치(CAC)는 동축케이블(410)의 신호 도전체(410c)를 통해서 전송되는 전기 신호를 신호핀(420)을 통해서 PCB(110) 상의 신호 패드로 전송하고, 동축케이블(410)의 접지(410a)를 그라운드 연결부(430) 및 원통형 가이드관(440)을 이용하여 PCB(110) 상의 접지 패드에 연결시킨다.
유전체(450)를 신호핀(420)에 압입하여 신호핀(420)의 고정턱(510)과 제 3부분(420c)의 시작부분 사이에 위치시킨다. 유전체(450)는 신호핀(420)의 일부분을 외부에서 감싸 원통형 가이드관(440)으로부터 신호핀(420)을 절연시키며, 원통형 가이드관(440)과 신호핀(420) 사이의 동축관계를 유지시킨다.
유전체(450)는 원통형 가이드관(440)의 일단부(440a)의 턱 및 고정턱(510)에 의해서 일면이 고정되고, 그라운드 연결부(430)의 타단 및 신호핀(420)의 제 3부분(420c)에 의해서 타면이 고정되어 유동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그라운드 연결부(430)가 신호핀(420)과 동축케이블(410)이 연결되는 부분을 둘러싸며 동축케이블(410)의 접지(410a)로 끼워진다. 그라운드 연결부(430)는 동축케이블(410)의 피복에 의해서 뒤로 흘러내리지 아니한다. 그라운드 연결부(430)는 동축케이블(410)의 접지(410a)와 직접 연결되며 동축케이블(410)을 감싼다. 그라운드 연결부(430)는 동축케이블(410)의 접지(410a)와 연결되어 원통형 가이드관(440) 전체가 접지기능을 하도록 한다.
그라운드 연결부(430)는 T 자 형상으로서 양쪽으로 길게 뻗은 부분 중 일단이 동축케이블(410)의 접지(410a)에 연결되고, 중앙에 원통형 가이드관(440)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430a)를 구비한다.
신호핀(420)은 신호패드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동축케이블(410)의 신호 도전체(410c)와 신호패드를 연결한다. 신호핀(420)은 전기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신호핀(420)은 포고 핀일 수 있다. 즉, PCB(110)의 신호패드에 접촉되는 신호핀(420)의 끝단부분은 압축되고, 탄성에 의해서 복원될 수 있다.
신호핀(420)은 제 1부분(420a), 제 2 부분(420b) 및 제 3부분(420c)을 구비한다. 제 1부분(420a)은 신호패드에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이동한다. 제 2부분(420b)은 제 1 부분(420a)의 하부에 연결되고, 제 1부분(420a)이 내부로 삽입되 고, 유전체(450)의 일면을 고정시키기 위해 돌출된 고정턱(510)을 가지며 제 1부분(420a)보다 직경이 더 크다.
제 3부분(420c)은 제 2 부분(420b)의 하부에 연결되고, 신호 도전체(410c)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520)이 형성되어 삽입홈(520)으로 신호 도전체(410c)가 삽입되며, 제 2부분(420b)보다 직경이 더 커서 유전체(450)의 다른 일면을 고정시킨다.
그라운드 연결부(430)가 결합된 동축케이블(410)의 신호 도전체(410c)는 유전체(450)가 결합된 신호핀(420)의 제 3부분(420c)에 형성된 삽입홈(520)에 끼워진 후 솔더링(soldering) 되어 고정된다. 솔더링은 신호 도전체(410c)와 신호핀(420)을 결합시키는 일 실시예일 뿐 신호핀(420)과 신호 도전체(410c)의 결합이 솔더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도 결합방법으로 솔더링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반드시 솔더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핀(420)은 유전체(450)로 감싸여진 부분 이외의 부분, 즉 제 2부분(420b)의 고정턱(510)과 제 3부분(420c)의 시작부분 사이 이외의 부분은 공기에 의해서 원통형 가이드관(440)과 절연된다. 신호핀(420)과 그라운드 지지부(425) 사이의 공간은 유전체(450) 및 공기에 의해서 임피던스 매칭된 상태이다.
유전체(450)가 결합된 신호핀(420)의 제 1 부분(420a)에서 제 3 부분(420c) 방향으로 원통형 가이드관(440)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원통형 가이드관(440)을 그라운드 연결부(430)와 억지끼움에 의하여 결합시킨다.
원통형 가이드관(440)은 그라운드 연결부(430)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신호 핀(42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신호핀(420)을 외부에서 감싼다. 원통형 가이드관(440)은 일단부(440a)와 길이부(440b)를 구비한다.
일단부(440a)는 그라운드 연결부(43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제 1 돌출부(430a)에 의해서 고정되고 유전체(45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ㄱ"자 형태로 구부러진 턱을 가진다. 길이부(440b)는 일단부(440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잭(130)의 홀(HL)에 삽입되어 홀(HL)의 내부 벽에 접촉된다.
길이부(440b)의 끝단은 탄성을 가진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도시된 바와같이 외측방향으로 일정한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부(440b)는 끝단의 원주 벽면이 규칙적으로 일정한 폭만큼 절개되는 구조를 가진다. 길이부(440b) 끝단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길이부(440b) 끝단이 도 4와 같은 구조를 가지면, 길이부(440b)가 잭(130)의 홀(HL)에 삽입될 때, 외측으로 일정하게 벌어져있던 길이부(440b)의 끝단의 탄성력에 의해서 잭(130)의 홀(HL)의 내벽에 길이부(440b)의 끝단이 강하게 접촉된다.
길이부(440b)가 그라운드 연결부(430)와 결합된 후, 그라운드 연결부(430)와 동축케이블(410)의 접지(410a)가 연결된 부분은 솔더링에 의해서 연결된다. 따라서, 그라운드 연결부(430)와 원통형 가이드관(440)이 접지의 기능을 하게된다.
도 6은 동축접촉장치가 잭과 잭 인터포저를 통해 PCB에 접촉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PCB(110), 잭 인터포저(120), 잭(130) 및 동축접촉장치(CAC)의 단면도로서 잭 인터포저(120)가 PCB(110)의 접지 패드(PG)와 잭(130)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a)는 동축접촉장치(CAC)가 잭(130)의 홀(HL)에 삽입되기 전의 모습이며, 동축접촉장치(CAC)의 길이부(440b)의 끝단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b)는 동축접촉장치(CAC)가 잭(130)의 홀(HL)에 삽입되는 순간의 모습으로서, 길이부(440b) 끝단의 형태가 아직 변형되지 아니하였고 신호핀(420)도 신호 패드(PS)에 접촉하기 전이다.
(c)는 동축접촉장치(CAC)가 잭(130)의 홀(HL)에 삽입된 직후의 모습이다. 잭(130)의 홀(HL)의 원주면은 홀(HL)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동축접촉장치(CAC)의 길이부(440b) 끝단이 홀(HL) 안쪽으로 슬라이딩되어 들어갈 수 있는 상태이다. 방사형 모양이던 길이부(440b)의 끝단이 홀(HL)에 의해서 조금씩 압축되기 시작한다.
(d)는 동축접촉장치(CAC)가 잭(130)의 홀(HL)에 중간정도 삽입된 모습으로서, 길이부(440b)가 잭(130)의 홀(HL)의 내벽을 타고 이동하며 길이부(440b)가 본래의 방사형 모양으로 돌아가려는 탄성력에 의해서 홀(HL)의 내벽과의 접촉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신호핀(420)도 신호 패드(PS)에 접촉된다. 동축접촉장치(CAC)가 홀(HL) 내부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아니하여도 동축케이블(410)의 접지(410a)와 PCB(110)의 접지 패드(PG)와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e)는 동축접촉장치(CAC)가 잭(130)의 홀(HL)에 완전히 삽입된 모습이다. (d)의경우와 마찬가지로, 길이부(440b)와 홀(HL)의 내벽이 안정적으로 접촉하며 신호가 연결된다.
도 7은 도 6의 (d) 및 (e) 상태에서의 신호의 전달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도 6(d)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7(b)는 도 6(e)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7(a) 및(b)에서, 길이부(440b)가 원래의 형상, 즉 방사형상으로 복원되기 위해 발생되는 힘(P)에 의해서 잭(130)의 내벽에 안정적으로 접촉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축케이블(410)의 접지(410a)는 길이부(440b)를 통해서 잭(130)과 잭 인터포저(120)를 거쳐 접지 패드(PG)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동축케이블(410)의 접지(410a)에 연결된 길이부(440b)와 PCB(110)의 접지 패드(PG)와의 거리가 매우 가깝게 형성되므로 고주파 전송에 있어서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동축접촉장치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그라운드 지지부(830)는 동축케이블(410)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어 동축케이블(410)을 감싸며 내측으로 유전체(450)와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그라운드 연결부(810) 및 그라운드 연결부(810)에 일체로 형성되며 잭(130)의 홀(HL)에 삽입되어 홀(HL)의 내부 벽에 접촉되는 길이부(820)를 구비한다. 상기 길이부(820)는 끝단이 탄성을 가진다. 또한 외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의 그라운드 지지부(830)는 도 4의 그라운드 지지부(425)와 달리, 그라운드 연결부(810)와 길이부(820)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라운드 연결부(810)의 상측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파지가 용이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반드시 그라운드 연결부(810)의 상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축케이블(410)의 접지(410a)가 접촉되는 그라운드 연결부(810)의 내측에도 동축케이블(410)이 PCB(110)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턱이 도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운드 연결부(810)가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라운드 지지부(830)는 도 5에서처럼 유전체(450)를 고정시키기 위한 턱들을 구비하지 아니하고 압입에 의해서 유전체(450)를 고정시킨다.
신호핀(840)은 신호패드에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제 1부분(840a) 및 제 1 부분(840a)의 하부에 연결되고, 제 1부분(840a)이 내부로 삽입되고, 제 1부분(840a)보다 직경이 더 크며 신호 도전체(410c)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520)이 하부에 형성되어 삽입홈(520)으로 신호도전체(410c)가 삽입되는 제 2 부분(840b)을 구비한다.
도 8의 신호핀(840)은 도 5의 신호핀(420)과 달리 유전체(4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턱(510)을 가지지 아니하고 제 2부분(840b)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유전체(450)는 신호핀(840)의 제 2 부분(840b)에 억지끼움으로 압입되어 결합된다.
신호핀(840)과 그라운드 지지부(830) 사이는 유전체(450) 및 공기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된 상태이다.
도면에 개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장치는 유전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그라운드 지지부는 도 5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고 신호핀은 돌출부분 없이 유전체와 억지끼움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도 8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와, 그라운드 지지부는 상기 돌출부분들을 구비하지 아니하는 도 8의 구조를 가지며 신호핀은 도 5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 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장치는 외부의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에 동축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축접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호핀, 그라운드 지지부 및 유전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장치는 도 3,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동축접촉장치(CAC)의 구조와 동일하며 도 1에서와 같이 잭(130)과 잭 인터포저(120)를 이용해서 동축접촉 시스템(100)에 이용될 수 있다. 동축접촉장치(CAC)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된 바 있으므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장치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축접촉 시스템 및 동축접촉 장치는 동축케이블을 PCB에 연결할 때, 신호선과 접지선의 연결 경로를 짧고 안정적인 접촉을 하게 함으로써 고주파 신호의 손실 및 왜곡을 최소화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3)

  1. 테스트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에 동축케이블을 포함하는 동축접촉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축접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PCB의 접지패드에 접촉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가 상기 PCB의 대응되는 접지패드에 최대한 짧은 경로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동축접촉장치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구비하는 커플링부 ; 및
    상기 커플링부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PCB의 신호패드 및 상기 접지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동축케이블을 포함하는 상기 동축접촉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동축접촉장치는,
    상기 신호패드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상기 동축케이블의 신호 도전체와 상기 신호패드를 연결하는 신호핀 ;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신호핀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신호핀을 외부에서 감싸는 그라운드 지지부 ; 및
    상기 신호핀의 일부분을 외부에서 감싸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로부터 절연시키며,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와 상기 신호핀 사이의 동축관계를 유지시키는 유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을 감싸며 내측으로 상기 유전체와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그라운드 연결부 ; 및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커플링부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링부의 홀의 내부 벽에 접촉되는 길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길이부는 끝단이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PCB의 상기 접지패드에 탄성적으로 직접 접촉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가 상기 PCB의 대응되는 접지패드에 최대한 짧은 경로로 연결되도록 하는 잭 인터포저(JACK INTERPOSER) ; 및
    상기 잭 인터포저 하면에 직접 접촉하고, 상기 동축접촉장치가 삽입되는 상기 홀을 구비하는 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잭 인터포저는,
    얇은 금속판으로서, 상기 잭의 홀에 대응되는 인터포저 홀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상기 인터포저 홀은,
    원둘레를 따라 사각형상의 금속판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금속판들이 상기 인터포저 홀의 수평면의 상부 및 하부로 교대로 휘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잭은,
    상기 잭의 홀이 형성되는 얇은 금속판이고,
    상기 잭의 홀의 입구는, 상기 잭의 홀의 안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PCB 와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 핀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동축케이블을 감싸는 그라운드 연결부 ; 및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신호핀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신호핀을 외부에서 감싸는 원통형 가이드관을 구비하고,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은,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돌출부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기 유전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ㄱ"자 형태로 구부러진 턱을 가지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커플링부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링부의 홀의 내부 벽에 접촉되는 길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길이부는 끝단이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부는,
    상기 끝단의 원주 벽면이 규칙적으로 일정한 폭만큼 절개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핀은 포고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핀은,
    상기 신호패드에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제 1부분 ;
    상기 제 1 부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부분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유전체의 일면을 고정시키기 위해 돌출된 고정턱을 가지며 상기 제 1부분보다 직경이 더 큰 제 2 부분 ; 및
    상기 제 2 부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신호 도전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으로 상기 신호도전체가 삽입되며, 상기 제 2부분보다 직경이 더 커서 상기 유전체의 다른 일면을 고정시키는 제 3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의 일단부의 턱 및 상기 고정턱에 의해서 일면이 고정되고,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의 타단 및 상기 제 3부분에 의해서 타면이 고정되며,
    상기 신호핀과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 사이는 상기 유전체 및 공기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 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 시스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핀은,
    상기 신호패드에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제 1부분 ; 및
    상기 제 1 부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부분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 1부분보다 직경이 더 크며 상기 신호 도전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으로 상기 신호도전체가 삽입되는 제 2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상기 신호핀의 상기 제 2 부분에 억지끼움으로 압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신호핀과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 사이는 상기 유전체 및 공기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시스템.
  14. 외부의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에 동축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축접촉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패드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상기 동축케이블의 신호 도전체와 상기 신호패드를 연결하는 신호핀 ;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신호핀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신호핀을 외부에서 감싸는 그라운드 지지부 ; 및
    상기 신호핀의 일부분을 외부에서 감싸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로부터 절연시키며,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와 상기 신호핀 사이의 동축관계를 유지시키는 유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을 감싸며 내측으로 상기 유전체와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는 그라운드 연결부 ; 및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접지패드와 상기 동축케이블 사이에 배치되는 커플링부에 구비되는 홀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링부에 구비되는 홀의 내부 벽에 접촉되는 길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길이부는 끝단이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동축케이블을 감싸는 그라운드 연결부 ; 및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신호핀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신호핀을 외부에서 감싸는 원통형 가이드관을 구비하고,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은,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돌출부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기 유전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ㄱ"자 형태로 구부러진 턱을 가지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접지패드에 접촉되는 길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길이부는 끝단이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부는,
    상기 끝단의 원주 벽면이 규칙적으로 일정한 폭만큼 절개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핀은 포고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핀은,
    상기 신호패드에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제 1부분 ;
    상기 제 1 부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부분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유전체의 일면을 고정시키기 위해 돌출된 고정턱을 가지며 상기 제 1부분보다 직경이 더 큰 제 2 부분 ; 및
    상기 제 2 부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신호 도전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 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으로 상기 신호도전체가 삽입되며, 상기 제 2부분보다 직경이 더 커서 상기 유전체의 다른 일면을 고정시키는 제 3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의 일단부의 턱 및 상기 고정턱에 의해서 일면이 고정되고,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의 타단 및 상기 제 3부분에 의해서 타면이 고정되며,
    상기 신호핀과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 사이는 상기 유전체 및 공기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 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21. 삭제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핀은,
    상기 신호패드에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제 1부분 ; 및
    상기 제 1 부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부분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 1부분보다 직경이 더 크며 상기 신호 도전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으로 상기 신호도전체가 삽입되는 제 2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상기 신호핀의 상기 제 2 부분에 억지끼움으로 압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신호핀과 상기 그라운드 지지부 사이는 상기 유전체 및 공기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KR1020070034603A 2007-04-09 2007-04-09 동축접촉시스템 및 동축접촉장치 KR100874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603A KR100874191B1 (ko) 2007-04-09 2007-04-09 동축접촉시스템 및 동축접촉장치
PCT/KR2008/000342 WO2008123652A1 (en) 2007-04-09 2008-01-18 Coaxial connecting system and coaxial connec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603A KR100874191B1 (ko) 2007-04-09 2007-04-09 동축접촉시스템 및 동축접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582A KR20080091582A (ko) 2008-10-14
KR100874191B1 true KR100874191B1 (ko) 2008-12-15

Family

ID=3983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603A KR100874191B1 (ko) 2007-04-09 2007-04-09 동축접촉시스템 및 동축접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4191B1 (ko)
WO (1) WO20081236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3536B1 (en) 2011-02-09 2012-02-2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Connector with isolated grounds
US9680268B1 (en) 2016-05-18 2017-06-13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Genderless electrical connectors
KR101992258B1 (ko) * 2017-10-13 2019-06-2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동축 커넥터
US11133569B2 (en) * 2019-06-14 2021-09-28 Sensorview Incorporated Compact connector for transmitting super high frequency signal
KR102311608B1 (ko) * 2019-06-14 2021-10-12 주식회사 센서뷰 초고주파 신호 전송용 소형 커넥터
US11121508B2 (en) 2019-06-14 2021-09-14 Sensorview Incorporated Coaxial cable male connector for transmitting super-high frequency signals
US11424580B2 (en) * 2019-06-14 2022-08-23 Sensorview Co., Ltd. Compact coaxial cable connector for transmitting super high frequency signals
CN112230121A (zh) * 2020-10-13 2021-01-1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四研究所 光电耦合器高低温测试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7297A (ja) 1997-08-27 1999-03-09 Ohkura Electric Co Ltd 同軸ケーブルの雑音輻射防止方法
JP2000156267A (ja) 1998-11-18 2000-06-06 Hitachi Video & Inf Syst Inc 同軸コネクタの取付構造
KR100650307B1 (ko) * 2005-10-14 2006-11-27 리노공업주식회사 동축 접촉 프로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226A (ko) * 1997-12-26 1999-07-15 윤종용 테스트 설비의 릴레이 인쇄회로기판
US7004793B2 (en) * 2004-04-28 2006-02-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w inductance shielded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7297A (ja) 1997-08-27 1999-03-09 Ohkura Electric Co Ltd 同軸ケーブルの雑音輻射防止方法
JP2000156267A (ja) 1998-11-18 2000-06-06 Hitachi Video & Inf Syst Inc 同軸コネクタの取付構造
KR100650307B1 (ko) * 2005-10-14 2006-11-27 리노공업주식회사 동축 접촉 프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23652A1 (en) 2008-10-16
KR20080091582A (ko) 2008-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191B1 (ko) 동축접촉시스템 및 동축접촉장치
KR100874190B1 (ko) 동축접촉장치
US70157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high frequency, impedance controlled probing device with flexible ground contacts
KR100567166B1 (ko) 커넥터
KR100985500B1 (ko) 검사용 소켓
JP3357650B2 (ja) 終端装置及びプローブ・ヘッド
US9203196B2 (en) Electrical coaxial connector
US9923315B2 (en) Low passive intermodulation coaxial connector test interface
WO2008072322A1 (ja) 同軸ケーブルユニット、及び試験装置
KR20040005828A (ko) 고성능 테스터 인터페이스 모듈
US20030054674A1 (en) Connection of coaxial cable to a circuit board
US8137134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an insulating member with a bendable section with a pair of projections
KR101162659B1 (ko) 동축 케이블 결합 커넥터
US8262409B2 (en) Connection terminal with a base with two upwardly extending sections with angled and oblique edges to clamp an internal conductor of a coaxial cable
CN111279203B (zh) 测试装置
US20050159050A1 (en) Device interface apparatus
KR102379298B1 (ko) 동축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동축커넥터 조립체
TWI741531B (zh) 測試裝置
JP6439555B2 (ja) 同軸コネクタ
US6091971A (en) Plumbing wireless phones and apparatus thereof
KR102531965B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0907097B1 (ko) 반도체 테스트용 접속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테스트장치
KR101008562B1 (ko) 동축접촉시스템
KR100599887B1 (ko) 커넥터
JPH11237439A (ja) テストフィクスチ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