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190B1 - 동축접촉장치 - Google Patents

동축접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190B1
KR100874190B1 KR1020070030670A KR20070030670A KR100874190B1 KR 100874190 B1 KR100874190 B1 KR 100874190B1 KR 1020070030670 A KR1020070030670 A KR 1020070030670A KR 20070030670 A KR20070030670 A KR 20070030670A KR 100874190 B1 KR100874190 B1 KR 100874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guide tube
coaxial
contact
cylindric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8145A (ko
Inventor
이맹열
박민수
김성진
이용구
Original Assignee
(주)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기가레인
Priority to KR1020070030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190B1/ko
Priority to PCT/KR2008/000111 priority patent/WO2008120856A1/en
Priority to US12/450,484 priority patent/US7909613B2/en
Publication of KR20080088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7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resilient member, e.g.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Abstract

동축접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장치는 외부의 PCB의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에 동축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축접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호핀, 그라운드 연결부, 원통형 가이드관 및 유전체를 구비한다. 신호핀은 상기 신호패드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상기 동축케이블의 신호 도전체와 상기 신호패드를 연결한다. 그라운드 연결부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동축케이블을 감싼다. 원통형 가이드관은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신호핀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신호핀을 외부에서 감싸고 상기 접지패드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유전체는 상기 신호핀의 하부 일부분을 외부에서 감싸아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으로부터 절연시키며,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과 상기 신호핀 사이의 동축관계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접촉장치는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외부의 접지패드 사이의 접촉 경로를 최대한 짧게 하고, 임피던스 조절된 동축 전송선로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주파수 특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동축접촉장치{Coaxial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동축접촉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동축접촉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동축접촉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동축접촉시스템의 그라운드 접촉부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3의 동축접촉시스템의 그라운드 접촉부의 또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원통형 가이드관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305 : 동축케이블 310 : 신호핀 320 : 그라운드 연결부
330 : 원통형 가이드관 340 : 유전체
330a : 일단부 330b : 그라운드 접촉부 330c : 중간연결부 330d : 탄성부재
본 발명은 동축접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축케이블과 외부의 검사대상물의 접지패드 및 신호패드 사이를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접속시키는 동축접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은 중앙에 놓인 신호 도전체, 신호 도전체를 둘러싸는 절연체 및 절연체를 둘러싸는 외부 실드(shield)로 구성되며, 단면을 보면 신호 도전체와 외부 실드가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이루는 구조를 가진다.
동축케이블은 일반적인 전선에 비하여 전기적 간섭이 적고 전기적 신호의 전송이 안정적이어서 정밀한 전기, 전자 장치나 테스트 장치에 많이 이용된다. 따라서, 동축케이블을 검사 대상물에 안정적으로 접속시키며 반복적으로 탈착을 계속해도 신호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동축접촉장치가 요구된다.
도 1은 종래의 동축접촉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동축접촉장치는 동축케이블의 내부 신호 도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성 내부 접촉 어셈플리와, 종방향으로 연장된 구경 내에 상기 내부 접촉 어셈블 리가 배치되는 도전성 그라운드 플런저와, 상기 내부 접촉 어셈블리와 그라운드 플런저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분리수단과, 동축케이블의 외부 그라운드 도전체상에 고정 장착 되어 상기 그라운드 플런저와 전기적으로 맞물리는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요소와 그라운드 슬리브는 외부배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요소는 상기 외부 배럴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그라운드 슬리브는 상기 외부배럴 내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동축접촉장치는 사이 인터페이스 요소가 상기 외부배럴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어, 동축케이블에 전류가 흐르는 채로 상기 외부배럴을 검사 대상물의 접촉단자에 근접시키면 상기 외부배럴을 지정위치에 안정되게 고정시키기도 전에 상기 내부 접촉 어셈블리와 그라운드 플런저가 상기 검사대상물의 접촉단자에 먼저 접촉되어 전류 흐름이 불안정하게 발생되므로, 안정적인 검사를 위하여 동축케이블의 전류를 각 검사 대상물마다 온오프 조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반도체 테스트 장치 등에서 테스트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들과 테스트에 필요한 신호를 생성하는 테스트 장치 사이에는 신호의 송수신을 연결해주는 매개체가 필요하다. 특히, 테스트 대상이 되는 최근의 디바이스들이 고성능화 됨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송선로가 신호의 열화나 주변의 잡음에 약하다면 테스트 결과에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테스트 대상 디바이스들로 신호를 보내는 데 있어 주파수 잡음이나 신호의 열화 없이 안전하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동축케이블과 외부 패드 사이의 신호 접촉 경로를 최대한 짧게 하고, 동축 전송선로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전송시 발생되손실 및 잡음을 감소시킨 동축접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장치는 외부의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에 동축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축접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호핀, 그라운드 연결부, 원통형 가이드관 및 유전체를 구비한다.
신호핀은 상기 신호패드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상기 동축케이블의 신호 도전체와 상기 신호패드를 연결한다.
그라운드 연결부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동축케이블을 감싼다. 원통형 가이드관은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신호핀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신호핀을 외부에서 감싸고 상기 접지패드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유전체는 상기 신호핀의 하부 일부분을 외부에서 감싸아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으로부터 절연시키며,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과 상기 신호핀 사이의 동축관계를 유지시킨다.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은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돌출부에 의해서 고정되는 일단부와 상기 접지패드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그라운드 접촉부, 상기 일단부와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간연결부 및 상기 일단부와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중간연결부를 둘러싸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신호핀은 포고 핀이다.
상기 신호핀은 상기 신호패드에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제 1부분, 상기 제 1 부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부분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유전체의 일면을 고정시키기 위해 돌출되는 고정턱을 가지며 상기 제 1부분보다 직경이더 큰 제 2 부분, 상기 제 2 부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신호 도전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으로 상기 신호도전체가 삽입되며, 상기 제 2부분보다 직경이 더 커서 상기 유전체의 타면을 고정시키는 제 3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신호핀은 상기 제 2 부분의 상기 고정턱과 상기 제 3 부분의 시작부분 사이에 상기 유전체로 감싸여진 부분 이외의 부분은 공기에 의해서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과 절연되며, 상기 제 2 부분의 시작부분이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의 상기 중간연결부의 상부 끝단보다 아래쪽에 배치된다.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의 일단부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일면이 상기 고정턱과 함께 상기 유전체를 고정시키고 다른 일면이 상기 중간연결부의 하부 끝단을 고정시키는 제 2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연결부는 상기 하부 끝단이 상기 일단부에 억지끼움 되어 상기 제 2 돌출부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부 끝단은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접지패드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계를 형성하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3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 3돌출부 사이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쇄부와 상기 걸쇄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걸쇄부가 이동할 때 상기 제 3 돌출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길이부를 구비한다.
상기 길이부는 원통형상으로서, 상기 길이부의 내벽면이 상기 제 3 돌출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길이부는 원통형상으로서, 상기 길이부의 벽면에 적어도 한 개의 가이드 홈이 상기 길이부의 위쪽에서 상기 걸쇄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는 상기 중간연결부에 고정되는 결합핀이 결합되며, 상기 길이부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되며 압축된다.
상기 길이부는 원통형상으로서, 끝단의 원주 벽면이 규칙적으로 일정한 폭만큼 절개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벽면이 상기 원통형상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부러져 있어, 상기 길이부가 압축되는 경우 상기 구부러진 벽면이 펴지면서 상기 제 3 돌출부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유전체는 상기 일단부의 제 2 돌출부 및 상기 고정턱에 의해서 일면이 고정되고,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의 타단 및 상기 제 3부분에 의해서 타면이 고정되며, 상기 신호핀과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 사이는 상기 유전체 및 공기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장치의 그라운드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이 내측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내측에 결합턱을 가진다.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은 상기 접지패드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그라운드 접 촉부,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의 내측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결합턱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와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간연결부, 및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와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중간연결부를 둘러싸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장치(200)는 외부 PCB의 신호패드(미도시) 및 접지패드(미도시)에 동축케이블(305)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축접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호핀(310), 그라운드 연결부(320), 원통형 가이드관(330) 및 유전체(미도시)를 구비한다.
접지패드 및 신호패드에 각각 원통형 가이드관(330)과 신호핀(310)이 접촉되고 압력이 가해지면 원통형 가이드관(330)은 탄성부재의 성질에 따라 압축되고, 신호핀(310)도 탄성력에 의해서 압축된다. 원통형 가이드관(330)은 동축케이블(305)의 접지와 연결되어 접지의 역할을 하고, 신호핀(310)은 동축케이블(305)의 신호도전체(미도시)와 연결된다.
도 3은 도 2의 동축접촉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동축접촉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동축접촉장치의 구조 및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동축케이블(305)은 신호 도전체(305c)와 신호 도전체(305c)를 둘러싸고 있는 유전체(305b), 유전체(305b)를 둘러싸는 접지(305a)로 구성된다. 신호핀(310)은 외부 PCB(350)의 신호 패드(PS)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동축케이블(305)의 신호 도전체(305c)와 신호 패드(PS)를 연결한다.
신호핀(310)은 전기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신호핀(310)은 포고핀일 수 있다. 즉, 신호패드(PS)에 접촉되는 신호핀(310)의 끝단부분은 축되고 탄성에 의해서 신장될 수 있다.
신호핀(310)의 구조를 좀 더 설명하면, 신호핀(310)은 제 1부분(310a), 제 2부분(310b) 및 제 3부분(310c)으로 나눌 수 있다. 제 1부분(310a)은 신호패드(PS)에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이동한다.
제 2부분(310b)은 제 1부분(310a)의 하부에 연결되고, 제 1부분(310a)이 내부로 삽입되고, 유전체(340)의 일면을 고정시키기 위해 돌출되는 고정턱(410)을 가지며 제 1부분(310a)보다 직경이 더 크다. 제 3부분(310c)은 제 2부분(310b)의 하부에 연결되고, 신호 도전체(305c)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345)이 형성되어 삽입홈(345)으로 신호 도전체(305c)가 삽입되며, 제 2부분(310b)보다 직경이 더 커서 유전체(340)의 타면을 고정시킨다.
동축케이블(305)의 신호 도전체(305c)는 신호핀(310)의 제 3부분(310c)에 형성된 삽입홈(345)에 끼워진 후 솔더링(soldering) 되어 고정된다. 솔더링은 신호 도전체(305c)와 신호핀(310)을 결합시키는 일 실시예일 뿐 신호핀(310)과 신호 도전체(305c)의 결합이 솔더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도 결합방법으로 솔더링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반드시 솔더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그라운드 연결부(320)가 신호핀(310)과 동축케이블(305)이 연결되는 부분을 둘러싸며 동축케이블(305)의 접지로 끼워진다. 그라운드 연결부(320)는 동축케이블(305)의 접지(305a)와 직접 연결되며 동축케이블(305)을 감싼다. 그라운드 연결부(320)는 동축케이블(305)의 접지(305a)와 연결되어 원통형 가이드관(330) 전체가 접지기능을 하도록 한다.
그라운드 연결부(320)는 T 자 형상으로서 양쪽으로 길게 뻗은 부분 중 일단이 동축케이블(305)의 접지(305a)에 연결되고, 중앙에 원통형 가이드관(330)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320a)를 구비한다.
그라운드 연결부(320)가 결합된 신호핀(310)으로 유전체(340)가 압입된다. 유전체(340)는 신호핀(310)의 하부 일부분을 외부에서 감싸아 원통형 가이드관(330)으로부터 신호핀(310)을 절연시키며, 원통형 가이드관(330)과 신호핀(310) 사이의 동축관계를 유지시킨다. 유전체(340)는 원통형 가이드관(330)의 일단부(330a)의 제 2 돌출부(420) 및 고정턱(410)에 의해서 일면이 고정되고, 그라운드 연결부(320)의 타단 및 제 3부분(310c)에 의해서 타면이 고정된다.
신호핀(310)은 유전체(340)로 감싸여진 부분 이외의 부분, 즉 제 2부 분(310b)의 고정턱(410)과 제 3부분(310c)의 시작부분 사이 이외의 부분은 공기에 의해서 원통형 가이드관(330)과 절연된다. 신호핀(310)과 원통형 가이드관(330) 사이는 유전체(340) 및 공기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된 상태가 유지된다.
신호핀(310)의 제 2부분(310b)의 시작부분이 원통형 가이드관(330)의 중간연결부(330c)의 상부 끝단보다 아래쪽에 배치된다. 그러면, 신호핀(310)의 제 1부분(310a)이 신호패드(PS)와 접촉한 후 압력에 의해서 제 2부분(310b) 안쪽으로 삽입되어도 제 2부분(310b)의 시작부분이 중간연결부(330c)의 상부 끝단보다 아래쪽에 있으므로 신호 패드(PS)에 직접 맞닿지 않을 수 있다.
원통형 가이드관(330)은 그라운드 연결부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신호핀(31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신호핀(310)을 외부에서 감싸고 외부 PCB(350)의 접지 패드(PG)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원통형 가이드관(330)의 구조를 좀 더 설명한다. 원통형 가이드관(330)은 일단부(330a)와 그라운드 접촉부(330b), 중간연결부(330c) 및 탄성부재(330d)로 구성된다. 일단부(330a)는 그라운드 연결부(32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제 1 돌출부(320a)에 의해서 고정된다. 그라운드 접촉부(330b)는 접지패드(PG)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중간연결부(330c)는 일단부(330a)와 그라운드 접촉부(330b)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탄성부재(330d)는 일단부(330a)와 그라운드 접촉부(330b) 사이에 배치되며 중간연결부(330c)를 둘러싼다.
원통형 가이드관(330)의 일단부(330a)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일면이 고정턱(410)과 함께 유전체(340)를 고정시키고 다른 일면이 중간연결부(330c)의 하부 끝단을 고정시키는 제 2 돌출부(420)를 구비한다.
중간연결부(330c)는 하부 끝단이 일단부(330a)에 억지끼움 되어 제 2 돌출부(420)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부 끝단은 그라운드 접촉부(330b)가 탄성부재(330d)에 의하여 접지패드(PG)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계를 형성하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3 돌출부(430)를 구비한다.
그라운드 접촉부(330b)는 탄성부재(330d)와 제 3 돌출부(430) 사이에서 탄성부재(330d)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쇄부(440)와 걸쇄부(440)에 일체로 형성되며 걸쇄부(440)가 이동할 때 제 3 돌출부(43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길이부(450)를 구비한다.
중간연결부(330c)에 그라운드 접촉부(330b)가 끼워진다. 중간연결부(330c)의 제 3 돌출부(430)의 반대쪽으로부터 그라운드 접촉부(330b)가 끼워져서 제 3 돌출부(430)에 의해서 고정된다. 그리고, 탄성부재(330d)가 중간연결부(330c)에 끼워진다. 탄성부재(330d)의 종류는 스프링 등 다양할 수 있다.
탄성부재(330d)와 그라운드 접촉부(330b)가 결합된 중간연결부(330c)가 일단부(330a)에 억지끼움 되어 제 2 돌출부(420)에 의해서 고정된다. 그리고, 그라운드 연결부(320)와 신호핀(310)이 결합된 동축케이블(305)이 일단부(330a)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된다. 일단부(330a)와 그라운드 연결부(320)와의 결합은 제 1 돌출부(320a)에 의해서 고정된다.
일단부(330a)와 그라운드 연결부(320)가 결합된 후, 그라운드 연결부(320)와 동축케이블(305)의 접지(305a)가 연결된 부분은 솔더링에 의해서 연결된다. 그라운 드 접촉부(330b)의 길이부(450)는 원통형상으로서, 길이부(450)의 내벽면이 중간연결부(330c)의 제 3 돌출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길이부(450)도 동축케이블의 접지 기능을 하게된다.
도 4(a)는 외부 PCB(350)에 동축접촉장치(200)가 접촉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b)는 동축접촉장치(200)의 신호핀(310)과 그라운드 접촉부(330b)의 끝단, 즉 길이부(450)가 외부PCB(350)의 신호패드(PS) 및 접지패드(PG)에 접촉한 순간을 나타낸다. 도 4(c)는 동축접촉장치(200)를 외부PCB(350)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좀 더 밀착시킬 경우 신호핀(310)의 제 1부분(310a)과 그라운드 접촉부(330b)의 길이부(450)가 탄성에 의해서 압축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길이부(450)가 탄성부재(330d)에 의해서 뒤쪽으로 압축되면서 중간연결부(330c)의 제 3 돌출부(430)에 접촉된다. 즉, 동축 접속 장치(200)를 접지패드(PG)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걸쇄부(440)에 의해 탄성부재(330d)는 압축되어 그라운드 접촉부(330b) 끝단과 접지패드(PG)가 접촉되고, 길이부(450)의 내벽이 중간연결부(330c)의 제 3 돌출부(430)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그러면 길이부(450)도 동축케이블(305)의 접지(305a)에 연결되므로 접지기능을 수행한다. 신호핀(310)은 동축케이블(305)의 신호 도전체(305c)를 통해서 전기 신호를 전송한다.
도 5는 도 3의 동축접촉시스템의 그라운드 접촉부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그라운드 접촉부(330b)의 길이부(450)는 원통형상으로서, 길이부(450)의 벽면에 적어도 한 개의 가이드 홈(610)이 길이부(450)의 위쪽에서 걸쇄부(44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길이부(450) 구조 이외에도 도 5에서와 같이 길이부(450)에 가이드 홈(610)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홈(610)에는 중간연결부(330c)에 고정되는 결합핀(620)이 결합되며, 길이부(450)는 가이드 홈(610)을 따라 회전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중간연결부(330c)와 길이부(450)의 접점이 가이드 홈(610)과 결합핀(620) 부위에서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길이부(450)가 회전하며 접지패드(PG)에 접촉하여 접촉 저항이 작게 연결한다
도 6(a)는 도 3의 동축접촉시스템의 그라운드 접촉부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원통형 가이드관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길이부(450)는 원통형상으로서, 끝단의 원주 벽면이 규칙적으로 일정한 폭만큼 절개되는 구조를 가지며, 벽면이 원통형상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부러져 있다. 길이부(450)의 원주 벽면을 도 6(a)에 나타난 것처럼 성곽 형상으로 일정한 폭만큼 절개함으로써 길이부(450)를 원통형상의 중심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다.
각각의 절개된 길이부(450)의 구부러진 내부 벽면이 제 3 돌출부(430)와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때 접점은 절개된 개수만큼 형성되어 여러 부위에서 안정적인 접점을 형성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이다.
도 7의 동축접촉장치(700)는 도 3에 도시된 동축접촉장치(200)와 비교할 때, 그라운드 연결부(710)와 신호핀(730)의 구조가 상이하다. 다른 구성요소의 구조와 동작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라운드 연결부(710)는 일단이 동축케이블(305)의 접지(305a)와 직접 연결되고, 원통형 가이드관의 중간연결부(720)가 내측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내측에 결합턱을 가진다.
원통형 가이드관은 접지패드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그라운드 접촉부(330b), 그라운드 연결부(710)의 내측에 억지끼움 되어 결합턱에 의하여 고정되며 그라운드 접촉부(330b)와 그라운드 연결부(7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간연결부(720) 및 그라운드 접촉부(330b)와 그라운드 연결부(710) 사이에 배치되며 중간연결부(720)를 둘러싸는 탄성부재(330d)를 구비한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동축접촉장치(700)의 그라운드 연결부(710)는 도 3의 그라운드 연결부(320)와 일단부(330a)가 일체로 결합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신호핀(730)은 신호패드에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제 1부분(730a) 및 제 1 부분(730a)의 하부에 연결되고, 제 1부분(730a)이 내부로 삽입되고, 제 1부분(730a)보다 직경이 더 크며 신호 도전체(305c)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하부에 형성되어 삽입홈으로 신호도전체(305c)가 삽입되는 제 2 부분(730b)을 구비한다.
도 7의 신호핀(730)은 도 3의 신호핀(310)과 달리 유전체(74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턱(410)을 가지지 아니하고 제 2부분(730b)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유전체(740)는 신호핀(730)의 제 2 부분(730b)에 억지끼움으로 압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그라운드 연결부(710)도 유전체(740)를 고정시키는 부분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다.
원통형 가이드관의 중간연결부(720) 및 그라운드 접촉부(330b)는 도 3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중간연결부(720)의 접촉턱(720a)은 도 3의 제 3 돌출부(430)이다.
도 7의 동축접촉장치(700)에서도 신호핀(730)과 원통형 가이드 사이는 유전체(740) 및 공기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동축접촉장치(200)는 원통형 가이드관과 신호핀이 유전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부분을 구비하고 있으며, 도 7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동축접촉장치(700)는 원통형 가이드관과 신호핀이 유전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부분을 구비하지 않고 유전체가 신호핀에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개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접촉장치는 유전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원통형 가이드관은 상기 돌출부분들을 구비하고 신호핀은 돌출부분 없이 유전체와 억지끼움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경우와, 원통형 가이드관은 상기 돌출부분들을 구비하지 아니하고 신호핀은 유전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부분들을 구비하며 원통형 가이드관과 유전체가 억지끼움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따른 동축접촉장치는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외부의 접지패드 사이의 접촉 경로를 최대한 짧게 하고, 임피던스 조절된 동축 전송선로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주파수 특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Claims (17)

  1. 외부의 신호패드 및 접지패드에 동축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축접촉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패드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상기 동축케이블의 신호 도전체와 상기 신호패드를 연결하는 신호핀 ;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동축케이블을 감싸는 그라운드 연결부 ;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신호핀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신호핀을 외부에서 감싸고 상기 접지패드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원통형 가이드관 ; 및
    상기 신호핀의 일부분을 외부에서 감싸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으로부터 절연시키며,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과 상기 신호핀 사이의 동축관계를 유지시키는 유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은,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일단부;
    상기 접지패드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그라운드 접촉부;
    상기 일단부와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간연결부; 및
    상기 일단부와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중간연결부를 둘러싸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연결부는,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의 일단부에 억지끼움 되는 제1끝단; 및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접지패드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계를 형성하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3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2끝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T자 형상을 가지는 제 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의 일단부는,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돌출부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핀은 포고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핀은,
    상기 신호패드에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제 1부분 ;
    상기 제 1 부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부분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유전체의 일면을 고정시키기 위해 돌출되는 고정턱을 가지며 상기 제 1부분보다 직경이더 큰 제 2 부분 ;
    상기 제 2 부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신호 도전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으로 상기 신호도전체가 삽입되며, 상기 제 2부분보다 직경이 더 커서 상기 유전체의 타면을 고정시키는 제 3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핀은,
    상기 제 2 부분의 시작부분이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의 상기 중간연결부의 제2끝단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의 일단부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일면이 상기 고정턱과 함께 상기 유전체를 고정시키고 다른 일면이 상기 중간연결부의 제1끝단을 고정시키는 제 2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연결부의 제1끝단은,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의 일단부에 억지끼움 되어 상기 제 2 돌출부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 3돌출부 사이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쇄부와 상기 걸쇄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걸쇄부가 이동할 때 상기 제 3 돌출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길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부는,
    원통형상으로서, 상기 길이부의 내벽면이 상기 제 3 돌출부와 전기적으로 접 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부는,
    원통형상으로서, 상기 길이부의 벽면에 적어도 한 개의 가이드 홈이 상기 길이부의 위쪽에서 상기 걸쇄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는 상기 중간연결부에 고정되는 결합핀이 결합되며,
    상기 길이부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되며 압축될 경우 상기 결합핀과 상기 길이부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부는,
    원통형상으로서, 끝단의 원주 벽면이 규칙적으로 일정한 폭만큼 절개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벽면이 상기 원통형상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부러져 있어,
    상기 길이부가 압축되는 경우 각각의 상기 구부러진 벽면이 펴지면서 상기 제 3 돌출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상기 일단부의 제 2 돌출부 및 상기 고정턱에 의해서 일면이 고정되고,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의 타단 및 상기 제 3부분에 의해서 타면이 고정되며,
    상기 신호핀과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 사이는 상기 유전체 및 공기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 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동축케이블의 접지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이 내측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내측에 결합턱을 가지며,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은,
    상기 접지패드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그라운드 접촉부 ;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의 내측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결합턱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와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간연결부 ; 및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와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중간연결부를 둘러싸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핀은 포고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핀은,
    상기 신호패드에 접촉하며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제 1부분 ; 및
    상기 제 1 부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부분이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 1부분보다 직경이 더 크며 상기 신호 도전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으로 상기 신호도전체가 삽입되는 제 2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부분의 시작부분이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의 상기 중간연결부의 제2끝단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의 상기 중간연결부는,
    상기 제1끝단이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에 억지끼움 되어 상기 결합턱에 의해서 고정되고, 제2끝단은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접지패드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계를 형성하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접촉턱을 구비하며,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접촉턱 사이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쇄부와 상기 걸쇄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걸쇄부가 이동할 때 상기 접촉턱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길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상기 신호핀의 제 2 부분에 억지끼움으로 압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신호핀과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 사이는, 상기 유전체 및 공기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핀과 상기 원통형 가이드관 사이는,
    상기 유전체 및 공기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접촉장치.
KR1020070030670A 2007-03-29 2007-03-29 동축접촉장치 KR100874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670A KR100874190B1 (ko) 2007-03-29 2007-03-29 동축접촉장치
PCT/KR2008/000111 WO2008120856A1 (en) 2007-03-29 2008-01-08 Coaxial connecting device
US12/450,484 US7909613B2 (en) 2007-03-29 2008-01-08 Coaxial connec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670A KR100874190B1 (ko) 2007-03-29 2007-03-29 동축접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145A KR20080088145A (ko) 2008-10-02
KR100874190B1 true KR100874190B1 (ko) 2008-12-15

Family

ID=3980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670A KR100874190B1 (ko) 2007-03-29 2007-03-29 동축접촉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09613B2 (ko)
KR (1) KR100874190B1 (ko)
WO (1) WO20081208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978B1 (ko) 2011-08-12 2013-02-07 (주)기가레인 결합위치 보상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190B1 (ko) * 2007-03-29 2008-12-15 (주)기가레인 동축접촉장치
JP5133196B2 (ja) 2008-10-10 2013-01-3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プローブコネクタ
JP5209460B2 (ja) * 2008-12-22 2013-06-1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同軸コネクタ
JP5243946B2 (ja) * 2008-12-24 2013-07-2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同軸コネクタ
EP2367239A1 (en) * 2010-03-16 2011-09-21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ntact pin and an interconnection pin
EP2395607A1 (en) * 2010-06-14 2011-12-14 BURY Sp. z o.o. Antenna plug
US8888527B2 (en) * 2011-10-25 2014-11-18 Perfectvision Manufacturing, Inc. Coaxial barrel fittings and couplings with ground establishing traveling sleeves
US9793660B2 (en) * 2012-03-19 2017-10-17 Holland Electronics, Llc Shielded coaxial connector
US8777658B2 (en) * 2012-03-19 2014-07-15 Holland Electronics, Llc Ingress reduction coaxial cable connector
US9923308B2 (en) 2012-04-04 2018-03-20 Holland Electronics, Llc Coaxial connector with plunger
US9130288B2 (en) * 2012-07-19 2015-09-08 Holland Electronics, Llc Moving part coaxial cable connector
US9803672B2 (en) * 2012-11-06 2017-10-31 Allred & Associates Inc. Split end tube connector
JP2015210888A (ja) * 2014-04-24 2015-11-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ンタクト
JP6272125B2 (ja) 2014-04-24 2018-01-3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39555B2 (ja) * 2015-04-06 2018-12-19 富士通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DE102017004517A1 (de) * 2017-03-14 2018-09-20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Testsockel und Kontaktierungsvorrichtung zur Kontaktierung eines Hochfrequenzsignals
KR101992258B1 (ko) * 2017-10-13 2019-06-2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동축 커넥터
CN109638505B (zh) * 2018-12-28 2020-09-15 廊坊市东电腾达电力工程有限公司 电线电缆耐压试验专用接头
KR102118829B1 (ko) * 2019-07-26 2020-06-04 주식회사 기가레인 기판 메이팅 커넥터
CN111029864B (zh) * 2019-12-18 2023-03-24 北京无线电计量测试研究所 一种射频同轴连接器及绝缘支撑
US11563294B2 (en) 2020-05-22 2023-01-24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Rf Llc Spring-loaded interconnects having pre-configured flexible cable
CN111653908A (zh) * 2020-06-30 2020-09-11 深圳宇宙桥无线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介质体、射频同轴器件及射频同轴器件组装方法
KR102379298B1 (ko) * 2020-07-27 2022-03-25 김현덕 동축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동축커넥터 조립체
CN113315481A (zh) * 2021-04-28 2021-08-27 樊一平 一种低抖动滤波器
CN114221171B (zh) * 2021-12-10 2023-08-11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正反插连接器
CN114725726B (zh) * 2022-04-02 2022-11-22 北京澳丰源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稳定的功率放大器
US20230387586A1 (en) * 2022-04-20 2023-11-30 Optisys, Inc. Coaxial structure for enabling electromagnetic communications between a circuit board and antenna arr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307B1 (ko) * 2005-10-14 2006-11-27 리노공업주식회사 동축 접촉 프로브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8241A (en) * 1983-09-23 1986-05-13 Probe-Rite, Inc. Surface mating coaxial connector
US4645288A (en) * 1984-12-04 1987-02-24 E. F. Johnson Company Printed circuit board coaxial connector interface
JPH01265470A (ja) * 1988-04-18 1989-10-23 Nippon Maikuronikusu:Kk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5175493A (en) * 1991-10-11 1992-12-29 Interconnect Devices, Inc. Shielded electrical contact spring probe assembly
JP3050491B2 (ja) * 1994-06-15 2000-06-12 株式会社ヨコオ 同軸コネクタ
US5725387A (en) * 1996-03-01 1998-03-10 Molex Incorporated System for terminating the shield of a high speed cable
US5791911A (en) * 1996-10-25 1998-08-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axial interconnect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053777A (en) * 1998-01-05 2000-04-25 Rika Electronics International, Inc. Coaxial contact assembly apparatus
US6152743A (en) * 1999-07-08 2000-11-28 Berg Technology, Inc. Coaxial connectors with integral electronic components
US6386913B1 (en) * 2000-08-14 2002-05-14 Fci Usa,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micro co-axial conductors
US6358062B1 (en) * 2000-10-24 2002-03-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6312281B1 (en) * 2001-01-08 2001-11-06 Andrew Corporation Tap connector
US6758681B2 (en) * 2002-07-01 2004-07-06 Morgan T. Johnson, Jr. Electrical cable interconnections for reduced impedance mismatches
US6992544B2 (en) * 2002-10-10 2006-01-31 Agilent Technologies, Inc. Shielded surface mount coaxial connector
US7364474B2 (en) * 2003-10-14 2008-04-29 Precision Interconnect, Inc. Cable terminal with contact pins including electrical component
US7097460B2 (en) * 2005-02-01 2006-08-29 Harris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KR100715269B1 (ko) * 2005-10-28 2007-05-07 리노공업주식회사 동축 접촉 프로브
WO2008045296A1 (en) * 2006-10-04 2008-04-17 Winchester Electronic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n array of cables to a circuit board
KR100874190B1 (ko) * 2007-03-29 2008-12-15 (주)기가레인 동축접촉장치
US7977583B2 (en) * 2007-12-13 2011-07-12 Teradyne, Inc. Shielded cable interface module and method of fabrication
US7597588B1 (en) * 2008-05-21 2009-10-0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Coax connector with spring contac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307B1 (ko) * 2005-10-14 2006-11-27 리노공업주식회사 동축 접촉 프로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978B1 (ko) 2011-08-12 2013-02-07 (주)기가레인 결합위치 보상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145A (ko) 2008-10-02
US20100015849A1 (en) 2010-01-21
WO2008120856A1 (en) 2008-10-09
US7909613B2 (en) 201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190B1 (ko) 동축접촉장치
US70157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high frequency, impedance controlled probing device with flexible ground contacts
US6275054B1 (en) Electrical contact system
US6238218B1 (en)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coaxial line to a printed circuit card
US7811133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pring arrangement
KR101636311B1 (ko) 연결 부재
KR101235936B1 (ko) 동축 커넥터
KR100650307B1 (ko) 동축 접촉 프로브
US9923315B2 (en) Low passive intermodulation coaxial connector test interface
KR101504873B1 (ko) 검사용 동축 커넥터
KR100874191B1 (ko) 동축접촉시스템 및 동축접촉장치
JP5071587B2 (ja) 検査用同軸コネクタ
KR101230978B1 (ko) 결합위치 보상용 커넥터
KR102015788B1 (ko) 검사장치
KR102379298B1 (ko) 동축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동축커넥터 조립체
CN213042688U (zh) 一种内导体径向可移动射频探针式电缆组件
US5672079A (en) Coaxial connector for manufacturing a coaxial high frequency cable
KR20050109274A (ko) 동축 접촉 프로브
KR200320515Y1 (ko) 기판 연결용 동축 케이블부
KR102447286B1 (ko) 케이블용 어댑터
CN217404428U (zh) 测试连接器及测试系统
SU221088A1 (ko)
SU1387079A1 (ru) Высокочастот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CN114824887A (zh) 一种低噪音型微波连接器
KR20210060597A (ko) 프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