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258B1 -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258B1
KR101992258B1 KR1020170133609A KR20170133609A KR101992258B1 KR 101992258 B1 KR101992258 B1 KR 101992258B1 KR 1020170133609 A KR1020170133609 A KR 1020170133609A KR 20170133609 A KR20170133609 A KR 20170133609A KR 101992258 B1 KR101992258 B1 KR 101992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dule
insulator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860A (ko
Inventor
박남신
김정회
임진훈
이민희
황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170133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258B1/ko
Priority to PCT/KR2018/012004 priority patent/WO2019074310A1/ko
Priority to CN201880066791.4A priority patent/CN111903014B/zh
Priority to EP18866450.2A priority patent/EP3696922B1/en
Priority to FIEP18866450.2T priority patent/FI3696922T3/fi
Priority to JP2020520527A priority patent/JP6987231B2/ja
Publication of KR2019004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258B1/ko
Priority to US16/846,247 priority patent/US11239616B2/en
Priority to US17/549,912 priority patent/US1167719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8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with through openings for individual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1 PCB에 연결되는 고정 모듈과, 상기 고정 모듈에 무빙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PCB와 마주하는 제2 PCB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된 접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접점 모듈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중공을 형성하는 컨택 바디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컨택 바디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컨택 핀과, 상기 컨택 핀과 상기 컨택 바디를 구획하여 절연되도록 상기 컨택 바디의 중공에 배치된 접점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접점 모듈은, 상기 컨택 바디, 상기 컨택 핀 및 상기 접점 인슐레이터가 상기 고정 모듈에 단수 공정에 의해 조립되도록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품의 원가를 절감하고, 접접률을 향상시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신호 결핍을 최소화하여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 (Radio Frequency) 통신용 커넥터들은 동축의 케이블을 단자에 쉽고 치밀하게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RF 통신용 커넥터들은 크게 육안으로 확인이 용이한 함체에 마련된 단자에 체결되는 용도와 두 기판에 각각 커넥터와 단자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그 기판에 의해 커넥터와 단자의 위치가 정확하게 육안 확인이 되지 않음으로써, 결합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다.
특히, 일측 기판에 마련된 다수의 커넥터와 타측 기판에 마련된 다수의 단자들을 상기 두 기판이 상하로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커넥터와 그 커넥터에 대응하는 단자를 상호 결합시키기는 매우 어려워,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무리한 힘을 가하는 경우 커넥터의 핀이 손상되어 신호 연결이 되지 않는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불량의 발생시에는 손상된 핀을 가지는 커넥터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지연되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판과 기판을 상호 RF 커넥터로 연결하는 구조에서는 커넥터의 인터페이스를 회동시켜 상대품과의 체결시 약간의 위치가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두 기판 사이에서의 조립 공차를 늘리면서도 안정적인 신호 연결이 가능한 동축 커넥터의 개발이 매우 절실한 상황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8705호 (2014.10.10.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1 PCB와 제2 PCB 사이의 조립 공차를 늘릴 수 있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 요소를 단순화하여 제품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신호 연결을 위한 접점 부위의 접점율을 향상시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실시예는, 제1 패널에 연결되는 고정 모듈과, 상기 고정 모듈에 무빙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패널과 마주하는 제2 패널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된 접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접점 모듈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중공을 형성하는 컨택 바디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컨택 바디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컨택 핀과, 상기 컨택 핀과 상기 컨택 바디를 구획하여 절연되도록 상기 컨택 바디의 중공에 배치된 접점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접점 모듈은,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 사이에서 상기 컨택 바디, 상기 컨택 핀 및 상기 접점 인슐레이터가 상기 고정 모듈에 대해 일체로 무빙되게 상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접점 모듈은, 상기 컨택 바디의 중공 중심에 상기 컨택 핀이 상기 접점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접점 인슐레이터가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점 모듈은, 상기 접점 인슐레이터의 중심을 상기 컨택 핀이 삽입되어 걸림 조립되도록 상기 컨택 바디의 중공에 상기 접점 인슐레이터가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점 인슐레이터의 중심에는 상기 컨택 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컨택 핀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토퍼 후크 리브가 걸림되는 스토퍼 후크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 핀은 상기 삽입 공에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고정 모듈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접점 모듈의 테두리 단부면을 지지하여 상기 접점 모듈을 상기 고정 모듈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접점 모듈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타단이 상기 컨택 바디의 테두리 단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 바디는, 상기 컨택 핀과 상기 접점 인슐레이터가 배치되는 접점부와, 상기 접접부로부터 상기 고정 모듈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고정 모듈의 내측에 걸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고정 모듈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접점부의 테두리 단부면을 지지하여 상기 접점 모듈을 상기 고정 모듈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지지되는 상기 접점부의 테두리 단부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접점부의 테두리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부위에서 상기 고정 모듈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선단은, 상기 고정 모듈의 내측에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접점 모듈의 무빙 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개되고,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복수의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선단은, 상기 고정 모듈의 내주면에 접점된 상태로 슬라이딩 무빙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모듈과 상기 결합부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에어 유전체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모듈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중공을 형성하는 고정 바디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컨택 핀과 상시 접점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 바디의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패널에 접점되게 구비된 고정 핀과, 상기 고정 핀과 상기 고정 바디를 구획하여 절연되도록 상기 고정 바디의 중공에 배치된 고정 인슐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고정 바디의 중공 중심에 상기 고정 핀이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가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의 중심을 상기 고정 핀이 삽입되어 걸림 조립되도록 상기 고정 바디의 중공에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가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의 중심에는 상기 고정 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 핀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토퍼 후크 리브가 걸림되는 스토퍼 후크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핀은 상기 삽입공에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점 모듈을 상기 고정 모듈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고정 핀과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가 배치되는 전달부와, 상기 전달부로부터 상기 접점 모듈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컨택 바디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컨택 바디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의 테두리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접점 모듈을 향하여 개구되게 구비된 탄성부재 지지홈에 수용되어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컨택 바디에 타단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점 모듈의 무빙 시 상기 컨택 바디의 일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컨택 바디와 걸림되게 상기 전달부로부터 상기 접점 모듈을 향하여 연장된 걸림 부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 바디의 단부는 상기 걸림 부쉬의 내측면에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 바디는 상기 걸림 부쉬의 내부로 수용된 단부가 상기 걸림 부쉬의 내주면에 접점된 상태로 무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점 모듈과 상기 걸림 부쉬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에어 유전체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접점 모듈의 무빙 시 상기 컨택 핀의 일부가 수용되어 상시 접점되는 접점 수용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점 수용홈부는, 상기 접점 모듈의 무빙 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개되고,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복수의 탄성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되, 상기 접점 모듈의 컨택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패널에 탄성 지지되도록 접지되는 그라운드 접지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운드 접지단자는, 상기 컨택 바디의 테두리 단부에 요홈지게 형성된 설치홈부에 고정되는 고정링부와, 상기 고정링부의 내주단에서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되, 상기 제2 패널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복수개의 탄성 접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점 모듈은, 상기 접점 인슐레이터를 상기 제2 패널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은 인쇄회로기판(PCB, Plastic Circuit Board)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패널과 제2 패널 사이에서 접점 모듈이 고정 모듈에 대하여 축방향 신축되게 구비되므로 조립 허용 공차가 증가하여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제1 패널과 제2 패널의 조립 허용공차의 증가로 인해, 제1 패널과 제2 패널 사이에 조립되는 동축 커넥터의 전체적인 길이를 축소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 제1 패널과 제2 패널 사이의 이격 거리를 축소 설계할 수 있어, 제품의 전체적인 슬림화 설계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실시예에 따르면, 암수 분리 없이 일체로 제조되어 제1 PCB 및 제2 PCB 사이에 조립되는 바 제품의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PCB 및 제2 PCB 중 어느 하나의 신호 연결을 담당하는 컨택 핀과 다른 하나의 신호 연결을 담당하는 고정 핀 사이의 접점율이 향상되므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접점 모듈과 고정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접점 모듈의 구성 중 도 4의 "B" 부위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고정 모듈의 구성 중 도 4의 "C" 부위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구성 중 접점 인슐레이터를 지지하는 탄성지지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접점 모듈과 고정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의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 패널(P1)에 연결되는 고정 모듈(200)과, 고정 모듈(200)에 무빙되게 결합되고, 제1 패널(P1)과 마주하는 제2 패널(P2)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된 접점 모듈(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은 통상의 패턴화된 접점회로(미도시)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Plastic Circuit Board)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PCB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그 제조방식이 통상의 PCB 제조방식이 아닌 방식으로 제조된 스위치 제품도 모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제1 패널(P1) 및 제2 패널(P2)는 각각 마주보는 면에 패턴화된 접점회로가 인쇄된 제1 PCB(P1) 및 제2 PCB(P2)인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고정 모듈(200)은, 제1 PCB(P1)와 제2 PCB(P2) 중 어느 하나(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PCB(P1)가 이에 해당됨)에 고정될 수 있는 점에서 그 명칭을 부여하였으나, 실제로 제1 PCB(P1)에 솔더 방식에 의하여 완전하게 고정될 필요는 없고, 제1 PCB(P1)와 제2 PCB(P2) 사이에서 지지될 수 있는 연결 구성이면 족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의 권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서 그 명칭에 의하여 제한 해석될 수는 없다.
접점 모듈(100)은, 고정 모듈(200)에 결합되되, 고정 모듈(200)에 대하여 무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점 모듈(100)은, 고정 모듈(2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동축 커넥터(1)의 길이가 신축되도록 고정 모듈(200)에 대하여 무빙된다.
도 5는 접점 모듈(100)의 구성 중 도 4의 "B" 부위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고정 모듈(200)의 구성 중 도 4의 "C" 부위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구성 중 접점 인슐레이터(130)를 지지하는 탄성지지체(420)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접점 모듈(100)은, 도 3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중공(100H)을 형성하는 컨택 바디(110)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컨택 바디(110)의 중공(100H)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컨택 핀(120)과, 컨택 핀(120)과 컨택 바디(110)를 구획하여 절연되도록 컨택 바디(110)의 중공(100H)에 배치된 접점 인슐레이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택 바디(110)는, 상기 중공(100H)을 형성하되, 신호의 전달방향인 일단과 타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되, 제2 PCB(P2)에 접촉되는 일단부의 외경이 고정 모듈(200)에 인접하는 타단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컨택 바디(1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중공(100H)의 내경 또한, 제2 PCB(P2)에 접촉되는 일단부가 고정 모듈(200)에 인접하는 타단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컨택 바디(110)의 각각의 외경 및 내경의 크기 변화는 외형적으로 뚜렷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컨택 바디(110)는, 도 3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3개의 상이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장 큰 외경을 가진 부분부터 가장 작은 외경을 가진 부분을 순차적으로 제1외경부, 제2외경부, 제3외경부라 칭하기로 한다.
아울러, 컨택 바디(110)는, 도 3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2개의 상이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부위를 제1내경부로 칭하고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은 부위를 제2내경부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의 실시예에서, 컨택 바디(110)의 제1외경부 및 제2외경부를 접점부(111,113)라 통칭하고, 접점부(111,113)에는 접점 인슐레이터(130)가 고정되며, 컨택 바디(110)의 제3외경부를 결합부(115)라 통칭하고, 결합부(115)는 제2내경부로 접점 인슐레이터(130)가 연장되되, 고정 모듈(200)의 내측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제1내경부는, 제1외경부와 제2외경부의 범위에 해당하는 중공(100H)에 형성되고, 제2내경부는, 제1내경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외경부 및 제3외경부의 범위에 해당하는 중공(100H)에 형성된다.
제1외경부가 이루는 컨택 바디(110)의 일단부에는, 후술하는 그라운드 접지단자(300)가 설치되는 설치면(116)이 상술한 제1내경부 주변으로 평면 형태로 구비된다. 설치면(116)의 테두리 단부에는 그라운드 접지단자(300)가 걸림되는 걸림홈(117)이 형성되도록 설치홈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컨택 핀(120)은, 제1내경부와 제2내경부를 완전히 가로지르는 크기로 형성되어 중공(100H)의 가운데 부위에 배치된다.
한편, 접점 인슐레이터(130)는, 컨택 핀(120)과 컨택 바디(110)를 물리적으로 구획하여 절연되도록 컨택 바디(110)의 중공(100H)에 배치된다. 이는, 컨택 바디(110)와 컨택 핀(120)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는 바, 컨택 핀(120)을 통해 흐르는 신호가 컨택 바디(110)로 누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접점 인슐레이터(130)는, 강한 플라스틱 재질의 유전체로서, 컨택 핀(120)의 접점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접점 인슐레이터(130)는 열 휘어짐 온도(Heat deflection temperature) 및 실제 사용 환경을 고려한 최대 허용온도와 최소 허용온도, 유전체 본연의 필요조건인 유전율(Dielectric constant) 등을 고려하여 PEI(Polyetherimide) 또는 PBI(Polybenzimida) 등의 고성능 플라스틱 소재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점 인슐레이터(130)는, 제1내경부에 배치되어 컨택 핀(120)과 컨택 바디(110) 사이에 완전히 채움되도록 구비된 고정부 블록(131)과, 고정부 블록(131)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내경부에 배치되되 제2내경부의 내측면 및 컨택 핀(120)의 외주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연장되도록 구비된 차폐부 블록(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접점 인슐레이터(130)는, 컨택 바디(110)의 접점부(111,113) 중 제1내경부에 고정부 블록(131)이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점부(111,113) 중 제1내경부의 내주면에는 접점 인슐레이터(130)의 고정부 블록(131)을 제2내경부와 반대방향으로 걸림시키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후크 걸림리브(112)가 형성되고, 접점 인슐레이터(130)의 고정부 블록(131)의 외주면에는 후크 걸림리브(112)가 수용되어 상호 걸림되도록 후크 걸림홈(139)이 형성된다.
접점 인슐레이터(130)는 접점부(111,113)의 제1내경부 외측에서 제1내경부로 삽입되는 동작으로 컨택 바디(110)에 고정된다.
여기서, 접점 인슐레이터(130)의 고정부 블록(131)의 외경은 대략 제1내경부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접점 인슐레이터(130)의 고정부 블록(131)은 제1내경부에 삽입될 때 제1내경부의 내주면에 구비된 후크 걸림리브(112)에 의하여 억지 끼움 결합된다.
이때, 접점 인슐레이터(130)의 고정부 블록(131)은 삽입방향 측 선단이 제1내경부와 제2내경부의 경계에 의하여 형성된 걸림단부(114)에 걸림됨과 동시에 제1내경부의 후크 걸림리브(112)와 후크 걸림홈(139)이 상호 형합되어, 접점 인슐레이터(130)가 제1내경부로부터 제2내경부와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접점 인슐레이터(130)의 고정부 블록(131)의 중심에는 컨택 핀(120)이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135)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135)에는, 컨택 핀(120)이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삽입공(135)의 내경과 컨택 핀(120)의 외경 크기는 대략 억지 끼움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컨택 핀(120)은 삽입공(135)에 삽입되되 제2 PCB(P2)가 구비된 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 접점단부(121)를 포함한다. 접점단부(121)의 접촉면은, 제2 PCB(P2)에 패턴화된 접점회로에 접점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바, 접촉면적이 크면 클수록 유리하다. 그러나, 제2 PCB(P2)의 패턴화된 접점회로 부위가 여러 형태로 설계될 수 있어, 접점단부(121)의 접촉면이 반드시 평면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컨택 핀(120)은 접점단부(121)의 둘레를 따라 외경이 증가되도록 구비되어, 삽입공(135)의 외측 둘레에 걸림되게 형성된 걸림단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단부(122)는, 삽입공(135)에 대한 컨택 핀(120)의 삽입량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컨택 핀(120)의 외주면에는 접점 인슐레이터(130)의 삽입공(135)에 삽입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부 블록(131)에 걸림되는 스토퍼 후크 리브(137)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 블록(131)의 삽입공(135)의 내주면에는 컨택 핀(120)의 스토퍼 후크 리브(137)가 걸림되는 스토퍼 후크 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후크 리브(137)와 스토퍼 후크 홈(123)은, 컨택 핀(120)이 고정부 블록(131)의 삽입공(135)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때, 컨택 핀(120)의 걸림단부(122)가 삽입공(135)의 외측 둘레면에 걸림됨과 동시에 스토퍼 후크 리브(137)와 스토퍼 후크 홈(123)이 상호 걸림 결합되면서 견고한 조립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의 실시예는, 고정 모듈(200)이 제1 PCB(P1)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술한 컨택 바디(110), 컨택 핀(120) 및 접점 인슐레이터(130)의 조합체로 이루어진 접점 모듈(100)이 제2 PCB(P2)의 패턴화된 접점회로에 접점되도록 조립되면, 제1 PCB(P1) 및 제2 PCB(P2) 사이의 신호 연결라인이 구축된다. 신호 연결라인은, 제1 PCB(P1)에서 고정 모듈(200)의 후술하는 고정 핀(220)과 상술한 컨택 핀(120)을 매개로 제2 PCB(P2)로 구축되는 신호 전송 라인일 수 있고, 제2 PCB(P2)에서 상술한 컨택 핀(120)과 후술하는 고정 핀(220)을 포함하는 고정 모듈(200)을 매개로 제1 PCB(P1)로 구축되는 신호 전송 라인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의 실시예는, 상술한 접점 모듈(100)의 구성 중 컨택 바디(110), 컨택 핀(120) 및 접점 인슐레이터(130)가 고정 모듈(200)에 단수 공정에 의해 조립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접점 모듈(100)은 고정 모듈(200)에 단수 공정에 의해 조립되기 전, 하우징 역할을 하는 컨택 바디(110)에 접점 인슐레이터(130)가 억지 끼움 결합되어 고정된 후, 컨택 핀(120)이 접점 인슐레이터(130)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단품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점 모듈(100)이 반드시 상술한 억지 끼움 방식으로 일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접점 모듈(100)은, 컨택 바디(110)의 중공(100H) 중심에 컨택 핀(120)이 접점 인슐레이터(130)에 대하여 걸림 고정되도록 접점 인슐레이터(130)가 인서트 사출 성형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접점 인슐레이터(130)와 걸림되도록 컨택 바디(110)의 제1내경부에는 후크 걸림리브(112)가 미리 형성되고, 컨택 핀(120)의 외주면에는 스토퍼 후크 리브(137)가 미리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때, 반드시 접점 인슐레이터(130)가 컨택 핀(120)과 함께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접점 인슐레이터(130)의 중심인 삽입공(135)에 컨택 핀(120)이 삽입되어 걸림 조립되도록 컨택 바디(110)의 중공(100H)에 접점 인슐레이터(130)가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접점 모듈(100)의 각 구성인 컨택 바디(110), 컨택 핀(120) 및 접점 인슐레이터(130)가 고정 모듈(200)에 대한 결합 전 일체로 조립 형성되는 바, 조립 공정 수를 축소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접점 모듈(100) 전체가 제1 PCB(P1) 및 제2 PCB(P2) 사이에서 고정 모듈(200)에 대하여 일체로 무빙되게 결합되므로, 제1 PCB(P1) 및 제2 PCB(P2) 사이에 대한 조립공차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제1 PCB(P1)와 제2 PCB(P2) 사이의 이격 거리는 설계치로 고정되어 있다. 이 때, 접점 모듈(100)에 대하여 고정 모듈(200)이 무빙되지 않는 경우 허용되는 조립공차는 동축커넥터(1)의 안정적인 접점을 위하여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의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모듈(200)에 대하여 접점 모듈(100)이 무빙되는 만큼 제1 PCB(P1)와 제2 PCB(P2) 간 조립 허용공차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PCB(P1)와 제2 PCB(P2)의 조립 허용공차의 증가는, 실질적으로 제1 PCB(P1) 및 제2 PCB(P2) 사이에 조립되는 동축 커넥터(1)의 전체적인 길이를 축소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 제1 PCB(P1)와 제2 PCB(P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축소 설계할 수 있게 되므로, 제품의 전체적인 슬림화 설계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고정 모듈(200)은, 도 3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중공(200H)을 형성하는 고정 바디(210)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일단은 상술한 접점 모듈(100)의 컨택 핀(120)과 상시 접점되고, 타단은 고정 바디(210)의 중공(200H)을 관통하여 제1 PCB(P1)에 접점되게 구비된 고정 핀(220)과, 고정 핀(220)과 고정 바디(210)를 구획하여 절연되도록 고정 바디(210)의 중공(200H)에 배치된 고정 인슐레이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바디(210)는, 고정 핀(220)과 고정 인슐레이터(230)가 배치되는 전달부(211)와, 전달부(211)로부터 접점 모듈(100)을 향하여 연장되고, 컨택 바디(11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컨택 바디(110)를 지지하는 지지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바디(210) 또한, 접점 모듈(100)의 컨택 바디(1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중공(200H)을 형성하고, 신호의 전달방향인 일단과 타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되, 제1 PCB(P1)에 접촉되는 일단부의 외경이 접점 모듈(100)에 인접하는 타단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바디(2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중공(200H)의 내경 또한, 제1 PCB(P1)에 인접하는 일단부가 접점 모듈(100)에 인접하는 타단부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고정 바디(210)의 각각의 외경 및 내경의 크기 변화는 외형적으로 뚜렷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내외부에서 각각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고정 바디(210) 중 제1 PCB(P1)가 구비된 일측면에는 제1 PCB(P1)에 기 마련된 PCB고정홀(도면부호 미표기)에 삽입 연결되는 복수개의 고정 레그(215)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 레그(215)는 제1 PCB(P1)의 PCB고정홀에 삽입 연결된 후 솔더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단순히 PCB고정홀에 억지 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바디(210)는, 도 3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2개의 상이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됨은 물론, 2개의 상이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외경 및 내경이 작은 부위를 제1외경부 및 제1내경부라 칭하고, 상대적으로 외경 및 내경이 큰 부위를 제2외경부 및 제2내경부라 칭하기로 한다.
아울러, 고정 모듈(200)은, 고정 바디(210)의 제1외경부 및 제1내경부가 형성하는 부위를 전달부(211)라 통칭하고, 전달부(211)에는 고정 인슐레이터(230)가 고정되며, 고정 바디(210)의 제2외경부 및 제2내경부가 형성하는 부위를 지지부(213)라 통칭하고, 지지부(213)의 제2내경부는 상술한 접점 모듈(100)의 일부가 수용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 바디(210)의 전달부(211)는, 제1외경부 및 제1내경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제1내경부에는 고정 인슐레이터(230)가 배치되고, 고정 인슐레이터(230)의 중심에는 고정 핀(220)이 삽입되는 삽입공(235)이 형성된다. 삽입공(235)에는, 고정 핀(220)이 제2내경부 측에서 제1 PCB(P1)가 구비된 측으로 삽입되되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핀(220)은, 고정 인슐레이터(230)에 고정된 후에는, 접점 모듈(100)이 구비된 측의 단부는 제2내경부 내부에 완전 수용된 상태이면서 제1 PCB(P1)가 구비된 측의 단부는 제1 PCB(P1)에 마련된 솔더공(도면부호 미표기)에 삽입되어 솔더 결합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인슐레이터(230)는, 고정 핀(220)과 고정 바디(210)를 물리적으로 구획하여 절연되도록 고정 바디(210)의 중공(200H)(특히, 제1내경부)에 배치된다. 이는, 고정 바디(210)와 고정 핀(220)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는 바, 고정 핀(220)을 통해 흐르는 신호가 고정 바디(210)로 누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고정 인슐레이터(230)는, 제1내경부에 배치되어 고정 핀(220)과 고정 바디(210) 사이를 완전히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고정 인슐레이터(230)는 상술한 접점 인슐레이터(130)와 마찬가지로, 강한 플라스틱 재질인 율템 재질로 구비되어, 고정 핀(220)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 인슐레이터(230)의 외주면에는 후크 걸림홈(239)이 내측으로 요홈지게 구비되고, 고정 바디(210)의 전달부(211)를 형성하는 제1내경부의 내주면에 고정 인슐레이터(230)를 제1 PCB(P1)가 구비된 측과 반대방향으로 걸림시키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후크 걸림리브(219)에 걸림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 인슐레이터(230)는 지지부(213)를 이루는 제2내경부 측에서 제1내경부로 삽입되는 동작으로 고정 바디(210)에 고정된다.
즉, 고정 인슐레이터(230)의 외경은 대략 제1내경부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고정 인슐레이터(230)가 제1내경부에 삽입될 때 제1내경부의 내주면에 구비된 후크 걸림리브(219)에 의하여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인슐레이터(230)는 삽입방향 측 선단이 제1내경부의 제1 PCB(P1) 측에 인접된 단부에 내경이 더 작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단부(218)에 걸림됨과 동시에 제1내경부의 후크 걸림리브(219)와 후크 걸림홈(239)이 상호 형합되어, 고정 인슐레이터(230)가 제1내경부로부터 제2내경부 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고정 인슐레이터(230)의 중심에는 고정 핀(220)이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235)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235)에는, 고정 핀(220)이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삽입공(235)의 내경과 고정 핀(220)의 외경 크기는 대략 억지 끼움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고정 핀(220)의 외주면에는 고정 인슐레이터(230)의 삽입공(235)에 삽입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 인슐레이터(230)에 걸림되는 스토퍼 후크 리브(232)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인슐레이터(230)의 삽입공(235)의 내주면에는 고정 핀(220)의 스토퍼 후크 리브(232)가 걸림되는 스토퍼 후크 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핀(220)은, 도 3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 PCB(P1)의 솔더공에 삽입되는 솔더부(221)와, 고정 인슐레이터(230)의 삽입공(235) 내부에 수용되는 끼움부(223)와, 끼움부(223)보다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고정 인슐레이터(230)의 삽입공(235) 외측면에 걸림되는 삽입 제한부(225)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 핀(220)이 고정 인슐레이터(230)의 삽입공(235)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때, 고정 핀(220)의 삽입 제한부(225)가 삽입공(235)의 외측 둘레면에 걸림됨과 동시에 스토퍼 후크 리브(232)와 스토퍼 후크 홈(222)이 상호 걸림 결합되면서 견고한 조립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의 실시예는, 상술한 접점 모듈(100)과 마찬가지로, 고정 모듈(200) 또한 고정 바디(210), 고정 핀(220) 및 고정 인슐레이터(23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고정 모듈(200)은, 하우징 역할을 하는 고정 바디(210)에 고정 인슐레이터(230)가 억지 끼움 결합되어 고정된 후, 고정 핀(220)이 고정 인슐레이터(230)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단품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 모듈(200)이 반드시 상술한 억지 끼움 방식으로 일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정 모듈(200)은, 고정 바디(210)의 중공(200H) 중심에 고정 핀(220)이 고정 인슐레이터(230)에 대하여 걸림 고정되도록 고정 인슐레이터(230)가 인서트 사출 성형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고정 인슐레이터(230)와 걸림되도록 고정 바디(210)의 제1내경부에는 후크 걸림리브(219)가 미리 형성되고, 고정 핀(220)의 외주면에는 스토퍼 후크 리브(232)가 미리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때, 반드시 고정 인슐레이터(230)가 고정 핀(220)과 함께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고정 인슐레이터(230)의 중심인 삽입공(235)에 고정 핀(220)이 삽입되어 걸림 조립되도록 고정 바디(210)의 중공(200H)에 고정 인슐레이터(230)가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고정 바디(210)의 제2내경부에는 제1내경부의 단부에서 접점 모듈(100)이 구비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내경부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상부로 개구된 공간(후술하는 탄성부재(410)의 일단이 지지되는 탄성부재 지지홈(217))을 형성하는 걸림 부쉬(217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 부쉬(217A)는, 고정 바디(210)의 제1내경부를 이루는 전달부(211)로부터 접점 모듈(100)을 향하여 제2내경부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부쉬(217A)는, 대략 제2내경부에 상부가 구개된 하우징 형태로 구비되되, 고정 핀(220)의 구성 중 삽입 제한부(225)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 부쉬(217A)는, 접점 모듈(100)의 컨택 바디(110)의 일부를 수용하면서 컨택 바디(110)와 걸림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걸림 부쉬(217A)의 내주면 선단은 모듈결합용 후크 리브(210A)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컨택 바디(110)의 결합부(115)의 선단에는 모듈결합용 후크 리브(210A)와 걸림 체결되는 모듈결합용 후크 돌기(110A)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컨택 바디(110)의 결합부(115)는, 고정 바디(210)의 걸림 부쉬(217A) 내측으로 억지 끼움되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컨택 바디(110)의 제3외경부의 크기는 고정 바디(210)의 걸림 부쉬(217A)의 내부로 억지 끼움되는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컨택 바디(110)의 결합부(115)는 걸림 부쉬(217A)에 탄성 변형되면서 억지 끼움 결합이 용이하도록 접점 모듈(100)의 무빙 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개되고,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복수의 절개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컨택 바디(110)의 결합부(115)가 걸림 부쉬(217A)의 내측으로 억지 끼움 결합될 때, 컨택 바디(110)의 결합부(115)의 단부가 내측으로 용이하게 탄성변형되면서 끼움 결합된 후, 결합력이 제거되면 걸림 부쉬(217A)의 내주면에 상시 접촉되어, 접점 모듈(100)의 무빙 시 컨택 바디(110)와 고정 바디(210) 사이에 슬라이딩 접점이 상시 이루어진다.
한편, 도 3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고정 핀(220)의 일단부에는, 접점 모듈(100)의 무빙 시 컨택 핀(120)의 일부가 수용되어 상시 접점되는 접점 수용홈부(22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접점 수용홈부(227)는, 고정 핀(220)의 삽입 제한부(225) 일부가 접점 모듈(100)의 무빙방향으로 요홈지게 형성되되, 컨택 핀(120)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점 수용홈부(227)의 내부에 수용되는 컨택 핀(120)의 단부는 접점 모듈(100)의 무빙시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가 제1 PCB(P1) 및 제2 PCB(P2) 사이에 조립되어 고정된 후에도 상시 접점이 이루어져야 한다. 접점 수용홈부(227)의 내부에 수용된 컨택 핀(120)의 단부가 이격될 경우, 신호 결핍이 발생하여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의 실시예는, 접점 수용홈부(227) 내부에 수용된 컨택 핀(120)의 단부와의 접점율이 향상되도록, 접점 수용홈부(227)는, 접점 모듈(100)의 무빙 방향으로 절개되고,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복수의 탄성 절개부(229)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탄성 절개부(229)는, 접점 수용홈부(227)를 이루는 삽입 제한부(225)가 복수의 부위에서 절개 형성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탄성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여, 접점 수용홈부(227)로 컨택 핀(120)의 단부가 수용될 경우 지속적으로 컨택 핀(120)의 외주면을 향하여 탄성 변형력이 부가되므로, 접점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되, 접점 모듈(100)의 컨택 바디(110)에 구비되고, 제2 PCB(P2)에 탄성 지지되도록 접지되는 그라운드 접지단자(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 접지단자(300)는, 컨택 바디(110)의 테두리 단부에 요홈지게 형성된 설치홈부(118)에 고정되는 고정링부(310)와, 고정링부(310)의 내주단에서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중심으로 향하여 연장되되, 제2 PCB(P2)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복수개의 탄성 접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모듈(200)에 접점 모듈(100)을 결합한 후, 제2 PCB(P2)에의 접점 설치를 위하여 제2 PCB(P2)의 소정패턴의 접점회로가 구비된 일면을 이동시켜 가압할 경우, 그라운드 접지를 위한 그라운드 접지단자(300)의 탄성 접지부(320)가 제2 PCB(P2)의 일면에 탄성 밀착되어 접지가 상시 유지된다.
그라운드 접점은, 제2 PCB(P2)로부터 순차적으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그라운드 접지단자(300), 컨택 바디(110) 및 고정 바디(210)를 통하여 제1 PCB(P1)로 전달되는 접지 라인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의 실시예는, 고정 모듈(200)과 접점 모듈(100)의 구성 중 컨택 바디(110)의 결합부(115)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에어 유전체가 충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접점 모듈(100)과 고정 모듈(200)의 지지부(213)에 해당하는 걸림 부쉬(217A)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에어 유전체가 충진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 유전체는, 접점 인슐레이터(130) 및 고정 인슐레이터(230)와 함께 공기 중의 절연 기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단이 고정 모듈(200)에 지지되고 타단이 접점 모듈(100)의 테두리 단부면을 지지하여 접점 모듈(100)을 고정 모듈(200)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410)는, 접점 모듈(10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 모듈(200)에 대하여 접점 모듈(100)을 무빙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본 발명의 탄성부재(410) 범주에 모두 포함된다고 볼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부재(410)의 일단은, 고정 모듈(200)에 형성된 탄성부재 지지홈(217)에 지지된다. 탄성부재(410)의 타단은, 접점 모듈(100)의 구성 중 컨택 바디(110)의 제2외경부 및 제1외경부의 외경 차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테두리 단부면에 지지된다.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된 탄성부재(410)는, 고정 모듈(200)에 접점 모듈(100)이 설치된 경우 압축된 상태로 상시 접점 모듈(100)을 고정 모듈(200)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탄성부재(410)는, 고정 모듈(200)에 대하여 접점 모듈(100)이 설정거리 이상 무빙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압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설정거리는 최대로 설정됨이 바람직하고, 설정거리의 증대는 제1 PCB(P1)와 제2 PCB(P2) 사이의 협소한 조립공차를 최대로 늘릴 수 있는 이점을 도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 PCB(P1)와 제2 PCB(P2)의 조립 설정 이격거리가 X로서 허용 조립공차가 존재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의 조립 전 전장이 X보다 더 큰 Y이고, 고정 모듈(200)에 대한 접점 모듈(100)의 무빙 가능한 거리가 Z일 경우, 적어도 Z의 범위가 X의 범위 내에 포함된 만큼 조립공차 허용범위를 최대로 늘릴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처럼, 제1 PCB(P1)와 제2 PCB(P2)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의 실시예가 개재될 때, 고정 모듈(200)에 대하여 접점 모듈(100)이 설정거리 이상 신축되게 무빙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제1 PCB(P1)와 제2 PCB 사이의 이격거리를 더 가깝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제품의 슬림화 설계가 가능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신호 접점이 이루어지는 컨택 핀(120)과 고정 핀(220) 사이에 별도의 탄성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구성들을 단순화 설계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는, 개별 구성으로 이루어진 컨택 바디(110) 및 컨택 핀(120)를 동시에 지지 결합시키는 접점 인슐레이터(130)가 강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즉, 접점 인슐레이터(130)의 재질이 약할 경우, 별도의 탄성부재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상기 탄성부재(410)를 이용하여 컨택 바디(110) 만을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된 상태로 구비된 탄성부재(410)로부터 지속적으로 탄성력이 가해짐에 따른 각 구성간 유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고정 모듈(200)의 각 구성(고정 바디(210), 고정 핀(220) 및 고정 인슐레이터(230)) 간의 결합 관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이점을 확보하기 위하여, 접점 인슐레이터(130) 및 고정 인슐레이터(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강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러나, 특히 접점 인슐레이터(130)의 경우 후술하는 탄성부재(410)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고정 인슐레이터(230)에 비하여 더 빠르게 변형이 생길 우려가 있다. 접점 인슐레이터(130)의 변형이 발생될 경우 컨택 핀(120)의 미세한 접점 위치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1)의 실시예에서 접점 모듈(100)은,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접점 인슐레이터(130)를 제2 PCB(P2) 측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는 탄성지지체(4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탄성지지체(420)는,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내경부와 제2내경부의 경계에 의하여 형성된 걸림단부(114)에 구비되어 접점 인슐레이터(130)의 고정부 블록(131)을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제1 PCB: P1 제2 PCB: P2
1: 동축 커넥터 100: 접점 모듈
110: 컨택 바디 111,113: 접점부
114: 걸림단부 115: 결합부
116: 설치면 117: 걸림홈
118: 설치단부 119: 절개부
120: 컨택 핀 121: 접점단부
122: 걸림단부 123: 스토퍼 후크홈
130: 접점 인슐레이터 131: 고정부 블록
133: 차폐부 블록 135: 삽입공
200: 고정 모듈 210: 고정 바디
211: 전달부 213: 지지부
215: 고정 레그 217: 탄성부재 지지홈
217A: 걸림 부쉬 218: 걸림단부
219: 후크 걸림리브 220: 고정 핀
221: 솔더부 223: 끼움부
225: 삽입 제한부 227: 접점 수용홈부
229: 탄성 절개부 230: 고정 인슐레이터
232: 스토퍼 후크 리브 235: 삽입공
239: 후크 걸림홈 300: 그라운드 접지단자
310: 지지링부 320: 탄성 접지부
410: 탄성부재 420: 탄성지지체

Claims (15)

  1. 제1 패널에 연결되는 고정 모듈과;
    상기 고정 모듈에 무빙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패널과 마주하는 제2 패널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된 접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접점 모듈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중공을 형성하는 컨택 바디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컨택 바디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컨택 핀과;
    상기 컨택 핀과 상기 컨택 바디를 구획하여 절연되도록 상기 컨택 바디의 중공에 배치된 접점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컨택 바디는, 상기 컨택 핀과 상기 접점 인슐레이터가 배치되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로부터 상기 고정 모듈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고정 모듈의 내측에 걸림 결합되도록 선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모듈결합용 후크 돌기가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모듈은, 중공을 형성하는 고정 바디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접점 모듈의 컨택 핀과 상시 접점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 바디의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패널에 접점되게 구비된 고정핀과, 상기 고정 바디의 중공 내측에서 상기 접점 모듈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컨택 바디의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상기 모듈결합용 후크 돌기와 걸림 결합되도록 선단에 모듈결합용 후크 리브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 부쉬를 포함하며,
    상기 접점 모듈은, 상기 컨택 바디, 상기 컨택 핀 및 상기 접점 인슐레이터가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 사이에서 상기 고정 모듈에 대해 일체로 무빙되게 상호 결합된 동축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점 모듈은, 상기 컨택 바디의 중공 중심에 상기 컨택 핀이 상기 접점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걸림 고정되는 동축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점 모듈은,
    상기 접점 인슐레이터의 중심에는 상기 컨택 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컨택 핀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걸림 조립되는 동축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컨택 핀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토퍼 후크 리브가 걸림되는 스토퍼 후크 홈이 형성된 동축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고정 모듈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접점 모듈의 테두리 단부면을 지지하여 상기 접점 모듈을 상기 고정 모듈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접점 모듈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코일 스프링인 동축 커넥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타단이 상기 컨택 바디의 테두리 단부면을 지지하는 동축 커넥터.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고정 모듈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접점부의 테두리 단부면을 지지하여 상기 접점 모듈을 상기 고정 모듈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지지되는 상기 접점부의 테두리 단부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접점부의 테두리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부위에서 상기 고정 모듈을 향하여 연장된 동축 커넥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선단은,
    상기 고정 모듈의 내측에 억지 끼움 결합되는 동축 커넥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접점 모듈의 무빙 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개되고,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복수의 절개부를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선단은,
    상기 고정 모듈의 내주면에 접점된 상태로 슬라이딩 무빙되게 결합되는 동축 커넥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과 상기 결합부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에어 유전체가 충진되는 동축 커넥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은, 인쇄회로기판(PCB, Plastic Circuit Board)로 구비된 동축 커넥터.
KR1020170133609A 2017-10-13 2017-10-13 동축 커넥터 KR101992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609A KR101992258B1 (ko) 2017-10-13 2017-10-13 동축 커넥터
PCT/KR2018/012004 WO2019074310A1 (ko) 2017-10-13 2018-10-12 동축 커넥터
CN201880066791.4A CN111903014B (zh) 2017-10-13 2018-10-12 同轴连接器
EP18866450.2A EP3696922B1 (en) 2017-10-13 2018-10-12 Coaxial connector
FIEP18866450.2T FI3696922T3 (fi) 2017-10-13 2018-10-12 Koaksiaaliliitin
JP2020520527A JP6987231B2 (ja) 2017-10-13 2018-10-12 同軸コネクタ
US16/846,247 US11239616B2 (en) 2017-10-13 2020-04-10 Coaxial connector
US17/549,912 US11677195B2 (en) 2017-10-13 2021-12-14 Coaxial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609A KR101992258B1 (ko) 2017-10-13 2017-10-13 동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860A KR20190041860A (ko) 2019-04-23
KR101992258B1 true KR101992258B1 (ko) 2019-06-25

Family

ID=66100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609A KR101992258B1 (ko) 2017-10-13 2017-10-13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239616B2 (ko)
EP (1) EP3696922B1 (ko)
JP (1) JP6987231B2 (ko)
KR (1) KR101992258B1 (ko)
CN (1) CN111903014B (ko)
FI (1) FI3696922T3 (ko)
WO (1) WO201907431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1431A1 (en) * 2020-01-09 2021-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ductor connection and rf connector with conductor connection
KR20210149262A (ko) 2020-06-01 2021-12-0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690B1 (ko) * 2018-11-23 2019-08-23 주식회사 기가레인 하우징 일체형 기판 메이팅 커넥터 및 이의 제작 방법
CN111509446A (zh) 2019-01-31 2020-08-0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KR102118829B1 (ko) * 2019-07-26 2020-06-04 주식회사 기가레인 기판 메이팅 커넥터
KR102122687B1 (ko) * 2019-11-08 2020-06-26 주식회사 기가레인 관절 운동 범위가 제한되는 커넥터
CN112787121A (zh) * 2019-11-11 2021-05-11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同轴连接器及板对板连接器组件
KR20210083814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기가레인 기판 메이팅 커넥터
KR102163379B1 (ko) * 2019-12-27 2020-10-08 주식회사 기가레인 기판 메이팅 커넥터
US20220069502A1 (en) * 2020-09-02 2022-03-03 Avx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CN115735303A (zh) * 2020-12-21 2023-03-03 吉佳蓝科技股份有限公司 板接通连接器以及具备其的板接通组件
US20220285861A1 (en) * 2021-03-08 2022-09-08 Samtec, Inc. Connector with linear coaxial, right angle coaxial and optical connectors
DE102021002030A1 (de) * 2021-04-17 2022-10-20 Kostal Kontakt Systeme Gmbh Anschlusseinheit
CN115224521A (zh) * 2021-04-19 2022-10-21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浮动连接器及其组合
CN215834758U (zh) * 2021-09-23 2022-02-15 罗森伯格亚太电子有限公司 一种板间连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1670A1 (en) * 2000-11-22 2002-05-23 Havener Jacob G. Floating coaxial connector
US20080057782A1 (en) * 2006-08-31 2008-03-06 Radiall Coaxial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two printed circuit card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6303A (en) * 1995-01-11 1996-05-14 The Whitaker Corporation Floating panel-mounted coaxial connector for use with stripline circuit boards
US5769652A (en) * 1996-12-31 1998-06-23 Applied Engineering Products, Inc. Float mount coaxial connector
WO2000033425A2 (en) * 1998-12-02 2000-06-08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ional Connector with switching device
US6699054B1 (en) * 2003-01-15 2004-03-02 Applied Engineering Products, Inc. Float mount coaxial connector
JP4129194B2 (ja) * 2003-03-07 2008-08-06 新日本無線株式会社 高周波回路用同軸コネクタ
US6776668B1 (en) * 2003-08-01 2004-08-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ow profile coaxial board-to-board connector
US7063565B2 (en) * 2004-05-14 2006-06-20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Coaxial cable connector
JP2006049276A (ja) * 2004-07-06 2006-02-16 Hosiden Corp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KR100874190B1 (ko) * 2007-03-29 2008-12-15 (주)기가레인 동축접촉장치
KR100874191B1 (ko) * 2007-04-09 2008-12-15 (주)기가레인 동축접촉시스템 및 동축접촉장치
KR100949074B1 (ko) * 2007-11-09 2010-03-25 (주)기가레인 역방향 손실을 감소시키는 스위칭 동축 커넥터
CN201450195U (zh) * 2009-08-04 2010-05-05 西安富士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适合盲配、浮动连接的射频同轴连接器
US7922529B1 (en) * 2009-11-23 2011-04-12 Neocoil, Llc High mating cycle low insertion force coaxial connector
EP2367239A1 (en) * 2010-03-16 2011-09-21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ntact pin and an interconnection pin
KR101326296B1 (ko) * 2012-02-27 2013-11-11 주식회사 텔콘 기판 연결용 알에프 커넥터
US9793660B2 (en) * 2012-03-19 2017-10-17 Holland Electronics, Llc Shielded coaxial connector
US9735521B2 (en) * 2013-01-09 2017-08-15 Amphenol Corporation Float adapter for electrical connector
KR101448705B1 (ko) 2014-08-07 2014-10-10 주식회사 기가레인 검사용 동축 커넥터
EP2985842B1 (en) * 2014-08-15 2020-03-1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nnector arrangement
JP6804888B2 (ja) * 2016-07-27 2020-12-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KR101926502B1 (ko) * 2018-03-27 2018-12-07 주식회사 기가레인 Pimd 특성이 향상된 신호 컨택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KR101926503B1 (ko) * 2018-03-27 2018-12-07 주식회사 기가레인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1670A1 (en) * 2000-11-22 2002-05-23 Havener Jacob G. Floating coaxial connector
US20080057782A1 (en) * 2006-08-31 2008-03-06 Radiall Coaxial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two printed circuit card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1431A1 (en) * 2020-01-09 2021-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ductor connection and rf connector with conductor connection
KR20210149262A (ko) 2020-06-01 2021-12-0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WO2021246748A1 (ko) 2020-06-01 2021-12-0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KR20220038326A (ko) 2020-06-01 2022-03-2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44018A1 (en) 2020-07-30
JP6987231B2 (ja) 2021-12-22
US11239616B2 (en) 2022-02-01
JP2021510228A (ja) 2021-04-15
US11677195B2 (en) 2023-06-13
EP3696922B1 (en) 2023-08-16
WO2019074310A1 (ko) 2019-04-18
CN111903014B (zh) 2022-05-31
EP3696922A1 (en) 2020-08-19
KR20190041860A (ko) 2019-04-23
CN111903014A (zh) 2020-11-06
US20220109273A1 (en) 2022-04-07
EP3696922A4 (en) 2021-06-16
FI3696922T3 (fi) 2023-11-15
WO2019074310A8 (ko)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258B1 (ko) 동축 커넥터
KR101862188B1 (ko)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
EP3406000B1 (en) Highspeed board connector
US7819680B2 (en) Surface mount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ing function
KR101809013B1 (ko) 회전가능한 플러그형 커넥터
US20190348734A1 (en) Cavity filter
US11824246B2 (en) Cavity filter with a slim and compact structure
US10931051B2 (en) Connector and receptacle
US10707595B2 (en) Multi-pin connector block assembly
JP2021527984A (ja) キャビティフィルタおよびこれに含まれるコネクティング構造体
CN111786199B (zh) 基板配合连接器
US2021032833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or and communication module comprising same
KR102309404B1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KR20200042436A (ko) 캐비티 필터
KR102203367B1 (ko) 커넥팅 장치
KR20220126185A (ko) 저비용 자기적응형 보드 투 보드 무선 주파수 동축 커넥터
CN115398752A (zh) 连接器组件
KR20090102268A (ko) 반도체 검사장비 및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접속구조
US9960507B1 (en) Radio frequency (RF) connector pin assembly
JP2019110113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US20230238752A1 (en) Coaxial connector with an improved locking structure
US20230047023A1 (en) Connecting apparatus
CN111653909A (zh) 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