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262A -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262A
KR20210149262A KR1020200065810A KR20200065810A KR20210149262A KR 20210149262 A KR20210149262 A KR 20210149262A KR 1020200065810 A KR1020200065810 A KR 1020200065810A KR 20200065810 A KR20200065810 A KR 20200065810A KR 20210149262 A KR20210149262 A KR 20210149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fixed
panel
insulator
characteristic impe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6730B1 (ko
Inventor
정배묵
안성민
이민희
허공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200065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730B1/ko
Priority to CN202180040266.7A priority patent/CN115836448A/zh
Priority to PCT/KR2021/006781 priority patent/WO2021246748A1/ko
Priority to JP2022573675A priority patent/JP7467686B2/ja
Priority to EP21818528.8A priority patent/EP4160831A4/en
Publication of KR2021014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262A/ko
Priority to KR1020220032355A priority patent/KR102467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730B1/ko
Priority to US18/070,555 priority patent/US2023008786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행 배치된 두 패널 중 어느 하나(이하, '제1패널'이라 칭함)에 솔더링 방식으로 고정되고, 내부에 임피던스 정합공간(이하, '정합 공간'이라 약칭함)이 마련된 고정 모듈, 상기 고정 모듈의 정합 공간 내외부로 무빙되게 배치되고, 상기 두 패널 중 다른 하나(이하, '제2패널'이라 칭함)에 접점되도록 구비된 무빙 모듈 및 상기 고정 모듈의 정합 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무빙 모듈을 상기 제2패널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무빙 모듈의 외부 도체부와 함께 탄성부재를 통한 정전차폐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제품 사이즈의 축소 제작이 가능하고, 특성 임피던스의 부정합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CONNECTOR FOR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PROTECTION}
본 발명은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하는 임피던스 정합을 유지하면서도 보다 슬림하게 제조할 수 있는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용 RF 커넥터는 50Ω의 특성 임피던스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은 특성 임피던스는 커넥터가 정합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마이크로웨이브 엔지니어링에서 전자파 에너지의 전력 전송 특성이 가장 좋은 임피던스는 33Ω, 신호파형의 왜곡이 가장 작은 임피던스는 75Ω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두 특성을 양호하게 만족하는 중간값인 50Ω을 특성 임피던스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적인 회로단이 50Ω으로 설계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가 다른 임피던스를 찾는 경우에는 호환성이 없으며, 커넥터의 특성 임피던스가 50Ω과 차이가 클수록 신호파형의 왜곡 또는 전력 전송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신호파형의 왜곡 또는 전력 전송 특성의 저하라는 문제점은, 두 기판 사이의 접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RF 커넥터의 조립 공차 흡수 과정에서 더욱 극명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면, 도 1은 등록특허 제10-1992258호(2019.06.25.공고)(이하, '등록특허'라 함)의 도면 중 하나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기판에 해당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 사이에는 고정 모듈(210,220)과, 고정 모듈(210,220)에 대하여 무빙되게 결합된 접점 모듈(110,120)을 포함하고, 고정 모듈(210,220)과 접점 모듈(110,120) 사이의 내부 공간은 상술한 특성 임피던스 설계에 의하여 부정합이 방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모듈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중공(210a)을 형성하는 고정 바디(210)와, 고정 바디(210) 내에서 고정 인슐레이터(230)를 매개로 제1 패널과 접점되게 구비된 고정 핀(220)을 포함하고, 접점 모듈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중공(110a)을 형성하는 컨택 바디(110)와, 컨택 바디(110) 내에서 접점 인슐레이터(130)를 매개로 제2 패널과 접점되게 구비된 컨택 핀(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 바디(210)의 중공(210a)과 컨택 바디(110)의 중공(110a)에서는 상술한 특성 임피던스의 부정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인슐레이터(230) 및 접점 인슐레이터(130)를 소정의 유전율을 가진 유전체로 구비하여 고정시키고, 일단부는 고정 바디(210)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컨택 바디(110)에 지지되어 조립 과정에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하여 압축 및 신장하는 동작으로 상기 컨택 바디(110)를 제2 패널 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소정의 접점력을 유지하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410)를 포함한다.
그런데, 등록특허는, 고정 모듈과 접점 모듈의 조립 과정에서 제1 패널 및 제2 패널 사이의 조립 공차를 용이하게 흡수하는 장점을 가지나, 상술한 특성 임피던스의 부정합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410)가 적어도 고정 바디(210)의 중공(210a) 및 컨택 바디(110)의 중공(110a)을 벗어나는 위치에 설계되어야 하는 단점을 가진다.
즉, 등록특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10)의 일단은 고정 바디(210)의 외측에 홈 형태로 구비된 탄성부재 지지홈(217)에 의하여 고정 바디(210)의 중공(210a)과 구획되는 위치에서 고정 바디(210)를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탄성부재(410)의 타단은 컨택 바디(110)의 중공(110a) 외측에 해당하는 부위에 탄성 지지되도록 설계됨으로써, 탄성부재(410)의 설치를 위하여 고정 바디(210)는 그 직경이 적어도 도 1의 도면부호 D보다 2배 정도 더 크게 설계되어야 하고, 이로 인한 제품의 슬림 설계에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2258호(2019.06.25.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성 임피던스의 부정합을 방지할 수 있는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보다 슬림한 형태의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즈 축소를 통한 통신장비 내의 고밀도 배치가 가능한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는, 평행 배치된 두 패널 중 어느 하나(이하, '제1패널'이라 칭함)에 솔더링 방식으로 고정되고, 내부에 임피던스 정합공간(이하, '정합 공간'이라 약칭함)이 마련된 고정 모듈, 상기 고정 모듈의 정합 공간 내외부로 무빙되게 배치되고, 상기 두 패널 중 다른 하나(이하, '제2패널'이라 칭함)에 접점되도록 구비된 무빙 모듈 및 상기 고정 모듈의 정합 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무빙 모듈을 상기 제2패널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모듈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2패널과 접점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 모듈을 매개로 상기 제1패널과의 사이에 전기적인 신호 라인을 구축하는 무빙 단자핀, 상기 무빙 단자핀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정합 공간 상에 특성 임피던스 정합 설계값이 구현되도록 배치된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는 무빙 인슐레이터 및 상기 무빙 인슐레이터와 상기 고정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탄성부재가 직접 상기 무빙 인슐레이터 및 상기 무빙 단자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지지력을 상기 무빙 인슐레이터에 전달하는 외부 도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정합 공간이 형성된 고정 하우징, 상기 고정 하우징의 정합 공간 일측을 차폐하도록 구비된 고정 인슐레이터 및 일단부는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를 관통하여 상기 제1패널 측에 접점되고, 타단부는 상기 무빙 단자핀과 통전되게 연결되는 고정 단자핀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와 비접촉되게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무빙 인슐레이터와 비접촉되게 상기 외부 도체부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의 코일 직경이 가장 크고 중간으로 갈수록 상기 코일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동일한 코일 직경을 가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와 비접촉되도록 상기 고정 하우징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부 공진방지 리브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무빙 인슐레이터와 비접촉되도록 상기 외부 도체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무빙부 공진방지 리브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와 비접촉되도록 상기 고정 하우징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부 공진방지 리브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외부 도체부의 선단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도체부는, 내주면이 상기 무빙 인슐레이터의 외주면을 감싸고 외주면 일부가 상기 고정 하우징의 정합 공간 내에서의 걸림에 의하여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 사이의 무빙 가능 거리(이하, '무빙 구간'이라 칭함)를 제한하는 외부 도체 본체 및 상기 외부 도체 본체로부터 상기 제1패널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 도체 본체의 무빙 시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주면에 슬립되는 외부 도체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도체 본체의 일부는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 하우징에는, 상기 무빙 구간 일단을 형성하면서 상기 외부 도체 본체가 걸림되는 일측 걸림부 및 상기 무빙 구간 타단을 형성하면서 상기 외부 도체 본체가 걸림되는 타측 걸림부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도체 가이드는, 선단이 상기 일측 걸림부보다 더 상기 제1패널 측에 가깝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모듈에 구비되되, 상기 제1패널에 대한 상기 고정 모듈의 결합을 매개하는 덮개 하우징을 통한 전기적인 신호 누설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덮개 신호누설 차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빙 모듈에 구비되되, 상기 제2패널을 통한 전기적인 신호 누설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제2패널 신호누설 차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 신호누설 차폐부재 또는 상기 제2패널 신호누설 차폐부재는, 도전체 재질 및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는, 상기 제1패널 측으로 노출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고정 단자핀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빙 단자핀과 연결되는 상기 고정 단자핀에는 상기 무빙 단자핀의 일부가 오버랩되게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은 다수의 절개부에 의하여 절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외부 도체부 및 탄성부재에 의한 정전차폐 기능의 부가를 통해 임피던스 정합공간 내의 특성 임피던스의 부정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탄성부재의 설치 위치의 설계 자유도를 증진되는 바 제품 전체의 슬림 제작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셋째, 제품의 슬림화를 통해, 통신장비 내의 고밀도 배치가 가능하므로,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0-1992258호(2019.06.25.공고)(이하, '등록특허'라 함)의 도면 중 하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다양한 설치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탄성부재가 고정 모듈의 고정 인슐레이터 및 무빙 모듈의 무빙 인슐레이터에 직접 접촉되도록 지지된 상태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를 적용한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도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다양한 설치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패널(B1)과 제2패널(B2) 사이에 전기적인 신호 라인을 구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패널(B1)과 제2패널(B2)는, 인쇄회로기판(PCB, Plastic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또한, 제1패널(B1)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고, 제2패널(B2)은 인쇄회로기판(도 2 참조) 또는 안테나 소자 등(미도시)이 구비된 RF 연결부(도 3 참조)일 수 있다.
제1패널(B1)과 제2패널(B2) 사이에는 덮개 하우징(5)이 별도로 마련되어, 본 발명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는, 일단부가 제1패널(B1)에 솔더링 방식으로 솔더 고정되고, 타단부가 덮개 하우징(5)에 지지되도록 고정되되, 외측에서 제2패널(B2)을 밀착시키는 동작으로 접점시킴으로써, 제1패널(B1)과 제2패널(B2) 사이에 전기적인 신호 라인이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패널(B2)과의 전기적인 신호 연결을 위해 덮개 하우징(5)에는 소정 직경의 신호 통로(7)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신호 통로(7)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타단부가 관통 노출되며, 신호 통로(7)를 통해 노출된 부위에 제2패널(B2)이 밀착되면서 접점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의 타단부(후술하는 고정 모듈 및 무빙 모듈의 단부)에는, 덮개 하우징(5)의 신호 통로(7) 내측 테두리 부위를 지지하면서 덮는 덮개 신호누설 차폐부재(70)와, 제2패널의 접점부(미도시) 외측면을 지지하면서 덮는 제2패널 신호누설 차폐부재(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덮개 신호누설 차폐부재(70) 및 제2패널 신호누설 차폐부재(80)의 대략 가운데를 관통하도록 구축된 전기적인 신호 라인으로부터 신호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덮개 신호누설 차폐부재(70) 및 제2패널 신호누설 차폐부재(80)는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어 그라운드 단자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과 아울러, 탄성 재질로 구비되어 조립력 등의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덮개 하우징(5) 및 제2패널(B2)에 탄성 지지되면서 조립 공차 등을 흡수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는, 반드시 덮개 신호누설 차폐부재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고정 모듈의 고정 하우징과 무빙 모듈의 외부 도체부에 의한 신호 차폐로도 충분히 신호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참조된 것과는 달리, 제2패널 신호누설 차폐부재(80)만 남겨두고 덮개 신호누설 차폐부재(70)를 삭제함으로써 제조 단가를 저하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제2패널(B2)이 안테나 소자 등이 구비된 RF 연결부로 구비된 경우, 제2패널(B2)에는, 접점단자(B21)와, 접점단자(B22)를 고정시키는 고정블록(B22) 및 덮개 하우징(5)의 신호 통로(7)의 테두리 외측의 신호 누설이 방지되도록 구비된 필터측 신호누설 차폐부재(B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측 신호누설 차폐부재(B25)는, 일단부가 제2패널(B2)에 요홈지게 형성된 차폐부재 설치홈(B23) 상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부가 덮개 하우징(5)의 신호 통로(7)의 테두리 외측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로 참조된 실시예는 '제1실시예'라 칭하고, 도 5로 참조된 실시예는 '제2실시예'라 칭하며, 도 6으로 참조된 실시예는 '제3실시예'라 칭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고정 모듈(F)과 무빙 모듈(M)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모듈(F)은, 평행 배치된 두 패널 중 제1패널(B1)에 솔더링 방식으로 고정되고, 내부에 임피던스 정합공간(90, 이하, '정합 공간'이라 약칭함)이 마련될 수 있다.
무빙 모듈(M)은, 고정 모듈(F)의 정합 공간(90) 내외부로 무빙되게 배치되고, 제2패널(B2)에 접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실시예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고정 모듈(F)의 정합 공간(90) 내부에 배치되어 무빙 모듈(M)을 제2패널(B2)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는, 고정 모듈(F)과 무빙 모듈(M)의 일부가 상호 통전되도록 구비되어, 상술한 전기적인 신호 라인을 구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 모듈(F)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정합 공간(90)이 형성된 고정 하우징(10)과, 고정 하우징(10)의 정합 공간(90) 일측을 차폐하도록 구비된 고정 인슐레이터(40)와, 일단부는 고정 인슐레이터(40)를 관통하여 제1패널(B1) 측에 접점되고, 타단부는 후술하는 무빙 모듈(M)의 무빙 단자핀(20')과 통전되게 연결되는 고정 단자핀(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하우징(10)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거나, 정합 공간(90)을 형성하는 내주면 측이 도전성 재질로 도금 형성되어 정합 공간(90) 내에서의 특성 임피던스 정합 설계가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고정 하우징(10)의 내주면은 내경이 상이한 다수의 단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 하우징(10)의 정합 공간(90) 중 제1패널(B1) 측에 가까운 부위에는 고정 인슐레이터(30)와 탄성부재(60)의 일단부가 구획되어 걸림 지지되도록 고정부 공진방지 리브(12)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 하우징(10)의 정합 공간(90) 중 제2패널(B2) 측에 가까운 부위에는 후술하는 무빙 모듈(M)의 구성 중 외부 도체부(40')의 무빙 가능 거리(이하, '무빙 구간'이라 칭함)를 제한하는 일측 걸림부(14) 및 타측 걸림부(16)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고정 하우징(10)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외부 도체부(40')의 외부 도체 가이드(42')의 선단(43')의 무빙을 제한하면서 탄성부재(60)의 압축량을 제한하는 스토퍼 단차(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하우징(10)의 일단부(즉, 제1패널(B1) 측에 해당하는 부위)에는 다수의 솔더 레그(1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솔더 레그(11)는, 제1패널(B1) 측에 기 형성된 솔더 홀(도면부호 미표기)에 삽입된 후 솔더링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고정 단자핀(20)의 고정핀부(21) 또한 제1패널(B1) 측에 기 형성된 접점부의 홀(도면부호 미표기)에 삽입되어 솔더링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단자핀(20)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어 무빙 단자핀(20')과의 전기적인 신호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 단자핀(20)은, 정합 공간(90) 측에서 제1패널(B1) 측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돌출 형성된 고정핀부(21)와, 고정핀부(21) 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핀 본체부(23) 및 핀 본체부(23)로부터 제2패널(B2) 측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후술하는 무빙 단자핀(20')의 무빙핀부(21')의 일부가 삽입되는 중공(도면부호 미표기)이 형성된 중공핀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부(21)와 핀 본체부(23)의 경계는 직경 차에 의한 걸림턱(22)이 형성되고, 걸림턱(22)이 고정 인슐레이터(30)와 걸림되어 고정 하우징(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중공핀부(25)의 중공은 무빙 단자핀(20')이 구비된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중공핀부(25)의 외주면 일부는 내외부가 연통되게 다수의 중공 절개부(26)가 절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중공 절개부(26)에 의하여, 중공 내부로 삽입되는 무빙 단자핀(20')의 무빙핀부(21')의 외주면과 소정의 측면 텐션력이 부가됨으로써 고정 단자핀(20)과 무빙 단자핀(20') 간 전기적인 신호 연결이 단절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고정 인슐레이터(30)는, 절연 재질로 구비되거나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는 유전체 재질로 구비되되, 고정 단자핀(20)과 고정 하우징(10) 사이를 절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고정 단자핀(20)을 고정 하우징(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고정 인슐레이터(30)의 가운데에는 제1패널(B1)과 제2패널(B2)의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고정부 관통홀(32)이 형성되고, 고정 단자핀(20)의 구성 중 고정핀부(21)가 고정부 관통홀(32)을 통해 완전 관통되어 그 일부가 고정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고정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 고정핀부(21)는 제1패널(B1)에 형성된 접점부(미도시)에 솔더링 방식으로 솔더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 인슐레이터(30)의 제1패널(B1) 측에 해당하는 타측단 테두리부(31)는 고정 하우징(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부 공진방지 리브(12)에 걸림되어 후술하는 탄성부재(60)와 비접촉되게 구획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하우징(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부 공진방지 리브(12)는, 뒤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탄성부재(60)가 직접 고정 인슐레이터(2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합 공간(90) 내부에서 공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무빙 모듈(M)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일단부는 제2패널(B2)과 접점되고 타단부는 고정 모듈(F)을 매개로 제1패널(B1)과의 사이에 전기적인 신호 라인을 구축하는 무빙 단자핀(20')과, 무빙 단자핀(2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정합 공간(90) 상에 특성 임피던스 정합 설계값이 구현되도록 배치된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는 무빙 인슐레이터(20')와, 무빙 인슐레이터(30')와 고정 하우징(10)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되, 탄성부재(60)가 직접 무빙 인슐레이터(30') 및 무빙 단자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탄성부재(60)의 탄성 지지력을 무빙 인슐레이터(30')에 전달하는 외부 도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단자핀(20')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2패널(B2) 측에서 제1패널(B1) 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일단부 일부가 상술한 고정 단자핀(20)의 중공핀부(25) 내의 중공 내부로 삽입 연결되는 무빙핀부(21')와, 무빙핀부(21')의 타단부에 형성되되, 제2패널(B2)의 접점부(미도시)에 대한 접점률이 향상되도록 가운데 일부가 홈 형태로 절개된 무빙 접점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빙 단자핀(20')은, 제1패널(B1)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고정 단자핀(20)을 통해 전달받아 제2패널(B2) 측으로 전달하거나, 제2패널(B2)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고정 단자핀(20)을 통해 제1패널(B1)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빙 단자핀(20')은 고정 단자핀(20)과는 달리, 고정 하우징(10)의 정합 공간(90) 내외부로 소정의 무빙 구간에서 무빙되도록 구비되어, 제1패널(B1)과 제2패널(B2) 간 존재하는 조립공차를 흡수하면서 상술한 전기적인 신호 라인을 구축하게 된다.
아울러, 무빙 단자핀(20')은, 무빙 구간에서의 무빙 시에도 그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무빙 인슐레이터(30')에 의하여 정합 공간(90) 내에서의 특성 임피던스 정합 설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빙 인슐레이터(30')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무빙 단자핀(20') 중 무빙핀부(21')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무빙 단자핀(20')의 구성 중 무빙 접점부(22')는 무빙핀부(21')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바, 무빙핀부(21')와 무빙 접점부(22')의 경계 부위는 무빙핀 걸림부(23')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제2패널(B2)의 밀착력에 의하여 무빙 인슐레이터(30')는 무빙 단자핀(20')과 함께 연동하여 무빙 구간 내에서 무빙될 수 있다.
아울러, 무빙 인슐레이터(30')의 제2패널(B2) 측 외측 테두리단은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된 걸림 테두리단(31')이 단턱지게 형성되는 바, 후술하는 외부 도체부(40')와도 걸림됨으로써, 제2패널(B2)의 밀착력에 의하여 고정 단자핀(20') 및 외부 도체부(40')와 함께 무빙 구간 내에서 무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빙 인슐레이터(30')에는, 그 가운데 부분에 무빙 단자핀(20')의 구성 중 무빙핀부(21')가 완전 관통하도록 무빙 관통홀(32')이 형성되고, 무빙핀부(21')보다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된 무빙 접점부(22')와의 경계 부위인 무빙핀 걸림부(23')가 무빙 관통홀(32')의 내측 임의의 지점에서 걸림될 수 있다.
무빙 인슐레이터(30')는 그 외형 및 유전율이 고정 하우징(10)의 정합 공간(90) 내에서의 특성 임피던스 설계치가 유지되도록 설계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무빙 인슐레이터(30')는, 조립 과정에서 제2패널(B2)의 밀착력에 의한 무빙 구간 내에서의 무빙 단자핀(20')의 무빙 시에도 정합 공간(90) 내의 특성 임피던스가 부정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부 도체부(40')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무빙 인슐레이터(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된 외부 도체 본체(41')와, 외부 도체 본체(41')로부터 제1패널(B1) 측으로 연장되고, 외부 도체 본체(41')의 무빙 시 고정 하우징(10)의 내주면에 슬립되도록 구비된 외부 도체 가이드(42')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도체 본체(41')의 외주면 중 일부는, 고정 하우징(10)의 내주면 중 제2패널(B2) 측에 가깝게 형성된 일측 걸림부(14) 및 타측 걸림부(16) 사이에 걸림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2패널(B2)의 밀착력에 의해 무빙 구간 내에서 무빙 시 각각 일측 걸림부(14)와 타측 걸림부(16)에 걸림됨으로써 무빙 구간을 제한시킬 수 있다.
즉, 외부 도체 본체(41')의 외주면 일부는, 고정 하우징(10)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일측 걸림부(14) 및 타측 걸림부(16) 사이의 내주면 외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경을 가지는 외부 도체 본체(41')의 길이는 일측 걸림부(14)와 타측 걸림부(16)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그 길이차의 범위에서 무빙 모듈(M)의 무빙 구간이 제한될 수 있다.
아울러, 외부 도체 본체(41')는, 그 내주면의 일부 내경이 다른 부위보다 더 작도록 무빙부 공진방지 리브(44')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무빙부 공진방지 리브(44')는, 후술하는 탄성부재(60)의 타단부가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탄성부재(60)의 타단부가 직접 무빙 인슐레이터(30')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합 공간(90) 내에서 무빙에 따른 공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부 도체 가이드(42')는, 선단(43')이 일측 걸림부(14)보다 더 제1패널(B1) 측에 가깝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탄성부재(60)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외부 도체 본체(41')의 타측이 고정 하우징(10)의 타측 걸림부(16)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 도체 가이드(42')의 선단(43')이 일측 걸림부(14)의 외측에 해당하는 고정 하우징(10)의 내주면에 슬립되는 바, 고정 하우징(10)의 내부에서의 걸림 현상을 차단함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부 도체부(40')는, 상술한 제2패널 신호누설 차폐부재(80)와 함께 그라운드 단자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정합 공간(90) 상에서의 신호 흐름을 안정화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외부 도체부(40')는, 무빙 모듈(M)의 일 구성으로써, 무빙 구간 내에서 무빙되는 무빙 단자핀(20') 및 무빙 인슐레이터(30')와 함께 연동하여 무빙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직접 접촉되도록 구비된 후술하는 탄성부재(60)와 함께 정전차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부 도체부(40') 및 탄성부재(60)의 정전차폐 역할의 수행은, 탄성부재(60)의 설치 위치 설계의 자유도를 증진시키는 결과가 되어, 본 발명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전체 폭방향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창출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커넥터(도 1 참조)의 경우, 탄성부재가 직접 고정 인슐레이터 및 무빙 인슐레이터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외부 도체부의 구비 없이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공간을 폭 방향으로 마련하고, 고정 모듈에 대하여 무빙 모듈에 탄성력이 부가되도록 설치된 것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에서는, 외부 도체부(40')를 통해 탄성부재(60)가 직접 고정 인슐레이터(30) 및 무빙 인슐레이터(3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합 공간(90) 내에서의 설치 위치의 설계 자유도가 대폭 증진된 것이다.
고정 하우징(10)의 외측 중 제2패널(B2) 측에 근접한 외주면 일부에는 상술한 덮개 신호누설 차폐부재(70)가 설치되는 차폐부재 설치단(15)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무빙 모듈(M) 중 외부 도체부(40')의 선단면에는 상술한 제2패널 신호누설 차폐부재(8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무빙 모듈(M)은 제1패널(B1) 측에 고정된 상태의 고정 모듈(F)에 대하여 무빙 구간 범위 내에서 무빙되되, 정합 공간(90) 내에 구비된 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하여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60)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고정 인슐레이터(30)와 비접촉되도록 고정 하우징(10)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술한 고정부 공진방지 리브(12)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외부 도체부(40')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무빙부 공진방지 리브(44')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60)는, 외부 도체부(40')의 구성 중 외부 도체 본체(41')가 고정 하우징(10)의 타측 걸림부(16)에 걸림된 상태에서는 어느 정도 압축된 상태로써 제2패널(B2)의 밀착을 통한 밀착력이 부가되면 더 압축 변형되면서 소정의 탄성력을 반력 형태로 외부 도체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탄성부재(50)로부터 소정의 탄성력을 전달받은 외부 도체부(40')는 무빙 인슐레이터(30')를 제2패널(B2) 측으로 무빙시켜 밀착시키고, 무빙 인슐레이터(30')와 연동 무빙되는 무빙 단자핀(20')의 무빙 접점부(22')가 소정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제2패널(B2)의 접점부에 접점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합 공간(90) 내에서의 공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인슐레이터(30) 및 무빙 인슐레이터(3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설치됨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탄성부재(60)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고정 인슐레이터(30) 및 무빙 인슐레이터(30')에 직접 접촉되지 않는 한도에서, 일단부 및 타단부의 코일 직경이 가장 크고 중간으로 갈수록 코일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의 제1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탄성부재(60)는, 도 5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동일한 코일 직경을 가지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60)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코일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제1실시예로 구현된 바와 마찬가지로, 일단부는 고정부 공진방지 리브(12)에 의해 고정 인슐레이터(30)와 물리적으로 구획되도록 지지되고, 타단부는 무빙부 공진방지 리브(44')에 의해 무빙 인슐레이터(30')와 물리적으로 구획되는 제2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60)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코일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단부는 고정부 공진방지 리브(12)에 의해 고정 인슐레이터(30)와 물리적으로 구획되도록 지지되고,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는 달리, 타단부는 외부 도체 가이드(42')의 선단(43')에 지지되는 제3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탄성부재가 고정 모듈의 고정 인슐레이터 및 무빙 모듈의 무빙 인슐레이터에 직접 접촉되도록 지지된 상태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를 적용한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탄성부재가 고정 모듈의 고정 인슐레이터 및/또는 무빙 모듈의 무빙 인슐레이터에 직접 접촉되도록 지지된 상태에서는 대역 구간 중 다수 군데에서 공진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8을 참조하면, 탄성부재(60)가 고정 모듈((F)의 고정 인슐레이터(30) 및 무빙 모듈(M)의 무빙 인슐레이터(30')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외부 도체부(40')와 함께 정전차폐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대역 구간에서의 공진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패널(B1)과 제2패널(B2) 사이에 구축된 전기적인 신호 라인을 따라 신호가 전송될 때, 임피던스 정합 설계가 요구되는 정합 공간(90) 내부의 부정합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 도체부(40') 및 탄성부재(60)의 자유 설계를 통해 전체적인 제품의 폭방향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간명한 구조의 커넥터 제조가 가능한 제조상의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F: 고정 모듈 10: 고정 하우징
12: 고정부 공진방지 리브 13: 스토퍼 단차
14: 일측 걸림부 15: 차폐부재 설치단
16: 타측 걸림부 20: 고정 단자핀
21: 고정핀부 23: 핀 본체부
25: 중공핀부 26: 중공 절개부
30: 고정 인슐레이터 M: 무빙 모듈
20': 무빙 단자핀 21': 무빙핀부
22': 무빙 접점부 30': 무빙 인슐레이터
40': 외부 도체부 41': 외부 도체 본체
42': 외부 도체 가이드 44': 무빙부 공진방지 리브
60: 탄성부재 70: 덮개 신호누설 차폐부재
80: 제2패널 신호누설 차폐부재 90: 정합 공간

Claims (14)

  1. 평행 배치된 두 패널 중 어느 하나(이하, '제1패널'이라 칭함)에 솔더링 방식으로 고정되고, 내부에 임피던스 정합공간(이하, '정합 공간'이라 약칭함)이 마련된 고정 모듈;
    상기 고정 모듈의 정합 공간 내외부로 무빙되게 배치되고, 상기 두 패널 중 다른 하나(이하, '제2패널'이라 칭함)에 접점되도록 구비된 무빙 모듈; 및
    상기 고정 모듈의 정합 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무빙 모듈을 상기 제2패널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모듈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2패널과 접점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 모듈을 매개로 상기 제1패널과의 사이에 전기적인 신호 라인을 구축하는 무빙 단자핀;
    상기 무빙 단자핀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정합 공간 상에 특성 임피던스 정합 설계값이 구현되도록 배치된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는 무빙 인슐레이터; 및
    상기 무빙 인슐레이터와 상기 고정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탄성부재가 직접 상기 무빙 인슐레이터 및 상기 무빙 단자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지지력을 상기 무빙 인슐레이터에 전달하는 외부 도체부; 를 포함하는,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정합 공간이 형성된 고정 하우징;
    상기 고정 하우징의 정합 공간 일측을 차폐하도록 구비된 고정 인슐레이터; 및
    일단부는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를 관통하여 상기 제1패널 측에 접점되고, 타단부는 상기 무빙 단자핀과 통전되게 연결되는 고정 단자핀; 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와 비접촉되게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무빙 인슐레이터와 비접촉되게 상기 외부 도체부에 지지되는,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의 코일 직경이 가장 크고 중간으로 갈수록 상기 코일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구비된,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동일한 코일 직경을 가지는 형태로 구비된,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와 비접촉되도록 상기 고정 하우징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부 공진방지 리브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무빙 인슐레이터와 비접촉되도록 상기 외부 도체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무빙부 공진방지 리브에 지지되는,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와 비접촉되도록 상기 고정 하우징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부 공진방지 리브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외부 도체부의 선단에 지지되는,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부는,
    내주면이 상기 무빙 인슐레이터의 외주면을 감싸고 외주면 일부가 상기 고정 하우징의 정합 공간 내에서의 걸림에 의하여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 사이의 무빙 가능 거리(이하, '무빙 구간'이라 칭함)를 제한하는 외부 도체 본체; 및
    상기 외부 도체 본체로부터 상기 제1패널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 도체 본체의 무빙 시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주면에 슬립되는 외부 도체 가이드; 를 포함하는,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 본체의 일부는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 하우징에는, 상기 무빙 구간 일단을 형성하면서 상기 외부 도체 본체가 걸림되는 일측 걸림부 및 상기 무빙 구간 타단을 형성하면서 상기 외부 도체 본체가 걸림되는 타측 걸림부가 단차지게 형성된,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 가이드는, 선단이 상기 일측 걸림부보다 더 상기 제1패널 측에 가깝게 연장된,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에 구비되되, 상기 제1패널에 대한 상기 고정 모듈의 결합을 매개하는 덮개 하우징을 통한 전기적인 신호 누설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덮개 신호누설 차폐부재; 를 더 포함하는,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빙 모듈에 구비되되, 상기 제2패널을 통한 전기적인 신호 누설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제2패널 신호누설 차폐부재; 를 더 포함하는,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덮개 신호누설 차폐부재 또는 상기 제2패널 신호누설 차폐부재는, 도전체 재질 및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인슐레이터는, 상기 제1패널 측으로 노출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고정 단자핀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빙 단자핀과 연결되는 상기 고정 단자핀에는 상기 무빙 단자핀의 일부가 오버랩되게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은 다수의 절개부에 의하여 절개 형성된,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KR1020200065810A 2020-06-01 2020-06-01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KR102376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810A KR102376730B1 (ko) 2020-06-01 2020-06-01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CN202180040266.7A CN115836448A (zh) 2020-06-01 2021-06-01 特性阻抗失配防止用连接器
PCT/KR2021/006781 WO2021246748A1 (ko) 2020-06-01 2021-06-01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JP2022573675A JP7467686B2 (ja) 2020-06-01 2021-06-01 特性インピーダンス不整合防止用コネクタ
EP21818528.8A EP4160831A4 (en) 2020-06-01 2021-06-01 CONNECTORS TO PREVENT MIS-MATCHING OF CHARACTERISTIC IMPEDANCE
KR1020220032355A KR102467672B1 (ko) 2020-06-01 2022-03-15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US18/070,555 US20230087867A1 (en) 2020-06-01 2022-11-29 Connector for preventing characteristic impedance misma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810A KR102376730B1 (ko) 2020-06-01 2020-06-01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355A Division KR102467672B1 (ko) 2020-06-01 2022-03-15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262A true KR20210149262A (ko) 2021-12-09
KR102376730B1 KR102376730B1 (ko) 2022-03-23

Family

ID=788311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810A KR102376730B1 (ko) 2020-06-01 2020-06-01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KR1020220032355A KR102467672B1 (ko) 2020-06-01 2022-03-15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355A KR102467672B1 (ko) 2020-06-01 2022-03-15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87867A1 (ko)
EP (1) EP4160831A4 (ko)
JP (1) JP7467686B2 (ko)
KR (2) KR102376730B1 (ko)
CN (1) CN115836448A (ko)
WO (1) WO202124674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5483A (ja) * 1995-01-11 1996-12-17 Whitaker Corp:The パネル取付型同軸コネクタ
JPH1032042A (ja) * 1996-07-12 1998-02-03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同軸コネクタ装置
JP2008288120A (ja) * 2007-05-21 2008-11-2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KR20190041860A (ko) * 2017-10-13 2019-04-2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동축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8844A (ja) * 2001-12-11 2003-06-27 Mitsubishi Electric Corp 同軸コネクタ
JP3881682B2 (ja) 2004-09-14 2007-02-14 ユニテクノ株式会社 両端変位型コンタクトプローブ
JP2007073441A (ja) 2005-09-08 2007-03-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導電性接触子および導電性接触子アセンブリ
FR2905528B1 (fr) * 2006-08-31 2008-10-31 Radiall Sa Connecteur coaxial pour relier deux cartes de circuit imprime.
KR101448705B1 (ko) * 2014-08-07 2014-10-10 주식회사 기가레인 검사용 동축 커넥터
JP6183626B2 (ja) 2015-08-04 2017-08-23 Smk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同軸コネクタ
KR102025933B1 (ko) * 2017-11-24 2019-09-26 주식회사 엠피디 기판연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5483A (ja) * 1995-01-11 1996-12-17 Whitaker Corp:The パネル取付型同軸コネクタ
JPH1032042A (ja) * 1996-07-12 1998-02-03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同軸コネクタ装置
JP2008288120A (ja) * 2007-05-21 2008-11-2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KR20190041860A (ko) * 2017-10-13 2019-04-2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동축 커넥터
KR101992258B1 (ko) 2017-10-13 2019-06-2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동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672B1 (ko) 2022-11-23
EP4160831A4 (en) 2024-06-19
KR20220038326A (ko) 2022-03-28
EP4160831A1 (en) 2023-04-05
KR102376730B1 (ko) 2022-03-23
WO2021246748A1 (ko) 2021-12-09
JP2023529107A (ja) 2023-07-07
CN115836448A (zh) 2023-03-21
JP7467686B2 (ja) 2024-04-15
US20230087867A1 (en)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4384B2 (en) Coaxial connector
JP2018534733A (ja) プラグソケットコネクター
JP2021009836A (ja) マルチチャネル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
US20220140512A1 (en) Female multipolar connector and multipolar connector set equipped therewith
WO2018221354A1 (ja) L型同軸コネクタおよび同軸ケーブル付きl型同軸コネクタ
CN209963342U (zh) 多通道连接器及其组合件
US20190148851A1 (en) Multi-pin connector block assembly
KR20040024591A (ko) 자가보정되는 초소형 동축 커넥터
US20210391669A1 (en) Multipolar connector set
JP7357962B2 (ja) ハウジング一体型基板メイティングコネクタおよびこの製作方法
CN108155499B (zh) 板对板型射频插头、插座及其连接器组件
US20220329012A1 (en) Connector assembly
US9647392B2 (en) RF connector
WO2021062865A1 (en) Unitary rf connector with ground contact tabs arranged in crown and ganged connector including a plurality of such unitary connector
US11355889B2 (en) Cover assembly with at least one impedance control structure
KR102376730B1 (ko)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US20230144535A1 (en) Plug-in connector for symmetrical signal transmission
KR102309404B1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KR102203367B1 (ko) 커넥팅 장치
WO2019217521A1 (en) Coaxial connector system
KR102675450B1 (ko) 접촉 디바이스, 특히 동축 접촉 디바이스
JP2012142220A (ja) アンテナ用コネクタ
US10741983B2 (en) L-shaped coaxial connector and L-shaped coaxial connector having coaxial cable
CN210489982U (zh) 一种改进的板连接器
KR101759286B1 (ko) 트랜지션 도파관 및 트랜지션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