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928B1 -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및 가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및 가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928B1
KR100871928B1 KR1020047002736A KR20047002736A KR100871928B1 KR 100871928 B1 KR100871928 B1 KR 100871928B1 KR 1020047002736 A KR1020047002736 A KR 1020047002736A KR 20047002736 A KR20047002736 A KR 20047002736A KR 100871928 B1 KR100871928 B1 KR 100871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hair
base
needle
wig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7797A (ko
Inventor
후쿠야마코키
Original Assignee
프로피아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피아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프로피아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7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66Planting hair on 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75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wig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5/00Making 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by inserting loops into a base material
    • D05C15/02Rooting of hair in doll heads or w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sthes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베이스(11) 일면에 인공모(30)를 공급하는 수단과, 상기 베이스(11)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퇴(進退) 자재(自在)의 바늘(41)로 이루어진다. 바늘(41)을 신장(伸長)상태의 베이스(41)에 관통시키고, 상기 인공모(30)를 베이스(11)의 타면측으로 인출한다. 베이스(11)는 이차원상을 직교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이동이 소정의 피치로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행해지는 이동자재의 이동테이블(21)의 상면에 공급되어 신장상태로 된다. 이 신장상태에 있어서 인공모를 이식하고, 이식후 신장상태를 해제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인공모의 이식에 수반하는 바늘구멍의 연속이 방지된다.

Description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및 가발의 제조방법{Automatic hair implanter for manufacturing wi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ig}
본 발명은 가발제조의 기계화에 관한 것이고, 특히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및 가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발의 제조는 입체형상으로 성형된 두꺼운 털의 모재(母材)에 식모(植毛)부재를 2개 접어 하나 하나 사람의 손에 의해 꿰매 붙이고, 2개(2개 접으면 1개가 2개로 된다) 또는 수개씩 다발로 된 식모부재를 이식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손으로 이식하는 작업에서는 예를 들면 2만개를 2∼3주간 정도 걸려서 이식하는 것이 최대한이며, 작업효율이 극단으로 나쁘다라는 결점이 있었다. 또 고비용을 피해 인건비가 싼 해외에서 생산하면, 불량품이 많이 발생하고 원료에 대한 제품의 비율이 나쁘다라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기계화가 제안된 적도 있었지만, 아직 성공하는데에 이르지 않았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배경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가발제조의 기계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가발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불량품 발생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용 자동식모기 및 가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는 이동테이블과, 상기 이동테이블에 베이스를 공급하는 베이스공급수단과, 상기 베이스 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테이블에 공급된 상기 베이스에 텐션을 걸어 신장상태로 한 뒤 위치결정하는 텐션·위치결정수단과, 상기 베이스 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테이블에 공급되고 또한 상기 텐션·위치결정수단에 의해 신장상태로 위치결정된 상기 베이스 일면에 소정 길이의 인공모를 공급하는 인공모 공급수단과, 상기 베이스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퇴(進退)자재이며, 상기 베이스의 타면측으로부터 상기 일면측으로 향하여 상기 베이스를 관통한 후, 상기 일면측에 있어서 상기 인공모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상기 인공모를 계합(係合)하고, 또한 상기 타면측에 복귀함으로써 상기 인공모를 상기 베이스의 상기 타면측에 인출하여 상기 베이스에 이식하는 바늘과, 상기 바늘에 의해 인공모 이식처리를 소정 피치마다 반복하여 행하기 위해, 상기 이동테이블을 서로 직교하는 X, Y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이동시키는 테이블구동수단과, 상기 바늘에 의한 인공모이식처리가 종료했을 때 상기 텐션·위치결정수단에 의한 텐션을 해제하고, 인공모가 이식된 상기 베이스를 신장상태로부터 개방하는 텐션 해제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원 발명에 의한 가발 제조방법은 이동테이블에 이차원의 얇은 베이스를 공급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테이블에 상기 베이스를 텐션을 걸은 상태에서 신장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테이블에 상기 신장된 베이스를 위치결정하는 공정과, 상기 신장된 베이스 일면측에 인공모를 공급하는 공정과, 상기 신장된 베이스를 관통하여 왕복 운동하는 바늘에 의해 공급된 인공모를 계합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인공모를 계합한 상기 바늘이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인공모가 신장된 베이스에 이식되며, 상기 이동테이블이 소정 피치로 이동하는 사이 상기 바늘에 의한 이식동작이 반복되는 공정 및 상기 바늘에 의한 이식동작 종료후 상기 베이스를 신장상태로부터 해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식된 인공모를 상기 베이스에 고착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이면(裏面)에 제 1접착제를 부여하는 제 1접착제 부여공정과, 상기 베이스 일면에 제 2접착제를 부여하는 제 2접착제 부여공정으로 이룬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인공모의 이식에 수반하는 바늘구멍의 연속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발의 기계화가 가능하게 되며, 가발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 상기 인공모 공급수단에 의한 인공모의 공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하면 또는 상면에 이루어진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공모를 협지(挾持)하는 개폐자재의 누르는 수단을 설치하고, 이 누르는 수단에 의해 인공모를 일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바늘에 의해 인출한다.
삭제
삭제
또, 상기 누르는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바늘 방향으로 요동자재이며, 바늘측으로의 요동 동작후 바늘에 의해 인공모의 인출동작을 개시한다.
또, 상기 누르는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공모를 측면방향에서 혹은 상하방향에서 또는 측면 및 상하방향에서 협지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늘을 서로 동기하여 왕복운동하는 적어도 1쌍의 바늘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공모 공급수단에 의한 인공모의 송급(送給) 방향에 평행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늘에 의한 인공모 이식처리의 피치는 인공모의 송급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바늘 폭 보다 크게 하도록 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늘에 의한 인공모의 상기 이식은 베이스가 인공모의 송급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또는, 베이스가 인공모의 송급방향으로 이동 한 후, 또는, 베이스로의 인공모의 이식을 비스듬한 방향으로 행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공모의 공급수단이 복수이도록 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늘에 의해 이식된 인공모를 일정 방향으로 흐르는 유모(流毛)수단을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유모(流毛)수단은 이식된 인공모의 바로 밑에 설치된 일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바(ba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도 1은, 본원 발명에 의한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의 일 실시의 형태를 나타 내고, 공정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에 관한 베이스 공급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관한 텐션·위치결정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는 대략적인 평면도, 도 3b는 대략적인 정면도, 도 3c는 주요부의 대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에 관한 인공모 공급부의 일부이며, 털 색 선정 및 절단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에 관한 식모부(植毛部)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a는, 도 5의 측면도, 도 6b는 누르는 수단이 열렸을 때의 부분확대도, 도 6c는 누르는 수단이 닫혔을 때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에 관한 헤드부와 이동테이블의 관계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원 발명에 관한 유모부(流毛部)의 일례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8a는 인공모가 이식된 직후의 상태를, 도 8b는 인공모가 베이스측에 가까워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베이스의 텐션의 거는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대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원 발명에 관한 인공모의 공급공정을 나타내는 대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원 발명에 관한 식모 바늘의 상승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a는 그 대략 정면도, 도 11b는 그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본원 발명에 관한 식모 바늘의 하강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a는 그 대략 정면도, 도 12b는 그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베이스에 인공모를 심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식모공정에 이어지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대략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원 발명에 따른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에 이용되는 전자변(電磁弁)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15a는 그 대략적인 사시도, 도 15b는 회로도이다.
도 16은, 본원 발명에 따른 가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일부)이다.
도 17은, 본원 발명에 따른 가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일부)이다.
도 18은, 본원 발명에 의한 가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일부)이다.
도 19는, 도 16 내지 도 18의 각 유닛 이니셜라이즈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0은, 도 19의 롤러 이니셜라이즈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1은, 도 19의 텐셔너 이니셜라이즈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일부)이다.
도 22는, 도 19의 텐셔너 이니셜라이즈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일부)이다.
도 23은, 도 19의 바늘 이니셜라이즈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4는, 도 19의 이동테이블 이니셜라이즈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일부)이다.
도 25는, 도 19의 이동테이블 이니셜라이즈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일부)이다.
도 26은, 도 16 내지 도 18의 이식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일부)이다.
도 27은, 도 16 내지 도 18의 이식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일부)이다.
도 28은, 도 16 내지 도 18의 이식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일부)이다.
도 29a는, 도 26 내지 도 28의 바늘 상승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29b는 같은 바늘의 하강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0은, 도 16 내지 도 18의 시트 인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1은, 도 16 내지 도 18의 시트 아웃(정전(正轉))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2는, 도 16 내지 도 18의 시트 아웃(역전(逆轉))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3은, 도 16 내지 도 18의 배출처리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다음에,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본원 발명에 의한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편의상 동일 기능을 이루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의한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를 공정에 따라서 모식적으로 나타낸 대략도이다. 베이스 공급부(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11)를 텐션·위치결정부(2)에 수평상태로 공급한다. 베이스(11)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섬유를 직성한 시트이 며, 예를 들면 0.06mm로 극히 얇게 형성되어 있고, 시트 롤러(13)에 권착(卷着)되어 있다. 이 시트 롤러(13)는 모터(15)에 의해 구동되며, 권착된 베이스(11)를 이동테이블(21)상에 공급한다. (17)은 시트 롤러 누름이다.
도 3은 텐션·위치결정부(2)를 나타낸다. 텐션·위치결정부(2)는, 이차원상을 직교방향, 즉,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자재의 이동테이블(21)을 갖춘다. 이 이동테이블(21)의 X축/Y축방향으로의 이동은, X축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 또는 Y축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의 피치 예를 들면 2mm로,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서 행한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11)를 신장상태로 한 뒤 그 위치결정을 한다. 즉, 상기 이동테이블(21)에는 4 모퉁이에 텐션(23)을 설치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공급된 베이스(11)에 텐션을 건다. 이 텐셔너(23)는 베이스(11)를 상하방향에서 가압하여 협지하는 텐션니프롤러(24, 25)와, 이 롤러(24, 25)를 구동하는 정역전(正逆轉)자재의 텐션모터(26(26a, 26b, 26c, 26d))로 이루어진다. 부호(27)는 텐션·위치결정부(2)의 공급측에 설치되는 상하 한 쌍의 시트 인 롤러이며, 도 14에 나타내는 모터(27a)에 의해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고, 베이스(11)를 이동테이블(21) 상에 공급한다. 부호(28)는 텐션·위치결정부(2)의 배출 측에 설치되는 상하 한 쌍의 시트 아웃 롤러이며, 도 14에 나타내는 모터(28a)에 의해 정전역전(正轉逆轉) 가능하게 회전한다. 부호(29)는 텐션·위치결정부(2)의 공급측이고, 상기 시트 인 롤러(27)의 앞쪽에 설치되는 시트 완화 센서이며, 공급되는 베이스(11)의 완화의 유무를 검지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인공모 공급부(3)는 베이스(11)의 상면측에 인공모(30)를 공급하는 것으로, 이 인공모(30)를 권착한 보빈(31A, 31B, 31C, 31D)(이하 총칭할 때에는 「보빈 31」이라 한다)을 갖춘다. 각 보빈(31)은 각각 다른 색의 실(인공모(30))을 권착하여 두고, 각각 소유하는 풀어내기용 모터(31AM, 31BM, 31CM, 31DM)에 의해, 인공모(30)를 소정의 길이로 풀어 낸다. 풀어내진 실은 도 1에 나타내는 진공발생기(31(32a, 32b, 32c, 32d)) 및 단일 진공발생기(33)를 작동시킴으로써 보내진다. 또 각 보빈(31)계는 각각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배관(35a, 35b, 35c, 35d)을 가지고 있고, 인공모(30)는 이들 배관(35a, 35b, 35c, 35d) 및 배관(35) 속을 통하여 식모부(4)까지 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 각 이송경로 도중에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터모터(34a)에 의해 동작하는 이동자재의 커터(34)를 설치하고, 각 인공모(30)가 상기 풀어내기용 모터(31AM, 31BM, 31CM, 31DM)에 의해 소정 길이로 풀어내진 후 절단된다. 배관(35) 및 배관(35a, 35b, 35c, 35d) 사이에는 커터(34)가 통과하는 간극(G1)이 형성되어 있다. 인공모(30)는, 예를 들면, 인공모용으로서 특수처리가 가해진 폴리에스텔섬유, 아크릴섬유 등의 화학섬유로 이루어진다. 각 인공모(30)는 배관(35) 속을 관통하여 이송된다.
도 5 내지 도 7은 식모부(4)를 나타낸다. 이 식모부(4)는, 베이스(11)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상하동(上下動) 자재의 바늘(41(41a, 41b))과, 베이스(11)의 위쪽에 있어 이 바늘(41)의 바로 위에 설치되는 헤드부(42)로 이루어진다. 이 헤드부(42)는, 상기 배관(35)의 선단부에 설치된 인공모 공급노즐(37)에 착탈자재로 접속되는 관체로 이루어지는 가동가이드(43)와, 이 가동가이드(43) 및 상기 인공모 공급노즐(37)에서 이탈한 인공모(30)를 협지하는 개폐자재의 누르는 수단(44, 45)을 갖추고, 모터(46)에 의해 베이스(11)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자재이다. 부호(43a)는 상기 가동가이드(43)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모터이며, 모터축에 연결된 레버(43b) 및 연결판(43c)을 거쳐서, 가동가이드(43)를 구동한다. 상기 누르는 수단(44)은, 모터(44c)에 의해 개폐자재의 가동편(44a)과 고정수부(受部)(44b)로 이루어지며, 인공모(30)를 측면방향에서 협지한다. 상기 누르는 수단(45)은 구성편(45a, 45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편(44a)의 동작에 연결하여 상하 움직이고, 인공모(30)를 상하방향에서 협지한다. 부호(47)는, 상기 누르는 수단(44)을 포함하는 헤드부(42)를 바늘(41)방향으로 요동하게 하는 모터이다. 부호(48a)는 상기 헤드부(42)의 회전각도를 검지하는 회전각도 센서이다. 부호(48b)는 상기 누르는 수단(44)의 회전각도를 검지하는 회전각도 센서이다. 부호(49a)는 상기 바늘(41)을 상하 움직이는 모터, 부호(49b)는 모터(49)와 동기하여 바늘(41)을 베이스(11) 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는 모터이다. 도 5에 있어서, 상기 인공모(30)는 베이스(11)에 대하여 화살표 방향(X축 방향)으로 이송되어 온다. 상기 바늘(41)은 선단부를 창(槍) 모양으로 뾰족하게 형성하고, 선단부에 절결(41')을 설치한다. 상기 바늘(41)은 상하 이동자재의 바늘 암(도시하지 않음)에 일정의 간격, 예를 들면, 1mm를 두고 2개(41a, 41b) 장착된다. 각 바늘(41a, 41b)은 상기 절결(41')이 인공모(30)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동일 방향을 향하여 배치한다.
도 8은 식모부(植毛部)(4) 내의 유모부(流毛部)(5)를 나타낸다. 즉, 이식된 인공모(30)의 바로 밑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체인 컨베이어(51)를 설치하고, 이 컨베이어(51)에 복수 개의 당기는 바(bar)(52)를 부착하고 있다. 유지 바(53)는 이식된 인공모(30)에 의해 적당 거리 이간시켜 설치한다. 상기 컨베이어(51)는 일정 시간마다 회전하고, 이식된 인공모(30)를 상기 당기는 바(52)에 의해 오른쪽으로 당기고, 유지 바(53)에 의해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다음번 식모할 때 이식면에 방해물이 없는 상태로 이식할 수 있다.
도 15는 전자변(3위치 클로즈드 센터 더블 솔레이드)(39a)이며, 에어 컴프레서(39)에 연동하여 작동하고, 상기 진공발생기(32) 및 진공발생기(33)의 작동에 이용한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의한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의 동작을 살펴본다. 우선, 시트 인 롤러(27)부터 텐션 니프 롤러(24, 25)까지의 사이에 느슨함(T1)을 설치하고(도 9a), 다음으로 시트 아웃 롤러(28)를 회전시켜 송급한다(도 9b). 이 때까지는 텐션 니프 롤러(24, 25)는 열려 있다. 다음으로, 텐션 니프 롤러(24, 25)를 닫고, 이것에 의해 송급된 베이스(11)를 협지한 뒤, 시트 인 롤러(27)부터 텐션 니프 롤러(24, 25)까지의 사이에 재차 느슨함(T1)을 설치한다(도 9c). 다음으로, 시트 아웃 롤러(28)를 역전시켜 텐션 니프 롤러(24, 25)부터 시트 아웃 롤러까지의 사이에 느슨함(T2)을 설치한다(도 9d). 이것에 의해 이동테이블(21)이 이동 가능한 만큼 느슨함(T1, T2)을 형성한다. 또한, 도 9 중에서 시트 완화 센서(29)의 사선부분은 검지범위를 나타낸다. 또, 베이스(11)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송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송급된 베이스(11)는 텐션 니프 롤러(24, 25)에 의해 상하에서 니프되어 당겨지고, 이동테이블(21) 상에 있어서 신장상태로 된다(도 3참조). 다음으로, 식모의 피치, 인공모(30)의 배색 등 소정의 데이터가 도시하지 않은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제어수단으로 독해되어, 이 데이터에 따라 이식 공정이 개시된다. 또한 인공모(30)의 배색은, 예를 들면, 보빈(31A)이 50%, 보빈(31B)이 30%, 보빈(31C)이 15%, 보빈(31D)이 5%와 같이 미리 설계되어 있다.
이 이식공정에 앞서 인공모(30)는 베이스(11) 위쪽에 공급되어 있다. 즉, 인공모(30)의 공급은, 상기 제어수단의 지령에 의해 진공발생기(32, 33)를 작동하게 하는 실을 진공 흡입함으로써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A색의 인공모(30)를 선정하는 경우는, 진공발생기(32)속의 전자변(39a)(도 15에 나타낸다)의 〈1〉의 A포트 및 〈2〉의 A포트를 온으로 하고, 31A의 모터를 온으로 한다. B색의 인공모(30)를 선정하는 경우는, 상기 전자계(39a)의 〈1〉의 B포트 및 〈2〉의 B포트를 온으로 하고, 31B의 모터를 온으로 한다. C색의 인공모(30)를 선정하는 경우는, 상기 전자변(39a)의 〈3〉의 A포트 및 〈4〉의 A포트를 온으로 하고, 31C의 모터를 온으로 한다. D색의 인공모(30)를 선정하는 경우는, 상기 자계변(39a)의 〈3〉의 B포트 및 〈4〉의 B포트를 온으로 하고, 31D의 모터를 온으로 한다. 그리고 인공모(30)가 일정 길이에 도달한 것을, 예를 들면 광전관으로 이루어지는 실검지 센서(도시생략)가 검지했다면, 커터(34)가 동작하여 인공모(30)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이 프리한 상태에서 인공모(30)는 베이스(11) 위쪽으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인공모(30)의 이식이 행해진다. 우선, 가동가이드(43)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인공모 공급 노즐(37)에 접속된다, 이 때 누르는 수단(44, 45)은 개(開)로 되어 있다. 가동가이드(43)내에 인공모(30)가 관통삽입되면, 가동가이드(43)가 왼쪽으로 이동하고, 인공모 공급 노즐(37)에서 이탈한다. 다음으로 누르는 수단(44), 누르는 수단(45)이 대략 동시에 폐(閉)로 되며, 인공모(30)를 수평상태로 유지한다. 이 인공모(30)를 일시 고정한 상태에서, 헤드부(42)가 모터(46)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동시에 바늘(41)이 모터(49b)에 의해 모터(46)와 동기하고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다음으로 바늘(41)이 상승한다. 누르는 수단(44, 45)에 의하여 인공모(30)를 일시 고정한 상태로 모터(47)에 의해 바늘(41)방향으로 회동하고, 인공모(30)가 바늘(41)에 눌려 지면, 바늘(41)이 하강한다. 이 요동동작의 각도는 미리 결정되어 있고, 센서(48a)에 의해 감지된다. 바늘(41)이 하강할 때, 바늘(41)의 절결(41')에 인공모(30)가 들어가므로, 인공모(30)는 바늘(41)에 의해 베이스(11)의 하면측에 인출된다. 이 때 누루는 수단(44, 45)은 개(開)로 되어 있다. 미리 결정된 시간마다 컨베이어(51)가 회전하고, 이식된 인공모(30)는 유지바(53)에 의해 오른쪽으로 밀려온다. 이것에 의해 다음회 식모할 때 이식된 하면에 방해물 없는 상태로 이식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1)로의 인공모(30)의 이식은, 소정의 피치(P) 예를 들면 2mm로, 미리 설정된 순서로, 인공모(30)의 송급방향(X축)에 직교하는 방향 즉 Y축방향(도 13에 나타낸다)으로 이동 한 후 또는 X축방향으로 이동한 후 행해진다.
이렇게 하여 이식공정이 종료하면, 베이스(11)의 신장상태가 해제되며, 시트 아웃 롤러(28)가 작동하여 완성한 베이스(11a)의 배출처리가 행해진다(도 14a). 다음으로 상기한 시트 인 공정이 개시되고, 새로운 베이스(11)가 되는 면(11b)을 공급한다(도 14b).
상기한 각 부의 제어는 도시하지 않은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제어수단에 의해 행해진다.
다음으로 상기한 공정(A)을 도 16 내지 도 33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해 상세히 서술한다.
즉, 도 16 내지 도 18에 있어서 우선 전원을 온(ON)으로 하고(S1), 각 유닛을 이니셜라이즈(작업개시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S2). 다음으로, 각 유닛에 의해 이니셜라이즈 종료를 알리는 READY신호가 컴퓨터에 송신된다(S3). 다음으로 컴퓨터에 의해 작업개시 신호가 출력되며, 이 신호가 온 경우에는(S4), 스텝(S5)으로 이행한다. 이 신호가 오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S4)으로 복귀한다. 스텝(S5)에서는 배출 측의 시트 아웃 롤러(28)에 베이스(11)로 이루는 필름 시트가 있는지 아닌지가 판별되며, 있는 경우에는 도 30에 상세히 서술하는 시트 인 공정(S6)이 된다. 다음으로 도 31에 상세히 서술하는 시트 아웃 공정의 시트 아웃 롤러(28)가 정전(正轉)(S7)으로 된다. 배출 측에 베이스(11)가 되는 필름 시트가 없는 경우에는 ERROR LEVEL 9(필름 시트 미(未) 세트)로 되며(S8), 스텝(5)(S5)으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텐션 모터(26a)가 시계방향으로 정전하고, 텐션모터(26b)가 반시계방향으로 역전하며, 텐션모터(26c)가 정전하고, 텐션모터(26d)가 역전으로 된다(S9a∼S9d). 다음으로 도시하지 않은 캠 센서가 온인지 아닌지가 판단되며(S10a∼S10d), 온일 때는 각 텐션 모터(26a, 26b, 26c, 26d)가 오프(OFF)로 된다(S11a∼S11d). 상기 캠 센서가 온으로 되어 있지 않은 때는 스텝(9a(S9a))∼스텝(9d(S9d))으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텐션모터(26a, 26b, 26c, 26d)의 회전량을 저장하는 변수를 초기화하고(S12a∼S12d), 그 값이 설정치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13a∼S13d), YES일 때는 상기 텐션모터(26a, 26b, 26c, 26d)가 정지한다(S14a∼S14d). NO일 때는 상기 텐션(26a)이 역전, 텐션모터(26b)가 정전, 텐션모터(26c)가 역전, 텐션모터(26d)가 정전하고(S15a∼S15d), 다음으로 각 텐션모터(26a, 26b, 26c, 26d)의 회전량을 카운트한다(S16a∼S16d). 상기 스텝(9a, 9b, 9c, 9d) 내지 스텝(14a, 14b, 14c, 147d) 처리를 함으로써, 이동테이블(21)상에 공급된 시트베이스(11)를 텐션 니프 롤러(24, 25)에서 니프하여 텐션을 걸어 신장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도 30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시트 인 공정으로 되며, 시트 인 롤러(27)가 작동한다(S17). 다음으로 도 32에 상세히 서술하는 시트 아웃 공정으로 되며, 시트아웃 롤러(28)가 작동한다(S18). 다음으로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고(S19), 좌표데이터를 읽어들인다(S20). 데이터의 독해가 종료하면(S21), 이동테이블(21)의 X축구동모터가 정지하고(S22), 다음으로 이동테이블(21)의 Y축구동모터도 정지한다(S23). 다음으로 도 33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배출처리공정으로 이행한다(S24). 한편 데이터의 독해가 종료하지 않은 때는, 스텝(25(S25))으로 이행하고, 좌표데이터 위치가 소정의 위치인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이것이 YES일 때는 이동테이블(21)의 X축구동모터(도시생략)가 정지하고(S26), 다음으로 이동테이블(21)의 Y축구동모터(도시생략)도 정지한다(S27). 이것에 의해 위치결정이 종료하므로 다음의 이식공정으로 이행한다(S28). 좌표데이터위치가 NO일 때는 이동테이블(21)의 X축구동모터가 온으로 되며(S29), X축 리미트센서가 온인지 아닌지가 판별된다(S30). 이것이 YES일 때는 이동테이블(21)의 X축구동모터가 정지한다(S31). 그리고 ERROR(11)로 되었을 때는 (S32), 스텝(2(S2))으로 복귀한다. 상기 X축 리미트센서가 온으로 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Y축 리미트 센서가 온인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33), 온 일때는 이동테이블(21)의 Y축구동모터가 정지한다(S34). 그리고 ERROR(12)로 되었을 때는(S35) X축 H/P센서 이상(異常)·X축 구동모터 이상(異常)이므로, 스텝(2(S2))으로 복귀한다. 상기 좌측 Y축 리미트센서가 온으로 되어 있지 않을 때는 Y축 리미트센서가 온인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36), YES일 때는 스텝(34(S34))으로 이행하고, NO일 때는 이동테이블(21)의 Y축 구동모터가 온으로 되며(S37), 스텝(25(S25))으로 복귀한다.
다음에, 상기한 각 유닛 이니셜라이즈(S2)를 도 19 내지 도 2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보빈(31)에 인공모(30)를 삽입했는지 아닌지를 감지하는 센서가 온인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201), 온으로 되어 있을 때는 각 색의 인공모(30)를 권착한 보빈(31A), 보빈(31B), 보빈(31C), 보빈(31D)이 작업개시 상태로 세트되며, 도 20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롤러 이니셜라이즈로 된다(S203). 온으로 되어 있지 않을 때는 ERROR LEVEL(7)(인공모(30) 미삽입)로 되고, 스텝(201(S201))으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텐션·위치결정부(2)의 텐셔너(23) 및 식모부(4)의 바늘(41)이 각각 작업개시상태로 세트된다(S204, S205). 다음으로 이동테이블(21)이 작업개시상태로 세트된다(S206).
상기 롤러 이니셜라이즈를 도 20에 근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타이머를 초기화하고(S2031), 다음으로 베이스(11)가 되는 필름 시트를 공급하는 시트인 롤러(27)의 회전량을 저장하는 변수를 초기화한다(S2032). 다음으로 타이머를 스타트하고(S2033), 시트 완화 센서(29)가 온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S2034). 이것이 YES일 때는 시트 인 롤러(27)의 구동모터가 정지하고(S2035), 리턴으로 된다. 한편 상기 스텝(2034)이 NO일 때는, 타이머가 설정치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2036), YES일 때는 시트 인 롤러(27)의 구동모터가 정지한다(S2037). ERROR LEVEL(1)로 되었을 때는 베이스(11)가 되는 필름 시트가 없으므로(S2038), 스텝(201(S201))으로 복귀한다. 또 상기 설정치로 되어 있지 않을 때는 시트 인 롤러(27)의 구동모터가 온으로 되며(S2039), 시트 인 롤러(27)의 회전량을 카운트하고(S2040), 그 후 스텝(2034(S2034))으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도 21 및 도 22에 근거하여 텐셔너 이니셜라이즈를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타이머를 초기화하고 나서(S2041), 스타트 시킨다(S20422). 다음으로 텐션모터(26a)가 역전, 텐센모터(26b)가 정전, 텐션모터(26c)가 역전, 텐션모터(26d)가 정전한다(S2043a∼S2043d). 다음으로 도시하지 않은 캠 포지션 센서가 오프인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2044a∼S2044d), YES일 때는 각 텐션모터(26a, 26b, 26c, 26d)가 정지하고(S2045a∼S2045d), 그 후 리턴으로 된다. 한편 상기 스텝(2044a 내지 2044d)이 NO일 때는, 타이머가 설정치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2046a∼S2046d), YES일 때는 텐션모터(26a, 26b, 26c, 26d)가 정지한다(S2047a∼S2047d). ERROR LEVEL(2, 3, 4, 5 (S2048a∼S2048d))로 되어 있을 때는 텐셔너(23)의 고장이므로 스텝(201(S201))으로 복귀한다. 상기 스텝(2046a 내지 2046d)이 NO일 때는 스텝(2043a(S2043a)∼스텝(2043d(S2043d))으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도 23에 근거하여 바늘 이니셜라이즈를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타이머를 초기화하고 나서(S2051), 스타트 시킨다(S2052). 다음으로 베이스(11)가 되는 필름 시트가 도시하지 않은 바늘 위치 센서 상에 있는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2053), YES일 때는 바늘(41) 초기화용의 모터(49a)가 정지하고(S2054), 그 후 리턴으로 된다. 한편 상기 스텝(2053)이 NO일 때는, 타이머가 설정치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2055), YES일 때는 바늘(41) 초기화용의 모터(49a)가 정지한다(S2056). ERROR LEVEL(6)로 되었을 때는 바늘부의 이상(異常)이므로 스텝(201(S201))으로 복귀한다. 타이머가 설정치로 되어 있지 않은 때는 바늘(41) 초기화용의 모터(49a)가 온으로 되며(S2058), 그 후 스텝(2053(S2053))으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도 24 및 도 25에 근거하여 이동테이블 이니셜라이즈를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타이머를 초기화하고 나서(S2061), 스타트 시킨다(S2062). 다음으로 Y축의 원점을 검지하는 Y축 H/P센서가 온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2063), YES일 때는 이동테이블(21)의 Y축구동모터가 정지한다(S2064). 다음으로, X축의 원점을 검지하는 X축 H/P센서가 온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2065), YES일 때는 이동테이블(21)의 X축구동모터가 정지한다(S2066). 다음으로 타이머가 정지하고(S2067), 이식작업을 개시하는 Y축상의 원점위치인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2068), YES일 때는 이동테이블(21)의 Y축구동모터가 정지한다(S2069). 다음으로 X축의 이동량을 저장하는 변수를 초기화하고(S2070), 그 후 Y축의 이동량을 저장하는 변수를 초기화하고(S2071), 리턴으로 된다. 한편 스텝(2068)이 NO일 때는, 이동테이블(21)의 Y축구동모터가 정전으로 되며(S2072), Y축의 이동량을 카운트하고(S2073), 그 후 스텝(2068(S2068))으로 복귀한다.
스텝(2063)이 NO일 때는 스텝(2074(S2074))으로 이행하고, Y축 리미트센서가 온인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이것이 YES일 때는 이동테이블(21)의 Y축구동모터가 정지하고(S2075), 타이머가 정지한다(S2076). ERROR LEVEL(10)으로 되었을 때는(S2077), Y축 H/P센서 이상·Y축구동모터 이상이므로, 상기 스텝(201(S201))으로 복귀한다. 또 스텝(207)이 NO일 때는 타이머가 설정치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2078), YES일 때는 스텝(2075(S2075))로 이행하고, NO일 때는 이동테이블(21)의 Y축구동모터가 역전하고(S2079), 그 후 스텝(2063(S2063))으로 복귀한다.
스텝(2065)에 있어서 NO일 때는, X축 리미트센서가 온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S2080), YES일 때는 이동테이블(21)의 X축구동모터를 정지하고(S2081), 타이머를 정지하고(S2081), 타이머를 정지한다(S2082). ERROR LEVEL(11)로 되었을 때는(S2083), 이상이므로 스텝(201(S201))으로 복귀한다. 한편 스텝(2080)이 NO일 대는, 타이머가 설정치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2084), YES일 때는 스텝(2081(S2081))으로 이행하고, NO일 때는 이동테이블(21)의 X축구동모터를 정전으로 하고(S2085), 그 후, 스텝(2065(S2065))으로 복귀한다.
다음에, 도 26 내지 도 28에 의거하여 인공모(30)의 이식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타이머를 초기화하고 나서(S2801), 스타트 시킨다(S2802). 진공발생기(32)중의 전자변이 온으로 되며(S2803), 다음으로 진공발생기(33)중의 전자변이 온으로 된다(S2804). 다음으로 선택된 보빈의 구동용모터가 ON으로 되며, 당해 인공모(30)가 공급되며(S2805), 당해 인공모(30)가 가동가이드(43)내를 관통한다. 다음으로 소정 길이의 인공모(30)를 검지하는 실검지센서가 온인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2806), YES일 때는 선택된 보빈(31)을 구동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정지한다(S2807). 다음으로 진공발생기(33)중의 전자변이 정지하고(S2808), 다음으로 진공발생기(32)중의 전자변이 정지한다(S2809). 다음으로 가동가이드(43)를 구동시키는 모터(43a)가 역전온으로 되며(S2810), 가동가이드(43)가 왼쪽으로 움직인다(S2811∼S2812). 가동가이드(43)가 좌단에 도달하면 리미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모터(43a)는 역전 OFF로 된다. 이 때, 동시에 모터(44c)가 미리 결정된 각도회전하고(S2813∼S2815), 누르는 수단(44, 45)을 폐(閉)로 하고, 인공모(30)를 유지한다(S2816). 다음으로 카운터 모터(34a)가 구동된다(S2817). 다음으로 커터 솔레노이드가 온으로 되며 커터(34)를 간극(G1)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커터 솔레노이드가 오프로 되고 나서(S2819), 커터 모터(34a)가 정지하고(S2820), 인공모(30)가 커터(34)에 의해 소정 길이로 절단된다. 다음으로 커터 솔레노이드는 ON으로 되며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S2821∼S2822), OFF로 된다(S2823). 다음으로 모터(46, 49b)가 정전하고, 헤드부(42) 및 바늘(41)을 수평방향으로 회동한다(S2824∼S2825). 그 후, 도 28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바늘 상승으로 된다(S2826). 다음으로 모터(47)가 소정 각도 회전하고, 누르는 수단(44)을 바늘(41)방향으로 회동시킨다(S2827∼S2829). 다음으로 도 29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바늘 하강으로 된다(S2830). 이 바늘 하강 스텝에 있어서 바늘(41)은 인공모(30)를 절결(41')에 걸어서 하강한다. 이 바늘 하강 스텝의 직후(대략 동시)에, 모터(44c)가 역전하고 가동편(44a)을 개(開)로 한다(S2831∼S2833). 이것에 의해 당해 인공모(30)의 끌어내림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모터(46, 49b)가 수평방향에 있어서 역전하고 원위치로 복귀한다(S2834∼S2835). 다음으로 가동가이드(43)를 구동하는 모터(43a)가 정전 ON으로 되며(S2836), 가동가이드(43)가 오른쪽으로 움직인다(S2837). 이것에 의해 가동가이드(43)가 인공모 공급 노즐(37)에 접속하고, 모터(43a)가 정전 OFF로 된다(S2838). 그 후 스텝(2803)으로 복귀하며, X축, Y축이 소정의 피치를 이동한 후, 상기 한 인공모(30)의 이식공정을 반복한다. 상기 스텝(2806)이 NO일 때는, 타이머가 설정치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2839), YES일 때는 각 보빈(31)을 구동시키는 모터가 정지한다(S2840). ERROR LEVEL(8)로 되었을 때는 보빈(31)에 인공모(30)가 없는지, 털 막힘을 일으켰는지, 센서 이상인지의 어느 것이므로(S2841), 스텝(2801)으로 복귀한다. 스텝(2839)에 있어서 설정치로 되어 있지 않을 때는 각 보빈(31)을 구동시키는 모터가 구동되며(S2842), 스텝(2806)으로 복귀한다.
상기 스텝(2826)의 바늘 상승공정을 도 29a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도시하지 않은 바늘 위치센서가 위쪽인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2826-1), YES일 때는 바늘(41)을 상승시키는 모터(49a)의 회전이 정지하고(S2826-2), 그 후 리턴으로 된다. NO일 때는 바늘(41)을 상승시키는 모터(49a)의 회전이 온으로 되며(S2826-3), 스텝(2826-1(S2826-1))으로 복귀한다.
또 상기 스텝(2830)의 바늘 하강공정을 도 29b에 근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도시하지 않은 바늘 위치센서가 아래쪽인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2830-1), YES일 때는 바늘(41)을 하강시키는 모터(49a)의 회전이 정지하고(S2830-2), 그 후 리턴으로 된다. NO일 때는 바늘(41)을 하강시키는 모터(49a)의 회전이 온으로 되며(S2830-3), 스텝(2830-1(S2830-1))으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텝(6)의 시트 인 공정을 도 30에 근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시트 인 롤러(27)의 회전량을 저장하는 변수를 초기화한 후(S61), 시트 완화 센서(29)가 온인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62), YES일 때는 베이스 공급부(1)의 롤러 구동모터(15)가 정지하고(S63), NO일 때는 이 롤러 구동모터(15)를 구동하여 스텝(62)으로 복귀한다(S64). 다음으로 시트 인 롤러(27)의 회전량이 소정의 감아 빼내는 시간인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65), YES일 때는 시트 인 롤러(27)를 구동하는 시트 인 모터(27a)가 정지하고(S66), 그 후 리턴으로 된다. 상기 스텝(65)에 있어서 NO일 때는 상기 시트 인 모터(27a)가 구동되며(S67), 펄스 카운터에 의해 시트 인 롤러(27)의 회전량을 카운트하고(S68), 그 후 스텝(62)으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텝(7)의 시트 아웃 정전공정을 도 31에 근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시트 아웃 롤러(28)의 정전회수를 초기화한다(S71). 다음으로 시트 아웃 롤러(28)의 정전회수가 소정치인지 아닌지가 판단되며(S72), YES일 때는 시트 아웃 롤러(28)의 구동모터(28a)가 정지하고(S73), 그 후 리턴으로 된다. 스텝(72)이 NO일 때는, 시트 아웃 롤러(28)의 구동모터(28a)가 정전하고(S74), 다음으로 그 회전량을 카운트하고(S75), 그 후 스텝(72)으로 복귀한다. 이것에 의해 도 9a 내지 도 9c의 동작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상기 스텝(18)의 시트 아웃 역전공정을 도 32에 근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시트 아웃 롤러(28)의 역전회수를 초기화한다(S181). 다음으로 시트 아웃 롤러(28)의 역전회수가 소정치인지 아닌지가 판단되며(S182), YES일 때는 시트 아웃 롤러(28)의 구동모터(28a)가 정지하고(S183), 그 후 리턴으로 된다. 스텝(182)이 NO일 때는, 시트 아웃 롤러(28)의 구동모터(28a)가 역전하고(S184), 다음으로 그 회전량을 카운트하고(S185), 그 후 스텝(182)으로 복귀한다. 이것에 의해 도 9d의 동작이 행해진다.
다음에 스텝(24)의 배출처리공정을 도 3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Y축 H/P센서가 온인지 아닌지, 또 X축 H/P센서가 온인지 아닌지가 판별된다(S241a, S241b). 이것이 YES일 때는 이동테이블(21)의 Y축구동모터가 정지하고(S242a), 또 이동테이블(21)의 X축구동모터가 정지한다(S242b). 이것이 NO일때는 이동테이블(21)의 Y축구동모터가 역전하고(S243a), 스텝(241a)으로 복귀하며, 또 이동테이블(21)의 X축구동모터가 정전하고(S243b), 스텝(241b)으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펄스 카운터가 초기화되며, Y축의 이동량이 「0」로 된다(S244). 다음으로 Y축의 이동량이 규정위치로 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별된다(S245). 이것이 YES일 때는 이동테이블(21)의 Y축구동모터가 정지한다(S246). NO일 때는 이동테이블(21)의 Y축구동모터가 정전한(S247) 후, 그 이동량을 카운트하고(S248), 그 후 스텝(245)으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상기 시트아웃 정전공정(도 31)으로 이행하고(S249), 다음으로 상기 텐셔너 이니셜라이즈 공정(도 21 및 도 22)으로 이행한다(S250). 다음으로 시트 아웃 롤러(28)의 회전량을 초기화하고(S251), 다음으로 이것이 설정치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별되며(S252), YES일 때는 시트 아웃 롤러(28)를 구동하는 시트 아웃 모터(28a)가 정지하고(S253), 그 후 리턴으로 된다. 스텝(252)이 NO일 때는 시트 아웃 모터(28a)가 정전하고(S254), 시트 배출측의 이동량을 카운트하고(S255) 그 후 스텝(252)으로 복귀한다.
상기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먼저 바늘(41)의 폭(W)과 이식피치(P)와의 견연(牽連)관계가 분단된다. 즉, 자연상태에 있어서 인모(人毛)는 1mm 이하의 간격 통상 0.5mm정도에서 나는 것이 많다. 따라서 가발에 있어서의 털의 이식도 1mm 이하 예를 들면 0.5mm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식피치를 0.5mm정도로 하는데는, 바늘(41)의 폭은 0.5mm 보다 상당히 작게 하지 않으면 베이스에 꿰어진 바늘구멍이 연결되어 버리기 때문에 털 이식을 할 수 없다. 한편 바늘(41)의 폭(W)은 현재의 기술이나 소재에서는 어떻게 해도 약 1mm 이상으로 되어 버리고, 바늘(41)의 폭(W)을 0.5mm정도로 가늘게 하면 바늘이 부러지거나 굽거나 하는 트러블이 많게 된다라는 상반하는 관계가 있다.
그렇지만, 본원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11)는 신축성이 있는 시트로 이루어지므로, 텐션을 걸면 신장상태로 된다. 이 신장상태에 있어서 인공모(30)의 송급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바늘(41)의 폭(W)(실시예에서는 1mm로 했다)보다 피치 폭(P)(실시예에서는 2mm로 했다)을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이식에 수반하는 바늘 구멍이 연속하지 않는다. 게다가 이식피치(P)를 바늘(41) 폭(W)에서 배화(倍化)시켜도, 이식공정 종료후 베이스(11)의 신장상태가 해제되면 이식피치(P)는 베이스(11)의 수축에 의해 반감하기 때문에(실시예에서는 약 0.5mm로 된다), 바람직한 상태의 이식피치(P)로 된다. 따라서, 기계화가 가능하게되며, 이것에 의해 가발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부과하여, 베이스(11)는 통기성이 있고, 두부(頭部) 등 인체에 접착한 경우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한다.
또 이식된 인공모(30)는 유모부(5)에 의해 바늘(41)의 반대방향으로 흐르므로, 식모할 때 이식면에 방해물이 없는 상태로 이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식된 인공모(30)와 다음의 인공모(30)가 서로 얽히지 않고, 작업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 베이스(11)는 극히 얇은 것으로 이루어지므로, 식모공정(A) 후의 후가공이 자유로우며, 적용대상이 확대한다. 도 1은 입체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배출처리된 베이스(11)는 다음의 제 1 접착제 부여공정(B)으로 이행한다. 여기서는, 제 1접착제 부여부(6)에 의해 베이스(11) 상면에 이식된 인공모(30)를 고착하는 제 1접착제(61)를 부여한다. 즉, 제 1접착제 부여부(6)는, 탱크(62)와, 이 탱크(62)에 들어간 제 1접착제(61)와, 상기 에어컴프레서(39)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 1접착제(61)를 분출하는 노즐장치(63)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식모공정(A)에 있어서 인공모(30)를 이식된 베이스(11)의 상면에 남는 인공모(30)의 기단부(30a)(도 8에 나타낸다)에 제 1접착제(61)를 분사하고, 이 기단부(30a)를 베이스(11)에 고착한다. 상기 제 1접착제(61)는 속건성(速乾性)의 접착제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성형행정(D)에서의 가열 및 가압에 대응하도록 경화제가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재단공정(C)으로 이행한다. 여기서는, 커터장치(71)로 이루어지는 재단부(7)에 의해, 제 1접착제(61)를 부여한 베이스(11)를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한다.
다음으로 성형공정(D)으로 이행한다. 여기서는, 성형부(8)에 의해 상기 재단된 베이스(11)를 가열 및 가압하고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다. 이 성형부(8)는 예를 들면 두부의 치수로부터 산출한 입체형상으로 한 성형체(81)를 갖추고, 이 성형체(81)에 따라서 성형한다. 즉, 이 성형체(81)는, 좌우 반으로 나누어지게 되며, 또한 상하 한쌍의 빗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2접착제 부여공정(E)으로 이행한다. 여기서는, 제 2접착제 부여부(9)에 의해 베이스(11) 상면에 제 2접착제(91)를 부여한다. 즉, 제 2접착제 부여부(9)는, 탱크(92)와, 이 탱크(92)에 들어 있는 제 2접착제(91)와, 상기 에어컴프레서(39)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제 2접착제(91)를 분출하는 노즐장치(93)로 이루어지며, 고정된 제 1접착제(61) 위에 제 2접착제(91)를 분사하고, 가발 접착층(도시하지 않음)으로 한다. 상기 제 2접착제(91)는 의료용 접착제 등 사람의 피부에 붙이는 접착형태의 접착제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여 가발이 완성되며, 두부에 직접 붙여서 사용한다.
또 인공모(30)는 인모(人毛)와 같이 길이에 제한이 없고, 무단(無端)상태로 연결하여 공급 가능하기 때문에, 하루 작업량에 합치한 상황의 분(分)을 롤러에 공급하여 두면, 작업이 분단되지 않고 연속화하기 때문에 한층 신속성에 이바지한다.
또 인공모(30)의 색이나 재료를 복수로 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백발이 섞인 가발이나 물이나 습기에도 강한 전천후형의 가발이라는 특수한 가발도 신속 및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백발이 섞인 경우는, 부위에 따라 털의 양을 자유로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동테이블(21) 및 바늘(41)의 이동을 컴퓨터 등의 제어수단에 의해 행하므로, 식모 방법, 즉, 인공모(30)의 베이스(11)로의 꿰매는 방식도 직선으로 꿰매는 것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지그재그 꿰맴 등이 가능하고, 보다 빠지기 어려운 식모가 가능하게 된다.
본원 발명은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정의되어 있는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수정과 함께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베이스(11)로의 텐션정도는 베이스(11) 소재의 신축도에 따라서 변경 가능하며, 이것에 의해 이식피치(P)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베이스(11)는, 본문에 서술한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공급되는 경우 이외에, 수직상태로 공급되어도 좋다. 또, 베이스(11) 면이 비스듬한 상태로 공급되어도 좋다.
보빈(31)의 종류 및 개수는 임의이다.
베이스(11)를 구성하는 재료는, 합성수지제 섬유의 부직포 또는 통기성을 가지는 필름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또 동물성섬유, 식물성섬유, 광물성섬유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고, 직성물, 그 외 신축성이 있는 것이라면 소재·종류에 관계없다.
또 베이스(11)로의 인공모(30)의 이식은 비스듬한 방향으로 행하여도 좋다.
또, 인공모(30)의 길이도 컴퓨터 관리에 의해 설계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 인공모(30)를 배관(35)속으로 보내주기 위한 이동수단은 진공발생기 이외이여도 좋다.
또 인공모(30)의 공급은 단수이더라도 복수이더라도 좋다.
또 식모를 종료한 가발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성형공정(D)을 거치지 않고 편평한 상태 그대로 제품화해도 좋다.
또 본원 발명에 의해 제조하는 가발은 베이스(11)가 극히 얇은 것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두부에 직접 붙이는 것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배우용 가발과 같은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별도로 준비하는 두꺼운 모재(母材)(여기서는 피착자의 두부에 대응하도록 인공모(30)가 없는 상태로 단순히 입체형상으로만 성형되어 있는 것을 가리킨다.)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바늘(41)의 이동방향은 인공모(30)에 대하여 직각방향이면, 예를 들면 좌우방향으로 이동자재로 하도록 바늘(41)을 설치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및 가발의 제조방법은, 가발의 제 조에 유용하다.

Claims (20)

  1. 이동테이블과,
    상기 이동테이블에 베이스를 공급하는 베이스 공급수단과,
    상기 베이스 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테이블에 공급된 상기 베이스에 텐션을 걸어 신장상태로 한 뒤 위치결정하는 텐션·위치결정수단과,
    상기 베이스 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테이블에 공급되고 또한 상기 텐션·위치결정수단에 의해 신장상태로 위치결정된 상기 베이스 일면에 소정 길이의 인공모를 공급하는 인공모 공급수단과,
    상기 베이스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퇴(進退)자재이며, 상기 베이스의 타면 측에서 상기 일면 측으로 향하여 상기 베이스를 관통한 후, 상기 일면 측에 있어서 상기 인공모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상기 인공모를 계합(係合)하고, 또한 상기 타면 측에 복귀함으로써 상기 인공모를 상기 베이스의 상기 타면 측에 인출(引出)하여 상기 베이스에 이식하는 바늘과,
    상기 바늘에 의해 인공모 이식처리를 소정 피치마다 반복하여 행하기 위해 상기 이동테이블을 서로 직교하는 X, Y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이동시키는 테이블구동수단과,
    상기 바늘에 의한 인공모 이식처리가 종료했을 때에 상기 텐션·위치결정수단에 의한 텐션을 해제하고, 인공모가 이식된 상기 베이스를 신장상태로부터 개방하는 텐션 해제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모 공급수단에 의한 인공모의 공급은 상기 베이스의 하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모 공급수단에 의한 인공모의 공급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모를 협지(挾持)하는 개폐자재의 누르는 수단을 설치하고, 이 누르는 수단에 의해 인공모를 일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바늘에 의해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누르는 수단은 바늘방향으로 요동자재이며, 바늘 측으로의 요동동작 후 바늘에 의해 인공모의 인출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누르는 수단은 상기 인공모를 측면방향에서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누르는 수단은 상기 인공모를 상하방향에서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누르는 수단은 상기 인공모를 측면 및 상하방향에서 협지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은 서로 동기하여 왕복운동 하는 적어도 1쌍의 바늘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공모 공급수단에 의한 인공모의 송급방향에 평행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어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에 의한 인공모 이식처리의 피치는 인공모의 송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바늘 폭 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에 의한 인공모의 이식은 상기 베이스가 인공모의 송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에 의한 인공모의 이식은 상기 베이스가 인공모의 송급방향으로 이동한 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에 의한 인공모의 이식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모 공급수단이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테이블의 이동 및 상기 바늘의 이동은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제어수단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에 의해 이식된 인공모를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유모(流毛)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流毛)수단이, 이식된 인공모의 직하(直下)에 설치된 일정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바(ba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19. 이동테이블에 2차원의 얇은 베이스를 공급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테이블에 상기 베이스를 텐션을 건 상태로 신장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테이블에 상기 신장된 베이스를 위치결정하는 공정과
    상기 신장된 베이스의 일면측에 인공모를 공급하는 공정과,
    상기 신장된 베이스를 관통하여 왕복운동 하는 바늘에 의해 공급된 인공모를 계합하는 공정에 있어, 상기 인공모를 계합한 상기 바늘이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인공모가 신장된 베이스에 이식되며,
    상기 이동테이블이 소정의 피치로 이동하는 사이 상기 바늘에 의한 이식동작이 반복되는 공정 및
    상기 바늘에 의한 이식동작 종료 후 상기 베이스를 신장상태로부터 해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가발제조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된 인공모를 상기 베이스에 고착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이면에 제 1접착제를 부여하는 제 1접착제 부여공정과,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제 2접착제를 부여하는 제 2접착제를 부여공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발제조방법.
KR1020047002736A 2001-09-28 2002-08-22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및 가발의 제조방법 KR100871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02537 2001-09-28
JP2001302537A JP3561840B2 (ja) 2001-09-28 2001-09-28 かつら製造用自動植毛機及びかつらの製造方法
PCT/JP2002/008462 WO2003028497A1 (fr) 2001-09-28 2002-08-22 Systeme d'implantation automatique de cheveux pour la fabrication de perru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perru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797A KR20040047797A (ko) 2004-06-05
KR100871928B1 true KR100871928B1 (ko) 2008-12-05

Family

ID=1912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736A KR100871928B1 (ko) 2001-09-28 2002-08-22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및 가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165554B2 (ko)
EP (1) EP1430798A4 (ko)
JP (1) JP3561840B2 (ko)
KR (1) KR100871928B1 (ko)
CN (1) CN1254202C (ko)
AU (1) AU2002325547B2 (ko)
CA (1) CA2461848A1 (ko)
HK (1) HK1073592A1 (ko)
RU (1) RU2295897C2 (ko)
WO (1) WO20030284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153A1 (ko) * 2015-07-06 2017-01-12 (주)하이모 매듭시스템, 매듭방법 및 그를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2948B2 (ja) * 2002-02-28 2007-08-22 株式会社プロピア かつら製造用針
US7165557B2 (en) * 2003-04-10 2007-01-23 Propia Co., Ltd. Hair-transplan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sulting hair-transplanted piece
US7093376B2 (en) * 2004-10-19 2006-08-22 Ennova Direct, Inc. Hair drying and shaping system
JP2006219794A (ja) * 2005-02-14 2006-08-24 Teijin Fibers Ltd 人工毛髪用巻き糸体
TW201221256A (en) * 2010-11-23 2012-06-01 Ind Tech Res Inst Transmitting wire module
ITCS20120012A1 (it) * 2012-03-02 2013-09-03 Evergreen Srl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impianti tricologici, partendo dalla scansione e digitalizzazione della conformazione cranica di un individuo.
WO2015194686A1 (ko) * 2014-06-18 2015-12-23 박년출 히터를 구비한 가발제조용 실링장치
WO2016010173A1 (ko) * 2014-07-15 2016-01-21 홍택수 가발 제조시스템
KR101957702B1 (ko) * 2018-03-16 2019-03-13 김백연 인조모발 성형기
CN109691714A (zh) * 2019-01-23 2019-04-30 安徽美源发制品有限公司 一种假发卷动收纳装置
JP7252782B2 (ja) * 2019-02-25 2023-04-05 Juki株式会社 植毛装置
JP7246967B2 (ja) * 2019-02-25 2023-03-28 Juki株式会社 植毛装置
JP7316913B2 (ja) * 2019-11-15 2023-07-28 Juki株式会社 毛髪供給装置
JP7368194B2 (ja) * 2019-11-15 2023-10-24 Juki株式会社 毛髪供給装置
US20210282485A1 (en) * 2020-03-11 2021-09-16 Brittany Reed Wig making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23139406A (ja) * 2022-03-22 2023-10-04 Juki株式会社 植毛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7607A (ja) * 2005-07-01 2007-01-18 Inst Of Research & Innovation エンジン排出ガスの浄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14247A (en) * 1955-08-15 1959-06-03 Cascelloid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a wig or head of hair
US3013567A (en) * 1953-03-10 1961-12-19 Rooted Hair Inc Method of stitching strands of simulated hair to a workpiece and of brushing aside loose ends of hair
JPS4924474U (ko) * 1972-06-06 1974-03-01
JPS4924474A (ko) 1972-06-29 1974-03-04
JPS5170062A (en) * 1974-03-14 1976-06-17 Masaji Goto Jinzoshokumohifuto sonoseizohoho
JPS5936707A (ja) * 1982-08-20 1984-02-29 株式会社アデランス 連続v植え人工皮膚かつら植毛機
JP2727459B2 (ja) 1988-10-28 1998-03-11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植毛機の給毛ユニット
US5875788A (en) * 1996-12-16 1999-03-02 Loren; Daniel Fiber bundles
KR100311684B1 (ko) * 1998-08-04 2001-12-28 호 택 정 가발용웨빙의웨프트형성장치
KR100725606B1 (ko) * 2000-04-28 2007-06-08 프로피아 가부시끼 가이샤 전자동 가발제조기 및 가발의 제조방법
DE10159188C1 (de) * 2001-12-03 2003-03-06 Werner Ulrich Haarstechmas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7607A (ja) * 2005-07-01 2007-01-18 Inst Of Research & Innovation エンジン排出ガスの浄化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153A1 (ko) * 2015-07-06 2017-01-12 (주)하이모 매듭시스템, 매듭방법 및 그를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
US10426210B2 (en) 2015-07-06 2019-10-01 Himo, Inc. Knotting system, knotting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wig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73592A1 (en) 2005-10-14
US20040250829A1 (en) 2004-12-16
KR20040047797A (ko) 2004-06-05
CN1558728A (zh) 2004-12-29
CN1254202C (zh) 2006-05-03
RU2295897C2 (ru) 2007-03-27
JP3561840B2 (ja) 2004-09-02
CA2461848A1 (en) 2003-04-10
EP1430798A1 (en) 2004-06-23
RU2004113108A (ru) 2005-03-10
WO2003028497A1 (fr) 2003-04-10
US7165554B2 (en) 2007-01-23
EP1430798A4 (en) 2007-05-30
AU2002325547B2 (en) 2007-08-16
JP2003105616A (ja) 200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928B1 (ko) 가발제조용 자동식모기 및 가발의 제조방법
EP1762149B1 (en) Artificial hair piece
CN103720098B (zh) 假发以及假发的制造方法
CN101489426A (zh) 假发及其制造方法
KR100954161B1 (ko) 가발제조용 바늘
RU2336792C2 (ru) Способ трансплантации волос,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и изделие, содержащее трансплантированные волосы
US4103365A (en) Method of implanting synthetic hair
JP3552095B2 (ja) かつら製造用自動植毛機及び自動植毛方法
US4027675A (en) Method for implanting hair
JP3552096B2 (ja) 全自動かつら製造機及びかつらの製造方法
EP0793522B1 (en) Method to produce a wig which can be glued onto a body part of a toy figure
GB2148112A (en) A method of implanting hair on a sheet support
CN109667044A (zh) 一种聚乳酸纤维长毛绒织物及其编织工艺
DE19960062C1 (de)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Haaren mit einem Harrteil, insbesondere Toupet
KR100269270B1 (ko) 가발제조방법
JP2023141178A (ja) 自動植毛装置
JP2007031854A (ja) 毛髪植設方法及びかつら
CN1164197A (zh) 一种可粘到玩具体部的假发制造方法及粘上的假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