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702B1 - 인조모발 성형기 - Google Patents

인조모발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702B1
KR101957702B1 KR1020180030635A KR20180030635A KR101957702B1 KR 101957702 B1 KR101957702 B1 KR 101957702B1 KR 1020180030635 A KR1020180030635 A KR 1020180030635A KR 20180030635 A KR20180030635 A KR 20180030635A KR 101957702 B1 KR101957702 B1 KR 101957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artificial hair
roller
conveyo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백연
Original Assignee
김백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백연 filed Critical 김백연
Priority to KR1020180030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75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wi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2/003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의 상측에서 이송되는 인조모발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인조모발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내측에 제1모터 및 제2모터가 구비된 선반과; 상기 선반의 상부로 이송되는 인조모발을 선반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1모터와 밸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복수개의 컨베이어롤러가 고정프레임을 통하여 상,하 배치되는 형상으로 상기 선반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부와; 상기 컨베이어부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모터와 밸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복수개의 압착롤러가 상,하 배치된 형상으로 컨베이어부를 통하여 이송되는 인조모발을 선반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며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성형부와; 상기 선반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성형부를 통하여 이송되는 인조모발을 이송시키며 가열하는 히터박스와; 상기 컨베이어부와 대향되게 상기 선반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박스를 통하여 가열된 인조모발을 선반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인조모발 성형기{FORMING APPARATUS FOR ARTIFICIAL HAIR}
본 발명은 인조모발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의 상측에서 이송되는 인조모발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인조모발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가발이란, 머리털이나 이와 유사한 것으로 머리 모양을 만든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발은 의례나 연극의 분장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나, 대개는 머리숱이 적거나 두피에 손상을 입은 사용자가 쓸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대인관계를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가발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를 섬유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며, 다양한 두께의 섬유를 섞어서 사용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모발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미용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들을 위하여 모발의 색상이나 형태를 다양하게 개선하여 착용한 사용자의 패션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가발이 많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문헌(1), 문헌(2)에서와 같이, 제작된 인조가발의 가모를 기기를 이용하여 컬링 교정할 수 있는 헤어 아이론과, 제작된 인조가발의 가모를 세팅기에 감고 열을 전달하여 가모가 자연스러운 웨이브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세팅기가 제안되거나, 문헌(3)에서와 같이, 가발을 제작하기 위한 인조 가모를 균일하고 신속하게 꼬아 가모에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는 연사기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 문헌(2)와 같은 종래의 헤어 아이론 및 세팅기는 제작된 인조가발의 가모를 작업자가 일일이 감거나 교정시킨 후 가열해야 함으로써, 가발을 형성하기 위한 인조모발의 가공시간이 불필요하게 증가되고, 이에 따른 가공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문헌(3)과 같은 경우에도 가발을 형성하기 위한 인조모발의 웨이브 크기 등을 조절하며 신속하고 편리하게 가공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 인조모발의 컬링을 이루는 과정에서는 인조모발의 가열시간을 작업자가 지정하여 수행함으로써 컬링을 이루기 위한 인조모발에 충분한 열이 전달되지 않아 컬링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과다한 가열시간으로 인하여 인조모발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18978(2007.05.10) (2)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422904(2006.07.25) (3)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689979(2016.12.2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발을 형성하기 위한 인조모발의 컬링과정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구비된 성형부와 히터박스의 구성을 통하여 인조모발의 형상을 잡아주며 가열하는 과정의 분리 수행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인조모발의 컬링과정 효율을 높여 불필요한 작업시간,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히팅부의 구성을 통하여 인조모발의 가열과정에서 인조모발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컬링과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사용중에 성형기를 이루는 컨베이어부, 성형부, 히터박스, 롤러부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편리하게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에 제1모터 및 제2모터가 구비된 선반과; 상기 선반의 상부로 이송되는 인조모발을 선반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1모터와 밸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복수개의 컨베이어롤러가 고정프레임을 통하여 상,하 배치되는 형상으로 상기 선반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부와; 상기 컨베이어부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모터와 밸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복수개의 압착롤러가 상,하 배치된 형상으로 컨베이어부를 통하여 이송되는 인조모발을 선반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며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성형부와; 상기 선반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성형부를 통하여 이송되는 인조모발을 이송시키며 가열하는 히터박스와; 상기 컨베이어부와 대향되게 상기 선반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박스를 통하여 가열된 인조모발을 선반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형부는 판 형상으로, 상부 테두리에서 내측 중심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설치공과, 상기 제1설치공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설치공이 형성된 하부브라켓과, 상기 제1설치공의 선택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상부압착롤러와, 상기 제2설치공의 선택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모터와 밸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하부압착롤러와, 상기 하부브라켓의 제1설치공 및 제2설치공을 덮도록 연결되는 하부브라켓 및 상기 하부브라켓과 고정브라켓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박스는 상기 선반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측에는 복수개의 열판이 구비된 박스 형상의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내측에는 복수개의 열판이 구비된 박스 형상의 상부하우징과, 상기 선반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의 방향으로 바람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에는 브라켓을 통하여 복수개의 회전롤러 및 구동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 및 구동롤러와 연결되며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의 연결 부위를 관통하며 이동되게 이송밸트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는 상기 롤러부와 수평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부와 성형부 사이, 상기 성형부와 히터박스의 사이 및 상기 히터박스와 롤러부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롤러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이송프레임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압착롤러와 하부압착롤러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요철부를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가발을 형성하기 위한 인조모발의 컬링과정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다.
둘째, 구비된 성형부와 히터박스의 구성을 통하여 인조모발의 형상을 잡아주며 가열하는 과정의 분리 수행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인조모발의 컬링과정 효율을 높여 불필요한 작업시간,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히팅부의 구성을 통하여 인조모발의 가열과정에서 인조모발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컬링과정을 이룰 수 있다.
넷째, 사용중에 성형기를 이루는 컨베이어부, 성형부, 히터박스, 롤러부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편리하게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모발 성형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모발 성형기의 성형부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모발 성형기의 성형부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다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모발 성형기의 컨베이어부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모발 성형기의 히터박스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인 인조모발 성형기의 사용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내측에 제1모터(11) 및 제2모터(12)가 구비된 선반(10)과; 상기 선반(10)의 상부로 이송되는 인조모발(1)을 선반(10)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1모터(11)와 밸트(B)를 통하여 연결되는 복수개의 컨베이어롤러(21)가 고정프레임(22)을 통하여 상,하 배치되는 형상으로 상기 선반(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부(20)와; 상기 컨베이어부(20)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모터(12)와 밸트(B)를 통하여 연결되는 복수개의 압착롤러(32)가 상,하 배치된 형상으로 컨베이어부(20)를 통하여 이송되는 인조모발(1)을 선반(10)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며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성형부(30)와; 상기 선반(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성형부(30)를 통하여 이송되는 인조모발(1)을 이송시키며 가열하는 히터박스(40)와; 상기 컨베이어부(20)와 대향되게 상기 선반(1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박스(40)를 통하여 가열된 인조모발(1)을 선반(10)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롤러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반(10)은 상술한 컨베이어부(20), 성형부(30), 히터박스(40), 롤러부(50)가 지정된 위치에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는 금속재의 프레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제1모터(1) 및 제2모터(12)가 내측에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선반(10)은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하단에 복수개의 바퀴(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본 발명인 인조모발 성형기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위치시키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부(20)는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선반(10)의 상부로 이송되는 인조모발(1)을 성형부(30)의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선반(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금속재의 고정프레임(22) 사이로 복수개의 컨베이어롤러(21)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 구성된다.
특히, 상기 컨베이어롤러(21)는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선반(10)의 내측에 구비된 제1모터(11)와 밸트(B)로 연결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제1모터(11)를 작동시키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롤러(21)가 제1모터(11)의 회전과 대응되는 회전을 이루며, 투입되는 인조모발(1)을 성형부(30)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롤러(21)는 도 1 및 도 4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22)에 상,하 방향을 이루도록 마주보게 설치되어 투입되는 인조모발(1)이 컨베이어롤러(21)의 사이로 안내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는, 상기 컨베이어부(20)를 통하여 상기 성형부(30)로 인조모발(1)을 이송시키는 경우에도 컨베이어부(20)의 컨베이어롤러(21) 구성을 통하여 인조모발(1)이 평평하게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성형부(30)를 통한 인조모발(1)의 가압 과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베이어부(20)가 선반(10)의 상부 일측에 위치되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선반(10)의 상측에서 인조모발(1)의 이송이 용이한 구성이라면 상기 컨베이어부(20)를 복수 개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설치 위치를 사용자가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성형부(3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부(20)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선반(10)의 상부에 설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성형부(30)는 복수개의 안착롤러(32) 사이로 컨베이어부(20)를 통하여 안내된 인조모발(1)이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되고, 삽입이 이루어진 후에는 안착롤러(32)의 구성을 통하여 인조모발(1)의 상,하 부위를 가압하며 히터박스(40)의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성형부(30)는 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부 테두리에서 내측 중심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설치공(31a)과, 상기 제1설치공(31a)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설치공(31b)이 형성된 하부브라켓(31)과, 상기 제1설치공(31a)의 선택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상부압착롤러(32a)와, 상기 제2설치공(31b)의 선택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모터(12)와 밸트(B)를 통하여 연결되는 하부압착롤러(32b)와, 상기 하부브라켓(31)의 제1설치공(31a) 및 제2설치공(31b)을 덮도록 연결되는 하부브라켓(33) 및 상기 하부브라켓(31)과 고정브라켓(32)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고정브라켓(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브라켓(32)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선반(10)의 상측에 견고하게 설치되며, 상술한 제1설치공(31a) 및 제2설치공(31b)이 형성된 금속재의 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브라켓(32)의 제1설치공(31a)에 상부압착롤러(32a)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제2설치공(31b)에 하부압착롤러(32b)를 설치 구성한 후에 상기 하부브라켓(31)의 상부로 상부브라켓(33) 및 고정브라켓(34)을 연결 구성하여 상부압착롤러(32a)와 하부압착롤러(32b)가 하부브라켓(31)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성형부(30)로부터 이송되는 인조모발(1)이 상부압착롤러(32a)와 하부압착롤러(32b)의 사이로 이송되며 상,하 방향으로 압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압착롤러(32a)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설치공(31a)에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하부압착롤러(32b)는 상기 제2설치공(31b)에 한 개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압착롤러(32a)와 하부압착롤러(32b)가 상,하 방향으로 교차되게 설치 구성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압착롤러(32a)와 하부압착롤러(32b)의 사이로 이송되는 인조모발(1)이 용이하게 압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상부압착롤러(32a)와 하부압착롤러(32b)의 연결되는 구성은 인조모발(1)의 컬링을 이루기 위한 형태에 따라 작업자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압착롤러(32a), 하부압착롤러(32b) 중 어느 하나의 압착롤러는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선반(10)의 내측에 구비된 제2모터(12)와 밸트(B)를 통하여 연결 구성되어 상기 제2모터(12)의 회전에 대응되는 회전을 이루고, 상기 제2모터(12)와 연결되지 않은 다른 압착롤러들은 상기 제2몹터(12)의 회전에 대응되는 회전을 이루는 압착롤러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모터(12)와 하부압착롤러(32b)가 밸트(B)를 통하여 연결되게 구성하고, 한 쌍의 상부압착롤러(32a)는 상기 하부압착롤러(32b)의 회전에 따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2모터(12)를 작업자가 작동시켜 상부압착롤러(32a)와 하부압착롤러(32b)를 회전시키며, 그 사이로 상기 컨베이어부(20)로부터 전달되는 인조모발(1)을 상,하 방향으로 압착하며 히터박스(40)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송시키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상부압착롤러(32a)와 하부압착롤러(32b)는 도시한 도 2에서와 같이, 외주면 둘레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요철부(32a-1,32b-1)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요철부(32a-1,32b-1)는 인조모발(1)의 컬링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조모발(1)의 파마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요철부(32a-1,32b-1)는 2~8cm 이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가 인조모발(1)에 형성하기 위한 파마의 간격에 따라 2~8cm 이내의 간격을 유지하는 요철부(32a-1,32b-1)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인조모발(1)의 컬링과정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히터박스(40)는 도 1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선반(10)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측에는 복수개의 열판(45)이 구비된 박스 형상의 하부하우징(41)과, 상기 하부하우징(41)의 상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내측에는 복수개의 열판이 구비된 박스 형상의 상부하우징(42)과, 상기 선반(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하우징(41)과 상부하우징(42)의 방향으로 바람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송풍기(4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선반(10)에는 브라켓(44c)을 통하여 복수개의 회전롤러(44a) 및 구동롤러(44b)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44a) 및 구동롤러(44b)와 연결되며 상기 하부하우징(41)과 상부하우징(42)의 연결 부위를 관통하며 이동되게 이송밸트(44d)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하우징(41)과 상부하우징(42)은 내측에 복수개의 열판(45)이 구비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5에서와 같이, 구비된 열판(45)이 상호 마주보는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하부하우징(41)과 상부하우징(42)의 결합시,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위가 소정 간격 벌어지도록 설치 구성된다.
이는, 상기 이송밸트(44d)가 상기 하부하우징(41)과 상부하우징(42)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은 즉, 상기 이송밸트(44d)의 구성을 통하여 성형부(30)를 통하여 컬링이 이루어진 인조모발(1)이 상기 하부하우징(41)과 상부하우징(42)의 사이로 이송되며 열판(45)의 열을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밸트(44d)는 도 1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브라켓(44c)을 통하여 선반(1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회전롤러(44a) 및 구동롤러(44b)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44b)의 작동에 따라 회전롤러(44a)를 따라 안내되며 일 방향 이동을 이루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롤러(44b)는 상술한 제1모터(11) 또는 제2모터(12)와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되어, 상기 제1모터(11) 또는 제2모터(12)의 회전력을 통하여 작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별도의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작업자의 모터(미도시) 조절에 따라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판(45)은 상기 하부하우징(41)과 상부하우징(42)의 내측에 복수개가 배열 배치되게 구성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외부 전원을 통하여 가열되는 히팅선의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송풍기(43)는 상기 열판(45)의 방향으로 바람을 공급하여 상기 열판(45)을 통과한 공기가 가열되며 상기 하부하우징(41)과 상부하우징(42)의 사이로 이송되는 인조모발(1)로 전달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송풍기(43)와 열판(45)의 구성은 하부하우징(41)과 상부하우징(42)의 사이로 이송되는 인조모발(1)로 가열된 공기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면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그 설치 위치와 결합되는 관계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롤러부(50)의 일측에는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롤러부(50)와 수평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51)과, 상기 연결프레임(51)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롤러부(50)는 복수개의 이송롤러(52)가 연결프레임임(51)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히터박스(40)를 통과한 인조모발(1)을 작업자가 선택된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부(50)는 본 발명에서 상기 선반(10)의 상부 일측에 하나가 설치되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롤러부(50)를 연결 구성하여 상기 히터박스(40)를 통하여 성형되며 이송되는 인조모발(1)을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까지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컨베이어부(20)와 성형부(30)의 사이, 상기 성형부(30)와 히터박스(40)의 사이 및 상기 히터박스(40)와 롤러부(50)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롤러(61)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이송프레임(60)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송프레임(60)은 상기 컨베이어부(20)를 통하여 성형부(30)로 이송되는 인조모발(1)이 성형부(30)에서 히터박스(40)로 용이하게 이송되고, 상기 히터박스(40)에서 롤러부(50)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컨베이어부(20)로 투입되는 인조모발(1)이 성형부(30), 히터박스(40)를 통하여 용이하게 성형과정을 거친 후에 상기 롤러부(50)를 통하여 사용자가 지정된 위치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컨베이어부(20)로 투입되는 인조모발(1)을 롤러부(50)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안내하며 모발의 압축과정과 가열과정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인조모발의 컬링과정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인조모발
10: 선반 11: 제1모터
12: 제2모터 20: 컨베이어부
21: 컨베이어롤러 22: 고정프레임
30: 성형부 31: 하부브라켓
31a: 제1설치공 31b: 제1설치공
32: 압착롤러 32a: 상부압착롤러
32a-1, 32b-1: 요철부
32b: 하부압착롤러 33: 상부브라켓
34: 고정브라켓 40: 히터박스
41: 하부하우징 42: 상부하우징
43: 송풍기 44a: 회전롤러
44b: 구동롤러 44c: 브라켓
44d: 이송밸트 50: 롤러부
51: 연결프레임 52: 이송롤러
60: 이송프레임 61: 롤러
B: 밸트

Claims (6)

  1. 내측에 제1모터(11) 및 제2모터(12)가 구비된 선반(10)과;
    상기 선반(10)의 상부로 이송되는 인조모발(1)을 선반(10)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1모터(11)와 밸트(B)를 통하여 연결되는 복수개의 컨베이어롤러(21)가 고정프레임(22)을 통하여 상,하 배치되는 형상으로 상기 선반(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부(20)와;
    상기 컨베이어부(20)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모터(12)와 밸트(B)를 통하여 연결되는 복수개의 압착롤러(32)가 상,하 배치된 형상으로 컨베이어부(20)를 통하여 이송되는 인조모발(1)을 선반(10)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며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성형부(30)와;
    상기 선반(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성형부(30)를 통하여 이송되는 인조모발(1)을 이송시키며 가열하는 히터박스(40)와;
    상기 컨베이어부(20)와 대향되게 상기 선반(1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박스(40)를 통하여 가열된 인조모발(1)을 선반(10)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롤러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모발 성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30)는
    판 형상으로, 상부 테두리에서 내측 중심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설치공(31a)과, 상기 제1설치공(31a)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설치공(31b)이 형성된 하부브라켓(31)과,
    상기 제1설치공(31a)의 선택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상부압착롤러(32a)와,
    상기 제2설치공(31b)의 선택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모터(12)와 밸트(B)를 통하여 연결되는 하부압착롤러(32b)와,
    상기 하부브라켓(31)의 제1설치공(31a) 및 제2설치공(31b)을 덮도록 연결되는 상부브라켓(33) 및
    상기 하부브라켓(31)과 고정브라켓(32)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고정브라켓(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모발 성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박스(40)는
    상기 선반(10)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측에는 복수개의 열판(45)이 구비된 박스 형상의 하부하우징(41)과,
    상기 하부하우징(41)의 상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내측에는 복수개의 열판(45)이 구비된 박스 형상의 상부하우징(42)과,
    상기 선반(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하우징(41)과 상부하우징(42)의 방향으로 바람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송풍기(43)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10)에는 브라켓(44c)을 통하여 복수개의 회전롤러(44a) 및 구동롤러(44b)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44a) 및 구동롤러(44b)와 연결되며 상기 하부하우징(41)과 상부하우징(42)의 연결 부위를 관통하며 이동되게 이송밸트(44d)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모발 성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50)의 일측에는
    상기 롤러부(50)와 수평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51)과,
    상기 연결프레임(51)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모발 성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20)와 성형부(30) 사이, 상기 성형부(30)와 히터박스(40)의 사이 및 상기 히터박스(40)와 롤러부(50)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롤러(61)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이송프레임(6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모발 성형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압착롤러(32a)와 하부압착롤러(32b)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요철부(32a-1,32b-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모발 성형기.
KR1020180030635A 2018-03-16 2018-03-16 인조모발 성형기 KR101957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635A KR101957702B1 (ko) 2018-03-16 2018-03-16 인조모발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635A KR101957702B1 (ko) 2018-03-16 2018-03-16 인조모발 성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702B1 true KR101957702B1 (ko) 2019-03-13

Family

ID=6576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635A KR101957702B1 (ko) 2018-03-16 2018-03-16 인조모발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7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1569A (zh) * 2021-12-30 2022-04-05 邵阳市宏邦发制品有限公司 自卷曲综合假发定型系统
CN114304789A (zh) * 2021-12-25 2022-04-12 邵阳市宏邦发制品有限公司 自动假发卷曲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0798A1 (en) * 2001-09-28 2004-06-23 Hochi, Hiroshi Automatic hair implanter for manufacturing wi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ig
KR200422904Y1 (ko) 2006-05-24 2006-08-02 소기섭 인조 가발 세팅기
KR100718978B1 (ko) 2006-09-16 2007-05-18 염대권 헤어 아이론
KR200436461Y1 (ko) * 2006-11-06 2007-08-23 현종철 탄성와이어를 이용한 모발용 와이어 콤 성형장치
KR101689979B1 (ko) 2015-11-25 2017-01-09 솔피아 그룹 주식회사 꼬임 가발 제작용 연사기
KR200487756Y1 (ko) * 2017-09-13 2018-10-29 배만재 인조모발 원사의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0798A1 (en) * 2001-09-28 2004-06-23 Hochi, Hiroshi Automatic hair implanter for manufacturing wi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ig
KR200422904Y1 (ko) 2006-05-24 2006-08-02 소기섭 인조 가발 세팅기
KR100718978B1 (ko) 2006-09-16 2007-05-18 염대권 헤어 아이론
KR200436461Y1 (ko) * 2006-11-06 2007-08-23 현종철 탄성와이어를 이용한 모발용 와이어 콤 성형장치
KR101689979B1 (ko) 2015-11-25 2017-01-09 솔피아 그룹 주식회사 꼬임 가발 제작용 연사기
KR200487756Y1 (ko) * 2017-09-13 2018-10-29 배만재 인조모발 원사의 성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4789A (zh) * 2021-12-25 2022-04-12 邵阳市宏邦发制品有限公司 自动假发卷曲装置
CN114304789B (zh) * 2021-12-25 2024-02-02 邵阳市宏邦发制品有限公司 自动假发卷曲装置
CN114271569A (zh) * 2021-12-30 2022-04-05 邵阳市宏邦发制品有限公司 自卷曲综合假发定型系统
CN114271569B (zh) * 2021-12-30 2024-02-02 邵阳市宏邦发制品有限公司 自卷曲综合假发定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702B1 (ko) 인조모발 성형기
CN101822457B (zh) 头发处理装置及带有该装置的头发处理设备
CN101380839A (zh) 全自动无纺布丝网印刷机
CN207193635U (zh) 一种绳带烫平机
CN209468459U (zh) 一种皮革基布室型烘干装置
CN112226935A (zh) 一种环保无甲醛纳米涂料染色面料的加工系统
CN105568571A (zh) 自动车缝系统
CN107777356A (zh) 一种多功能发制品除味装置
KR20170109307A (ko) 드라이어 겸용 무선 고대기
CN206916462U (zh) 一种复合布料的定型装置
CN211619567U (zh) 一种通信工程的线缆传输装置
CN210463892U (zh) 一种衣服加工用循环烘干装置
CN107549976A (zh) 一种用于头发梳理的头盔
CN210374450U (zh) 一种纺织面料烘干机构
CN209749897U (zh) 倒毛装置及自动倒毛机
CN211608318U (zh) 一种新型发制品卷发便携设备
CN210203737U (zh) 免手持干发机
CN208238480U (zh) 一种合成革生产用干燥装置
CN206507175U (zh) 一种茶叶加工装置
CN211036454U (zh) 一种人造毛皮用底布热风辊
CN209857579U (zh) 一种纺织用纱线烘干装置
CN214782659U (zh) 一种具备抗皱型面料的定型设备
CN216338431U (zh) 一种服装加工用布料染色装置
CN110089809A (zh) 一种制鞋生产线
CN218232777U (zh) 自动包边踩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