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508B1 - 계량 장치 - Google Patents

계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508B1
KR100871508B1 KR1020077006059A KR20077006059A KR100871508B1 KR 100871508 B1 KR100871508 B1 KR 100871508B1 KR 1020077006059 A KR1020077006059 A KR 1020077006059A KR 20077006059 A KR20077006059 A KR 20077006059A KR 100871508 B1 KR100871508 B1 KR 100871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ing
dish
metering device
weigh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351A (ko
Inventor
도널드 브루스 아서턴 맥마이클
Original Assignee
화이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이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화이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47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30Mea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by du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3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having piezoelectric or piezoresistive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7/00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magnetic,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action, or by mean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7/02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magnetic,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action, or by mean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by electromagnetic action
    • G01G7/04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magnetic,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action, or by mean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by electromagnetic action with means for regulating the current to soleno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Weight Measurement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Of Specified Amounts Of Material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계량 장치는 계량될 물체(21)를 그 상부면에서 지지하는 계량 접시(20)와, 계량 접시(20)용 지지부로서, 상기 지지부는 계량 접시의 하부면과 접촉하고 상기 계량 접시(2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기다란 부재(23)를 포함하며, 상기 기다란 부재는 상기 계량 접시(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장치의 계량 접시 영역의 마루면(36)에 제공되는 구멍(24)을 통해 연장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장치의 계량 메커니즘 영역 내의 계량 접시 영역의 마루면 아래에 위치되는 계량 메커니즘(44)으로서, 상기 기다란 부재(23)가 상기 계량 메커니즘(44)에 연결되는, 상기 계량 메커니즘과, 계량 접시(20)가 상기 마루면(36)으로부터 이격되는 상부 위치와 상기 계량 접시(20)가 상기 계량 접시 영역 내의 물질이 상기 구멍(24)을 통해 상기 계량 메커니즘 영역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 관계로 상기 마루면(36)과 접촉하는 하부 영역 사이에서 상기 계량 접시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28)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계량 장치{WEIGH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계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량 측정 수단에 의한 분말 형태의 의약품의 정확한 조제가 실험실 환경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또한, 제조 설비에서의 중량 측정 조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의약 분말이 수용될 용기는 정밀 계량 장치의 접시 상에 위치된다. 용기의 중량은 계량 장치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자동적으로 차감되어, 초기에 영점 중량값을 제공한다. 이는 용기 무게 소거(taring)로 알려져 있다. 분말이 접시 상의 용기에 추가될 때, 표시되는 중량은 분말 중량만을 나타내게 된다. 정확한 양이 추가된 때, 용기 및 상기 용기 내의 분말은 접시로부터 제거된다.
이 과정에 있어서, 분말이 접시 상에 떨어지지 않도록 확실히 해야 하는데, 이는 계량 장치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용기에 추가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부주의로 용기를 이탈하는 분말이 시각적으로 검지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접시의 상부면은 일반적으로 완만한 형상 및 에지를 갖고, 평평하며, 또한 접시는 사용 전에 세척될 필요가 있다.
접시가 상기 접시 상의 중량을 계량 장치에 전달할 수 있기 위해서는, 접시의 어떠한 부분도, 또는 상기 접시와 계량 장치를 연결하는 어떠한 기구도 상기 장치의 다른 부분과 접촉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측정에 있어 오차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계량 장치는 물체 위에서 지지 비임으로부터 접시를 걸거나, 또는 공극을 제공하도록 형상화 및 치수 설정되는 구멍을 통해 상기 장치의 고정면을 관통하는 연동장치를 사용하여 하부로부터 접시를 지지할 수 있다.
통상적인 배열체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지된 계량 장치에 있어서,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 1)은 프레임(2)에 부착되고, 중량이 측정될 물체(4)가 놓이는 것으로 로드셀(1) 아래 걸려 있는 접시(3)를 지지한다. 따라서, 접시(3) 아래에 상기 접시로부터 이격된 표면(5)은 연속적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접시(3)를 로드셀(1)과 연결하는 후크(6)로부터 상기 접시(3)를 들어 벗김으로써 접시(3)를 상기 장치로부터 제거할 때 상기 접시 역시 가능하다.
그러나 접시가 후크(6)로부터 매달려 있기 때문에, 상기 접시(3)가 후크를 중심으로 흔들릴 수 있는데, 이는 로드셀(1) 상에 힘을 발생시키며, 만약 장시간에 걸친 판독에 대한 평균을 내지 않는 한 판독시의 오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량 장치에 있어서, 로드셀(11)은 상기 로드셀(11) 위에 접시(14)를 갖는 공지된 계량 장치의 프레임(13)의 기저부(12) 상에 장착된다. 로드셀(11)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로드셀(11)을 접시(14)에 결합시키는 결합 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는 프레임(13) 내의 구멍(16)을 관통하는 로드(15)로서 도 2에 도시된다.
이러한 배열은 도 1의 걸이 배열(hanging arrangement)보다 훨씬 빨리 정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사용된 액체가 계량 장치의 기구 내로 스며들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배열의 세척은 어렵다. 세척은 또한, 계량 장치의 메커니즘이 섬세하고, 계량 접시를 격렬하게 닦는 것은 상기 접시가 고정되어 있지 않는 한 상기 메커니즘을 손상시킬 것이기 때문에 어렵다. 결과적으로, 세척은 숙련된 기술을 요구한다.
따라서, 심지어 비숙련자에 의해서도 신속하고 신뢰할 만한 세척이 실행될 수 있음을 보장하도록 구성된 계량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상부면상에서 계량되어야 할 물체를 지지하는 계량 접시와, 상기 접시에 연결된 기다란 부재로서, 상기 부재는 구멍을 통해 연장하고, 상기 계량 접시를 계량 메커니즘에 연결하며, 상기 구멍은 계량 접시 영역과 계량 메커니즘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 내에 제공되는, 상기 부재와, 상기 계량 접시와 상기 부재가 상기 격벽으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와 상기 계량 접시와 상기 기다란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계량 접시 영역 내 물질이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계량 메커니즘 영역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관계로 상기 격벽과 접촉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계량 접시와 상기 기다란 부재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계량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계량 접시 및 연관된 기다란 부재는 밀봉 위치에서 클램핑될 수 있으며, 이렇게 밀봉 및 클램핑된 상태에서, 계량 장치의 섬세한 내부 메커니즘은 손상받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계량 장치는 물체의 중량에 의해 상기 표면에 가해지는 힘이 계량 장치에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물체가 위치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표면은 계량 장치에 결합되지 않는 다른 표면에 대해 밀봉될 수 있는 추가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2개의 표면 사이에 방수 밀봉부가 생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 표면은 완만하게 되어, 세척을 곤란하게 하는 열악한 특성이 없어진다.
물체가 계량되는 동안 상기 2개의 표면이 함께 밀봉되어, 메커니즘이 계량 및 밀봉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다란 부재는 계량 접시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계량 접시의 하부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접시를 지지하며, 격벽은 계량 접시 아래에 위치되는 계량 접시 영역의 마루면이고, 계량 메커니즘은 상기 장치의 계량 메커니즘 영역의 계량 접시 영역의 마루면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위치는 계량 접시가 마루면으로부터 이격된 상부 위치이며, 제 2 위치는 계량 접시가 밀봉 관계로 상기 마루면에 접촉하는 하부 위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계량 접시, 기다란 부재 및 상기 격벽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상기 계량 접시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이들 사이의 밀봉 관계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위치되는 밀봉 장치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 장치는 계량 접시 및/또는 상기 기다란 부재의 하부 표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장치는 계량 접시 및/또는 상기 기다란 부재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량 메커니즘은 상기 기다란 부재의 하부 단부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계량 메커니즘 영역은 계량 접시 및 격벽이 밀봉 관계에 있을 때, 밀봉되는 계량 장치의 챔버 내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상기 구동 수단은 힘을 상기 기다란 부재 상에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계량 접시 및 기다란 부재를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액추에이터는 상기 기다란 부재의 측면으로 연장하는 아암에 하방으로 지향된 힘을 인가한다.
바람직하게는, 계량 메커니즘은 로드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기다란 부재에 편향력을 인가하기 위한 순응 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이러한 편향력에 대항하여 힘을 인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순응 요소의 편향력은 상방으로 지향되고, 액추에이터의 힘은 하방으로 지향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계량 메커니즘은 상기 기다란 부재의 하부 단부에 연결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을 계량 장치의 프레임에 가요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코일이 계량 장치의 프레임에 부착되는 영구 자석에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코일이 영구 자석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코일용 가요성 장착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수단은 계량 메커니즘 내에 포함되며, 상기 코일이 기다란 부재 및 계량 접시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계량 접시 및/또는 기다란 부재와 격벽 사이의 밀봉 관계를 얻도록 적용된다.
이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공지된 제 1 계량 장치의 일 측면으로부터 본 개략 단면도,
도 2는 공지된 제 2 계량 장치의 일 측면으로부터 본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량 장치로서 밀봉되지 않은 구성의 계량 장치의 일 측면으로부터 본 개략 단면도,
도 4는 도 3과 유사한 것으로 밀봉된 구성을 갖는 도 3의 계량 장치를 일 축면으로부터 본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량 장치로서 밀봉되지 않은 구성의 계량 장치의 일 측면으로부터 본 개략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량 장치를 도시하며, 특히 도 3의 계량 장치는 밀봉되지 않은 구성이고, 도 4의 계량 장치는 밀봉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의 계량 장치는, 사용시 계량될 하중(21)을 지지하는 계량 접시(20)가 로드셀(22) 위에 위치되고, 상기 로드셀(22)로부터 상기 계량 장치(26)의 프레임(25)의 구멍(24)을 지나 상기 접시(20)까지 상향으로 연장하는 연장형 강성 부재(23)를 통해 상기 로드셀(22)에 결합되는 도 2의 공지된 장치와 유사한 구성 원리인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강성 부재(23) 및 계량 접시(20)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추가적으로 상기 강성 부재(23)는 계량 장치(26)의 프레임(25)에 부착되는 액추에이터(28) 아래에 위치되어 측면 방향으로 연장하는 결합 아암(27)을 갖는다. 상기 아암(27) 및 액추에이터(28)는 상기 액추에이터(28)가 작동될 때, 상기 아암(27)이 액추에이터(28)에 의해 선택적으로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서로 위치 및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아암(27)은 액추에이터(28)가 결합 아암(27)을 하방 가압하도록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결합 아암(27)과 액추에이터(28) 또는 프레임(25)의 일부 사이에 어떠한 결합도 존재하지 않도록 위치된다. 대안적인 배열에 있어서, 액추에이터(28)는 계량 장치가 과부하 상태로 되지 않도록 아암(27)에 대신하여, 또는 아암(27)과 더불어 계량 메커니즘 상에 하방 가압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부 배열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부재(23)는 상기 부재(23)가 계량 접시(20)로부터 분리되도록 추가로 하방 가압될 수 있다.
로드셀(22)은 헬리컬 스프링과 같은 순응 요소(29) 상에 장착되는데, 상기 순응 요소는 결합 아암(27)이 액추에이터(28)에 의해 하방 가압될 때, 로드셀(22), 및 결과적으로 상기 강성 부재(23) 및 상기 로드셀(22) 상에 장착되는 접시(20)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순응 요소는 강성 부재(23)에 상방 지향 편향력(bias)를 인가하고, 액추에이터(28)는 이러한 편향력에 맞서 하방 지향력을 인가하게 된다.
접시(20)가 액추에이터(28)에 의해 간접적으로 하방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밀봉 요소(30)가 상기 접시(20) 아래에서 프레임(25)에 의해 형성되는 계량 챔버의 마루면(36)의 상부면(34)에 대해 하방으로 지지하도록, 접시(20)는 그 에지 주위에 밀봉 요소(30)가 고착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밀봉부(38)는 접시(20)의 바닥면(42)과, 마루면(36)을 포함하여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계량 장치(26) 내의 메커니즘 챔버(44) 사이의 교차점(40) 주위에 제공된다. 메커니즘 챔버(44)는 로드셀(22)을 포함하여, 계량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이는 계량 메커니즘을 손상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 챔버(44)로 들어가는 액체에 대해 밀봉하며, 한편으로는 접시(20) 아래의 마루면(36)의 상부면(34)과 다른 한편으로는 계량 챔버(37) 내의 접시(20)의 상부면(46) 사이에서 완만하고 연속적인 경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8)가 작동하지 않을 때, 접시(20)는 고정면과 전혀 접촉하지 않지만,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8)가 작동할 때, 계량 챔버(37) 내의 접시(20)와 마루면(36) 양자는 밀봉되어, 기계적으로 지지되며, 세척이 용이하게 되고, 상기 강성 부재(23) 및 만약 상기 강성 부재에 부착된다면 상기 접시(20) 또한 클램핑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배열은 접시와 계량 메커니즘 사이의 밀봉부가 어떻게 배열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일예일 뿐이다. 다른 많은 배열이 가능하며, 선택된 배열은 사용되는 계량 장치의 구조 및 계량될 물체를 포함하기 위한 요구사항에 종속될 것이다. 밀봉부의 디자인은 특정 요구사항에 종속할 것이다. 이는 (a) 금속 대 금속 대면 밀봉부로서, 작동력과 결합된 상기 2개 면의 평평성이 밀봉부를 제공하는, 상기 대면 밀봉부, (b) 접시의 아래 또는 마루면의 상부면 상의 그루브에 장착되는 O-링, (c) 인터페이스 위의 완만한 상부면을 제공하도록 형상화되는 접시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성형 탄성 중합체 가스킷, (d) 상기 가장가리가 가요성 탄성 중합체 재료로 제조되고, 중앙 영역은 강성 재료로 제조되는 동시 성형된 접시, 또는 (e) 챔버의 마루면 위에 평평하게 정착하는 접시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가요성 재료의 환형 시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배열의 일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계량 장치로서, 밀봉되지 않은 구성을 갖는 상기 계량 장치를 도시하는 도 5에 도시된다.
본 예에서, 계량 장치는 전류 천칭(current balance)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전류 천칭은 전류를 운반하고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되는 자장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강제되는 코일을 사용한다. 코일이 영구자석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전류에 의해 힘이 발생된다. 코일이 계량될 물체를 지지하고, 영구자석이 계량 장치의 프레임워크에 고정되는 배열에 있어서, 프레임워크로부터 멀리 물체를 유지하도록 요구되는 전류는 프레임워크의 중량에 선형적으로 비례한다. 이러한 전류 천칭은 예를 들어, 사르토리우스(Sartorius) 또는 매틀러 톨레도(Mettler Toledo) 사로부터 널리 공지되고 상업적으로 유용하다.
도 5에 도시된 배열에 있어서, 코일(50)은 원통형으로 권취되고, 코일(50)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지향 원통형 캐비티(53) 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상부 지향 영구 자석(52)과 동축으로 배열된다. 영구자석(52)은 계량 장치(56)의 프레임(54)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코일(50)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이 굴곡점(57a, 57b)을 갖는 상부 및 하부 수평 아암(55a, 55b)을 갖는 평행사변형의 형태인 굴곡 연동장치(58)를 통해 프레임(54)에 부착된다. 이러한 굴곡 연동장치(58)는 코일(50)이 기울어짐 없이 매우 작은 힘으로 짧은 거리에 걸쳐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계량될 물체(60)는 상향으로 연장하는 강성 연결부(64)를 통해 코일(50)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접시(62) 상에 위치된다. 상기 배열은 명료화를 위해 단순화되어 도시된다. 그러나 실제 천칭에 있어서는 비록 그 원리는 동일하지만 그 형상은 더 복잡하다.
코일(50)은 널리 공지된 서보 제어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코일(50)의 위치가 상기 이동 코일(50)에, 또는 상기 코일(50)의 일부에 부착되는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68)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센서(66)에 의해 측정되는 대로 일정하게 항상 유지되도록 활성화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만약 중량이 추가되면 전류가 증가될 것이고, 이러한 전류의 증가는 추가된 중량에 비례하게 될 것이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접시(62)는 상기 접시(62)가 하방 가압됨에 따라 밀봉 요소(70)가 접시(62) 아래의 프레임(54)에 의해 형성되는 계량 챔버(76)의 마루면(74)의 상부면(73)에 대해 하방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접시의 에지(72)를 중심으로 밀봉 요소(70)로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환형 밀봉부는 접시(62)의 바닥면(78)과 계량 장치 내의 메커니즘 챔버(80) 사이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제공된다. 메커니즘 챔버(80)는 코일(50) 및 영구자석(52)을 포함하는, 계량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이는 메커니즘 챔버(80)로 들어오는 액체에 대해 밀봉하게 되며 계량 챔버(76)의 바닥부에 용이하게 세척 가능한 면을 제공하는데, 만일 이러한 밀봉이 없다면 계량 메커니즘에 손상을 줄 것이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 대해, 밀봉부는 다른 다양한 밀봉 장치 또는 구조체 중 선택된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계량 장치의 이러한 유형으로, 코일(50) 및 영구 자석(52)은 접시(62)를 밀봉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액추에이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코일(50)의 전류의 방향을 전환시켜, 접시(62) 상의 상방력보다 오히려 하방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결과적인 하방 이동은 접시(62)가 밀봉 요소(70)에 의해 계량 챔버 마루면(74)에 대해 밀봉됨에 따라 중단된다.
전류 천칭을 사용하지 않고 계량 메커니즘 격실 내의 장착 액추에이터 또는 계량 장치를 개조하는 것이 불가능한 시스템에 있어, 액추에이터는 밀봉시까지 접시의 상부면 상에서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배열되는 계량 챔버 내에 장착될 수 있다.

Claims (15)

  1. 계량될 물체(21, 60)를 상부면 상에 지지하는 계량 접시(20, 62)와,
    상기 계량 접시(20, 62)에 연결된 기다란 부재(23, 64)로서, 상기 기다란 부재(23, 64)는 구멍(24)을 통해 연장하고 상기 계량 접시(20, 62)를 계량 메커니즘(22, 50)에 연결시키며, 상기 구멍(24)은 계량 접시 영역(37, 76)과 계량 메커니즘 영역(44, 80) 사이에 형성된 격벽(barrier)(36, 74)에 제공된, 상기 기다란 부재(23, 64)와,
    상기 계량 접시(20, 62) 및 상기 기다란 부재(23, 64)가 상기 격벽(36, 74)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계량 접시 영역(37, 76)의 물질이 상기 구멍(24)을 통해 상기 계량 메커니즘 영역(44, 80) 내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계량 접시(20, 62)와 상기 기다란 부재(23, 64)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격벽(36, 74)과 밀봉 관계로 접촉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계량 접시(20, 62)와 상기 기다란 부재(23, 64)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28; 50, 52)을 포함하는
    계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부재(23, 64)는 상기 계량 접시(20, 6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계량 접시의 하부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접시를 지지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계량 접시 아래에 위치되는, 상기 계량 접시 영역(37, 76)의 마루면(floor)(36, 74)이고,
    상기 계량 메커니즘(22, 50)은 상기 장치의 계량 메커니즘 영역(44, 80) 내의 상기 계량 접시 영역(37, 76)의 마루면(36, 74)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계량 접시가 상기 마루면(36, 74)으로부터 이격되는 상부 위치이고,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계량 접시가 상기 마루면과 밀봉 관계로 접촉하는 하부 위치인
    계량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접시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계량 접시(20, 62), 상기 기다란 부재(23, 64) 및 상기 격벽(36, 74) 사이의 밀봉 관계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상기 계량 접시(20, 62), 상기 기다란 부재(23, 64) 및 상기 격벽(36, 74)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위치된 밀봉 장치(30, 70)를 더 포함하는
    계량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장치는 상기 계량 접시(20, 62)의 하부면 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30, 70)를 포함하는
    계량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장치(30, 70)는 상기 계량 접시(20, 62) 또는 상기 기다란 부재(23, 64)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계량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메커니즘(22, 50)은 상기 기다란 부재(23, 64)의 하단부에 연결된
    계량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메커니즘 영역은, 상기 계량 접시 및 상기 격벽이 밀봉 관계에 있을 때 밀봉되는 상기 계량 장치(26)의 챔버(44, 80) 내에 위치되는
    계량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기다란 부재(23)에 힘을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상기 계량 접시(20) 및 상기 기다란 부재(23)를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28)를 포함하는
    계량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기다란 부재(23)에 힘을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상기 계량 접시(20) 및 상기 기다란 부재(23)를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28)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28)는 상기 기다란 부재(23)의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27)에 하향력을 인가하는
    계량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메커니즘은 로드셀(load cell)(22)을 포함하는
    계량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부재(23)에 편향력(bias)을 인가하는 순응 요소(compliant element)(29)로서, 상기 액추에이터(28)가 상기 편향력에 대항하여 힘을 인가하는, 상기 순응 요소(29)를 더 포함하는
    계량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순응 요소(29)의 편향력은 상방으로 지향되고, 상기 액추에이터(28)의 힘은 하방으로 지향되는
    계량 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메커니즘은,
    상기 기다란 부재(64)의 하단부에 연결된 코일(50)과,
    상기 코일(50)을 상기 계량 장치의 프레임(54)에 가요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코일(50)이 상기 계량 장치의 프레임(54)에 부착된 영구자석(52)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코일(50)이 상기 영구자석(52)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코일용 굴곡 장착부(55a, 55b)를 포함하는
    계량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계량 메커니즘(50, 52)에 포함되고, 상기 기다란 부재(64) 및 상기 계량 접시(62)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50)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계량 접시(62) 또는 상기 기다란 부재(64)와 격벽(74) 사이의 밀봉 관계를 달성하도록 구성된
    계량 장치.
  15. 삭제
KR1020077006059A 2004-09-16 2005-08-09 계량 장치 KR100871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420659.5 2004-09-16
GB0420659A GB0420659D0 (en) 2004-09-16 2004-09-16 Weigh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351A KR20070047351A (ko) 2007-05-04
KR100871508B1 true KR100871508B1 (ko) 2008-12-05

Family

ID=3330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059A KR100871508B1 (ko) 2004-09-16 2005-08-09 계량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834279B2 (ko)
EP (1) EP1792148B1 (ko)
JP (2) JP4956433B2 (ko)
KR (1) KR100871508B1 (ko)
CN (1) CN101023328B (ko)
AU (1) AU2005283977B2 (ko)
BR (1) BRPI0514651A (ko)
CA (1) CA2580383C (ko)
EA (1) EA010325B1 (ko)
GB (1) GB0420659D0 (ko)
MX (1) MX2007003192A (ko)
NZ (1) NZ553293A (ko)
WO (1) WO20060301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1393C5 (de) 2007-05-04 2018-11-15 Wipotec Gmbh Transportwaage, insbesondere Wägeförderer mit einem Transportband
DE102007058330C5 (de) * 2007-12-04 2014-05-08 Sartorius Lab Instruments Gmbh & Co. Kg Waage
DE102008045762A1 (de) * 2008-09-04 2011-01-05 Eisenmann Anlagenbau Gmbh & Co. Kg Wiegevorrichtung
DE102008056515B4 (de) 2008-11-08 2013-03-14 Sartorius Weighing Technology Gmbh Wägezelle und Verfahren zum Abdichten einer Wägezelle
DE102009013545B4 (de) * 2009-03-19 2013-02-21 Wipotec Wiege- Und Positioniersysteme Gmbh Dichtmechanismus
DE102015104693B4 (de) * 2015-03-27 2017-06-29 Sartorius Lab Instruments Gmbh & Co. Kg Waage mit Lastwechselein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EP3411677A4 (en) * 2016-02-03 2019-09-18 Mettler Toledo (Changzhou) Precision Instrument Ltd. WEIGHING MODULE
CN113375767B (zh) * 2020-08-14 2023-04-18 成芯半导体(江苏)有限公司 一种pc称一体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476A (ko) * 1984-10-18 1986-05-26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가열 조리기의 중량 검출장치
KR900002322B1 (ko) * 1984-11-27 1990-04-11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가열 조리기의 중량 검출장치
KR900006282B1 (ko) * 1986-02-03 1990-08-27 마쓰시다 뎅끼 상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중량검출장치
KR910006303B1 (ko) * 1985-04-04 1991-08-19 게브뤼더 뷜러 주식회사 계량장치
US20010027882A1 (en) * 2000-04-10 2001-10-11 Mettler-Toledo Gmbh Weighing scale with a combined sealing and arresting device
US6329611B1 (en) * 1999-02-22 2001-12-11 Japan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measuring weight and force with magnetic fluid seal
US20030067119A1 (en) * 2001-10-09 2003-04-10 Mettler-Toledo Gmbh Baffle seal with removable ring element, and balance equipped with the baffle seal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4943A (en) * 1967-08-28 1969-05-20 Hulbert T Tytus Weighing system with sealed enclosure
JPS5119413Y1 (ko) * 1970-03-20 1976-05-21
JPS5436695Y2 (ko) * 1971-04-03 1979-11-06
JPS59145922A (ja) 1983-02-09 1984-08-21 Shimadzu Corp 電子天びん
SE8402099L (sv) * 1984-04-16 1985-10-17 Elektrobyran Ab Gastett system for vegning
JPS62167414A (ja) * 1985-12-20 1987-07-23 Shimadzu Corp 電子はかり
DE3601408C1 (de) * 1986-01-18 1987-03-12 Sartorius Gmbh Oberschalige Analysenwaage mit Waegekammerschleuse
DE8700740U1 (ko) * 1986-01-18 1987-03-26 Sartorius Gmbh, 3400 Goettingen, De
US5064009A (en) * 1989-08-03 1991-11-12 Sartorius Ag Device for the determination of dry substance
US5115876A (en) * 1991-03-11 1992-05-26 Gain Lab Corp. Automatic weighing system for powder
US5850057A (en) * 1996-09-04 1998-12-15 The University Of Akron Electromagnetically controlled load cell
CN2336346Y (zh) * 1998-03-18 1999-09-01 王虹 电磁力平衡式电子秤及计价秤
US6150618A (en) * 1999-03-04 2000-11-21 Yeu Ming Tai Chemical Industrial Co., Ltd. Automatic testing device
CN2415349Y (zh) * 2000-03-03 2001-01-17 中山市香山衡器有限公司 案式弹簧度盘秤之防水和零位调整机构
CA2304916A1 (en) 2000-04-07 2001-10-07 Control And Metering Limited Material discharge apparatus
CN2491813Y (zh) * 2001-06-10 2002-05-15 常州市宏事达电气制造有限公司 防水防尘型电子台秤
JP2003232672A (ja) * 2002-02-06 2003-08-22 Tanita Corp 防水型秤
US7411137B2 (en) * 2005-10-25 2008-08-12 Formax, Inc. Automatic sealing arrangement for weigh scale for food process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476A (ko) * 1984-10-18 1986-05-26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가열 조리기의 중량 검출장치
US4676328A (en) * 1984-10-18 1987-06-30 Sharp Kabushiki Kaisha Food weight measuring device for cooking apparatus
KR900002322B1 (ko) * 1984-11-27 1990-04-11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가열 조리기의 중량 검출장치
KR910006303B1 (ko) * 1985-04-04 1991-08-19 게브뤼더 뷜러 주식회사 계량장치
KR900006282B1 (ko) * 1986-02-03 1990-08-27 마쓰시다 뎅끼 상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중량검출장치
US6329611B1 (en) * 1999-02-22 2001-12-11 Japan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measuring weight and force with magnetic fluid seal
EP1031823B1 (en) * 1999-02-22 2003-04-23 Shinko Denshi Company Limited Weight and force measuring device
US20010027882A1 (en) * 2000-04-10 2001-10-11 Mettler-Toledo Gmbh Weighing scale with a combined sealing and arresting device
EP1146322B1 (de) * 2000-04-10 2006-05-31 Mettler-Toledo GmbH Waage mit dichtender Arretierung
US20030067119A1 (en) * 2001-10-09 2003-04-10 Mettler-Toledo Gmbh Baffle seal with removable ring element, and balance equipped with the baffle seal
EP1302757B1 (de) * 2001-10-09 2005-12-28 Mettler-Toledo GmbH Labyrinthdichtung mit lösbarem Ringelement und Wa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30171A1 (en) 2006-03-23
MX2007003192A (es) 2007-08-14
CN101023328A (zh) 2007-08-22
EA010325B1 (ru) 2008-08-29
JP2008513759A (ja) 2008-05-01
EA200700446A1 (ru) 2007-08-31
BRPI0514651A (pt) 2008-06-24
AU2005283977B2 (en) 2011-09-08
GB0420659D0 (en) 2004-10-20
KR20070047351A (ko) 2007-05-04
EP1792148B1 (en) 2013-07-31
JP5420684B2 (ja) 2014-02-19
US20080041637A1 (en) 2008-02-21
CA2580383A1 (en) 2006-03-23
CA2580383C (en) 2010-09-14
JP2012108142A (ja) 2012-06-07
US7834279B2 (en) 2010-11-16
CN101023328B (zh) 2010-12-08
JP4956433B2 (ja) 2012-06-20
EP1792148A1 (en) 2007-06-06
NZ553293A (en) 2009-06-26
AU2005283977A1 (en)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508B1 (ko) 계량 장치
US4354562A (en) Electronic weighing device
JP6529732B2 (ja) 偏心荷重誤差を補正するためのデバイスを備えた秤量セル、および偏心荷重誤差を補正するための方法
JP2017530348A (ja) 浮遊秤量パンを有する秤
EP3163262A1 (en) Coriolis mass flow meter
US11231314B2 (en) Calibration weight assembly for a gravimetric measuring device
JP4855082B2 (ja) モジュール型校正用錘
JP5524208B2 (ja) 分力緩衝装置とそれを用いた台秤
US6053033A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a test body
JPH10227801A (ja) 調査/操作装置
AU2011253906B2 (en) Weighing apparatus
JPS63277936A (ja) 電子天びん
KR20180013341A (ko) 다축 방향의 변위측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측정자를 구비한 받침장치
JPH0124583Y2 (ko)
JP3404945B2 (ja) 重量測定器
US6329611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weight and force with magnetic fluid seal
JP2004347452A (ja) 重量測定装置
WO2017109869A1 (ja) 電子天秤
FI70747B (fi) Elektronisk vaog
JPH0815118A (ja) 比重・レベル計および比重・レベルの測定方法
US769645A (en) Weighing-scale.
JP2004077455A (ja) 水位変化検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