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434B1 - 힌지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힌지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434B1
KR100867434B1 KR1020070069575A KR20070069575A KR100867434B1 KR 100867434 B1 KR100867434 B1 KR 100867434B1 KR 1020070069575 A KR1020070069575 A KR 1020070069575A KR 20070069575 A KR20070069575 A KR 20070069575A KR 100867434 B1 KR100867434 B1 KR 100867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shaft
base
image display
hin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9635A (ko
Inventor
유키오 스기무라
히데키 몸마
Original Assignee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9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0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non-parallel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10S248/922Angular
    • Y10S248/923Ti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회동 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의 규제 강도가 높은 힌지 장치(50)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회동체(50B)는, 기체부(2b)와, 축(X)에 직교하고 제1 관통공(2c1)과 절입부(2c2)를 갖는 측부(2c)와, 축을 따른 연장부(2a6)를 갖고 형성된 길이측부(2a)로 이루어지고, 연장부(2a6)가 절입부(2c2)에 결합하고 선단(先端)측으로 측부보다 돌출하는 돌출부(2a6t)를 갖는 프레임(2)을 구비하고, 고정체(50A)는, 기면부(1Aa)와, 제1 및 제2 측면부(1Ab, 1Ac)와, 제2 측면부로부터 제1 측면부에 겹쳐서 절곡된 중첩면부(1Ad)와, 제1 측면부와 중첩면부를 관통하는 개구부(1Ae)를 갖는 브라켓(1A)과, 제1 관통공 및 개구부에 삽입 통과되어 프레임을 회동이 자유롭게 하여 브라켓에 고정된 스터드(7)를 구비하고, 돌출부가 소정 각도로, 중첩면부에 맞닿아 회동체의 회동이 규제된다.
힌지, 스토퍼, 화상 표시 장치

Description

힌지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HINGE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힌지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패널을 개폐하기 위한 힌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소자 등의 박형의 화상 표시 패널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 휴대전화, 노트북 컴퓨터, 포터블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등이 있다.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는, 장치 본체와, 화상 표시 패널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 화상 표시 패널을 본체에 대하여 개폐가 자유롭게 연결하는 힌지 장치를 갖는 것이 많다.
통상, 힌지 장치는,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화상 표시 패널을 본체에 밀착시킨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장치를 사용할 때에, 본체에 대하여 예를 들면 90° 전후로 일으킨 열림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화상 표시 장치가, 포터블 DVD 플레이어나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에는, 힌지 장치는, 이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와의 사이에서 개폐(開閉)가 자유로운, 즉, 일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되지만, 카메라나 휴대전화 등에 있어서는, 열 림 상태에 있어서, 더욱, 소위 옆으로 흔들림에 상당하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힌지 장치가, 화상 표시 패널을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 축 둘레로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예가 이하에 나타내는 특허문헌 등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는, 그 도2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한쌍의 대략 コ자 형상 부재끼리를, 각각의 아암부에 형성한 연결부에서 제1 회전축 둘레로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함과 아울러, 한쪽의 コ자 형상 부재의 중앙부에, 제1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2 회전축 둘레로 회동 가능한 회전축 부재 등을 연결하여 구비하고,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 각각의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된 힌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힌지 장치는, 축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축심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는, 그 도1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브라켓으로 양단측이 지지된 개폐축(3)(특허문헌1에 있어서의 제1 회동축에 상당)의 중앙에, 이 축과 직교하는 회동축(5)(특허문헌1에 있어서의 제2 회동축에 상당)을 회동이 자유롭게 조합하여 개폐축 및 회동축 각각의 둘레로 회동을 자유롭게 한 힌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각 특허문헌에 기재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회동축은,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통상, 화상 표시 패널의 개폐를 위한 회동축으로서 설정된다.
그 때문에, 이 제1 회동축 둘레의 회동은, 화상 표시 패널의 단순한 개폐 동작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화상 표시 패널을 임의의 각도 위치에서 유지하고, 그 회동시에도, 사용자가 적절하게 기분좋은 마찰감을 느끼고, 또한, 특정의 각도 위치에서 클릭감이 얻어지는 것이 요구된다.
이것을 실현하는 힌지 기구의 예로서 특허문헌3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특허문헌3에 기재된 힌지 기구는, 제1 회동축상에 연재하는 샤프트에, 이 샤프트의 회동과 연동하는 제2 캠과, 비연동하는 제2 캠과, 양자의 캠면이 맞닿도록 한쪽을 탄성 지지시키는 스프링을, 외삽(外揷)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프링의 탄성 지지에 의해 회동 저항이 얻어지고, 임의의 각도 위치로 화상 표시 패널이 유지되고, 캠 형상에 따른 특정의 각도 위치에서 클릭감이 얻어진다.
[특허문헌1]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272719호
[특허문헌2] 일본공개특허공보 2000-240636호
[특허문헌3]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311327호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힌지 장치가 탑재되는 화상 표시 장치는, 휴대 용도의 보급 확대에 따라, 소형 경량화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힌지 장치 자체도 소형화됨과 아울러, 경량화를 위해서 사용 부재가 슬림화되어 강도나 강성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통상,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패널은, 회동 가능한 소정의 회동 각도 범위가 설정되고, 그 이상의 회동을 금지하기 위해서 힌지 장치에는 스토퍼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데, 자연적으로 이 스토퍼 구조의 강도도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화상 표시 패널을 선호하는 자세로 하기 위해서 그 패널에 가하려고 하는 회동력(손의 힘)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화상 표시 패널을 회동시켰을 때에, 스토퍼에 대하여 그 저하된 강도 이상의 힘이 가해져 힌지 장치가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상술한 제1 회동축 둘레의 회동, 즉, 화상 표시 패널의 개폐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패널이 열린 상태에 있어서는, 그 패널이 벽이나 책상 등에 부딪치기 쉽고, 그 경우에 스토퍼에 대하여, 의도하지 않은 무리한 힘이 가해져 힌지 장치가 파손될 가능성도 높다.
이와 같이, 힌지 장치에 대해서는, 소형화되어도, 그 스토퍼의 회동 규제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회동 규제 구조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폐축 지지부인 브라켓에 절곡에 의해 각도 규제편(片)을 형성하고, 개폐축 빠짐방지판(拔止板)에 그 주위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각도 규제부를 형성하고, 이 각도 규제부를 브라켓의 각도 규제편에 맞닿게 하여 개폐축의 각도 규제를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조는, 맞닿는 각도 규제편이 단순히 판재인 브라켓을 절곡했을 뿐이기 때문에, 강한 힘이 가해지면 각도 규제편이 변형되어 소정 위치에서의 규제가 불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힌지 장치 자체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1에 기재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는, 임의의 각도 위치에서 화상 표시 패널을 유지하거나, 특정 각도 위치에서 클릭감을 얻기 위해, コ자 형상 부재의 아암부에 형성된 연결부에, 얇은 고리 형상의 프릭션 스프링이나 이것과 결합하여 클릭감을 발휘하는 작은 구멍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프릭션 스프링은 고리 형상으로, 그 탄성 변형에 있어서 회동축 방향으로의 스트로크가 충분하게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마찰력이 불균일 하거나, 고품위의 마찰감을 얻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미소한 마찰감촉으로 클릭감을 발휘시키는 것이 어렵고, 고품위의 회동 동작을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2에 기재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도, 개폐축의 양단에 형성되어 이 축을 지지하는 개폐축 지지부에, 임의의 각도 위치에서 화상 표시 패널을 유지하거나, 특정의 각도 위치에서 클릭감을 얻기 위한 파형(波型) 스프링을 형성하거나, 이 파형 스프링에 형성된 구(球) 형상 돌기와 결합하는 구 형상 오목부를 갖는 개 폐 클릭판 등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파형 스프링은 얇은 고리 형상이기 때문에 탄성 변형 영역이 좁고, 회동축 방향으로의 스트로크를 충분히 얻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마찰력이 불균일 하거나, 고품위의 마찰감을 얻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미소한 마찰감촉으로 클릭감을 발휘시키는 것이 어렵고, 고품위의 회동 동작을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3에 기재된 힌지 기구는, 캠 면을 회동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캠 면끼리를 탄성 지지시키기 위한 스프링도 회동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의 스트로크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마찰력이 안정되고, 고품위의 마찰 감촉을 발휘시킬 수 있지만, 회동축상에 샤프트가 연재하고, 이 샤프트에 삽입 통과되는 제1 및 제2 캠과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 캠의 외경이 큰 것이며, 이것에 제1 회동축에 직교하는 제2 회동축 둘레로 회동하는 기구를 형성하면, 더욱 힌지 장치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동 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의 회동 규제 강도가 매우 높은 힌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체부에 대하여 화상 표시 패널을 개폐시킬 때의 회동 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의 회동 규제 강도가 매우 높은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회동시키는 부재를, 임의의 각도 위치에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고, 그 회동 동작에 있어서 고품위의 마찰 감촉이 얻어지고, 그 회동 동작에 있어서의 특정의 각도 위치에서 고품위의 클릭감이 얻어짐과 아울러 소형화가 가능한 힌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을 임의의 각도 위치에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고, 그 회동 동작에 있어서 고품위의 마찰 감촉이 얻어지고, 그 회동 동작에 있어서의 특정의 각도 위치에서 고품위의 클릭감이 얻어짐과 아울러 소형화가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은, 먼저, 다음의 1)에서 4)의 수단을 가진다.
1) 회동체(50B)를 고정체(50A)에 대하여 회동축(X)의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50B)는,
상기 회동축(X)을 따라 연재하는 기체부(基體部;2b)와, 이 기체부(2b)의 단부로부터 상기 회동축(X)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회동축(X)을 중심축으로 하는 제1 관통공(2c1)이 형성된 측부(2cA)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2)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50A)는,
기면부(基面部;1Aa)와, 이 기면부(1A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면부(1Ab, 1Ac)와, 이 제2 측면부(1Ac)로부터 상기 제1 측면부(1Ab)와 겹치도록 절곡되어 연장하는 중첩면부(1Ad)와, 상기 제1 측면부(1Ab)와 상기 중첩면부(1Ad)와의 각각에, 적어도 양면부를 관통하는 개구부(1Ae)를 갖도록 형성된 제2 및 제3 관통공(1Ae, 1Af)을 갖는 브라켓(1A)과, 상기 제1 관통공(2c1) 및 상기 개구부(1Ae)에 삽입 통과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프레임(2)을 상기 브라켓(1A)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상기 브라켓(1A)에 고정된 스터드(7)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은, 상기 브라켓(1A)에 대한 소정의 각도 위치에서, 상기 제1 측면부(1Ab), 상기 중첩면부(1Ad) 또는 상기 스터드(7)에 맞닿는 맞닿음부(2a6)를 가지고,
상기 맞닿음에 의해 상기 회동체(50B)의 상기 고정체(50A)에 대한 회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50)이다.
2) 회동체(50B)를 고정체(50A)에 대하여 회동축(X)의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50B)는,
상기 회동축(X)을 따라 연재하는 기체부(2b)와, 이 기체부(2b)의 단부로부터 상기 회동축(X)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하고 상기 회동축(X)을 중심축으로 하는 제1 관통공(2c1)과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절입되어 형성된 절입부(2c2)를 가지는 측부(2c)와, 상기 기체부(2b)의 측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회동축(X)을 따라 바깥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2a6)를 가지고 형성된 길이측부(2a)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2a6)는, 상기 절입부(2c2)에 결합함과 아울러 그 선단측으로 상기 측부(2c)의 외면보다도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a6t)를 가지는 베이스 프 레임(2)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50A)는,
제2 관통공(1Ae)을 가지는 브라켓(1A)과, 상기 제1 관통공(2c1) 및 상기 제2 관통공(1Ae)으로 삽입 통과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프레임(2)을 상기 브라켓(1A)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상기 브라켓(1A)에 고정된 스터드(7)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의 상기 돌출부(2a6t)가, 상기 브라켓(1A)에 대한 소정의 각도 위치에서, 상기 브라켓(1A) 또는 상기 스터드(7)에 맞닿아, 상기 회동체(50B)의 상기 고정체(50A)에 대한 회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50)이다.
3) 회동체(50B)를 고정체(50A)에 대하여 회동축(X)의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50B)는,
상기 회동축(X)을 따라 연재하는 기체부(2b)와, 이 기체부(2b)의 단부로부터 상기 회동축(X)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하고 상기 회동축(X)을 중심축으로 하는 제1 관통공(2c1)과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절입되어 형성된 절입부(2c2)를 가지는 측부(2c)와, 상기 기체부(2b)의 측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회동축(X)을 따라 바깥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2a6)를 가지고 형성된 길이측부(2a)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2a6)는, 상기 절입부(2c2)에 결합함과 아울러 그 선단측으로 상기 측부(2c)의 외면보다도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a6t)를 가지는 베이스 프 레임(2)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50A)는,
기면부(1Aa)와, 이 기면부(1A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면부(1Ab, 1Ac)와, 상기 제2 측면부(1Ac)로부터 상기 제1 측면부(1Ab)와 겹치도록 절곡되어 연장하는 중첩면부(1Ad)와, 상기 제1 측면부(1Ab)와 상기 중첩면부(1Ad)와의 각각에, 적어도 양면부를 관통하는 개구부(1Ae)를 가지도록 형성된 제2 및 제3 관통공(1Ae, 1Af)을 가지는 브라켓(1A)과, 상기 제1 관통공(2c1) 및 상기 개구부(1Ae)로 삽입 통과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프레임(2)을 상기 브라켓(1A)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상기 브라켓(1A)에 고정된 스터드(7)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의 돌출부(2a6t)가, 상기 브라켓(1A)에 대한 소정의 각도 위치에서, 상기 제1 측면부(1Ab), 상기 중첩면부(1Ad) 또는 상기 스터드(7)에 맞닿고, 상기 회동체(50B)의 상기 고정체(50A)에 대한 회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50)이다.
4) 본체부(151)와,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152)와, 이 화상 표시부(152)를 상기 본체부(151)에 대하여 적어도 1축 둘레의 회동에 의해 개폐시키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힌지 장치(50)이며,
상기 고정체(50A)는 상기 본체부(151)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체(50B)는 상 기 화상 표시부(152)측에 연결되는 화상 표시 장치(150)이다.
또한, 다음의 5) 에서 9)의 수단을 가진다.
5) 고정체(50A)에 대하여 회동체(50B)를 일 회동축(X)의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힌지 장치(50)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50B)는,
상기 일 회동축(X)을 따라 연재하는 기체부(2b)와, 이 기체부(2b)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일 회동축(X)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고 상기 일 회동축(X)을 중심축으로 하는 관통공(2c1)이 형성된 제1 및 제2 측부(2cA, 2cB)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2)과,
일단부에 제1 캠면(5M)을 구비하고, 상기 기체부(2b)에 의해, 이 기체부(2b)에 대한 상기 일 회동축(X) 둘레의 회동을 불가능하게, 또한, 상기 일 회동축(X) 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캠체(5)와,
상기 제1 캠체(5)와 상기 제2 측부(2cB)와의 사이에 배설되고, 상기 제1 캠체(5)를 상기 제1 측부(2cA)를 향하여 탄성 지지시키는 탄성 지지체(12)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50A)는,
상기 제1 및 제2 측부(2cA, 2cB)의 관통공(2c1)에 각각 삽입 통과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을 상기 일 회동축(X) 둘레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 샤프트(7,8)와,
일단부에 제2 캠면(6M)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캠체(5)와 상기 제1 측부(2cA) 와의 사이에, 상기 제1 샤프트(7)에 의해, 상기 제1 샤프트(7)에 대한 상기 일 회동축(X) 둘레의 회동을 불가능하게 지지된 제2 캠체(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 지지체(12)의 탄성 지지에 의해, 상기 제1 캠면(5M)과 상기 제2 캠면(6M)이 서로 눌려져 맞닿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50)이다.
6)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7,8)의 선단간의 거리(Ls)는, 상기 제1 캠체(5)의 상기 일 회동축(X) 방향의 길이(Lc)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에 기재된 힌지 장치(50)이다.
7) 상기 베이스 프레임(2)의 상기 기체부(2b)는, 상기 일 회동축(X)을 포함하는 평면과 직교하는 다른 회동축(Y)을 중심축으로 하는 관통공(2b1)을 가지고,
상기 관통공(2b1)에 외측으로부터 삽입 통과된 제3 샤프트(9)와,
삽입 통과된 상기 제3 샤프트(9)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3 샤프트(9)에서 상기 기체부(2b)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에 대하여 다른 회동축(Y) 둘레로 회동하는 샤프트 고정부(11)와,
상기 제1 캠체(5)의 측부에 형성된 오목부(5g)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 고정부(11)가 상기 오목부(5g)에 들어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 또는 6) 에 기재된 힌지 장치(50)이다.
8) 본체부(151)와,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152)와, 이 화상 표시부(152)를 상기 본체부(151)에 대하여 적어도 1축 둘레의 회동에 의해 개폐시키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장치는, 5) 또는 6) 에 기재된 힌지 장치(50)이며,
상기 고정체(50A)는 상기 본체부(151)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체(50B)는 상기 화상 표시부(152)측에 연결되는 화상 표시 장치(150)이다.
9) 본체부(151)와,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152)와, 이 화상 표시부(152)를 상기 본체부(151)에 대하여 적어도 1축 둘레의 회동에 의해 개폐시키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장치는, 7) 에 기재된 힌지 장치(50)이며,
상기 고정체(50A)는 상기 본체부(151)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샤프트(9)는 상기 화상 표시부(152) 측에 연결되는 화상 표시 장치(150)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가져온다.
즉, 회동 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의 회동 규제 강도가 매우 높은 힌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에 대하여 화상 표시 패널을 개폐시킬 때의, 회동 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의 회동 규제 강도가 매우 높은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동 동작에서 고품위의 마찰 감촉이 얻어지고, 그 회동 동작에 있어서의 특정의 각도 위치에서 고품위의 클릭감이 얻어짐과 아울러 소형화가 가능한 힌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을 임의의 각도 위치에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고, 그 회동 동작에 있어서 고품위의 마찰 감촉이 얻어지고, 그 회동 동작에 있어서의 특정의 각도 위치에서 고품위의 클릭감이 얻어짐과 아울러 소형화가 가능한 화상 표 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도1∼도14 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패널의 회동 형태를 설명하는 외관도이다.
도3 은,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4 는,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를 화상 표시 장치에 부착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 는,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분해도이다.
도6 은,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7 은,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8 은,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3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사시도이다.
도9 는,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3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사시도이다.
도10 은,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3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제3 사시도이다.
도11 은,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4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12 는,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3 은,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회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14 는,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실시예로서, 비디오 카메라(150)를 설명한다.
이 비디오 카메라(150)는,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51)와, 화상 표시 패널(152)과, 이 화상 표시 패널(152)을 본체부(151)에 대하여 개폐하는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인 힌지 장치(5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도1 은, 본체부(151)에 대하여 화상 표시 패널(152)을 대략 90° 열어둔 열림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체부(151)와 화상 표시 패널(152)과의 연결부는, 외관상 힌지 커버(51)로 덮혀져 있고, 이 힌지 커버(51)의 내부에 힌지 장치(50)가 수납되어 있다.
비디오 카메라(150)의 본체부(151)의 전면측에는, 렌즈부(8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51)의 내부에는, 이 렌즈부(80)를 통하여 얻어진 피사체의 상(像)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81)와, 이 촬상 소자(81)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회로(82)와, 이 신호 처리 회로(82)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또한, 기록한 화상 신호를 재생하는 기록 재생부(8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화상이란, 정지(靜止) 화상과 동(動) 화상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기록 매체로서는 자기 테이프,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고체 메모리 등이 이용된다.
이 기록 매체는, 비디오 카메라(150)에 내장된 것이어도 좋고, 착탈이 자유롭게 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기록 매체를 외부에 배치된 것으로 하고, 비디오 카메라(150)에 외부와의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이 통신 수단을 통하여 외부의 기록 매체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주고 받음을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피사체의 화상, 기록 재생부(83)로부터의 재생 화상 또는 조작을 위한 오퍼레이션 화상 등이, 화상 표시 패널(152)에 형성된 화상 표시부(84)에 표시된다.
이 비디오 카메라(150)는, 힌지 장치(50)에 의해, 화상 표시 패널(152)이 주로 도2(a)∼도2(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회동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먼저, 화상 표시 패널(152)이 본체부(151)의 측면에 화상 표시부(84)를 내측으로 하여 수납되는 위치를 기본 위치로 하고, 이 기본 위치로부터, 도2(a)와 같이, 광축(CL)을 포함하는 면에 직교하는 X축의 둘레로 회동(화살표 A 참조)시킨 제1 회동 위치이다(이하, X축을 제1 회동축이라고도 칭함).
다음은, 제1 회동 위치로부터, X축에 직교하는 Y축의 둘레로 180°회동(화살 표 B 참조)시킨 제2 회동 위치이다(이하, Y축을 제2 회동축이라고도 칭함).
이 위치는, 도2(c) 에 나타나고, 제1 회동 위치와 제2 회동 위치와의 중간 위치의 형태가 도2(b) 에 나타나 있다.
또한, 제2 회동 위치로부터, X축 둘레로 회동(화살표 AA 참조)시키면, 도2(d)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제3 회동 위치가 된다.
제1 회동 위치는, 통상의 촬영으로 사용자가 화면(화상 표시부)(84)을 시인(視認)할 경우에, 그리고, 제2 회동 위치는, 셀프 촬영으로 피사체가 되는 피촬영자가 화면(84)을 시인할 경우에, 그리고, 제3 회동 위치는, 주로 재생 화상을 시인할 경우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되는 형태이다.
실시예의 힌지 장치(50)는, 이와 같이, X축과 이에 직교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Y축의 2개의 회동축 둘레에서의 독립된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Y축은, X축과 교차하는 축에 한정하지 않고, X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축이어도 좋다.
또한, 기본 위치로부터 제1 회동 위치까지의 X축 둘레의 회동 각도는, 예를 들면 90°로 규정되고, 제1 회동 위치로부터 제2 회동 위치까지의 Y축 둘레의 회동 각도는, 예를 들면 180°로 규정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힌지 장치(50)는, 도3 에 나타내는 어셈블리 유닛으로서 구성되고, 도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150)에 부착되어 있다.
도4 는, 도2(a) 에 나타내는 제1 회동 위치로부터 화상 표시 패널(152)을 닫은 기본 위치의 형태에 있어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그 화상 표시 패널(152)의 외장 패널과 본체부(151)의 외장 패널을 제거하고, 힌지 장치(50)에 직접 결합되는 부재를 주로 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힌지 장치(50)의 개요를, 도3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힌지 장치(50)는, 이 장치가 고정되는 제1 상대 부재에 대하여, X축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브라켓(1A, 1B)이 고정된다.
또한, 이 제1 및 제2 브라켓(1A, 1B)에 의해, 한쌍의 절곡부를 가지고 대략 コ자 형상을 나타내는 베이스 프레임(2)이 X축 둘레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2)의 중앙부에는, 서브 프레임(3)에 고정된 제3 스터드(stud; 9)가 그 축과 동축인 Y축 둘레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2)은, 제1 및 제2 브라켓(1A, 1B)에 대하여, X축 둘레로 소정의 각도 범위내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되고, 또한, 회동에 있어서 소정의 마찰력을 발휘함과 아울러 특정의 각도에서 클릭감을 내는 캠 기구(M1)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서브 프레임(3)은, 베이스 프레임(2)에 대하여, Y축 둘레로 소정의 각도 범위내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되고, 또한, 회동에 있어서 소정의 마찰력을 발휘함과 아울러 특정의 각도에서 클릭감을 내는 회동 규제 기구(M2)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이 캠 기구(M1) 및 회동 규제 기구(M2)에 대해서의 상세는 후술한다.
한편, 도4 에 있어서, 이 힌지 장치(50)는, 제1 브라켓(1A)이 본체부(151)의 제1 샤시(151a)에 나사(도시하지 않음)로 고정되고, 제2 브라켓(1B)이 본체부(151)의 제2 샤시(151b)에 나사(도시하지 않음)로 고정되어, 본체부(151)와 일체화된다.
서브 프레임(3)은, 화상 표시 패널(152)의 프레임(152a)에 형성된 리브(152a1)로 이루어지는 결합부(152a2)에 딱 맞게 결합함과 아울러, 이 리브(152a1)에 대하여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화상 표시 패널(152)과 일체화된다.
이 도4 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표시 패널(152)의 외장 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프레임(152a)의 틀 내에는, 이 화상 표시 패널(152) 내에 수납된 화상 표시부(84)인 액정 표시 소자가 구비하는 조명 장치(152b)가 나타나 있다.
이상 설명한 구조에 의해, 실시예의 힌지 장치(50)는 화상 표시 장치(150)에 부착되어, 본체부(151)에 대한 화상 표시 패널(152)의 개폐 동작 등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의 힌지 장치(50)의 상세를, 도3, 도5∼도14 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및 제2 브라켓(1A, 1B)을 시작으로 하여 각 구성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및 제2 브라켓(1A, 1B)은, 대략 면대칭의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대표로서 제2 브라켓(1B)에 대하여, 단순화를 위해 간단히 브라켓이라는 명칭을 이용하여 도6 에 의해 설명한다. 이 도6 에는, 편의를 위해 대략 대칭형이 되는 제1 브라켓(1A)의 부호를 괄호 내에 나타내고 있다.
이 브라켓(1B)은, 금속판의 프레스 가공 및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사용할 수 있는 금속으로서, 예를 들면, 두께 0.8mm의 스텐레스재나 SPCC재가 있다. SPCC재의 경우는 개질을 위해 표면에 질화 처리를 행해도 좋다.
도6 에 있어서, 브라켓(1B)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저면부(1Ba)와, 이 저면부(1Ba)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2변으로부터 각각 90°로 절곡된 2개의 측면부(1Bb, 1Bc)와, 1개의 측면부(1Bc)로부터 더욱, 다른 측면부(1Bb)의 외측면에 겹치도록 절곡된 중첩 측면부(1Bd)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저면부(1Ba)에는, 다른 부재, 예를 들면 상술한 제2 샤시(151b)에 나사 고정하기 위한 구멍(1Ba1)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측면부(1Bb)와 중첩 측면부(1Bd)에는, 동축으로 양측 D컷된 관통공(1Be, 1Bf)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1Be, 1Bf)은, 중첩 측면부(1Bd)의 관통공(1Bf) 쪽이 큰 지름으로(D컷부도 포함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측면부(1Bb)의 표면에 닿음면(1Bg)을 가진다.
이 각 관통공(1Be, 1Bf)은, 반드시 동축 또는 서로 닮은 형상이 아니어도 좋고, 서로 겹쳐서 관통 개구가 되는 부분이 있고, 그 부분에 후술하는 각 스터드(7,8)가 삽입 통과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또한, 중첩 측면부(1Bd)와 다른 측면부(1Bb)는, 그 저면부(1Ba)와는 반대측의 외형이 원호 형상(EK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첩 측면부(1Bd)는, 관통공(1Bf)이 개구하는 기본 중첩 측면부(1Bdk) 와, 측면부(1Bc)로부터의 절곡 부분인 굴곡부(MG1)을 포함하는 연결부(1Bh)를 가지고 측면부(1Bc)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Bh)의 폭(H)은 예를 들면 2mm로 되어 있다.
이 브라켓(1B)을 형성할 때는, 판재에 대하여, 먼저 블랭크·피어스 공정 및 굽힘 공정에 의해 각 관통공의 형성과 2개소의 굴곡부(MG1)의 굽힘 가공을 동시에 행하고, 이어서, 굴곡부(MG2)의 굽힘 가공을 행한다.
이 굽힘 가공에 있어서, 다른 측면부(1Bb)와 중첩 측면부(1Bd)는 완전하게는 밀착하지 않지만, 후술하는 제1 스터드(7)의 단단히 밀착시키는 공정에 의해 밀착시킬 수 있다.
제1 브라켓(1A)도 동일하게 형성되고, 이하의 설명이나 도면에 있어서는, 부호 1B를 1A로 치환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다음으로, 베이스 프레임(2)에 대하여 도7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베이스 프레임(2)은, 금속판의 프레스 가공 및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사용할 수 있는 금속으로서, 예를 들면, 두께 0.8mm의 스텐레스재나 SPCC재가 있다.
SPCC재의 경우는 개질을 위해 표면에 질화 처리를 해도 좋다.
도7 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2)은, 대략 장방형이 되는 저면부(2a)와, 그 장변 가장자리로부터 90°로 절곡된 장측면부(2b)와, 장측면의 양단면(端面)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90°로 절곡된 단측면부(2c, 2c)(각각 제1, 제2 단측면부(2cA, 2cB))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측면부(2c)에는, 각각 공통의 축(X)(이하, X축이라고도 칭함)을 가지는 관통공(2c1)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 장치(50)에 있어서, 이 공통의 축이 X축이 된다.
저면부(2a)에는, X축을 따르는 방향의 긴 구멍(2a1)이, 그 축을 따라 한쌍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면부(2a)의 중앙 부근에는, 장측면부(2b)에 형성된 관통공(2b1)(후술함)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X축을 따라 이격하는 한쌍의 결합공(2a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면부(2a)의 장측면부(2b)와 반대측의 장변 가장자리에는, 대략 90°로 세운 L자 세움부(2a2)와 세움부(2a3)가 형성되어 있다.
L자 세움부(2a2)는, 그 저부측에 X축 방향을 따라 절결된 절결부(2a4)를 갖고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장측면부(2b)의 거의 중앙에는, 관통공(2b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2b1)의 중심축은, 힌지 장치(50)에 있어서의 Y축이 된다.
또한, 이 관통공(2b1)을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는 위치에,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는 한쌍의 각공(角孔)(2b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각공(2b2)에 인접하여, 직사각형 형상으로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b3)가 하프펀치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단측면부(2c)의 저면부(2a)측의 끝 가장자리에는, 각각 부분적으로 절개된 절입부(2c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입부(2c2)에는, 저면부(2a)로부터 X축 방 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2a6)가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연장부(2a6)는, 그 선단이 단측면부(2c)의 외면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된 돌출부(2a6t)의 장측면부(2b)측의 면인 맞닿음면(ST)이, 제1 및 제2 브라켓(1A, 1B)의 연결부(1Ah, 1Bh)의 측면(1Ahs, 1Bhs)(도6 참조)에 맞닿고, 이 힌지 장치(50)의 X축 둘레의 회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이 규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함).
다음으로, 캠축(5)에 대하여 도8∼도10 을 이용하여 상술한다.
도8 은, 도5 의 조립도에 있어서의 캠축(5)과 거의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9 는, 도8 에 있어서의 왼쪽 안의 하측으로부터 바로 앞측을 바라보는 듯이 본 도면이며, 도10 은, 도9 를 그대로 경사 방향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 캠축(5)은, 축(X5)방향을 길이로 하는 대략 직방체의 기부(基部)(5e1)에 반원통형상부(5e2)가 연결된 대략 반원통 형상을 나타내며,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수지로서, 예를 들면,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있다.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유리 섬유를 더한 PBT로 해도 좋다.
이 캠축(5)의 한쪽의 단면부(5a)에는, 축(X5)을 중심축으로 하는 바닥이 있는 구멍(5a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구멍(5a1)의 주위인 도넛형상면은, 축방향으로 요철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둘레 방향을 캠면으로 하는 캠부(5M)가 형성되어 있다.
이 캠부(5M)는, 도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X5)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180°벗어난 위치)에 한쌍의 볼록부(5M1)를 가지고 있고, 이 볼록부(5M1)는, 도넛형상면의 기준면(5M2)으로부터 경사면(5M3)을 경유하여 볼록부(5M1)의 최대 돌출면(5M1a)으로 연결되는 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기부(5e1)의 측면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단면부(5b)측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돌출부(5c1, 5c2)가 형성되어 있다(도9 도 참조).
또한, 단면부(5b)에는, 축(X5)을 중심축으로 하여 원통형상으로 돌출하는 스프링 가이드(5d)(도9 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축(X5)은, 이 캠축(5)이 베이스 프레임(2)에 부착되었을 때에 X축과 동축으로 된다.
도9 에 있어서, 기부(5e1)의 저면부(5e1a)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한쌍의 돌기(5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는, 이 캠축(5)을 대략 コ자 형상이 되도록 절개된 오목부(5g)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이 오목부(5g)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L로 칭한다(도10 참조).
다음으로, 캠링(6)에 대하여 도11 을 이용하여 상술한다.
도11(a) 는, 이 캠링(6)이 캠축(5)과 대향하는 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11(b) 는 그 반대측의 면측, 여기에서는 도5 의 사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 캠링(6)은,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수지로서, 예를 들면, POM(폴리 아세탈)이 있다.
이 캠링(6)에는, 양면 D컷의 관통공(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한쪽의 단면부(6b)에 있어서의 관통공(6a)의 주위인 도넛형상면에는 축방향의 요철이 형성되고, 그 둘레 방향을 캠면으로 하는 캠부(6M)가 형성되어 있다.
이 캠부(6M)는, 도1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X6)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180°벗어난 위치)에 한쌍의 볼록부(6M1)를 가지고 있고, 이 볼록부(6M1)는, 도넛형상면인 기준면(6M2)으로부터 경사면(6M3)을 경유하여 볼록부(6M1)의 최대 돌출면(6M1a)으로 연결되는 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캠링(6)은, 힌지 장치(50)에 있어서, 상세는 후술하지만, 캠축(5)과 동축으로 서로의 캠부(5M, 6M)가 압압되면서 상대적으로 회동하도록 조립되어진다.
따라서, 캠부(5M, 6M)의 캠 형상에 따라, 회동시의 마찰 감촉이나, 클릭감이나, 이 클릭감이 발휘되는 회동 각도 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양 캠부(5M, 6M)의 서로의 볼록부(5M1, 6M1)끼리가 맞닿고 있는 각도 범위에서는 회동 저항이 크고, 맞닿지 않게 되는 각도 범위에 있어서 회동 저항이 작아짐으로써 클릭감을 느낄 수 있다.
다음으로, 도5 를 이용하여, 제1∼제3 스터드(7∼9)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스터드(7)는, 양측 D컷이 형성된 기통부(7a)와, 이 기통부(7a)로부터 동축으로 연장하는 기통부(7a)보다 작은 지름인 제1 및 제2 축부(7b, 7c)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제1 축부(7b)의 선단측에는, 기통부(7a)와 대응하는 양측 D컷이 형성되어 있 다.
제2 스터드(8)는, 원형의 플랜지부(8a)와, 이 플랜지부(8a)와 동축으로 연장하는 축부(8b)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축부(8b)의 선단측에는, 양측 D컷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스터드(9)는, 기통부(9a)와, 이 기통부(9a)로부터 동축으로 연장하고 기통부(9a)보다 작은 지름의 축부(9b)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이 축부(9b)의 선단측에는, 양면 D컷이 형성되어 있고, 기통부(9a)에 있어서의 축부(9b)와는 반대의 단부측에도 양면 D컷부(9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제1∼제3 스터드(7∼9)는 금속 부재로 형성된다. 그 재료로서, 예를 들면 스텐레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5 를 이용하여, 또한, 서브 프레임(3), 스프링 플레이트(10) 및 록(lock) 플레이트(11)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브 프레임(3)은, 대략 장방형 형상을 나타내고,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 및 절곡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사용할 수 있는 금속으로서, 예를 들면, 두께 0.8mm의 스텐레스재나 SPCC재가 있다.
SPCC재의 경우는 개질을 위해 표면에 질화 처리를 해도 좋다.
서브 프레임(3)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측에는, 상대 부품에 나사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3a)이 한 쌍 형성되어 있다.
이 상대 부품으로서, 예를 들면, 화상 표시 패널(152)의 프레임(152a)이 있 고(도4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서브 프레임(3)은, 프레임(152)에 형성된 리브(152a1)에 형성된 결합부(152a2)에 딱 맞게 결합함과 아울러,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관통공(3a)을 통하여 프레임(152)에 고정되어, 화상 표시 패널(152)과 일체화된다.
도5 로 되돌아가서, 서브 프레임(3)의 중앙 부근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길이로 하는 각공(3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각공(3b)은, 제3 스터드(9)의 양면 D컷부(9c)와 딱 맞게 끼워 맞추도록 형성된다.
스프링 플레이트(10)는, 스프링성을 가지는 금속판재(스텐레스판이나 인 청동판 등)를 이용하고, 중앙부가 돌출하여 완만하게 만곡하는 원통면의 일부가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 부근에는 관통공(10a)이 형성되어 있고, 직선을 나타내는 한쌍의 측 가장자리에는, 절곡부(1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곡선을 나타내는 다른 한쌍의 측 가장자리에는, 절곡부(10b)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10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록 플레이트(11)는, 대략 원판형상을 나타내고, 스텐레스 등의 금속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중앙에는 양면 D컷 형상의 관통공(11a)이 형성되어 있고, D컷 위치와 대응하는 각 주연부에는, 반원호형상의 절결부(11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연부에 있어서의 소정의 각도 범위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신장된 신장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 상술한 각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힌지 장치(50)의 전체에 대하여 상술한다.
이 힌지 장치(50)는, X축과 Y축의, 2축의 회동축을 가지고 있고, Y축 둘레, X축 둘레의 순서로 각 회동 구조를 설명한다.
<Y축 둘레의 회동 구조>
도5 에 있어서, 제3 스터드(9)는, 그 양면 D컷부(9c)가 서브 프레임(3)의 각공(3b)에 끼워 맞춤되고 단단히 밀착되어, 서브 프레임(3)과 일체화 되어 있다.
한편, 제3 스터드(9)의 축부(9b)는, 베이스 프레임(2)에 있어서의 장측면부(2b)의 관통공(2b1)에 그 외측으로부터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 삽입 통과된 축부(9b)는, 스프링 플레이트(10)의 관통공(10a)에 삽입 통과되고, 또한, 록 플레이트(11)의 관통공(11a)에 삽입 통과되고 단단히 밀착되어, 제3 스터드(9)는 록 플레이트(11)와 일체화 되어 있다.
스프링 플레이트(10)는, 그 절곡부(10b)가 베이스 프레임(2)의 각공(2b2)과 결합하여 Y축 둘레의 회동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축부(9b)를 단단히 밀착시키는 작업은, 스프링 플레이트(10)를 소정량 눌러 행해지기 때문에, 스프링 플레이트(10)는, 그 탄성 반발력에 의해 록 플레이트(11)를 Y축 방향으로 항상 탄성 지지시킨다.
그 때문에, 록 플레이트(11)는, 스프링 플레이트(10)에 대하여 소정의 마찰력을 생기게 하면서 Y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다.
즉, 서브 프레임(3)은, 베이스 프레임(2)에 대하여 Y축 둘레의 임의의 각도 위치에서 이 마찰력에 의해 유지됨과 아울러, 마찰력에 저항하는 힘이 가해지면 회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록 플레이트(11)의 Y축 둘레의 회동에 따라, 그 소정의 회동 각도 위치에 있어서, 절결부(11b)에 스프링 플레이트(10)의 볼록부(10c)가 끼워 맞춰지고, 이 끼워 맞춤과 끼워 맞춤 이탈에 의해 Y축 둘레의 회동에 따르는 클릭감이 발휘된다.
도5 는, 정확히 절결부(11b)와 볼록부(10c)가 서로 끼워 맞춰지는 각도 위치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록 플레이트(11)의 Y축 둘레의 회동에 따라, 그 2개소의 소정의 회동 각도 위치에 있어서, 신장부(11c)의 양단면부가 베이스 프레임(2)의 한쌍의 결합공(2a5)의 단면에 각각 맞닿아 그 이상의 회동이 금지된다.
따라서, 서브 프레임(3)은, 베이스 프레임(2)에 대하여, Y축 둘레의 소정의 각도 범위내에서의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X축 둘레의 회동 구조>
먼저, 제1 및 제2 브라켓(1A, 1B)과 베이스 프레임(2)과의 결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 도5 및 도6 에 있어서, 제1 스터드(7)의 제1 축부(7b)는, 베이스 프레임(2)의 내측으로부터 한쪽의 단측면부(2c)의 관통공(2c1)에 삽입 통과되고, 또한, 제1 브라켓(1A)의 중첩 측면부(1Ad)측으로부터 관통공(1Af, 1Ae)의 순서로 삽입 통과한다.
제1 축부(7b)에 있어서는, 양면 D컷이 행해진 부분의 근원측에, 축에 직교하는 닿음면(7b1)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있다.
이 닿음면(7b1)이 제1 브라켓(1A)의 닿음면(1Ag)(도6 참조)에 맞닿아 제1 스터드(7)의 X축상의 바깥 방향으로의 위치 결정이 된다. 또한, 제1 축부(7b)의 양면 D컷과 제1 브라켓(1A)의 양면 D컷이 결합하여 X축 둘레의 회동이 금지된다.
한편, 제1 축부(7b)의 닿음면(7b1)과, 지름 차이로 생기는 기통부(7a)의 단면(7a1)과의 사이의 X축 방향 거리(L7)는, 베이스 프레임(2)의 단측면부(2c)의 판두께보다 근소하게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공(1Ae)을 통과한 제1 축부(7b)의 선단을 단단히 밀착시켜 고정하면, 베이스 프레임(2)은, 제1 브라켓(1A)에 대하여 X축의 둘레로 저항없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제1 브라켓(1A)의 측면부(1Ab)와 중첩 측면부(1Ad)는, 단단히 밀착시킬 때에 축방향으로 눌려지기 때문에, 양자는 밀착한 상태로 제1 스터드(7)와 일체화된다.
제2 브라켓(1B)과 베이스 프레임(2)은, 제2 스터드(8)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제2 스터드(8)의 축부(8b)가, 베이스 프레임(2)의 내측으로부터, 다른 쪽의 단측면부(2c)의 관통공(2c1)에 삽입 통과되고, 또한, 제2 브라켓(1B)의 중첩 측면부(1Bd)측으로부터 관통공(1Bf, 1Be)의 순서로 삽입 통과한다.
축부(8b)에 있어서는, 양면 D컷이 시행된 부분의 플랜지부(8a)측에, 축에 직교하는 닿음면(8b1)을 갖고 있다.
이 닿음면(8b1)이 제2 브라켓(1B)의 닿음면(1Bg)에 맞닿아 제2 스터드(8)의 X축상의 바깥 방향으로의 위치 결정이 된다.
또한, 축부(8b)의 양면 D컷과 제2 브라켓(1B)의 양면 D컷이 결합하여 X축 둘레의 회동이 금지된다.
한편, 축부(8b)의 닿음면(8b1)과 플랜지부(8a)의 축부(8b)측의 단면(8a1)과의 사이의 X축 방향 거리(L8)는, 베이스 프레임(2)의 단측면부(2c)의 판두께보다 근소하게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공(1Be)을 통과한 축부(8b)의 선단을 단단히 밀착시켜 고정하면, 베이스 프레임(2)은, 제2 브라켓(1B)에 대하여 X축의 둘레로 저항없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제2 브라켓(1B)의 측면부(1Bb)와 중첩 측면부(1Bd)는, 단단히 밀착시킬 때에 축방향으로 눌려지기 때문에, 양자는 밀착한 상태로 제2 스터드(8)와 일체화된다.
다음으로, X축 둘레의 회동 동작에 있어서 마찰과 클릭감을 부여하는 캠 기구(M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5 에 있어서, 제1 스터드(7)의 제2 축부(7c)에는, 캠링(6)의 관통공(6a)이 외삽되어 있다. 여기서 양자의 양면 D컷이 결합하기 때문에, 캠링(6)은 제1 스터드(7)에 대하여 회동이 금지되어 있다.
한편, 코일 스프링(12)은, 그 일단측이 제2 스터드(8)의 플랜지부(8a)에 결합하여 X축상으로 배설된다.
제2 스터드(8)의 플랜지부(8a)로부터 연장하는 축은, 실시예에 있어서 축 부(8b)뿐이지만, 코일 스프링(12)의 내경에 따라서는 축부(8b)와는 반대측(코일 스프링(12)측)으로 연장하는 다른 축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캠축(5)은, 그 스프링 가이드(5d)(도9 도 참조)가 코일 스프링(12)의 타단측에 결합함과 아울러, 캠부(5M)가 캠링(6)의 캠부(6M)와 결합하도록 X축상으로 배설(配設)되어 있다.
또한, 캠축(5)의 바닥이 있는 구멍(5a1)에는, 제1 스터드(7)의 제2 축부(7c)의 선단측이 삽입되어 있어, 캠축(5)의 축 돌출이 서포트되어 있다.
여기서, 코일 스프링(12)은, 그 내경이, 제2 스터드(8)에 있어서의 플랜지부(8a)의 외경 및 캠축(5)에 있어서의 스프링 가이드(5d)의 외경보다도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어, 양자와는 축 어긋남이 없이 양호하게 결합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12)은, 길이 방향으로 소정량 압축되도록 각 부재의 X축 방향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압축에 따르는 탄성 반발력에 의해, 코일 스프링(12)은, 캠부(5M)가 캠부(6M)를 압압하는 방향으로 캠축(5)을 탄성 지지시키고 있다.
한편, 캠축(5)은, 베이스 프레임(2)에 대하여 X축 둘레의 회동이 금지됨과 아울러 X축 방향의 소정 거리를 왕복 슬라이딩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캠축(5)의 한쪽의 돌출부(5c1)가 베이스 프레임(2)의 절결부(2a4)에, 또한, 다른 쪽의 돌출부(5c1)가 장측면부(2b)상의 돌출부(2b3)와 저면부(2a)와의 간격에, 각각 결합함과 아울러, 캠축(5)의 한쌍의 돌기(5f)(도9 참조)가, 베이스 프레임(2)의 긴 구멍(2a1)(도7 참조)에 결합하고 있다.
이 각 결합 구조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2)측의 결합 형상은, X축방향으로 연재하는 절결이나 구멍이며, 이들의 X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은, 결합하는 캠축(5)측의 돌출부나 돌기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캠축(5)은, 베이스 프레임(2)에 대하여, 결합하는 긴 구멍(2a1)이나 절결(2a4) 등의 형상에 의해 설정되는 X축방향의 허용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12 는 힌지 장치(50)를 X축 및 Y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지만, 이 도12 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에 형성된 L자 세움부(2a2) 및 세움부(2a3)는, 캠축(5)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있고, 이들과 장측면부(2b)와의 사이에 캠축(5)을 X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헐거움을 극소로 하여 유지하여, 캠축(5)이 X축상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캠축(5)에 형성된 오목부(5g)에는, 스프링 플레이트(10)나 록 플레이트(11)가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들어간 부분만큼, X축과 베이스 프레임(2)의 장측면부(2b)의 외면과의 거리(L2)를 짧게 할 수 있어, 힌지 장치(50)를 보다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힌지 장치(50)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150)도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이 오목부(5g)의 길이 방향의 길이(L)는, 이 캠축(5)을 베이스 프레임(2)에 끼워 넣을 때에 다른 부재와 간섭하지 않게 하는데 필요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캠축(5)을 베이스 프레임(2)에 끼워 넣을 때에는, 한쌍의 돌 출부(5c1)가, L자 세움부(2a2) 및 돌출부(2b3)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서 베이스 프레임(2) 내에 수납(도5 화살표(E1))되고, 그 후,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도5 의 화살표(E2))시킨다.
따라서, 화살표(E2)의 슬라이드 동작에 상당하는 만큼의 상대 부품에 대한 여유를 확보하도록 오목부(5g)의 길이(L)가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X축 둘레의 회동 범위의 규제 구조(이하, 스토퍼 구조라고도 칭함)에 대하여, 도13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도13 은, 이해를 쉽게 하게 위해서, 베이스 프레임(2) 및 브라켓(1A, 1B)만 나타내고 있고, 도13(a) 가 기본 위치(도5 에서 나타나는 위치)이며, 도13(b) 가 이 기본 위치로부터 90° 회동시키고(도5 의 화살표A), 그 이상의 회동이 규제된 제1 회동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13(a) 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난, 베이스 프레임(2)의 저면부(2a)에 있어서의 연장부(2a6)의 일부의 면인 한쌍의 맞닿음면(ST)은, 도13(b) 에서 나타나는 제1 회동 위치에 있어서, 연결부(1Ah, 1Bh)의 측면(1Ahs 및 1Bhs)에 각각 맞닿는다.
베이스 프레임(2)을, 90° 이상 회동시키려고 한 경우, 화살표(F)로 나타나는 누름력이 연결부(1Ah, 1Bh)에 부여된다.
이 누름력(F)에 대하여, 제2 브라켓(1B)을 대표로 하여 도6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제2 브라켓(1B)은, 저면부(1Ba)가 고정되고, 중첩 측면부(1Bd) 및 측면 부(1Bc)가 이 저면부(1Ba)에 대하여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1Bhs)에 강한 누름력(F)이 부여되면 파선 화살표(HK) 방향으로 변형하려고 한다.
그러나, 중첩 측면부(1Bd)는, 다른 측면부(1Bb)와 밀착하고, 양자를 관통하는 제2 스터드(8)에 의해 이 제2 스터드(8)와 함께 단단히 밀착하여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브라켓(1B)은, 제2 스터드(8)과 함께, 누름력(F)을, 중첩 측면부(1Bd) 뿐만 아니라 다른 측면부(1Bb) 및 제2 스터드(8)와 협동하여 받아들이기 때문에, 구부러짐에 대하여 매우 높은 강도를 발휘한다.
그 때문에, 각 브라켓(1A, 1B)에 있어서의 회동측인 베이스 프레임(2)의 맞닿음면(ST)이 맞닿는 부분을, 이 실시예와 같은 중첩 측면부(1Ad, 1Bd)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측면부(1Ab, 1Bb), 제1 스터드(7) 또는 제2 스터드(8)에 형성해도, 동일하게, 구부러짐에 대하여 매우 높은 강도를 발휘한다.
한편, 베이스 프레임(2)측의 맞닿음면(ST)은 연장부(2a6)의 면이기 때문에, 연결부(1Ah, 1Bh)의 측면(1Ahs 및 1Bhs)에 각각 맞닿으면, 이 연장부(2a6)에는, 도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력(F)의 반력(Fr)이 부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2a6)는 단측면부(2c)에 형성된 절입부(2c2)에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반력(Fr)에 의해 연장부(2a6)가 그 방향으로 변형하려고 해도, 연장부(2a6)는 절입부(2c2)의 측면에 맞닿아 그 측면을 가지는 아암 형상의 걸림부(係止部)(2c3)와 함께 반력(Fr)을 받아들인다.
따라서, 브라켓(1A, 1B)측 뿐만 아니라, 베이스 프레임(2)측도 스토퍼로서 매우 높은 강도를 갖고 있다.
즉, 이 실시예의 힌지 장치(50)는, X축 둘레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토퍼 강도가 매우 높고, 규제 각도 위치를 넘어 무리하게 회동시키려고 해도 매우 파손되기 어려운 것이다.
여기서, 이 스토퍼 구조는, 실시예와 같이 제1 및 제2 브라켓의 양쪽에 이용되면 보다 높은 강도가 얻어져 바람직하지만, 어느쪽인가 한쪽만으로 이용되고 있어도 좋다. 물론, 그 경우도 높은 회동 규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스토퍼 구조는, 실시예와 같이, 서로 맞닿는 브라켓(1A, 1B)측과 베이스 프레임(2)측과의 쌍방을, 상술한 형상이나 구성으로 하면, 가장 높은 강도가 얻어져 바람직하지만, 어느쪽인가 한쪽만 이용되고 있어도 좋다.
물론, 이 경우도 높은 회동 규제 강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실시예의 힌지 장치(50)를 구비한 실시예의 화상 표시 장치(150)는, 화상 표시 패널(152)을, 소정의 회동 규제 각도 위치의 예를 들면 90°를 넘어 열려고 해도, 힌지 장치(50)가 매우 고장나기 어려워, 상당히 높은 신뢰성이 얻어진다.
이 실시예의 X축 둘레의 스토퍼 구조에 있어서의 브라켓(1A(1B))측의 구성을, 도6 을 참조하여 환언하면, 각 브라켓(1A(1B))이, 저면부(1Aa(1Ba))→ 한쪽의 측면부(1Ac(1Bc))→ 중첩 측면부(1Ad(1Bd))→ 스터드(7(8))→ 다른쪽의 측면부(1Ab(1Bb))→ 저면부(1Aa(1Ba))라는 닫힌 루프(고리 형상 구조)를 구성하고 있 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루프의 구성 부재의 어느것인가에서 힘(F)을 받는다.
통상, 이러한 닫힌 루프 형상은, 그것을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변형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고, 변형에 대하여 높은 강도를 가지는 것이기 때문에, 실시예의 스토퍼 구조가 높은 강도를 가지는 것은 쉽게 이해된다.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해, 이 루프 구조를 절단한 비교예, 구체적으로는, 스터드(7(8))를 제거한 비교예와 비교하여, 실시예는, 누름력(F)에 대한 연결부(1Ah, 1Bh)의 변형에 관하여 2배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반대로 말하면, 비교예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구성 부재의 막두께를 얇게, 혹은, 형상을 작게 해도 얻어짐으로써, 비용 절감이나 더욱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의 힌지 장치(50)는, 일부 반복이 되지만, 상술한 구성에 의해, 도3 에 나타내는 기본 회동 위치로부터 제1 및 제2 브라켓(1A, 1B)에 대하여 X축 둘레의 화살표(A1)의 방향으로 서브 프레임(3)을 회동시키면, 이 서브 프레임(3)에 제3 스터드(9)로 연결된 베이스 프레임(2)도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이 베이스 프레임(2)의 회동에 따라, 이 베이스 프레임(2)에 유지된 캠축(5) 및 이 캠축(5)을 캠링(6)측으로 탄성 지지시키는 코일 스프링(12)도 베이스 프레임(2)과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한편, 캠링(6)은, 제1 스터드(7)에 의해 제1 브라켓(1A)에 대한 회동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 프레임(2)의 회동에 의해, 캠축(5)의 캠부(5M)와, 캠 링(6)의 캠부(6M)가 서로 힘을 가하면서 X축 둘레로 슬라이딩한다.
베이스 프레임(2)의 회동에 따라, 캠축(5)은, 이 두 캠부(5M, 6M)의 캠형상에 따른 X축방향의 왕복 이동을 한다. 따라서, 그 왕복 이동에 의해 코일 스프링(12)의 휨량이 변화하여 캠축(5)을 탄성 지지시키는 탄성 지지력이 변화한다.
이 탄성 지지력의 변화가 사용자에게는 회동 감촉으로서 파악됨과 아울러, 클릭감으로서도 인식된다.
캠축(5)은, 베이스 프레임(2)에 대하여 X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뿐이며, 캠축(5)에는 이 왕복 이동의 스트로크 이상의 축방향 범위를 오목하게 한 오목부(5g)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2)의 회동 각도 위치에 의하지 않고 Y축 둘레의 회동 규제 기구(M2)를 이 오목부(5g)에 수용하는 구조로 할 수 있어, 힌지 장치(50)를 매우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의 힌지 장치(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결합하는 캠부(5M, 6M)의 캠형상에 따라, 소망하는 회동 위치에서 소망하는 클릭감을 얻을 수 있지만, 나아가, 코일 스프링(12), 캠축(5) 및 캠링(6)을 교환할 수 있다.
이 교환은, 실시예의 힌지 장치(50)가, 베이스 프레임(2)을 지지하는 각 브라켓(1A, 1B)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축부재가 없는 구성이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제1 및 제2 스터드(7,8)의 선단간의 거리(Ls)(도14 참조: 이 도14 는, 힌지 장치(50)로부터 코일 스프링(12), 캠축(5), 및 캠링(6)을 떼 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음)를, 캠축(5)의 전체 길이(Lc)(도10 참조)보다도 길게 설정하고 있는 것에 의한다. 이에 따라, 캠축(5)을, 각 스터드(7,8)의 축이 걸리지 않게 하여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캠축(5)의 전체 길이(Lc)는, 캠부(5M)의 최대 돌출면(5M1a)을 기준으로 하면 충분하지만, 캠 형상에 따라서는, 기준면(5M2)을 기준으로 전체 길이(Lc)로 해도 좋다. 이것은, 캠축(5)의 분리시의 캠 위치에 따라 어느쪽인가를 설정하면 된다.
이 코일 스프링(12), 캠축(5) 및 캠링(6)의 교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코일 스프링(12)은, X축방향으로 눌려짐으로써, 제2 스터드(8)의 플랜지부(8a) 및 캠축(5)의 스프링 가이드(5d)와의 결합을 해제하여 X축상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캠축(5)은, 코일 스프링(12)을 떼어낸 후, 도5 에 있어서의 화살표(E2)와는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2)과의 결합이 해제되어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이 캠축(5)이 떼어지면, 캠링(6)은, 축방향의 슬라이드에 의해 제1 스터드(7)의 제2 축부(7c)로부터 빠지기 때문에 분리할 수 있다. 이들의 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도14 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힌지 장치(50)는, 코일 스프링(12), 캠축(5) 및 캠링(6)을 각각 독립적으로 쉽게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 정수(定數), 캠부 형상, 캠부의 돌출 위치 등이 상이한 다른 코일 스프링, 캠축, 또는 캠링으로 교환, 또는 조합하여, X축 둘레의 회동에 있어서의 회동 사양(회동 저항, 클릭감, 클릭감이 얻어지는 회동 각도 위치 등)을 자유롭게, 그리고, 쉽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힌지 장치(50)는, 코일 스프링(12), 캠축(5) 및 캠링(6) 이외의 부재를 공유화해도, 화상 표시 패널의 회동 사양이 상이한 여러가지의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의 힌지 장치(50)는, 고정체에 대하여 회동체를 X축 둘레로 회동시키는 것이라는 표현을 이용한다면, 제1 및 제2 브라켓(1A, 1B), 제1 및 제2 스터드(7,8) 및 캠링(6)을 포함하여 고정체(50A)가 구성되고, 베이스 프레임(2), 코일 스프링(12) 및 캠축(5)을 포함하여 회동체(50B)가 구성되는 것이다. 물론, 베이스 프레임(2)과 일체로 회동하는 제3 스터드(9) 등도 회동체(50B)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구성 및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변형예로 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각 부재의 슬라이딩부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제를 도포해도 좋다.
캠축(5)이나 캠링(6)은,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축방향 길이의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떠한 형상(길이)에 있어서도, 회동 규제 기구(M2)를 빠져나가는 오목부가 어느쪽인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소형화를 위해서는 바람직하다.
각 결합부의 양면 D컷은, 편면 D컷이어도 물론 좋다.
실시예의 힌지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는, 비디오 카메라에 한정하지 않고, 얇은 화상 표시 패널을 구비한 장치라면, 비디오 카메라에 한정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휴대전화, 휴대 정보 단말(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 텔레비젼, 게임 장치, 포터블 광디스크 플레이어 등의 여러가지의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은, 화상 표시 이외의 기능을 가지는 패널, 예를 들면 조작 버튼 등을 배열한 조작 패널이어도 실시예의 힌지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X축과 Y축의 2축을 가지는 구성이지만, X축 둘레로만 회동하는 구성이어도 좋고, 이 경우에도, 코일 스프링, 캠축 및 캠링을 교환하여 임의의 회동 사양의 힌지가 쉽게 얻어진다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에 있어서는, 캠축을 탄성 지지시키는 탄성 지지 부재로 하여 코일 스프링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무 등의 탄성체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이 고무와 같은 탄성체와 코일 스프링을 병용해도 좋다.
도1 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패널의 회동 형태를 설명하는 외관도이다.
도3 은,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4 는,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를 화상 표시 장치에 부착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 는,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분해도이다.
도6 은,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요부(要部)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7 은,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8 은,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3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사시도이다.
도9 는,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3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사시도이다.
도10 은,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3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제3 사시도이다.
도11 은,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4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12 는,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3 은,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회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14 는, 본 발명의 힌지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제1, 제2 브라켓
1Ba : 저면부(기면부(基面部))
1Ba1 : 구멍(孔)
1Bb, 1Bc : 측면부
1Bd : 중첩 측면부(중첩면부)
1Be : 관통공(개구부)
1Bf : 관통공
1Bg : 닿음면
1Bh : 연결부
1Bhs : 맞닿음면
2 : 베이스 프레임
2a : 저면부(길이측부)
2a1 : 긴 구멍
2a2 : L자 세움부
2a3 : 세움부
2a4 : 절결부(切缺部)
2a5 : 결합공
2a6 : 연장부(맞닿음부)
2a6t : 돌출부
2b : 장측면부(기체부(基體部))
2b1 : 관통공
2b2 : 각공(角孔)
2b3 : 돌출부
2c : 단측면부(측부)
2cA, 2cB : 제1, 제2 단측면부(측부)
2c1 : 관통공
2c2 : 절입부
3 : 서브 프레임
5 : 캠축(제1 캠체)
5a, 5b : 단면부(端面部)
5a1 : 구멍(穴)
5c1 : 돌출부
5d : 스프링 가이드
5e1 : 기부(基部)
5e2 : 반원통형상부
5f : 돌기
5g : 오목부
5M : 캠부(제1 캠면)
5M1 : 볼록부
5M1a : 최대 돌출면
5M2 : 기준면
5M3 : 경사면
6 : 캠링(제2 캠체)
6a : 관통공
6b : (한쪽의) 단면부
6M : 캠부(제2 캠면)
6M1 : 볼록부
6M1a : 최대 돌출면
6M2 : 기준면
6M3 : 경사면
7 : 제1 스터드(제1 샤프트)
7a : 기통부
7b, 7c : 제1, 제2 축부
7b1 : 닿음면
8 : 제2 스터드(제2 샤프트)
8a : 플랜지부
8b : 축부
9 : 제3 스터드(제3 샤프트)
9a : 기통부
9b : 축부
9c : 양면 D컷부
10 : 스프링 플레이트
10a : 관통공
10b : 절곡부
10c : 볼록부
11 : 록 플레이트(샤프트 고정부)
11a : 관통공
11b : 절결부
11c : 신장부
12 : 코일 스프링(탄성 지지체)
50 : 힌지 장치
50A : 고정체
50B : 회동체(回動體)
80 : 렌즈부
81 : 촬상소자
82 : 신호 처리 회로
83 : 기록 재생부
84 : 화상 표시부
150 : 비디오 카메라(화상 표시 장치)
151 : 본체부
151a, 151b : 제1, 제2 샤시
152 : 화상 표시 패널(화상 표시부)
152a : 프레임
152a1 : 리브
152a2 : 결합부
152b : 조명 장치
M1 : 캠 기구
M2 : 회동 규제 기구
MG1, MG2 : 굴곡부
ST : 맞닿음면

Claims (9)

  1. 회동체를 고정체에 대하여 회동축의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상기 회동축을 따라 연재(延在)하는 기체부(基體部)와, 상기 기체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회동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상기 회동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측부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는,
    기면부(基面部)와, 상기 기면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1 측면부와 겹치도록 절곡되어 연장하는 중첩면부와,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중첩면부와의 각각에, 적어도 양면부를 관통하는 개구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제2 및 제3 관통공을 가지는 브라켓과,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개구부에 삽입 통과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 스터드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브라켓에 대한 소정의 각도 위치에서, 상기 제1 측면부, 상기 중첩면부 또는 상기 스터드에 맞닿는 맞닿음부를 가지고,
    상기 맞닿음에 의해 상기 회동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2. 회동체를 고정체에 대하여 회동축의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상기 회동축을 따라 연재하는 기체부와, 상기 기체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회동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하고 상기 회동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제1 관통공과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절입되어 형성된 절입부를 가지는 측부와, 상기 기체부의 측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회동축을 따라 바깥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가지고 형성된 길이측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절입부에 결합함과 아울러 그 선단측으로 상기 측부의 외면보다도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는,
    제2 관통공을 가지는 브라켓과,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으로 삽입 통과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 스터드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브라켓에 대한 소정의 각도 위치에서,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스터드에 맞닿아, 상기 회동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3. 회동체를 고정체에 대하여 회동축의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 하도록 구성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상기 회동축을 따라 연재하는 기체부와, 상기 기체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회동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하고 상기 회동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제1 관통공과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절입되어 형성된 절입부를 가지는 측부와, 상기 기체부의 측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회동축을 따라 바깥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가지고 형성된 길이측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절입부에 결합함과 아울러 그 선단측으로 상기 측부의 외면보다도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는,
    기면부와, 상기 기면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하는 제1 및 제2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1 측면부와 겹치도록 절곡되어 연장하는 중첩면부와,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중첩면부와의 각각에, 적어도 양면부를 관통하는 개구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제2 및 제3 관통공을 가지는 브라켓과,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개구부로 삽입 통과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 스터드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돌출부가, 상기 브라켓에 대한 소정의 각도 위치에서, 상기 제1 측면부, 상기 중첩면부 또는 상기 스터드에 맞닿고, 상기 회동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4. 본체부와,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와, 상기 화상 표시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적어도 1축 둘레의 회동에 의해 개폐시키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장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힌지 장치이며,
    상기 고정체는 상기 본체부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체는 상기 화상 표시부측에 연결되는 화상 표시 장치.
  5. 고정체에 대하여 회동체를 일 회동축의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상기 일 회동축을 따라 연재하는 기체부와, 상기 기체부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일 회동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여 상기 일 회동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 및 제2 측부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과,
    일단부에 제1 캠면을 구비하고, 상기 기체부에 의해, 상기 기체부에 대한 상기 일 회동축 둘레의 회동을 불가능하게, 또한, 상기 일 회동축 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캠체와,
    상기 제1 캠체와 상기 제2 측부와의 사이에 배설되고, 상기 제1 캠체를 상기 제1 측부를 향하여 탄성 지지시키는 탄성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1 및 제2 측부의 관통공에 각각 삽입 통과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상기 일 회동축 둘레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 샤프트와,
    일단부에 제2 캠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캠체와 상기 제1 측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1 샤프트에 의해, 상기 제1 샤프트에 대한 상기 일 회동축 둘레의 회동을 불가능하게 지지된 제2 캠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 지지체의 탄성 지지에 의해, 상기 제1 캠면과 상기 제2 캠면이 서로 눌려져 맞닿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샤프트의 선단간의 거리는, 상기 제1 캠체의 상기 일 회동축 방향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기체부는, 상기 일 회동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직교하는 다른 회동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관통공에 외측으로부터 삽입 통과된 제3 샤프트와,
    삽입 통과된 상기 제3 샤프트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3 샤프트에서 상기 기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다른 회동축 둘레로 회동하는 샤프트 고정부와,
    상기 제1 캠체의 측부에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 고정부가 상기 오목부에 들어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힌지 장치.
  8. 본체부와,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와, 상기 화상 표시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적어도 1축 둘레의 회동에 의해 개폐시키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장치는,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힌지 장치이며,
    상기 고정체는 상기 본체부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체는 상기 화상 표시부측에 연결되는 화상 표시 장치.
  9. 본체부와,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와, 상기 화상 표시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적어도 1축 둘레의 회동에 의해 개폐시키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장치는, 제7항에 기재된 힌지 장치이며,
    상기 고정체는 상기 본체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샤프트는 상기 화상 표시부측에 연결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070069575A 2006-07-24 2007-07-11 힌지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867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01237 2006-07-24
JPJP-P-2006-00201238 2006-07-24
JP2006201238 2006-07-24
JPJP-P-2006-00201237 2006-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635A KR20080009635A (ko) 2008-01-29
KR100867434B1 true KR100867434B1 (ko) 2008-11-06

Family

ID=38668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575A KR100867434B1 (ko) 2006-07-24 2007-07-11 힌지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84156B2 (ko)
EP (1) EP1885118B1 (ko)
KR (1) KR100867434B1 (ko)
CN (1) CN1011137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5579A (ja) * 2004-06-16 2006-01-05 Sony Corp 撮像装置
JP2009236315A (ja) * 2008-03-07 2009-10-15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二軸ヒンジ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JP5762018B2 (ja) * 2011-01-28 2015-08-12 加藤電機株式会社 2軸ヒンジ並びにこの2軸ヒンジを備えた電子機器
US20120275614A1 (en) * 2011-04-28 2012-11-01 Sony Corporation Noise cancellation unit
CN102840220A (zh) * 2011-06-21 2012-12-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JP6061460B2 (ja) * 2011-11-29 2017-01-18 加藤電機株式会社 2軸ヒンジ並びにこの2軸ヒンジを備えた電子機器
JP5955908B2 (ja) * 2014-08-07 2016-07-20 三菱製鋼株式会社 開閉装置、及び、電子機器
JP6541316B2 (ja) * 2014-08-27 2019-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ヒンジユニットおよびヒンジユニットを備える電子機器
CN106555814B (zh) * 2015-09-25 2024-01-09 昆山玮硕恒基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铰链与电子设备元器件的固定装置
CN105972398B (zh) * 2016-07-01 2017-12-08 北京小鸟看看科技有限公司 一种带阻尼的摄像头支架
CN107092153A (zh) * 2017-04-28 2017-08-25 深圳东方红鹰科技有限公司 具有距离感应锁的探测相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369A (ko) * 1997-12-04 1999-07-05 구자홍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액정부 회전/화면반전장치
KR20040076810A (ko) * 2004-02-25 2004-09-03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캠 장치 및 광학 줌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5890A (ja) * 1994-10-21 1996-05-17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JP3220412B2 (ja) 1997-05-12 2001-10-22 株式会社ニフコ ヒンジ機構及びヒンジユニット
JP3031903B1 (ja) 1998-12-25 2000-04-10 三菱製鋼株式会社 ヒンジ機構
JP3669244B2 (ja) * 2000-03-24 2005-07-0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US6357712B1 (en) * 2000-06-28 2002-03-19 Lu Sheng-Nan Pivot for a screen
JP4063571B2 (ja) * 2002-04-10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
US6796541B2 (en) * 2002-08-29 2004-09-28 Shin Zu Shing Co., Ltd. Support for an LCD monitor
US7123304B2 (en) * 2002-11-27 2006-10-17 Shin Zu Shing Co., Ltd. Hinge for an LCD monitor of a video movie camera
KR100492554B1 (ko) * 2002-11-29 200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JP2004214396A (ja) * 2002-12-27 2004-07-29 Olympus Corp ヒンジ装置、ヒンジ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KR101018375B1 (ko) * 2003-05-06 2011-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그 힌지장치에 사용되는 배선부재
JP2005155779A (ja) * 2003-11-26 2005-06-16 Victor Co Of Japan Ltd ヒンジ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029532A (ja) * 2004-07-21 2006-02-02 Sando Kogyosho:Kk 可動体の傾斜支持装置
US20060107492A1 (en) * 2004-11-25 2006-05-25 Sheng-Hao Chang Rotary hinge for rotationally coupling image capturing device with display panel
JP2007281345A (ja) * 2006-04-11 2007-10-25 Sony Corp スタンドの回動機構及び電子機器
CN100489324C (zh) * 2006-07-07 2009-05-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装置
US7469449B2 (en) * 2006-07-18 2008-12-30 Shin Zu Shing Co., Ltd. Rotatable hinge
KR100754524B1 (ko) * 2006-09-19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369A (ko) * 1997-12-04 1999-07-05 구자홍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액정부 회전/화면반전장치
KR20040076810A (ko) * 2004-02-25 2004-09-03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캠 장치 및 광학 줌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5118A3 (en) 2015-11-18
US7784156B2 (en) 2010-08-31
CN101113756A (zh) 2008-01-30
EP1885118B1 (en) 2020-02-26
US20080263824A1 (en) 2008-10-30
CN101113756B (zh) 2010-06-16
KR20080009635A (ko) 2008-01-29
EP1885118A2 (en) 200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434B1 (ko) 힌지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US20220159109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rque structure
US6301748B1 (en) Clip type friction hinge device
JP4113092B2 (ja) 二軸ヒンジの回転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電話
US20030162509A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JP5076703B2 (ja) ヒンジ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US20060152614A1 (en) Display with rotatable image capturing module
WO2014112441A1 (ja) 開閉装置
JP5373441B2 (ja) ヒンジ構造及び、該ヒンジ構造を用いる携帯電子装置
JP4604254B2 (ja) チルトヒンジ
JP5076702B2 (ja) ヒンジ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4591397B2 (ja) ヒンジ装置及びヒンジ装置を備える機器
JP4948568B2 (ja) チルト機構及びスライド装置
US20100149439A1 (en) Display apparatus
US7406343B2 (en) Hinge and mobile phone with the hinge
JP3360017B2 (ja) ヒンジ装置
US20060107492A1 (en) Rotary hinge for rotationally coupling image capturing device with display panel
CN115291414A (zh) 铰链模组和眼镜
JPWO2005124168A1 (ja) ヒンジ装置及びその取付け構造
JP2005147344A (ja) ヒンジ装置
JP2002139020A (ja) 小型ヒンジ
JP4679082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0805395B1 (ko) 탄성 힌지
KR100974680B1 (ko) 휴대 영상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체결 구조
JP2005337461A (ja) 二軸ヒン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