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6810A - 촬상 장치, 캠 장치 및 광학 줌 기구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캠 장치 및 광학 줌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6810A
KR20040076810A KR1020040012760A KR20040012760A KR20040076810A KR 20040076810 A KR20040076810 A KR 20040076810A KR 1020040012760 A KR1020040012760 A KR 1020040012760A KR 20040012760 A KR20040012760 A KR 20040012760A KR 20040076810 A KR20040076810 A KR 20040076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ens
frame
zoo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5402B1 (ko
Inventor
오쿠타니츠요시
시로노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40012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402B1/ko
Publication of KR20040076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7/005Motorised align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예컨대 와이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바지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할 수 있는 박형이 강도를 갖고, 그런 부분이나 핸드백 등에 수용하더라도 위화감을 일으키지 않게 가볍고, 더구나 고배율의 줌을 정밀도가 양호하게 달성할 수 있는 기구를 갖춘 전자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며, 조작부에 배치한 표시 장치와, 메모리와, 전지와, 제어 기판에 의해 두께로 렌즈 외경을 규정하고, 렌즈 프레임을 하우징 지지면으로 하여 상기 렌즈 프레임에 가이드 축을 관통시키고 전후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줌 렌즈의 렌즈 이동용 캠을 렌즈계의 횡으로 배치하여 박형화로 설계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캠 장치 및 광학 줌 기구{ELECTRONIC CAMERA}
본 발명은 전자 카메라에 관한 것이고, 특히 박형, 경량으로, 고배율 광학 줌 탑재를 가능하게 구성한 전자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광학계를 주밍(zooming) 이동시키는 캠이나 리드 나사 등의 동력 기구와, 이 동력 기구를 구동하는 모터와의 연동계에 구비하는 감속 장치를 갖는 광학 줌 기구 및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캠 홈을 따라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캠 장치와, 그 캠 장치를 사용하여 광학계를 이동시켜 주밍하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카메라 등의 광학 기기에 구비하는 촬상 장치 및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CCD 등의 촬상 소자를 구비하고, 화상을 디지탈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카메라는, 종래의 필름을 이용한 카메라와 같이 현상, 프린팅 등이 불필요하고 찍은 화상을 바로 볼 수 있으며, 게다가 CCD 등의 촬상 소자는, 1소자당의 화소수가 매년 증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필름보다도 작아, 그로써 카메라 자체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 때문에 예컨대, 와이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바지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할 수 있게 얇고 강도를 갖고, 그러한 부분이나 핸드백 등에 수용해도 위화감을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가벼우며, 게다가 고배율의 줌 기구를 구비한 전자 카메라의 출현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필름을 사용한 카메라와 같이, 카메라 본체로부터 촬영 렌즈를 돌출시키도록 한 방식에서는, 예컨대 촬영시 이외는 렌즈를 본체내에 수납하는 심동식으로 해도, 주밍 기구나 렌즈의 두께를 위해서 일정 이하의 두께로 하기 어렵다.
즉, 줌 렌즈는 동일 광축상에 배치된 복수의 렌즈 그룹 중, 하나 이상의 렌즈 그룹을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여 렌즈 전체의 초점 거리를 변화시키는 구성이 취해지고 있지만, 주밍시에 렌즈 그룹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이동시키는 렌즈 그룹이 결합되는 캠판을 설치하고, 이 캠판을 수동 조작, 혹은 모터 등에 의해 이동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렌즈 그룹을 캠 형상을 따라 이동시켜, 2개 이상의 렌즈 그룹에 상관을 갖으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캠 기구로서 종래에는, 렌즈 경통의 외주에 이것과 동축으로 통형상 캠(이하, 캠 고리라 칭함)을 배치하고, 이 캠 고리에 렌즈 그룹을 캠 결합시키며, 캠 고리를 축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렌즈 그룹을 이동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 또한 캠 기구에 의한 주밍 방법에 대하여, 렌즈 경통의 광축을 따라 리드 나사를 배치하는 동시에, 이 리드 나사로 이동하는 렌즈 그룹을 나사 결합시켜, 모터 등에 의해 리드 나사를 축 회전함으로써 나사 결합되어 있는 렌즈 그룹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의 전면에 렌즈를 배치하고, 렌즈 경통의 외주에 캠 고리를 배치한 경우, 전원 오프에 의해 모든 렌즈를 본체측으로 하강시켜 카메라 전면에 볼록부를 없애도록 해도, 이 캠 고리의 높이 이하, 또는 복수개의 렌즈 그룹에 있어서의 각 렌즈의 두께를 더한 광축방향의 총 두께 이하로 카메라 본체를 얇게 할 수는 없다. 또한, 줌 렌즈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 그룹의 렌즈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배율이 높을수록 필요하게 되는 렌즈 매수가 증가하여, 그러한 렌즈의 두께를 가산하면, 광축방향의 카메라 본체의 두께는 매우 두꺼워져, 박형화가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렌즈 경통의 외주에 캠 고리를 배치한 경우, 렌즈의 직경 방향의 치수가 커지고, 장치 전체의 대형화로도 이어져 박형 카메라를 설계할 때의 장해로 될 문제가 있다.
그러나, 카메라의 고배율화에 따라 카메라가 두꺼워지는 것을 억제한 카메라가 출현하고 있다.
예컨대, 촬영하지 않을 때에 복수의 렌즈 그룹을 본체에 수납하는 심동식의 카메라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의 메인 전원을 오프로 하여 돌출된 렌즈 그룹을 수납할 때에, 광축의 범위내를 이동하는 복수의 렌즈 그룹 중, 중간 부근의 렌즈 그룹(A)을 광축의 범위 외부로 이동하여 카메라 본체내에 수납하고, 중간 부근보다 피사체측의 렌즈 그룹(B)을 광축의 범위내에서 카메라 본체내에 수납한 구성이다.
따라서, 중간 부근의 렌즈 그룹(A)을 광축의 범위 외부로 이동시킴으로써, 광축방향의 카메라의 두께를 박형화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중간 부근의 렌즈 그룹(A)을 광축의 범위 외부로 이동시키는구성의 카메라는, 렌즈 그룹을 광축의 범위 외부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광학계의 정밀도를 확보하는 구성이 복잡한 동시에, 렌즈 그룹을 광축의 범위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품 개수가 증가하여,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중간 렌즈 그룹이나 렌즈 경통을 전원 오프에 의해 카메라 본체로 하강시키는 방식에 있어서는, 카메라의 메인 전원을 온으로 했을 때에 렌즈 그룹을 장치 본체로부터 돌출시키기 위해서, 촬영을 할 수 있게 될 때까지 일정한 시간을 필요로 하여, 셔터 기회를 놓친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심동식의 카메라가 아니라, 렌즈 경통의 광축을 따라 리드 나사를 배치하도록 한 구성으로는, 상기 캠 기구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캠 고리 등의 부품을 저감시킴으로써 렌즈 경통의 근방의 공간을 저감하여 소형화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통상 이러한 타입의 카메라는, 촬영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에 평행하여 복수의 렌즈 그룹을 배치하고, 이 렌즈 그룹의 피사체측의 1매째의 렌즈 이후의 렌즈와 렌즈의 사이에, 광축의 방향을 90도 변환하는 반사판이나 프리즘을 설치하고,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저감하여 소형화를 달성하는 반면, 반사판이나 프리즘을 설치함으로써 새로운 부품이 필요하게 되고, 부품 개수가 증가하며, 또한 구조가 복잡화되고, 카메라의 다중량화, 고가격화를 초래하는 동시에, 캠 기구에 비해 특히 카메라의 소형화, 박형화가 현저하게 되지도 않는다.
이러한 카메라의 박형화 및 고배율화를 실행함으로써 발생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컨대 일본 특허 제 2931907호 공보 기재와 같은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 제시된 기술에 의하면, 촬상 렌즈와 촬상 소자를 내장한 촬상부와, 액정 등의 표시부를 구비한 카메라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고, 촬영시에는 촬상부를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촬영하고 싶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비촬영시에는, 촬상부를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회전하여 카메라 본체내에 수납한다.
이와 같이 촬상부를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촬상부를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표시부와 평행 방향으로 수납할 수 있어, 카메라 본체의 표시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박형 카메라로는, 줌 기구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2-158632호 공보(도 2)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5-23259호 공보(도 2)와 같이, 광학계의 광축방향을 카메라 본체의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하여, 광학계의 전체 길이를 카메라내에 수용할 것이 고려된다. 즉 일본 특허 공개 제 1992-158632호 공보에 표시된 카메라는, 개폐 가능한 상부 덮개에 표시 장치를 배치하여 수첩형으로 한 본체의 하측면에 촬영 창을 설치하고, 촬영 창으로부터의 입사광을 45도로 설치한 반사경으로 반사하여, 카메라 본체의 길이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광축을 배치한 렌즈계로 입사되며, 또한 그 광을 45도로 설치한 반사경으로 반사하여 촬영창측에 설치한 촬상 소자에 입사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 1995-23259호 공보에 표시된 카메라는, 수첩형의 본체의 일면에 표시 장치를, 그 본체 내부에 광축을 본체의 길이 방향에평행하게 하여 두께 방향에 촬영 창을 배치한 촬영 렌즈를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표시된 카메라에서는, 촬영 광학계용 촬영 창의 이면측에 표시 장치가 존재하기 때문에, 촬영 광학계를 눈의 높이로 하여 피사체 방향을 향했을 때는 표시 장치를 확인할 수 있지만, 예컨대 촬영자(자신)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나 지면 근방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및 많은 사람의 머리 너머로 촬영하는 경우에는 표시 장치로 촬영 범위를 확인하기 어렵고, 감으로 촬영할 수밖에 없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표시된 카메라는, 표시 장치의 면과 촬영 광학계의 광축방향이 일치하고 있어, 그 때문에 카메라를 눈의 높이보다 하방, 또는 상방에 취할 때는 좋지만, 눈의 높이로 취하는 경우는 이것 또한 표시 장치로 촬영 범위를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최근 카메라는, 촬영 렌즈의 주밍 외에, 주밍 기능을 갖는 파인더나 플래쉬 장치를 구비한 것이 많다.
그리고, 주밍은 모터 구동되는 캠이나 리드 나사를 구비하는 동력 기구에 의해 배율변경 렌즈를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 예로서 촬영 렌즈의 주밍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광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주밍하는 촬영 렌즈의 측방 위치에 통형상의 줌용 캠을 배치하고, 이 줌용 캠의 캠 홈에 촬영 렌즈의 캠핀을 삽입하여 연동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줌용 캠의 전방측 혹은 후방측에 줌용 모터를 배치하고, 또한, 이 모터와 줌용 캠의 사이에 감속 장치를 배치하고, 모터 출력을 감속 장치로 감속하여 줌용 캠에 전달하여, 줌용 캠을 회전 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감속 장치는, 모터 피니언에 맞물린 초단의 감속 기어 외에 다수의 감속 기어를 구비하고, 종단의 감속 기어를 줌용 캠에 설치되는 치차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주밍 기능을 위해, 각종의 캠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72043호 공보 참조).
도 45는, 전자 카메라(디지탈 카메라)에 구비된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촬영 렌즈로서 제 1 렌즈 그룹(11)과 제 2 렌즈 그룹(12)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 외에 포커싱용의 제 3 렌즈 그룹을 구비하고, 주밍은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렌즈 그룹에 의해 실행된다.
이 주밍 구동 장치(10)는 제 1 렌즈 그룹(11)의 렌즈 프레임(11a)에 설치한 보스(베어링부)(11b)와, 제 2 렌즈 그룹(12)의 렌즈 프레임(12a)에 설치한 보스(베어링부)(12b)에 축 삽입한 가이드 축(13)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제 1, 제 2 렌즈 그룹(11, 12)이 이 가이드 축(13)을 미끄럼운동하여 이동한다.
또한, 렌즈 프레임(11a, 12a)의 각각에는, 보스(11b, 12b)와는 반대측이 되는 위치에 구멍부(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이러한 구멍부에 미끄럼운동 로드(14)가 축삽입되어 있고, 이 미끄럼운동 로드(14)에 의해 제 1, 제 2 렌즈 그룹(11, 12)의 회전 방지를 실행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축(13), 미끄럼운동 로드(14)는 일단측이 전측 고정 프레임(15)에, 타단측이 후측 고정 프레임(16)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보스(11b)에는 캠핀(캠 홈 삽입 부재)(11c)이, 보스(12b)에는 캠핀(캠 홈 삽입 부재)(12c)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캠핀(11c, 12c)이 줌용 캠(17)의 캠에 가압접촉하고 있다.
줌용 캠(17)은 전측에 제 1 캠면(17a), 후측에 제 2 캠면(17b)을 갖는 원주 형상의 캠으로, 상기 캠핀(11c)이 제 1 캠면(17a), 캠핀(12c)이 제 2 캠면(17b)에 가압접촉하고 있다.
캠핀(11c, 12c)의 가압접촉 작용은, 렌즈 프레임(11a, 12a)에 가설한 코일 스프링(18)의 인장력에 따른다.
즉, 코일 스프링(18)은 인장력의 용수철로, 그 일단을 렌즈 프레임(11a)에, 타단을 렌즈 프레임(12a)에 각각 고정하고, 이들 렌즈 프레임(11a, 12a)을 접근시키는 방향의 용수철힘을 부여하고 있으며, 이로써 캠핀(11c, 12c)이 각각의 제 1, 제 2 캠면(17a, 17b)에 가압접촉한다.
줌용 캠(17)은 감속기를 거쳐 모터(19)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또한 줌용 캠(17)의 회전에 의해, 캠핀(11c, 12c)이 제 1, 제 2 캠면(17a, 17b)을 따라 구동됨으로써, 제 1 렌즈 그룹(11), 제 2 렌즈 그룹(12)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주밍이 실행된다.
상기 줌용 캠(17)을 사용하여 파인더 광학계를 배율변경하는 구성의 카메라도 이미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8-161194호 참조).
또한, 도 46은 제 1 캠 홈(111a)과 제 2 캠 홈(111b)을 갖는 줌용 캠(111)을 구비한 주밍 구동 장치(110)를 나타낸다.
이 주밍 구동 장치(110)는, 제 1 렌즈 그룹(11)의 캠핀(11c)이 제 2 캠 홈(111a)에, 제 2 렌즈 그룹(12)의 캠핀(12c)이 제 2 캠 홈(111b)에 각각 돌출삽입하고 있다.
따라서, 줌용 캠(111)의 회전을 따라 캠핀(11c, 12c)이 구동됨으로써, 제 1 렌즈 그룹(11)과 제 2 렌즈 그룹(12)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주밍이 실행된다.
또한, 이 주밍 구동 장치(110)의 그 밖의 구성은 도 45에 도시한 주밍 구동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주밍 기능을 갖는 카메라는, 렌즈 경통을 구비하고, 이 렌즈 경통을 주밍에 따라 진퇴시키며, 촬영 렌즈의 초점 거리를 변경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제 2002-72043호 공보 참조).
구체적으로는, 배율변경 렌즈를 지지시킨 이동 프레임과, 캠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을 중첩시킨 경통 구성으로 하고, 이동 프레임에 설치한 캠핀을 캠 프레임의 캠 홈에 의해 구동하며, 이동 프레임을 광축방향으로 진퇴시켜 주밍한다.
또한, 캠 프레임은 회전 구동하지만, 그 구동부로서 경통 일부에 모터와 연동 치차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촬영 렌즈의 결상부에 촬상 소자를 배치하고, 촬영 소자가 출력하는 피사체의 촬영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기억시키는, 이른바 전자 카메라가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종류의 전자 카메라는 촬상 소자가 렌즈 경통의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0-71678호 공보 참조).
구체적으로는, 촬영 렌즈의 결상부 주위의 고정 프레임부 위치에 기준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촬상 소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금속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다.
이 금속 플레이트에는 촬상 소자의 양측으로 돌출하도록 텅형상부가 설치되어 있고, 그 텅형상부를 상기 기준면에 대향 접촉시키며, 또한 텅형상부를 고정 프레임에 나사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촬상 소자는 이러한 장착 구성에 의해 렌즈 미러체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 카메라가 많다.
본 발명은 전자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를 갖는 조작부와, 해당 조작부에 힌지 기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고, 발광 장치와 촬영용 줌 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영상을 보내는 촬상부로 구성되는 전자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배치한 표시 장치와, 메모리와, 전지와, 제어 기판에 의한 두께로 렌즈 외경을 규정하고, 렌즈 프레임을 하우징 지지면으로 하여 상기 렌즈 프레임에 가이드 축을 관통시키며,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줌 렌즈의 렌즈 이동용 캠을 렌즈계의 측방에 배치하여 박형화를 도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배율변경 렌즈와, 상기 배율변경 렌즈를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과, 양단부에 치차를 설치한 회전축 로드와, 상기 회전축 로드의 일단측에 설치한 치차에 맞물리는 제 1 감속 기어 그룹과, 상기 회전축 로드의 타단측에 설치한 치차에 맞물리는 제 2 감속 기어 그룹과, 상기 제 2 감속 기어 그룹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제 1 감속 기어 그룹에 의해 구동되는 캠체를 구비하여, 상기 캠체에 의해 상기 유지 프레임을 이동시킴으로써 주밍을 실행하는 광학 줌 기구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나선 형상의 캠 홈을 갖고, 캠 홈에 삽입된 캠 홈 삽입 부재를 캠 구동하여, 그 캠 구동력에 의해 피이동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캠 장치에 있어서, 캠 홈의 일측 캠면을 형성한 한쪽의 캠체와, 이 캠체에 비회전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하여, 상기 일측 캠면에 대향시키는 타측 캠면을 형성한 다른쪽 캠체와, 한쪽의 캠체 및/또는 다른쪽의 캠체를 가압하여 캠 홈 삽입 부재를 캠면에 접촉시키는 가압 수단으로 구성되는 캠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선 형상의 제 1, 제 2 캠 홈을 갖고, 각 캠 홈에 삽입된 캠 홈 삽입 부재를 캠 구동하여, 그 캠 구동력에 의해 피이동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캠 장치에 있어서, 원주체의 양 측부 각각에 소경 형상으로 한 미끄럼운동부를 설치하고, 일측 측의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의 사이의 단부를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으로 하며, 타측의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의 사이의 단부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으로서 형성한 캠 기부몸체와,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키는 타측 캠면을 형성하여, 한쪽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키는 타측 캠면을 형성하여, 다른쪽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2 캠 프레임과, 이러한 제 1,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하여, 제 1,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로 형성된 2조의 캠 홈에 삽입시킨 각 캠 홈 삽입 부재를 캠면에 접촉시키는 가압 수단으로 구성되는 캠 장치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의 전체도,
도 2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렌즈를 피사체 방향을 향하게 한 촬영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렌즈를 카메라 조작자(자신) 방향을 향하게 한 촬영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렌즈를 피사체 방향을 향하게 한 촬영시의 카메라의 홀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의 조작부(102)의 커버를 제거하여 내부 장치의 수용 상태와,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와 콘덴서, CCD 등의 촬상 장치 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부(102)의 커버를 제거한 것으로, 도 6a는 또한 표시 장치(105)를 제거한 사시도, 도 6b는 이면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부(102)의 커버를 제거한 것으로, 도 7a는 도 5에 있어서의 전방에서 본 도면, 도 7b는 동일하게 도 5에 있어서의 좌측 사이드에서 본 도면, 도 7c는 도 7b와 동일하게 도 5에 있어서의 좌측 사이드에서 본 단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상측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분해도,
도 10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렌즈계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촬상 소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촬상 소자를 장착하는 후측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줌 기구에 있어서의 줌용 캠의 사시도,
도 14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줌용 캠 구동 장치의 설명도,
도 15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줌용 캠 구동 장치의 단면도,
도 16은 포커싱 기구의 설명도,
도 17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줌용 캠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줌용 캠의 제 2 실시예를 이용한 구동 장치의 단면도,
도 19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제 3 실시예의 줌용 캠(25)을 이용한 구동 장치의 단면도,
도 20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제 3 실시예의 줌용 캠(25)을 이용한 구동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1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제 3 실시예의 줌용 캠(25)에 있어서의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캠면 경사 위치를 변경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2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제 3 실시예의 줌용 캠(25)을 이용한 구동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제 3 실시예의 줌용 캠(25)을 이용한 구동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의 촬상부(101)와 조작부(102)를 결합하는 힌지 기구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5는 힌지 기구를 촬상부(101)에 조립하고,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상측 커버(307)와 내부 구성 부품을 제거하여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6은 도 24에 나타낸 힌지 기구를 분해한 사시도,
도 27은 캠 장치를 줌용 캠으로서 구비하는 전자 카메라의 주밍 구동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상기 주밍 구동 장치의 정면도,
도 29는 줌용 캠의 구성부를 나타낸 도 1과 동일한 주밍 구동 장치의 사시도,
도 30은 줌용 캠의 사시도,
도 31은 줌용 캠의 분해 사시도,
도 32는 상기한 주밍 구동 장치를 구비한 전자 카메라의 일 예로서 나타낸 카메라 평면도,
도 33은 도 32에 나타내는 전자 카메라의 카메라 정면도,
도 34는 도 32에 나타내는 전자 카메라의 카메라 배면도,
도 35는 도 32에 나타내는 전자 카메라의 촬영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카메라 정면도,
도 36은 도 32에 나타내는 전자 카메라의 광학계 흡수부를 리어 케이스를 제거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7은 상기 광학계 흡수부의 횡단면도,
도 38은 상기 광학계 흡수부의 분해 사시도,
도 39는 상기 광학계 흡수부에 구비한 주밍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0은 도 39에 나타낸 주밍 구동 장치에 구비한 줌용 캠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1은 도 39에 나타낸 주밍 구동 장치에 구비한 감속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2는 촬상 유닛과, 촬상 유닛의 장착 구성을 나타내는 광학계 수납부의 사시도,
도 43은 촬상 유닛을 내장한 상태를 나타내는 광학계 수납부의 사시도,
도 44는 촬상 유닛이 배선 기판과 함께 실제로 장착된 나타내는 광학계 수납부의 사시도,
도 45는 종래예로서 나타낸 전자 카메라의 주밍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6은 다른 종래예로서 나타낸 도 45와 동일한 주밍 구동 장치의 사시도,
도 47은 종래의 줌용 캠의 캠 홈과 캠핀의 구성부를 나타내는 확대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제 1 렌즈 그룹 22 : 제 2 렌즈 그룹
25 : 줌용 캠 40, 41 : 제 1, 제 2 캠 홈
100 : 전자 카메라 101 : 촬상부
102 : 조작부 103 : 촬영 렌즈 창
104 : 발광 장치 창 105 : 표시 장치
109 : 줌 키 252, 253 : 캠 프레임
254 : 코일 스프링 300 : 메모리 기판
307 : 상측 커버 308 : 하측 커버
320 : 촬상 소자 400 : 렌즈 유닛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에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라, 단순한 설명예에 불과하다.
제 1 실시 형태
최근 요구되고 있는 카메라의 박형화, 고배율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개량이 더 필요하다.
그 때문에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컨대 와이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바지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할 수 있는 두께와 강도를 가지고, 그러한 위치나 핸드백 등에 수용해도 위화감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가벼우며, 게다가 고배율의 줌을 정밀도 좋게 달성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의 전체도, 도 2는 본 실시예인전자 카메라의 렌즈를 피사체 방향으로 대향시킨 촬영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렌즈를 카메라 조작자(자신) 방향으로 대향시킨 촬영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렌즈를 피사체 방향으로 대향시킨 촬영시의 카메라의 홀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 참조부호(100)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 참조부호(101)는 촬상부, 참조부호(102)는 조작부, 참조부호(103)는 촬영 렌즈 창, 참조부호(104)는 스트로보 등의 발광 장치 창, 참조부호(105)는 액정 등을 이용한 표시 장치, 참조부호(106)는 셔터 버튼, 참조부호(107)는 전원 버튼, 참조부호(108)는 십자키와 결정키로 구성되고, 표시 장치(105)에 표시된 기능이나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결정키, 참조부호(109)는 광학계 주밍을 지시하는 줌키, 참조부호(110)는 카메라 모드 메뉴의 온, 오프를 전환하는 메뉴 버튼, 참조부호(111)는 표시 장치(105)의 표시 내용과 조명의 온, 오프를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참조부호(112)는 표시 장치(105)의 표시 내용을 장면 선택 화면으로 전환하는 장면 버튼, 참조부호(113)는 조리개 우선 모드나 셔터 우선 모드, 고속으로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스포츠 모드, 근거리의 것을 촬영하는 매크로 모드, 스트로보의 강제 발광이나 발광 정지 등의 스트로보 제어, 동화상 촬영, 재생 등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 참조부호(114)는 스피커이다.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102)측에 표시 장치(105)와 일반적인 촬영용 조작 버튼류(106 내지 113)를 배치하고, 이 조작부(102)에 힌지 기구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촬상부(101)의 일단측에는, 촬영 렌즈 창(103), 그 조작부(102)측에 발광 장치용의 창(104)을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촬영용 조작 버튼류(106 내지 113)는, 와이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바지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한 경우에도 걸림이나 위화감을 느끼게 하지 않도록, 조작부(102)의 외부 커버의 평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또한 셔터 버튼(106)은 카메라(100)를 오른손으로 유지했을 때에 집게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하게 하며, 줌키(109), 선택 결정키(108), 메뉴 버튼(110), 모드 선택 버튼(113) 등은, 동일하게 오른손으로 카메라(100)를 유지했을 때, 엄지 손가락이 닿는 범위에 배치하여 조작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특히, 촬영중에 표시 장치(105)에 손가락이 걸리지 않도록, 주로 촬영에 이용하는 버튼(106, 109) 등은, 표시 장치로부터 분리하여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는, 표시 장치(105)를 항상 확인할 수 있도록 촬영자쪽을 향한 채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부(101)를 피사체쪽을 향하게 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으로 회전시켜서 촬영 렌즈 창(103)이 카메라 조작자(자신)쪽을 향하게 하며, 셀프 촬영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로 되는 전자 카메라(100)는, 촬상부(101)의 촬영 렌즈 창(103)측의 끝으로부터 발광 장치용의 창(104)측의 끝까지의 길이(L1)(도 3)를, 예컨대 왼쪽 집게 손가락의 선단으로부터 제 2 관절 부근까지의 길이로 하고, 또한,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촬영 렌즈 창(103)과는 반대측의 길이를 (L2)(도 3)로 했을 때, 발광 장치 창(104) 부분의 (L1-L2)에 상당하는 부위의 광축방향 두께(L3)(도 3)를, 대략 집게 손가락의 두께로서 모떼기하여 조작부(102)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105)의 우측에 조작 버튼류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만들 수 있고, 소형이면서, 조작성이 좋은 전자 카메라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촬영 렌즈 창(103)으로부터 힌지 기구의 회전 중심까지의 거리는, 힌지 기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촬영 렌즈 창(103)과는 반대측의 끝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취하고 있다.
이로써, 촬영 렌즈 창(103)을 사용자 자신을 향하게 하여 촬영한 경우, 표시 장치(105)의 표시 화면으로부터 촬영 렌즈 창(103)까지의 거리가 길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표시 장치(105)를 사용자의 확인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확인하고, 표시 화면을 촬영 렌즈 창(103)과 표시 화면의 사이의 극간에서 본 경우, 표시 화면으로부터 촬영 렌즈 창(103)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상기 극간도 길어져, 표시 화면 전체를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전자 카메라(100)를 사용할 때는, 전원 버튼(107)을 누름으로써 전원이 온으로 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으로 각 조작 버튼을 조작하고, 모드 선택 버튼(113)에 의해 조리개 우선 모드 및 셔터 우선 모드 등의 촬영 조건, 고속으로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스포츠 모드, 근거리의 것을 촬영하는 매크로 모드, 스트로보의 강제 발광이나 발광 정지 등의 스트로보 제어, 동화상 촬영, 재생 등의 모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메뉴 버튼(110)을 눌러 표시 장치(105)에 예컨대 화상의 사이즈, 촬영 감도, 측광 방식 등의 각종 메뉴를 표시시키고, 십자키와 결정키로 구성된 선택 결정키(108)의 십자키로 항목을 선택하며, 중앙의 결정 버튼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쪽에 촬영 렌즈 창(103)을 향해 촬영할 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손으로 조작부(102)측을 홀딩하고, 예컨대 왼손의 집게 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으로 촬상부(101)의 L1(도 3)의 길이를 갖는 L3(도 3)의 부분을 삽입하며 촬영 렌즈 창(103)을 피사체를 향하게 한다. 그리고, 표시 장치(105)에 투영된 피사체를 보면서 오른손 엄지 손가락으로 촬상부(101)의 줌 키(109)를 조작하여, 소정의 배율을 선택하여 구도를 결정한 후, 오른손 집게 손가락으로 셔터 버튼(106)을 누름으로써 자동적으로 핀트와 노출이 결정되고, 내장된 CCD 등의 촬상 소자에 의해 촬영된 화상이 내장된 메모리에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촬영을 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촬영 렌즈 창(103)으로부터 힌지 기구의 회전 중심까지의 거리는, 힌지 기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촬영 렌즈 창(103)과는 반대측의 끝까지의 거리보다 크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가 크게 회전하여, 촬상부(101)를 신속히 피사체로 향해지는 동시에, 카메라(100)를 강고히 홀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촬영이 종료하고, 모드 선택 버튼(113)을 조작하여 재생 모드로 하면, 메모리에 축적된 화상이 표시 장치(105)에 표시되어, 선택 결정키(108)에 있어서의 십자키를 조작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촬영한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동화상 촬영 모드의 경우는,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동화상을 메모리에 기록하고, 장면 버튼(112)에 의해 필요한 장면을 선택하며, 스피커(114)에 의해 음성도 동시에 재생시킬 수 있다.
다음에 조작부(10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인 전자카메라(100)의 조작부(102)의 커버를 제거하여 내부의 장치의 수용 상태와,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와 콘덴서, CCD 등의 촬상 장치 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부(102)의 커버를 제거한 것으로, 도 6a는 또한 표시 장치(105)를 제거한 사시도, 도 6b는 이면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부(102)의 커버를 제거한 것으로, 도 7a는 도 5에 있어서의 전방에서 본 도면, 도 7b는 동일하게 도 5에 있어서의 좌측 사이드에서 본 도면, 도 7c는 커버를 씌운 상태에서 메인 기판(300)의 대략 중앙에 설치한 구멍(311) 부근을 도 7b와 동일하게 도 5에 있어서의 좌측 사이드에서 단면도이다.
도면 중 참조부호(300)는 전자 카메라(100)에 있어서의 전체를 제어하는 메인 기판, 참조부호(301)는 화상을 기억하는 메모리 카드 등을 수용하는 메모리 슬롯, 참조부호(302)는 밧데리, 참조부호(303)는 촬상부(101)를 제어하는 서브 기판, 참조부호(304)는 모드 제어용 플렉서블 기판, 참조부호(306)는 마이크, 참조부호(307)는 상측 커버, 참조부호(308)는 하측 커버, 참조부호(309, 310)는 상측 커버(307)와 하측 커버(308)에 설치된 메인 기판(300)을 대략 중앙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주, 참조부호(320)는 촬상부(101)측의 CCD 등의 촬상 소자, 참조부호(321)는 촬상부(101)측의 스트로보 등의 발광 장치, 참조부호(322)는 촬상부(101)측의 스트로보 등의 발광 장치용 콘덴서, 참조부호(323)는 촬상부(101)측의 스트로보 등의 발광 장치용 프린트 기판이다.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의 조작부(102)는, 도 7c의 단면도에 나타낸상측 커버(307)에, 상기 도 1에 나타낸 스피커(114)나 셔터 버튼(106), 전원 버튼(107), 선택 결정키(108), 줌키(109), 메뉴버튼(110), 디스플레이 버튼(111), 장면 버튼(112), 모드 선택 버튼(113) 등의 조작 버튼류를 장착하는 동시에, 도 5에 나타낸 액정 등의 표시 장치(105)의 노출 창을 설치하고, 이 표시 장치(105) 주위에 모드 제어용의 플렉서블 기판(304)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표시 장치(105)와 모드 제어용의 플렉서블 기판(304)의 밑에,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에 화상을 기억하는 메모리 카드 등을 수용하는 메모리 슬롯(301)을, 하측에 도 6b와 같이 박형의 밧데리(302)를 배치한 메인 기판(300)을 배치하여 도 7b와 같이 중첩하고, 또한 메인 기판(300) 하측의 밧데리(302)의 측방에, 도 6,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부(101)를 제어하는 서브 기판(303)을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중 메인 기판(300)은, 하측 커버(308)의 코너 등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로 위치 결정하고,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커버(307)에 설치된 지주(309)(도 7c)와, 하측 커버(308)에 설치된 지주(310)(도 7c)를 메인 기판(300)의 대략 중앙 부근에 설치한 구멍(311)으로 통과시켜 삽입하여 지지하고, 하우징의 휨에 대하여 헐겁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메인 기판(300)에는, 전자 카메라(100) 전체를 제어하는 CPU 등이 실장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전자 카메라(100) 전체를 박형으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바지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한 경우, 이러한 상측 커버(307)와 하측 커버(308)로 구성된 하우징에 큰 휨력이 가해진다. 그 때문에 CPU 등을 실장한 메인 기판(300)을 하우징에 나사 등으로 고정하면, 휨력이 가해졌을 때, 메인기판(300)이 휘어, 최악의 경우, 납땜 실장한 CPU 등이 벗겨지는 사고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메인 기판(300)을 코너에서 위치 결정만을 실행하여 대략 중앙 부분을 지주(309, 310)로 삽입함으로써, 하우징이 휘어도, 그 힘을 놓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에 촬상부(10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상측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분해도이다. 도면 중 참조부호(400)는 줌 구동 장치를 포함한 렌즈 유닛, 참조부호(401)는 촬상부의 하측 커버, 참조부호(402)는 동일하게 상측 커버, 참조부호(403)는 렌즈 유닛(400)을 조립할 때에 광학계내에 먼지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커버하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 참조부호(404)는 촬영 렌즈 창(103)에 충전하는 렌즈 윈드, 참조부호(405)는 촬상부(101)를 조작부(10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 기구(406)는 후술하는 줌 캠을 코일 스프링(407)의 가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핀, 참조부호(408)는 촬상 소자 유닛이다.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의 촬상부(101)는,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촬상부(101)의 촬영 렌즈 창(103)측의 끝으로부터 발광 장치용의 창(104)측의 끝까지의 길이(L1)를, 예컨대 왼쪽 손집게 손가락의 선단으로부터 제 2 관절 부근까지의 길이로 하고, 또한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촬영 렌즈 창(103)과는 반대측의 길이를 (L2)로 했을 때, 발광 장치 창(104) 부분의 (L1-L2)에 상당하는 부위의 광축방향 두께(L3)를, 대략 집게 손가락의 두께로 하여 모떼기하여 조작부(102)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의 촬상부(101)는, 렌즈 유닛(400)에 있어서의 줌 렌즈를 구성하는 렌즈 그룹의 렌즈 프레임의 높이를, 상기 도 5 내지 7에 나타낸 조작부(102)에 수용한 표시 장치(105), 화상을 기억하는 메모리 카드 등을 수용하는 메모리 슬롯(301), 메인 기판(300), 밧데리(302)의 각각의 두께를 가산한 값과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규제하는 동시에, 일반적으로 외형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셔터를 렌즈 프레임과 같은 높이의 사각형상으로 하고, 이러한 렌즈 프레임이나 셔터의 외경을, 상하 커버(401, 402)로 구성되는 하우징의 지지면으로 하고 있다. 또한 줌 렌즈의 광축방향의 전체 길이를, 상기 도 6b에 참조부호(302)로서 나타낸 밧데리의 높이(h)에 의해 규제하는 동시에, 줌 렌즈의 구동 장치와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321)의 제어 기판(323) 등을 광학계의 측부 공간에 배치하고, 광학계의 촬영 렌즈 창(103)과는 반대측의 내부 공간에, 발광 장치용 콘덴서(322) 등의 전장 부품을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줌 렌즈의 광축방향의 전체 길이를, 상기 도 6b에 참조부호(302)로서 나타낸 밧데리의 높이(h)에 의해 규제하고, 또한 줌 렌즈의 구동 장치를 광학계의 측방에 배치함으로써 전자 카메라(100)의 전원을 오프했을 때도 온했을 때도 광학계의 전체 길이에는 변화가 없고, 종래의 카메라와 같이, 렌즈를 심동식로 했기 때문에, 전원의 온, 오프시에 렌즈의 배출이나 수납의 동작을 실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어계가 가동되면 곧 촬영 동작에 들어갈 수 있어, 셔터 기회를 놓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고배율화를 실시하는 경우, 렌즈 그룹이 증가하거나 하지만, 광학계의 촬영 렌즈 창(103)과는 반대측에, 발광 장치용 콘덴서(322) 등의 전장 부품을 배치하는 공간이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을 이용하여 렌즈 그룹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도 10 내지 도 16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101)의 줌 구동 장치를 포함한 렌즈 유닛(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이 렌즈 유닛(400)에 있어서의 광학계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촬상 소자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촬상 소자를 장착하는 후측 고정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줌 기구에 있어서의 줌용 캠의 사시도, 도 14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줌용 캠 구동 장치의 설명도, 도 15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줌용 캠 구동 장치의 단면도, 도 16은 포커싱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면 중 참조부호(21)는 제 1 렌즈 그룹, 참조부호(21a)는 제 1 렌즈 그룹(21)의 렌즈 프레임, 참조부호(21b)는 렌즈 프레임(21a)에 설치한 보스(베어링부), 참조부호(21c)는 보스(21b)에 설치한 캠핀, 참조부호(22)는 제 2 렌즈 그룹, 참조부호(22a)는 제 2 렌즈 그룹(22)의 렌즈 프레임, 참조부호(22b)는 렌즈 프레임(22a)에 설치한 보스(베어링부), 참조부호(22c)는 보스(22b)에 설치한 캠핀, 참조부호(23, 24)는 일단측이 전측 고정 프레임(27)에, 타단측이 후측 고정 프레임(28)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축, 참조부호(25)는 줌용 캠(도 13),참조부호(26)는 줌용 모터, 참조부호(27)는 전측 고정 프레임, 참조부호(27a)는 베어링부(도 14), 참조부호(27b)는 피사체상광을 통과시키는 창 구멍, 참조부호(28)는 후측 고정 프레임, 참조부호(28a)는 피사체상광을 통과시키는 창 구멍으로, 후측 고정 프레임(28)의 창 구멍 바로 뒤에는, 도 9에 도시한 CCD 등으로 구성한 촬상 소자 유닛(408)이 조립되어 있다. 참조부호(29)는 지지 고정 프레임(도 14), 참조부호(29a)는 지지 고정 프레임(29)에 설치된 베어링부(도 15), 참조부호(31)는 후측 고정 프레임(28)에 설치된 포커싱용 모터(33)(도 10)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 나사(34)로 나사 이송되는 제 3 렌즈 그룹(도 16), 참조부호(31a)는 제 3 렌즈 그룹(31)의 렌즈 프레임, 참조부호(31b)는 가이드 축(23)을 통과시키는 구멍을 갖는 렌즈 프레임(31a)에 설치한 보스, 참조부호(32)는 포커싱용 모터(33)(도 10)로 회전하는 리드 나사(34)에 의해 나사 이송되고, 제 3 렌즈 그룹(31)을 진퇴시키는 너트 나사, 참조부호(35)는 셔터 유닛, 참조부호(39)는 제 3 렌즈 그룹(31)의 반동 방지용의 스프링이다. 또한, 줌용 모터(26)와 포커싱용 모터(33)는, 동일 위치에 중첩하도록 배치한 경우, 모터의 여자에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가 서로 영향을 주어,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일이 있기 때문에, 도 10으로부터 명확하듯이, 광학계에 있어서의 광축방향 양단에 배치하고 있다.
도 13, 도 14에 있어서, 참조부호(40)는 줌용 캠(25)의 제 1 캠 홈, 참조부호(40a)는 제 1 캠 홈(40)의 일측 캠면, 참조부호(40b)는 타측 캠면, 참조부호(41)는 줌용 캠(25)의 제 2 캠 홈, 참조부호(41a)는 일측 캠면, 참조부호(41b)는 타측 캠면, 참조부호(50a)는 줌 모터(26)의 축에 설치된 치차와 맞물려, 줌 치차([2],51)로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줌 치차([1], 52)는 줌 치차([2], 51)를 갖고 구동력을 줌 치차([3], 53)로부터 줌 캠(25)의 치차(55)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줌 샤프트, 참조부호(56)는 줌 캠[1], 참조부호(57)는 줌 캠[2], 참조부호(58)는 줌 캠[3], 참조부호(59)는 줌 캠[4]이다.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에 있어서의 촬상부(101)의 줌 렌즈는, 도 10에 분해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 렌즈로서 제 1 렌즈 그룹(21)과 제 2 렌즈 그룹(22), 및 도 10에 있어서의 후측 고정 프레임(28)의 부분에 설치되는 도 16에 나타낸 포커싱용의 제 3 렌즈 그룹(31)을 구비하고, 주밍과 포커싱을,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렌즈 그룹에 의해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렌즈 그룹(21, 22, 31)을 원활하게 전후진할 수 있도록, 가이드 축(23)을 제 1 렌즈 그룹(21)의 렌즈 프레임(21a)에 설치한 보스(베어링부)(21b)와 제 2 렌즈 그룹(22)의 렌즈 프레임(22a)에 설치한 보스(베어링부)(22b), 및 도 16에 나타낸 포커싱용의 제 3 렌즈 그룹(31)의 렌즈 프레임(31a)에 설치한 보스(31b)와 축 삽입하고, 또한 가이드 축(24)을, 각각 보스(21b, 22b) 및 보스(31b)와는 반대측으로 되는 위치에 설치한 관통 구멍(21d)과 관통 구멍(22d), 및 관통 구멍(31d)에 축 삽입하여,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렌즈 그룹의 렌즈를 가이드 축(23, 24)으로 지지하여 광축방향으로 진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을 전후진시키기 위해, 도 13, 도 14에 나타낸 줌용 캠(25)을 이러한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측방에 배치하여, 줌 렌즈의 구동계에 의해 전자 카메라(100) 자체의 두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카메라에 있어서의 화상의 확인, 기록을 실행하기 위해서 필수로 되는 액정, 메모리, 전지, 제어 기판 각각의 두께를 부가한 두께로 렌즈 외경을 규제하고, 또한 그 렌즈의 프레임을 하우징 지지면으로 하는 동시에 그 렌즈 프레임에 가이드 축을 관통시켜서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줌 렌즈의 렌즈 이동용 캠을 렌즈계 측방에 배치함으로서 박형화를 도모했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 부품은 상기 액정과, 메모리와, 전지와, 제어 기판에 의한 두께 이상으로는 되지 않고, 전자 카메라를 매우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자 카메라(100)에 있어서의 CCD 등으로 구성한 촬상 소자 유닛(408)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CCD 등의 촬상 소자(320)의 피사체측에 CCD를 보호하기 위한 CCD 고무(351), 로우 패스 필터(352), CCD 마스크(353), 로우 패스 필터 홀더(354)를 배치하고, 이것들을 강체로 구성한 CCD 플레이트(355)에 나사(356)로 나사 고정하며, 촬상 소자(320)의 풋(357)에 프린트 기판(358)을 납땜한 것을, 도 12에 도시한 후측 고정 프레임(28)에 스프링으로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도 12에 있어서, 참조부호(360)는 도 11과 같이 구성한 촬상 소자 유닛(408)의 상하 방향을 규제하는 판 스프링, 참조부호(361)는 동일하게 좌우 방향을 규제하는 판 스프링이며, 후측 고정 프레임(28)의 기준면(362, 363, 364)에, 도 11과 같이 구성한 촬상 소자 유닛(408)을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자 카메라에 있어서는, 촬상 소자(320)는 하우징측에 나사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실시예의 전자 카메라(100)와 같이 박형으로 구성한 경우, 각각의 부품에 두께가 없고 또한, 하우징에 휨이 발생하면 그것이 촬상소자(320)로 전달되어, 화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이 로우 패스 필터(352) 등으로 일체화하고, 판 스프링(361, 362)으로 고정함으로써, 조립도 간단해지는 동시에, 하우징에 휨력이 가해져도 화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는, 줌용 모터(26)에 의해 줌용 캠(25)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이 가이드 축(23, 24)을 따라 이동하여 주밍이 실행되고, 또한 포커싱용 모터(33)에 의해 리드 나사(34)(도 16)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너트 나사(32)가 나사 이송되고, 제 3 렌즈 그룹(31)이 이동하여 포커싱이 실행된다. 또한, 제 3 렌즈 그룹(31)은, 주밍시에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렌즈 그룹(21)과 제 2 렌즈 그룹(22)의 보스(21b), 보스(22b)에는, 줌용 캠(25)에 설치된 캠 홈(40)으로 삽입하는 부재로서의 캠핀(21c)과, 동일하게 캠 홈(41)으로 삽입하는 부재로서의 캠핀(22c)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쪽 줌용 캠(25)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캠 홈(40)과 제 2 캠 홈(41)을 갖는 원통형 캠으로 되어 있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줌 캠([1], 56), 줌 캠([2], 57)과, 이 줌 캠([1], 56), 줌 캠([2], 57)의 양측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원통형의 줌 캠([3], 58), 줌 캠([4], 59)과, 이러한 줌 캠([3,] 58), 줌 캠([4], 59)이 근접한방향으로 가압하는 도 15에 도시한 가압핀(406), 코일 스프링(407)으로 구성되어 있다.
줌 캠([2], 57)은, 그 소경 형상으로서 D 컷팅한 축부(57d)를, 줌 캠([1],56)에 설치한 D 컷팅부를 받는 구멍(56d)에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줌 캠([1], 56), 줌 캠([2], 57)은, 그 통부(56a, 57a)의 서로 반대측에, 소경 형상으로 한 미끄럼운동부(56b, 57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통부(56a, 57a)와, 미끄럼운동부(56b, 57b)의 사이의 단부를 제 1 캠 홈(40), 제 2 캠 홈(41)을 형성하기 위한 일측 캠면(40a), 일측 캠면(41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줌 캠([1], 56), 줌 캠([2], 57)에는, 양측단으로부터 통축방향을 따라 형성한 긴 형상 구멍(56c, 57c)이 설치되고, 이러한 긴 형상 구멍(56c, 57c)에, 줌 캠([3,] 58), 줌 캠([4], 59)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돌기부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하여, 줌 캠([3,] 58), 줌 캠([4], 59)을, 줌 캠([1], 56), 줌 캠([2], 57)과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줌 캠([1], 56)의 단부에 형성한 단차부(56e)는, 줌 캠([3,] 58)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줌 캠([3,] 58), 줌 캠([4], 59)의 각각 일단 원주부에는, 제 1 캠 홈(40)을 형성하기 위한 타측 캠면(40b), 및 제 2 캠 홈(41)을 형성하기 위한 타측 캠면(4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한 줌 캠([2], 57)은 D 컷팅한 축부(57d)를, 줌 캠([1], 56)에 설치한 D 컷팅부를 받는 구멍(56d)에 삽입하고, 또한 줌 캠([1], 56)의 미끄럼운동부(56b)에 줌 캠([3,] 58)을, 줌 캠([2], 57)의 미끄럼운동부(57b)에 줌 캠([4], 59)을 결합시키고, 전측 고정 프레임(27)의 베어링부(27a)와 후측 고정 프레임(28)에 설치한 지지 고정 프레임(29)의 베어링부(29a)로 도 14,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한다. 그리고, 전측 고정 프레임(27)의 베어링부(27a)에 삽입한 코일 스프링(407)에 의해 가압되는가압핀(406)에 의해, 줌 캠([3,] 58)과 줌 캠([4], 59)을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줌 캠([3,] 58)이 미끄럼운동부(56b)를, 줌 캠([4], 59)이 미끄럼운동부(57b)를 미끄럼운동하며, 일측 캠면(40a)과 타측 캠면(40b)을 따라 제 1 캠 홈(40)이, 일측 캠면(41a)과 타측 캠면(41b)을 따라 제 2 캠 홈(41)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형성된 캠 홈(40, 41)은, 주밍에 필요한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이동에 맞춘 나선 형상 캠 홈으로 된다.
그리고 줌용 캠(25)의 캠 홈(40, 41)에는, 상기 도 10으로 설명한 제 1 렌즈 그룹(21)의 보스(21b)에 돌출 형성된 캠핀(21c)을 캠 홈(40)으로, 제 2 렌즈 그룹(22)의 보스(22b)에 돌출 형성된 캠핀(22c)을 캠 홈(41)으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돌출삽입)시키고, 그 삽입에 의해 줌 캠([3,] 58)과 줌 캠([4], 59)을 줌 캠([1], 56), 줌 캠([2], 57)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미끄럼운동되기 때문에, 캠핀(21c)이 줌 캠([4], 59)의 캠면(40b)에 가압되고, 캠핀(22c)이 줌 캠([3,] 58)의 캠면(41b)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이러한 캠핀(21c, 22c)이 캠 홈(40, 41)의 전 영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캠면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캠핀(21c, 22c)의 캠면에 대한 가압접촉력은, 코일 스프링(407)의 가압력에 의해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407)으로서 적절한 가압력을 갖는 것을 선택하면 캠핀(21c, 22c)을 최적의 가압접촉력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줌용 캠(25)은, 일정한 모터 구동력으로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이동 구동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줌용 캠(25)이 변동이 적은 경부하의 캠 장치로 되기 때문에, 줌용 모터(26)로서는 전력 소비가 적은 소형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캠핀(21c, 22c)이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전영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이 되는 줌용 캠(25)으로 되는 외에, 이 줌용 캠(25)과 동심선상에 줌용 모터(26)를 배치했기 때문에, 촬상부(101)의 가로 방향의 폭(도 3에 있어서의 L2)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배율변경용의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과 포커싱용의 제 3 렌즈 그룹(31)을 동일한 가이드 축(23, 24)에 의해 지지시켜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렌즈 그룹의 편심, 넘어짐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이상이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에 있어서의 렌즈 유닛(400)의 줌 기구이지만, 이 줌용 캠(25)을 일정한 모터 구동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기구로서는 각종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우선 그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 도 17이고, 도 18에 이 제 2 실시예의 줌용 캠(25)을 이용한 구동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상 설명해 온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도 17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줌용 캠(25)은, 제 1 캠 홈(40)과 제 2 캠 홈(41)을 갖는 원통형 캠과 원통형의 캠 기부몸체(251)와, 이 캠 기부몸체(251)의 양측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갑합시키는 원통 형상의 캠 프레임(252, 253)과, 이러한 캠 프레임(252, 253)을 근접한방향으로 가압하는 인장력의 코일 스프링(25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캠 기부몸체(251)는, 그 통부(251a) 양측을 소경 형상으로 한미끄럼운동부(251b, 251c)를 설치하고, 통부(251a)와 미끄럼운동부(251b)의 사이의 단부에 제 1 캠 홈(40)을 형성하기 위한 일측 캠면(40a)으로서 형성하고, 통부(251a)와 미끄럼운동부(251c)의 사이의 단부에 제 2 캠 홈(41)을 형성하기 위한 일측 캠면(41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 기부몸체(251)에는, 양측단으로부터 통축방향을 따라 형성한 긴 형상 구멍(251d, 251e)을 설치하고, 이러한 긴 형상 구멍(251d, 251e)에, 캠 프레임(252, 253)의 돌기부(252a, 253a)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하여, 캠 프레임(252, 253)을 캠 기부몸체(251)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캠 기부몸체(251)의 통부(251a)에 형성한 구멍부(251f)는 코일 스프링(254)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미끄럼운동부(251b, 251c)의 단부에 형성한 단차부(251g, 251h)는, 캠 프레임(252, 253)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다.
그 밖에, 캠 프레임(252)은 일단 원주부를 제 1 캠 홈(40)에 형성하기 위한 타측 캠면(40b)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타단에는 내향의 플랜지(25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캠 프레임(252)에는, 상기한 돌기부(252a)보다 통내로 돌출시킨 스프링 걸이부(252c)가 설치되어 있다.
캠 프레임(253)은, 일단 원주부를 제 2 캠 홈(41)에 형성하기 위한 타측 캠면(41b)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타단에는 내향의 플랜지(25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캠 프레임(253)에는, 상기 돌기부(253a)보다 통내로 돌출시킨 용수철 걸이부(253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한 캠 기부몸체(251), 캠 프레임(252, 253)은, 캠프레임(252)을 캠 기부몸체(251)의 미끄럼운동부(251b)에 결합하고, 캠 프레임(253)을 미끄럼운동부(251c)에 결합시킨 후, 코일 스프링(254)의 일단부를 캠 프레임(252)의 용수철 걸이부(252c)에, 그 타단부를 캠 프레임(253)의 용수철 걸이부(253c)에 각각 고정한다. 그러면, 코일 스프링(254)은, 캠 프레임(252, 253)을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캠 프레임(252)이 미끄럼운동부(251b)를 미끄럼운동하고, 그 플랜지부(252b)가 캠 기부몸체(251)의 단차부(251g)에 접촉할 때까지 진행하며, 이 상태에서 일측 캠면(40a)과 타측 캠면(40b)에 의해 제 1 캠 홈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캠 프레임(253)이 미끄럼운동부(251c)를 미끄럼운동하고, 그 플랜지부(253b)가 단차부(251h)에 접촉하며, 이 상태에서 일측 캠면(41a)과 타측 캠면(41b)에 의해 제 2 캠 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캠 홈(40, 41)은 주밍에 필요한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이동에 맞춘 나선 형상 캠 홈으로 된다.
그리고 줌용 캠(25)의 캠 홈(40, 41)에는, 상기 도 15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렌즈 그룹(21)의 보스(21b)에 돌출 형성된 캠핀(21c)이 캠 홈(40)으로, 제 2 렌즈 그룹(22)의 보스(22b)에 돌출 형성된 캠핀(22c)이 캠 홈(41)으로 삽입(돌출삽입)되고, 그 삽입에 의해 캠 프레임(252)의 플랜지부(252b)가 단형상부(251g)보다 조금 후퇴하고, 동일하게 캠 프레임(253)의 플랜지부(253b)도 단형상부(251h)보다 조금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캠핀(21c)이 캠 프레임(252)의 캠면(40b)에 가압되고, 캠핀(22c)이 캠 프레임(253)의 캠면(41b)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이러한 캠핀(21c, 22c)이 캠 홈(40, 41)의 전영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캠면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캠핀(21c, 22c)의 캠면에 대한 가압접촉력은, 코일 스프링(254)의 인장력에 의해 정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254)으로서 적절한 인장력을 갖는 것을 선택하면 캠핀(21c, 22c)을 최적의 가압접촉력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줌용 캠(25)은 일정한 모터 구동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또한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이동 구동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줌용 캠(25)의 변동이 적은 경부하의 캠 장치로 되기 때문에, 줌용 모터(26)로는 전력 소비가 적은 소형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8에 따라 이 제 2 실시예의 줌용 캠(25)을 이용한 구동 장치를 설명하면, 줌용 캠(25)의 후단측에는 내부 치차(4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내부 치차(42)의 돌출부(42a)가 캠 기부몸체(251)의 안쪽 구멍으로 돌출삽입하며, 또한 그 돌출부(42a)의 주위부에 설치한 키(42b)가, 캠 기부몸체(251)의 안쪽 구멍부에 형성한 키홈(251i)에 결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줌용 캠(25)이 내부 치차(42)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내부 치차(42)는, 지지축 고정 프레임(29)에 설치한 베어링부(29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이 내부 치차(42)에는 연동 피니언(43)이 맞물려 있다. 이 연동 피니언(43)은 감속 장치(44)를 거쳐 줌용 모터(26)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내부 치차(42)를 회전하여, 줌용 캠(25)을 회전시킨다.
그 때문에 제 2 실시예의 줌용 캠(25)을 이용한 구동 장치는, 캠핀(21c, 22c)이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전영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되는 줌용 캠(25)으로 되는 외에, 이 줌용 캠(25)과 동심선상에 줌용 모터(26)를 배치했기 때문에, 촬상부(101)의 가로 방향의 폭(도 3에 있어서의 L2)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배율변경용의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과 포커싱용의 제 3 렌즈 그룹(31)을 동일한 가이드 축(23, 24)에 의해 지지시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렌즈 그룹의 편심, 넘어짐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도 19는 제 3 실시예의 줌용 캠(25)을 이용한 구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 제 3 실시예의 줌용 캠(25)을 이용한 구동 장치는, 상기 도 18에 나타낸 제 2 실시예와 같이 줌용 캠(25)의 후단측에는 내부 치차(4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내부 치차(42)의 돌출부(42a)가 캠 기부몸체(251)의 안쪽 구멍으로 돌출삽입되며, 또한 그 돌출부(42a)의 주위부에 설치한 키가 캠 기부몸체(251)의 안쪽 구멍부에 형성한 키홈에 결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줌용 캠(25)은 내부 치차(42)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내부 치차(42)는 지지축 고정 프레임(29)에 설치한 베어링부(29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이 내부 치차(42)에는 연동 피니언(43)이 맞물려 있다. 이 연동 피니언(43)은 감속 장치(44)를 거쳐 줌용 모터(26)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내부 치차(42)를 회전하여, 줌용 캠(25)을 회전시킨다.
한편, 이 제 3 실시예의 줌용 캠(25)을 이용한 구동 장치에서는, 캠 프레임(252, 253)에 형성한 타측 캠면(40b, 41b)을 소정의 각도로 경사시키고 있다. 이것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 도 20에 의한 제 1, 제 2 캠 홈(40, 41)과 캠핀(21c, 22c)의 구성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 1, 제 2 캠 프레임(252, 253)의 타측 캠면(40b, 41b)은, 프레임 외주면을 향하여 상승 구배로 된 경사의 캠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타측 캠면(40b, 41b)을 이와 같이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캠핀(21c, 21c)이 도시(F1) 방향의 가압이동력을 받는다. 즉, 제 1, 제 2 캠 프레임(252, 253)에는, 코일 스프링(254)에 의해 도시(F2) 방향의 용수철힘이 작용함으로써, 타측 캠면(40b, 41b)의 경사면에 의해 가압이동되는 캠핀(21c, 22c)이, 일측 캠면(40a, 41a)에 가압접촉하는 힘 외에, 캠 홈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는 가압이동력(F1)을 받는다.
캠핀(21c, 22c)에 작용하는 상기 가압이동력(F1)은, 보스(21b, 22b)의 지지축 구멍(21d, 22d)(도 7 참조)의 구멍 면부를 가이드 축(23)에 접촉시키도록 작용하여, 이로써 지지축 구멍(21d, 22d)과 가이드 축(23)의 기계적 여유가 흡수되게 된다.
그 때문에 줌용 캠(25)은, 캠핀(21c, 22c)이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전영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접촉하고, 이러한 캠핀(21c, 22c)을 줌용 캠(25)의 회전에 따라 캠 홈의 회전축선 방향(도 6, 도 7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구동하여,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을 가이드 축(23)을 따라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보스(21b, 22b)에, 기계적 여유가 없게 가이드 축(23)을 미끄럼운동함으로써,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에 경사나 편심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결과, 주밍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줌용 캠(25)(캠 장치)을 구비한 주밍 구동 장치로 된다.
도 21a, 도 21b, 도 21c는,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캠면 경사 위치를 변경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20과 마찬가지의 단면도이다. 도 21a는 제 1, 제2 캠 홈(40, 41)의 일측 캠면(40a, 41a)을 경사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b는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일측 캠면(40a, 41a)과 타측 캠면(40b, 41b)의 양쪽 캠면을 경사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c는 제 1, 제 2 캠 홈(40, 41)의 타측 캠면(40b, 41b)과 캠핀(21c, 22c)을 경사 형성한 실시예이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캠핀(21c, 22c)에는 가압이동력(F1)이 작용하기 때문에, 도 20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같이 보스(21b, 22b)와 가이드 축(23)의 기계적 여유를 흡수할 수 있어,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경사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0, 도 21a, 도 21b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캠면에 접촉하는 캠핀(21c, 22c)의 접촉부를 경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2, 도 23은 이 제 3 실시예의 줌용 캠(25)을 이용한 구동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 우선 도 22는, 줌용 캠(25)의 베어링 반동을 흡수하기 위해서, 전측 고정 프레임(27)의 베어링부(27a)에 코일 스프링(45)을 설치한 것이다. 이 코일 스프링(45)은, 줌용 캠(25)을 한방향으로 가압하여 줌용 캠(25)의 회전축 방향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이동 위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다.
다음의 도 23은, 전측 고정 프레임(27)의 베어링부(27a)에 하나의 코일 스프링(46)을 설치하고, 이 코일 스프링(46)에 의해 제 1, 제 2 캠 프레임(252, 253)을 가압하는 동시에, 줌용 캠(25)의 베어링 반동을 흡수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제 1 캠 프레임(252)을 가압함으로써, 캠핀(21c)을 거쳐 캠 기부몸체(251)를 가압하고, 또한 캠핀(22c)을 거쳐 제 2 캠 프레임(253)을 한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제 2 캠 프레임(252, 253)에 대하여 걸어 설치한 코일 스프링(254)이 불필요해진다.
다음에,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의 촬상부(101)와 조작부(102)를 결합하고 있는, 도 9에 참조부호(405)로 나타낸 힌지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의 촬상부(101)와 조작부(102)를 결합하는 힌지 기구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5는 힌지 기구를 촬상부(101)에 조립하고,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상측 커버(307)와 내부 구성 부품을 제거하여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6은 도 24에 나타낸 힌지 기구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면 중 참조부호(500)는 촬상부(101)측을 조작부(102)측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힌지 샤프트, 참조부호(501)는 촬상부(101)측에 고정되어, 렌즈 샤프트(500)를 고정하는 힌지 렌즈 플레이트, 참조부호(502)는 조작부(102)측에 고정되어, 렌즈 샤프트(500)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으로서의 힌지 바디 플레이트, 참조부호(503)는 샤프트(500)를 힌지 렌즈 플레이트(501)측에 고정하기 위한 CE링, 참조부호(504)는 샤프트(500)의 플랜지(505)와 힌지 바디 플레이트(502)의 사이에 삽입하는 원형 스프링이고, 이 원형 스프링은 2개소의 정상부(506, 507)에 클릭부를 갖고, 샤프트(500)의 플랜지(505)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오목부와 결합하여, 촬상부(101)가 조작부(102)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했을 때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508)는 그 일부에 반사 패턴(509)을 갖고, 샤프트(500)의 플랜지부(505)에 부착하여 포토 반사경(510)에 의해 조작부(102)에 대한 촬상부(101)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힌지 마커이다.
이 힌지 기구(405)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 렌즈 플레이트(501)의 나사 구멍(511)에 비스를 통과시키고, 촬상부(101)의 하측 커버(401), 상측 커버(402)에 설치된 고정부(513)에 고정한다. 또한 힌지 바디 플레이트(502)는, 동일하게 하여 조작부(102)의 상측 커버(307), 하측 커버(308)의 도시하지 않은 고정부에 고정한다. 그리고, 샤프트(500)의 플랜지부(505)에 반사 패턴(508)을 부착하고, 원형 스프링(504), 힌지 바디 플레이트(502), 힌지 렌즈 플레이트(501)를 통해 힌지 렌즈 플레이트(501)의 렌즈계측에서, CE링에 의해 힌지 렌즈 플레이트(501)에 고정한다. 그리고 포토 리플렉터(510)는 서브 기판(303)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힌지 기구를 구성함으로써, 촬상부(101)와 조작부(102)는, 원형 스프링(504)에 의해 적절한 마찰이 인가되어 회전할 수 있고, 게다가 원형 스프링(504)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 각도까지 회전했을 때에 도시하지 않은 오목부에 의해 고정되는 클릭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90도 회전시킨 위치, -90도 회전시킨 위치 등, 촬영에 최적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셀프 촬영을 위해 촬상부(101)를 -90도 회전시킨 경우, 표시 장치(105)에 표시되는 화상의 상하가 반대로 되지만, 포토 리플렉터(510)는 이 회전을 검출하여, 도시하지 않은 전자 카메라(100)의 제어부에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는 것을 알려, 화상의 상하를 역으로 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때문에, 어떤 회전을 촬상부(101)에 부여해도, 위화감없이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 여러 가지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카메라에 있어서의 화상의 확인, 기록을 실행하기 위해 필수가 되는 표시 장치, 메모리, 전지, 제어 기판 각각의 두께를 부가한 두께로 렌즈 외경을 규제하고, 또한 그 렌즈의 프레임을 하우징 지지면으로 하는 동시에 그 렌즈 프레임에 가이드 축을 관통시켜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줌 렌즈의 렌즈 이동용 캠을 렌즈계 측방에 배치함으로써 박형화를 도모했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 부품은 상기 액정과, 메모리와, 전지와, 제어 기판에 의한 두께 이상으로는 되지 않고, 와이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바지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촬상부에서의 촬영 창의 조작부측에 상기 발광 장치를 배치하는 동시에 발광 장치의 수용부 하부를 상기 촬영 창측보다 얇게 구성하고, 상기 조작부는, 조작부에서의 표시 장치를 촬상부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표시 장치의 촬상부와는 반대측에 조작 버튼류를 배치함으로써, 조작부를 오른손에 유지했을 때,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는 범위에 조작 버튼류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감이 양호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에서의 조작 버튼류를, 하우징 평면내에 수납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바지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해도, 원활하게 출납 가능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 이동용 캠은, 나선 형상의 캠 홈을 갖고 캠 홈에 삽입된 캠핀을 캠 구동하며, 그 캠 구동력에 의해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캠 홈의 일측 캠면을 형성한 한쪽의 캠체와, 이 캠체에 대하여 비회전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하며, 상기 일측 캠면에 대향시키는 타측 캠면을 형성한 다른쪽의 캠체와, 한쪽의 캠체 및/또는 다른쪽의 캠체를 가압하여 캠핀을 캠면에 접촉시키는 탄성 부재로 구성했기 때문에, 한쪽의 캠체의 캠면과 다른쪽의 캠체의 캠면으로 캠 홈이 형성되고, 또한 이 캠 홈에 삽입한 캠핀이 이들 캠체를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캠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캠핀이 캠 홈의 전영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캠면에 접촉하는 캠 장치를 갖는 전자 카메라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이동용 캠은, 원주체의 양 측부 각각에 소경 형상으로 한 미끄럼운동부를 설치하고, 일측의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 통부의 사이의 단부를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으로 하고, 타측의 미끄럼운동부와 원주 통부의 사이의 단부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으로서 형성한 캠 기부몸체와,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키는 타측 캠면을 형성하고, 한쪽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키는 타측 캠면을 형성하고, 다른쪽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2 캠 프레임과, 이러한 제 1,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하여, 제 1,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로 형성한 2조의 캠 홈에 삽입시킨 각 캠핀을 캠면에 접촉시키는 탄성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한쪽의 캠체의 일측 캠면과 다른쪽의 캠체의 타측 캠면에 의해 캠 홈이 형성되며, 또한 이 캠 홈에 삽입한 캠 홈 삽입 부재가 한쪽의 캠체 및/또는 다른쪽의 캠체를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의 용수철힘 작용에 의해 캠면에 가압접촉한다.
또한, 상기 렌즈 이동용 캠은,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을 갖고 소경 형상으로 한 미끄럼운동부를 배치한 제 1 원주체와, 해당 제 1 원주체에 대하여 비회전으로,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을 갖고 소경 형상으로 한 미끄럼운동부를 배치한 제 2원주체와,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키는 타측 캠면을 형성하고, 제 1 원주체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키는 타측 캠면을 형성하고, 제 2 원주체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2 캠 프레임과, 이러한 제 1,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하고, 제 1,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로 형성한 2조의 캠 홈에 삽입시킨 각 캠핀을 캠면에 접촉시키는 탄성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한쪽의 캠체의 일측 캠면과 다른쪽의 캠체의 타측 캠면에 의해 캠 홈이 형성되며, 또한 이 캠 홈에 삽입한 캠 홈 삽입 부재가 한쪽의 캠체 및/또는 다른쪽의 캠체를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의 용수철힘 작용에 의해 캠면에 가압접촉한다.
따라서, 캠면에 대한 캠 홈 삽입 부재의 가압접촉력이 캠체를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의 용수철힘에 의해 결정되므로, 캠 홈의 전영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되어, 그 결과, 캠축이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피이동물의 정규 이동 위치에 편차를 만들 수 없고, 또한 캠 홈 삽입 부재가 접촉하는 캠면에 경사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캠 홈 삽입 부재가 캠 홈의 회전축선 방향의 캠 구동력을 받는 것 외에, 이 회전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가압이동력을 받고, 구체적으로는, 캠 홈 삽입 부재가 캠 홈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이동력을 받기 때문에, 피이동물이 가이드 축에 대향하여 접촉하고, 피이동물과 가이드 축의 사이의 기계적 여유가 흡수되는 캠 장치를 갖은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가, 일단부를 제 1 캠 프레임에, 타단부를 제 2 캠 프레임에 각각 고정한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함으로써, 하나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제 1,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캠면 및 타측 캠면 중 적어도 한쪽의 캠면에 경사부를 설치함으로써, 캠 홈 삽입 부재가 캠 홈의 회전축선 방향의 캠 구동력을 받는 것 외에, 이 회전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가압이동력을 받고, 구체적으로는, 캠 홈 삽입 부재가 캠 홈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이동력을 받기 때문에, 피이동물이 가이드 축에 대향하여 접촉하여, 피이동물과 가이드 축의 사이의 기계적 여유가 흡수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 캠면 및 타측 캠면 중 적어도 한쪽의 캠면에 설치한 경사부는, 캠 홈 삽입 부재에 대하여 캠 홈의 회전축선 방향의 캠 구동력과 그 회전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가압이동력을 부여하는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제 1,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 또는 제 1 원주체와 제 2 원주체를 한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로 함으로써, 하나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 제 1,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가, 일단부를 제 1 캠 프레임에, 타단부를 제 2 캠 프레임에 각각 고정한 인장 스프링 부재와, 제 1,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를 한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캠 기부몸체와 제 1, 제 2 캠 프레임 전체를 스프링 부재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캠핀을 캠면에 가압접촉시키고, 또한 캠 장치의 전체가 한방향으로 가압이동되기 때문에, 캠 장치의 회전축부의 기계적인 반동이 흡수된다.
이와 같이, 전자 카메라에 있어서의 화상의 확인, 기록을 실행하기 위해서 필수로 되는 표시 장치, 메모리, 전지, 제어 기판 각각의 두께를 부가한 두께로 렌즈 외경을 규제하고, 또한 그 렌즈의 프레임을 하우징 지지면으로 하는 동시에, 그 렌즈 프레임에 가이드 축을 관통시켜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줌 렌즈의 렌즈 이동용 캠을 렌즈계 측방에 배치함으로써 박형화를 도모했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 부품은 상기 액정과, 메모리와, 전지와, 제어 기판에 의한 두께 이상으로는 되지 않고, 와이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바지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촬상부에서의 촬영 창의 조작부측에 상기 발광 장치를 배치하는 동시에, 발광 장치의 수용부 하부를 상기 촬영 창측보다 얇게 구성하고, 상기 조작부는, 조작부에서의 표시 장치를 촬상부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표시 장치의 촬상부와는 반대측에 조작 버튼류를 배치함으로써, 조작부를 오른손에 유지했을 때,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는 범위에 조작 버튼류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감이 양호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에서의 조작 버튼류를, 하우징 평면내에 수납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바지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해도, 원활하게 출납 가능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학계의 박형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촬상부의 광학계중에 설치한 셔터를, 렌즈 프레임 높이와 동일 높이의 사각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렌즈 이동용 캠은, 나선 형상의 캠 홈을 갖고 캠 홈에 삽입된캠핀을 캠 구동하고, 그 캠 구동력에 의해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캠 홈의 일측 캠면을 형성한 한쪽의 캠체와, 이 캠체에 대하여 비회전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일측 캠면에 대향시키는 타측 캠면을 형성한 다른쪽의 캠체와, 한쪽의 캠체 및/또는 다른쪽의 캠체를 가압하여 캠핀을 캠면에 접촉시키는 탄성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한쪽의 캠체의 캠면과 다른쪽의 캠체의 캠면에 의해 캠 홈이 형성되고, 또한 이 캠 홈에 삽입한 캠핀이 이러한 캠체를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캠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캠핀이 캠 홈의 전영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캠면에 접촉하는 캠 장치를 갖는 전자 카메라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이동용 캠은, 원주체의 양측부 각각에 소경 형상으로 한 미끄럼운동부를 설치하고, 일측의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 통부의 사이의 단부를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으로 하고, 타측의 미끄럼운동부와 원주 통부의 사이의 단부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으로서 형성한 캠 기부몸체와,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키는 타측 캠면을 형성하고, 한쪽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키는 타측 캠면을 형성하고, 다른쪽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2 캠 프레임과, 이러한 제 1,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하여, 제 1,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로 형성한 2조의 캠 홈에 삽입시킨 각 캠핀을 캠면에 접촉시키는 탄성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한쪽의 캠체의 일측 캠면과 다른쪽의 캠체의 타측 캠면에 의해 캠 홈이 형성되며, 또한 이 캠 홈에 삽입한 캠 홈 삽입 부재가 한쪽의 캠체 및/또는 다른쪽의 캠체를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의 용수철힘 작용에 의해 캠면에가압접촉한다.
또한, 상기 렌즈 이동용 캠은,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을 갖고 소경 형상으로 한 미끄럼운동부를 배치한 제 1 원주체와, 해당 제 1 원주체에 대하여 비회전으로,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을 갖고 소경 형상으로 한 미끄럼운동부를 배치한 제 2 원주체와, 제 1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키는 타측 캠면을 형성하고, 제 1 원주체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키는 타측 캠면을 형성하고, 제 2 원주체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2 캠 프레임과, 이러한 제 1,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하여, 제 1,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로 형성한 2조의 캠 홈에 삽입시킨 각 캠핀을 캠면에 접촉시키는 탄성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한쪽의 캠체의 일측 캠면과 다른쪽의 캠체의 타측 캠면에 의해 캠 홈이 형성되며, 또한 이 캠 홈에 삽입한 캠 홈 삽입 부재가 한쪽의 캠체 및/또는 다른쪽의 캠체를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의 용수철힘 작용에 의해 캠면에 가압접촉한다.
따라서, 캠면에 대한 캠 홈 삽입 부재의 가압접촉력이 캠체를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의 용수철힘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캠 홈의 전영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되어, 그 결과 캠축이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피이동물의 정규 이동 위치에 편차가 생길 수 없고, 또한 캠 홈 삽입 부재가 접촉하는 캠면에 경사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캠 홈 삽입 부재가 캠 홈의 회전축선 방향의 캠 구동력을 받는 것 외에, 이 회전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가압이동력을 받고, 구체적으로는, 캠 홈 삽입 부재가 캠 홈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이동력을 받기 때문에, 피이동물이 가이드 축에 대향하여 접촉하고, 피이동물과 가이드 축의 사이의 기계적 여유가 흡수되는 캠 장치를 갖는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가, 일단부를 제 1 캠 프레임에, 타단부를 제 2 캠 프레임에 각각 고정한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함으로써, 하나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 제 1,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캠면 및 타측 캠면 중 적어도 한쪽의 캠면에 경사부를 설치함으로써, 캠 홈 삽입 부재가 캠 홈의 회전축선 방향의 캠 구동력을 받는 것 외에, 이 회전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가압이동력을 받아, 구체적으로는 캠 홈 삽입 부재가 캠 홈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이동력을 받기 때문에, 피이동물이 가이드 축에 대향하여 접촉하고, 피이동물과 가이드 축의 사이의 기계적 여유가 흡수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 캠면 및 타측 캠면 중 적어도 한쪽의 캠면에 설치한 경사부는, 캠 홈 삽입 부재에 대하여 캠 홈의 회전축선 방향의 캠 구동력과 그 회전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가압이동력을 부여하는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제 1,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 또는 제 1 원주체와 제 2 원주체를 한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로 함으로써, 하나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 제 1,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가, 일단부를 제 1 캠 프레임에, 타단부를 제 2 캠 프레임에 각각 고정시킨 인장 스프링 부재와, 제 1,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를한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를 설치했기 때문에, 캠 기부몸체와 제 1, 제 2 캠 프레임 전체를 스프링 부재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캠핀을 캠면에 가압접촉시키고, 또한 캠 장치의 전체가 한방향으로 가압이동되기 때문에, 캠 장치의 회전축부의 기계적인 반동이 흡수된다.
이상 기재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 카메라에 있어서의 화상의 확인, 기록을 실행하기 위해서 필수로 되는 표시 장치, 메모리, 전지, 제어 기판 각각의 두께를 부가한 두께로 렌즈 외경을 규제하고, 또한 그 렌즈의 프레임을 하우징 지지면으로 하는 동시에 그 렌즈 프레임에 가이드 축을 관통시켜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줌 렌즈의 렌즈 이동용 캠을 렌즈계 측방에 배치함으로써 박형화를 도모했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 부품은 상기 액정과, 메모리와, 전지와, 제어 기판에 의한 두께 이상으로는 되지 않고, 와이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바지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도 1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일 실시예의 전체도, 도 2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렌즈를 피사체 방향을 향하게 한 촬영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렌즈를 카메라 조작자(자기) 방향을 향하게 한 촬영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렌즈를 피사체 방향을 향하게 한 촬영시의 카메라의 홀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 참조부호(100)는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 참조부호(101)는 촬상부, 참조부호(102)는 조작부, 참조부호(103)는 촬영 렌즈 창, 참조부호(104)는 스트로보 등의 발광 장치, 참조부호(105)는 액정 등을 이용한 표시 장치, 참조부호(106)는 셔터 버튼, 참조부호(107)는 전원 버튼, 참조부호(108)는 십자키와 결정키로 구성되고, 표시 장치(105)에 표시된 기능이나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결정키, 참조부호(109)는 광학계 주밍을 지시하는 줌키, 참조부호(110)는 카메라 모드 메뉴의 온, 오프를 전환하는 메뉴 버튼, 참조부호(111)는 표시 장치(105)의 표시 내용과 조명의 온, 오프를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버튼, 참조부호(112)는 표시 장치(105)의 표시 내용을 장면 선택 화면으로 전환하는 장면 버튼, 참조부호(113)는 조리개 우선 모드나 셔터 우선 모드, 고속으로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스포츠 모드, 근거리의 것을 촬영하는 매크로 모드, 스트로보의 강제 발광이나 발광 정지 등의 스트로보 제어, 동화상 촬영, 재생 등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 참조부호(114)는 스피커이다.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102)측에 표시 장치(105)와 일반적인 촬영용 조작 버튼류(106 내지 113)를 배치하고, 이 조작부(102)에 힌지 기구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촬상부(101)의 일단측에는, 촬영 렌즈 창(103), 그 조작부(102)측에 발광 장치(104)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촬영용 조작 버튼류(106 내지 113)는, 와이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바지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한 경우에도 걸림이나 위화감을 느끼게 하지 않도록, 조작부(102)의 외측 커버의 평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되며, 또한 셔터 버튼(106)은 카메라(100)를 오른손으로 유지한 때에 집게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하게 하여, 줌키(109), 선택 결정키(108), 메뉴 버튼(110), 모드 선택 버튼(113) 등은, 동일하게 오른손으로 카메라(100)를 유지했을 때, 엄지 손가락이 닿는 범위에 배치하여 조작성을 높이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는,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촬영 렌즈 창(103)측을 조작부(102)측으로 돌출시켜서 발광 장치(104)용의 창을 배치하는 동시에, 촬영 렌즈 창(103)측으로부터 힌지 기구의 회전 중심까지의 거리를 반대측의 거리보다 크게 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부(101)의 촬영 렌즈 창(103)측의 끝으로부터 발광 장치(104)용의 창측의 끝까지의 길이(L1)를, 예컨대 왼쪽 손집게 손가락의 선단으로부터 제 2 관절 부근까지의 길이로 하고, 또한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촬영 렌즈 창(103)과는 반대측의 길이를 (L2)로 했을 때, 발광 장치 창(104) 부분의 (L1-L2)에 상당하는 부위의 광축방향 두께(L3)를, 대략 집게 손가락의 두께로 하여 모떼기하여서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105)의 우측에 조작 버튼류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만들 수 있고, 소형이면서 조작성이 좋은 전자 카메라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전자 카메라(100)를 사용할 때는, 전원 버튼(107)을 누름으로써 전원이 온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으로 각 조작 버튼을 조작하고, 모드 선택 버튼(113)에 의해 조리개 우선 모드나 셔터 우선 모드 등의 촬영 조건, 고속으로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스포츠 모드, 근거리의 것을 촬영하는 매크로 모드, 스트로보의 강제 발광이나 발광 정지 등의 스트로보 제어, 동화상 촬영, 재생 등의 모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메뉴 버튼(110)을 눌러 표시 장치(105)에 예컨대 화상의 사이즈, 촬영 감도, 측광 방식 등의 각종 메뉴를 표시시키고, 십자키와 결정키로 구성된 선택 결정키(108)의 십자키로 항목을 선택하며, 중앙의 결정 버튼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쪽에 촬영 렌즈 창(103)을 향해 촬영할 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손으로 조작부(102)측을 홀딩하고, 예컨대 왼손의 집게 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으로 촬상부(101)의 (L1, 도 3)의 길이를 갖는 (L3)(도 3)의 부분을 삽입하여 촬영 렌즈 창(103)을 피사체로 향하게 한다. 그리고, 표시 장치(105)에 투영해낸 피사체를 보면서 오른손 엄지 손가락으로 촬상부(101)의 줌키(109)를 조작하여, 소정의 배율을 선택하여 구도를 결정한 후, 오른손 집게 손가락으로 셔터 버튼(106)을 누름으로써 자동적으로 핀트와 노출이 결정되고, 내장된 CCD 등의 촬상 소자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내장된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촬영을 실행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촬영 렌즈 창(103)으로부터 힌지 기구의 회전 중심까지의 거리는, 힌지 기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촬영 렌즈 창(103)과는 반대측의 끝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잡고 있기 때문에, 렌즈부가 크게 회전하고, 촬상부(101)가 신속히 피사체로 향해지는 동시에, 카메라(100)를 강고히 홀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는, 피사체쪽 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부(101)의 촬영 렌즈 창(103)을 카메라 조작자(자기)쪽을 향하도록 하여, 셀프 촬영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104)용의 창을 배치한 돌출부가 표시 장치(105)의 일부에 걸리지만, 표시 장치(105)의 확인을 상기 돌출부에 의해 크게 방해하지 않도록, 이 촬상부(101)에있어서의 촬영용 렌즈창(103)측으로부터 힌지 기구의 회전 중심까지의 거리가 반대측의 거리보다 크게 잡혀 있기 때문에, 셀프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어떻게 촬영되는지를 표시 장치(105)에 의해 확인하면서 실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촬영이 종료하면, 모드 선택 버튼(113)을 조작하여 재생 모드로 하면, 메모리에 축적된 화상이 표시 장치(105)에 표시되어, 선택 결정키(108)에 있어서의 십자키를 조작하는 것으로 순차적으로 촬영한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동화상 촬영 모드의 경우는, 완전히 동일하게 해서 동화상을 메모리에 기록하고, 장면 버튼(112)에 의해 필요한 장면을 선택하여, 스피커(114)에 의해 음성도 동시에 재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는,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촬영 렌즈용 창(103)측을 조작부(102)측으로 돌출시켜서 발광 장치(104)용 창을 배치함으로써,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촬영 렌즈용 창(103)과는 반대측을 얇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전자 카메라(100) 전체의 크기를 작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촬영 렌즈용 창(103)측으로부터 상기 힌지 기구의 회전 중심까지의 거리를 반대측의 거리보다 크게 함으로써,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조금의 회전 이동으로 렌즈를 피사체측을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감이 양호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의 광축방향 두께를 대략 손가락의 두께로 하는 동시에, 상기 촬영 렌즈용 창(103) 측단으로부터 돌출시켜 측단까지의 길이를 대략 손가락의 선단으로부터 제 2 관절 부근에 상당하는 양으로하고, 상기 돌출부를 손가락 두 개를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전자 카메라는 오른손으로 조작부(102)를 홀딩하고, 왼손의 집게 손가락과 가운에 손가락으로 돌출부를 삽입하여 피사체 방향을 향하게 할 수 있어, 촬영에 있어서 강고히 홀딩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감이 양호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촬영 렌즈용 창(103)측으로부터 상기 힌지 기구의 회전 중심까지의 거리를, 상기 촬상부(101)의 촬영 렌즈용 창(103)측을 상기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105)측으로 회전시켰을 때, 표시 장치(105)의 확인을 상기 돌출부에 의해 방해하지 않는 거리로 했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전자 카메라(100)의 조작자(자기)를 촬영하는 경우도 표시 장치(105)의 확인이 방해받지 않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셀프 촬영을 실행할 수 있는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102)는,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촬영 렌즈용 창(103)측을 조작부(102)측으로 돌출시켜 발광 장치(104)의 창을 배치함으로써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촬영 렌즈용 창(103)과는 반대측이 얇게 구성되므로,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105)를 촬상부(102)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표시 장치(105)의 촬상부(101)와는 반대측에 조작 버튼류를 배치할 수 있어, 오른손으로 조작 버튼류를 조작하면서 표시 장치(105)를 볼 수 있는, 사용감이 양호한 전자 카메라(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를 갖는 조작부와, 해당 조작부에 힌지 기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고, 발광 장치와 촬영용 줌 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영상을 이송하는 촬상부로 구성되는 전자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에서의 촬영 창측을 조작부측으로 돌출시켜서 상기 발광 장치를 배치하는 동시에, 촬영 창측으로부터 상기 힌지 기구의 회전 중심까지의 거리를 반대측의 거리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촬상부에서의 촬영 창측을 조작부측으로 돌출시켜서 발광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촬상부에서의 촬영 창과는 반대측이 얇게 구성되므로, 그 만큼 전자 카메라 전체의 크기를 작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촬영 창측으로부터 상기 힌지 기구의 회전 중심까지의 거리를 반대측의 거리보다 크게 함으로써, 촬상부에서의 약간의 회전 동작으로 렌즈를 피사체측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감이 양호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촬상부에서의 상기 돌출부의 광축방향 두께를 대략 손가락의 두께로 하는 동시에, 상기 촬영 창 측단으로부터 돌출시켜서 측단까지의 길이를 대략 손가락의 선단으로부터 제 2 관절 부근에 상당하는 양으로 하여, 상기 돌출부를 손가락 두 개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했다. 본 실시예의 전자 카메라는 오른손으로 조작부를 홀딩하고, 왼손의 집게 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으로 돌출부를 삽입하여 피사체 방향을 향하게 할 수 있어, 촬영에 있어서 강고히 홀딩할 수 있는 사용감이 양호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부에서의 촬영 창측으로부터 상기 힌지 기구의 회전 중심까지의 거리를, 상기 촬상부의 촬영 창측을 상기 조작부에서의 표시 장치측으로 회전시켰을 때, 표시 장치의 확인을 상기 돌출부에 의해 방해하지 않는 거리로 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전자 카메라의 조작자(자기)를 촬영하는 경우도 표시 장치의 확인이 방해받지 않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셀프 촬영을 실행할 수 있는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촬상부에서의 촬영 창측을 조작부측으로 돌출시켜서 발광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촬상부에서의 촬영 창과는 반대측이 얇게 구성되기 때문에, 조작부에서의 표시 장치를 촬상부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표시 장치의 촬상부와는 반대측에 조작 버튼류를 배치할 수 있어, 오른손으로 조작 버튼류를 조작하면서 표시 장치를 볼 수 있는, 사용감이 양호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기재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본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100)는,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촬영 렌즈용 창(103)측을 조작부(102)측으로 돌출시켜서 발광 장치(104)를 배치함으로써,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촬영 렌즈용 창(103)과는 반대측을 얇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전자 카메라(100) 전체의 크기를 작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촬영 렌즈용 창(103)측으로부터 상기 힌지 기구의 회전 중심까지의 거리를 반대측의 거리보다 크게 함으로써,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약간의 회전 동작으로 렌즈를 피사체측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감이 양호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제 3 실시 형태
감속 장치는 캠 또는 리드 나사 등의 동력 기구와 모터의 연동계에 다수의 감속 기어를 집중적으로 설치한 치차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카메라 형태가 소형화하고, 박형화할수록 감속 장치의 배치와 조립 공간에 제한이 발생하고, 기어 구성이 복잡화된다.
또한, 다수의 감속 기어를 집중적으로 배치하면, 감속 장치가 아무리 해도 커지기 때문에, 특히, 카메라 형태를 박형화하는 경우에 감속 장치의 조립 공간이 문제가 되어, 카메라의 박형 설계에 한계를 가져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전술한 실정에 비추어, 소형 카메라, 박형 카메라에 관해서도 충분히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이러한 종류의 감속 장치를 구비한 광학 줌 기구 및 카메라를 제안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를 전자 카메라에 실시한 제 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2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동 주밍 구동 장치(20)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21)는 제 1 렌즈 그룹, 참조부호(22)는 제 2 렌즈 그룹을 나타내고, 이들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은 그들의 렌즈 프레임(21a)에 설치한 보스(21b)와, 렌즈 프레임(22a)에 설치한 보스(22b)에 가이드 축(23)을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축 삽입시키고,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을 가이드 축(23)에 의해서 지지한다.
또한, 보스(21b, 22b)와는 반대로 되는 렌즈 프레임(21a, 22a)의 위치에는 구멍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이들 구멍부에 가이드 축(24)을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축 삽입시키고,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의 회전 방지를 실행하는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스(21b)에 돌출 형성된 제 1 렌즈 그룹(21)의 캠 핀(캠 홈 삽입 부재)(21c)과 보스(22b)에 돌출 형성된 제 2 렌즈 그룹(22)의 캠 핀(캠 홈 삽입 부재)(22c)이 줌용 캠(25)의 캠 홈에 삽입되고,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을 줌용 캠(25)의 회전에 따라서 광축방향으로 캠이송한다(도 29 참조).
또한, 줌용 캠(25)은 줌용 모터(26)에 의해서 회전 구동된다.
전술한 가이드 축(23)과 가이드 축(24)의 일단측은 전방 고정 프레임(27)에, 타단측은 후방 고정 프레임(28)에 각각 고정되고, 줌용 캠(25)은 전방 고정 프레임(27)의 베어링부(27a)와, 후방 고정 프레임(28)에 고정된 지지 고정 프레임(29)의 베어링부(29a)(도 18 참조)에 따라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전방 고정 프레임(27)과 후방 고정 프레임(28)에는 피사체상 광을 통과시키는 창 구멍(27b, 28a)을 형성하고, 또한 후방 고정 프레임(28)의 창 구멍 바로 뒤에는 CCD(고체 촬상 소자)(30)가 조립되어 있다(도 27 및 도 29 참조).
한편, 도 27에 나타내는 제 3 렌즈 그룹(31)은 포커스용 렌즈로서, 그의 렌즈 프레임(31a)에 설치된 보스(31b)에는 가이드 축(23)을 축 삽입시켜 그의 제 3 렌즈 그룹(31)을 지지하고 있다.
제 3 렌즈 그룹(31)은 렌즈 프레임(31a)의 일부에 설치된 너트 나사(32)가 포커스용 모터(33)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리드 나사(34)에 의해서 나사 이송될 때, 광축방향으로 진퇴 이동한다.
그 외에, 도 27에 나타내는 참조부호(35)는 렌즈 프레임(22a)에 설치한 셔터유닛, 참조부호(36)는 커버판, 참조부호(37)는 커버판에 설치된 줌용 포토인터럽트, 참조부호(38)는 포커스용 포토인터럽트, 참조부호(39)는 제 3 렌즈 그룹(31)의 덜걱거림 방지용 스프링이며, 보스(31b)를 일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리드 나사(34)와 너트(32) 등의 덜걱거림을 흡수한다.
줌용 포토인터럽트(37)는 주밍의 초기 위치를 검출하고, 포커스용 포토인터럽트(38)는 포커싱의 초기 위치를 검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20)는 줌용 모터(26)에 의해 줌용 캠(25)을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이 가이드 축(23)을 따라 이동하여 주밍이 실행되고, 또한 포커스용 모터(33)에 의해 리드 나사(34)를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너트 나사(32)가 나사 이송되고, 제 3 렌즈 그룹(31)이 이동하여 포커싱이 실행된다.
또한, 제 3 렌즈 그룹(31)은 주밍시에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주밍 구동 장치(20)에 캠 장치로서 구비하고 있는 줌용 캠(25)에 대하여, 도 29,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제 3 렌즈 그룹(31), 포커스용 모터(33), 셔터 유닛(35), 커버판(36) 등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 27과 동일한 주밍 구동 장치(20)의 사시도, 도 30은 줌용 캠(25)의 사시도, 도 31은 줌용 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줌용 캠(25)은 제 1 캠 홈(40)과 제 2 캠 홈(41)을 갖는 원통형 캠으로서, 원통형의 캠 기부몸체(251)와, 이 캠 기부몸체(251)의 양측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원통형의 캠 프레임(252, 253)과, 이들 캠프레임(252, 253)을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인장력의 코일 스프링(254)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 기부몸체(251)는 그의 통부(251a) 양측을 소경 형상으로 한 미끄럼운동부(251b, 251c)를 설치하고, 통부(251a)와 미끄럼운동부(251b) 사이의 단부를 제 1 캠 홈(40)을 형성하기 위한 일측 캠면(40a)으로서 형성하고, 통부(251a)와 미끄럼운동부(251c) 사이의 단부를 제 2 캠 홈(41)을 형성하기 위한 일측 캠면(41a)으로서 형성한다.
또한, 캠 기부몸체(251)에는, 양측단에서 통축방향을 따라 형성한 긴 형상의 구멍(251d, 251e)을 설치하고, 이들 긴 형상의 구멍(251d, 251e)에 캠 프레임(252, 253)의 돌기부(252a, 253a)를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결합시켜, 캠 프레임(252, 253)을 캠 기부몸체(251)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하고 이다.
또한, 캠 기부몸체(251)의 통부(251a)에 형성된 구멍부(251f)는 코일 스프링(254)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미끄럼운동부(251b, 251c)의 단부에 형성된 단차부(251g, 251h)는 캠 프레임(252, 253)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다.
한편, 캠 프레임(252)은 일단 원주부를 제 1 캠 홈(40)의 타측 캠면(40b)으로서 형성하고, 또한 그의 타단에는 내향의 플랜지(25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캠 프레임(252)에는 전술한 돌기부(252a)보다 통내로 돌출된 용수철 걸이부(252c)가 설치되어 있다.
캠 프레임(253)은 일단 원주부를 제 2 캠 홈(41)의 타측 캠면(41b)으로서 형성하고, 또한 그의 타단에는 내향의 플랜지(25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캠 프레임(253)에는, 전술한 돌기부(253a)보다 통내로 돌출된 용수철 걸이부(253c)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캠 기부몸체(251), 캠 프레임(252, 253)은 이 캠 프레임(252)을 캠 기부몸체(251)의 미끄럼운동부(251b)에 결합하고, 캠 프레임(253)을 미끄럼운동부(251c)에 결합시킨 후, 코일 스프링(254)의 일단을 캠 프레임(252)의 용수철 걸이부(252c)에, 그의 타단부를 캠 프레임(253)의 용수철 걸이부(253c)에 각각 걸어맞춘다.
코일 스프링(254)은 캠 프레임(252, 253)을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캠 프레임(252)이 미끄럼운동부(251b)를 미끄럼운동하고, 그 플랜지부(252b)가 캠 기부몸체(251)의 단차부(251g)에 맞부딪칠 때까지 진행하고, 이 상태로 일측 캠면(40a)과 타측 캠면(40b)에 따라서 제 1 캠 홈(40)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캠 프레임(253)이 미끄럼운동부(251c)를 미끄럼운동하고, 그 플랜지부(253b)가 단차부(251h)에 맞부딪치고, 이 상태로 일측 캠면(41a)과 타측 캠면(41b)에 따라서 제 2 캠 홈(4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캠 홈(40, 41)은 주밍에 필요한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의 이동에 맞춘 나선형상 캠 홈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줌용 캠(25)은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캠 홈(40)에 제 1 렌즈 그룹(21)의 캠 핀(21c)을 삽입(돌출삽입)시키고, 제 2 캠 홈(41)에 제 2 렌즈 그룹(22)의 캠 핀(22c)을 삽입(돌출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캠 핀(21c, 22c)을 삽입하면, 캠 프레임(252)의 플랜지부(252b)가 단차부(251g)보다 약간 후퇴하고, 마찬가지로 캠 프레임(253)의 플랜지부(253b)도 단차부(251h)보다 약간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캠 핀(21c)이 캠 프레임(252)의 캠면(40b)에 가압되고, 캠 핀(22c)이 캠 프레임(253)의 캠면(41b)에 의해서 가압되기 때문에, 이들 캠 핀(21c, 22c)이 캠 홈(40, 41)의 전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캠면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캠 핀(21c, 22c)의 캠면에 대한 가압접촉력은 코일 스프링(254)의 인장력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254)으로서 알맞은 인장력을 갖는 것을 선택하면 캠 핀(21c, 22c)을 최적의 가압접촉력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줌용 캠(25)은 일정한 모터 구동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또한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의 이동 구동도 매끄럽게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줌용 캠(25)이 변동이 적은 경부하의 캠 장치로 되기 때문에, 줌용 모터(26)로서는 전력 소비가 적은 소형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8은 도 28상의 A-A 선으로 절단하고, 줌용 캠(25)의 단면과 그 구동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줌용 캠(25)의 후단측에는 내부 치차(4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내부 치차(42)의 돌출부(42a)가 캠 기부몸체(251)의 내측 구멍에 돌출삽입되고, 또한 그 돌출부(42a)의 주위부에 설치된 키(42b)가 캠 기부몸체(251)의 내측 구멍부에 형성된 키 홈(251i)과 결합한다.
이에 의해, 줌용 캠(25)이 내부 치차(42)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내부 치차(42)는 지지 고정 프레임(29)에 설치된 베어링부(29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이 내부 치차(42)에는 연동 피니언(43)이 치형결합하고 있다.
이 연동 피니언(43)은 감속 장치(44)를 거쳐서 줌용 모터(26)에 의해서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내부 치차(42)를 회전시켜, 줌용 캠(25)을 회전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하는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20)는 캠 핀(21c, 22c)이 제 1 및 제 2 캠 홈(40, 41)의 전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되는 줌용 캠(25)으로 되는 것 외에, 이 줌용 캠(25)과 동심선상에 줌용 모터(26)를 배치했기 때문에, 카메라의 가로 방향의 폭(도 28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폭)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배율변경용의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과 포커스용의 제 3 렌즈 그룹(31)을 동일한 가이드 축(23)에 의해서 지지시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렌즈 그룹의 편심, 넘어짐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도 19는 제 2 실시 형태로서 나타낸 주밍 구동 장치(50)를 나타낸다.
이 주밍 구동 장치(50)는 캠 프레임(252, 253)에 형성된 타측 캠면(40b, 41b)을 소정의 각도로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그 외에는 도 27 내지 도 18에 나타낸 주밍 구동 장치(20)와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9는 도 28상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에 상당한다.
도 20은 제 1 및 제 2 캠 홈(40, 41)과 캠 핀(21c, 22c)의 구성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이 도면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캠 프레임(252, 253)의 타측 캠면(40b, 41b)은 프레임 외주면으로 향하여 상승 구배로 한 경사의 캠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타측 캠면(40b, 41b)을 이와 같이 경사면으로 하는 것에 의해, 캠 핀(21c, 22c)이 도면의 F1 방향의 가압이동력을 받는다.
즉, 제 1 및 제 2 캠 프레임(252, 253)에는 코일 스프링(254)에 의해서 도면의 F2 방향의 용수철힘이 작용함으로써, 타측 캠면(40b, 41b)의 경사면에 의해 가압이동되는 캠 핀(21c, 22c)이 일측 캠면(40a, 41a)에 가압접촉하는 힘 외에, 캠 홈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는 가압이동력(F1)을 받는다.
캠 핀(21c, 22c)에 작용하는 상기 가압이동력(F1)은 보스(21b, 22b)의 지지축 구멍(21d, 22d, 도 20 참조)의 구멍 면부를 가이드 축(23)에 접촉시키도록 작용하여, 이것에 의해서 지지축 구멍(21d, 22d)과 가이드 축(23)의 기계적 여유가 흡수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줌용 캠(25)은 캠 핀(21c, 22c)이 제 1 및 제 2 캠 홈(40, 41)의 전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접촉하고, 이들 캠 핀(21c, 22c)을 줌용 캠(25)의 회전에 따라서 캠 홈의 회전축선 방향(도 19 및 도 20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구동하여,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을 가이드 축(23)을 따라 이동시킨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보스(21b, 22b)가 기계적 여유가 없게 가이드 축(23)을 미끄럼운동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에 경사나 편심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결과, 주밍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줌용 캠(25)(캠 장치)을 구비한 주밍 구동 장치로 된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제 1 및 제 2 캠 홈(40, 41)의 캠면 경사 위치를 바꾼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 20과 마찬가지의 단면도이다.
도 21a는 제 1 및 제 2 캠 홈(40, 41)의 일측 캠면(40a, 41a)을 경사 형성한 실시 형태이며, 도 21b는 제 1 및 제 2 캠 홈(40, 41)의 일측 캠면(40a, 41a)과 타측 캠면(40b, 41b)의 양 캠면을 경사 형성한 실시 형태이며, 도 21c는 제 1 및 제 2 캠 홈(40, 41)의 타측 캠면(40b, 41b)과 캠 핀(21c, 22c)을 경사 형성한 실시 형태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더라도 캠 핀(21c, 22c)에는 가압이동력(F1)이 작용하기 때문에, 도 20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같이 보스(21b, 22b)와 가이드 축(23)의 기계적 여유를 흡수할 수 있어,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의 경사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1b에 나타낸 구성과 같이 양 캠면을 경사 형성함으로써, 한쪽의 캠면을 경사 형성한 것에 비해서 보다 부드러운 줌 기구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20,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캠면에 접촉하는 캠 핀(21c, 22c)의 접촉부를 경사 형성하더라도 좋다.
도 22는 전술한 주밍 구동 장치(50)에 있어서, 줌용 캠(25)의 베어링 덜걱거림을 흡수하기 위해서, 전방 고정 프레임(27)의 베어링부(27a)에 코일 스프링(45)을 설치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코일 스프링(45)은 줌용 캠(25)을 일 방향으로 가압하여 줌용 캠(25)의 회전축 방향의 활동을 방지하고,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의 이동위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다.
도 23은 전방 고정 프레임(27)의 베어링부(27a)에 하나의 코일 스프링(46)을 설치하고, 이 코일 스프링(46)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캠 프레임(252, 253)을 가압하는 동시에, 줌용 캠(25)의 베어링 덜걱거림을 흡수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는 제 1 캠 프레임(252)을 가압하는 것으로, 캠 핀(21c)을 거쳐서 캠 기부몸체(251)를 가압하고, 또한 캠 핀(22c)을 거쳐서 제 2 캠 프레임(253)을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캠 프레임(252, 253)에 대하여 가교 결합한 코일 스프링(254)이 불필요해 진다.
도 32 내지 도 34는 전술한 바의 주밍 구동 장치(20, 50)와 동일한 주밍 구동 장치의 경통을 구비하지 않고, 무경통의 전자 카메라(디지탈 카메라)의 일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32는 카메라 평면도이고, 도 33은 카메라 정면도이며, 도 34는 카메라 배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전자 카메라는 정면에서 보고 있어, 횡폭, 종폭을 넓게, 깊이 폭을 좁게 한 박형의 카메라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전자 카메라는 콘트롤러, 메모리 카드, 연산부, 메모리 카드 수납부 등을 구비한 카메라 본체부(60)와, 촬영 렌즈 등을 구비한 광학계 수납부(61)를 다른 몸체의 박스형 본체로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카메라 본체부(60)와 광학계 수납부(61)는 연결부(62)에 의해서 적당한 정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60)의 상면에는 셔터 버튼(63)과, 전원 스위치(64)를 설치하고, 또한 카메라 본체부(60)의 배면에는 액정 모니터(65), 선택·결정 버튼(66), 줌 버튼(67), 모드 선택 버튼(68)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도시하지 않는 카메라 본체부(60) 내부에는 CPU를 포함하는 각종 회로 기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메모리 카드 수납부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광학계 수납부(61)의 상면에는 촬영 렌즈 창(69)과 플래쉬 유닛의 발광 창(70) 등이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주밍 기구부(20, 50, 90), 후술하는 플래쉬 유닛(80)을 차광하여 수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60)에는 표시부, 조작부, 배터리, 메모리 카드 수납부, 회로 기판을 집약하여 배치하는 동시에, 광학계 수납부(61)에는 광학기구, 플래쉬 유닛(80)을 집약하여 배치함으로써, 카메라 전체의 박형화를 실현하고 있다.
전술한 전자 카메라는 극히 박형의 카메라 형태이므로 휴대가 편리하다.
한편, 촬영하는 경우에는, 도 35에 일 예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 렌즈 창(69)이 정면을 향하도록 광학계 수납부(61)를 회전시킨다.
이 상태로 카메라 본체부(60)를 손으로 쥐어 셔터 릴리스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 진동이 지극히 적은 카메라로 된다.
또한, 도 35와는 반대측으로 광학계 수납부(61)를 회전시켜, 액정 모니터(65)와 같은 방향을 촬영할 수도 있다.
도 36은 리어 케이스(카메라 케이스)를 분리하여 내부 구성을 나타낸 상기 광학계 수납부(61)의 사시도이고, 도 37은 이 광학계 수납부(61)의 횡단면도이며, 도 38은 해당 광학계 수납부(6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학계 수납부(61)는 플래쉬 유닛(80)과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광학계 유닛)(90)를 상자형의 프론트 케이스(카메라 케이스)(71)내에 부착 경통을 구비하지 않는 무경통으로 하고, 상기 유닛 등을 차광하여 수납한다.
따라서, 광학계 수납부(61)는 박형으로 형성된 광학계 유닛의 높이 치수에 의해 규제되는 두께로 억제되고, 카메라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플래쉬 유닛(80)은 발광 창(70)내에 배치한 발광부(81), 프론트 케이스(71)내의 최고 내측부에 있어서, 광학계 유닛의 후방에 인접 배치된 메인 콘덴서(82), 프론트 케이스(71)내의 광학계 유닛측부에 인접 배치된 배선 기판(8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밍 구동 장치(90)는 소형 나사(91)에 의해서 프론트 케이스(71)내에 나사결합되어 배치되어 있고, 촬영 렌즈 창(69)으로부터 제 1, 제 2 및 제 3 렌즈 그룹(21, 22, 31)으로 이루어지는 촬상 광학계에 촬영상 광이 입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주밍 구동 장치(90)에는 땜납층이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커버(92)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래쉬 유닛(80)과 주밍 구동 장치(90)를 부착된 프론트 케이스(71)에는 리어 케이스(72)를 나사결합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72)의 일측에 프론트 케이스(71)로부터 끼워맞춰지는 소형 나사(93)에 의해서 나사결합하고, 또한 리어 케이스(72)의 타측은 연결부(62)의 한쪽 텅형상부(62a)에 의해서 나사결합한다.
즉, 연결부(62)의 한쪽 텅형상부(62a)를 프론트 케이스(71)와 리어 케이스(72)로 소형 나사(73)에 의해서 고정하여 이들 케이스(71, 72)를 일체적으로 고정한다.
또한, 연결부(62)의 타측 텅형상부(62b)는 카메라 본체부(60)의 케이스에 나사결합하는 것으로, 그의 관형상부(62c)에 의해서 카메라 본체부(60)와 광학계 수납부(61)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이들 사이의 전기 배선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 외에, 도 38에 나타낸 참조부호(94)는 캠 가압이동 핀, 참조부호(95)는 캠스프링, 참조부호(96)는 촬상 유닛이지만,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광학계 수납부(61)는 특히 렌즈 경통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렌즈 구경에 맞춘 깊이 폭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박형의 전자 카메라에 적합한 것으로 된다.
도 39는 전술한 주밍 구동 장치(90)의 사시도이다.
이 주밍 구동 장치(90)는 이미 설명한 바의 주밍 구동 장치(20, 50)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단지, 이 주밍 구동 장치(90)는 줌용 캠(25)을 촬영 렌즈 그룹의 좌측에 배치하고, 또한 줌용 모터(26)는 전방에, 포커스용 모터(33)는 후방에 각각 배치하고 있다.
전술의 도 27 등의 실시 형태와 상이하며, 이와 같이 줌용 모터(26)와 포커스용 모터(33)를 전방과 후방에 나눠 배치함으로써, 2개의 모터를 중복하여 배치하는 것과 비교해 보다 박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2개의 모터 사이의 전자적 간섭도 막을 수 있다.
또한, 줌용 캠(25)에 있어서는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통형상 기부몸체(351, 352)에 의해 캠 기부몸체(251)가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통형상 기부몸체(351)의 삽입 로드부(351a)를 통형상 기부몸체(352)내에 삽입하고, 통형상 기부몸체(352)의 구멍부(352a)에서 끼워맞춘 편심 핀(74)을 삽입 로드부(351a)의 핀 구멍(351b)에 끼워맞춰 이들 통형상 기부몸체(351, 352)를 일체적으로 연결한다.
즉, 편심 핀(74)을 회동시켜 삽입 로드부(351a)의 삽입 깊이를 조정하여 통형상 기부몸체(351)에 형성된 일측 캠면(40a)과 통형상 기부몸체(352)에 형성된 일측 캠면(41a) 사이의 거리를 미세조정한다.
또한, 일측 캠면(40a, 41a)이 캠 프레임(252, 253)의 타측 캠면(40b, 41b)으로서 제 1 및 제 2 캠 홈(40, 41)을 형성하는 것은 이미 말한 바이다.
한편, 이 줌용 캠(25)의 캠 프레임(252)에는 핀 수납 편부(252e)가 내부를 향해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핀 수납 편부(252e)가 통형상 기부몸체(351)의 긴 구멍(351c)내를 미끄럼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핀 수납 편부(252e)를 캠 가압이동 핀(94)에 의해 가압이동시켜 캠 프레임(252, 253)과 캠 기부몸체(251)를 일 방향으로 가압이동시킨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가압이동 핀(94)은 전방 고정 프레임(27)의 구멍부(27c)에 삽입되고, 그 선단을 핀 수납 편부(252e)에 접촉시키며, 또한 이 캠 가압이동 핀(94)은 상기의 구멍부(27c)에 내장된 캠 스프링(95)에 의해 가압이동력이 가해진다.
또한, 캠 가압이동 핀(94)과 캠 스프링(95)은 발광부(81)로부터 돌출된 판부에 의해서 빠짐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줌용 캠(25)에 있어서, 캠 프레임(253)은 그의 내부에 설치된 키 볼록부를 통형상 기부몸체(352)의 키 홈(352b)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통형상 기부몸체(352)와 일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캠 프레임(253)에는 연동 치차(75)를 설치하고, 이 연동 치차(75)를 감속 장치(44)를 거쳐서 모터 구동한다.
이 주밍 구동 장치(90)의 감속 장치(44)는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치차 그룹과 후방 치차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치차 그룹은 줌용 모터(26)의 피니언(44a)에 대경 치차부를 치형결합시킨 치차(44b)와, 이 치차(44b)의 소경 치차부를 치형결합시킨 치차(44c)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치차(44c)는 회전축 로드(44d)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축 로드(44d)를 거쳐서 후방 치차 그룹을 연동한다.
후방 치차 그룹은 회전축 로드(44d)의 후단에 설치된 치차(44e)와, 이 치차(44e)에 대경 치차부를 치형결합시킨 치차(44f)와, 이 치차(44f)의 소경 치차부에 대경 치차부를 치형결합시킨 치차(44g)로 구성되어 있고, 치차(44g)의 소경 치차부에 캠 프레임(253)의 연동 치차(75)가 치형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방 치차 그룹과 후방 치차 그룹으로 나눔으로써 감속 기어의 배치 부위가 2분되기 때문에, 촬영 렌즈 직경에 맞는 감속 장치(44)로 되고, 광학계 흡수부(61)의 박형화에 적합하게 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감속 기어를 1개소에 정리하여 배치하고자 하면, 충분한 감속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줌 기구의 줌 방향으로 감속 기어 그룹을 연재하여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고, 줌 기구가 길게 되어, 소형화를 막는 것으로 된다.
또한, 길이를 바꾸지 않고서 충분한 감속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치차를 대경화하지 않으면 안되고 촬영 렌즈 직경에 맞는 감속 장치를 실현할 수 없고 박형화를 저지해 버린다.
도 11은 촬상 유닛(96)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촬상 유닛(96)은 홀더(354), 마스크(353), 필터(LPF)(352), 고무(351), CCD(320), 플레이트(355), 배선 기판(358)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홀더(354)와 플레이트(355) 사이에 마스크(353), 필터(352), 고무(351), CCD(320)를 개재하도록 하여 홀더(354)를 플레이트(355)에 소형 나사(356)에 의해서 나사결합하여 일체적인 유닛 구성으로 하고, 그 후, CCD(320)를 배선 기판(358)에 전기 접속하여 그의 배선 기판(358)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유닛(96)은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밍 구동 장치(90)의 후방 고정 프레임(28)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후방 고정 프레임(28)에는 기준면(28b)과 결합 돌기부(28c)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후, 고정 프레임(28)에는 촬상 유닛(96)을 협지하는 판 스프링(105, 106)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55)의 양측 돌출편부를 기준면(28b)과 판 스프링(105, 106) 사이에 끼워맞추면, 플레이트(355)의 부착 구멍(102a)에 한쪽의 결합 돌기부(28c)가 돌출삽입하고, 플레이트(355)의 부착 홈(102b)에 다른쪽의 결합 돌기부(28c)가 결합하며, 또한 2개의 판 스프링(105, 106)의 탄성 협지력에 의해서 촬상 유닛(96)이 설치된다.
또한, 도 42 및 도 43은 설명의 편의상, 배선 기판(358)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유닛(96)이 설치된다.
이상, 본 실시 형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의 광학 줌 기구는 카메라에 제한되지 않고 그 밖의 광학기기에 실시할 수 있는 것외에, 캠 기부몸체(251)와 한쪽의 캠 프레임(252)(또는 253)으로 구성된 캠체에 대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캠 기부몸체(251) 또는 캠 프레임(252)에 치차를 설치하고, 이 치차를 제 1 감속 기어 그룹에 치형결합시키도록 한다.
또한, 그 밖의 실시 형태로서는, 도 30에 도시된 줌용 캠(25)에 설치한 내부 치차(42)에 제 1 감속 기어 그룹을 치형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의 줌용 캠과 줌용 모터(26)의 연동계에 구비된 감속 장치(44)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파인더나 플래쉬 장치의 배율변경용 렌즈를 주밍하는 줌용 캠의 감속 장치나 주밍하는 리드 나사로서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전술한 광학 줌 기구에 있어서, 상기 광학 줌 기구는 상기 유지 프레임에 설치된 캠 홈 삽입 부재를 상기 캠체의 나선형상의 캠 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배율변경 렌즈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캠체는 캠 홈의 일측 캠면을 형성한 한쪽의 캠체와, 상기 캠체에 비회전으로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일측 캠면에 대향시키는 타측 캠면을 형성한 다른쪽의 캠체로 이루어지고, 한쪽의 캠체 및/또는 다른쪽의 캠체를 가압하여 캠 홈 삽입 부재를 캠면에 접촉시키는 가압 수단을 더 구비한 광학 줌 기구를 제안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광학 줌 기구에 있어서, 상기 광학 줌 기구는 상기 유지 프레임에 설치된 캠 홈 삽입 부재를 상기 캠체의 나선형상의 캠 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배율변경 렌즈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캠체는 나선형상의 제 1 캠 홈과, 나선형상의 제 2 캠 홈과, 원주체의 양측부 각각에 설치된 소경 형상의 미끄럼운동부와, 한쪽의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 사이의 단부에 설치된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과, 다른쪽의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 사이의 단부에 설치한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을 갖는 캠 기부몸체와,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켜 형성된 타측 캠면과, 한쪽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구비한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켜 형성된 타측 캠면과, 다른쪽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구비한 제 2 캠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하고,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로 형성된 2쌍의 캠 홈에 삽입하는 상기 캠 홈 삽입 부재를 캠면에 접촉시키는 가압 수단을 더 구비한 광학 줌 기구를 제안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전술한 광학 줌 기구에 있어서, 상기 광학 줌 기구는 상기 유지 프레임에 설치된 캠 홈 삽입 부재를 상기 캠체의 나선형상의 캠 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배율변경 렌즈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캠체는 나선형상의 제 1 캠 홈과, 나선형상의 제 2 캠 홈과, 원주체의 일단에 설치된 소경 형상의 미끄럼운동부와,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 사이에 설치된 단부인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을 갖는 한쪽의 기부몸체와, 원주체의 일단에 설치된 소경 형상의 미끄럼운동부와,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 사이에 설치된 단부인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을 갖는 다른쪽의 기체부와, 상기 한쪽의 기체부와 상기 다른쪽의 기체부를 연결하여 구성한 캠 기부몸체와,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켜 형성한 타측 캠면과, 한쪽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구비한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켜 형성한 타측 캠면과, 다른쪽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구비한 제 2 캠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하고,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로 형성된 2쌍의 캠 홈에 삽입하는 상기 캠 홈 삽입 부재를 캠면에 접촉시키는 가압 수단을 구비한 광학 줌 기구를 제안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배율변경 렌즈와, 상기 배율변경 렌즈를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과, 양단부에 치차를 설치한 회전축 로드와, 상기 회전축 로드의 일단측에 설치한 치차와 맞물리는 제 1 감속 기어 그룹과, 상기 회전축 로드의 타단측에 설치한 치차와 맞물리는 제 2 감속 기어 그룹과, 상기 제 2 감속 기어 그룹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제 1 감속 기어 그룹에 의해 구동되는 캠체와, 촬상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캠체에 의해 상기 유지 프레임을 이동함으로써 촬상 소자에 초점맞춤하는 촬상 화상의 주밍을 실시하는 광학 줌 기구를 구비한 카메라를 제안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전술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광학 줌 기구는 상기 유지 프레임에 설치된 캠 홈 삽입 부재를 상기 캠체의 나선형상의 캠 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배율변경 렌즈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캠체는 캠 홈의 일측 캠면을 형성한 한쪽의 캠체와, 상기 캠체에 비회전으로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일측 캠면에 대향시키는 타측 캠면을 형성한 다른쪽의 캠체로 이루어지고, 한쪽의 캠체 및/또는 다른쪽의 캠체를 가압하여 캠 홈 삽입 부재를 캠면에 접촉시키는 가압 수단을 더 구비한 카메라를 제안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광학 줌 기구는 상기 유지 프레임에 설치한 캠 홈 삽입 부재를 상기 캠체의 나선형상의 캠 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배율변경 렌즈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캠체는 나선형상의 제 1 캠 홈과, 나선형상의 제 2 캠 홈과, 원주체의 양단부 각각에 설치한 소경 형상의 미끄럼운동부와, 한쪽의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 사이의 단부에 설치된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과, 다른쪽의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 사이의 단부에 설치된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을 갖는 캠 기부몸체와,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켜 형성한 타측 캠면과, 한쪽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구비한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켜 형성한 타측 캠면과, 다른쪽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구비한 제 2 캠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하고,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로 형성된 2쌍의 캠 홈에 삽입하는 상기 캠 홈 삽입 부재를 캠면에 접촉시키는 가압 수단을 더 구비한 카메라를 제안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캠체는 나선형상의 제 1 캠 홈과, 나선형상의 제 2 캠 홈과, 원주체의 일단에 설치한 소경 형상의 미끄럼운동부와,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 사이에 설치된 단부인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을 갖는 한쪽의 기체부와, 원주체의 일단에 설치한 소경 형상의 미끄럼운동부와,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 사이에 설치된 단부인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을 갖는 다른쪽의 기체부와, 상기 한쪽의 기체부와 상기 다른쪽의 기체부를 연결하여 구성한 캠 기부몸체와,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켜 형성한 타측 캠면과, 한쪽의 기체부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구비한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켜 형성한 타측 캠면과, 다른쪽의 기체부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구비한 제 2 캠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하고,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로 형성된 2쌍의 캠 홈에 삽입하는 상기 캠 홈 삽입 부재를 캠면에 접촉시키는 가압 수단을 구비한 카메라를 제안한다.
전술한 광학 줌 기구 및 카메라는, 모터 시동시키면, 우선, 제 1 감속 기어 그룹이 회전 구동되고, 이 회전 구동력이 회전축 로드에 전달되어, 이 회전축 로드에 연동하는 제 2 감속 기어 그룹이 회전 구동력을 받는다.
따라서, 동력 기구가 제 2 감속 기어 그룹에 연동되어 회전하여, 광학계를 주밍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학 줌 기구 및 카메라는 제 1 및 제 2 감속 기어 그룹을 2개의 치차 그룹으로 나누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감속 기어 그룹 각각의 치차 구조가 커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2개소의 조립부가 필요하지만, 각각의 조립 공간을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 박형화하는 카메라에 관해서도 충분히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의 치차를 제 1 및 제 2 감속 기어 그룹으로 나누기 때문에, 치차 구성이 복잡해지지 않고, 치차 배치의 자유도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광학 줌 기구 및 카메라는 많은 감속 기어를 제 1 감속 기어 그룹과 제 2 감속 기어 그룹으로 나누고, 제 1 및 제 2 각각의 감속 기어 그룹을 별도로 조립 구성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감속 기어 그룹을 좁은 공간에 별도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감속 기어 그룹과 제 2 감속 기어 그룹의 2개의 치차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치차 배치의 자유도도 생기게 된다.
이 결과, 카메라의 소형화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4 실시 형태
도 45에 나타낸 주밍 구동 장치(10)는 제 1 렌즈 그룹(11)의 캠 핀(11c)과, 제 2 렌즈 그룹(12)의 캠 핀(12c)과, 코일 스프링(18)의 용수철힘에 의해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이동력을 가하고, 이들 캠 핀(11c, 12c)을 제 1 및 제 2 캠면(17a, 17b)에 가압접촉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줌용 캠(17)의 캠 형상에 의해, 제 1 렌즈 그룹(11)과 제 2 렌즈 그룹(12)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 1 렌즈 그룹(11)과 제 2 렌즈 그룹(12) 사이의 거리가 커지면, 코일 스프링(18)의 용수철힘의 증대에 의해서 캠 핀(11c, 12c)의 캠면에 대한 가압접촉력이 증가한다.
또한, 반대로, 제 1 렌즈 그룹(11)과 제 2 렌즈 그룹(12)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면, 코일 스프링(18)의 용수철힘이 감소하기 때문에, 캠 핀(11c, 12c)의 캠면에 대한 가압접촉력도 감소한다.
다시 말해,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11, 12)을 주밍하는 각각의 위치에 의해서 이들 렌즈 그룹을 이동하는 줌용 캠(17)의 회전 구동력이 변하고,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11, 12) 사이의 거리가 가장 커지는 주밍 위치에 있어서 캠 핀(11c, 12c)의 가압접촉력이 가장 증가하기 때문에, 가장 큰 회전 구동력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종래의 주밍 구동 장치(10)로서는, 캠 핀(11c, 12c)의 가압접촉력이 가장 증가하는 주밍 위치에 있어서도 줌용 캠(17)을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19)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모터(19)로서 고가인 모터를 준비하거나, 대형의 모터를 준비해야 하고, 또한 모터(19)에는 주밍 위치에 따라서 높은 부하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전력소비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도 46에 도시된 주밍 구동 장치(110)는 제 1 렌즈 그룹(11)의 렌즈 프레임(11a)과, 제 2 렌즈 그룹(12)의 렌즈 프레임(12a)과, 코일 스프링(18)에 의한 인장력을 가하여 캠 핀(11c, 12c)을 캠면에 가압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11, 12)이 기울거나, 편심하는 일이 있어,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서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11, 12)은 줌용 캠(111)의 제 1 및 제 2 캠 홈(111a, 111b)의 회전과 그들의 캠 홈 형상에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11, 12) 사이의 거리가 길어질수록 코일 스프링(18)의 힘이 증대한다.
이 때문에,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11, 12) 사이의 거리가 길어질수록 렌즈 프레임(11a, 12a)이 코일 스프링(18)에 의한 인장력 작용으로 기울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11, 12)의 경사는 렌즈의 편심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나타나는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11, 12)의 경사와 편심은 가이드 축(13)에 대한 보스(11b, 12b)의 축 구멍의 기계적 여유가 있을수록 커진다.
따라서, 그 기계적 여유는 가능한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보스(11b, 12b)를 부드럽게 미끄럼운동시키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계적 여유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11, 12)의 경사, 편심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줌용 캠(111)의 제 1 및 제 2 캠 홈(111a, 111b)은 도 47에 일 예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캠면이 개방 구배의 캠 홈으로 되고, 또한 캠 핀(11c, 12c)에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11, 12)의 경사에 따라 캠 핀(11c, 12c)의 돌출 방향이 변하면, 캠면에 대한 캠 핀(11c, 12c)의 접촉 위치가 어긋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11, 12)의 이동 간격에 편차가 생긴다.
즉, 캠 축이 어긋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11, 12)의 정규 이동 위치가 어긋나, 주밍 위치에 의한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11, 12)의 이동 간격이 불균일하여 주밍 정밀도가 저하된다.
본 실시 형태는 전술한 실정에 비추어, 캠면에 대한 캠 핀의 가압접촉력을 일정하게 하고, 캠의 회전 구동력을 가능한 한 적게 할 수 있는 캠 장치와 가이드 축을 미끄럼운동시키는 피이동물에 경사를 발생시키는 일없고, 또한 피이동물의 이동 거리에 편차를 발생시키지 않는 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그 캠 장치를 광학계의 줌용 캠으로서 구비한 카메라를 제공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를 전자 카메라에 실시한 제 4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8은 동 주밍 구동 장치(20)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21)는 제 1 렌즈 그룹이고, 참조부호(22)는 제 2 렌즈 그룹을 나타내며, 이들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은 도 45 및 도46에 나타낸 종래예와 같이 구성되고, 그들의 렌즈 프레임(21a)에 설치한 보스(21b)와, 렌즈 프레임(22a)에 설치한 보스(22b)에 가이드 축(23)을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축 삽입시켜,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을 가이드 축(23)에 의해서 지지하고 있다.
또한, 보스(21b, 22b)와는 반대로 되는 렌즈 프레임(21a, 22a)의 위치에는 구멍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이들 구멍부에 가이드 축(24)을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축 삽입시켜,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의 회전 방지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보스(21b)에 돌출 형성된 제 1 렌즈 그룹(21)의 캠 핀(캠 홈 삽입 부재)(21c)과 보스(22b)에 돌출 형성된 제 2 렌즈 그룹(22)의 캠 핀(캠 홈 삽입 부재)(22c)이 줌용 캠(25)의 캠 홈에 삽입되고,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을 줌용 캠(25)의 회전에 따라서 광축방향으로 캠이송한다(도 29 참조).
또한, 줌용 캠(25)은 줌용 모터(26)에 의해서 회전 구동된다.
전술한 가이드 축(23)과 가이드 축(24)의 일단측은 전방 고정 프레임(27)에, 타단측은 후방 고정 프레임(28)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줌용 캠(25)은 전방 고정 프레임(27)의 베어링부(27a)와, 후방 고정 프레임(28)에 고정된 지지 고정 프레임(29)의 베어링부(29a)(도 18 참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방 고정 프레임(27)과 후방 고정 프레임(28)에는 피사체상 광을 통과시키는 창 구멍(27b, 28a)을 형성하고, 또한 후방 고정 프레임(28)의 창 구멍 바로 뒤에는 CCD(고체 촬상 소자)(30)가 조립되어 있다(도 27 및 도 29 참조).
한편, 도 27에 나타내는 제 3 렌즈 그룹(31)은 포커스용 렌즈로서, 그 렌즈 프레임(31a)에 설치한 보스(31b)에는 가이드 축(23)을 축 삽입시켜 그의 제 3 렌즈 그룹(31)을 지지하고 있다.
제 3 렌즈 그룹(31)은 렌즈 프레임(31a)의 일부에 설치한 너트 나사(32)가 포커스용 모터(33)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리드 나사(34)에 의해서 나사 이송됨으로써 광축방향으로 진퇴 이동한다.
다른 한편으로, 도 27에 나타내는 참조부호(35)는 렌즈 프레임(22a)에 설치한 셔터 유닛이고, 참조부호(36)는 커버판이고, 참조부호(37)는 커버판에 설치한 줌용 포토인터럽트이고, 참조부호(38)는 포커스용 포토인터럽트이고, 참조부호(39)는 제 3 렌즈 그룹(31)의 덜걱거림 방지용의 스프링이며, 보스(31b)를 일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리드 나사(34)와 너트(32) 등의 덜걱거림을 흡수한다.
줌용 포토인터럽트(37)는 주밍의 초기 위치를 검출하고, 포커스용 포토인터럽트(38)는 포커싱의 초기 위치를 검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20)는 줌용 모터(26)에 의해 줌용 캠(25)을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이 가이드 축(23)에 따라 이동하여 주밍이 실행되고, 또한 포커스용 모터(33)에 의해 리드 나사(34)를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너트 나사(32)가 나사 이송되고, 제 3 렌즈 그룹(31)이 이동하여 포커싱이 실행된다.
또한, 제 3 렌즈 그룹(31)은 주밍시에도 이동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주밍 구동 장치(20)에 캠 장치로서 구비하고 있는 줌용 캠(25)에 대하여,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제 3 렌즈 그룹(31), 포커스용 모터(33), 셔터 유닛(35), 커버판(36) 등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 27과 동일한 주밍 구동 장치(20)의 사시도이고, 도 30은 줌용 캠(25)의 사시도이며, 도 31은 줌용 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줌용 캠(25)은 제 1 캠 홈(40)과 제 2 캠 홈(41)을 갖는 원통형 캠으로서, 원통형의 캠 기부몸체(251)와, 이 캠 기부몸체(251)의 양측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원통형의 캠 프레임(252, 253)과, 이들 캠 프레임(252, 253)을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인장력의 코일 스프링(254)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 기부몸체(251)는 그의 통부(251a) 양측을 소경 형상으로 한 미끄럼운동부(251b, 251c)를 설치하고, 통부(251a)와 미끄럼운동부(251b) 사이의 단부를 제 1 캠 홈(40)을 형성하기 위한 일측 캠면(40a)으로서 형성하고, 통부(251a)와 미끄럼운동부(251c) 사이의 단부를 제 2 캠 홈(41)을 형성하기 위한 일측 캠면(41a)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캠 기부몸체(251)에는, 양측단에서 통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긴 형상의 구멍(251d, 251e)을 설치하고, 이들 긴 형상의 구멍(251d, 251e)에 캠 프레임(252, 253)의 돌기부(252a, 253a)를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결합시켜, 캠 프레임(252, 253)을 캠 기부몸체(251)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캠 기부몸체(251)의 통부(251a)에 형성된 구멍부(251f)는 코일 스프링(254)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미끄럼운동부(251b, 251c)의 단부에 형성된 단차부(251g, 251h)는 캠 프레임(252, 253)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다.
한편, 캠 프레임(252)은 일단 원주부를 제 1 캠 홈(40)의 타측 캠면(40b)으로서 형성하고, 또한 그의 타단에는 내향의 플랜지(25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캠 프레임(252)에는 전술한 돌기부(252a)보다 통내로 돌출시킨 용수철 걸이부(252c)가 설치되어 있다.
캠 프레임(253)은 일단 원주부를 제 2 캠 홈(41)의 타측 캠면(41b)으로서 형성하고, 또한 그의 타단에는 내향의 플랜지(25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캠 프레임(253)에는 전술한 돌기부(253a)보다 통내로 돌출시킨 용수철 걸이부(253c)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캠 기부몸체(251), 캠 프레임(252, 253)은 캠 프레임(252)을 캠 기부몸체(251)의 미끄럼운동부(251b)에 결합하고, 캠 프레임(253)을 미끄럼운동부(251c)에 결합시킨 후, 코일 스프링(254)의 일단을 캠 프레임(252)의 용수철 걸이부(252c)에, 그의 타단부를 캠 프레임(253)의 용수철 걸이부(253c)에 각각 걸어맞춘다.
코일 스프링(254)은 캠 프레임(252, 253)을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캠 프레임(252)이 미끄럼운동부(251b)를 미끄럼운동하고, 그 플랜지부(252b)가 캠 기부몸체(251)의 단차부(251g)에 맞부딪칠 때까지 진행하며, 이 상태로 일측 캠면(40a)과 타측 캠면(40b)에 의해서 제 1 캠 홈(40)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캠 프레임(253)이 미끄럼운동부(251c)를 미끄럼운동하고, 그 플랜지부(253b)가 단차부(251h)에 맞부딪치고, 이 상태로 일측 캠면(41a)과 타측 캠면(41b)에 의해서 제 2 캠 홈(4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캠 홈(40, 41)은 주밍에 필요한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의 이동에 맞는 나선형상 캠 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줌용 캠(25)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캠 홈(40)에 제 1 렌즈 그룹(21)의 캠 핀(21c)을 삽입(돌출삽입)시키고, 제 2 캠 홈(41)에 제 2 렌즈 그룹(22)의 캠 핀(22c)을 삽입(돌출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캠 핀(21c, 22c)을 삽입하면, 캠 프레임(252)의 플랜지부(252b)가 단차부(251g)보다 약간 후퇴하고, 마찬가지로 캠 프레임(253)의 플랜지부(253b)도 단차부(251h)보다 약간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캠 핀(21c)이 캠 프레임(252)의 캠면(40b)에 가압되고, 캠 핀(22c)이 캠 프레임(253)의 캠면(41b)에 의해서 가압되기 때문에, 이들 캠 핀(21c, 22c)이 캠 홈(40, 41)의 전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캠면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캠 핀(21c, 22c)의 캠면에 대한 가압접촉력은 코일 스프링(254)의 인장력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254)으로서 알맞은 인장력을 갖는 것을 선택하면 캠 핀(21c, 22c)을 최적의 가압접촉력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줌용 캠(25)은 일정한 모터 구동력으로 회전될 수 있고, 또한 제 1 및 제 2 렌즈 그룹(21, 22)의 이동 구동도 부드럽게 실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줌용 캠(25)이 변동이 적은 경부하의 캠 장치로 되기 때문에, 줌용 모터(26)로서는 전력소비가 적은 소형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8은 도 28상의 A-A 선으로 절단하고, 줌용 캠(25)의 단면과 그 구동계를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줌용 캠(25)의 후단측에는 내부 치차(4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내부 치차(42)의 돌출부(42a)가 캠 기부몸체(251)의 내측 구멍에 돌출삽입되고, 또한 그 돌출부(42a)의 주위부에 설치된 키(42b)가 캠 기부몸체(251)의 내측 구멍부에 형성된 키 홈(251i)과 결합한다.
이에 의해, 줌용 캠(25)이 내부 치차(42)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내부 치차(42)는 지지 고정 프레임(29)에 설치된 베어링부(29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이 내부 치차(42)에는 연동 피니언(43)이 치형결합되어 있다.
이 연동 피니언(43)은 감속 장치(44)를 거쳐서 줌용 모터(26)에 의해서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내부 치차(42)를 회전하여, 줌용 캠(25)을 회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하는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20)는 캠 핀(21c, 22c)이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전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되는 줌용 캠(25)으로 되는 것 외에, 이 줌용 캠(25)과 동심선상에 줌용 모터(26)를 배치했기 때문에, 카메라의 횡방향의 폭(도 28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폭)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배율변경용의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과 포커스용의 제 3 렌즈 그룹(31)을 동일한 가이드 축(23)에 의해서 지지시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렌즈 그룹의 편심, 넘어짐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도 19는 제 2 실시 형태로서 나타낸 주밍 구동 장치(50)를 나타낸다.
이 주밍 구동 장치(50)는 캠 프레임(252, 253)에 형성한 타측 캠면(40b,41b)을 소정의 각도로 경사시킨 것이 특징이며, 그 외에는 도 27 내지 도 30 및 도 18에 나타낸 주밍 구동 장치(20)와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9는 도 28상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에 대응한다.
도 20은 제 1, 제 2 캠 홈(40, 41)과 캠 핀(21c, 22c)과의 구성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이 도면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캠 프레임(252, 253)의 타측 캠면(40b, 41b)은 프레임 외주면으로 향하여 상승 구배로 한 경사의 캠면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타측 캠면(40b, 41b)을 이와 같이 경사면으로 하는 것에 의해, 캠 핀(21c, 22c)이 도면의 F1 방향의 가압이동력을 받는다.
즉, 제 1, 제 2 캠 프레임(252, 253)에는 코일 스프링(254)에 의해서 도면의 F2 방향의 용수철힘이 작용함으로써, 타측 캠면(40b, 41b)의 경사면에 의해 가압이동되는 캠 핀(21c, 22c)이, 일측 캠면(40a, 41a)에 가압접촉하는 힘 외에, 캠 홈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는 가압이동력(F1)을 받는다.
캠 핀(21c, 22c)에 작용하는 상기의 가압이동력(F1)은 보스(21b, 22b)의 지지축 구멍(21d, 22d, 도 20 참조)의 구멍 면부를 가이드 축(23)에 접촉시키도록 작용하며, 이것에 의해서 지지축 구멍(21d, 22d)과 가이드 축(23)과의 기계적 여유가 흡수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줌용 캠(25)은 캠 핀(21c, 22c)이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전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접촉하고, 이들 캠 핀(21c, 22c)을 줌용 캠(25)의 회전에 따라서 캠 홈의 회전축선 방향(도 19, 도 20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이동 구동하여,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을 가이드 축(23)에 따라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보스(21b, 22b)가 기계적 여유가 없게 가이드 축(23)을 미끄럼운동함으로써,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에 경사나 편심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결과, 주밍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줌용 캠(25, 캠 장치)을 구비한 주밍 구동 장치로 된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캠면 경사 위치를 바꾼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 20과 마찬가지의 단면도이다.
도 21a는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일측 캠면(40a, 41a)을 경사 형성한 실시 형태이며, 도 21b는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일측 캠면(40a, 41a)과 타측 캠면(40b, 41b)의 양 캠면을 경사 형성한 실시 형태이며, 도 21c는 제 1, 제 2 캠 홈(40, 41)의 타측 캠면(40b, 41b)과 캠 핀(21c, 22c)을 경사 형성한 실시 형태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더라도 캠 핀(21c, 22c)에는 가압이동력(F1)이 작용하기 때문에, 도 20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같이 보스(21b, 22b)와 가이드 축(23)과의 기계적 여유를 흡수할 수 있고,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경사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1b에 나타낸 구성과 같이 양 캠면을 경사 형성함으로써, 한쪽의 캠면을 경사 형성한 것에 비해서 보다 부드러운 줌 기구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20,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캠면에 접촉하는 캠 핀(21c, 22c)의 접촉부를 경사 형성하더라도 좋다.
도 22는 상기한 주밍 구동 장치(50)에 있어서, 줌용 캠(25)의 베어링 덜걱거림을 흡수하기 위해서, 전방 고정 프레임(27)의 베어링부(27a)에 코일 스프링(45)을 설치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코일 스프링(45)은 줌용 캠(25)을 한방향으로 가압하여 줌용 캠(25)의 회전축 방향의 활동을 방지하고,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이동위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다.
도 23은 전방 고정 프레임(27)의 베어링부(27a)에 하나의 코일 스프링(46)을 설치하고, 이 코일 스프링(46)에 의해서 제 1, 제 2 캠 프레임(252, 253)을 가압하는 동시에 줌용 캠(25)의 베어링 덜걱거림을 흡수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는, 제 1 캠 프레임(252)을 가압하는 것으로, 캠 핀(21c)을 거쳐서 캠 기부몸체(251)를 가압하고, 또한 캠 핀(22c)을 거쳐서 제 2 캠 프레임(253)을 한방향에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제 2 캠 프레임(252, 253)에 대하여 가교 결합한 코일 스프링(254)이 불필요하게 진다.
도 32 내지 도 34는 상기한 바의 주밍 구동 장치(20, 50)와 동일한 주밍 구동 장치(광학계 유닛)의 경통을 구비하지 않고 구비된 무경통의 전자 카메라(디지탈 카메라)의 일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32는 카메라 평면도이며, 도 33은 카메라 정면도이며, 도 34는 카메라 배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전자 카메라는 정면에서 보고 있어, 횡폭, 종폭을 넓게, 깊이 폭을 좁게 한 박형의 카메라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전자 카메라는, 콘트롤러, 메모리 카드, 연산부, 메모리 카드 수납부 등을 갖춘 카메라 본체부(60)와 촬영 렌즈 등을 갖춘 광학계 수납부(61)를 별개 본체의 박스형 본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 본체부(60)와 광학계 수납부(61)는 연결부(62)에 의해서 정당한 정도로 회전시킬 수 알맞은 정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60)의 상면에는, 셔터 버튼(63), 전원 스위치(64)가 설치되고, 또한 카메라 본체부(60)의 배면에는 액정 모니터(65), 선택·결정 버튼(66), 줌 버튼(67), 모드 선택 버튼(68) 등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카메라 본체(60)의 내부에는 CPU를 포함하는 각종 회로 기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메모리 카드 수납부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광학계 수납부(61)의 상면에는, 촬영 렌즈 창(69)과 플래쉬 유닛의 발광 창(70) 등이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주밍 구동 장치(20, 50, 90), 후술하는 플래쉬 유닛(80)이 차광하여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60)에는 표시부, 조작부, 배터리, 메모리 카드 수납부, 회로 기판을 집약하여 배치하는 동시에 광학계 수납부(61)에는 광학 기구, 플래쉬 유닛(80)을 집약하여 배치함으로써, 카메라 전체의 박형화를 실현하고 있다.
전술한 전자 카메라는 극히 박형의 카메라 형태이므로 휴대에 편리하다.
한편, 촬영하는 경우에는, 도 35에 일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 렌즈 창(69)이 정면을 향하도록 광학계 수납부(61)를 회전시킨다.
이 상태로 카메라 본체부(60)를 손으로 쥐어 셔터 릴리스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 진동이 지극히 적은 카메라가 된다.
또한, 도 35와는 반대측으로 광학계 수납부(61)를 회전시켜, 액정 모니터(65)와 같은 방향을 촬영할 수도 있다.
도 36은 리어 케이스(카메라 케이스)를 분리하여 내부 구성을 나타낸 상기 광학계 수납부(61)의 사시도이며, 도 37은 그 광학계 수납부(61)의 횡단면도이며, 도 38은 상기 광학계 수납부(61)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학계 수납부(61)는 플래쉬 유닛(80)과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광학계 유닛)(90)를 상자형의 프론트 케이스(카메라 케이스)(71)내에 조립한 경통을 구비하지 않은 무경통으로 하여, 상기 유닛 등을 차광하여 수납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광학계 수납부(61)는 박형으로 형성한 광학계 유닛의 높이 치수에 의해 경통성으로 되는 두께가 억제되고, 카메라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플래쉬 유닛(80)은 발광창(70)내에 배치한 발광부(81), 프론트 케이스(71)내의 최고 깊이부로서 광학계 유닛의 후방에 인접 배치한 메인 콘덴서(82), 프론트 케이스(71)내의 광학계 유닛측부에 인접 배치한 배선 기판(8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밍 구동 장치(90)는 작은 나사(91)에 의해서 프론트 케이스(71)내에 나사 고정되어 배치하여 있고, 촬영 렌즈창(69)으로부터 제 1, 제 2, 제 3 렌즈 그룹(21, 22, 31)으로 이루어지는 촬상 광학계에 촬영상 광이 입광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주밍 구동 장치(90)에는 납땜층이나 먼지 등의 침입을 막는 커버(92)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래쉬 유닛(80)과 주밍 구동 장치(90)를 조립한 프론트 케이스(71)에는 리어 케이스(72)를 나사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72)의 일측에 프론트 케이스(71)로부터 삽입되는 작은 나사(93)에 의해서 나사 고정되고, 또한 리어 케이스(72)의 타측은 연결부(62)의 한쪽 텅형상부(62a)에 의해서 나사 고정되어 있다.
즉, 연결부(62)의 한쪽 텅형상부(62a)를 프론트 케이스(71)와 리어 케이스(72)에 작은 나사(73)로 결합하여 이들 케이스(71, 72)를 일체적으로 고정한다.
또한, 연결부(62)의 다른쪽 텅형상부(62b)는 카메라 본체부(60)의 케이스에 나사 고정되는 것으로, 그 관형상부(62c)에 의해서 카메라 본체부(60)와 광학계 수납부(6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이들 사이의 전기 배선을 실행하게 되고 있다.
그 외에, 도 38에 나타낸 참조부호(94)는 캠 가압이동 핀, 참조부호(95)는캠 스프링, 참조부호(96)는 촬상 유닛이지만,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광학계 수납부(61)는, 특히 렌즈 경통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렌즈 직경에 맞춘 깊이 폭으로 할 수 있으므로, 극히 박형의 전자 카메라에 적합하게 된다.
도 39는 상술한 주밍 구동 장치(광학계 유닛)(90)의 사시도이다.
이 주밍 구동 장치(90)는 이미 설명한 주밍 구동 장치(20, 50)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단지 이 주밍 구동 장치(90)는 줌용 캠(25)을 촬영 렌즈 그룹의 좌측에 배치하고, 또한 줌용 모터(26)는 전측에, 포커스용 모터(33)는 후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전술의 도 27 등의 실시 형태와 다르고, 이와 같이 줌용 모터(26)와 포커스용 모터(33)를 전측과 후측에 나눠 배치함으로써, 2개의 모터를 중복해서 배치하는 것과 비교해서, 보다 박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2개의 모터 사이의 전자적 간섭도 막을 수 있다.
또한, 줌용 캠(25)에 있어서는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통형상 기 체(351, 352)로 캠 기부몸체(251)가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형상 기부몸체(351)의 삽입 로드부(351a)를 통형상 기부몸체(352)내에 삽입하여, 통형상 기부몸체(352)의 구멍부(352a)에서 삽입한 편심핀(74)을 삽입 로드부(351a)의 핀 구멍(351b)에 끼워맞춰 이들 통형상 기부몸체(351, 352)를 일체적으로 연결한다.
즉, 편심핀(74)을 회동시켜 삽입 로드부(351a)의 삽입 깊이를 조정하여 통형상 기부몸체(351)에 형성한 일측 캠면(40a)과 통형상 기부몸체(352)에 형성한 일측 캠면(41a) 사이의 거리를 미세조정한다.
또한, 일측 캠면(40a, 41a)이 캠 프레임(252, 253)의 타측 캠면(40b, 41b)으로서 제 1, 제 2 캠 홈(40, 41)을 형성하는 것은 이미 설명하였다.
한편, 이 줌용 캠(25)의 캠 프레임(252)에는 핀 수납편부(252e)가 내부로 향해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핀 수납편부(252e)가 통형상 기부몸체(351)의 긴 구멍(351c) 내를 미끄럼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핀 수납편부(252e)를 캠 가압이동 핀(94)에 의해 가압이동하여 캠 프레임(252, 253)과 캠 기부몸체(251)를 한방향으로 가압이동한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가압이동 핀(94)은 전방 고정 프레임(27)의 구멍부(27c)에 삽입하고, 그 선단을 핀 수납편부(252e)에 접촉시키고, 또한 이 캠 가압이동 핀(94)은 상기 구멍부(27c)에 내장시킨 캠 스프링(95)에 의해 가압이동력이 부여되고 있다.
또한, 캠 가압이동 핀(94)과 캠 스프링(95)은 발광부(81)로부터 돌출된 판부에 의해서 빠짐 방지되게 되어 있다.
상술한 줌용 캠(25)에 있어서, 캠 프레임(253)은 그 내부에 설치한 키 볼록부를 통형상 기부몸체(352)의 키홈(352b)에 결합시킨 것으로 통형상 기부몸체(352)와 일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캠 프레임(253)에는 연동치차(75)를 설치하여, 이 연동치차(75)를 감속 장치(44)를 거쳐서 모터 구동한다.
이 주밍 구동 장치(90)의 감속 장치(44)는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치차 그룹과 후방 치차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치차 그룹은 줌용 모터(26)의 피니언(44a)에 대경 치차부를 치형결합시킨 치차(44b)와, 이 치차(44b)의 소경 치차부를 치형결합시킨 치차(44c)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치차(44c)는 회전 로드(44d)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 로드(44d)를 거쳐서 후방 치차 그룹을 연동한다.
후방 치차 그룹은 회전 로드(44d)의 후단에 설치한 치차(44e)와, 이 치차(44e)에 대경 치차부를 치형결합시킨 치차(44f)와, 이 치차(44f)의 소경 치차부에 대경 치차부를 치형결합시킨 치차(44g)로 구성되어 있고, 치차(44g)의 소경 치차부에 캠 프레임(253)의 연동 치차(75)가 치형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방 치차 그룹과 후방 치차 그룹으로 나누는 것에 따라 감속기어의 배치부 개소가 2분되기 때문에, 촬영 렌즈 직경에 맞춘 감속 장치(44)로 되며, 광학계 흡수부(61)의 박형화에 적합하게 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감속기어를 1개소에 정리하여 배치하고자 하면, 충분한 감속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줌 기구의 줌 방향에 감속 기어 그룹을 연재하여 배치하여야 되고, 줌 기구가 길게되어, 소형화를 방해하게 된다.
또한, 길이를 변경하지 않고 충분한 감속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치차를 대경화하여야 되며, 촬영 렌즈 직경에 맞춘 감속 장치를 실현할 수 없으며, 박형화를 저해한다.
도 11은 촬상 유닛(96)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촬상 유닛(96)은 홀더(354), 마스크(353), 필터(LPF, 352), 고무(351), CCD(320), 플레이트(355), 배선 기판(358)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홀더(354)와 플레이트(355) 사이에 마스크(353), 필터(352), 고무(351), CCD(320)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홀더(354)를 플레이트(355)에 작은 나사(356)에 의해서 나사 고정하여 일체적인 유닛 구성으로 하고, 그후 CCD(320)를 배선 기판(358)에 전기 접속하여 이 배선 기판(358)을 부착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촬상 유닛(96)은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밍 구동 장치(90)의 후방 고정 프레임(28)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후방 고정 프레임(28)에는 기준면(28b)과 결합 돌기부(28c)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후방 고정 프레임(28)에는 촬상 유닛(96)을 협지하는 판 스프링(105, 106)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55)의 양측 돌출편부를 기준면(28b)과 판 스프링(105, 106)과의 사이에 삽입하면, 플레이트(355)의 부착 구멍(102a)에 한쪽의 결합돌기부(28c)가 돌출삽입하고, 플레이트의 부착 홈(102b)에 다른쪽의 결합 돌기부(28c)가 결합되고, 또한 2개의 판 스프링(105, 106)의 탄성 협지력에 의해서 촬상 유닛(96)이 설치된다.
또한, 도 42 및 도 43은 설명의 편의상, 배선 기판(358)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 유닛(96)이 설치된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캠 장치는 캠면에경사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캠 프레임에 부여하는 스프링 부재의 용수철힘에 의해서 캠 홈 삽입 부재가 캠 홈의 회전축선 방향의 캠 구동력의 외에, 그 회전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가압이동력을 받는다.
이로 인해, 피이동물과 가이드 축 사이의 기계적 여유가 캠 홈 삽입 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가압이동력에 의해서 흡수되기 때문에, 피이동물이 기계적인 덜걱거림을 따르지 않고 가이드 축을 미끄럼운동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캠 장치를 줌용 캠으로서 카메라에 구비했기 때문에, 줌용 캠을 균일성이 있는 경부하의 것으로 하는 수 있고, 그 결과, 줌용 캠의 구동원으로서 소형화와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카메라가 된다.
또한, 캠면에 경사부를 설치한 줌용 캠은, 줌 렌즈의 베어링부와 가이드 축과 사이의 기계적 덜걱거림이 흡수되기 때문에, 렌즈의 경사나 편심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이에 의해 주밍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카메라가 된다.
특히, 카메라에 구비한 본 실시 형태의 줌용 캠은, 제 1 및 제 2 캠 홈의 거리 간격을 미세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불균일이나 조립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백포커스의 오차 등을 조정할 수 있는 카메라가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캠 장치를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의 줌용 캠으로서 구비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파인더나 플래쉬 장치의 배율변경용 렌즈를 주밍하는 캠 장치로서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캠 장치는 카메라로 제한하지 않고, 그 외의 기기에 구비하는 캠 장치로서도 실시할 수 있고, 캠 기부몸체(251)와 한쪽의 캠프레임(252)(또는 253)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캠 기부몸체(251)와 캠 프레임(252)과 상반하는 방향의 용수철힘을 부여하거나, 또는 캠 기부몸체(251)와 캠 프레임(252)을 일체적으로 한방향에 가압하는 용수철힘을 부여하도록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쪽의 캠체의 캠면과 다른쪽의 캠체의 캠면으로 캠 홈이 형성되고, 또한 이 캠 홈에 삽입한 캠 홈 삽입 부재가 이들 캠체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에 의해서 캠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캠 홈 삽입 부재가 캠 홈의 전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캠면에 접촉하는 캠 장치가 된다.
그리고, 캠 홈 삽입 부재의 가압접촉력은 캠체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의 용수철힘으로 정할 수 있으므로, 캠 홈 삽입 부재를 최적의 가압접촉력으로 캠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것 때문에, 피이동물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는 것 외에, 캠체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원의 소형화와 전력소비의 점에서 유리하여 진다.
본 실시 형태는 캠 기부몸체에 형성한 제 1,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과, 제 1, 제 2 캠 프레임에 형성한 타측 캠면에 의해 2조의 캠 홈이 형성되어, 각각의 캠 홈에 삽입한 캠 홈 삽입 부재가 제 1,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의 용수철힘으로 캠면에 접촉하는 캠 장치로 된다.
따라서, 각각의 캠 홈 삽입 부재가 캠 홈 전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캠면에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2조의 캠 홈에 의한 캠 구동력에 의해서 각각의 피이동물을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수 있어, 캠 장치의 구동원의 소형화와 전력소비의 점에서 유리하여 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나선형상의 제 1, 제 2 캠 홈을 갖고, 각 캠 홈에 삽입된 캠 홈 삽입 부재를 캠 구동하여, 그 캠 구동력에 의해서 피이동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캠 장치에 있어서, 원주체의 일단에 소경 형상으로 된 미끄럼운동부를 형성하고,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와의 사이의 단부를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으로 한 한쪽의 기부몸체와, 원주체의 일단에 소경 형상으로 한 미끄럼운동부를 형성하고,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와의 사이의 단부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으로 한 다른쪽의 기부몸체를 설치하는 동시에, 한쪽의 기부몸체 부재와 다른쪽의 기부몸체를 연결하여 구성한 캠 기부몸체와,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키는 타측 캠면을 형성하여, 한쪽의 기부몸체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키는 타측 캠면을 형성하여, 다른쪽의 기부몸체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2 캠 프레임과, 이들 제 1,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하고, 제 1,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로 형성되는 2조의 캠 홈에 삽입시킨 각각의 캠 홈 삽입 부재를 캠면에 접촉시키는 가압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캠 장치를 제안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간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캠 기부몸체의 연결부를 조정하여 제 1, 제 2 캠 홈에 삽입된 캠 홈 삽입 부재를 캠 홈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이동조정하여, 부품의 불균일이나 조립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포커스백의 어긋남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 홈과 상기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어느 하나의 발명의 캠 장치에 있어서, 일측 캠면 및 타측 캠면중 적어도 한쪽의 캠면에 경사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장치를 제안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캠 홈 삽입 부재가 접촉하는 캠면에 경사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캠 홈 삽입 부재가 캠 홈의 회전축선 방향의 캠 구동력을 받는 것 외에, 이 회전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가압이동력을 받는다.
구체적으로는, 캠 홈 삽입 부재가 캠 홈의 회전에 의해서 상술한 가압이동력을 받기 때문에, 피이동물이 가이드 축을 미끄럼운동하는 구성인 경우는, 피이동물이 가이드 축에 대접하여, 피이동물과 가이드 축 사이의 기계적 여유가 흡수되어, 피이동물의 불균일이 없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캠 장치에 있어서, 일측 캠면 및 타측 캠면중 적어도 한쪽의 캠면에 설치한 경사부는 캠 홈 삽입 부재에 대하여 캠 홈의 회전축선 방향의 캠 구동력과 그 회전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이동력을 부여하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어느 하나의 발명의 캠 장치에 있어서, 일단부를 제 1 캠 프레임에, 타단부를 제 2 캠 프레임에 길게 설치하는 가압 수단을 설치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장치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가압 수단에 의해서 제 1,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어느 하나의 발명의 캠 장치에 있어서, 제 1,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를 한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장치를 제안한다.
본 실시 형태는 캠 기부몸체와 제 1, 제 2 캠 프레임 전체를 가압 수단에 의해서 한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캠 홈 삽입 부재를 캠면에 접촉시키고, 또한 캠 장치의 전체가 한방향으로 가압이동되기 때문에, 캠 장치의 회전축 부가 기계적인 덜걱거림이 흡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어느 하나의 발명의 캠 장치에 있어서, 일단부를 제 1 캠 프레임에, 타단부를 제 2 캠 프레임에 길게 설치하는 가압 수단과, 제 1,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를 한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가압 수단을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배율변경 렌즈와, 상기 배율변경 렌즈를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과, 상기 유지 프레임에 설치한 캠 홈 삽입 부재와, 상기 캠 홈 삽입 부재를 나선형상의 캠 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배율변경 렌즈를 구동하는 캠 장치와, 상기 캠 장치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캠 장치는 캠 홈의 일측 캠면을 형성한 한쪽의 캠체와, 상기 캠체에 비회전으로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하여, 상기 일측 캠면에 대향시키는 타측 캠면을 형성한 다른쪽의 캠체와, 한쪽의 캠체 및/또는 다른쪽의 캠체를 가압하여 캠 홈 삽입 부재를 캠면에 접촉시키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캠 장치에 의해 광학 줌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제안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배율변경 렌즈와, 상기 배율변경 렌즈를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과, 상기 유지 프레임에 설치한 캠 홈 삽입 부재와, 상기 캠 홈 삽입 부재를 나선형상의 캠 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배율변경 렌즈를 구동하는 캠 장치와, 상기 캠 장치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캠 장치는 나선형상의 제 1 캠 홈과, 나선형상의 제 2 캠 홈과, 원주체의 양 측부 각각에 설치한 소경 형상의 미끄럼운동부와, 일측의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와의 사이의 단부에 설치한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과, 다른쪽의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와의 사이의 단부에 설치한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을 갖는 캠 기부몸체와,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켜 형성한 타측 캠면과, 한쪽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켜 형성한 타측 캠면과, 다른쪽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2 캠 프레임과,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하고,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로 형성된 2조의 캠 홈에 삽입하는 상기 캠 홈 삽입 부재를 캠면에 접촉시키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캠 장치에 의해 광학 줌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캠 핀이 캠 홈의 전역에서 균일한 가압접촉력으로캠면에 가압접촉함으로써, 렌즈의 주밍 위치에 관계없이 줌용 캠의 회전 구동력이 거의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줌용 캠을 구동하는 모터 등이 대형화하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의 소형화와 저비용화에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배율변경 렌즈와, 상기 배율변경 렌즈를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과, 상기 유지 프레임에 설치한 캠 홈 삽입 부재와, 상기 캠 홈 삽입 부재를 나선형상의 캠 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배율변경 렌즈를 구동하는 캠 장치와, 상기 캠 장치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캠 장치는, 나선형상의 제 1 캠 홈과, 나선형상의 제 2 캠 홈과, 원주체의 일단에 설치한 소경 형상의 미끄럼운동부와,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와의 사이에 설치한 단부인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을 갖는 한쪽의 기부몸체와, 원주체의 일단에 설치한 소경 형상의 미끄럼운동부와,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와의 사이에 설치한 단부인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을 갖는 다른쪽의 기부몸체와, 상기 한쪽의 기부몸체와 상기 다른쪽의 기부몸체를 연결하여 구성한 캠 기부몸체와,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켜 형성한 타측 캠면과, 한쪽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시켜 형성한 타측 캠면과, 다른쪽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으로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2 캠 프레임과,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하여,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로 형성된 2조의 캠 홈에 삽입하는 상기 캠 홈 삽입 부재를 캠면에 접촉시키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캠 장치에 의해 광학 줌을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카메라는, 캠 장치의 제 1, 제 2 캠 홈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불균일이나 조립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백포커스의 오차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나선형상의 캠 홈의 전역에서 캠 홈 삽입 부재의 가압접촉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가장 적당한 캠 홈 삽입 부재의 가압접촉력으로서 캠 구동력을 작게 할 수 있는 캠 장치 및 카메라로 된다.
제 5 실시 형태
종래의 렌즈 경통을 진퇴시켜 주밍하는 카메라는 카메라 형태를 보다 소형화할수록 렌즈 경통의 구성이 곤란하여 진다.
특히, 카메라 형태를 박형화하는 경우에는, 렌즈 경통 직경 때문에 박형 설계에 한계가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이 박형화한 카메라에는 줌 렌즈를 탑재시키기 어려웠다.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주밍 기능을 갖는 카메라를 가능한한 박형 구성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를 전자 카메라에 실시한 제 5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2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20)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21)는 제 1 렌즈 그룹, 참조부호(22)는 제 2 렌즈 그룹을 나타내고, 이들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은 그들의 렌즈 프레임(21a)에 설치한 보스(21b)와, 렌즈 프레임(22a)에 설치한 보스(22b)와 가이드 축(23)을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축 삽입시켜,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을 가이드 축(23)에 의해서 지지시켰다.
또한, 보스(21b, 22b)와는 반대로 되는 렌즈 프레임(21a, 22a)의 위치에는 구멍부(도시생략)를 설치하고, 이들의 구멍부에 가이드 축(24)을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축 삽입하여,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회전 방지를 실행하는 구성으로서 있다.
또한, 상기 보스(21b)에 돌출형성한 제 1 렌즈 그룹(21)의 캠 핀(캠 홈 삽입 부재)(21c)과 보스(22b)에 돌출형성한 제 2 렌즈 그룹(22)의 캠 핀(캠 홈 삽입 부재)(22c)이 줌용 캠(25)의 캠 홈에 삽입시켜서,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을 줌용 캠(25)의 회전에 따라서 광축방향으로 이송한다(도 29 참조).
또한, 줌용 캠(25)은 줌용 모터(26)에 의해서 회전 구동된다.
상술한 가이드 축(23)과 가이드 축(24)의 일단측은 전방 고정 프레임(27)에, 타단측은 후방 고정 프레임(28)에 각각 고정하고, 줌용 캠(25)은 전방 고정 프레임(27)의 베어링부(27a)와, 후방 고정 프레임(28)에 고정된 지지 고정 프레임(29)의 베어링부(29a)(도 18 참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방 고정 프레임(27)과 후방 고정 프레임(28)은 피사체상 광을 통과시키는 창 구멍(27b, 28a)을 형성하고, 또한 후방 고정 프레임(28)의 창 구멍 바로뒤에는 CCD(고체 촬상 소자)(30)가 조립되어 있다(도 27, 도 29 참조).
한편, 도 27에 나타내는 제 3 렌즈 그룹(31)은 포커스용 렌즈로, 그 렌즈 프레임(31a)에 설치한 보스(31b)에는 가이드 축(23)을 축 삽입하여 제 3 렌즈 그룹(31)을 지지시키고 있다.
제 3 렌즈 그룹(31)은 렌즈 프레임(31a)의 일부에 설치한 너트 나사(32)가 포커스용 모터(33)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리드 나사(34)에 의해서 나사 이송됨으로써 광축방향으로 진퇴 이동한다.
그 외에, 도 27에 나타내는 참조 부호(35)는 렌즈 프레임(22a)에 설치한 셔터 유닛, 참조부호(36)는 커버판, 참조부호(37)는 커버판에 설치한 줌용 포토인터럽트, 참조부호(38)는 포커스용 인터럽트, 참조부호(39)는 제 3 렌즈 그룹(31)의 덜걱거림 방지용의 스프링이며, 보스(31b)를 한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리드 나사(34)와 너트(32) 등의 덜걱거림을 흡수한다.
줌용 포토인터럽트(37)는 주밍의 초기 위치를 검출하여, 포커스용 포토인터럽트(38)는 포커싱의 초기 위치를 검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20)는, 줌용 모터(26)에 의해 줌용 캠(25)을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이 가이드 축(23)에 따라 이동하여 주밍이 실행되고, 또한 포커스용 모터(33)에 의해 리드 나사(34)를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너트 나사(32)가 나사 이송되고, 제 3 렌즈 그룹(31)이 이동하여 포커싱이 실행된다.
또한, 제 3 렌즈 그룹(31)은 주밍시에도 이동하게 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주밍 구동 장치(20)에 캠 장치로서 구비하고 있는 줌용 캠(25)에 대하여, 도 29, 도 30,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제 3 렌즈 그룹(31), 포커스용 모터(33), 셔터 유닛(35), 커버판(36) 등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 27과 마찬가지의 주밍 구동 장치(20)의 사시도, 도 30은 줌용 캠(25)의 사시도, 도 31은 줌용 캠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줌용 캠(25)은 제 1 캠 홈(40)과 제 2 캠 홈(41)을 갖는 원통형 캠으로, 원통형의 캠 기부몸체(251)와, 이 캠 기부몸체(251)의 양측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원통형의 캠 프레임(252, 253)과, 이들 캠 프레임(252, 253)을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인장력의 코일 스프링(254)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 기부몸체(251)는 그 통부(251a) 양측을 소경 형상으로 한 미끄럼운동부(251b, 251c)를 설치하여, 통부(251a)와 미끄럼운동부(251b)와의 사이의 단부를 제 1 캠 홈(40)을 형성하기 위한 일측 캠면(40a)으로서 형성하여, 통부(251a)와 미끄럼운동부(251c)와의 사이의 단부를 제 2 캠 홈(41)을 형성하기 위한 일측 캠면(41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 기부몸체(251)에는 양측단에서 통 축방향에 따라 형성한 긴 형상의 구멍(251d, 251e)을 설치하고, 이들의 긴 형상의 구멍(251d, 251e)에 캠 프레임(252, 253)의 돌기부(252a, 253a)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하여, 캠 프레임(252, 253)을 캠 기부몸체(251)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하고 이다.
또한, 캠 기부몸체(251)의 통부(251a)에 형성한 구멍부(251f)는 코일 스프링(254)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미끄럼운동부(251b, 251c)의 단부에 형성한 단차부(251g, 251h)는 캠 프레임(252, 253)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다.
한편, 캠 프레임(252)은 일단 원주부를 제 1 캠 홈(40)의 타측 캠면(40b)으로 형성하고 있고, 또한 그 타단에는 내향의 플랜지(25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캠 프레임(252)에는 상술한 돌기부(252a)보다 통내로 돌출시킨 용수철 걸이부(252c)가 설치되어 있다.
캠 프레임(253)은 일단 원주부를 제 2 캠 홈(41)의 타측 캠면(41b)으로 형성하고, 또한 그 타단에는 내향의 플랜지(25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캠 프레임(253)에는 상기한 돌기부(253a)보다 통내로 돌출시킨 용수철 걸이부(253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한 캠 기부몸체(251), 캠 프레임(252, 253)음 캠 프레임(252)을 캠 기부몸체(251)의 미끄럼운동부(251b)에 결합하고, 캠 프레임(253)을 미끄럼운동부(251c)에 결합시킨 후, 코일 스프링(254)의 일단부를 캠 프레임(252)의 용수철 걸이부(252c)에 타단부를 캠 프레임(253)의 용수철 걸이부(253c)에 각각 결합된다.
코일 스프링(254)은 캠 프레임(252, 253)을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캠 프레임(252)이 미끄럼운동부(251b)를 미끄럼운동하여, 그 플랜지부(252b)가 캠 기부몸체(251)의 단차부(251g)에 맞부딪칠 때까지 진행하고, 이 상태로 일측 캠면(40a)과 타측 캠면(40b)에 의해 제 1 캠 홈(40)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캠 프레임(253)이 미끄럼운동부(251c)를 미끄럼운동하여, 그 플랜지부(253b)가 단차부(251h)에 접촉하고, 이 상태로 일측 캠면(41a)과 타측 캠면(41b)에 의해 제 2 캠 홈(4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캠 홈(40, 41)은 주밍에 필요한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이동에 맞춘 나선형상 캠 홈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줌용 캠(25)은,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캠 홈(40)에 제 1 렌즈 그룹(21)의 캠 핀(21c)을 삽입(돌출삽입)시켜, 제 2 캠 홈(41)에 제 2 렌즈 그룹(22)의 캠 핀(22c)을 삽입(돌출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캠 핀(21c, 22c)을 삽입하면, 캠 프레임(252)의 플랜지부(252b)가 단형상부(251g)보다 약간 후퇴하고, 마찬가지로 캠 프레임(253)의 플랜지부(253b)도 단형상부(251h)보다 약간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캠 핀(21c)이 캠 프레임(252)의 캠면(40b)에 가압되어, 캠 핀(22c)이 캠 프레임(253)의 캠면(41b)에 의해서 가압되기 때문에, 이들 캠 핀(21c, 22c)이 캠 홈(40, 41)의 전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캠면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캠 핀(21c, 22c)의 캠면에 대한 가압접촉력은 코일 스프링(254)의 인장력에 의해서 정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254)으로서 알맞은 인장력을 갖는 것을 선택하면 캠 핀(21c, 22c)을 최적의 가압접촉력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줌용 캠(25)은 일정한 모터 구동력으로 회전시키는 수 있고, 또한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이동 구동도 부드럽게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줌용 캠(25)이 변동이 적은 경부하의 캠 장치로 되기 때문에, 줌용모터(26)로서는 전력소비가 적은 소형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8은 도 28상의 A-A 선으로 절단하여, 줌용 캠(25)의 단면과 그 구동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줌용 캠(25)의 후단측에는 내부 치차(4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내부 치차(42)의 돌출부(42a)가 캠 기부몸체(251)의 내측 구멍에 돌출삽입되고, 또한 그 돌출부(42a)의 주위부에 설치한 키(42b)가 캠 기부몸체(251)의 내측 구멍부에 형성한 키홈(251i)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줌용 캠(25)이 내부 치차(42)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내부 치차(42)는 지지 고정 프레임(29)에 설치한 베어링부(29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이 내부 치차(42)에는 연동 피니언(43)이 치형결합되어 있다.
이 연동 피니언(43)은 감속 장치(44)를 거쳐서 줌용 모터(26)에 의해서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내부 치차(42)를 회전하여, 줌용 캠(25)을 회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하는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20)는 캠 핀(21c, 22c)이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전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되는 줌용 캠(25)으로 되는 것 외에, 이 줌용 캠(25)과 동심선상에 줌용 모터(26)를 배치했기 때문에, 카메라의 횡방향의 폭(도 28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폭)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배율변경용의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과 포커스용의 제 3 렌즈 그룹(31)을 동일한 가이드 축(23)에 의해서 지지시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렌즈 그룹의 편심, 넘어짐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도 19는 제 2 실시 형태로서 나타낸 주밍 구동 장치(50)를 나타낸다.
이 주밍 구동 장치(50)는 캠 프레임(252, 253)에 형성한 타측 캠면(40b, 41b)을 소정의 각도로 경사시킨 것이 특징이며, 그 외에는 도 27 내지 도 31 및 도 18에 나타낸 주밍 구동 장치(20)와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9는 도 28상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에 대응한다.
도 20은 제 1, 제 2 캠 홈(40, 41)과 캠 핀(21c, 22c)과의 구성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이 도면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캠 프레임(252, 253)의 타측 캠면(40b, 41b)은 프레임 외주면으로 향하여 상승 구배로 한 경사의 캠면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타측 캠면(40b, 41b)을 이와 같이 경사면으로 하는 것에 의해, 캠 핀(21c, 22c)이 도면의 F1 방향의 가압이동력을 받는다.
즉, 제 1, 제 2 캠 프레임(252, 253)에는 코일 스프링(254)에 의해서 도면의 F2 방향의 용수철힘이 작용함으로써, 타측 캠면(40b, 41b)의 경사면에 의해 가압이동되는 캠 핀(21c, 22c)이, 일측 캠면(40a, 41a)에 가압접촉하는 힘 외에, 캠 홈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는 가압이동력(F1)을 받는다.
캠 핀(21c, 22c)에 작용하는 상기의 가압이동력(F1)은 보스(21b, 22b)의 지지축 구멍(21d, 22d, 도 20 참조)의 구멍 면부를 가이드 축(23)에 접촉시키도록 작용하며, 이것에 의해서 지지축 구멍(21d, 22d)과 가이드 축(23)과의 기계적 여유가 흡수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줌용 캠(25)은 캠 핀(21c, 22c)이 제 1, 제 2 캠홈(40, 41)의 전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접촉하고, 이들 캠 핀(21c, 22c)을 줌용 캠(25)의 회전에 따라서 캠 홈의 회전축선 방향(도 19, 도 20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구동하여,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을 가이드 축(23)에 따라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보스(21b, 22b)가 기계적 여유가 없게 가이드 축(23)을 미끄럼운동함으로써,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에 경사나 편심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결과, 주밍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줌용 캠(25, 캠 장치)을 구비한 주밍 구동 장치로 된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캠면 경사 위치를 바꾼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 8과 마찬가지의 단면도이다.
도 21a는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일측 캠면(40a, 41a)을 경사 형성한 실시 형태이며, 도 21b는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일측 캠면(40a, 41a)과 타측 캠면(40b, 41b)의 양 캠면을 경사 형성한 실시 형태이며, 도 21c는 제 1, 제 2 캠 홈(40, 41)의 타측 캠면(40b, 41b)과 캠 핀(21c, 22c)을 경사 형성한 실시 형태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더라도 캠 핀(21c, 22c)에는 가압이동력(F1)이 작용하기 때문에, 도 20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같이 보스(21b, 22b)와 가이드 축(23)과의 기계적 여유를 흡수할 수 있고,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경사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1b에 나타낸 구성과 같이 양 캠면을 경사 형성함으로써, 한쪽의 캠면을 경사 형성한 것에 비해서 보다 부드러운 줌 기구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20,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캠면에 접촉하는 캠 핀(21c, 22c)의 접촉부를 경사 형성하더라도 좋다.
도 22는 상기한 주밍 구동 장치(50)에 있어서, 줌용 캠(25)의 베어링 덜걱거림을 흡수하기 위해서, 전방 고정 프레임(27)의 베어링부(27a)에 코일 스프링(45)을 설치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코일 스프링(45)은 줌용 캠(25)을 한방향으로 가압하여 줌용 캠(25)의 회전축 방향의 활동을 방지하고,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이동위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다.
도 23은 전방 고정 프레임(27)의 베어링부(27a)에 하나의 코일 스프링(46)을 설치하고, 이 코일 스프링(46)에 의해서 제 1, 제 2 캠 프레임(252, 253)을 가압하는 동시에 줌용 캠(25)의 베어링 덜걱거림을 흡수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는, 제 1 캠 프레임(252)을 가압하는 것으로, 캠 핀(21c)을 거쳐서 캠 기부몸체(251)를 가압하고, 또한 캠 핀(22c)을 거쳐서 제 2 캠 프레임(253)을 한방향에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제 2 캠 프레임(252, 253)에 대하여 가교 결합한 코일 스프링(254)이 불필요하게 진다.
도 32 내지 도 34는 상기한 바의 주밍 구동 장치(20, 50)와 동일한 주밍 구동 장치(광학계 유닛)의 경통을 구비하지 않고, 즉 무경통의 전자 카메라(디지탈카메라)의 일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32는 카메라 평면도이며, 도 33은 카메라 정면도이며, 도 34는 카메라 배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전자 카메라는 정면에서 보고 있어, 횡폭, 종폭을 넓게, 깊이 폭을 좁게 한 박형의 카메라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전자 카메라는, 콘트롤러, 메모리 카드, 연산부, 메모리 카드 수납부 등을 갖춘 카메라 본체부(60)와, 촬영 렌즈 등을 갖춘 광학계 수납부(61)를 별개 본체의 박스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 본체부(60)와 광학계 수납부(61)는 연결부(62)에 의해서 적당한 정도를 갖고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60)의 상면에는 셔터 버튼(63), 전원 스위치(64)가 설치되고, 또한 카메라 본체부(60)의 배면에는 액정 모니터(65), 선택·결정 버튼(66), 줌 버튼(67), 모드 선택 버튼(68) 등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카메라 본체부(60) 내부에는 CPU를 포함하는 각종 회로 기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 메모리 카드 수납부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광학계 수납부(61)의 상면에는 촬영 렌즈창(69)과 플래쉬 유닛의 발광창(70) 등이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주밍 기구부(20, 50, 90), 후술하는 플래쉬 유닛(80)이 차광되어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60)에는 표시부, 조작부, 밧데리, 메모리 카드 수납부, 회로 기판을 집약하여 배치하는 동시에, 광학계 수납부(61)에는 광학 기구,플래쉬 유닛(80)을 집약하여 배치함으로써, 카메라 전체의 박형화를 실현하고 있다.
상술한 전자 카메라는 극히 박형의 카메라 형태이므로 휴대에 편리하다.
한편, 촬영하는 경우에는, 도 35에 일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 렌즈창(69)이 정면을 향하도록 광학계 수납부(61)를 회전시킨다.
이 상태로 카메라 본체부(60)를 손으로 쥐어 셔터 릴리스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 진동이 지극히 적은 카메라가 된다.
또한, 도 35와는 반대측으로 광학계 수납부(61)를 회전시켜, 액정 모니터(65)와 같은 방향을 촬영할 수도 있다.
도 36은 리어 케이스(카메라 케이스)를 분리하여 내부 구성을 나타낸 상기 광학계 수납부(61)의 사시도이며, 도 37은 그 광학계 수납부(61)의 횡단면도이며, 도 38은 상기 광학계 수납부(61)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학계 수납부(61)는 플래쉬 유닛(80)과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광학계 유닛)(90)를 상자형의 프론트 케이스(카메라 케이스)(71)내에 조립하여, 경통을 구비하지 않은 무경통으로 하여, 상기 유닛 등을 차광하여 수납한다.
따라서, 광학계 수납부(61)는 박형으로 형성한 광학계 유닛의 높이 치수에 의해 경통성으로 되는 두께가 억제되고, 카메라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플래쉬 유닛(80)은 발광창(70)내에 배치한 발광부(81), 프론트 케이스(71)내의 최고 깊이부로서 광학계 유닛의 후방에 인접 배치한 메인 콘덴서(82), 프론트 케이스(71)내의 광학계 유닛측부에 인접 배치한 배선 기판(8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밍 구동 장치(90)는 작은 나사(91)에 의해서 프론트 케이스(71)내에 나사 고정되어 배치하여 있고, 촬영 렌즈창(69)으로부터 제 1, 제 2, 제 3 렌즈 그룹(21, 22, 31)으로 이루어지는 촬상 광학계에 촬영상 광이 입광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주밍 구동 장치(90)에는 납땜층이나 먼지 등의 침입을 막는 커버(92)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래쉬 유닛(80)과 주밍 구동 장치(90)를 조립한 프론트 케이스(71)에는 리어 케이스(72)를 나사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72)의 일측에 프론트 케이스(71)로부터 삽입되는 작은 나사(93)에 의해서 나사 고정되고, 또한 리어 케이스(72)의 타측은 연결부(62)의 한쪽 텅형상부(62a)에 의해서 나사 고정되어 있다.
즉, 연결부(62)의 한쪽 텅형상부(62a)를 프론트 케이스(71)와 리어 케이스(72)에 작은 나사(73)로 결합하여 이들 케이스(71, 72)를 일체적으로 고정한다.
또한, 연결부(62)의 다른쪽 텅형상부(62b)는 카메라 본체부(60)의 케이스에 나사 고정되는 것으로, 그 관형상부(62c)에 의해서 카메라 본체부(60)와 광학계 수납부(6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이들 사이의 전기 배선을 실행하게 되고 있다.
그 외에, 도 38에 나타낸 참조부호(94)는 캠 가압이동 핀, 참조부호(95)는 캠 스프링, 참조부호(96)는 촬상 유닛이지만,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광학계 수납부(61)는, 특히 렌즈 경통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렌즈 직경에 맞춘 깊이 폭으로 할 수 있으므로, 극히 박형의 전자 카메라에 적합하게 된다.
도 39는 상술한 주밍 구동 장치(광학계 유닛)(90)의 사시도이다.
이 주밍 구동 장치(90)는 이미 설명한 주밍 구동 장치(20, 50)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단지 이 주밍 구동 장치(90)는 줌용 캠(25)을 촬영 렌즈 그룹의 좌측에 배치하고, 또한 줌용 모터(26)는 전측에, 포커스용 모터(33)는 후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전술의 도 27 등의 실시 형태와 다르고, 이와 같이 줌용 모터(26)와 포커스용 모터(33)를 전측과 후측에 나눠 배치함으로써, 2개의 모터를 중복해서 배치하는 것과 비교해서, 보다 보다 박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2개의 모터 사이의 전자적 간섭도 막을 수 있다.
또한, 줌용 캠(25)에 있어서는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통형상 기 체(351, 352)로 캠 기부몸체(251)가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형상 기부몸체(351)의 삽입 로드부(351a)를 통형상 기부몸체(352)내에 삽입하여, 통형상 기부몸체(352)의 구멍부(352a)에서 삽입한 편심핀(74)을 삽입 로드부(351a)의 핀 구멍(351b)에 끼워맞춰 이들 통형상 기부몸체(351, 352)를 일체적으로 연결한다.
즉, 편심핀(74)을 회동시켜 삽입 로드부(351a)의 삽입 깊이를 조정하여 통형상 기부몸체(351)에 형성한 일측 캠면(40a)과 통형상 기부몸체(352)에 형성한 일측 캠면(41a) 사이의 거리를 미세조정한다.
또한, 일측 캠면(40a, 41a)이 캠 프레임(252, 253)의 타측 캠면(40b, 41b)으로서 제 1, 제 2 캠 홈(40, 41)을 형성하는 것은 이미 설명하였다.
한편, 이 줌용 캠(25)의 캠 프레임(252)에는 핀 수납편부(252e)가 내부로 향해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핀 수납편부(252e)가 통형상 기부몸체(351)의 긴 구멍(351c) 내를 미끄럼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핀 수납편부(252e)를 캠 가압이동 핀(94)에 의해 가압이동하여 캠 프레임(252, 253)과 캠 기부몸체(251)를 한방향으로 가압이동한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가압이동 핀(94)은 전방 고정 프레임(27)의 구멍부(27c)에 삽입하고, 그 선단을 핀 수납편부(252e)에 접촉시키고, 또한 이 캠 가압이동 핀(94)은 상기 구멍부(27c)에 내장시킨 캠 스프링(95)에 의해 가압이동력이 부여되고 있다.
또한, 캠 가압이동 핀(94)과 캠 스프링(95)은 발광부(81)로부터 돌출된 판부에 의해서 빠짐 방지되게 되어 있다.
상술한 줌용 캠(25)에 있어서, 캠 프레임(253)은 그 내부에 설치한 키 볼록부를 통형상 기부몸체(352)의 키홈(352b)에 결합시킨 것으로 통형상 기부몸체(352)와 일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캠 프레임(253)에는 연동치차(75)를 설치하여, 이 연동치차(75)를 감속 장치(44)를 거쳐서 모터 구동한다.
이 주밍 구동 장치(90)의 감속 장치(44)는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치차 그룹과 후방 치차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치차 그룹은 줌용 모터(26)의 피니언(44a)에 대경 치차부를 치형결합시킨 치차(44b)와, 이 치차(44b)의 소경 치차부를 치형결합시킨 치차(44c)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치차(44c)는 회전 로드(44d)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 로드(44d)를 거쳐서 후방 치차 그룹을 연동한다.
후방 치차 그룹은 회전 로드(44d)의 후단에 설치한 치차(44e)와, 이 치차(44e)에 대경 치차부를 치형결합시킨 치차(44f)와, 이 치차(44f)의 소경 치차부에 대경 치차부를 치형결합시킨 치차(44g)로 구성되어 있고, 치차(44g)의 소경 치차부에 캠 프레임(253)의 연동 치차(75)가 치형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방 치차 그룹과 후방 치차 그룹으로 나누는 것에 따라 감속기어의 배치부 개소가 2분되기 때문에, 촬영 렌즈 직경에 맞춘 감속 장치(44)로 되며, 광학계 흡수부(61)의 박형화에 적합하게 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감속기어를 1개소에 정리하여 배치하고자 하면, 충분한 감속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줌 기구의 줌 방향에 감속 기어 그룹을 연재하여 배치하여야 되고, 줌 기구가 길게되어, 소형화를 방해하게 된다. 또한, 길이를 변경하지 않고 충분한 감속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치차를 대경화하여야 되며, 촬영렌즈 직경에 맞춘 감속 장치를 실현할 수 없으며, 박형화를 저해한다.
도 11은 촬상 유닛(96)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촬상 유닛(96)은 홀더(354), 마스크(353), 필터(LPF, 352), 고무(351), CCD(320), 플레이트(355), 배선 기판(358)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홀더(354)와 플레이트(355) 사이에 마스크(353), 필터(352), 고무(351), CCD(320)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홀더(354)를 플레이트(355)에 작은 나사(356)에 의해서 나사 고정하여 일체적인 유닛 구성으로 하고, 그후 CCD(320)를 배선 기판(358)에 전기 접속하여 이 배선 기판(358)을 부착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촬상 유닛(96)은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밍 구동 장치(90)의 후방 고정 프레임(28)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후방 고정 프레임(28)에는 기준면(28b)과 결합 돌기부(28c)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후방 고정 프레임(28)에는 촬상 유닛(96)을 협지하는 판 스프링(105, 106)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55)의 양측 돌출편부를 기준면(28b)과 판 스프링(105, 106)과의 사이에 삽입하면, 플레이트(355)의 부착 구멍(102a)에 한쪽의 결합돌기부(28c)가 돌출삽입하고, 플레이트의 부착 홈(102b)에 다른쪽의 결합 돌기부(28c)가 결합되고, 또한 2개의 판 스프링(105, 106)의 탄성 협지력에 의해서 촬상 유닛(96)이 설치된다.
또한, 도 42 및 도 43은 설명의 편의상, 배선 기판(358)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 유닛(96)이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또한 주밍 기능을 갖는 카메라에 있어서, 표시부와 조작부를 배치한 카메라 본체부와, 배율변경 렌즈와 초점맞춤 렌즈로 이루어지는 무경통의 렌즈 기구부와, 이 배율변경 렌즈의 구동 장치와 이 초점맞춤 렌즈의 구동 장치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구동 장치부로 이루어지는 광학계 유닛과, 상기 광학계 유닛을 차광하여 수납하는 광학계 수납부와, 상기 카메라 본체부와 상기 광학계 수납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카메라 본체부와 상기 광학계 수납부를 각각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는 박형의 상자형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제안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카메라 본체부와 상기 광학계 수납부의 두께를 상기 광학계 유닛의 높이로 규제하는 두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제안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 수납부에 메인 콘덴서, 회로 기판, 발광부로 이루어지는 플래쉬 유닛을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제안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을 상기 광학계 유닛의 측부에 인접하여 배치하여, 상기 메인 콘덴서를 상기 광학계 유닛의 후방에 인접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제안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어느 하나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배율변경 렌즈의 렌즈 프레임과, 상기 초점맞춤 렌즈의 렌즈 프레임과, 가이드 축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축이 상기 배율변경 렌즈의 렌즈 프레임 및 상기 초점맞춤 렌즈의 렌즈 프레임을 함께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제안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카메라에 있어서, 촬상 소자를 갖는 촬상 유닛과, 상기 가이드 축의 후방단부를 축지지하는 후방 고정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 유닛을 상기 후방 고정 프레임에 직접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제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는, 적어도 배율변경 렌즈와 초점맞춤 렌즈를 갖는 렌즈 기구부와, 배율변경 렌즈 및 초점맞춤 렌즈의 구동 장치부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광학계 유닛을 설치하여, 촬영 렌즈창을 설치한 카메라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광학계 유닛을 수납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렌즈 직경에 맞춘 카메라 형태를 박형화할 수 있다.
이 결과, 주밍 기능을 갖는 극히 박형의 카메라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제 6 실시 형태
나사 고정에 의해 촬상 소자를 부착하는 구성은 부착이 확실하여 지는 점에서 유리하지만, 소형화한 렌즈 경통에서는 나사 고정에 의해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영향이 기계적인 구성이나 광학계에 나타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소형의 렌즈 경통이나 박형화한 전자 카메라의 광학계 유닛 등이더라도 부착의 문제가 기계적으로, 또한 광학적으로 영향이 없는 촬상 장치 및 카메라를 제공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를 전자 카메라에 실시한 제 6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27은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2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동 주밍 구동 장치(20)의 정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21)는 제 1 렌즈 그룹, 참조부호(22)는 제 2 렌즈 그룹을 나타내며, 이들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은 그들의 렌즈 프레임(21a)에 설치한 보스(21b)와, 렌즈 프레임(22a)에 설치한 보스(22b)와, 가이드 축(23)을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축삽입하여,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을 가이드 축(23)에 의해서 지지시키고 있다.
또한, 보스(21b, 22b)와는 반대로 되는 렌즈 프레임(21a, 22a)의 위치에는 구멍부(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이들의 구멍부에 가이드 축(24)을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축삽입하여,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회전 방지를 실행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보스(21b)에 돌출형성한 제 1 렌즈 그룹(21)의 캠 핀(캠 홈 삽입 부재)(21c)과, 보스(22b)에 돌출형성한 제 2 렌즈 그룹(22)의 캠 핀(캠 홈 삽입 부재)(22c)이 줌용 캠(25)의 캠 홈에 삽입되어 있고,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을 줌용 캠(25)의 회전에 따라서 광축방향으로 캠이송한다(도 29 참조). 또한, 줌용 캠(25)은 줌용 모터(26)에 의해서 회전 구동된다.
상술한 가이드 축(23)과 가이드 축(24)의 일단측은 전방 고정 프레임(27)에, 타단측은 후방 고정 프레임(28)에 각각 고정하고, 줌용 캠(25)은 전방 고정 프레임(27)의 베어링부(27a)와, 후방 고정 프레임(28)에 고정된 지지 고정프레임(29)의 베어링부(29a)(도 18 참조)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방 고정 프레임(27)과 후방 고정 프레임(28)은 피사체상광을 통과시키는 창 구멍(27b, 28a)을 형성하고, 또한 후방 고정 프레임(28)의 창 구멍 바로 후방에는 CCD(고체 촬상 소자)(30)가 조립되어 있다(도 27 및 도 29 참조).
한편, 도 27에 도시하는 제 3 렌즈 그룹(31)은 포커스용 렌즈로, 그 렌즈 프레임(31a)에 설치한 보스(31b)에는 가이드 축(23)을 축 삽입하여 제 3 렌즈 그룹(31)을 지지시키고 있다.
제 3 렌즈 그룹(31)은 렌즈 프레임(31a)의 일부에 설치한 너트 나사(32)가 포커스용 모터(33)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리드 나사(34)에 의해서 나사 이송되는 것에 의해 광축방향으로 진퇴 이동한다.
그 외에, 도 27에 나타내는 참조부호(35)는 렌즈 프레임(22a)에 설치한 셔터 유닛, 참조부호(36)는 커버판, 참조부호(37)는 커버판에 설치한 줌용 포토인터럽트, 참조부호(38)는 포커스용 포토인터럽트, 참조부호(39)는 제 3 렌즈 그룹(31)의 덜걱거림 방지용의 스프링이며, 보스(31b)를 한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리드 나사(34)와 너트(32) 등의 덜걱거림을 흡수한다.
줌용 포토인터럽트(37)는 주밍의 초기 위치를 검출하고, 포커스용 포토인터럽트(38)는 포커싱의 초기 위치를 검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20)는 줌용 모터(26)에 의해 줌용 캠(25)을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이 가이드 축(23)에 따라 이동하여 주밍이 실행되고, 또한 포커스용 모터(33)에 의해 리드 나사(34)를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너트 나사(32)가 나사 이송되고, 제 3 렌즈 그룹(31)이 이동하여 포커싱이 실행된다.
또한, 제 3 렌즈 그룹(31)은 주밍시에도 이동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주밍 구동 장치(20)에 캠 장치로서 구비하고 있는 줌용 캠(25)에 대하여, 도 29,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제 3 렌즈 그룹(31), 포커스용 모터(33), 셔터 유닛(35), 커버판(36) 등을 분리하여 나타낸 것으로 도 1과 마찬가지로 주밍 구동 장치(20)의 사시도, 도 30은 줌용 캠(25)의 사시도, 도 31은 줌용 캠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줌용 캠(25)은 제 1 캠 홈(40)과 제 2 캠 홈(41)을 갖는 원통형 캠으로, 원통형의 캠 기부몸체(251)와, 이 캠 기부몸체(251)의 양측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원통형의 캠 프레임(252, 253)과, 이들 캠 프레임(252, 253)을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인장력의 코일 스프링(254)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 기부몸체(251)는 그 통부(251a) 양측을 소경 형상으로 한 미끄럼운동부(251b, 251c)를 설치하고, 통부(251a)와 미끄럼운동부(251b) 사이의 단부를 제 1 캠 홈(40)을 형성하기 위한 일측 캠면(40a)으로서 형성하고, 통부(251a)와 미끄럼운동부(251c) 사이의 단부를 제 2 캠 홈(41)을 형성하기 위한 일측 캠면(41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 기부몸체(251)에는 양측단에서 통축방향에 따라 형성한 긴 형상의 구멍(251d, 251e)이 설치되어, 이들의 긴 형상의 구멍(251d, 251e)에 캠프레임(252, 253)의 돌기부(252a, 253a)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하여, 캠 프레임(252, 253)을 캠 기부몸체(251)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캠 기부몸체(251)의 통부(251a)에 형성한 구멍부(251f)는 코일 스프링(254)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미끄럼운동부(251b, 251c)의 단부에 형성한 단차부(251g, 251h)는 캠 프레임(252, 253)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다.
한편, 캠 프레임(252)은 일단 원주부를 제 1 캠 홈(40)의 타측 캠면(40b)으로서 형성하고, 또한 그 타단에는 내향의 플랜지(25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캠 프레임(252)에는 상술한 돌기부(252a)보다 통내로 돌출시킨 용수철 걸이부(252c)가 설치되어 있다.
캠 프레임(253)은 일단 원주부를 제 2 캠 홈(41)의 타측 캠면(41b)으로서 형성하고, 또한 타단에는 내향의 플랜지(25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캠 프레임(253)에는 상술한 돌기부(253a)보다 통내로 돌출시킨 용수철 걸이부(253c)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한 캠 기부몸체(251), 캠 프레임(252, 253)은 캠 프레임(252)을 캠 기부몸체(251)의 미끄럼운동부(251b)에 결합하여, 캠 프레임(253)을 미끄럼운동부(251c)에 결합시킨 후, 코일 스프링(254)의 일단부를 캠 프레임(252)의 용수철 걸이부(252c)에, 그 타단부를 캠 프레임(253)의 용수철 걸이부(253c)에 각각 결합한다.
코일 스프링(254)은 캠 프레임(252, 253)을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기위해서, 캠 프레임(252)이 미끄럼운동부(251b)를 미끄럼운동하여, 그 플랜지부(252b)가 캠 기부몸체(251)의 단차부(251g)에 접촉할 때까지 진행하고, 이 상태로 일측 캠면(40a)과 타측 캠면(40b)에 의해 제 1 캠 홈(40)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캠 프레임(253)이 미끄럼운동부(251c)를 미끄럼운동하고, 그 플랜지부(253b)가 단차부(251h)에 접촉하며, 이 상태로 일측 캠면(41a)과 타측 캠면(41b)에 의해 제 2 캠 홈(4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캠 홈(40, 41)은 주밍에 필요한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이동에 맞춘 나선형상 캠 홈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줌용 캠(25)은,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캠 홈(40)에 제 1 렌즈 그룹(21)의 캠 핀(21c)을 삽입(돌출삽입)시켜, 제 2 캠 홈(41)에 제 2 렌즈 그룹(22)의 캠 핀(22c)을 삽입(돌출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캠 핀(21c, 22c)을 삽입하면, 캠 프레임(252)의 플랜지부(252b)가 단형상부(251g)보다 약간 후퇴하고, 마찬가지로 캠 프레임(253)의 플랜지부(253b)도 단형상부(251h)보다 약간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캠 핀(21c)이 캠 프레임(252)의 캠면(40b)에 가압되고, 캠 핀(22c)이 캠 프레임(253)의 캠면(41b)에 의해서 가압되기 때문에, 이들 캠 핀(21c, 22c)이 캠 홈(40, 41)의 전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캠면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캠 핀(21c, 22c)의 캠면에 대한 가압접촉력은 코일 스프링(254)의 인장력에 의해서 정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254)으로서 알맞은 인장력을 갖는 것을 선택하면 캠 핀(21c, 22c)을 최적의 가압접촉력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줌용 캠(25)은 일정한 모터 구동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또한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이동 구동도 부드럽게 실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줌용 캠(25)이 변동이 적은 경부하의 캠 장치로 되기 때문에, 줌용 모터(26)로서는 전력 소비가 적은 소형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8은 도 28상의 A-A 선으로 절단하여, 줌용 캠(25)의 단면과 그 구동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줌용 캠(25)의 후단측에는 내부 치차(42)가 설치되고, 이 내부 치차(42)의 돌출부(42a)가 캠 기부몸체(251)의 내부 구멍에 돌출삽입되고, 또한 그 돌출부(42a)의 주위부에 설치한 키(42b)가 캠 기부몸체(251)의 내부 구멍부에 형성한 키홈(251i)에 결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줌용 캠(25)이 내부 치차(42)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내부 치차(42)는 지지 고정 프레임(29)에 설치한 베어링부(29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이 내부 치차(42)에는 연동 피니언(43)이 치형결합되어 있다.
이 연동 피니언(43)은 감속 장치(44)를 거쳐서 줌용 모터(26)에 의해서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내부 치차(42)를 회전하여, 줌용 캠(25)을 회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하는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20)는 캠 핀(21c, 22c)이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전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되는 줌용 캠(25)이 되는 것 외에, 이 줌용 캠(25)과 동심선상에 줌용 모터(26)를 배치했기 때문에, 카메라의 횡방향의 폭(도 28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폭)을 단축시킬 수 있고, 또한 배율변경용의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과 포커스용의 제 3 렌즈 그룹(31)을 동일한 가이드 축(23)에 의해서 지지시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렌즈 그룹의 편심, 넘어짐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도 19는 제 2 실시 형태로서 나타낸 주밍 구동 장치(50)를 나타낸다.
이 주밍 구동 장치(50)는 캠 프레임(252, 253)에 형성한 타측 캠면(40b, 41b)을 소정의 각도로 경사시킨 것이 특징이며, 그 외에는 도 27 내지 도 31 및 도 18에 나타낸 주밍 구동 장치(20)와 구성이 동일하다.
또한, 도 19는 도 28상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에 상당한다.
도 20은 제 1, 제 2 캠 홈(40, 41)과 캠 핀(21c, 22c)의 구성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이 도면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캠 프레임(252, 253)의 타측 캠면(40b, 41b)은 프레임 외주면으로 향한 상승 구배로 한 경사의 캠면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타측 캠면(40b, 41b)을 이와 같이 경사면으로 하는 것에 의해, 캠 핀(21c, 22c)이 도면의 F1 방향의 가압이동력을 받는다.
즉, 제 1, 제 2 캠 프레임(252, 253)에는 코일 스프링(254)에 의해서 도면의 F2 방향의 용수철힘이 작용함으로써, 타측 캠면(40b, 41b)의 경사면에 의해 가압이동되는 캠 핀(21c, 22c)이, 일측 캠면(40a, 41a)에 가압접촉하는 힘 외에, 캠 홈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는 가압이동력(F1)을 받는다.
캠 핀(21c, 22c)에 작용하는 상기의 가압이동력(F1)은 보스(21b, 22b)의 지지축 구멍(21d, 22d, 도 20 참조)의 구멍 면부를 가이드 축(23)에 접촉시키도록 작용하며, 이것에 의해서 지지축 구멍(21d, 22d)과 가이드 축(23)과의 기계적 여유가 흡수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줌용 캠(25)은 캠 핀(21c, 22c)이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전역에서 일정한 가압접촉력으로 접촉하고, 이들 캠 핀(21c, 22c)을 줌용 캠(25)의 회전에 따라서 캠 홈의 회전축선 방향(도 19, 도 20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구동하여,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을 가이드 축(23)에 따라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보스(21b, 22b)가 기계적 여유가 없게 가이드 축(23)을 미끄럼운동함으로써,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에 경사나 편심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결과, 주밍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줌용 캠(25, 캠 장치)을 구비한 주밍 구동 장치로 된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캠면 경사 위치를 바꾼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 8과 마찬가지의 단면도이다.
도 21a는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일측 캠면(40a, 41a)을 경사 형성한 실시 형태이며, 도 21b는 제 1, 제 2 캠 홈(40, 41)의 일측 캠면(40a, 41a)과 타측 캠면(40b, 41b)의 양 캠면을 경사 형성한 실시 형태이며, 도 21c는 제 1, 제 2 캠 홈(40, 41)의 타측 캠면(40b, 41b)과 캠 핀(21c, 22c)을 경사 형성한 실시 형태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더라도 캠 핀(21c, 22c)에는 가압이동력(F1)이 작용하기 때문에, 도 20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같이 보스(21b, 22b)와 가이드 축(23)과의 기계적 여유를 흡수할 수 있고,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경사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1b에 나타낸 구성과 같이 양 캠면을 경사 형성함으로써, 한쪽의 캠면을 경사 형성한 것에 비해서 보다 부드러운 줌 기구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20,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캠면에 접촉하는 캠 핀(21c, 22c)의 접촉부를 경사 형성하더라도 좋다.
도 22는 상기한 주밍 구동 장치(50)에 있어서, 줌용 캠(25)의 베어링 덜걱거림을 흡수하기 위해서, 전방 고정 프레임(27)의 베어링부(27a)에 코일 스프링(45)을 설치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코일 스프링(45)은 줌용 캠(25)을 한방향으로 가압하여 줌용 캠(25)의 회전축 방향의 활동을 방지하고, 제 1, 제 2 렌즈 그룹(21, 22)의 이동위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다.
도 23은 전방 고정 프레임(27)의 베어링부(27a)에 하나의 코일 스프링(46)을 설치하고, 이 코일 스프링(46)에 의해서 제 1, 제 2 캠 프레임(252, 253)을 가압하는 동시에 줌용 캠(25)의 베어링 덜걱거림을 흡수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는, 제 1 캠 프레임(252)을 가압하는 것으로, 캠 핀(21c)을 거쳐서 캠 기부몸체(251)를 가압하고, 또한 캠 핀(22c)을 거쳐서 제 2 캠 프레임(253)을 한방향에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제 2 캠 프레임(252, 253)에 대하여 가교 결합한 코일 스프링(254)이 불필요하게 진다.
도 32 내지 도 34는 상기한 바의 주밍 구동 장치(20, 50)와 동일한 주밍 구동 장치(광학계 유닛)의 경통을 구비하지 않고, 즉 무경통의 전자 카메라(디지탈 카메라)의 일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32는 카메라 평면도이며, 도 33은 카메라 정면도이며, 도 34는 카메라 배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전자 카메라는 정면에서 보고 있어, 횡폭, 종폭을 넓게, 깊이 폭을 좁게 한 박형의 카메라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전자 카메라는, 콘트롤러, 메모리 카드, 연산부, 메모리 카드 수납부 등을 갖춘 카메라 본체부(60)와, 촬영 렌즈 등을 갖춘 광학계 수납부(61)를 별개 본체의 박스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 본체부(60)와 광학계 수납부(61)는 연결부(62)에 의해서 적당한 정도를 갖고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60)의 상면에는 셔터 버튼(63), 전원 스위치(64)가 설치되고, 또한 카메라 본체부(60)의 배면에는 액정 모니터(65), 선택·결정 버튼(66), 줌 버튼(67), 모드 선택 버튼(68) 등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카메라 본체부(60) 내부에는 CPU를 포함하는 각종 회로 기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 메모리 카드 수납부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광학계 수납부(61)의 상면에는 촬영 렌즈창(69)과 플래쉬 유닛의 발광창(70) 등이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주밍 기구부(20, 50, 90), 후술하는 플래쉬유닛(80)이 차광되어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60)에는 표시부, 조작부, 밧데리, 메모리 카드 수납부, 회로 기판을 집약하여 배치하는 동시에, 광학계 수납부(61)에는 광학 기구, 플래쉬 유닛(80)을 집약하여 배치함으로써, 카메라 전체의 박형화를 실현하고 있다.
상술한 전자 카메라는 극히 박형의 카메라 형태이므로 휴대에 편리하다.
한편, 촬영하는 경우에는, 도 35에 일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 렌즈창(69)이 정면을 향하도록 광학계 수납부(61)를 회전시킨다.
이 상태로 카메라 본체부(60)를 손으로 쥐어 셔터 릴리스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 진동이 지극히 적은 카메라가 된다.
또한, 도 35와는 반대측으로 광학계 수납부(61)를 회전시켜, 액정 모니터(65)와 같은 방향을 촬영할 수도 있다.
도 36은 리어 케이스(카메라 케이스)를 분리하여 내부 구성을 나타낸 상기 광학계 수납부(61)의 사시도이며, 도 37은 그 광학계 수납부(61)의 횡단면도이며, 도 38은 상기 광학계 수납부(61)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학계 수납부(61)는 플래쉬 유닛(80)과 촬영 렌즈의 주밍 구동 장치(광학계 유닛)(90)를 상자형의 프론트 케이스(카메라 케이스)(71)내에 조립하여, 경통을 구비하지 않은 무경통으로 하여, 상기 유닛 등을 차광하여 수납한다.
따라서, 광학계 수납부(61)는 박형으로 형성한 광학계 유닛의 높이 치수에의해 경통성으로 되는 두께가 억제되고, 카메라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플래쉬 유닛(80)은 발광창(70)내에 배치한 발광부(81), 프론트 케이스(71)내의 최고 깊이부로서 광학계 유닛의 후방에 인접 배치한 메인 콘덴서(82), 프론트 케이스(71)내의 광학계 유닛측부에 인접 배치한 배선 기판(8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밍 구동 장치(90)는 작은 나사(91)에 의해서 프론트 케이스(71)내에 나사 고정되어 배치하여 있고, 촬영 렌즈창(69)으로부터 제 1, 제 2, 제 3 렌즈 그룹(21, 22, 31)으로 이루어지는 촬상 광학계에 촬영상 광이 입광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주밍 구동 장치(90)에는 납땜층이나 먼지 등의 침입을 막는 커버(92)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래쉬 유닛(80)과 주밍 구동 장치(90)를 조립한 프론트 케이스(71)에는 리어 케이스(72)를 나사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72)의 일측에 프론트 케이스(71)로부터 삽입되는 작은 나사(93)에 의해서 나사 고정되고, 또한 리어 케이스(72)의 타측은 연결부(62)의 한쪽 텅형상부(62a)에 의해서 나사 고정되어 있다.
즉, 연결부(62)의 한쪽 텅형상부(62a)를 프론트 케이스(71)와 리어 케이스(72)에 작은 나사(73)로 결합하여 이들 케이스(71, 72)를 일체적으로 고정한다.
또한, 연결부(62)의 다른쪽 텅형상부(62b)는 카메라 본체부(60)의 케이스에 나사 고정되는 것으로, 그 관형상부(62c)에 의해서 카메라 본체부(60)와 광학계 수납부(6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이들 사이의 전기 배선을 실행하게 되고 있다.
그 외에, 도 38에 나타낸 참조부호(94)는 캠 가압이동 핀, 참조부호(95)는 캠 스프링, 참조부호(96)는 촬상 유닛이지만,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광학계 수납부(61)는, 특히 렌즈 경통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렌즈 직경에 맞춘 깊이 폭으로 할 수 있으므로, 극히 박형의 전자 카메라에 적합하게 된다.
도 39는 상술한 주밍 구동 장치(광학계 유닛)(90)의 사시도이다.
이 주밍 구동 장치(90)는 이미 설명한 주밍 구동 장치(20, 50)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단지 이 주밍 구동 장치(90)는 줌용 캠(25)을 촬영 렌즈 그룹의 좌측에 배치하고, 또한 줌용 모터(26)는 전측에, 포커스용 모터(33)는 후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전술의 도 27 등의 실시 형태와 다르고, 이와 같이 줌용 모터(26)와 포커스용 모터(33)를 전측과 후측에 나눠 배치함으로써, 2개의 모터를 중복해서 배치하는 것과 비교해서, 보다 보다 박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2개의 모터 사이의 전자적 간섭도 막을 수 있다.
또한, 줌용 캠(25)에 있어서는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통형상 기 체(351, 352)로 캠 기부몸체(251)가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형상 기부몸체(351)의 삽입 로드부(351a)를 통형상 기부몸체(352)내에 삽입하여, 통형상 기부몸체(352)의 구멍부(352a)에서 삽입한 편심핀(74)을 삽입 로드부(351a)의 핀 구멍(351b)에 끼워맞춰 이들 통형상 기부몸체(351, 352)를 일체적으로 연결한다.
즉, 편심핀(74)을 회동시켜 삽입 로드부(351a)의 삽입 깊이를 조정하여 통형상 기부몸체(351)에 형성한 일측 캠면(40a)과 통형상 기부몸체(352)에 형성한 일측 캠면(41a) 사이의 거리를 미세조정한다.
또한, 일측 캠면(40a, 41a)이 캠 프레임(252, 253)의 타측 캠면(40b, 41b)으로서 제 1, 제 2 캠 홈(40, 41)을 형성하는 것은 이미 설명하였다.
한편, 이 줌용 캠(25)의 캠 프레임(252)에는 핀 수납편부(252e)가 내부로 향해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핀 수납편부(252e)가 통형상 기부몸체(351)의 긴 구멍(351c) 내를 미끄럼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핀 수납편부(252e)를 캠 가압이동 핀(94)에 의해 가압이동하여 캠 프레임(252, 253)과 캠 기부몸체(251)를 한방향으로 가압이동한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가압이동 핀(94)은 전방 고정 프레임(27)의 구멍부(27c)에 삽입하고, 그 선단을 핀 수납편부(252e)에 접촉시키고, 또한 이 캠 가압이동 핀(94)은 상기 구멍부(27c)에 내장시킨 캠 스프링(95)에 의해 가압이동력이 부여되고 있다.
또한, 캠 가압이동 핀(94)과 캠 스프링(95)은 발광부(81)로부터 돌출된 판부에 의해서 빠짐 방지되게 되어 있다.
상술한 줌용 캠(25)에 있어서, 캠 프레임(253)은 그 내부에 설치한 키 볼록부를 통형상 기부몸체(352)의 키홈(352b)에 결합시킨 것으로 통형상 기부몸체(352)와 일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캠 프레임(253)에는 연동치차(75)를 설치하여, 이 연동치차(75)를 감속 장치(44)를 거쳐서 모터 구동한다.
이 주밍 구동 장치(90)의 감속 장치(44)는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치차 그룹과 후방 치차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치차 그룹은 줌용 모터(26)의 피니언(44a)에 대경 치차부를 치형결합시킨 치차(44b)와, 이 치차(44b)의 소경 치차부를 치형결합시킨 치차(44c)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치차(44c)는 회전 로드(44d)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 로드(44d)를 거쳐서 후방 치차 그룹을 연동한다.
후방 치차 그룹은 회전 로드(44d)의 후단에 설치한 치차(44e)와, 이 치차(44e)에 대경 치차부를 치형결합시킨 치차(44f)와, 이 치차(44f)의 소경 치차부에 대경 치차부를 치형결합시킨 치차(44g)로 구성되어 있고, 치차(44g)의 소경 치차부에 캠 프레임(253)의 연동 치차(75)가 치형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방 치차 그룹과 후방 치차 그룹으로 나누는 것에 따라 감속기어의 배치부 개소가 2분되기 때문에, 촬영 렌즈 직경에 맞춘 감속 장치(44)로 되며, 광학계 흡수부(61)의 박형화에 적합하게 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감속기어를 1개소에 정리하여 배치하고자 하면, 충분한 감속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줌 기구의 줌 방향에 감속 기어 그룹을 연재하여 배치하여야 되고, 줌 기구가 길게되어, 소형화를 방해하게 된다.
또한, 길이를 변경하지 않고 충분한 감속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치차를 대경화하여야 되며, 촬영 렌즈 직경에 맞춘 감속 장치를 실현할 수 없으며, 박형화를 저해한다.
도 11은 촬상 유닛(96)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촬상 유닛(96)은 홀더(354), 마스크(353), 필터(LPF, 352), 고무(351), CCD(촬상 소자)(320), 플레이트(유지 부재)(355), 배선 기판(358)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홀더(354)와 플레이트(355) 사이에 마스크(353), 필터(352), 고무(351), CCD(320)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홀더(354)를 플레이트(355)에 작은 나사(356)에 의해서 나사 고정하여 일체적인 유닛 구성으로 하고, 그후 CCD(320)를 배선 기판(358)에 전기 접속하여 이 배선 기판(358)을 부착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촬상 유닛(96)은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밍 구동 장치(90)의 후방 고정 프레임(28)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후방 고정 프레임(28)에는 기준면(28b)과 결합 돌기부(28c)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후방 고정 프레임(28)에는 촬상 유닛(96)을 협지하는 판 스프링(탄성 부재)(105, 106)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기준면(28b)은 촬영 렌즈(제 1, 제 2 및 제 3 렌즈 그룹)의 결상부 주위로 되는 고정 프레임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판 스프링(105, 106)은 전방 케이스(71)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55)의 양측 돌출편부를 기준면(28b)과 판 스프링(105, 106)과의 사이에 삽입하면, 플레이트(355)의 부착 구멍(102a)에 한쪽의 결합돌기부(28c)가 돌출삽입하고, 플레이트의 부착 홈(102b)에 다른쪽의 결합 돌기부(28c)가 결합되고, 또한 2개의 판 스프링(탄성 부재)(105, 106)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서 플레이트(355)의 돌출편부가 기준면(28b)에 가압접촉하고, 촬상 유닛(96)이 부착된다.
또한, 도 42 및 도 43은 설명의 편의상, 배선 기판(358)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 유닛(96)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착되는 촬영유닛(96)은 판 스프링(105, 106)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협지되어 부착 고정되기 때문에, 부착 고정 프레임에 나사 고정에 의해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주밍 구동 장치(90)에는 기계적으로도, 광학적에도 비틀림의 영향이 없고 CCD(촬상 소자)(101)의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후방 고정 프레임(28)의 한쪽의 결합 돌기부(28c)를 플레이트(355)의 부착 구멍(102a)에 돌출삽입시키고, 그 다른쪽의 결합 돌기부(28c)를 플레이트(355)의 부착 홈(102b)에 결합시켜서 CCD(101)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지만, 다른쪽의 결합 돌기부(28c)를 결합시키는 부착 홈(102b)을 컷팅 형상의 홈으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의 불균일이나 부착의 불균일에 대하여도 충분히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유닛(96)은 홀더(354)를 플레이트(355)와 나사 고정하여 마스크(353), 필터(352), 고무(351), CCD(320)를 협지하는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들 각 부품이 고무(351)의 탄성력에 의해서 밀접함으로써, CCD(320)의 수광면에 침입하는 먼지 등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촬상 유닛(96)의 보관과 관리가 용이하고, 또한 부착 등에 있어서의 취급이 용이한 것으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또한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의 위치 결정을 하는 기준면을 갖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배치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를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서 상기 기준면에 가압함으로써, 상기 촬상 소자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위치 결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를 제안한다.
이 촬상 장치는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 촬상 소자의 유지 부재를 가압하여, 유지 부재가 그 가압력을 받아 기준면에 접촉한다.
그 결과, 촬상 소자의 유지 부재가 기준면과 탄성 부재에 의해 협지유지되기 때문에, 촬상 소자가 촬영 렌즈의 결상위치에 정확하게 부착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홀더와, 마스크와, 광학적으로 LPF의 특성을 갖는 필터와, 탄성을 갖는 고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촬상 소자와, 상기 고무와, 상기 필터와, 상기 마스크를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홀더에 의해 협지하므로, 상기 촬상 소자를 상기 유지 부재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를 제안한다.
이 촬상 장치는 촬상 소자가 고무를 개재시켜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촬상 소자, 필터, 마스크가 고무의 탄성력을 받아 밀접하기 때문에, 촬상 소자의 수광면에 대한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와 전기적 접속을 하는 기판을 더 구비하여, 상기 유지 부재의 후방에 상기 기판을 배치하고, 상기 기판을 상기 촬상 소자에 납땜함으로써 상기 기판을 상기 유지 부재와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를 제안한다.
이 촬상 장치는 기판을 설치하여 촬상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양측에 각각 설치한 돌출편부와, 상기 돌출편부에 각각 설치한 위치규제용의 부착 구멍과, 상기 기준면 근방에 상기 부착 구멍에 대응하여 설치한 상기 결합 돌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결합 돌기부에 대응하여 설치한 판 스프링으로 구성하여, 상기 부착 구멍을 상기 결합 돌기부에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돌출편부를 상기 판 스프링에 의해 가압고정함으로써, 상기 촬상 소자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위치 결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를 제안한다.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는 고정 프레임에 설치한 결합 돌기부를 유지 부재의 돌출편부에 설치한 부착 구멍에 돌출삽입시켜 촬상 소자를 위치 결정하고, 또한 상기 돌출편부를 판 스프링에 의해서 가압하여 고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촬영 렌즈와, 상기 촬영 렌즈를 유지하는 프레임부와, 촬상 장치와, 상기 촬상 소자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의 위치 결정을 하는 기준면을 갖는 상기 프레임부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배치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를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서 상기 기준면에 가압함으로써, 상기 촬상 소자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위치 결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제안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는 촬상 소자의 유지 부재를 나사 고정하므로써, 나사 고정에 의해 발생하는 기계적, 광학적인 문제가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카메라에 있어서, 홀더와, 마스크와, 광학적으로 LPF의 특성을 갖는 필터와, 탄성을 갖는 고무를 더 구비하여, 상기 촬상 소자와, 상기 고무와, 상기 필터와, 상기 마스크를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홀더에 의해 협지하는 것으로, 상기 촬상 소자를 상기 유지 부재로써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제안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와 전기적 접속을 하는 기판을 더 구비하여, 상기 유지 부재의 후방에 상기 기판을 배치하여, 상기 기판을 상기 촬상 소자에 납땜함으로써 상기 기판을 상기 유지 부재와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제안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양측에 각각 설치한 돌출편부와, 상기 돌출편부에 각각 설치한 위치규제용의 부착 구멍과, 상기 기준면 근방에 상기 부착 구멍에 대응하여 설치한 상기 결합 돌기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결합 돌기부에 대응하여 설치한 판 스프링으로 구성하여, 상기 부착 구멍을 상기 결합 돌기부에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돌출편부를 상기 판 스프링에 의해 가압고정함으로써, 상기 촬상 소자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위치 결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제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 및 카메라는, 촬상 소자의 유지 부재에 탄성 부재의 가압력을 부여하고, 이 가압력으로 유지 부재를 기준면에 가압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유지 부재가 기준면과 탄성 부재에 의해 협지되어 촬상 소자가 설치된다.
그 결과, 광학계 유닛에는 기계적으로도 광학적으로도 영향을 받는 일이 없이 촬상 소자를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갖는 조작부와, 해당 조작부에 힌지 기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고, 발광 장치와 촬영용 줌 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영상을 보내는 촬상부로 구성되는 전자 카메라에서, 상기 조작부에 배치한 표시 장치와, 메모리와, 전지와, 제어 기판에 의한 두께로 렌즈 외경을 규정하고, 렌즈 프레임을 하우징 지지면으로 하여 상기 렌즈 프레임에 가이드 축을 관통시키며,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줌 렌즈의 렌즈 이동용 캠을 렌즈계의 측방에 배치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하여, 전자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표시 장치를 구비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힌지 기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발광 장치와 촬영용 줌 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영상을 전송하는 촬상부를 구성된 전자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배치된 표시 장치와, 메모리와, 전지와, 제어 기판에 의한 두께로 렌즈 외경을 규정하고, 렌즈 프레임을 하우징 지지면으로 하여 상기 렌즈 프레임에 가이드 축을 관통시키고 전후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줌 렌즈의 렌즈 이동용 캠을 렌즈계의 횡으로 배치하여 박형화로 설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촬영창의 조작부측으로 상기 발광 장치를 배치하는 동시에 발광 장치의 수용부 하부를 상기 촬영창측보다 가늘게 구성하고,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 표시 장치를 촬영부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표시 장치의 촬영부와 반대측에 조작 버튼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를 배치한 부위의 광축방향 두께를 대략 손가락 두께로 하는 동시에, 상기 촬영창 측단으로부터 상기 발광 장치를 배치한 부위측단까지의 길이를 대략 손가락 선단으로부터 제 2 관절 부근에 상당하는 양으로 하고, 상기 돌출부를 손가락 2개로 협지하여 회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에 있어서 촬영창측으로부터 상기 힌지 기구의 회전중심까지의 거리를 상기 촬상부의 촬영창측을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 표시 장치측으로 회전시킬 때, 표시 장치의 확인을 상기 발광 장치를 배치한 부위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거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배율변경 렌즈와 초점맞춤 렌즈로 구성된 무경통의 렌즈 기구부와, 상기 배율변경 렌즈의 구동 기구와 상기 초점맞춤 렌즈의 구동 기구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구동 기구부로 구성된 광학계 유닛과,
    상기 광학계 유닛을 차광하여 수납하는 광학계 수납부를 구비하고,
    사기 조작부와 상기 촬상부를 각각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는 박형의 상자형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배율변경 렌즈와 초점맞춤 렌즈로 구성된 경통 렌즈 기구부와, 상기 배율변경 렌즈의 구동 기구와 초점맞춤 렌즈의 구동 기구를 일체적으로 구동 기구부로 구성된 광학계 유닛과,
    상기 광학계 유닛을 차광하여 수납하는 광학계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계 수납부에는, 회로 기판을 상기 광학계 유닛의 측부에 인접시켜 배치하고, 메인 콘덴서를 상기 광학계 유닛의 후방으로 인접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배율변경 렌즈와 초점맞춤 렌즈로 구성된 렌즈 기구부와, 상기 배율변경 렌즈의 구동 기구와 상기 초점맞춤 렌즈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구동 기구부로 구성된 광학계 유닛과,
    상기 광학계 유닛은 상기 배율변경 렌즈의 렌즈 프레임과, 상기 초점맞춤 렌즈의 렌즈 프레임과, 가이드 축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축이 상기 배율변경 렌즈의 렌즈 프레임 및 상기 초점맞춤 렌즈의 렌즈 프레임을 함께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기준면을 가진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배치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를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기준면에 가압함으로써, 상기 촬상 소자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위치 결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기준면을 가진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배치된 탄성 부재와, 홀더와, 마스크와, 광학적으로 LPF의 특성을 가진 필터와, 탄성을 가진 고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촬상 소자와, 상기 고무와, 상기 필터와, 상기 마스크를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홀더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상기 촬상 소자를 상기 유지 부재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기준면을 구비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배치한 탄성 부재와, 홀더와, 마스크와, 광학적으로 LPF의 특성을 가진 필터와, 탄성을 가진 고무와, 상기 유지 부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돌출편부와, 상기 돌출편부에 각각 설치한 위치 규제용 부착 구멍과, 상기 기준면에 근접하게 상기 부착 구멍에 대응하여 설치된 상기 결합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결합 돌기부에 대응하게 설치한 판 스프링으로 구성하고, 상기 부착 구멍을 상기 결합 돌출부에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돌출편부를 상기 판 스프링에 의해 가압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촬상 소자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나선형의 제 1 및 제 2 캠 홈을 구비하고, 각 캠 홈에 삽입된 캠 홈 삽입부재를 캠 구동하고, 이 캠 구동력에 의해 피이동물을 이동시기 위한 캠 장치에 있어서,
    원주체의 양 측부 각각에 소경 형상인 미끄럼운동부를 설치하고, 일측의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 사이의 단형상부를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으로 하고, 타측의 미끄럼운동부와 원주부의 통부 사이의 단형상부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으로 하여 구성한 캠 기부몸체와,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항되게 타측의 캠면을 형성하고, 한쪽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해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하는 타측 캠면을 형성하고, 다른쪽의 미끄럼운동부에 비회전해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2 캠 프레임과,
    이들 제 1 및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하고, 제 1 및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로 형성한 캠 홈에 삽입된 각 캠 홈 삽입 부재를 캠면에 접촉시키는 가압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 홈과 상기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캠면 및 타측 캠면중 적어도 한쪽의 캠면에 경사부를 설치하고, 상기 경사부는 캠 홈 삽입 부재에 대해서 캠 홈의 회전축선 방향의 캠 구동력과 그 회전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가압이동력을 부여하는 경사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일단부를 제 1 캠 프레임에, 타단부를 제 2 캠 프레임에 길게 걸치게 하는 가압 수단과, 제 1 및 제 2 캠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를 한쪽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장치.
  15. 배율변경 렌즈와, 상기 배율변경 렌즈를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과, 양 단부에 치차를 설치한 회전축 프레임과, 상기 회전축 로드의 일단측에 설치된 치차에 치형결합하는 제 1 가속 치차 그룹과, 상기 회전축 로드의 타단측에 설치된 치차에 치형결합하는 제 2 감속 치차 그룹과, 상기 제 2 감속 기어 치차 그룹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제 1 감속 기어 치차에 의해 구동되는 캠체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프레임에 설치된 캠 홈 삽입 부재를 상기 캠체의 나선형의 캠 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배율변경 렌즈를 구동하며,
    상기 캠체는 캠 홈의 일측 캠면을 형성한 한쪽의 캠체와, 상기 캠체에 비회전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일측 캠면에 대향하는 타측 캠면을 형성한 다른쪽의 캠체로 구성되고, 한쪽의 캠체 및/또는 다른쪽의 캠체를 가압하여 캠 홈 삽입 부재를 캠면에 접촉시키는 가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캠체에 의해 상기 유지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줌 기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캠체는 나선형의 제 1 캠 홈과, 나선형의 제 2 캠 홈과,
    원주체의 양 측부 각각에 설치한 소경 형상의 미끄럼운동부와, 일측의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 사이의 단부에 설치한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과, 다른쪽의 미끄럼운동부와 원주체의 통부 사이의 단형상부에 설치한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을 구비한 캠 기부몸체와,
    제 1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하게 형성한 타측 캠면과, 한쪽의 미끄럼운동부로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홈의 일측 캠면에 대향되게 형성한 타측 캠면과, 타측의 미끄럼운동부로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비한 제 2 캠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캠 프레임을 가압하고, 제 1 캠 프레임과 제 2 프레임과 캠 기부몸체로 형성된 2조의 캠 홈에 삽입하는 상기 캠 홈 삽입 부재를 캠면에 접촉시키는 가압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줌 기구.
KR1020040012760A 2003-02-25 2004-02-25 촬상 장치, 캠 장치 및 광학 줌 기구 KR101025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760A KR101025402B1 (ko) 2003-02-25 2004-02-25 촬상 장치, 캠 장치 및 광학 줌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47012 2003-02-25
JPJP-P-2003-00073211 2003-03-18
JPJP-P-2003-00183632 2003-06-26
JPJP-P-2003-00183623 2003-06-26
JPJP-P-2003-00187038 2003-06-30
JPJP-P-2003-00187392 2003-06-30
JPJP-P-2003-00187205 2003-06-30
JPJP-P-2003-00186884 2003-06-30
KR1020040012760A KR101025402B1 (ko) 2003-02-25 2004-02-25 촬상 장치, 캠 장치 및 광학 줌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810A true KR20040076810A (ko) 2004-09-03
KR101025402B1 KR101025402B1 (ko) 2011-03-28

Family

ID=3736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760A KR101025402B1 (ko) 2003-02-25 2004-02-25 촬상 장치, 캠 장치 및 광학 줌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434B1 (ko) * 2006-07-24 2008-11-06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힌지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8570A (ja) 1996-12-19 1998-06-30 Kyocera Corp 電子カメラ
JP3544844B2 (ja) 1997-12-31 2004-07-21 株式会社リコー 電子カメラ装置
JPH11215414A (ja) 1998-01-28 1999-08-06 Hitachi Ltd デジタルカメ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434B1 (ko) * 2006-07-24 2008-11-06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힌지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US7784156B2 (en) 2006-07-24 2010-08-31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Hinge apparatus and image display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5402B1 (ko) 2011-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2263B2 (en) Imager apparatus
US7787193B2 (en) Imaging device and camera
US8488008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camera shake correcting apparatus applied to image pickup apparatus
US7525581B2 (en) Compact digital zoom camera and cellular phone having the same
US7869702B2 (en) Image blur correcting device and camera
US20090153985A1 (en) Lens barrel, image pickup device, and lens barrel manufacturing method
US20060181632A1 (en) Lens unit and imaging apparatus
US7782549B2 (en) Camera
US7578627B2 (en) Imager apparatus
US6639730B2 (en) Lens barrel
CN109327571B (zh) 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WO2004107007A1 (ja) 撮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並びに撮像装置の組立方法
US7724318B2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display panel and protective plate
US20040233303A1 (en) Electronic camera
US20090322927A1 (en) Camera
US20070002469A1 (en) Lens barrel and camera
KR101025402B1 (ko) 촬상 장치, 캠 장치 및 광학 줌 기구
JP2008046200A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JP4606804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8262072A (ja) 撮像装置
JP4560383B2 (ja) レンズユニット
JP2005148197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JP4168824B2 (ja) 撮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
JP4947885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7017846A (ja) レンズ鏡胴及び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