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7369A -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액정부 회전/화면반전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액정부 회전/화면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7369A
KR19990047369A KR1019970065739A KR19970065739A KR19990047369A KR 19990047369 A KR19990047369 A KR 19990047369A KR 1019970065739 A KR1019970065739 A KR 1019970065739A KR 19970065739 A KR19970065739 A KR 19970065739A KR 19990047369 A KR19990047369 A KR 19990047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amera body
screen
accommodating space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주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65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7369A/ko
Publication of KR19990047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36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액정부 회동/화면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렌즈 및 촬영자가 화면을 통해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액정부가 카메라 몸체에 고정되어 있어 피사체의 위치조정시 촬영자세가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촬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면부에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몸체와; 상기 카메라 몸체의 렌즈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위치를 화면으로 나타내는 액정부와; 상기 카메라 몸체의 배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부를 수용하는 액정수용공간부와; 상기 액정부를 상기 액정수용공간부의 상·하 일측을 중심으로 카메라 몸체의 전면부측으로 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카메라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액정부의 회동범위에 따라 화면을 반전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액정부를 상기 액정수용공간부 내에 착탈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피사체의 위치조정시 보다 자연스럽고 안정된 촬영자세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촬영자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촬영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액정부 회전/화면반전장치
본 발명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엘시디를 피사체의 위치 및 크기에 관계없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엘시디의 회면을 반전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DSC)의 엘시디(LCD, Liquid Crystal Display)의 회전/화면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촬영한 사진을 직접 PC에 전송하여 PC의 모니터 상에 표시하거나,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수단에 저장한 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시 저장된 화상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 필름 대신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시키는 CCD와 같은 촬상소자가 사용되고,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서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는 다시 퍼스널 컴퓨터에서 이미지화되어 모니터 상에 표시하게 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내부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디스털 스틸 카메라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렌즈(1A)를 통해 입력된 빛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고, 소정의 처리를 통해 촬영한 사진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촬영부(1)와; 상기 촬영부(1)에서 촬영된 사진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와; 상기 저장부(2)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를 작은 이미지로 변환하는 제어부(3)와; 상기 제어부(3)의 작은 이미지를 전송하는 전송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기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먼저, 제어부(3)의 제어를 받은 촬영부(1)는 외부의 빛을 렌즈(1A)를 통해 인가받아 그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색신호 보상 및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등의 처리과정을 통해 상기 외부의 빛을 하나의 사진 데이터로 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출력된 상기 사진 데이터는 저장부(2)에 저장되고, 그 저장된 사진 데이터는 제어부(3)에서 작은 이미지로 변환되어 전송부(4)를 통해 피시(PC)등으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외관을 보인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로서, 카메라 몸체(5)의 전면부 일측 상단에 렌즈(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 몸체(5)의 배면부 중앙부에는 화면을 통해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액정부(7)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액정부(7)의 일측 상단에는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한 파워스위치(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 몸체(5)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액정부(7)의 화면을 통해 피사체의 위치를 정확히 설정한 상태에서 촬영하도록 촬영스위치(9)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먼저, 파워스위치(8)를 온(on)시켜 카메라 몸체(5) 내부에 전원을 공급한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에 상기 카메라 렌즈(6)를 맞추게 된다. 이렇게 상기 렌즈(6)를 피사체에 맞추게 되면, 상기 카메라 몸체(5)의 배면 중앙부에 구비된 액정부(7)에 화면이 나타나게 되고, 촬영자는 상기 액정부(7)의 화면을 보면서 피사체의 정확한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사체의 정확한 위치가 설정되면 촬영스위치(9)를 눌러 촬영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렌즈가 상기 카메라 몸체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어 피사체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렌즈가 지향하는 위치각도가 수시로 변해야만 되는 상황에서 상기 렌즈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렌즈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메라 몸체를 움직여서 상기 렌즈의 각도조절을 할 수 밖에 없어 보다 안정된 촬영자세의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렌즈가 카메라 몸체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촬영자 스스로 자신의 모습을 직접 촬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사체의 위치 및 크기에 관계없이 보다 안정된 자세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촬영자가 직접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a, 도 2b는 종래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외관을 보인 것으로,
도 2a는 정면사시도.
도 2b는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액정부 회동상태를 보인 배면사시도.
도 6a, 도 6b, 도 6c는 본 발명의 작동에 의한 화면 반전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6a는 본 발명의 화면 반전수단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b는 액정부의 회전에 의한 화면반전 초기상태도.
도 6c는 액정부의 회전에 의한 화면반전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메라 몸체20 : 프론트커버
21 : 렌즈22 : 스트로보
30 : 백커버31, 31A : 공간부
32, 32A, 34 : 가이드돌기33, 33A : 체결보스
40 : 액정부41 : 회동돌기
41A : 축삽입공42, 43 : 상·하케이스
42A, 43A : 고정보스44 : 엘시디모듈
45 : 엘시디인쇄배선판46 : 고정편
46A, 46B, 52 : 고정공46C : 상향돌출부
46D, 61, 61A : 체결공47 : 수용홈
47A : 횡봉50 : 힌지축
51 : 결합공60 : 고정브라켓트
62, 74 : 가이드공70 : 엘시디홀더
71 : 회전가이드72 : 가이드리브
72A : 끼움홈73 : 인쇄배선판
73A : 액정화면반전스위치80 : 반전홀더
81 : 고정돌기82 : 탄성후크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면부에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몸체와; 상기 카메라 몸체의 렌즈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위치를 화면으로 나타내는 액정부와; 상기 카메라 몸체의 배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부를 수용하는 액정수용공간부와; 상기 액정부를 상기 액정수용공간부의 상·하 일측을 중심으로 카메라 몸체의 전면부측으로 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카메라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액정부의 회동범위에 따라 화면을 반전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액정부를 상기 액정수용공간부 내에 착탈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액정부 회전/화면 반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액정부의 상단에 축삽입공을 갖는 회동돌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액정수용공간부의 상단 일측에는 카메라 몸체 내의 고정 브라켓트에 일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힌지축을 상기 액정수용공간부 내로 돌출시켜 상기 힌지축에 상기 회동돌부의 축삽입공을 삽입하되, 상기 힌지축이 상기 액정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힌지축을 상기 액정부의 회동돌부 내에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화면반전수단은 각각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3단의 곡면부를 수직방향의 원호형상으로 연이어 지도록 형성된 반전홀더를 구비하되, 상기 반전홀더에 상기 힌지축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되는 고정돌기와 자체 탄성을 갖는 텐션후크에 의해서 상기 힌지축에 고정시켜 상기 힌지축의 회전에 의한 상기 반전홀더의 곡면부 접촉에 의해서 상기 카메라 몸체 내의 인쇄배선기판상에 납땜된 액정화면반전스위치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함께 상기 액정부 착탈수단은 상기 액정수용공간부 내에 자체 탄성을 갖는 텐션고정후크를 설치하고, 상기 액정부의 배면에는 상기 텐션고정후크가 삽입되면서 끼움 고정되도록 수용홈 내의 중간부에 횡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액정부 회동상태를 보인 배면사시도로서, 10은 카메라 몸체이다. 상기 카메라 몸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론트커버(20)와 백커버(30)로 분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커버(20)의 전면부에는 통상에서와 같이 렌즈(21)와 야간촬영시 빛을 밝혀주는 스트로보(22)가 구비되고, 상기 백커버(30)에는 액정부(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백커버(30)의 중간부에는 액정수용공간부(35)가 형성되어 상기 액정부(4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와함께 상기 액정부(40)를 상기 액정수용공간부(35) 내에서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회동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수단은 먼저, 상기 액정부(40)의 상부측에 축삽입공(41A)을 갖는 회동돌기(41)를 일체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커버(20)와 백커버(30) 사이의 카메라 몸체(10) 내부에는 상기 액정부(40)의 회동돌기(41)에 형성된 축삽입공(41A)에 삽입되는 힌지축(50)을 상기 백커버(30)의 액정수용공간부(35)의 상부 일측을 통해 상기 액정수용공간부(35) 내로 돌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힌지축(50)의 일측단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판체로 된 고정브라켓트(60)에 회전가능하게 코킹(caulking)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트(60)는 백커버(30)에 스크류(100) 체결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 상기 백커버(30)에는 상호 소정거리 이격된 한 쌍의 체결보스(33)(33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트(60)에는 상기 체결보스(33)(33A)와 일치되게 체결공(61)(6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공(61)(61A) 사이에는 상기 고정브라켓트(60)의 조립을 안내하기 위해 수개의 가이드공(62)이 형성되고, 상기 백커버(30)의 체결보스(33)(33A)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공(62)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34)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50)은 액정부(40)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액정부(40)의 회동돌기(41) 내에 결합 및 고정된다. 상기 액정부(40)는 상기 카메라 몸체(10)와 마찬가지로 상·하케이스(42)(43)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상·하케이스(42)(43) 내부에는 엘시디모듈(44)과 엘시디인쇄배선판(45)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액정부(40)의 하부케이스(43)에는 상기 힌지축(50)과 액정부(40)를 상호 결합 및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46)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편(46)은 상기 액정부(40)의 하부케이스(43)에 스크류(100) 체결에 의해서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43)에는 한쌍의 고정보스(42A)(43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46)에는 상기 고정보스(42A)(43A)와 일치되는 고정공(46A)(46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공(46A)(46B) 사이의 상향돌출부(46C)에는 체결공(46D)이 형성되고, 평면가공된 상기 힌지축(50)의 타측단의 평면부에는 상기 상향돌출부(46C)의 체결공(46D)과 일치되어 스크류(100) 체결에 의해서 상호 결합시킬 수 있도록 결합공(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몸체(10) 내부에는 상기 액정부(40)를 회전가능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엘시디홀더(70)가 구비된다. 상기 엘시디홀더(70)는 양측에 상기 액정부(40)의 회동돌기(41)가 끼워져 상기 회동돌기(41)의 회전을 안내해줄 수 있도록 한 회전가이드(71)가 형성되고, 이의 배면 양측에는 끼움홈(72A)이 형성된 가이드리브(72)가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리브(72)의 끼움홈(72A)에 액정화면 반전스위치(73A)가 납땜된 인쇄배선판(73)이 끼워져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백커버(30)의 중앙부 양측에는 상기 엘시디홀더(70)의 회전가이드(71)가 상기 백커버(30)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공간부(31)(31A)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1)(31A)에 대한 상기 엘시디홀더(70)의 회전가이드(71) 삽입을 안내하기 위해서 상기 백커버(30)에는 한쌍의 가이드돌기(32)(32A)가 형성되며, 상기 엘시디홀더(70)에는 상기 가이드돌기(32)(32A)의 외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공(62)(6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50)에는 상기 액정부(40)의 회동에 의해서 화면을 반전시킬 수 있도록 화면반전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화면반전수단으로서 각각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3단의 곡면부(80A)를 수직방향으로 연이어지게 형성한 반전홀더(80)가 구비된다. 상기 반전홀더(80)를 상기 힌지축(50)에 결합 및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힌지축(50)에는 고정공(52)이 형성되고, 상기 반전홀더(80)에는 상기 고정공(52)에 삽입되는 고정돌기(81)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반전홀더(80)의 일측에는 상기 반전홀더(80)를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힌지축(50)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탄성후크(82)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축(50)이 회전되면 상기 반전홀더(80)도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반전홀더(80)의 곡면부(80A)가 상기 인쇄배선판(73)에 납땜된 액정화면반전스위치(73A)의 접점돌기(73B)에 접촉 또는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액정부(40)의 화면을 반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함께 상기 액정부(40)를 상기 액정수용공간부(35)에 착탈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액정부 착탈수단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액정수용공간부(35) 내의 면상에는 자체 탄성을 갖는 텐션고정후크(35A)가 스크류(100) 체결되고, 상기 액정부(40)의 배면에는 상기 텐션고정후크(35A)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47)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47)에는 상기 텐션고정후크(35A)에 끼워져 고정되는 횡봉(47A)이 설치된다.
다음은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 6a, 도 6b, 도 6c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촬영자가 다른 피사체를 촬영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 즉 액정부(40)가 카메라 몸체(10)의 배면 액정수용공간부(35)에 수용된 상태에서 촬영을 하게 된다. 이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파워스위치(11)를 온(on)시켜 카메라 몸체(10) 내부에 전원을 공급한 후,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에 상기 카메라 몸체(10)의 전면부 일측 상단에 구비된 렌즈(21)를 맞추게 된다. 이렇게 상기 렌즈(21)를 피사체에 맞추게 되면, 상기 카메라 몸체(10)의 배면 액정수용공간부(35)에 수용된 액정부(40)에 화면이 나타나게 되고, 촬영자는 상기 액정부(40)의 화면을 보면서 피사체의 정확한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사체의 정확한 위치가 설정되면 촬영스위치(12)를 눌러 촬영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촬영자는 상기 액정부(40)를 0°~110°범위내에서 회전시키면서 피사체의 위치를 맞출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액정부(40)는 상부측 회동돌기(41) 내의 축삽입공(41A)에 삽입되어 축설된 힌지축(50)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힌지축(50)은 상기 액정부(40)의 회동돌기(41)와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촬영자가 자신의 모습을 상기 액정부(40)를 통해 직접 보면서 촬영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액정부(40)를 110°~180°범위로 회전시켜 촬영하게 되고, 상기 액정부(40)를 그 범위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액정부(40)의 화면이 반전된다. 이를 첨부된 도 6a, 도 6b, 도 6c를 참조로 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액정부(40)가 카메라 몸체(10) 배면의 액정수용공간부(35) 내에 수용된 상태, 즉 액정부(40)의 정지상태도로서, 힌지축(50)에 고정된 반전홀더(80)의 곡면부(80A)와 인쇄배선판(73)에 납땜된 액정화면반전스위치(73A)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b는 액정부(40)를 0°~110°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액정부(40)의 회동에 의해서 상기 액정부(40)와 함께 회전되는 힌지축(50)이 회전되고, 상기 힌지축(50)에 고정된 반전홀더(80)도 함께 회전되어 상기 반전홀더(80)의 곡면부(80A)가 인쇄배선판(73)의 액정화면반전스위치(73A)의 접점돌기(73B)에 접촉되어진다. 그러나 이상태는 상기 상기 인쇄배선판(73)의 액정화면반전스위치(73A)에 접촉된 상기 반전홀더(80)의 곡면부(80A)가 작은 반경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액정화면반전스위치(73A)의 접점돌기(73B)를 가압할 수 있는 힘을 갖지 못한다. 즉 상기 액정부(40)의 0°~110° 회동범위는 화면반전이 일어나지 않는 정상상태의 촬영범위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c는 액정부(40)를 110°~180°로 회전시켰을 때의 화면반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액정부(40)를 상기의 범위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액정화면반전스위치(73A)의 접점돌기(73B)에 접촉된 반전홀더(80)의 곡면부(80A)가 점차 반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상기 액정화면반전스위치(73A)의 접점돌기(73B)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액정화면반전스위치(73A)을 온(on)시켜 상기 액정부(40)의 화면을 반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피사체의 위치를 촬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으로 표시되는 액정부를 0°~180°범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110°~180°범위에서는 화면이 반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사체의 위치조정시 보다 자연스럽고 안정된 촬영자세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모습을 촬영자가 직접 촬영할 수 있어 기기의 성능 및 품질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4)

  1. 전면부에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몸체와; 상기 카메라 몸체의 렌즈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위치를 화면으로 나타내는 액정부와; 상기 카메라 몸체의 배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부를 수용하는 액정수용공간부와; 상기 액정부를 상기 액정수용공간부의 일측을 중심으로 카메라 몸체의 전면부측으로 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카메라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액정부의 회동범위에 따라 화면을 반전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액정부를 상기 액정수용공간부 내에 착탈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액정부 회전/화면반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액정부의 상단에 축삽입공을 갖는 회동돌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액정수용공간부의 상단 일측에는 카메라 몸체 내의 고정 브라켓트에 일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힌지축을 상기 액정수용공간부 내로 돌출시켜 상기 힌지축에 상기 회동돌부의 축삽입공을 삽입하되, 상기 힌지축이 상기 액정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힌지축을 상기 액정부의 회동돌부 내에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액정부 회전/화면반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반전수단은 각각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3단의 곡면부를 수직방향의 원호형상으로 연이어 지도록 형성된 반전홀더를 구비하되, 상기 반전홀더에 상기 힌지축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되는 고정돌기와 자체 탄성을 갖는 텐션후크에 의해서 상기 힌지축에 고정시켜 상기 힌지축의 회전에 의한 상기 반전홀더의 곡면부 접촉에 의해서 상기 카메라 몸체 내의 인쇄배선기판상에 납땜된 액정화면반전스위치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액정부 회전/화면반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부 착탈수단은 상기 액정수용공간부 내에 자체 탄성을 갖는 텐션고정후크를 설치하고, 상기 액정부의 배면에는 상기 텐션고정후크가 삽입되면서 끼움 고정되도록 수용홈 내의 중간부에 횡봉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액정부 회전/화면반전장치.
KR1019970065739A 1997-12-04 1997-12-04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액정부 회전/화면반전장치 KR19990047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739A KR19990047369A (ko) 1997-12-04 1997-12-04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액정부 회전/화면반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739A KR19990047369A (ko) 1997-12-04 1997-12-04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액정부 회전/화면반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369A true KR19990047369A (ko) 1999-07-05

Family

ID=6609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739A KR19990047369A (ko) 1997-12-04 1997-12-04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액정부 회전/화면반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73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516A (ko) * 2002-07-03 2004-01-13 삼성전기주식회사 컴퓨터용 카메라의 역상 자동 변환장치
KR100469397B1 (ko) * 2002-10-24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정보기록재생장치
KR100833844B1 (ko) * 2001-07-09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촬영 방법
KR100867434B1 (ko) * 2006-07-24 2008-11-06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힌지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844B1 (ko) * 2001-07-09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촬영 방법
KR20040003516A (ko) * 2002-07-03 2004-01-13 삼성전기주식회사 컴퓨터용 카메라의 역상 자동 변환장치
KR100469397B1 (ko) * 2002-10-24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정보기록재생장치
KR100867434B1 (ko) * 2006-07-24 2008-11-06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힌지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US7784156B2 (en) 2006-07-24 2010-08-31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Hinge apparatus and image display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588B1 (ko) 비디오스틸카메라
US6741287B1 (en) Electronic still camera having separable monitor device
KR100497002B1 (ko)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 지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실물 화상기
KR0113218Y1 (ko) 캠코더의 손잡이가 부착된 엘.씨.디
GB2411070A (en) Photographic binocular telescope with lidded battery chamber
JPH1073873A (ja) 画像撮影装置
JP2003156790A (ja) レンズ交換式カメラ
JP2021092794A (ja) 撮像システム
KR19990047369A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액정부 회전/화면반전장치
US6203216B1 (en) Compact low-profile camera device
US7755699B2 (en) Digital camera
JP3669244B2 (ja) 撮像装置
JPH10173968A (ja) 収納ケースおよび撮像装置の固定装置
JP2001333298A (ja) 電子カメラ
JP2004080180A (ja) デジタルカメラ載置用クレードル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CN219718361U (zh) 一种直播相机
JP3620176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テレビインターホン装置および監視カメラ装置
JP2004054154A (ja) カメラ
KR100252679B1 (ko) 회전가능한촬영부를갖는카메라
KR20000021841A (ko) 휴대용 컴퓨터의 카메라 장착장치
JP2022070374A (ja) 映像表示装置
JP2000032315A (ja) 画像入出力装置
JP3780041B2 (ja) 電子機器、情報処理装置、電子機器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0286988Y1 (ko)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 지지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실물화상기
JP2004054159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