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901B1 - 강화유리 전사필름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전사방법 - Google Patents

강화유리 전사필름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전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901B1
KR100866901B1 KR1020060107012A KR20060107012A KR100866901B1 KR 100866901 B1 KR100866901 B1 KR 100866901B1 KR 1020060107012 A KR1020060107012 A KR 1020060107012A KR 20060107012 A KR20060107012 A KR 20060107012A KR 100866901 B1 KR100866901 B1 KR 100866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empered glass
ink
resin
me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9574A (ko
Inventor
황재웅
Original Assignee
황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웅 filed Critical 황재웅
Priority to KR1020060107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901B1/ko
Publication of KR20080039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4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glass or ceramic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2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강화유리 전사필름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전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필름층(10)의 표면에 도포된 이형층(20)과, 상기 이형층(20) 위에 적층 도포된 보호코팅층(30)과, 상기 보호코팅층(30) 위에 인쇄된 인쇄층(40)과, 상기 인쇄층(40) 위에 적층 도포된 접착제층(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착제층(50)을 강화유리(5)의 표면에 부착하여 열가압하여 상기 강화유리(5) 표면에 전사 인쇄하고, 상기 이형층(20)에 의해 상기 필름층(10)을 박리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장시간 사용하여도 인쇄층이 쉽게 박리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것과 같은 단점을 해결하며, 강화유리 표면에 전사 인쇄한 다음의 후공정에서 고온으로 가열하는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작업 공정이 간소화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강화유리, 박리, 인쇄층, 보호코팅층, 전사, 인쇄

Description

강화유리 전사필름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전사방법{Transcription flim for reinforced glass and transcription method utiliz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강화유리 전사필름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의해 강화유리에 전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 의해 강화유리에 전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필름층 20. 이형층
30. 보호코팅층 40. 인쇄층
50. 접착제층 60. 전사필름
본 발명은 강화유리 전사필름 및 강화유리 전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층이 쉽게 박리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해결하고, 고온으로 가열하는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작업 공정이 간소화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강화유리 전사필름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전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는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강화유리도어나 도난방지용 창유리와 같이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된다. 이때, 강화유리의 심미감을 살리거나 사용자의 미적인 욕구 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강화유리의 표면에 다양한 무늬나 색상 등을 전사하게 된다.
이러한 강화유리에 전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강화유리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다양한 무늬의 전사필름층, 자외선 경화수지층, 보호필름층을 적층 도포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전사 방식은 각 층을 단순히 붙여서 적층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에 따라 전사필름층이 쉽게 박리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다른 전사 방식을 설명하면, 전사필름층의 표면에 이형층과 보호코팅층을 적층 도포하고, 보호코팅층 위해 다양한 무늬 등을 가진 인쇄층과 접착제층을 적층 도포하고, 강화유리의 표면에 접착제층을 부착한다. 그러면, 강화유리의 표면에 접착제층, 인쇄층, 보호코팅층, 이형층 및 전사필름층을 적층 도포된 강화유리 적층체를 형성한다.
이어서, 강화유리 적층체를 가열로 속에 투입한 후 고온으로 가열하여 인쇄층이 강화유리에 고착되도록 한 다음, 전사필름층을 최종적으로 떼어내면 강화유리의 표면에 인쇄층이 전사된 제품이 완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전사 방식은 인쇄층이 쉽게 박리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으나, 인쇄층이 쉽게 박리되지 않도록 강화유리 적층체를 가열로 속에 투입하여 고온(대략 1300℃의 온도)으로 가열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에는 고온으로 굽기 위한 각종 설비가 요구됨은 물론 섬세하게 인쇄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간 소요가 많이 되어 수율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사용하여도 인쇄층이 쉽게 박리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것과 같은 단점을 해결하며, 고온으로 가열하는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작업 공정이 간소화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강화유리 전사필름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전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층(10)의 표면에 도포된 이형층(20)과, 상기 이형층(20) 위에 적층 도포된 보호코팅층(30)과, 상기 보호코팅층(30) 위에 인쇄된 인쇄층(40)과, 상기 인쇄층(40) 위에 적층 도포된 접착제 층(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착제층(50)을 강화유리(5)의 표면에 부착하여 열가압하여 상기 강화유리(5) 표면에 전사 인쇄하고, 상기 이형층(20)에 의해 상기 필름층(10)을 박리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전사필름(60)이 제공된다.
상기 보호코팅층(30)은 폴리우레탄 수지 20~25%, 폴리아크릴 수지 5~8%, 실리카 파우더 2%, EAC 60~65%가 혼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보호코팅층(30)의 두께는 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제층(50)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비닐수지, 우레탄수지와, 말레산수지, MEK, PMA, EDGAC, IPA를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제는 비닐수지 5~10%, 우레탄수지 20~30%, 말레산수지 5~10%, MEK 40~44%, PAM 20~30%, EDGAC 1~1.5%, IPA 5~10%를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층(40)은 청색잉크, 적색잉크, 백색잉크, 황색잉크 및 흑색잉크 중에서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선택하여 형성하거나 상기 청색잉크, 적색잉크, 백색잉크 황색잉크를 조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색잉크는 청색유기안료, 비닐수지, MEK, Toluene, 첨가제를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색잉크는 적색유기안료, 비닐수지, 아크릴수지, MEK, Toluene, EAC, 첨가제를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백색잉크는 이산화티탄, 비닐수지, 아크릴수지, MEK, Toluene, 첨가제를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황색잉크는 오렌지색 유기안료, 이산화티탄, 비닐수지, 아크릴수지, MEK, Toluene, EAC, 첨가제를 혼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흑색잉크는 흑색안료, 비닐수지, 아크릴수지, MEK, Toluene, EAC, 첨가제를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색잉크는 청색유기안료 9~12%, 비닐수지 15~22%, MEK 15~20%, Toluene 45~50%, 첨가제 2~3%를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색잉크는 적색유기안료 10~13%, 비닐수지 4~7%, 아크릴수지 12~15%, MEK 25~30%, Toluene 25~30%, EAC 10~15%, 첨가제 3~5%를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백색잉크는 이산화티탄 43~47%, 비닐수지 25~30%, 아크릴수지 6~12%, MEK 20~30%, Toluene 3~10%, 첨가제 2~3%를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황색잉크는 오렌지색 유기안료 9~12%, 이산화티탄 4~7%, 비닐수지 4~7%, 아크릴수지 10~13%, MEK 25~35%, Toluene 20~25%, EAC 5~10%, 첨가제 2~4%를 혼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흑색잉크는 흑색안료 10~13%, 비닐수지 11~13%, 아크릴수지 14~16%, MEK 35~40%, Toluene 10~15%, EAC 25~30%, 첨가제 2~4%를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잉크에는 왁스가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형제는 아크릴 코폴리머 25~30%, 합성왁스 2~5%, 톨루엔 30~35%, MEK 20~25%, EAC 2~5%, 첨가제 10%를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층(10)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이형층(20), 보호코팅층(30), 인쇄층(40) 및 접착제층(50)이 적층 도포된 전사필름(60)의 상기 접착제층(50)을 강화유리(5)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제1공정과, 상기 전사필름(60)의 필름층(10)의 외면을 열간 가압하여 강화유리(5)의 표면에 상기 인쇄층(40)을 전사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전사필름(60)에서 상기 필름층(10)을 박리시키는 제3공정을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전사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강화유리 전사필름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의해 강화유리에 전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 의해 강화유리에 전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름층(10)의 표면에 이형층(20), 보호코팅층(30), 접착제층(50)을 순차작으로 적층 도포하여 구성된 강화유리 전사필름(60)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전사방법이다.
상기 필름층(10)은 연속적으로 설치된 회전롤러를 통과하는 박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필름층(10)을 연속적으로 설치된 회전롤러를 통과시키면서 연속 공정으로 필름층(10)의 일면에 이형층(20)을 도포한다. 이때, 필름층(10)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24㎛이다.
상기 이형층(20)을 형성하는 이형제는 아크릴 코폴리머 20~25%, 합성왁스 5%, 톨루엔 30%, MEK 25%, EAC 5% 및 첨가제 10%를 혼합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첨가제 10% 중에서 7%는 용제이고 나머지 3%는 가소제, 실리카, 소포제이다.
한편, 필름층(10)을 양측 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필름층(10)의 일면에 이형층(20)을 도포하고, 이러한 이형층(20)의 다음단에 설치된 히터박스에 필름층(10)과 이형층(20)을 함께 통과시켜 이형층(20)을 경화시킨다. 이때, 히터박스에 서 이형층(20)의 경화시키는 온도는 120~130℃이다.
상기 보호코팅층(30)은 히터박스 다음 단의 한 쌍의 롤러 사이로 이형층(20)이 도포된 필름을 통과시키면서 이형층(20) 위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호코팅층(30)은 폴리우레탄 수지 20~25%, 폴리아크릴 수지 5~8%, 실리카 파우더 2%, EAC 60~65%가 혼합되어 구성된 것으로, 보호코팅층(30)을 구성하는 코팅액을 이형층(20) 위에 도포하여 히터박스에 통과시켜 열경화시켜 형성한다. 이때, 히터박스에서 코팅액을 경화시키는 온도는 125~130℃이다.
이러한 보호코팅층(30)은 후술할 인쇄층(40)을 강화유리(5) 표면에 전사인쇄한 후 별도로 고열로에 투입하여 가열하지 않더라도 인쇄층(40)이 외력 등에 의해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강화유리(5)에 전사 인쇄한 후의 고온 가열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인쇄층(40)은 그라비어 인쇄롤러를 통해 연속적으로 통과되는 상기 필름층(10)의 보호코팅층(30) 위에 다층으로 적층 인쇄된다. 즉, 상기 보호코팅층(30) 위에 그라비어 인쇄 방식으로 인쇄된다. 이러한 인쇄층(40)은 청색잉크, 적색잉크, 백색잉크, 황색잉크 및 흑색잉크 중에서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선택하여 강화유리(5)에 하나의 색상을 갖도록 인쇄할 수도 있고 상기 잉크를 다층으로 도포하여 다른 색상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렇게 보호코팅층(30) 위에 형성된 인쇄층(40)은 그라비어 롤러 사이 사이에 설치된 히팅롤러에 의해 건조된다. 이때, 히팅롤러에서 인쇄층(40)을 건조시키는 온도는 120~135℃이다.
한편, 인쇄층(40)을 청색잉크, 적색잉크, 백색잉크 황색잉크를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각 색상의 잉크를 수차례 도포하여 특유의 색상이나 문양 등을 갖는 인쇄층(4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색상이 문양 등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층(40)의 색상은 상기 잉크를 섞거나 다층으로 도포하거나 기타 필요한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청색잉크는 청색유기안료 9~12%, 비닐수지 15~22%, MEK 15~20%, Toluene 45~50%, 첨가제 2~3%를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색잉크는 적색유기안료 10~13%, 비닐수지 4~7%, 아크릴수지 12~15%, MEK 25~30%, Toluene 25~30%, EAC 10~15%, 첨가제 3~5%를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백색잉크는 이산화티탄 43~47%, 비닐수지 25~30%, 아크릴수지 6~12%, MEK 20~30%, Toluene 3~10%, 첨가제 2~3%를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황색잉크는 오렌지색 유기안료 9~12%, 이산화티탄 4~7%, 비닐수지 4~7%, 아크릴수지 10~13%, MEK 25~35%, Toluene 20~25%, EAC 5~10%, 첨가제 2~4%를 혼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흑색잉크는 흑색안료 10~13%, 비닐수지 11~13%, 아크릴수지 14~16%, MEK 35~40%, Toluene 10~15%, EAC 25~30%, 첨가제 2~4%를 혼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착제층(50)은 이형층(20), 보호코팅층(30) 및 인쇄층(40)이 순차적으로 적층 도포된 필름을 한 쌍의 롤러 사이에 통과시켜 접착제를 보호코팅층(30) 위에 도포하고 히터박스에 의해 경화시켜 형성된다. 이때, 히터박스에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온도는 130~160℃이다. 또한, 접착제는 비닐수지, 우레탄수지와, 말레산수지, MEK, PMA, EDGAC, IPA를 혼합하여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 비닐수지 5~10%, 우레탄수지 20~30, 말레산수지 5~10%, MEK 40~44%, PAM 20~30%, EDGAC 1~1.5%, IPA 5~10%를 혼합하여 구성된다.
이하, 이러한 구성의 강화유리 전사필름(60)을 이용하여 강화유리(5)에 전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필름층(10)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이형층(20), 보호코팅층(30), 인쇄층(40) 및 접착제층(50)이 적층 도포된 전사필름(60)을 뒤집어서 접착제층(50)을 강화유리(5)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제1공정을 수행한다.
다음, 제2공정에서는 전사필름(60)의 접착제층(50)을 강화유리(5) 표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열간롤러로 전사필름(60) 적층체를 강화유리(5) 표면에 열간 가압하여 인쇄층(40)이 보다 견고하게 강화유리(5)에 전사 인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공정 후에 제3공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3공정은 이형층(20) 위에 있는 전사필름층(10)을 떼어내는 공정이다. 이러한 제3공정을 완료하면, 강화유리(5) 표면에 전사 인쇄된 인쇄층(40)과 보호코팅층(30) 및 이형층(20)만 남아 있게 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보호코팅층(30)이 별도의 고열 가열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인쇄층(40)을 문지를 힘과 같은 외력에 의해 인쇄층(40)이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인쇄용 잉크에 첨가되는 첨가제는 잉크의 분산성, 기포 발생 방지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잉크의 첨가제로 인하여 잉크의 분산성이 확보되어 인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잉크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아 인쇄 불량이 발생되 지 않는다.
아울러, 잉크에 왁스가 더 첨가될 수 있는데, 이 왁스는 전사필름(60)을 구성하는 보호코팅층(30)에 여러 층으로 인쇄하여 인쇄층(40)을 형성할 때 어느 한 층의 인쇄층(40)이 다른 층의 인쇄층(4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전사필름(60)을 제작할 때 연속적으로 설치된 그라비어 인쇄롤러에 연속 공정으로 필름을 통과시키면서 여러 층으로 인쇄층(40)을 형성하는데, 어느 한 층의 인쇄층(40)을 형성하고, 이 인쇄층(40) 위에 다음 단의 그라비어 인쇄롤러를 통과시켜 다른 인쇄층(40)을 형성할 때 왁스에 의해 어느 한 층의 인쇄층(40)이 다른 그라비어 인쇄롤러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하므로, 인쇄층(40)과 인쇄층(40)이 서로 섞여 영향을 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잉크의 안료에 이산화티탄을 섞을 수도 있고 섞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피전사물인 강화유리(5)의 색상이 외부로 비쳐도 무방한 경우에는 이산화티탄을 잉크의 안료에 섞지 않아도 되는 반면, 강화유리(5)의 색상이 비쳐서 인쇄층(40)의 색상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을 경우에는 잉크의 안료에 더하여 이산화티탄을 섞게 되며, 이러한 이산화티탄에 의해 강화유리(5)의 색상이 외부로 비춰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잉크의 성분인 비닐수지는 상대적으로 소프트(연)한 재질이고, 아크릴수지는 상대적으로 하드(경)한 재질로서, 피전사물(즉, 강화유리(5))의 굴곡이 적은 경우 비닐수지가 아크릴수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가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비닐수지가 아크릴수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가게 된다. 또한, 비닐수지와 아크릴수지의 혼합량은 잉크층의 크랙(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해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잉크의 성분인 왁스는 외부의 스크래치에 저항하기 위한 것이다. 즉, 피전사물인 강화유리(5)에 스크래치가 작용하면, 왁스에 의해 잉크층에 스크래치가 가해지지 않고 원활하게 미끄지기 때문에, 잉크층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잉크의 성분인 용제는 MEK, 톨루엔, EAC로 구성되는 것으로, 비닐수지와 아크릴수지를 녹이기 위함은 물론 잉크의 증발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MEK와 EAC는 증발량 비슷하고 톨루엔은 상대적으로 증발량이 적으므로, 여름에는 톨루엔을 상대적으로 많이 섞고 겨울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량을 섞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형층(20)과 필름층(10) 사이에 베다조색층을 더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베다조색층은 이형제가 도포된 필름층(10)을 회전롤러에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면서 이형제 위에 적층 도포되도 형성된다. 그리고, 이형제와 베다조색층이 적층 도포된 필름층(10)을 히터박스의 내부로 통과시켜 경화시킨다. 이때, 히터박스에서 베다조색층을 경화시키는 온도는 130~140℃이다.
상기 베다조색층은 강화유리(5)를 욕조의 타일과 같이 한쪽 면이 다른 장소에 부착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형성하게 된다. 즉, 전사필름(60)에 의해 인쇄층(40)이 전사된 강화유리(5)를 욕조의 타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쇄층(40)이 형성된 면에 몰탈과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는데, 이 접착제가 인쇄층(40)에 거의 침투 안되도록 하는 기능을 베다조색층이 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베다조색층은 강화유리(5)의 원래 색상이 외부로 비쳐나오지 않도록 하는 층이다. 즉, 강화유리(5) 원래의 색상이 비쳐나오면, 인쇄층(40)에 의해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이 제대로 표현되지 못하는데, 상기와 같은 베다조색층에 의해 강화유리(5) 원래의 색상을 가려줌으로써, 인쇄층(40)에 의한 색상을 원하는데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베다조색층의 색상은 강화유리(5)의 고유 색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즉, 백색 베다조색이나 칼라 베다조색 등을 취사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표면에 순차적으로 이형층, 보호코팅층, 인쇄층 및 접착제층이 적층 도포된 전사필름을 형성하고, 이 전사필름의 접착제층을 강화유리의 표면에 부착한 다음, 필름층만을 떼어내는 간단한 방법으로 강화유리에 전사하는 방법으로서, 장시간 사용하여도 인쇄층이 쉽게 박리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것과 같은 단점을 해결하며, 강화유리 표면에 전사 인쇄한 다음의 후공정에서 고온으로 가열하는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작업 공정이 간소화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삭제
  2. 필름층(10)의 표면에 도포된 이형층(20)과, 상기 이형층(20) 위에 적층 도포된 보호코팅층(30)과, 상기 보호코팅층(30) 위에 인쇄된 인쇄층(40)과, 상기 인쇄층(40) 위에 적층 도포된 접착제층(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착제층(50)을 강화유리(5)의 표면에 부착하여 열가압하여 상기 강화유리(5) 표면에 전사 인쇄하고, 상기 이형층(20)에 의해 상기 필름층(10)을 박리시키며,
    상기 보호코팅층(30)은 폴리우레탄 수지 20~25%, 폴리아크릴 수지 5~8%, 실리카 파우더 2%, EAC 60~65%가 혼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보호코팅층(30)의 두께는 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전사필름(6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50)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비닐수지, 우레탄수지와, 말레산수지, MEK, PMA, EDGAC, IPA를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전사필름(6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비닐수지 5~10%, 우레탄수지 20~30, 말레산수지 5~10%, MEK 40~44%, PAM 20~30%, EDGAC 1~1.5%, IPA 5~10%를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전사필름(60).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40)은 청색잉크, 적색잉크, 백색잉크, 황색잉크 및 흑색잉크 중에서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선택하여 형성하거나 상기 청색잉크, 적색잉크, 백색잉크 황색잉크를 조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전사필름(6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잉크는 청색유기안료, 비닐수지, MEK, Toluene, 첨가제를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색잉크는 적색유기안료, 비닐수지, 아크릴수지, MEK, Toluene, EAC, 첨가제를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백색잉크는 이산화티탄, 비닐수지, 아크릴수지, MEK, Toluene, 첨가제를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황색잉크는 오렌지색 유기안료, 이산화티탄, 비닐수지, 아크릴수지, MEK, Toluene, EAC, 첨가제를 혼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흑색잉크는 흑색안료, 비닐수지, 아크릴수지, MEK, Toluene, EAC, 첨가제를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전사필름(6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잉크는 청색유기안료 9~12%, 비닐수지 15~22%, MEK 15~20%, Toluene 45~50%, 첨가제 2~3%를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색잉크는 적색유기안료 10~13%, 비닐수지 4~7%, 아크릴수지 12~15%, MEK 25~30%, Toluene 25~30%, EAC 10~15%, 첨가제 3~5%를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백색잉크는 이산화티탄 43~47%, 비닐수지 25~30%, 아크릴수지 6~12%, MEK 20~30%, Toluene 3~10%, 첨가제 2~3%를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황색잉크는 오렌지색 유기안료 9~12%, 이산화티탄 4~7%, 비닐수지 4~7%, 아크릴수지 10~13%, MEK 25~35%, Toluene 20~25%, EAC 5~10%, 첨가제 2~4%를 혼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흑색잉크는 흑색안료 10~13%, 비닐수지 11~13%, 아크릴수지 14~16%, MEK 35~40%, Toluene 10~15%, EAC 25~30%, 첨가제 2~4%를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전사필름(6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에는 왁스가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전사필름(60).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는 아크릴 코폴리머 25~30%, 합성왁스 2~5%, 톨루엔 30~35%, MEK 20~25%, EAC 2~5%, 첨가제 10%를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전사필름(60).
  10. 삭제
  11. 필름층(10)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이형층(20), 보호코팅층(30), 인쇄층(40) 및 접착제층(50)이 적층 도포된 전사필름(60)의 상기 접착제층(50)을 강화유리(5)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제1공정과, 상기 전사필름(60)의 필름층(10)의 외면을 열간 가압하여 강화유리(5)의 표면에 상기 인쇄층(40)을 전사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전사필름(60)에서 상기 필름층(10)을 박리시키는 제3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전사필름(60) 적층체의 보호코팅층(30)은 폴리우레탄 수지 20~25%, 폴리아크릴 수지 5~8%, 실리카 파우더 2%, EAC 60~65%가 혼합한 코팅액을 적층 도포하여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층(50)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비닐수지 5~10%, 우레탄수지 20~30, 말레산수지 5~10%, MEK 40~44%, PAM 20~30%, EDGAC 1~1.5%, IPA 5~10%를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전사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는 아크릴 코폴리머 25~30%, 합성왁스 2~5%, 톨루엔 30~35%, MEK 20~25%, EAC 2~5%, 첨가제 10%를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전사방법.
KR1020060107012A 2006-11-01 2006-11-01 강화유리 전사필름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전사방법 KR100866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012A KR100866901B1 (ko) 2006-11-01 2006-11-01 강화유리 전사필름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전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012A KR100866901B1 (ko) 2006-11-01 2006-11-01 강화유리 전사필름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전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574A KR20080039574A (ko) 2008-05-07
KR100866901B1 true KR100866901B1 (ko) 2008-11-04

Family

ID=3964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012A KR100866901B1 (ko) 2006-11-01 2006-11-01 강화유리 전사필름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전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056B1 (ko) 2012-05-14 2012-08-23 강양석 강화액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액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46B1 (ko) * 2007-10-26 2010-04-28 (주)아크 유리판용 전사필름 및 장식유리
KR101004622B1 (ko) * 2008-05-13 2011-01-03 전인장 유리용 전사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237631B1 (ko) * 2011-09-06 2013-02-27 임남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 보호용 강화유리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444234B1 (ko) * 2014-05-07 2014-09-26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디스플레이 기기의 글라스 전사 패턴 형성방법 및 그 글라스 전사 패턴 구조물
CN109677146A (zh) * 2017-10-18 2019-04-26 王铭贤 热转印膜制造方法及热转印膜
CN111690162A (zh) * 2020-07-22 2020-09-22 曲阜市玉樵夫科技有限公司 一种条幅色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970A (ko) * 2004-05-07 2005-11-11 이덕수 유리판용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970A (ko) * 2004-05-07 2005-11-11 이덕수 유리판용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056B1 (ko) 2012-05-14 2012-08-23 강양석 강화액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574A (ko)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901B1 (ko) 강화유리 전사필름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전사방법
US9290040B2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panels and panel
KR102095611B1 (ko) 컬러 표면 입체패턴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70085983A1 (en) Digital ink jet printing process
KR102290263B1 (ko) 섬유 시멘트 시트를 기반으로 한 장식된 표면 구조화된 벽 또는 플로어 패널
JPS5959981A (ja) 床タイル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4163314U (zh) 热升华转印uv固化涂料装饰板
KR100672742B1 (ko) 투명 유리 내면용 접착 열전사지와 그 제조방법
KR101145165B1 (ko) 부분엠보/광택 데코타일용 열전사필름
KR100820342B1 (ko) 세라믹 전사필름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전사방법
KR100433495B1 (ko) 실사 출력을 이용한 다중 인쇄층 구조와 인쇄 방법
JP2967515B2 (ja) 耐久性グラビアインキ並びにそれを用いた化粧材及び転写シート
KR20090053662A (ko) 판박 코팅 피막층 필름 및 감압 점착 판박 데칼, 그리고 그제조 방법
JP4338512B2 (ja) 転写箔及びその製造方法、成形同時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4420069B2 (ja) 化粧板の補修方法
KR100920123B1 (ko) 넌스티커 평판 인쇄 금속판 및 그 제작 방법
KR100740011B1 (ko) 열전사 접합 무늬칼라 유리판제 및 이것의 제조방법
JP3994449B2 (ja) 化粧板の補修方法
KR100689103B1 (ko) 열 승화 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JP5274752B2 (ja) 化粧板
KR100555323B1 (ko) 탑 코팅된 고광택 열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3194408B2 (ja) 転写シート
KR200295063Y1 (ko) 고광택성 합성수지 시트
JPH02167956A (ja) 外装用化粧材
KR20050034843A (ko) 전사가 용이한 전사필름 및 그 전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