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610B1 - 로봇 완구 - Google Patents

로봇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610B1
KR100863610B1 KR1020070045659A KR20070045659A KR100863610B1 KR 100863610 B1 KR100863610 B1 KR 100863610B1 KR 1020070045659 A KR1020070045659 A KR 1020070045659A KR 20070045659 A KR20070045659 A KR 20070045659A KR 100863610 B1 KR100863610 B1 KR 100863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motor
driving
robot
robot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로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로봇
Priority to KR1020070045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610B1/ko
Priority to PCT/KR2008/002628 priority patent/WO2008140227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9/00Toy animals for riding
    • A63G19/20Toy animals for riding moto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60L15/2009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for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0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e.g. to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는 좌측 스틱(110) 및 우측 스틱(120)이 장착된 조종부(100); 조종부(100)의 후방에 설치된 착석부(200); 좌측 스틱(110)에 의해 전후방 구동이 제어되는 좌측 모터(310); 좌측 모터(310)에 의해 구동하는 좌측 구동바퀴(300); 우측 스틱(120)에 의해 전후방 구동이 제어되는 우측 모터(410); 우측 모터(410)에 의해 구동하는 우측 구동바퀴(400); 좌측 구동바퀴(300) 및 우측 구동바퀴(4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된 비구동바퀴(500);를 포함하는 로봇 완구를 제시함으로써, 좁은 회전반경을 가짐에 따라 좁은 실내에서도 자유로이 타고 놀 수 있고, 충돌 또는 급정지에 의한 부상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완구, 로봇, 자동차

Description

로봇 완구{ROBOT TOY}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에 의한 로봇 완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측면도.
도 4는 종단면도.
도 5는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종부 110 : 좌측 스틱
111 : 마찰 증대부 120 : 우측 스틱
121 : 마찰 증대부 200 : 착석부
300 : 좌측 구동바퀴 310 : 좌측 모터
400 : 우측 구동바퀴 410 : 우측 모터
500 : 비구동바퀴 600 : 과속방지수단
610 : 센서 611 : 전면 센서
620 : 안전 스위치
본 발명은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로봇 형상으로 형성된 자동차 형식의 완구에 관한 것이다.
유아가 실내에서 놀이용으로 사용하도록 제작된 종래의 자동차 완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첫째, 넓은 회전반경을 가지므로(회전을 위해 넓은 공간이 소요되므로), 좁은 실내공간에서 타고 놀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둘째, 별도의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충돌 또는 급정지로 인해 유아의 부상이 우려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좁은 회전반경을 가짐에 따라 좁은 실내에서도 자유로이 타고 놀 수 있고, 충돌 또는 급정지에 의한 부상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로봇 완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후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는 좌측 스틱(110) 및 우측 스틱(120)이 장착된 조종부(100); 상기 조종부(100)의 후방에 설치된 착석부(200); 상기 좌측 스틱(110)에 의해 전후방 구동이 제어되는 좌측 모터(310); 상기 좌측 모터(310)에 의해 구동하는 좌측 구동바 퀴(300); 상기 우측 스틱(120)에 의해 전후방 구동이 제어되는 우측 모터(410); 상기 우측 모터(410)에 의해 구동하는 우측 구동바퀴(400); 상기 좌측 구동바퀴(300) 및 우측 구동바퀴(4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된 비구동바퀴(500);를 포함하는 로봇 완구를 제시한다.
상기 조종부(100)는 로봇의 머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 스틱(110) 및 우측 스틱(120)은 로봇의 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 스틱(110) 및 우측 스틱(120)의 중앙부에는 마찰 증대부(111,12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 모터(310) 및 우측 모터(410)의 과속을 방지하기 위한 과속방지수단(600)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속방지수단(600)은 소정 거리 내의 충돌대상의 존부를 감지하도록 장착된 센서(610); 상기 센서(610)에 의해 충돌대상의 존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좌측 모터(310) 및 우측 모터(410)의 구동을 감속하거나 정지시키는 센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610)는 상기 조종부(100)의 전면에 장착된 전면 센서(61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속방지수단(600)은 조종자가 상기 착석부(200)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조종자의 몸이 닿는 위치에 장착된 안전 스위치(620); 상기 안전 스위치(620)가 작동되지 않은 경우, 상기 좌측 모터(310) 및 우측 모터(410)의 구동을 감속하거나 정지시키는 안전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 스위치(620)는 상기 조종자가 상기 착석부(200)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조종자의 발이 닿는 위치에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 스위치(620)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된 안전 스위치(620)가 모두 작동하는 경우에만 상기 좌측 모터(310) 및 우측 모터(410)가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구동바퀴(500)는 좌우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로봇 완구는 기본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는 좌측 스틱(110) 및 우측 스틱(120)이 장착된 조종부(100); 조종부(100)의 후방에 설치된 착석부(200); 좌측 스틱(110)에 의해 전후방 구동이 제어되는 좌측 모터(310); 좌측 모터(310)에 의해 구동하는 좌측 구동바퀴(300); 우측 스틱(120)에 의해 전후방 구동이 제어되는 우측 모터(410); 우측 모터(410)에 의해 구동하는 우측 구동바퀴(400); 좌측 구동바퀴(300) 및 우측 구동바퀴(4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된 비구동바퀴(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좌측 스틱(110) 및 우측 스틱(120)에 의해 좌측 구동바퀴(300) 및 우측 구동바퀴(400)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도록 하므로, 좌측 스틱(110) 및 우측 스틱(120)을 모두 전방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전방 구동, 이들을 모두 후방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후방 구동, 좌측 스틱(110)만을 전방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우향 전방 구동, 우측 스틱(120)만을 전방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좌향 전방 구동, 좌측 스 틱(110)과 우측 스틱(120)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제자리에서 회전 구동 등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 자동차 완구에 비해 회전반경이 대단히 작아지는바, 좁은 실내에서도 유아들이 자유로이 타고 놀기에 불편함이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일반 자동차 완구와 같이 핸들에 의해 조작하는 대신, 좌측 스틱(110) 및 우측 스틱(120)을 단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작하는 간편한 방식을 채택하였으므로, 손동작이 발달하지 않은 유아라 할지라도 충분히 쉽게 가지고 놀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좌측 구동바퀴(300) 및 우측 구동바퀴(400)는 앞바퀴로서 설치될 수도 있고, 뒷바퀴로서 설치될 수도 있는데, 비구동바퀴(500)는 이러한 구동바퀴(300,400)들의 반대위치(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완구의 균형을 잡는 역할을 수행한다.
비구동바퀴(500)는 별도의 회전을 위한 구조를 취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좌우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착되는 경우, 완구 전체의 회전구동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로봇 완구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종부(100) 및 스틱(110,120)은 다양한 형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종부(100)가 로봇의 머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 스틱(110) 및 우측 스틱(120)이 로봇의 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조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유아로 하여금 더욱 흥미를 유발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유아가 스틱(110,120)을 잡고 조작하다가 미끄러지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좌측 스틱(110) 및 우측 스틱(120)의 중앙부에 거친 면을 갖도록 하는 재질에 의한 마찰 증대부(111,12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로봇 완구를 타고 노는 유아의 안전을 위해서는, 좌측 모터(310) 및 우측 모터(410)의 과속을 방지하기 위한 과속방지수단(600)이 더 구비된 구성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2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과속방지수단(600)은, 소정 거리 내의 충돌대상의 존부를 감지하도록 장착된 센서(610); 센서(610)에 의해 충돌대상의 존재가 감지된 경우, 좌측 모터(310) 및 우측 모터(410)의 구동을 감속하거나 정지시키는 센서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완구에 센서(610)를 장착하고, 센서가 충돌대상과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하여, 충돌의 위험이 있는 경우, 센서 제어부에 의해 완구의 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센서(610)는 완구의 여러 부위에 장착될 수 있는데, 전방을 향한 구동이 가장 일반적일 것이므로, 그 구동방향인 조종부(100)의 전면(로봇의 안면부에 해당)에 장착되는 전면 센서(611)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과속방지수단(600)은, 조종자가 착석부(200)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조종자의 몸이 닿는 위치에 장착된 안전 스위치(620); 안전 스위치(620)가 작동되지 않은 경우, 좌측 모터(310) 및 우측 모터(410)의 구동을 감속하거나 정지시키는 안전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착석부(200)의 중심에 안전 스위치(620)를 설치하는 구조 등을 취함으로써, 유아가 착석부(200)에 제대로 안착한 상태에서만, 비로소 완구가 구동을 시작하거나 제 속도를 내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안전 스위치(620)는 완구의 여러 부위에 장착될 수 있는데, 유아가 착석부(200)에 제대로 안착하여 안전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를 가장 확실하게 담보하기 위해서는, 조종자가 착석부(200)에 착석한 상태에서, 조종자의 발이 닿는 위치에 안전 스위치(620)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발이 모두 안전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안전 스위치(620)가 좌측과 우측에 각각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측의 안전 스위치(620) 중 한쪽만이 작동하는 경우라도, 완구가 천천히 구동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나, 더욱 확실한 안전을 위해서는, 안전 스위치 제어부가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된 안전 스위치(620)가 모두 작동하는 경우에만 좌측 모터(310) 및 우측 모터(410)가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좁은 회전반경을 가짐에 따라 좁은 실내에서도 자유로이 타고 놀 수 있고, 충돌 또는 급정지에 의한 부상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로봇 완구를 제공한다.

Claims (11)

  1. 전후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는 좌측 스틱(110) 및 우측 스틱(120)이 장착된 조종부(100);
    상기 조종부(100)의 후방에 설치된 착석부(200);
    상기 좌측 스틱(110)에 의해 전후방 구동이 제어되는 좌측 모터(310);
    상기 좌측 모터(310)에 의해 구동하는 좌측 구동바퀴(300);
    상기 우측 스틱(120)에 의해 전후방 구동이 제어되는 우측 모터(410);
    상기 우측 모터(410)에 의해 구동하는 우측 구동바퀴(400);
    상기 좌측 구동바퀴(300) 및 우측 구동바퀴(4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된 비구동바퀴(500);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스틱(110) 및 우측 스틱(120)을 모두 전방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전방 구동, 상기 좌측 스틱(110) 및 우측 스틱(120)을 모두 후방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후방 구동, 상기 좌측 스틱(110)만을 전방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우향 전방 구동, 상기 우측 스틱(120)만을 전방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좌향 전방 구동, 상기 좌측 스틱(110)과 상기 우측 스틱(120)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제자리에서 회전 구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100)는 로봇의 머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 스틱(110) 및 우측 스틱(120)은 로봇의 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스틱(110) 및 우측 스틱(120)의 중앙부에는 마찰 증대부(111,121) 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모터(310) 및 우측 모터(410)의 과속을 방지하기 위한 과속방지수단(6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수단(600)은
    소정 거리 내의 충돌대상의 존부를 감지하도록 장착된 센서(610);
    상기 센서(610)에 의해 충돌대상의 존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좌측 모터(310) 및 우측 모터(410)의 구동을 감속하거나 정지시키는 센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610)는
    상기 조종부(100)의 전면에 장착된 전면 센서(6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완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수단(600)은
    조종자가 상기 착석부(200)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조종자의 몸이 닿는 위치에 장착된 안전 스위치(620);
    상기 안전 스위치(620)가 작동되지 않은 경우, 상기 좌측 모터(310) 및 우측 모터(410)의 구동을 감속하거나 정지시키는 안전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스위치(620)는
    상기 조종자가 상기 착석부(200)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조종자의 발이 닿는 위치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완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스위치(620)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완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된 안전 스위치(620)가 모두 작동하는 경우에만 상기 좌측 모터(310) 및 우측 모터(410)가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완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동바퀴(500)는
    좌우회전이 자유롭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완구.
KR1020070045659A 2007-05-10 2007-05-10 로봇 완구 KR100863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659A KR100863610B1 (ko) 2007-05-10 2007-05-10 로봇 완구
PCT/KR2008/002628 WO2008140227A2 (en) 2007-05-10 2008-05-09 Robot to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659A KR100863610B1 (ko) 2007-05-10 2007-05-10 로봇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3610B1 true KR100863610B1 (ko) 2008-10-15

Family

ID=40002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659A KR100863610B1 (ko) 2007-05-10 2007-05-10 로봇 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63610B1 (ko)
WO (1) WO200814022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767B1 (ko) * 2022-08-01 2023-01-31 주식회사 넘버제로 삼륜 전기 스쿠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2492B (zh) * 2017-12-29 2023-09-01 数源科技股份有限公司 儿童电动车控制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7089A (ja) * 1986-02-25 1987-08-31 アツ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乗用玩具
KR950002934A (ko) * 1993-07-06 1995-02-16 김광호 로보트의 자동주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60022185U (ko) * 1994-12-29 1996-07-20 스티어링 휠을 폐지한 레버식 조향장치
KR19980029795U (ko) * 1996-11-28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용 조향핸들
KR20040099443A (ko) * 2002-04-18 2004-11-26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자동차 모형
JP2007082817A (ja) * 2005-09-22 2007-04-05 Aidesu Kk 子供用電動乗用玩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253Y1 (ko) * 1990-12-12 1993-10-15 전갑종 유희용 자동차
JP2005349108A (ja) * 2004-06-14 2005-12-22 Nonaka Seisakusho:Kk 幼児用電動乗り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7089A (ja) * 1986-02-25 1987-08-31 アツ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乗用玩具
KR950002934A (ko) * 1993-07-06 1995-02-16 김광호 로보트의 자동주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60022185U (ko) * 1994-12-29 1996-07-20 스티어링 휠을 폐지한 레버식 조향장치
KR19980029795U (ko) * 1996-11-28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용 조향핸들
KR20040099443A (ko) * 2002-04-18 2004-11-26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자동차 모형
JP2007082817A (ja) * 2005-09-22 2007-04-05 Aidesu Kk 子供用電動乗用玩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767B1 (ko) * 2022-08-01 2023-01-31 주식회사 넘버제로 삼륜 전기 스쿠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40227A3 (en) 2009-01-22
WO2008140227A2 (en) 200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7547B2 (en) Motor control and regulating device, especially for an electrically driven skateboard or longboard
US20140008138A1 (en) Electric Vehicle Driven with Interaction with Rider
JP5161353B2 (ja) 電動車両及びその制御方法
CN106214434A (zh) 智能轮式助行平台及其控制策略方法
KR200474422Y1 (ko)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KR101386197B1 (ko) 전동 휠체어 및 전동 보행 보조기의 전복 방지 장치
KR101559665B1 (ko) 유모차
JP2012030735A (ja) 全方向車輪および移動装置
KR101677075B1 (ko) 전동 휠체어 및 주행 제어방법
JP2007082817A (ja) 子供用電動乗用玩具
KR100863610B1 (ko) 로봇 완구
CN105752239A (zh) 一种带防撞装置的儿童电动车
JP2008017886A (ja) 乗物遊戯設備
JP2018012492A (ja) 電動式ボード
KR20170068184A (ko) 직관적 제어가 가능한 보드타입 전동 이동수단
JP2011031762A (ja) 移動体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TWI474814B (zh) Wheelchair constant speed safety device
JP2010247741A (ja) 同軸二輪車
KR101180678B1 (ko) 전동식 이동장치
KR102214780B1 (ko) 원휠 전동보드
CN205469515U (zh) 一种带安全扶手的儿童电动车
KR200481135Y1 (ko) 유아 전동차의 장애물 회피주행시스템
JP2011125728A (ja) ランニングマシン
JP3884671B2 (ja) 軌道走行自転車
JP6589122B2 (ja) 一人乗り移動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