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767B1 - 삼륜 전기 스쿠터 - Google Patents

삼륜 전기 스쿠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767B1
KR102493767B1 KR1020220095290A KR20220095290A KR102493767B1 KR 102493767 B1 KR102493767 B1 KR 102493767B1 KR 1020220095290 A KR1020220095290 A KR 1020220095290A KR 20220095290 A KR20220095290 A KR 20220095290A KR 102493767 B1 KR102493767 B1 KR 102493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shaft
saddle
moto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넘버제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넘버제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넘버제로
Priority to KR1020220095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7Motorcycles with thre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4Separate pillions
    • B62J1/16Separate pillions for children
    • B62J1/162Child seat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4Separate pillions
    • B62J1/16Separate pillions for children
    • B62J1/167Child seats attachable in front of the driver sad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62J45/415Inclina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1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 B62J9/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under the sad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2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attached to the cycle as accessories
    • B62J9/21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attached to the cycle as accessories above or alongside the front wheel, e.g. on the handle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06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telescopic fork, e.g. including auxiliary rocking arms
    • B62K25/0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telescopic fork, e.g. including auxiliary rocking arms for front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1/00Brakes; Arrangements thereof
    • B62L1/005Brakes; Arrangements there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brake elements, e.g. fastening of brake blocks in thei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60Y2200/122Tri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삼륜 전기 스쿠터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에는 조향축이 형성되고, 상기 조향축의 하부에 전륜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핸들이 형성되며, 탑승자가 앉는 안장과, 후방에 후방좌석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복수의 후륜이 형성된 차체프레임;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며 후륜에 동력을 발생하도록 연결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되는 동력발생부; 상기 차체프레임의 안장의 앞쪽에 보조안장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안장에 연결되어 탑승자가 파지할 수 있는 보조핸들로 이루어지는 보조좌석부; 상기 조향축의 전방에 장착되며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바스켓; 상기 차체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안장의 하부에 형성되어 안장이 결합되며,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망체로 된 벽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망체로 이루어지되 개폐가능한 도어가 형성되어 반려동물을 탑승시키는 케이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삼륜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주행시 균형을 쉽게 유지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해질 수 있고, 배터리 전력을 이용하여 주행함으로써 매연이나 소음으로 인한 공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어린이 및 반려동물을 함께 태워서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어 가정에서 가족들이 함께 탑승하여 근거리 이동이 편리해지게 되며, 아울러 물품 수납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삼륜 전기 스쿠터{Three wheel electric scooter}
개시되는 내용은 삼륜 전기스쿠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배터리를 동력원으로 하여 주행될 수 있고, 물품을 탑재하여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삼륜 전기 스쿠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이용하는 이동수단으로 가장 오래되고, 환경오염을 발생시키지 않는 이동 수단이 자전거이다. 자전거는 다른 이동 수단과 달리 사람의 인력 즉, 답력을 이용하여 주행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전거는 단거리 이동 시간의 절약과 걷는 것보다 빠른 이동속도를 갖고, 일정량의 물건도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유가 시대에서는 연료비를 줄이고자 자동차 대신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자전거의 경우 지형적으로 언덕이 많은 경우 걷거나 달리는 것보다 오히려 더 큰 체력을 필요로 하게 되고, 목적지가 먼 경우에는 지나치게 많은 체력을 소모하게 되어 노약자나 어린이 등의 체력이 약한 사람들은 기피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자전거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 전기자전거 또는 하이브리드 자전거 등이 개발되고 있다.
전기 자전거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특허공보 제10-0955314호가 개시된 바 있다.
종래 전기자전거는 주로 이륜자전거에 모터 등의 동력원을 장착한 것으로 균형 잡기에 어려운 사람들은 사용을 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개시되는 내용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손쉽게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해질 수 있고, 배터리 전력을 이용하여 주행함으로써 오토바이를 대신할 수 있고,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 소음 발생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어린이, 반려동물을 함께 태워서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으며, 기타 물품 수납이 용이하도록 하여 생활의 편리성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삼륜 전기 스쿠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에는 조향축이 형성되고, 상기 조향축의 하부에 전륜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핸들이 형성되며, 탑승자가 앉는 안장과, 후방에 후방좌석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복수의 후륜이 형성된 차체프레임;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며 후륜에 동력을 발생하도록 연결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되는 동력발생부; 상기 차체프레임의 안장의 앞쪽에 보조안장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안장에 연결되어 탑승자가 파지할 수 있는 보조핸들로 이루어지는 보조좌석부; 상기 조향축의 전방에 장착되며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바스켓; 상기 차체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안장의 하부에 형성되어 안장이 결합되며,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망체로 된 벽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망체로 이루어지되 개폐가능한 도어가 형성되어 반려동물을 탑승시키는 케이지부;를 포함하는 삼륜 전기 스쿠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륜의 후륜축을 지지하며 차체프레임의 후방 상부에 연결되는 완충기와, 상기 완충기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륜에 형성되어 제동력을 발휘하는 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유닛은, 후륜의 휠의 내측에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의 외면에 접촉되어 제동력을 발휘하는 캘리퍼; 상기 캘리퍼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여 드럼과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오일탱크; 상기 오일탱크와 캘리퍼를 연결하며 내부에 오일이 충진된 유압호스; 상기 오일탱크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며 핸들에 구비된 브레이크 레버와 연동되는 신호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체프레임에는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의 상부에는 발로 밟아 정지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비상정지버튼이 형성되며, 상기 비상정지버튼이 온작동되면 모터의 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체프레임에 형성되며 경사각도를 감지하여 주행모터의 회전속도를 증감시키는 각도센서와 센서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체프레임에 형성된 각도센서와, 상기 각도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차체프레임의 자세를 제어하는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수단은, 차체프레임의 수평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축브라켓; 축브라켓에 연결되고, 중앙측에는 돌출된 구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면부의 내측에는 곡률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면은 개방된 샤프트하우징이 형성되는 축샤프트; 일단부는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하우징에 배치되는 구 형상의 축단베어링; 차체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캠모터; 일부는 상기 캠모터와 기어박스로 연결되고, 다른 일부에는 관통되고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곡률이 형성된 캠베어링하우징이 형성되는 캠; 및 캠베어링하우징에 배치되고, 중앙측으로는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는 원형 링 형상의 인터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체프레임에 형성된 각도센서와, 상기 각도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차체프레임의 자세를 제어하는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정수단은, 차체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터모터; 센터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축브라켓; 축브라켓에 연결되고, 중앙측에는 돌출된 구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면부의 내측에는 곡률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면은 개방된 샤프트하우징이 형성되는 축샤프트; 일단부는 힌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하우징에 배치되는 구 형상의 축단베어링; 힌지축의 곡선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블록; 및 힌지축에 형성된 베어링홈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삼륜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주행시 균형을 쉽게 유지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해질 수 있고, 배터리 전력을 이용하여 주행함으로써 매연이나 소음으로 인한 공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어린이 및 반려동물을 함께 태워서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어 가정에서 가족들이 함께 탑승하여 근거리 이동이 편리해지게 되며, 아울러 물품 수납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르는 삼륜 전기 스쿠터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르는 삼륜 전기 스쿠터에 대한 측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르는 삼륜 전기 스쿠터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르는 삼륜 전기 스쿠터에서 '조정수단'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르는 삼륜 전기 스쿠터에서 '조정수단'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실시예에 따르는 삼륜 전기 스쿠터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르는 삼륜 전기 스쿠터에 대한 측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르는 삼륜 전기 스쿠터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르는 삼륜 전기 스쿠터에서 '조정수단'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르는 삼륜 전기 스쿠터에서 '조정수단'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르는 삼륜 전기 스쿠터(A)는, 전방에는 조향축(22)이 형성되고, 상기 조향축(22)의 하부에 전륜(W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핸들(24)이 형성되며, 탑승자가 앉는 안장(26)과, 후방에 후방좌석(27)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복수의 후륜(W2)이 형성된 차체프레임(2); 상기 차체프레임(2)의 후방에 장착되며 후륜(W2)에 동력을 발생하도록 연결되는 모터(42)와, 상기 모터(42)에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44)로 구성되는 동력발생부(4); 상기 차체프레임(2)의 안장(26)의 앞쪽에 보조안장(56)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안장(56)에 연결되어 탑승자가 파지할 수 있는 보조핸들(54)로 이루어지는 보조좌석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향축(22)의 상부에 키박스(232)가 형성되고, 키박스(232)와 연결되며 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라이트(234)가 장착된다.
조향축(22)의 전방에 장착되며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바스켓(3);이 형성된다. 바스켓(3)에 작은 물건을 수납하여 적재시킬 수 있다.
또한 차체프레임(2)에 형성되며, 상기 안장(26)의 하부에 형성되어 안장(26)이 결합되며,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망체로 된 벽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망체로 이루어지되 개폐가능한 도어(72)가 형성되어 반려동물을 탑승시키는 케이지부(7);가 포함된다.
상기 차체프레임(2)의 후륜(W2)의 후륜축을 지지하며 차체프레임(2)의 후방 상부에 연결되는 완충기(82)와, 상기 완충기(82)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84)으로 구성된 충격흡수부(8);가 포함된다.
상기 차체프레임(2)에는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21)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21)의 상부에는 발로 밟아 정지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비상정지버튼(211)이 형성되며, 비상정지버튼(211)이 온(ON)작동되면 모터(42)의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긴급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발판(21)에는 뚜껑(미도시)이 형성되고, 발판(21)의 하부에 배터리(44)와 모터(42)가 탑재된 함체로 이루어진 동력발생부(4)가 장착된다. 뚜껑을 개방하여 배터리(44) 또는 모터(42)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고, 뚜껑은 시건장치를 형성하여 잠금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후륜(W2)에 형성되어 제동력을 발휘하는 브레이크 유닛(9);을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유닛(9)은 후륜(W2)의 휠의 내측에 형성된 드럼(92); 상기 드럼(92)의 외면에 접촉되어 제동력을 발휘하는 캘리퍼(94); 상기 캘리퍼(94)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여 드럼(92)과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오일탱크(96); 상기 오일탱크(96)와 캘리퍼(94)를 연결하며 내부에 오일이 충진된 유압호스(97); 상기 오일탱크(96)의 온 오프 작동을 제어하며 핸들(24)에 구비된 브레이크 레버(242)와 연동되는 신호전송부(9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차체프레임(2)에 형성된 각도센서(S)와, 상기 각도센서(S)와 연결되며 상기 차체프레임(2)의 자세를 제어하는 조정수단(500);을 더 포함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는 조정수단(500)은, 축브라켓(511), 축샤프트(512), 축단베어링(515), 캠모터(521), 기어박스(522), 캠(531) 및 인터베어링(5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축브라켓(511)은 차체프레임(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축샤프트(512)를 결합하기 위해 양측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축샤프트(512)는 양단부가 상기 축브라켓(5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샤프트(512)의 중앙측에는 돌출된 형태의 구면부(5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면부(513)의 내측에는 곡률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면은 개방된 샤프트하우징(5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단베어링(515)은 상기 샤프트하우징(514)에 배치되고, 상기 축단베어링(515)의 일단부는 힌지축(300)에 연결되고, 힌지축의 단부에 각도센서(S)가 형성된다.
상기 축단베어링(515)의 일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샤프트하우징(514)의 내면 곡률에 대응되는 구 형상으로 이뤄져 있어, 상기 샤프트하우징(514)의 내부에서 상하좌우로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축단베어링(515)이 상기 샤프트하우징(514)의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비교적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축단베어링(515)과 연결된 상기 힌지축(300)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함을 확인해 줄 수 있다.
상기 캠모터(521)는 상기 차체프레임(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캠모터(521)는 정밀한 각도 조정이 가능한 스텝모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캠(531)은 타원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캠(531)의 일부는 상기 캠모터(521)와 기어박스(522)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캠(531)의 다른 일부는 관통되고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곡률이 형성된 캠베어링하우징(5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522)는 상기 캠모터(521)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 기어(523), 제1 기어(523)를 지지하는 제1 서포트베어링(525), 상기 캠(531)의 일부에 연결되는 제2 기어(524) 및, 상기 제2 기어(524)를 지지하는 제2 서포트베어링(526)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523)와 제2 기어(524)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캠모터(52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캠(531)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인터베어링(533)은 상기 캠베어링하우징(532)에 배치되고, 중앙측에는 상기 힌지축(300)이 관통하는 원형 링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인터베어링(533)의 외주면은 상기 캠베어링하우징(532)의 내주면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체프레임(2)의 기울어짐을 각도센서(S)가 감지하게 되고, 힌지축(300)의 각도 변화가 유발됨에 비례하여, 차체프레임(2)의 경사 각도에 따라 동력발생부(4)의 출력을 조절하도록 한다.
예를들어 하향 경사각인 내리막길에서는 동력발생부(4)의 출력을 제로 상태로 제공하여 아이들링 상태로 모터(42)가 회전되도록 한다.
반면 상향 경사각인 오르막길에서는 동력발생부(4)의 출력을 증가시켜 경사도에 따라 모터(42)의 출력을 조절하면서 오르막길을 올라가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한편 차체프레임(2)에 형성된 각도센서(S')와, 각도센서(S')와 연결되며 상기 차체프레임(2)의 자세를 제어하는 조정수단(500');을 더 포함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조정수단(500')은, 센터모터(540), 축브라켓(511), 축샤프트(512), 축단베어링(515), 가이드블록(552) 및 가이드베어링(55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터모터(540)는 차체프레임(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은 상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센터모터(540)는 스텝모터일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511)은 상기 센터모터(540)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축샤프트(512)를 결합하기 위해 양측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축샤프트(512)는 양단부가 상기 축브라켓(5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샤프트(512)의 중앙측에는 돌출된 형태의 구면부(5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면부(513)의 내측에는 곡률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면은 개방된 샤프트하우징(5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단베어링(515)은 상기 샤프트하우징(514)에 배치되고, 상기 축단베어링(515)의 일단부는 상기 힌지축(3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축단베어링(515)의 일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샤프트하우징(514)의 내면 곡률에 대응되는 구 형상으로 이뤄져 있어, 상기 샤프트하우징(514)의 내부에서 상하좌우로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축단베어링(515)은 구 형상의 볼베어링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록(552)은 차체프레임(2)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개구부(2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축(300)의 곡선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5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어링(551)은 상기 힌지축(300)에 형성된 베어링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300)에서 상기 가이드홀(553)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베어링홈이 가공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홈은 상기 가이드베어링(551)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베어링(551)은 상기 힌지축(300)이 아치 형상의 상기 가이드홀(553)을 따라 부드럽게 곡선 방향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체프레임(2)의 기울어짐을 각도센서(S')가 감지하게 되고, 힌지축(300)의 각도 변화가 유발됨에 비례하여, 차체프레임(2)의 경사 각도에 따라 동력발생부(4)의 출력을 조절하도록 한다.
예를들어 하향 경사각인 내리막길에서는 동력발생부(4)의 출력을 제로 상태로 제공하여 아이들링 상태로 모터(42)가 회전되도록 한다.
반면 상향 경사각인 오르막길에서는 동력발생부(4)의 출력을 증가시켜 경사도에 따라 모터(42)의 출력을 조절하면서 오르막길을 올라가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 : 차체프레임 4 : 동력발생부
5 : 보조좌석부 8 : 충격흡수부
22 : 조향축 24 : 핸들
26 : 안장 27 : 후방좌석
42 : 모터 4 : 배터리
56 : 보조안장 54 : 보조핸들
7 : 케이지부 72 : 도어
82 : 완충기 84 : 스프링
9 : 브레이크 유닛 92: 드럼
94 : 캘리퍼 96 : 오일탱크
97 : 유압호스 98 : 신호전송부
511:축브라켓 512:축샤프트
513:구면부 514:샤프트하우징
515:축단베어링 521:캠모터
522:기어박스 523:제1 기어
524:제2 기어 525:제1 서포트베어링
526:제2 서포트베어링 531:캠
532:캠베어링하우징 533:인터베어링
540:센터모터 551:가이드베어링
552:가이드블록 553:가이드홀

Claims (3)

  1. 전방에는 조향축이 형성되고, 상기 조향축의 하부에 전륜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핸들이 형성되며, 탑승자가 앉는 안장과, 후방에 후방좌석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복수의 후륜이 형성된 차체프레임;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며 후륜에 동력을 발생하도록 연결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되는 동력발생부;
    상기 차체프레임의 안장의 앞쪽에 보조안장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안장에 연결되어 탑승자가 파지할 수 있는 보조핸들로 이루어지는 보조좌석부;
    상기 조향축의 전방에 장착되며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바스켓;
    상기 차체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안장의 하부에 형성되어 안장이 결합되며,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망체로 된 벽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망체로 이루어지되 개폐가능한 도어가 형성되어 반려동물을 탑승시키는 케이지부; 및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륜의 후륜축을 지지하며, 차체프레임의 후방 상부에 연결되는 완충기와, 상기 완충기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후륜에 형성되어 제동력을 발휘하는 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유닛은
    후륜의 휠의 내측에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의 외면에 접촉되어 제동력을 발휘하는 캘리퍼;
    상기 캘리퍼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여 드럼과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오일탱크;
    상기 오일탱크와 캘리퍼를 연결하며 내부에 오일이 충진된 유압호스;
    상기 오일탱크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며 핸들에 구비된 브레이크 레버와 연동되는 신호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프레임에는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의 상부에는 발로 밟아 정지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비상정지버튼이 형성되며,
    상기 비상정지버튼이 온 작동되면 모터의 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 전기 스쿠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에 형성되며 경사각도를 감지하여 주행모터의 회전속도를 증감시키는 각도센서와 센서제어부,
    상기 차체프레임에 형성된 각도센서와, 상기 각도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차체프레임의 자세를 제어하는 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차체프레임의 수평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축브라켓;
    양단부가 상기 축브라켓에 연결되고, 중앙측에는 돌출된 구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면부의 내측에는 곡률이 형성되고 일부면은 개방된 샤프트하우징이 형성되는 축샤프트;
    일단부는 힌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하우징에 배치되는 구 형상의 축단베어링;
    상기 힌지축의 단부에 형성된 각도센서;
    상기 차체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캠모터;
    일부는 상기 캠모터와 기어박스로 연결되고, 다른 일부에는 관통되고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곡률이 형성된 캠베어링하우징이 형성되는 캠;
    상기 캠베어링하우징에 배치되고, 중앙측으로는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는 인터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캠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를 지지하는 제1 서포트베어링, 상기 캠의 일부에 연결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를 지지하는 제2 서포트베어링이 형성되며,
    상기 제1기어와 제2 기어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캠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캠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 전기 스쿠터.

KR1020220095290A 2022-08-01 2022-08-01 삼륜 전기 스쿠터 KR102493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290A KR102493767B1 (ko) 2022-08-01 2022-08-01 삼륜 전기 스쿠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290A KR102493767B1 (ko) 2022-08-01 2022-08-01 삼륜 전기 스쿠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767B1 true KR102493767B1 (ko) 2023-01-31

Family

ID=8510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290A KR102493767B1 (ko) 2022-08-01 2022-08-01 삼륜 전기 스쿠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76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6282A (ja) * 1997-04-15 1998-10-27 Araco Corp 電動車両の非常停止装置
KR100863610B1 (ko) * 2007-05-10 2008-10-15 주식회사 에어로봇 로봇 완구
KR20100077661A (ko) * 2008-12-29 2010-07-08 김달수 구동력을 자동적으로 보완하는 구동력 자동 보완 자전거
KR101894463B1 (ko) * 2018-02-27 2018-09-05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JP2019182201A (ja) * 2018-04-10 2019-10-24 株式会社シマノ 操作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CN209719804U (zh) * 2019-04-16 2019-12-03 天津锐丰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动自行车
JP2020079071A (ja) * 2018-11-12 2020-05-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三輪自転車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6282A (ja) * 1997-04-15 1998-10-27 Araco Corp 電動車両の非常停止装置
KR100863610B1 (ko) * 2007-05-10 2008-10-15 주식회사 에어로봇 로봇 완구
KR20100077661A (ko) * 2008-12-29 2010-07-08 김달수 구동력을 자동적으로 보완하는 구동력 자동 보완 자전거
KR101894463B1 (ko) * 2018-02-27 2018-09-05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모차
JP2019182201A (ja) * 2018-04-10 2019-10-24 株式会社シマノ 操作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JP2020079071A (ja) * 2018-11-12 2020-05-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三輪自転車
CN209719804U (zh) * 2019-04-16 2019-12-03 天津锐丰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动自行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62328A1 (en) Powered personal mobility vehicle with rotating wheels
US8226104B2 (en) Energy efficient tricycle
WO2013051493A1 (ja) 後二輪型電動車両
US20130299254A1 (en) Inverted pendulum type vehicle
US6685208B1 (en) Balance system for an enclosed fore-and-aft wheeled vehicle
EP1324808B1 (en) Children's ride-on vehicle
KR102493767B1 (ko) 삼륜 전기 스쿠터
WO1999022980A1 (en) A personal vehicular accessory
US9394027B2 (en) Frame for a human-powered vehicle
US10040502B2 (en) Vehicle with spherical wheels
JP2012502843A (ja) 人及び/又は荷物を運搬するための動力化された二輪車又は三輪車
CN112789216A (zh) 周独轮车
CN107776786A (zh) 个人移动车辆
JP2019038480A (ja) 電動3輪自転車
JP2018095126A (ja) 不整地走行車
KR101069970B1 (ko) 전기 충전식 자전거
US8991845B2 (en) Vehicular system having user-interface assembly
CN108327836A (zh) 一种自平衡电动双轮无人车
CN209833865U (zh) 运载工具的可折叠主体及运载工具
TW201919940A (zh) 機車
CN111098964A (zh) 一种便于家庭出行的多功能折叠电动车
JP7457912B2 (ja) 自転車
WO2018205575A1 (zh) 新型电动汽车
JP7462203B2 (ja) 自転車
TW201919935A (zh) 機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