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763B1 -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763B1
KR100862763B1 KR1020067008942A KR20067008942A KR100862763B1 KR 100862763 B1 KR100862763 B1 KR 100862763B1 KR 1020067008942 A KR1020067008942 A KR 1020067008942A KR 20067008942 A KR20067008942 A KR 20067008942A KR 100862763 B1 KR100862763 B1 KR 100862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nveyor
controller
signa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0999A (ko
Inventor
아쯔시 마에다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0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7/00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5Applications of security monitor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는, 컨베이어의 다양한 부분에 배치된 복수의 안전 장치와, 컨베이어의 운전 상태 또는 오작동 부분과 같은 정보를 소정의 표시 패턴으로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컨베이어의 모터 구동부에의 통전의 단속 또는 UP 및 DOWN 운전을 변경하는 콘택터와, 안전 장치 중 어느 것이 동작한 때에 콘택터의 전원을 차단하는 안전 장치 동작 검출 릴레이와, 컨베이어의 운전 상태 또는 작동된 안전 장치를 특정하는 신호를 바이너리화 하는 바이너리화 수단과, 바이너리화 한 신호를 받아 바이너리 신호들의 조합에 따라 표시되는 메세지를 판정하고 판정된 표시 신호를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67008942
표시 장치, 바이너리화 수단, 디스플레이 제어기, 안전 장치, 컨베이어

Description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FOR CONVEYOR}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 사회의 도래를 준비하기 위해, 기차역과 공항, 쇼핑센터, 백화점, 호텔과 같은 대중이 모이는 장소에 컨베이어의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한 컨베이어에는,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표시 혹은 승객이 컨베이어에 탑승하지 못하도록 알리는 표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컨베이어는 기기의 오작동을 검지하여 컨베이어의 운전을 정지하는 안전 장치를 다양한 부분에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운전 상태 표시 장치는 승강구에 있는 승객에게 보이도록 핸드 레일 패널의 선단에 설치된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682/1993호는 컨베이어에 이용된 종래 운전 상태 표시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종래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상에 나타난 각각의 표시 항목이 각각 안전 장치의 신호 송신 라인에 대응한다. 따라서, 예컨대, 검출 부분의 수가 늘어나거나 혹은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된 메세지의 수가 증가하면, 신호 송신 라인의 수도 필연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신호 송신 라인의 수가 증가한다고 하는 것은, 표시 장치의 입력 회로의 수의 증가를 초래하여, 표시 장치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고 이로 인해 비효율적이다.
또한, 컨베이어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 장치에 오작동이 발생한 경우, 백업 기능이 유효하지 않아서 잘못된 정보 신호가 표시 장치에 보내지고, 이로 인해, 잘못된 메세지가 표시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적은 수의 신호 와이어로 표시 항목의 수를 늘려서 보다 많은 메세지를 승객 및 보수 직원에게 전하는 것이 가능한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제1항에 관한 발명은, 컨베이어에 배치된 복수의 안전 장치와, 컨베이어의 운전 상태 또는 오작동 안전 장치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와, 컨베이어의 모터 구동 회로로의 통전을 단속하거나 또는 정상 및 역 운전 방향 사이에서 운전 작동을 변경하는 콘택터와, 안전 장치 중 어느 것이 작동될 때, 콘택터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 장치 검출부와, 컨베이어의 정상 및 역 운전시의 운전 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안전 장치가 작동할 때 그의 운전 상태 또는 작동된 안전 장치를 특정하고, 이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이다.
청구항 제2항에 관한 발명은, 컨베이어에 배치된 복수의 안전 장치와, 컨베이어의 운전 상태 또는 오작동 안전 장치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와, 컨베이어의 모터 구동 회로로의 통전을 단속하거나 또는 정상 및 역 운전 방향 사이에서 운전 작동을 변경하는 콘택터와, 안전 장치 중 어느 것이 작동될 때, 콘택터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 장치 검출기와, 컨베이어의 운전 상태 또는 작동된 안전 장치를 특정하는 바이너리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바이너리 신호 수단과, 도입된 바이너리 신호들의 조합에 따라 표시되는 지시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그 표시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이다.
청구항 제3항에 관한 발명은 제2항에 관한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이며, 바이너리 신호 수단은 각 안전 장치 전위에 기초하여 작동된 안전 장치의 위치를 특정하는 바이너리 신호를 디스플레이 제어기에 출력하고 컨베이어의 운전을 또한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제어기와, 콘택터의 ON/OFF에 연동하여 개폐되고 디스플레이 제어기의 입력에 접속되는 접점을 포함한다.
청구항 제4항에 관한 발명은, 제어기의 오작동 검출시에, 디스플레이 제어기로 전송되는 모든 신호를 차단하는 신호 차단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3항에 관한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이다.
청구항 제5항에 관한 발명은 제4항에 관한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이며, 신호 차단 수단은 디스플레이 제어기에 입력된 신호를 차단함과 동시에, 오작동 발생을 알리는 신호를 감시 보드에 보낸다.
청구항 제6항에 관한 발명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관한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이며,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표시되는 지시를 암호화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청구항 제7항에 관한 발명은 제3항에 관한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이며, 제어기는 오작동 이력 데이터를 보존하는 기억 수단을 갖는다.
청구항 제8항에 관한 발명은 제7항에 관한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이며, 제어기는 비상 전원으로서 배터리를 갖는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신호 와이어 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바이너리 신호의 조합에 의해 많은 메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항목의 수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메세지를 승객 및 보수 직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회로도이다.
도2는 컨베이어의 구동부에 설치된 콘택터의 회로도이다.
도3은 바이너리 신호의 조합과 표시되는 메세지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참고표이다.
도4a 내지 도4c는 표시된 메세지의 예를 나타낸다.
도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컨베이어의 승강구 및 그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의 실시형태가 도면을 참조로 설명된다.
도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에스컬레이터의 승강구 및 그 주변을 나타낸다. 도5에서, 참조번호 10은 핸드 레일 패널의 선단부를 나타낸다. 에스컬레이터의 핸드 레일 패널은 판 유리 또는 스테인레스 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둘 다 적용가능하다. 도5는 승강구에 대해 좌측의 핸드 레일 패널의 핸드 레일 패널 선 단부(10)를 도시하고, 우측의 핸드 레일 패널 선단부는 생략하고 있다. 핸드 레일 (11)은 진행 방향을 바꾸기 위해 핸드 레일 패널 선단부(10)에서 이동하여 접힌다. 참조번호 12는 선단 스커트부의 전체를 나타낸다. 선단 스커트부(12)는 데크 커버(13)의 각 선단에 부착된다. 디딤판은 참조 번호 14로 표시된다. 디딤판(14)의 표면의 주위에는 황색의 데마케이션(14a) 라인이 그려져 있다.
벨트 진입구(15)는 선단 스커트부(12)의 정면에 형성된다. 표시 장치(16)는 에스컬레이터의 진행 방향과 같은 운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선단 스커트부(12) 밑에 부착된다. 표시 장치(16)는 승강구 양측의 선단 스커트부(12) 양방에 설치해도 좋고, 혹은 선단 스커트부(12)의 한쪽에 설치해도 좋다.
조작 기능 및 안전 기능이 집중되는 선단 스커트부(12)의 내측 표면에는, 에스컬레이터의 조작 보드(17), 인렛 스위치(18), 승객 검출 센서(19)와 같은 스위치 및 보조 기기류가 배치된다.
도1은 실시형태의 운전 상태 표시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2는 에스컬레이터의 모터 구동을 위한 모터 구동 회로의 스위치 회로에 설치되어 있는 콘택터를 나타낸다.
도1에서, 참조번호 20은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 21은 표시 장치(16)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나타낸다. 전원 장치는 참조 번호 22로 표시된다. 도2에서, 참조 번호 23은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DOWN 이동으로 변경하는 콘택터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 24는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을 UP 이동으로 변경하는 콘택터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 25는 DOWN 이동에서 UP 이동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경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스위치(25)가 UP 위치로 변경되면, UP 운전 콘택터(24)는 ON으로 되고, 이것에 의해, UP 운전 콘택터(24)의 a 접점(24a)이 ON으로 되고 그것의 b 접점(24b)이 OFF로 된다. 따라서, 그 때까지 ON이었던 DOWN 운전 콘택터(23)는 OFF로 된다. 스위치(25)가 DOWN 위치로 변경되면, 진행은 그 역으로 된다.
도1에서, 참조 번호 1A 내지 1P는 에스컬레이터의 다양한 부분에 배치된 안전 장치의 접점을 나타낸다. 안전 장치의 접점(1A 내지 1P)은, 안전 장치가 작동되면 열리는 b 접점으로 구성된다. 안전 장치의 접점(1A 내지 1P)은 각각 제어기(20)의 입력 포트(#1 내지 #15)에 병렬로 접속된다. 접점(#1 내지 #4)은 제어기(20)의 출력 포트(#1 내지 #4)에 병렬로 접속된다. 접점의 ON/OFF 신호는 각각 디스플레이 제어기(21)의 입력 포트(#1 내지 #4)에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제어기(21)에서, DOWN 운전 콘택터(23)의 a 접점(23a)은 디스플레이 제어기(21)의 입력 포트(#5)에 접속되고, UP 운전 콘택터(24)의 a 접점(24a)은 입력포트(#6)에 접속되고, 후술하는 제어기의 오작동을 검출하는 검출 릴레이(28)의 a 접점(28a)은 입력 포트(#7)에 접속된다. 이들 접점은 제어기(20)의 출력측 COM 포트와 디스플레이 제어기(21)의 입력측 COM 포트를 연결하는 배선과 병렬로 각각의 입력 포트에 접속된다.
도1에서, 참조 번호 30은 신호 차단 수단인 제어기 오작동 검출 릴레이(28)를 포함하는 오작동 검출 회로를 나타낸다. 제어기 오작동 검출 릴레이(28)의 a 접점(28a)은, 제어기(20)의 출력측 COM 포트가 디스플레이 제어기(21)의 입력측 COM 포트와 연결되는 배선 접합부와, 감시 패널의 전원 회로상에 배치된다. 참조 번호 32는 안전 장치 검출 릴레이를 나타낸다. 안전 장치 검출 릴레이(32)의 a 접점(32a)은 도2에 도시된 모터 구동 회로의 스위치 회로상에 배치된다. 안전 장치 중 어느 것이 작동되면, 접점(32a)은 콘택터(23, 24)를 OFF로 하도록 한다. 참조 번호 34는, 제어기(20)가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한 ON 위치를 유지하는 상시 ON 릴레이를 나타낸다.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상황을 표시하는 프로세스가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3은 디스플레이 제어기(21)에 공급된 입력 신호와 표시되는 메세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참고표이다.
에스컬레이터가 상향 방향으로 운전되는 경우, UP 운전 콘택터(24)는 ON이다, 도1에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1)의 입력 포트(#6)에 접속된 UP 운전 콘택터(24)의 a 접점(24a)이 ON이기 때문에, 입력 포트(#6)는 ON이다.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이 순조롭게 진행하여 안전 장치의 접점(1A 내지 1P)이 아무것도 작동되지 않는 동안, 제어기(20)의 입력 포트(#1 내지 #15)의 전위는 H레벨에서 모두 ON이다.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기(20)는, 도3의 참고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출력 포트(#1 내지 #4)를 OFF로 변경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1)의 입력 포트(#6)만이 ON이고 그 외 입력 포트들은 OFF이다. 이때, 디스플레이 제어기(21)는, 표시 장치(16)로 하여금 에스컬레이터의 이용가능함을 나타내는 도4a에 도시된 화살표 마크를 표시하도록 한다.
에스컬레이터가 하향 방향으로 운전되는 경우, DOWN 운전 콘택터(23)의 a 접점(23a)이 ON이고, 디스플레이 제어기(21)의 입력 포트(#5)만이 ON이고 그 외 모든 입력 포트들은 OFF이다. 이 경우, 표시 장치(16)는 에스컬레이터의 진입 금지를 나타내는 도4b에 도시된 마크를 표시한다.
상향 운전 중 안전 장치의 작동시 표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안전 장치들 중 어느 것이 작동되어 접점(1A)이 OFF로 되었다고 가정한다. 접점(1A)이 열려있는 것은 안전 장치 동작 검출 릴레이(32)로 하여금 OFF로 되도록 하기 때문에, 도2에 도시된 a 접점(32a)은 열려서 콘택터(24)는 OFF로 된다. 그 결과,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작동은 정지된다.
제어기(20)에 있어서, 접점(1A)이 열려있기 때문에, 입력 포트(#1 내지 #15)는 모든 전위는 L레벨에서 모두 OFF이다.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어기(20)는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포트(#1)을 ON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제어기(21)의 입력 포트(#1)만이 ON으로 된다. 도3의 표에 따라, 이 신호를 받은 디스플레이 제어기(21)는 표시 장치(16)로 하여금 작동된 안전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4c에 도시된 마크와 진입 금지를 나타내는 도4b에 도시된 마크를 일정 간격으로 교대로 표시하도록 한다.
같은 식으로, 안전 장치의 접점(1B)이 작동되면, 제어기(20)의 입력 포트(1#)만이 ON으로 된다.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러한 신호가 도입되면, 제어기(20)는 출력 포트(#2)만을 ON으로 한다. 그 신호를 받은 디스플레이 제어기(21)는 표시 장치(16)로 하여금 도3의 표에 따라 소정의 메세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어기(20)는 안전 장치(1A 내지 1P) 중 어느 것의 활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4개의 입력 포트(#1 내지 #4)의 ON/OFF 조합으로 형성된 바이너리 신 호의 24 패턴으로 변경하고, 디스플레이 제어기(21)에 그 바이너리 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제어기(21)에서, DOWN 운전 콘택터(23), UP 운전 콘택터(24) 및 제어기 오작동 검출 릴레이(28)의 각 접점의 ON/OFF 신호가 입력 포트(#5 내지 #7)에 전송되는 동안, 제어기(20)로부터 제공된 입력이 입력 포트(#1 내지 #4)에 할당된다. 그 결과,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ON/OFF 조합이 미리 설정되면, 표시장치(16)가 모든 동작에 대응하는 메세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기(2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의 표시 동작이 설명된다.
제어기(20)가 작동하는 한, 상시 ON 릴레이(34)는 ON 위치를 유지한다. 그러나, 무언가의 원인에 의해 제어기(20)에 오작동이 발생하면, 상시 ON 릴레이(34)의 상시 ON 접점은 OFF로 된다.
제어기 오작동 검출 릴레이(28)가 배치된 오작동 검출 회로(30)에 있어서, 상시 ON 릴레이(34)의 b 접점(34b)이 ON으로 되어 이로써 제어기 오작동 검출 릴레이(28)는 ON으로 된다. 동시에, 제어기(20)의 입력부에서, 상시 ON 릴레이(34)의 a 접점(34a)이 OFF으로 되어 이로써 안전 장치 검출 릴레이(32)는 OFF로 된다. 따라서, DOWN 운전 콘택터(23) 또는 UP 운전 콘택터(24)는 OFF로 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작동은 곧 정지된다.
제어기 오작동 검출 회로(30)에서는, DOWN 운전 콘택터(23)의 a 접점(23a) 또는 UP 운전 콘택터(24)의 a 접점(24a)이 OFF로 되기 때문에, 제어기 오작동 검출 릴레이(28)는 자기 유지된다.
제어기 오작동 검출 릴레이(28)의 자기 유지는, 제어기(20)의 COM 출력 포트와 디스플레이 제어기(21)의 COM 입력 포트를 연결하는 배선에 배치된 제어기 오작동 검출 릴레이(28)의 b 접점(28b)이 개방 위치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어기(20)로부터 디스플레이 제어기(21)에의 입력은 차단된다. 따라서, 오작동이 발생한 제어기(2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유발될 수 있는, 현재 운전 상태와는 무관계한 부적절한 메세지가 표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어기 오작동 검출 릴레이(28)의 a 접점이 ON이므로, 디스플레이 제어기(21)의 입력 포트(#1 내지 #7)의 입력 포트(#7)만이 ON이다. 도3의 표에 따라, 표시 장치(16)는 제어기(20)에 오작동이 생긴 것을 나타내는 문자 "CNT"와 진입 금지를 나타내는 표시를 교대로 표시한다.
한편, 감시 패널의 회로에 배치된 제어기 오작동 검출 릴레이(28)의 a 접점(28a)가 ON으로 되기 때문에, 감시 패널에 오작동의 발생이 표시된다. 결과적으로, 관리자는 제어기(20)의 오작동을 확실히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 장치(16)는 도3의 표에 따라 안전 장치의 작동 상황에 부합한 메세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와 달리, 도3의 표에서 가장 오른쪽 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장치의 작동 상황에 관계하는 암호화된 문자 및마크가 도시될 수 있어서, 표시된 메세지는, 관리자 및 보수 직원에 의해서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부외자에 의해 오작동의 내용이 제시되는 일 없이, 승객의 불안감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는 도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어기(20)의 메모리(40)는 과거 몇 년간의 오작동 이력 데이터를 기억한다. 이에 따라, 메모리(40)내에 축적된 오작동 이력 데이터는 에스컬레이터가 보수될 때 활용될 수 있다.
전원 장치(22)에는 배터리(42)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고객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배터리(42)를 이용함으로써 제어기(20)의 오작동을 표시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확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객 전원이 차단된 경우, 제어기(20)의 메모리(40)는 새로운 오작동 이력 데이터를 기억하여, 엘레베이터의 복귀 작업이 용이해진다.

Claims (10)

  1. 삭제
  2.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이며,
    컨베이어에 배치된 복수의 안전 장치와,
    컨베이어의 운전 상태 또는 오작동 안전 장치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와,
    컨베이어의 모터 구동 회로로의 통전을 단속하거나 또는 정상 및 역 운전 방향 사이에서 운전 작동을 변경하는 콘택터와,
    안전 장치 중 어느 것이 조작될 때, 콘택터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 장치 검출기와,
    컨베이어의 운전 상태 또는 작동된 안전 장치를 특정하는 바이너리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바이너리 신호 수단과,
    도입된 바이너리 신호들의 조합에 따라 표시되는 지시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그 표시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바이너리 신호 수단은 각 안전 장치 전위에 기초하여 작동된 안전 장치의 위치를 특정하는 바이너리 신호를 디스플레이 제어기에 출력하고 컨베이어의 운전을 또한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제어기와,
    콘택터의 ON/OFF에 연동하여 개폐되고 디스플레이 제어기의 입력에 접속되는 접점을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어기의 오작동 검출시에, 디스플레이 제어기로 전송되는 모든 신호를 차단하는 신호 차단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신호 차단 수단은 디스플레이 제어기에 입력된 신호를 차단함과 동시에, 오작동 발생을 알리는 신호를 감시 보드에 보내는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표시되는 지시를 암호화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제어기는 오작동 이력 데이터를 보존하는 기억 수단을 갖는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어기는 비상 전원으로서 배터리를 갖는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핸드 레일 패널의 선단에서 핸드 레일의 진입구 밑에 배치되는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
  10. 삭제
KR1020067008942A 2003-10-10 2004-10-08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 KR100862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52658 2003-10-10
JP2003352658A JP4475911B2 (ja) 2003-10-10 2003-10-10 マンコンベアの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999A KR20060090999A (ko) 2006-08-17
KR100862763B1 true KR100862763B1 (ko) 2008-10-13

Family

ID=34543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942A KR100862763B1 (ko) 2003-10-10 2004-10-08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109283A1 (ko)
EP (1) EP1670713B1 (ko)
JP (1) JP4475911B2 (ko)
KR (1) KR100862763B1 (ko)
CN (1) CN1863726B (ko)
MY (1) MY141339A (ko)
TW (1) TWI310362B (ko)
WO (1) WO20050354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981B1 (ko) 2019-05-02 2019-11-20 (주)한국이엔씨 방수재가 내장된 내진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270220B1 (ko) 2019-12-31 2021-06-28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안전 신호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1627B2 (ja) * 2008-07-07 2013-10-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インレット装置
CN102992162A (zh) * 2012-12-25 2013-03-27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的方向故障一体化显示装置
JP6702576B1 (ja) * 2019-03-07 2020-06-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表示システム
JP7087137B1 (ja) 2021-02-12 2022-06-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遠隔監視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5774A (ja) * 1994-04-19 1995-10-31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スカレータの故障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6300A (en) * 1992-07-06 1993-02-16 Otis Elevator Company Starting circuit and method for escalators and moving walks
US5708416A (en) * 1995-04-28 1998-01-13 Otis Elevator Company Wireless detection or control arrangement for escalator or moving walk
US5782330A (en) * 1996-12-20 1998-07-21 Otis Elevator Company Information display and control device for a passenger conveyor
GB2370675B (en) * 2000-11-15 2003-04-30 Maurice Bligh Colour-coded evacuation signalling system
EP1620334B1 (en) * 2003-04-04 2017-06-07 Otis Elevator Company Traffic flow indicator for a passenger conveyor
AU2003304446B2 (en) * 2003-08-20 2008-09-04 I&K International Co., Ltd Guard device for escalator handrail
JP4401138B2 (ja) * 2003-10-10 2010-01-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
JP4467278B2 (ja) * 2003-10-10 2010-05-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および先端スカート部構造
CN1894151B (zh) * 2004-08-19 2010-12-29 三菱电机株式会社 升降机图像监视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5774A (ja) * 1994-04-19 1995-10-31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スカレータの故障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981B1 (ko) 2019-05-02 2019-11-20 (주)한국이엔씨 방수재가 내장된 내진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270220B1 (ko) 2019-12-31 2021-06-28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안전 신호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12619A (ja) 2005-04-28
EP1670713A1 (en) 2006-06-21
US20070109283A1 (en) 2007-05-17
WO2005035424A1 (en) 2005-04-21
EP1670713B1 (en) 2014-06-25
CN1863726A (zh) 2006-11-15
TWI310362B (en) 2009-06-01
MY141339A (en) 2010-04-16
CN1863726B (zh) 2012-09-05
KR20060090999A (ko) 2006-08-17
JP4475911B2 (ja) 2010-06-09
TW200524813A (en) 2005-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684B1 (ko) 승객 운반 시스템
KR100862763B1 (ko) 컨베이어용 표시 장치
JP3839254B2 (ja) 施設の欠陥のない状態を監視し、および/または不完全状態を検出する回路装置
KR100633392B1 (ko) 스크린도어 제어시스템
KR100595733B1 (ko) 근접센서를 이용한 비 접촉방식의 출입문 감지 제어시스템
US4724931A (en) Group-supervisory apparatus for elevator
JP2007084214A (ja) マンコンベアシステムにおける異常検出スイッチ
JPH01288595A (ja) 故障表示装置
KR0133952B1 (ko)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SU118477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еспечени безопасности лифта
KR100275804B1 (ko) 사구간 자동통과방법 및 장치
KR20100049946A (ko) 기관차의 통합 제어 시스템
KR0167160B1 (ko)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KR870001275Y1 (ko) 엘리베이터 행선등록용 버튼 고장검출 시스템
JPS59177278A (ja) エレベ−タの故障表示装置
CN113276893A (zh) 一种轨道交通破玻器控制系统
KR20000017940U (ko) 철로 선로 전환기의 밀착 검지 장치
JPH09295771A (ja) エレベータ階床選択装置の異常検出装置
JPH11263226A (ja) フェールセーフ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を備えた踏切制御装置
JPH11263225A (ja) フェールセーフ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を備えた踏切制御装置
JP2611439B2 (ja) 駆動機器の制御回路
JPH06206674A (ja) エレベーターの故障復旧装置
CN102249142A (zh) 乘客输送机的监视装置
KR100771224B1 (ko) 전철기 제어 모듈
JPH11147469A (ja) 旅客案内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