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952B1 -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952B1
KR0133952B1 KR1019930001029A KR930001029A KR0133952B1 KR 0133952 B1 KR0133952 B1 KR 0133952B1 KR 1019930001029 A KR1019930001029 A KR 1019930001029A KR 930001029 A KR930001029 A KR 930001029A KR 0133952 B1 KR0133952 B1 KR 0133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ignal
command
information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272A (ko
Inventor
구니오 미야자끼
히데오 이시까와
마사노부 후지모또
Original Assignee
구니오 미야자끼
곤고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18275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3395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구니오 미야자끼, 곤고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구니오 미야자끼
Publication of KR930016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는 래크 시스템의 동작상태 또는 그곳에 일어나고 있는 이상 또는 고장이 표시장치상에 표시화면 관찰을 통해 인식될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제1도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모니터링 장치가 응용된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배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4도는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이 응용된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6도는 제5도의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7도는 제5도의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8도는 제5도의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에 대한 통신 제어회로의 블럭도.
제9도는 제5도의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에 대한 신호 타이밍도.
제10도는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에 대한 다른 신호 타이밍도.
제11도는 전자식 표시장치에 의해 주어진 표시화면을 나타내고.
제12도는 동작상태를 알리는 표시화면의 한 예를 나타내고.
제13도는 이상 상태를 알리는 표시화면의 한 예를 나타내고.
제14도는 고장을 통보하는 표시화면의 한 예를 나타내고.
제15도는 고장 데이타를 알리는 표시화면의 한 예를 나타내고.
제16도는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에서 주제어기판 및 분산제어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17도는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처리루틴 플로우차트.
제18도는 본발명이 응용된 다른 이동래크 시스템의 배면도이다.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발명은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거기에서 발생되는 이상 또는 고장을 표시하는 장치와 관련된 것이다.
[종래기술의 설명]
물품보관창고에서 다수의 이동래크는 물품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그런 이동래크는 주제어기판 및 다수의 분산제어기판으로 구성된 전동식 이동 래크 시스템의 제어하에서 이동된다. 주제어기판은 보통 한 이동래크상에 장착되고, 분산제어기판은 다른 이동래크상에 장착된다. 분산제어기판은 다수의 이동래크들이 움직일 수 있는 통로를 만들기 위해 선택적으로 동작한다. 그런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은 일본국 특개평 3-23162(1991)에 개시된다.
종래의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에서는 많은 수의 착색 램프들이 이동래크의 동작 상태 또는 거기에서 발생되는 고장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켜지거나 점멸되고, 또는 발광 다이오드가 상기 정보를 숫자로서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각각의 경우에, 상기 표시는 단지 기본적인 정보만을 나타내게 되고, 한정된 범위로 통보되며, 많은 상세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는 부적합하다. 더욱이 상기 정보는 보통 각각의 분산제어기판에서 처리되며, 주제어기판의 중앙 제어하에는 처리되지 않는다.
최근의 노동력 상황하에서 물품보관창고에서 근무하는 숙련 노동자가 비숙련 노동자로 대치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인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런 설비의 관리는 광범위하게 자동화되며 단순화 된다. 보다 안전하며 신뢰성 있는 동작이 요구되기 때문에 물품 보관창고 설비는 더욱 복잡화 및 고도화 되었다.
이상 및 고장이 일어났을 때 이런 설비들은 장시간 작업중간 및 경제적인 손실이 없으면 복구되기가 매우 어렵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라서,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에 사용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되며,여기서 다수의 이동래크상은 서로의 사이에서 통로를 만들기 위하여 제어부로부터의 개방 명령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이동된다.
제1도에 도시된 것 같이, 모니터링 장치는 동작상태정보 및 이상정보를 다른 이동래크상로부터 하나의 특정한 이동래크로 전송시키기 위한 통신수단(1)과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동작상태정보 및 이상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장치(1)와; 표시장치가 통신수단(1)으로부터 수신된 이동래크들의 동작상태정보 및 이상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수단(3)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장치는 접촉식-기판형이며,상기 제어수단은 대화식 모드에서 표시 장치가 이동래크의 다양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표시하게 한다.
상기 통신수단은 두 통신선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다중통신방식이다. 로직회로는 정보가 제어수단에 의해서 수신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통신수단으로 부터의 정보신호형태를 변환시킨다.
본 발명의 제1도의 특징에 있어서, 이동래크 시스템의 동작상태, 또는 이상이나 고장에 관한 정보가 통신수단(1)을 통해 이동래크 사이에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장치(2)에 나타난다. 작업자는 표시장치(2)의 표시를 관찰함으로써 이동래크 시스템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심지어 비숙련된 작업자도 이동래크 시스템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제2도의 특징에서, 표시장치는 접촉식-기판형이며, 대화식 모드에서 다양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표시한다
제3도의 특징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 및 값비싼 고속 제어기를 포함하는 복잡한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간단한 방법으로 정보를 제어기에 공급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제2도에는 본발명의 모니터링 장치가 응용될 수 있는 경량급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이동래크 시스템은 고정래크(11), 주이동래크(12) 및 이동래크(131내지 13n)을 포함한다. 이 래크들은 일렬로 배열된다. 주 이동래크(12)는 모지터링장치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전자표시부(16)와 주제어기판(14)을 포함한다. 이동래크들(131내지 13n)은 분산제어기판(151내지 15n)을 각각 포함한다. 고정래크(11)는 래크 시스템의 가장 오른편에 위치한다. 이동래크들(12, 131내지 13n)은 고정래크(11)로부터 왼쪽으로 움직인다.
제3도에는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회로구성이 도시된다.
주제어기판(14)은 이동래크(12)의 분산제어를 위한 분산제어기판(18), 제어기(19), 통신제어회로(20) 및 인터페이스회로(21)를 포함한다. 제어기(19)는 이동래크(12, 131내지 13n)의 중앙제어를 위하여 주제어회로(17)를 포함한다. 분산제어기판(151)은 이동래크(131)의 분산제어를 위한 분산제어회로(221) 및 인터페이스회로(231)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분산제어기판(15n)은 이동래크(13n)의 분산제어를 위한 분산제어회로(22n) 및 인터페이스회로(23n)를 포함한다. 전자표시부(16),통신제어회로(20) 및 인터페이스회로(21, 231내지 23n)는 모니터링 장치를 구성한다.
주제어기판(14)과 분산제어회로(18, 221내지 22n) 각각은 종래의 이동래크 시스템에 보통 사용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이동래크(12, 131내지 13n) 동작상태 또는 이상이나 고장에 관한 분산제어기판(18, 221내지 22n)으로부터의 다양한 모니터링 데이터는 각각 병렬로 인터페이스회로(21, 231내지 23n)로 출력된다.
이 인터페이스회로는 데이터의 병렬-직렬변환을 전송된다. 그 다음 상기 데이타는 두 전송선(24)을 통해 통신제어회로(20)로 전송된다. 통신제어회로(20)는 데이타를 제어기(19)에서 처리되는 입력에 적합한 두전압-펄스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기(19)에 입력한다. 그러므로 데이타는 비싸고 고속인 제어기 및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복잡한 통신제어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방법으로 제어기(19)에 공급된다. 이것은 통신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제어기(19)는 모니터링 기능뿐만아니라 통신제어에도 응용될 수 있다.
제어기(19)는 전자표시부(16)가 이동래크(12, 131내지 13n)의 동작상태 또는 주제어기판(14)으로부터의 데이타 및 통신제어회로(20)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반응하여 이상 또는 고장 데이타를 표시하게 한다.
제4도는 분산제어기판(18)과 인터페이스회로(21) 사이의 연결 및 인터페이스회로(21)와 통신제어회로(20)사이의 연결을 상세하게 도시한다. 주이동래크의 동작상태 또는 이상이나 고장에 관한 데이타는 병렬로 출력되고, 인터페이스회로에 위해서 병렬-직렬 변환되며, 두 전송선(24)을 통해 통신제어회로(20)로 출력된다.
각각의 인터페이스회로(21, 231내지 23n)는 각각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통신소자(251내지 25n)를 포함한다. 통신소자(251내지 25n)는 Nippon Protec System Co.,Ltd.제품의 통신소자 Bitnet NBH001이고, 이동래크(12, 131내지 13n)의 동작상태 또는 이상이나 고장에 관한 데이타(a,b,...)를 연속적으로 변환한다. 이런 데이타는 분산제어회로(18, 221내지 22n)로부터 병렬로 입력된다. 그다음 변환된 데이타는 전송선(24)에 공급된다. 통신소자(251내지 25n)의 수는 분산제어회로(18, 221내지 22n)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 수에 따라 결정된다.
전송선(24)은 오고 가는 2개의 신호를 나타내고 있고, 전체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즉, 인터페이스회로(21)는 한쪽이 통신제어회로(20)에 접속되고, 다른 한쪽이 다음단의 인터페이스회로(231)에 접속되어 있다. 인터페이스회로(231)는 한쪽이 상단의 인터페이스회로(21)에 접속되고, 다른 한쪽은 다음단의 인터페이스회로(232)에 접속되어 있다. 제8도는 통신제어회로(20)의 구성을 도시한다. 통신제어회로(20)는 Nippon Protec System Co.,Ltd 제품의 전용 인터페이스모듈 BN1000-0B1(26),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7,28), AND 게이트(29) 및 NOT게이트(30)을 포함한다.
제9도는 통신제어회로(20)이 신호 타이밍도이다. 인터페이스 모듈(26)은 데이터를 전송시키기 위한 제어기(19)로부터의 제어신호인 /ENABLE 신호에 의해서 기동되며, 전송선(24)을 통해 전송된 데이타(예컨대,접촉부(1 내지 3)의 ON또는 OFF 상태에 관한 것)에 반응하여 /SYNCH 신호 및 SENS신호를 출력한다.SENS신호는 전송선(24)을 통해 수신된 데이타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펄스 신호이다,
SENS 신호는 데이타가 없을 때(예를 들어 접촉부가 OFF)는 300μs의 펄스폭을 갖고 반면에 데이타가 있을 때는(예를 들어 접촉부가ON)120μs의 펄스폭을 갖는다. /SYNCH 신호는 통신선을 통해 수신된 데이타와 동기화되어 500μs의 주기로 생성되며, 120μs와 300μs사이의 펄스폭을 갖는다.
인터페이스 모듈(26)로부터의 SENS 신호 및 /SYNCH 신호는 AND 게이트(29)에 의해서 AND가 이루어진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7)는 AND 게이트(29) 출력신호의 상승에지에서 트리거되며, 제어기(19)에 250μs의 펄스폭을 갖는 SENS'신호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모듈(26)로부터의 /SYNCH 신호는 NOT 게이트(30)에 의해서 반전된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8)는 NOT 게이트(30)로부터의 출력신호의 상승에지에서 트리거되며, 제어기(19)에 250μs의 펄스폭을 갖는 SYNCH' 신호를 제공한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7,28)부터의 SENS'신호 및 SYNCH'신호는 제어기(19)에 의해 직접 수신될 수 있는 형태이다. 달리 말하자면, 전송선(24)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는 통신제어회로(20)에 의해서 제어기(19)에서 수신될 수 있는 신호로 변환된다. /SYNCH신호의 듀티비(duty ratio)는 통신소자(251내지 25n)의 가변적인 성능때문에 안정하지 않으므로 전송선(24)으로부터의 데이타는 제어기(19)가 신호를 안정하게 수신하도록 50% 의 듀티비를 갖는 신호로 변환된다.
SENS'신호 및 SYNCH'신호는 인터럽트포트에 독립적으로 입력된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9)는 SENS'신호 및 SYNCH'신호의 상승에지서의 인터럽트 처리를 위해 기동된다. SYNCH'신호에 의한 인터럽트 동작시 SENS'신호에 의한 인터럽트가 수행되면, 제어기(19)는 데이터가 없음을 인식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어기(19)는 데이타의 존재를 인식한다. 제어기(19)는 이런 방법으로 각각의 데이터를 해석하고, SYNCH'신호에 의해 인터럽트가 수행될 때마다 데이타 번호를 증가시킴으로써 데이터를 인식한다.
제어기(19)가 SYNCH'신호의 하강 에지에서 인터럽트 처리를 위해 기동될 때 제어기(19)가 SENS'신호의 로우 또는 하이레벨에 기초한 데이타의 존재 또는 부재를 인식될 수 있다. 더욱이, 데이타의 존재가 인식될 때 통신제어회로(20)가 250μs 펄스폭을 갖는 SENS'신호를 출력하지만, 통신제어회로(20)는 데이타의 부재가 인식될때 SENS'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1도는 제어기(19)의 제어하에 전자표시부(16)상에 주어진 메세지의 흐름을 나타낸다.
전자표시부(16)는 표시화면을 가지며, 이 표시화면은 동작상태표시화면(31), 이상통보표시화면(32,33), 고장통보표시화면 (34,35,36,37) 및 보조표시화면(38,39)의 4종류로 구분된다. 모든 표시화면은 다양한 데이타의 계층적인 표시를 제공한다. 전자표시부(16)는 접촉기판형이며, 거기에 나타난 접촉스위치들은 제어기(19)에 입력신호를 보내기 위해 동작된다.
제어기(19)는,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되면, 자동적으로 동작상태표시화면(31)을 고장통보표시화면(32)또는 이상통보표시화면(34)으로 변환시킨다. 다른 표시화면은 그와 관련된 접촉스위치가 스크린상에서 동작되면, 하위 표시화면으로 전환된다. 표시화면의 수는 하위 화면상에서 보다 상세한 데이타를 제공하기 위하여 증가될 수 있다.
제12도 내지 제15도는 전자표시부(16)의 표시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표시부(16)는 보통 동작상태표시화면(31)을 나타내고, 그 표시화면으로부터 이동래크 시스템의 동작모드가 인식될 수 있다. 제13도는 이상통보표시화면(32)의 예(32a)를 나타낸다. 제14도는 고장통보표시화면(34)을 나타낸다. 제15도는 고장데이터표시화면(35)이다. 전자표시부(16)는 작업자가 이동래크 시스템의 동작상태 또는 이상이나 고장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자 또는 그래프를 통해서 정보를 나타낸다.
제6도는 본발명이 응용될 수 있는 이동래크 시스템의 다른 예의 회로구성을 나타낸다. 제5도는 그 회로의 일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21)를 내장하는 분산제어회로(18)는 참고번호(18a)로 표현된다. 인터페이스회로(231내지 23n)를 내장하는 다른 분산제어회로(221내지 22n)는 참고번호 (22a1내지 22bn)의해서 각각 표현된다.
제16도는 주제어회로(17) 및 분산제어회로(221내지 22n)의 구성을 나타낸다.
주제어회로(17)는 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36),우행이동 명령회로(37), 전래크 이동 명령검출회로(38), 이중명령검출회로(39), 이상검출회로(40), 전래크 정지 명령회로 및 동작신호발생회로(42)를 포함한다.
분산제어회로(221내지 22n)는 각각의 다음 소자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분산제어회로(221)는 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431), 좌행이동 명령회로(441), 우행이동 명령회로(451), 전래크 이동 명령검출회로(461), 이중명령검출회로(471), 이상검출회로(481), 정지제한검출회로(491), 모터제어회로(501), 이동래크 검출회로(511) 및 모터구동기(521)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분산제어회로(22n)는 개방명령 및 통로 록킹회로(43n), 좌행이동 명령회로(44n), 우행이동 명령회로(45n), 전래크 이동 명령검출회로(46n), 이중명령검출회로(47n), 이상검출회로(48n), 정지제한검출회로(49n), 모터제어회로(50n), 이동래크 검출회로(51n) 및 모터구동기(52n)을 포함한다.
주제어회로(17)는 정지스위치(550)를 포함한다. 분산제어회로(231내지 23n)는 정지스위치들(551내지 55n)을 각각 포함한다. 이런 스위치들(550내지 55n)은 보통 폐쇄되어 있고, 접지와 전래크 정지 명령회로(41)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정지스위치(550내지 55n)들중 최소한 하나를 누르면 정지신호가 발생되고, 그 정지신호는 전래크 정지 명령회로(41)에 입력된다. 그 다음 전래크 정지 명령회로(41)는 정지신호를 모터제어회로(551내지 55n), 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36 및 431내지 43n)로 출력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접미사 n을 가지는 참고번호로 지정된 회로나 부재들은 전형적인 예로서 사용된 것이며,이것은 접미사(1 내지 n)를 갖는 회로나 부재는 유사하게 동작하기 때문이다.
전래크 정지명령회로(41)는 출력신호를 이중명령검출회로(39, 471내지 47n)및 이상 검출회로(40 내지 48n)로부터 수신하고,정지신호펄스를 소정의 모터제어회로(501내지 50n),소정의 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36, 431내지 43n)로 출력한다.
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36, 431내지 43n)는 개방명령스위치(540내지 54n)들이 눌러졌을 때 기동되고 개방명령신호를 출력한다.
통로폭제한스위치(530내지 53n)들은 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36, 431내지 43n)와 전원사이 배치된다. 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36 또는 43n)는 최소한 하나의 통로폭 제한스위치(531내지 53n)가 턴오프되었을 때 모터 제어회로(50₁내지 50n) 및 좌행이동 명령회로(44₁내지 44n)에 록킹신호를 제공한다. 특히, 통로 폭 제한스위치(530내지 53n)들은, 통로가 이동래크 사이에서 내정된 만큼 넓어졌을 때 및 래크(11, 12, 13₁ 내지 13n)사이에 배치된 스윙아암(swing arms)이 각각 규정각도로 회전할 때 턴오프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36)는, 개방명령스위치(540)가 턴온되었을 때, 개방 명령 신호를 우행이동 명령회로(37)에 제공한다. 그 다음, 우행이동 명령회로(37)는 우행이동신호를 분산제어회로(221)의 우행이동 명령회로(451) 및 모터제어회로(501)에 제공한다. 개방명령스위치(54n)가 턴온되었을 때, 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43n)는 개방명령신호를 좌행이동 명령회로(44n) 및 우행이동 명령 회로(45n)에 제공한다.
개방 명령 및 통로록킹회로(43n)로부터 개방명령신호를 수신할 때, 분산제어회로(22n)의 우행이동 명령회로는 우행이동 명령신호를 분산제어회로(22n)의 우행이동 명령회로(45n) 및 모터제어회로(50n)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431)로부터 개방명령신호를 수신할 때, 분산제어회로(221)의 좌행 이동 명령회로는 좌행이동 명령신호를 모터제어회로(501)에 제공한다.
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43n)로부터 개방명령신호를 수신할 때, 분산제어회로(22n)의 좌행이동 명령회로(44n)는 좌행이동신호를 모터제어신호(50n) 및 분산 제어회로(22n-1)의 좌행이동 명령회로(44n-1)에 제공한다. 좌행이동 명령회로(44n)는 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43n)로부터의 록킹신호에 따라 좌행이동 명령신호의 전송을 정지시킨다. 주제어회로(17) 및 분산제어회로(22n)로부터 제공된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명령신호를 검출했을 때, 전래크 이동 명령 검출회로(38 또는 46n)는 출력신호를 동작신호발생회로(42)에 제공한다. 이중명령검출회로(39 또는 47n)는 명령신호가 주제어회로(42)에 제공한다. 이중명령검출회로(39 또는 47n)는 명령신호가 주제어회로(17) 및 소정의 분산제어회로(22₁내지 22n)에 이중으로 발생되었는지를 검출하고, 출력신호를 전래크 정지명령회로(41)에 제공한다.
이상 검출회로(40)는 이동래크(12)의 이상상태를 검출하고, 출력신호를 전래크 정지 명령회로(41)에 제공한다. 각각의 이상검출회로(481내지 48n)는 각각의 이동래크(13₁내지 13n)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며, 출력신호를 전래크 정지명령회로(41)에 제공한다.
정지제한검출회로(49₁내지 49n)는 소정의 근접한 이동래크들(12, 13₁내지 13n)이 서로 접촉되었는지 검출하고, 출력신호를 모터제어회로(50₁내지 50n)에 각각 제공한다.
각각의 모터 구동기들 (52₁내지 52n)은 다수의 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그것에 의해서 이동래크들(12, 13₁내지 13n)이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우행이동 명령회로(37)로부터 우행이동 명령을 수신하면, 모터제어회로(501)는 모터구동기(521)를 기동시키며, 그 모터 구동기는 이동래크(12)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유사하게, 우행이동 명령회로(45n)로부터 우행이동 명령을 수신하면, 모터제어회로(50n)는 모터구동기(52n)를 기동시키며, 그 모터구동기는 이동래크(13n)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좌행이동 명령회로(44n)로부터의 좌행이동 명령에 따라서, 모터제어회로(50n)는 모터구동기(52n)를 기동시켜 모터가 역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이동래크(12 또는 13n)가 좌행이동하게 된다.
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36 또는 43n)로부터 록킹신호를 수신하면, 모터제어회로(50₁ 또는 50n)는 모터가 정지되고 이동래크(12 또는 13n)가 고정되도록 모터 구동기(52₁또는 50n)를 제어한다. 전래크 정지 명령회로(41) 및 정지제한검출회로(49₁또는 49n)로부터 출력신호에 따라서, 모터제어회로(50₁ 또는 50n)는 모터 및 이동래크(12 또는 13n)가 정지되도록 모터구동기(52₁ 또는 52n)를 제어한다.
이동래크 검출회로(51₁내지 51n)는 소정의 이동래크(12, 13₁ 내지 13n)가 모터에 의해서 이동되는지를 검출하고, 이동래크의 존재를 동작신호 발생회로(42)에 신호하며, 동작신호 발생회로(42)는, 전래크 이동 명령검출회로(38 내지 46n)로부터의 출력신호 및 이동래크의 존재에 따라서, 동작신호를 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36 내지 43n)출력한다. 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36 내지 43n)는, 일부 통로폭제한스위치(530내지 53n)가 동작신호발생회로(42)로부터의 동작신호에 의해서 턴오프될 때, 록킹신호를 출력한다.
모든 고정래크(11) 및 이동래크(12, 13₁내지 13n)가 서로 가깝게 접촉되어 있고, 래크 사이에는 통로가 없다고 가정한다. 이 상태하에서 개방명령스위치(540)가 턴온되면, 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36)는 개방명령신호를 우행이동 명령회로(37)에 제공하며,우행이동 명령회로(37)는 우행이동 명령신호를 우행이동 명령회로(451) 및 모터제어회로(521)에 제공한다. 우행이동 명령회로(451)는 우행이동 명령신호를 우행명령회로(452) 및 모터제어회로(502)에 제공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우행이동 명령회로(452)는 우행이동명령신호를 우행이동 명령회로(453) 및 모터제어회로(503)에 제공한다. 우행이동 명령회로(453)는 우행이동 명령신호를 회로(454) 및 모터제어회로(504)에 제공한다.
모터제어회로(50₁내지 50n)는 모터구동기(52₁내지 52n)를 각각 제어한다.
모터구동기(52₁내지 52n)는 이동래크(12,13₁내지 13n)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도록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통로는 고정래크(11) 및 이동래크(12)사이에 형성되고, 그것에 의해 동작공간이 제공된다. 이 통로가 내정된 값만큼 넓게 되었을 때, 통로폭 제한스위치가 턴오프된다. 그 다음, 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36)는 록킹신호를 모터제어회로(502) 및 좌행이동 명령회로(441)에 제공한다. 록킹신호에 따라서, 모터제어회로(501)는 모터구동기(521)를 제어하고, 모터 구동기는 이동래크(12)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모터를 정지시킨다.
그 후 개방명령스위치가 턴온되더라도 이동래크(12)는 고정되며 이동 할 수 없게된다.
이 상태하에서 다른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통로의 개방명령스위치가 턴온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개방명령스위치(541)를 누르면, 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431)는 우행이동 명령신호를 좌행이동 명령회로(441) 및 우행이동 명령회로(451)에 제공한다. 록킹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좌행이동 명령회로(441)는 개방명령신호를 수신하였더라도 좌행이동 명령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개방명령신호에 따라서, 우행이동 명령신호(451)는 우행이동 명령신호를 우행이동 명령회로(452) 및 모터제어회로(503)에 제공한다. 유사하게, 우행이동 명령회로(452)는 우행이동 명령신호를 우행이동 명령회로(453) 및 모터제어회로(503)에 제공한다.
우행이동 명령회로(453)는 신호를 우행이동 명령회로(454) 및 모터제어회로(504)에 전송한다.
모터제어회로(502)는 모터구동기(502)를 제어한다. 모터제어회로(503)는 모터구동기(523)를 제어한다. 모터구동기(50₂,523)는 각각 이동래크(13,13₂)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도록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이런 래크들의 우행이동은 주이동래크(12)와 이동래크(131) 사이에 통로를 형성시킨다. 통로가 내정된 값만큼 넓어지게 되면, 통로폭제한스위치(531)는 턴오프된다. 개방명령 및 통로록킹회로(431)는 록킹신호를 모터제어회로(502) 및 좌행이동명령회로(442)에 제공한다. 그다음, 모터제어회로(502)는 모터구동기(522)를 제어하고, 모터구동기는 이동래크(131)가 고정되도록 모터를 정지시킨다. 이동래크(131)는 개방명령 스위치(541)가 턴온되더라도 이동하지 않게 된다.
개방명령스위치(540내지 54n)의 선택적인 동작에 의해 이동래크(12,13₁내지 13n)가 선택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통로는 필요한 이동래크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7도에 제어기(19)의 주 루틴 순서도를 나타냈다.
제어기(19)는 기동되었을 때 초기화 및 입력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입력처리를 위해 제어기(19)는 인터페이스회로(21,23₁내지 23n) 및 통신제어회로(24)를 통해 분산제어회로(18,22₁내지 22n)로부터 이동래크(12,13₁내지 13n)의 동작상태 및 이상이나 고장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달리 말하면, 제어기(19)는 전원전압 및 분산제어회로(18,22₁내지 22n)로부터의 모터 과전류, 이중명령검출회로(47₁내지 47n)로부터 출력신호, 정지제한검출회로(49₁내지 49n)로부터 출력신호, 주제어회로(17)로부터 동작상태데이타 및 이상이나 및 고장데이타, 즉 전원 공급전압 및 이중명령검출회로(39)로부터 출력신호 및 전래크 정지 명령회로(41)로부터 출력신호에 관한 데이타를 수신한다.
그 다음, 제어기(19)는 자기-진단검사를 수행하고, 에러가 검출되면 전자표시부(16)상에 자기-진단 에러표시화면을 호출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어기(19)는 소정의 이동래크(12,13₁내지 13n)에 고장이 있는지 없는지를 검사한다.
고장이 있을 때, 제어기(19)는 고장표시를 나타내기 위하며 전자표시부(16)상에 고장표시화면(34)을 호출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어기(19)는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이 기동전에 내정된 시간 주기(예컨대, 10초)동안 시작표시화면을 호출한다.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이 기동되었을 때, 제어기(19)는 입력처리동안에 수신된 전원 데이타에 기초하여 전원이 턴온되었는지를 검사한다. 만약 전원이 오프상태이면, 제어기(19)는 전자표시부(16)에 전원의 무-기동을 표시한다. 전원이 온상태이면, 제어기(19)는 고장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고장이 있으면, 제어기(19)는 전자표시부(16)가 고장통보표시화면(32)에 고장을 나타내도록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어기(19)는 동작상태표시화면을 호출하고, 이동래크 시스템의 동작상태가 전자표시부(16)에 도시된다.
전자표시(16)상의 접촉식 스위치가 사용자의 의해서 조작되었을 때, 조작된 스위치와 관련된 신호는 제어기(19)에 입력된다. 제12도의 동작상태표시화면(31)에는 접촉스위치(56) MANUAL 및 접촉식 스위치(57) SYSTEM이 도시된다.
더욱이, 전자표시부(16)는 표시화면이 프로그램화 될 수 있고 원하는 바와같이 설계되어질수 있으며, 제어기(19)에 인가된 부하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형태이다. 표시화면도 원하는 바와같이 설계될 수 있다. MANUAL스위치(56)가 표시장치(619)상에서 작동될 때, 제어기(19)는 작동된 스위치와 연관된 신호를 수신하고 전자표시부(16)상에 수동명령표시화면(39)을 호출한다. SYSTEM스위치(57)가 작동되면, 연관된 신호가 제어기에 입력되고, 제어기(19)는 전자표시부(16)상에 모니터링 조건설정표시화면(38)을 호출한다. 이 표시화면(38)은 다수의 접촉식 스위치들을 갖는다. 표시화면(38) 상에서 작동된 스위치와 연관된 신호에 따라서, 제어기(19)는 모니터링 조건을 설정한다.
표시화면(34 내지 36)상의 접촉식 스위치들중 하나가 작동되었을 때, 제어기(19)는 스위치와 연관된 신호를 수신하고, 전자표시상(16)에 현재 주어진 화면보다 하위또는 상위의 화면을 호출한다. 이상통보표시화면(32,33)은 전자표시부(16)상의 관련된 스위치 작동에 의해서 호출된다.
본발명은 또한 중량급 이동래크를 포함하는 이동래크 시스템도 응용될 수 있다. 제18도는 그런 중량급 이동래크 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낸다. 고정래크(11a), 주이동래크(12a) 및 분산이동래크(13a1내지 13an)는 일렬로 배열된다. 고정래크(11a)는 제일 오른쪽에 위치하고, 이동래크는 이동 가능하게 왼쪽에 위치한다. 주이동래크(12a)는 주제어기판(14a)을 포함하고, 다른 이동 래크는 분산제어기판(15a1내지 15an)을 각각 포함한다. 주 이동래크(12a)는 모니터링 장치로서 전자표시부(16a)를 포함한다.

Claims (3)

  1. 다수의 이동래크사이에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어장치로부터의 개방명령에 따라 상기 다수의 이동래크가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다른 이동래크로부터 특정한 이동래크로 동작상태정보 및 이상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수단;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동작상태정보 및 이상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장치; 및 통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이동래크의 동작상태정보 및 이상정보를 표시장치에 나타내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표시장치는 접촉식 기판형이고, 제어수단은 표시장치가 대화식 모드에서 이동래크의 다양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나타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통신수단은 두 통신선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다중통신방식이며, 로직회로는 통신수단으로부터의 정보의 신호형태를 변환시켜 정보가 제어수단에 의해서 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
KR1019930001029A 1992-01-28 1993-01-28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KR0133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23692 1992-01-28
JP92-13236 1992-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272A KR930016272A (ko) 1993-08-26
KR0133952B1 true KR0133952B1 (ko) 1998-04-25

Family

ID=1182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029A KR0133952B1 (ko) 1992-01-28 1993-01-28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921780B2 (ko)
KR (1) KR0133952B1 (ko)
GB (1) GB2263792B (ko)
HK (1) HK181295A (ko)
TW (1) TW23408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725B1 (ko) * 2008-07-25 2010-08-30 현대제철 주식회사 냉각상 레크 운전 상태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3962B2 (ja) * 1994-11-04 1998-05-20 日本ファイリング株式会社 カルテファイル管理装置
JP4749066B2 (ja) * 2005-07-20 2011-08-17 金剛株式会社 電動式移動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609A (ja) * 1981-07-29 1983-02-04 Miura Eng Internatl Kk 燃料燃焼方法
JPS59125244U (ja) * 1983-02-14 1984-08-23 金剛株式会社 移動棚装置
JPS62229408A (ja) * 1986-03-31 1987-10-08 Yamatake Honeywell Co Ltd 警報内容識別表示方法
US4759592A (en) * 1986-09-08 1988-07-26 Spacesaver Corporation Movable storage unit control system with system resetting watchdog circuit
JP2611286B2 (ja) * 1987-12-07 1997-05-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複数機械の運転状況モニタ装置
JPH01240905A (ja) * 1988-03-22 1989-09-26 Toyota Motor Corp マルチ操作盤
JPH03270916A (ja) * 1990-03-20 1991-12-03 Sumitomo Heavy Ind Ltd 成形機の制御パネ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725B1 (ko) * 2008-07-25 2010-08-30 현대제철 주식회사 냉각상 레크 운전 상태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21780B2 (ja) 1999-07-19
TW234082B (ko) 1994-11-11
GB9301588D0 (en) 1993-03-17
GB2263792A (en) 1993-08-04
JPH05270619A (ja) 1993-10-19
KR930016272A (ko) 1993-08-26
HK181295A (en) 1995-12-08
GB2263792B (en) 1995-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952B1 (ko) 전동식 이동래크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JPS6248841B2 (ko)
EP1670713B1 (en) Display apparatus for conveyor
JP3037374U (ja) 電動式移動棚システムのモニタリング装置
JPH06293409A (ja) 電動式移動棚システムのモニタリング装置
KR0135649B1 (ko) 팬필터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11618840B (zh) 机器人系统
US5270947A (en) Fluid status detection system
JP3201623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ラインモニタ端末器
KR200422590Y1 (ko) 축소형 모자익 디지털 경보장치
KR200153866Y1 (ko) 시퀀스의 오동작 부위 판별장치
JP3213413B2 (ja) スイッチ信号検出回路
JP2565829B2 (ja) 制御システム
KR100213999B1 (ko) 설비제어장치
JPH03215187A (ja) サーボ制御装置
KR0157950B1 (ko)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제어 방법
KR880003413Y1 (ko) 메모리영역을 이용한 공작기계의 에러 검출표시장치
JP3017246B2 (ja) 自動ラインの異常表示装置
KR940000904Y1 (ko) 가변표시 전광판용 램프오픈 검지회로
KR100222926B1 (ko) 수치제어장치 및 수치제어장치의 통신상태 검사방법
JP2715126B2 (ja) 空調用機器の状態監視/制御回路
JPH046480B2 (ko)
JPH04162834A (ja) データ伝送の異常検出方式
JPH04338803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入出力ユニット
JPH0760322B2 (ja) プラント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