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866Y1 - 시퀀스의 오동작 부위 판별장치 - Google Patents

시퀀스의 오동작 부위 판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866Y1
KR200153866Y1 KR2019950053171U KR19950053171U KR200153866Y1 KR 200153866 Y1 KR200153866 Y1 KR 200153866Y1 KR 2019950053171 U KR2019950053171 U KR 2019950053171U KR 19950053171 U KR19950053171 U KR 19950053171U KR 200153866 Y1 KR200153866 Y1 KR 200153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equence
series
contact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3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5259U (ko
Inventor
진선윤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50053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866Y1/ko
Publication of KR9700452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52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8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퀸스회로 접점 입출력부의 순간오동작 부위를 판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서(SENSOR),터미널(TERMINAL), 접점부위의 순간적인 단선현상 발생시 이 부위를 신속하게 찾아낼 수 있는 시퀸스의 오동작 부위 판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퀸스의 오동작발생부위에 연결되는 접점입력부와, 자기유지를 위해 상기 접점입력부에 병렬로 결선되고, 타 릴레이의 전원측과 직렬로 결선되는 제1릴레이와, 상기 제1릴레이의 전원입력측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램프와, 상기 시퀸스의 직렬회로의 각 접점에 연결되는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입력부에 그 일단 이 직렬 접속되고, 타 릴레이와 병렬로 결선되는 제 2릴레이와, 상기 제2릴레이의 전원입력측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램프와, 상기 제2릴레이의 자기유지를 위한 푸쉬버튼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시퀸스의 오동작 부위 판별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제어동작시의 타이밍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회로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X1-X4 : 접점 입력부 X5-X8 : L1신호 입력부
K1-K4 : 24V릴레이 K5-K8 : 100V릴레이
LAMPO-LAMP8 : 램프 PB : 자기유지 푸쉬버튼
본 고안은 시퀸스회로 접점 입출력부의 순간오동작 부위를 판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서(SENSOR), 터미널(TERMINAL), 접점부위의 순간적인 단선현상 발생시 이 부위를 신속하게 찾아낼 수 있는 시퀸스의 오동작 부위 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공정설비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분산제어시스템 또는 공정 컴퓨터등을 이용하여 설비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필요한 품질의 제품을 얻고 있다.
이러한 공정제어시스템들은 각 설비로부터 검풀되는 각각의 데이타들을 운전실의 모니터 또는 지시장치와 같은 출력장치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운전자의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기억장치를 통하여 과거의 데이타들을 기록, 보존하고, 알람, 색상변경 등을 통하여 제어상태의 이상 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또한 편차제어장치에서는 목적한 설비의 운용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 설비로부터 출력되는 지시치와 설정치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된 두값(지시치와 설정치)의 편차만큼의 값을 프로세서에 피이드백함에 의하여, 각 설비가 일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공정제어에 있어서, 각 설비에 적합한 제어시스템을 사용하여야만 최상의 조건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중, 시퀸스제어를 이용하게 되는 설비의 운용에서는 공정별로 설치된 각종센서의 신호를 시퀸스판넬의 단속동작에 의하여 선택하여, 그 상황에 따른 접점을 단속함으로서, 상기 접점에 연결되는 타 전원에 영향을 끼쳐 다음 순차제어가 일어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접점들은 케이블로 운전실과 연결되어, 각 설비를 감시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공정제어동작의 일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로써,(ㄱ)도는 공정제어시스템의 검출주기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고, (ㄴ)도는 입력신호의 일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고, (ㄷ)도는 공정제어시스템에서의 검지유무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고, (ㄹ)도는 시퀸스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인데,(1)번과 같이 입력신호가 발생되었는데, 공정제어시스템에서는 이를 검출하지 못하고, 시퀸스에서는 이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시퀸스가 순차제어장치의 전원을 단속하게 되어 공정제어부는 원인불명의 설비이상 상태가 되며, 상기 이상부위를 찾아내기는 쉽지 않게 된다.
그리고 (2)번에서와 같이 공정제어시스템에서 감지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원인을 알수 있게 되어 신속한 조치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시퀸스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센서, 릴레이, 터미널등에서 발생하는 순간적인 오동작이나 실제 공정상태에 따라서 단선, 또는 단락상태가 발생하면, 이 접점에 의하여 기등되는 순차제어장치인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설비정지, 비상상태등이 발생하게 되어 공정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운전자가 상기 오동작부위 또는 단락, 단선부위를 찾아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설비별로 설치된 시퀸스회로중 오동작발생예 상부위에 설치되어 오동작발생에 따른 램프의 상태변화로서 오동작부위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시퀀스의 오동작 부위 판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여러 접점의 조건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시퀀스의 오동작 부위 판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의 오동작발생 예상부위에 연결되는 접점입력부와, 자기유지를 위해 상기 접점입력부에 병렬로 결선되고, 타 릴레이의 전원측과 직렬로 결선되는 제1릴레이와, 상기 제1릴레이의 전원입력측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램프와, 상기 시퀀스의 직렬회로의 각 접점에 연결되는 신호입력부와, 상기시 신호 입력부에 그 일단이 직렬 접속되고, 타 릴레이와 병렬로 결선되는 제1릴레이와, 상기 제2릴레이의 전원입력측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램프와, 상기 제2릴레이의 자기유지를 위한 푸쉬버튼을 구비함을 특징으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회로구성도로써, 전원선에 직렬연결되어 온/오프동작하는 파워스위치(SW)와, 상기 파워스위치(SW)가 온됨에 의하여 입력되는 고류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는 트랜스(TRANS)와, 상기 트랜스(TRANS)로부터 출력디는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전우너공급유무를 표시하는 파워램프(LAMPO)와, 오동작발생가능부위에 연결되는 접점입력부(X1-X4)와, 상기 접점입력부(X1-X4)에 병렬연결되고, 상기 전원공급부(21)로부터 공급되는 저전압에 의하여 동작하고, 자기유지회로부와 타릴레이 전원차단접점부를 구비하는 24V용량의 릴레이(K1-K4)와, 상기 각 릴레이(K1-K4)이 전원입력단에 직렬 연결되어 릴레이의 동작여부를 표시하는 램프(LAMP1-LAMP4)와, 여러접점의 조건이 직렬로 구성되어 하나의 출력을 내보내도록 구성되느 시퀀스의 오동작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입력부(X5-X8)에 직렬로 연결되는 110V용량의 릴레이(K5-K8)와, 상기 릴레이(K5-K8)의 자기유지를 위한 푸시버튼(PB)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서, 접점입력부(K1-K4)를 접점오동작 예상부위에 결선한 후 전원을 투입한다. 상기 교류전원은 전원공급부(1)에 구비되는 트랜스 및 정류기에 의하여 저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된다. 상기 전우너공급에 의하여 파워램프(LAMP0)가 점등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설비를 정상운전시킴에 있어서, 단락, 또는 단선이 발생하고, 그 오동작부위가 상기 접점입력부(X1-X4)중에 포함되면, 해당 접점이 단락되고, 상기 단락시점이 순간적일 지라도 상기 접점에 병렬연결되는 릴레이(K1-K4)에 전원이 공급된다. 해당 릴레이(K1-K4)가 온됨과 동시에 상기 릴레이에 직렬연결된 램프(LAMP1-LAMP4)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램프(LAMP1-LAMP4)가 점등된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K1-K4)에 구비되는 자기유지회로에 의하여 타 접점입력부(X1-X4)에서 단선 또는 단락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온된 릴레이(K1-K4)에 계속해서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여러접점의 조건이 직렬고 구성되는 경우에는, 신호입력부(X5-X8)를 시퀸스의 해당부위에 설치후, 푸쉬버튼(PB)를 누르면 자기유지회로에 의하여 상기 신호 입력부(X5-X8)에 연결되는 각 릴레이(X5-X8)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릴레이 (K5-K8)에 직렬연결되는 각 램프(LAMP5-LAMP8)가 점등된다. 상기 상태에서, 순간단선현상이 발생하면, 상기 단선부위의 후단에 설치되는 릴레이에 전우너공급이 차단되면서, 상기 릴레이가 오프되고, 그 릴레이에 직렬연결되는 램프가 소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오동작발생부위에 설치되어 시퀀스 회로중 공정제어시스템에서 검출하지 못하는 오동작부위를 쉽게 알 수 있도록 램프의 점등, 또는 소등에 의하여 표시함으로써, 신속하게 고장부위를 찾아 복구할 수 있고, 그로인하여 설비안정과 정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여러 접점의 조건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시퀀스의 오동작 부위 판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의 오동작발생 예상부위에 연결되는 접점입력부와, 자기유지를 위해 상기 접점입력부에 병렬로 결선되고, 타 릴레이의 전원측과 직렬로 결선되는 제1릴레이와, 상기 제1릴레이의 전원입력측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램프와, 상기 시퀀스의 직렬회로의 각 접점에 연결되는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 입력부에 그 일단이 직렬 접속되고, 타 릴레이와 병렬로 결선되는 제1릴레이와, 상기 제2릴레이의 전원입력측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2램프와, 상기 제2릴레이의 자기유지를 위한 푸쉬버튼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퀀스의 오동작부위 판별장치.
KR2019950053171U 1995-12-29 1995-12-29 시퀀스의 오동작 부위 판별장치 KR200153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171U KR200153866Y1 (ko) 1995-12-29 1995-12-29 시퀀스의 오동작 부위 판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171U KR200153866Y1 (ko) 1995-12-29 1995-12-29 시퀀스의 오동작 부위 판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259U KR970045259U (ko) 1997-07-31
KR200153866Y1 true KR200153866Y1 (ko) 1999-08-02

Family

ID=1944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3171U KR200153866Y1 (ko) 1995-12-29 1995-12-29 시퀀스의 오동작 부위 판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8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259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3866Y1 (ko) 시퀀스의 오동작 부위 판별장치
KR880006815A (ko) 고장구간 검출장치
US3246310A (en) Control and annunciator system
JP2503048B2 (ja) 電源装置の異常表示方式
US3495231A (en) Alarm system
US4951030A (en) Monitoring system
JP2854495B2 (ja) 防災監視装置の過電圧保護装置
JPS6356600B2 (ko)
JP2845696B2 (ja) 故障表示装置
JP3096301B2 (ja) 交流電源で駆動される被制御機器の制御装置
KR900002485Y1 (ko) 자동 소화장치의 제어회로
JP2549954B2 (ja) 発光ダイオードの駆動装置
KR910005915Y1 (ko) 시스템의 가동정지 메세지 분리장치
JPH09233736A (ja) 配電線開閉器用の子局装置
SU699446A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 источника питани
JPH0635636Y2 (ja) 異常状態監視装置
JPS6119332Y2 (ko)
KR100195965B1 (ko) 파워 실패 감시회로
JP3135711B2 (ja) ガス警報遮断中継アダプタ
KR200298557Y1 (ko) 오일필터의 동작감시장치
JPH0720799Y2 (ja) 警報保持機能付き警報盤
JP3155623B2 (ja) 地絡検出回路を備えたガス系消火設備
JPH04261326A (ja) 電源異常監視装置
JPH04136796U (ja) 監視装置
GB1596273A (en) Alarm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