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953B1 - 차량용 등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953B1
KR100858953B1 KR1020070035066A KR20070035066A KR100858953B1 KR 100858953 B1 KR100858953 B1 KR 100858953B1 KR 1020070035066 A KR1020070035066 A KR 1020070035066A KR 20070035066 A KR20070035066 A KR 20070035066A KR 100858953 B1 KR100858953 B1 KR 100858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emitting
light
emitting element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1154A (ko
Inventor
히데아키 나카자와
야스유키 가토
마사시 다츠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70101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21S41/148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5Surface emitters, e.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3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having two perpendicular cross sections having regular geometrical curves of a distinct n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7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regions other than high beam or low beam
    • F21W2102/18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regions other than high beam or low beam for overhead sig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광원 유닛을 이용하면서 등기구 전체로서의 피시인성을 향상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차량용 전조등(10)은 제1 반도체 발광 소자(22)로부터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제1 주(主) 리플렉터(26)를 구비하는 제1 유닛(20)과, 제2 반도체 발광 소자(42)로부터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제2 주 리플렉터(46)를 구비하는 제2 유닛(40)을 구비하며, 제1 유닛(20)의 발광 영역과 제2 유닛(40)의 발광 영역이 이격되도록 배치한다. 제1 유닛(20)과 제2 유닛(40) 사이에는 이들 제1 및 제2 유닛(40, 20)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받아 전방으로 조사하는 부가 광학 유닛(50)이, 부가 광학 유닛(50)의 발광 영역이 제1 유닛(20)의 발광 영역과 제2 유닛(40)의 발광 영역을 연결하여 전체로서 하나의 발광 영역으로 시인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등기구{VEHICULAR LAMP}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등기구의 II-II 화살표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차량용 등기구의 주요부 확대도.
도 4는 차량용 등기구의 피시인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 도 4a는 부가 광학 유닛을 설치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부가 광학 유닛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종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차량용 등기구의 정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차량용 등기구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용 전조등
12 : 투광 커버
14 : 램프 보디
15 : 지지 부재
15a, 15b : 지지면
16 : 익스텐션
20 : 제1 유닛
22 : 제1 반도체 발광 소자(제1 광원)
22a : 발광부
22b : 부착면
26 : 제1 주 리플렉터
40 : 제2 유닛
42 : 제2 반도체 발광 소자(제2 광원)
42a : 발광부
42b : 부착면
46 : 제2 주 리플렉터
50 : 부가 광학 유닛
51 : 제2 부가 리플렉터
53 : 제3 부가 리플렉터
55 : 제4 부가 리플렉터
57 : 제5 부가 리플렉터
본 발명은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광원 유닛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중합시켜 소정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안전상의 관점에서 높은 정밀도로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 배광 패턴은, 예컨대 반사경 또는 렌즈 등을 이용한 광학계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광원 유닛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중합시켜 소정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등기구도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종래의 차량용 등기구는 전방에서 경사 측방으로 개구된 세로로 긴 용기형의 램프 보디(210)의 전면 개구부에 측면측이 후방으로 만곡되는 투명한 전면 커버(211)가 조립되고, 전면측으로부터 측방이 만곡된 등실이 형성되어 있다. 등실 내에는 주행빔 및 로우빔 형성용의 반사식 램프 유닛(220)과, 투사식의 포그 램프 유닛(240)이 상하로 병설되어 있다.
램프 유닛(220)은 알루미늄 증착 처리가 실시된 포물면 형상의 합성 수지제 리플렉터(222)와, 이 리플렉터(222)의 후방 정상부에 형성된 벌브 삽입 부착 구멍(223)에 삽입 부착 고정된 광원인 벌브(230)로 구성되어 있다.
벌브(230)는 합성 수지제의 벌브 소켓(232)에 주행빔용의 필라멘트(236a)와 로우빔용의 필라멘트(236b)를 일체로 수용한 벌브 본체(236)가 일체화된 구조이다.
램프 유닛(240)은 램프 유닛(220)의 리플렉터(222)보다 구경이 작은 알루미늄 증착 처리가 실시된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거의 타원체 형상 리플렉터(242)와, 리플렉터(242)의 벌브 삽입 부착 구멍(243)에 삽입 부착된 광원인 벌브(250) 와, 리플렉터(242)의 전면 개구부에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원통형 렌즈 홀더(246)를 통해 일체화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인 투사 볼록 렌즈(248)로 구성되어 있다.
벌브(250)는 합성 수지제의 벌브 소켓(252)에 필라멘트(256a)를 수용한 벌브 본체(256)가 일체화된 구조이다.
램프 보디(210)의 전면 개구부로부터 전면 커버(211)의 내측을 따라 설치된 익스텐션 리플렉터(218)에는 램프 유닛(220)의 리플렉터(222) 및 램프 유닛(240)의 투사 볼록 렌즈(248)에 각각 대응하는 원형 개구부(218a, 218b)가 형성되어 있다. 익스텐션 리플렉터(218)의 표면에는 리플렉터(222, 242)와 동일한 알루미늄 증착 처리가 실시되어 있고, 램프 유닛(220, 240)의 둘레 가장자리 영역을 숨기는 동시에, 등실 전체를 단일의 경면색으로 보이게 해서 헤드 램프의 미관을 양호하게 하려는 시도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3187755호
그런데,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차량용 등기구에서는, 램프 유닛(220, 240) 사이에 조명이 아닌 부분(B)(도 8 중의 이점쇄선으로 둘러싼 부분)이 있기 때문에, 보행자 등은 램프 유닛(220, 240)을 따로따로 분리된 발광부로서 인식한다.
그 때문에, 복수의 광원 유닛인 램프 유닛(220, 24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중합시켜 소정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등기구는 등기구 전체로서 피시인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소함으로써, 복수의 광원 유닛을 이용하면서 등기구 전체로서의 피시인성을 향상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제1 광원과, 이 제1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제1 주(主) 리플렉터를 구비하는 제1 유닛과,
제2 광원과, 이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제2 주 리플렉터를 구비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닛의 발광 영역과 상기 제2 유닛의 발광 영역이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등기구로서,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사이에는, 상기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받아 전방으로 조사하는 부가 광학 유닛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부가 광학 유닛의 발광 영역이 상기 제1 유닛의 발광 영역과 상기 제2 유닛의 발광 영역을 연결하여 전체가 하나의 발광 영역으로 시인되도록 상기 부가 광학 유닛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성의 차량용 등기구에 따르면, 제1 유닛과 제2 유닛 사이에 부가 광학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이격되어 있는 제1 유닛의 발광 영역과 제2 유닛의 발광 영역이 부가 광학 유닛의 발광 영역에 의해 전체가 하나의 발광 영역으로 시인된다.
즉, 보행자 등은 복수의 광원 유닛을 하나의 발광부로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등기구 전체로서의 피인식성이 향상하여 안전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구성의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제1 광원 및 상기 제2 유닛의 제2 광원은 각각 제1 반도체 발광 소자 및 제2 반도체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차량용 등기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소비 전력이 작은 소형의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를 차량용 등기구의 광원으로 함으로써 한정된 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반도체 발광 소자의 부착면과 상기 제2 반도체 발광 소자의 부착면이 마주 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차량용 등기구에 따르면, 기판 등의 설치를 위해 일정한 공간이 필요하며, 통상은 발광되지 않는 제1 반도체 발광 소자의 부착면측과 제2 반도체 발광 소자의 부착면측을 마주 대하여, 그 공간부를 부가 광학 유닛에 의해 발광시킴으로써,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반도체 발광 소자의 조사축(照射軸)은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의 조사 방향과 거의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반도체 발광 소자의 조사축측에, 상기 제1 반도체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상기 부가 광학 유닛으로 반사하는 제2 부가 리플렉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반도체 발광 소자의 조사축측에, 상기 제2 반도체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상기 부가 광학 유닛으로 반사하는 제3 부가 리플렉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차량용 등기구에 따르면, 제1 반도체 발광 소자 및 제2 반도체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하나의 부가 광학 유닛으로 조사할 수 있다.
그래서, 부가 광학 유닛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부가 광학 유닛을 균일하게 발광시키기가 쉬워진다.
또한, 상기 구성의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부가 광학 유닛은 상기 제2 부가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하여 전방으로 조사하는 제4 부가 리플렉터와, 상기 제3 부가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하여 전방으로 조사하는 제5 부가 리플렉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차량용 등기구에 따르면, 예컨대 제4 부가 리플렉터로부터의 광을 위쪽으로 향하여 오버 헤드 사인을 비추는 조사광(오버 헤드 사인 조사광)을 확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배광 패턴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 광학 유닛은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받아 전방으로 조사하는 부가 리플렉터, 혹은 부가 리플렉터와 그 전방으로 배치된 도광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등기구의 II-II 화살표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차량용 등기구의 주요부 확대도이고, 도 4는 차량용 등기구의 피시인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 도 4a는 부가 광학 유닛을 설치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부가 광학 유닛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0)는, 예컨대 차량의 전단 부분에 부착되어 주행빔 및 로우빔을 선택적으로 전환하고 점등 및 소등 가능한 전조등이다. 도 1에서는, 예로서 자동차 등의 차량의 우측 전방에 부착되는 전조등 유닛(헤드램프 유닛)을 차량용 등기구(10)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 차량용 등기구(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투과성의 투광 커버(12)와, 램프 보디(등체)(1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투광 커버(12)와 램프 보디(14)로 둘러싸인 등실(10a) 내에 3개의 광원 유닛[제1 유닛(20), 제2 유닛(40), 제3 유닛(60)]이 지지 부재(15) 상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또한, 3개의 광원 유닛(20, 40, 60)과 투광 커버(12) 사이에는, 등기구 전방에서 보았을 때의 간극을 덮도록 익스텐션(16)이 배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15)는 제1 유닛(20)의 제1 광원인 제1 반도체 발광 소자(LED)(22)의 부착면(22b)이 부착되는 지지면(15a)과, 제2 유닛(40)의 제2 광원인 제2 반도체 발광 소자(LED)(42)의 부착면(42b)이 부착되는 지지면(15b)을 구비하고, 램프 보디(14)에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15)는 도시하지 않은 레벨링 기구를 통해 램프 보디(14)에 고정되어 있고, 각 광원 유닛의 광축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광원 유닛(20, 40, 6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0)는 제1 유닛(20) 및 제2 유닛(4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중합시켜 로우빔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며, 제3 유닛(6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주행빔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우선 제1 유닛(20)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유닛(20)은 후술하는 제2 유닛(40)과 함께 로우빔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광원 유닛이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동일한 구성의 3개의 서브 유닛(20a, 20b, 20c)이 지지 부재(15) 위쪽의 설치부에 폭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유닛(20a)[서브 유닛(20b, 20c)도 거의 동일함)은 지지 부재(15)의 지지면(15a)에 고정 배치되는 제1 광원으로서의 제1 반도체 발광 소자(22)와, 이 제1 반도체 발광 소자(22)로부터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제1 주 리플렉터(26)와, 지지 부재(15)의 전방으로 배치된 베이스 부재(21)와, 베이스 부재(21)에 유지된 투영 렌즈(24)를 구비한다.
제1 반도체 발광 소자(22)는 한변이 1 ㎜ 정도 크기의 정사각형인 발광부(발광 칩)(22a)를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로서, 그 조사축(L1)이 서브 유닛(20a)의 조사 방향(도 3중 좌측 방향)과 거의 수직이 되는 거의 수직 위쪽을 향한 상태로 지지 부재(15)의 지지면(15a) 상에 적재되어 있다. 또한, 발광부(22a)는 그 발광부 형상이나 전방으로 조사되는 배광에 따라 다소 각도를 주어 배치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하나의 반도체 발광 소자 내에 복수의 발광부(발광 칩)를 설치하여도 좋다.
제1 주 리플렉터(26)는 수직 단면 형상이 거의 타원 형상이며, 수평 단면 형상이 타원을 베이스로 한 자유 곡면 형상을 갖는 반사면(26a)이 내측에 형성된 반사 부재이다. 제1 주 리플렉터(26)는 그 제1 초점(F1)이 제1 반도체 발광 소자(22)의 발광부(22a) 근방이 되며, 그리고 그 제2 초점(F2)이 베이스 부재(21)의 만곡면(21a)과 수평면(21b)이 이루는 능선(21c) 근방에 위치하도록 설계 배치되어 있다.
제1 반도체 발광 소자(22)의 발광부(22a)로부터 출사된 광은 제1 주 리플렉터(26)의 반사면(26a) 상에서 반사되며, 제2 초점(F2) 근방을 통과하여 투영 렌즈(24)로 입사한다. 또한, 서브 유닛(20a)[서브 유닛(20b, 20c)]에서는, 베이스 부재(21)의 능선(21c)을 경계선으로 하여, 일부 광이 수평면(21b) 상에서 반사됨으로써, 광을 선택적으로 커팅하여 차량 전방으로 투영되는 배광 패턴에 경사 커트 오프 라인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능선(21c)은 서브 유닛(20a)[서브 유닛(20b, 20c)]의 명암 경계선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1 주 리플렉터(26)의 반사면(26a) 상에서 반사되며 또한 베이스 부재(21)의 수평면(21b)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도, 유효광으로서 전방으로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부재(21)에 있는 수평면(21b)의 차량 전방측은, 투영 렌즈(24)와 제1 주 리플렉터(26)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반사 각도가 설정된 광학적 형상을 갖고 있다.
투영 렌즈(24)는 제1 주 리플렉터(26)의 반사면(26a)에서 반사된 광을 차량 전방으로 투영하는 볼록 렌즈형의 비구면 렌즈로서, 베이스 부재(21)의 차량 전방 측 선단부 근방에서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영 렌즈(24)의 후방측 초점은 제1 주 리플렉터(26)의 제2 초점(F2)과 거의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주 리플렉터(26)에서 반사되어 투영 렌즈(24)에 입사한 광은 거의 평행한 광으로서 전방으로 투영된다. 즉, 본 실시예의 제1 유닛(20)의 서브 유닛(20a, 20b, 20c)은 각각 집광 커트 형성용의 반사형의 프로젝터형 광원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2 유닛(40)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유닛(40)은 전술한 제1 유닛(20)과 함께 로우빔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광원 유닛이며, 상기 서브 유닛(20a)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유닛(40)은 지지 부재(15)의 지지면(15b)에 고정 배치되는 제2 광원으로서의 제2 반도체 발광 소자(42)와, 이 제2 반도체 발광 소자(42)로부터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제2 주 리플렉터(46)를 구비한다.
제2 반도체 발광 소자(42)는 제1 반도체 발광 소자(22)와 동일하게 발광부(42a)를 갖는 백색 다이오드로서 그 조사축(L2)이 제2 유닛(40)의 조사 방향(도 3의 좌측 방향)과 거의 수직이 되는 거의 수직 아래쪽을 향한 상태로 지지 부재(15)의 지지면(15b) 상에 적재되어 있다.
제2 주 리플렉터(46)는 발광부(42a) 근방을 초점으로 하는 거의 회전 포물면을 기준면으로 한 반사면(46a)이 내측에 형성된 반사 부재이다. 제2 반도체 발광 소자(42)의 발광부(42a)로부터 출사된 광은 제2 주 리플렉터(46)의 반사면(46a) 상 에서 반사되어 차량 전방으로 조사된다. 즉, 본 실시예의 제2 유닛(40)은 반사형의 광원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3 유닛(60)은 주행빔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광원 유닛이며, 지지 부재(15)에 고정 배치되는 제3 광원으로서의 제3 반도체 발광 소자(도시하지 않음)와, 투영 렌즈(64)를 구비한다.
투영 렌즈(64)는 제3 반도체 발광 소자의 발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차량 전방으로 투영하는 볼록 렌즈형의 비구면 렌즈로서, 투영 렌즈(64)의 후방 초점이 제3 반도체 발광 소자의 발광부와 거의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따라서, 투영 렌즈(64)에는 제3 반도체 발광 소자의 발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직접 입사하며, 입사한 광이 거의 평행한 광으로서 광축을 따라 전방으로 투영된다. 즉, 본 실시예의 제3 유닛(60)은 직사형(直射刑)의 프로젝터형 광원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반도체 발광 소자(22)의 부착면(22b)과 제2 반도체 발광 소자(42)의 부착면(42b)이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발광 영역이 상하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1 유닛(20)과 제2 유닛(40) 사이에 부가 광학 유닛(50)이 설치된다.
이 부가 광학 유닛(5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가 광학 유닛(50)의 발광 영역이 제1 유닛(20)의 발광 영역(S1)과 제2 유닛(40)의 발광 영역(S2)을 연결하여 전체로서 하나의 발광 영역(S)으로 시인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반도체 발광 소자(22)의 조사축(L1)측에는 제1 반도체 발광 소 자(22)의 광원(22a)으로부터의 광을 부가 광학 유닛(50)으로 반사하는 제2 부가 리플렉터(51)가 마련되며, 제2 반도체 발광 소자(42)의 조사축(L2)측에는 제2 반도체 발광 소자(42)의 광원(42a)으로부터의 광을 부가 광학 유닛(50)으로 반사하는 제3 부가 리플렉터(53)가 마련된다.
또한, 부가 광학 유닛(50)은 제2 부가 리플렉터(51)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하여 전방으로 조사하는 제4 부가 리플렉터(55)와, 제3 부가 리플렉터(53)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하여 전방으로 조사하는 제5 부가 리플렉터(57)를 갖는다.
그래서, 제2 부가 리플렉터(51)는 제1 주 리플렉터(26)의 위쪽 전단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 반도체 발광 소자(22)의 광원(22a)으로부터의 광을 제4 부가 리플렉터(55)를 향해 반사한다. 또한, 제3 부가 리플렉터(53)는 제2 주 리플렉터(46)의 아래쪽 전단부에 배치되어, 제2 반도체 발광 소자(42)의 광원(42a)으로부터의 광을 제5 부가 리플렉터(57)를 향해 반사한다.
본 실시예의 제4 부가 리플렉터(55)의 반사면은 수직 단면이 거의 타원계이고, 수평 단면이 거의 쌍곡계로 형성되어 차량 전방으로 조사하는 광이 확산광이 되는 동시에, 제4 부가 리플렉터(55)로부터의 광을 위쪽으로 향하여 오버 헤드 사인을 비추는 조사광(오버 헤드 사인 조사광)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본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0)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유닛(20)과 제2 유닛(40) 사이에 부가 광학 유닛(50)을 설치함으로써, 이격되어 있는 제1 유닛(20)의 발광 영역(S1)과 제2 유닛(40)의 발광 영역(S2)이 부가 광학 유닛(50)의 발광 영역에 의해 전체가 하나의 발광 영역(S)으로 시인된다. 즉,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닛(20)과 제2 유닛(40) 사이에 부가 광학 유닛(50)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 보행자 등은 제1 유닛(20)의 발광 영역(S1)과 제2 유닛(40)의 발광 영역(S2)을 따로따로 분리된 발광부로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0)에 따르면, 보행자 등은 복수의 광원 유닛인 제1 유닛(20)과 제2 유닛(40)을 하나의 발광부로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등기구 전체의 피인식성이 향상되어 안전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0)에 있어서는, 제1 유닛(20)의 제1 광원 및 제2 유닛(40)의 제2 광원이 각각 제1 반도체 발광 소자(22) 및 제2 반도체 발광 소자(42)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소비 전력이 작은 소형의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22, 42)를 차량용 등기구(10)의 광원으로 함으로써 한정된 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량용 등기구의 제1 광원, 제2 광원 및 제3 광원은 방전 발광부를 광원으로 하는 메탈 할라이드 벌브 등의 방전 벌브나 할로겐 벌브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유닛(20)과 제2 유닛(40)은 제1 반도체 발광 소자(22)의 부착면(22b)과 제2 반도체 발광 소자(42)의 부착면(42b)이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기판 등의 설치를 위해 일정한 공간이 필요해지며, 통상은 발광되지 않는 제1 반도체 발광 소자(22)의 부착면(22b)측과 제2 반도체 발광 소자(42)의 부 착면(42b)측을 마주 대하여, 그 공간부를 부가 광학 유닛(50)으로 발광시킴으로써, 제1 유닛(20)과 제2 유닛(40)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0)에 있어서의 부가 광학 유닛(50)은 제2 부가 리플렉터(51)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하여 전방으로 조사하는 제4 부가 리플렉터(55)와, 제3 부가 리플렉터(53)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하여 전방으로 조사하는 제5 부가 리플렉터(57)를 갖는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4 부가 리플렉터(55)로부터의 광을, 위쪽을 향하여 오버 헤드 사인을 비추는 조사광(오버 헤드 사인 조사광)을 확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배광 패턴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의 제1 유닛, 제2 유닛 및 부가 광학 유닛 등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0)와 거의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2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7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 커버(12)와 램프 보디(14)로 둘러싸이는 등실(70a) 내에 제1 유닛(80) 및 제2 유닛(90)이 지지 부재(75) 상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75)는 제1 유닛(80)의 제1 광원인 제1 반도체 발광 소자(LED)(72)의 부착면(72b)이 부착되는 지지면(75a)과, 제2 유닛(90)의 제2 광원인 제2 반도체 발광 소자(LED)(92)의 부착면(92b)이 부착되는 지지면(75b)을 구비하고, 램프 보디(14)에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75)는 도시하지 않은 레벨링 기구를 통해 램프 보디(14)에 고정되어 있고, 각 광원 유닛의 광축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70)는 제1 유닛(80) 및 제2 유닛(9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중합시켜 주행빔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유닛(80)은 지지 부재(75)의 지지면(75a)에 고정 배치되는 제1 광원으로서의 제1 반도체 발광 소자(72)와, 상기 제1 반도체 발광 소자(72)로부터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제1 주 리플렉터(76)를 구비한다.
제1 반도체 발광 소자(72)는 발광부(72a)를 갖는 백색 다이오드로서, 그 조사축(L1)이 제1 유닛(80)의 조사 방향(도 5 중 좌측 방향)과 거의 수직이 되는 거의 수직 위쪽을 향한 상태로 지지 부재(75)의 지지면(75a) 상에 적재되어 있다.
제1 주 리플렉터(76)는 발광부(72a) 근방을 초점으로 하는 거의 회전 포물면을 기준면으로 한 반사면(76a)이 내측으로 형성된 반사 부재이다. 제1 반도체 발광 소자(72)의 발광부(72a)로부터 출사된 광은 제1 주 리플렉터(76)의 반사면(76a) 상에서 반사되어, 차량 전방으로 조사된다. 즉, 본 실시예의 제1 유닛(80)은 반사형의 광원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제2 유닛(90)은 전술한 제1 유닛(80)과 함께 주행빔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광원 유닛이며, 상기 제1 유닛(8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유닛(90)은 지지 부재(75)의 지지면(75b)에 고정 배치되는 제2 광원으로서의 제2 반도체 발광 소자(92)와, 이 제2 반도체 발광 소자(92)로부터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제2 주 리플렉터(96)를 구비한다.
제2 반도체 발광 소자(92)는 제1 반도체 발광 소자(72)와 동일하게 발광부(92a)를 갖는 백색 다이오드로서, 그 조사축(L2)이 제2 유닛(90)의 조사 방향(도 5 중 좌측 방향)과 거의 수직이 되는 거의 수직 아래쪽을 향한 상태로 지지 부재(75)의 지지면(75b) 상에 적재되어 있다.
제2 주 리플렉터(96)는 발광부(92a) 근방을 초점으로 하는 거의 회전 포물면을 기준면으로 한 반사면(96a)이 내측에 형성된 반사 부재이다. 제2 반도체 발광 소자(92)의 발광부(92a)로부터 출사된 광은 제2 주 리플렉터(96)의 반사면(96a) 상에서 반사되며, 차량 전방으로 조사된다. 즉, 본 실시예의 제2 유닛(90)은 반사형의 광원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반도체 발광 소자(72)의 부착면(72b)과 제2 반도체 발광 소자(92)의 부착면(92b)이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발광 영역이 상하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1 유닛(80)과 제2 유닛(90) 사이에 부가 광학 유닛(100)이 설치된다.
이 부가 광학 유닛(100)은, 이 부가 광학 유닛(100)의 발광 영역이 제1 유닛(80)의 발광 영역과 제2 유닛(90)의 발광 영역을 연결하여 전체가 하나의 발광 영역으로 시인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반도체 발광 소자(72)의 조사축(L1)측에는 제1 반도체 발광 소자(72)의 광원(72a)으로부터의 광을 부가 광학 유닛(100)으로 반사하는 제2 부가 리플렉터(78)가 마련되며, 제2 반도체 발광 소자(92)의 조사축(L2)측에는 제2 반도 체 발광 소자(92)의 광원(92a)으로부터의 광을 부가 광학 유닛(100)으로 반사하는 제3 부가 리플렉터(98)가 마련된다.
또한, 부가 광학 유닛(100)은 제2 부가 리플렉터(78)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하여 전방으로 조사하는 제4 부가 리플렉터(102)와, 제3 부가 리플렉터(98)에서 반사한 광을 반사하여 전방으로 조사하는 제5 부가 리플렉터(104)를 갖는다.
그래서, 제2 부가 리플렉터(78)는 제1 주 리플렉터(76)의 위쪽 전단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 반도체 발광 소자(72)의 광원(72a)으로부터의 광을 제4 부가 리플렉터(102)를 향해 반사한다. 또한, 제3 부가 리플렉터(98)는 제2 주 리플렉터(96)의 아래쪽 전단부에 배치되며, 제2 반도체 발광 소자(92)의 광원(92a)으로부터의 광을 제5 부가 리플렉터(104)를 향해 반사한다.
전술한 본 제2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70)에 따르면, 상기 제1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0)와 동일하게, 제1 유닛(80)과 제2 유닛(90) 사이에 부가 광학 유닛(100)을 설치함으로써, 이격되어 있는 제1 유닛(80)의 발광 영역과 제2 유닛(40)의 발광 영역이 부가 광학 유닛(100)의 발광 영역에 의해 전체가 하나의 발광 영역으로 시인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70)에 따르면, 보행자 등은 복수의 광원 유닛인 제1 유닛(80)과 제2 유닛(90)을 하나의 발광부로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등기구 전체로서의 피인식성이 향상되어 안전성이 높아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0)와 거의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3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1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 커버(12)와 램프 보디(14)로 둘러싸인 등실(110a) 내에 제1 유닛(120) 및 제2 유닛(140)이 지지 부재(135) 및 지지 부재(136) 상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135)는 제1 유닛(120)의 제1 광원인 제1 반도체 발광 소자(LED)(112)의 부착면(112b)이 부착되는 지지면(135a)을 구비하고, 램프 보디(14)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136)는 제2 유닛(140)의 제2 광원인 제2 반도체 발광 소자(LED)(142)의 부착면(142b)이 부착되는 지지면(136a)을 구비하고, 램프 보디(14)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지지 부재(135, 136)는 도시하지 않는 레벨링 기구를 통해 램프 보디(14)에 고정되어 있고, 각 광원 유닛의 광축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10)는 제1 유닛(120) 및 제2 유닛(14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중합시켜 로우빔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유닛(12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35)의 지지면(135a)에 고정 배치되는 제1 광원으로서의 제1 반도체 발광 소자(112)와, 이 제1 반도체 발광 소자(112)로부터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제1 주 리플렉터(116)와, 지지 부재(135)의 전방에 배치된 베이스 부재(121)와, 베이스 부재(121)에 유지된 투영 렌즈(124)를 구비한다.
제1 반도체 발광 소자(112)는 한변이 1 ㎜ 정도의 크기인 정사각형 발광부(발광 칩)(112a)를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로서, 그 조사축(L1)이 제1 유닛(120) 의 조사 방향(도 6 중 좌측 방향)과 거의 수직이 되는 거의 수직 위쪽을 향한 상태로 지지 부재(135)의 지지면(135a) 상에 적재되어 있다. 또한, 발광부(112a)는 그 발광부 형상이나 전방으로 조사되는 배광에 따라 다소 각도를 주어 배치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제1 주 리플렉터(116)는, 수직 단면 형상이 거의 타원 형상이며, 수평 단면 형상이 타원을 베이스로 한 자유 곡면 형상을 갖는 반사면(116a)이 내측에 형성된 반사 부재이다. 제1 주 리플렉터(116)는 그 제1 초점(F1)이 제1 반도체 발광 소자(112)의 발광부(112a) 근방이 되며, 그 제2 초점(F2)이 베이스 부재(121)의 만곡면(121a)과 수평면(121b)이 이루는 능선(121c) 근방에 위치하도록 설계 배치되어 있다.
제1 반도체 발광 소자(112)의 발광부(112a)로부터 출사된 광은 제1 주 리플렉터(116)의 반사면(116a) 상에서 반사되어, 제2 초점(F2) 근방을 통과하여 투영 렌즈(124)에 입사한다. 또한, 제1 유닛(120)에서는, 베이스 부재(121)의 능선(121c)을 경계선으로 하여, 일부 광이 수평면(121b) 상에서 반사됨으로써, 광을 선택적으로 커팅하여 차량 전방으로 투영되는 배광 패턴에 경사 커트 오프 라인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능선(121c)은 제1 유닛(120)의 명암 경계선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1 주 리플렉터(116)의 반사면(116a) 상에서 반사되며, 또한 베이스 부재(121)의 수평면(121b)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도, 유효광으로서 전방으로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부재(121)의 수평면(121b) 의 차량 전방측은 투영 렌즈(124)와 제1 주 리플렉터(116)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반사 각도가 설정된 광학적 형상을 갖고 있다.
투영 렌즈(124)는 제1 주 리플렉터(116)의 반사면(116a)에서 반사된 광을 차량 전방으로 투영하는 볼록 렌즈형의 비구면 렌즈로서, 베이스 부재(121)의 차량 전방측 선단부 근방에서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영 렌즈(124)의 후방측 초점은 제1 주 리플렉터(116)의 제2 초점(F2)과 거의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주 리플렉터(116)에서 반사되어 투영 렌즈(124)에 입사한 광은 거의 평행한 광으로서 전방으로 투영된다. 즉, 본 실시예의 제1 유닛(120)은 집광 커트 형성용의 반사형의 프로젝터형 광원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제2 유닛(14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36)의 지지면(136a)에 고정 배치되는 제2 광원으로서의 제2 반도체 발광 소자(142)와, 이 제2 반도체 발광 소자(142)부터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제2 주 리플렉터(146)와, 지지 부재(136)의 전방에 배치된 베이스 부재(141)와, 베이스 부재(141)에 유지된 투영 렌즈(144)를 구비한다.
제2 반도체 발광 소자(142)는, 상기 제1 반도체 발광 소자(112)와 동일하게 발광부(발광 칩)(142a)를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로서, 그 조사축(L2)이 제2 유닛(140)의 조사 방향(도 6 중 좌측 방향)과 거의 수직이 되는 거의 수직 위쪽으로 향한 상태로 지지 부재(136)의 지지면(136a) 상에 적재되어 있다. 또한, 발광부(142a)는 그 발광부 형상이나 전방으로 조사되는 배광에 따라 다소 각도를 주어 배치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제2 주 리플렉터(146)는 수직 단면 형상이 거의 타원 형상이며, 수평 단면 형상이 타원을 베이스로 한 자유 곡면 형상을 갖는 반사면(146a)이 내측에 형성된 반사 부재이다. 제2 주 리플렉터(146)는 그 제1 초점(F1)이 제2 반도체 발광 소자(142)의 발광부(142a) 근방이 되며, 그 제2 초점(F2)이 베이스 부재(141)의 만곡면(141a)과 수평면(141b)이 이루는 능선(141c) 근방에 위치하도록 설계 배치되어 있다.
제2 반도체 발광 소자(142)의 발광부(142a)로부터 출사된 광은 제2 주 리플렉터(146)의 반사면(146a) 상에서 반사되어, 제2 초점(F2) 근방을 통과하여 투영 렌즈(144)에 입사한다. 또한, 제2 유닛(140)에서는 베이스 부재(141)의 능선(141c)을 경계선으로 하여, 일부 광이 수평면(141b) 상에서 반사됨으로써, 광을 선택적으로 커팅하여 차량 전방으로 투영되는 배광 패턴에 경사 커트 오프 라인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능선(141c)은 제2 유닛(140)의 명암 경계선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2 주 리플렉터(146)의 반사면(146a) 상에서 반사되며 또한 베이스 부재(141)의 수평면(141b)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도, 유효광으로서 전방으로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부재(141)의 수평면(141b)의 차량 전방측은 투영 렌즈(144)와 제2 주 리플렉터(146)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반사 각도가 설정된 광학적 형상을 갖고 있다.
투영 렌즈(144)는 제2 주 리플렉터(146)의 반사면(146a)에서 반사된 광을 차 량 전방으로 투영하는 볼록 렌즈형의 비구면 렌즈로서, 베이스 부재(141)의 차량 전방측 선단부 근방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영 렌즈(144)의 후방측 초점은 제2 주 리플렉터(146)의 제2 초점(F2)과 거의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주 리플렉터(146)에서 반사되어 투영 렌즈(144)에 입사한 광은 거의 평행한 광으로서 전방으로 투영된다. 즉, 본 실시예의 제2 유닛(140)은 집광 커트 형성용의 반사형의 프로젝터형 광원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제3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반도체 발광 소자(112)의 부착면(112b)과 제2 반도체 발광 소자(142)의 부착면(142b)이 동일하게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발광 영역이 상하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1 유닛(120)과 제2 유닛(140) 사이에 부가 광학 유닛(150)이 설치된다.
이 부가 광학 유닛(150)은, 이 부가 광학 유닛(150)의 발광 영역이 제1 유닛(120)의 발광 영역과 제2 유닛(140)의 발광 영역을 연결하여 전체가 하나의 발광 영역으로 시인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반도체 발광 소자(112)의 조사축(L1)측에는 제1 반도체 발광 소자(112)의 광원(112a)으로부터의 광을 부가 광학 유닛(150)으로 반사하는 제2 부가 리플렉터(118)를 구비하며, 제2 반도체 발광 소자(142)의 조사축(L2)측에는 제2 반도체 발광 소자(142)의 광원(142a)으로부터의 광을 부가 광학 유닛(150)으로 반사하는 제3 부가 리플렉터(148)를 구비한다.
또한, 부가 광학 유닛(150)은 제2 부가 리플렉터(118) 및 제3 부가 리플렉터(148)에서 각각 반사된 광을 반사하여 전방으로 조사하는 제6 부가 리플렉 터(151)를 갖는다.
그래서, 제2 부가 리플렉터(118)는 제1 주 리플렉터(116)의 위쪽 전단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 반도체 발광 소자(112)의 광원(112a)으로부터의 광을 제6부가 리플렉터(151)를 향해 반사한다. 또한, 제3 부가 리플렉터(148)는 제2 주 리플렉터(146)의 위쪽 전단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2 반도체 발광 소자(142)의 광원(142a)으로부터의 광을 제6 부가 리플렉터(151)를 향해 반사한다.
전술한 제3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10)에 따르면, 상기 제1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0)와 동일하게, 제1 유닛(120)과 제2 유닛(140) 사이에 부가 광학 유닛(150)을 설치함으로써, 이격되어 있는 제1 유닛(120)의 발광 영역과 제2 유닛(140)의 발광 영역이 부가 광학 유닛(150)의 발광 영역에 의해 전체가 하나의 발광 영역으로 시인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10)에 따르면, 제1 반도체 발광 소자(112) 및 제2 반도체 발광 소자(142)로부터의 광을 하나의 제6 부가 리플렉터(151)에 조사할 수 있다.
그래서, 부가 광학 유닛(150)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부가 광학 유닛(150)을 균일하게 발광시키기가 쉬어진다.
따라서, 본 제3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10)에 따르면, 보행자 등은 복수의 광원 유닛인 제1 유닛(120)과 제2 유닛(140)을 하나의 발광부로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등기구 전체로서의 피인식성이 향상되어 안전성이 높아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본 제4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6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 커버(12)와 램프 보디(14)로 둘러싸인 등실(160a) 내에 부가 광학 유닛(170)을 구성하는 도광체인 확산 부재(175)를 추가한 것 이외에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0)와 거의 같은 구성이다. 그래서, 상기 제1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0)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4 실시예에 따른 부가 광학 유닛(170)은 제2 부가 리플렉터(51)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하여 전방으로 조사하는 제4 부가 리플렉터(55)와, 제3 부가 리플렉터(53)로써 반사한 광을 반사하여 전방으로 조사하는 제5 부가 리플렉터(57)와, 제4 부가 리플렉터(55) 및 제5 부가 리플렉터(57)가 반사시킨 광을 확산시키는 제1 확산부(171) 및 제2 확산부(172)를 구비한 확산 부재(175)를 갖는다.
그래서, 제4 부가 리플렉터(55)가 반사시킨 광은 확산 부재(175)의 제1 확산부(171)에 의해 확산 조사되며, 제5 부가 리플렉터(57)가 반사시킨 광은 확산 부재(175)의 제2 확산부(172)에 의해 확산 조사된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부가 광학 유닛은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차량용 등기구(10, 70, 110)와 같이,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받아 전방으로 조사하는 제4 부가 리플렉터 및 제5 부가 리플렉터 등의 부가 리플렉터만으로 구성하거나, 부가 리플렉터와 그 전방에 배치된 확산 부재 등의 도광체로 구성하거나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에 따르면, 제1 유닛과 제2 유닛 사이에 부가 광학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이격되어 있는 제1 유닛의 발광 영역과 제2 유닛의 발광 영역이 부가 광학 유닛의 발광 영역에 의해 전체가 하나의 발광 영역으로 시인되기 때문에, 보행자 등은 복수의 광원 유닛을 하나의 발광부로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광원 유닛을 이용하면서 등기구 전체로서의 피시인성을 향상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제1 광원과, 이 제1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제1 주(主) 리플렉터를 구비하는 제1 유닛과,
    제2 광원과, 이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제2 주 리플렉터를 구비하는 제2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닛의 발광 영역과 상기 제2 유닛의 발광 영역이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등기구로서,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사이에는, 이들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받아 전방으로 조사하는 부가 광학 유닛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부가 광학 유닛의 발광 영역이 상기 제1 유닛의 발광 영역과 상기 제2 유닛의 발광 영역을 연결하여 전체로서 하나의 발광 영역으로 시인되도록, 상기 부가 광학 유닛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유닛과 함께 로우빔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제1 광원 및 상기 제2 유닛의 제2 광원은 각각 제1 반도체 발광 소자 및 제2 반도체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반도체 발광 소자의 부착면과 상기 제2 반도체 발광 소자의 부착면이 마주 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반도체 발광 소자의 조사축(照射軸)은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의 조사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반도체 발광 소자의 조사축측에, 상기 제1 반도체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상기 부가 광학 유닛으로 반사하는 제2 부가 리플렉터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반도체 발광 소자의 조사축측에, 상기 제2 반도체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상기 부가 광학 유닛으로 반사하는 제3 부가 리플렉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광학 유닛은, 상기 제2 부가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하여 전방으로 조사하는 제4 부가 리플렉터와, 상기 제3 부가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하여 전방으로 조사하는 제5 부가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KR1020070035066A 2006-04-11 2007-04-10 차량용 등기구 KR100858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09060 2006-04-11
JPJP-P-2006-00109060 2006-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154A KR20070101154A (ko) 2007-10-16
KR100858953B1 true KR100858953B1 (ko) 2008-09-18

Family

ID=3853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066A KR100858953B1 (ko) 2006-04-11 2007-04-10 차량용 등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36039B2 (ko)
KR (1) KR100858953B1 (ko)
CN (1) CN100593095C (ko)
DE (1) DE102007016294B4 (ko)
FR (1) FR29024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9565B2 (ja) * 2007-12-14 2012-07-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2009158386A (ja) * 2007-12-27 2009-07-16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5150336B2 (ja) * 2008-03-28 2013-02-2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Ledランプ
CN102187485B (zh) * 2008-10-15 2013-07-03 株式会社小糸制作所 发光模块、发光模块的制造方法及灯具单元
CN102187478B (zh) * 2008-10-17 2013-06-05 株式会社小糸制作所 发光模块、发光模块的制造方法及灯具单元
JP5460201B2 (ja) 2008-11-11 2014-04-0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5352263B2 (ja) 2009-02-06 2013-11-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5344957B2 (ja) * 2009-03-03 2013-11-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US20100246203A1 (en) * 2009-03-27 2010-09-30 North American Light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exterior lighting of vehicles
JP2010238604A (ja) 2009-03-31 2010-10-21 Koito Mfg Co Ltd 発光素子モジュール化部材および灯具ユニット
JP2010262750A (ja) * 2009-04-30 2010-11-18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5309411B2 (ja) * 2009-05-22 2013-10-0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5435213B2 (ja) * 2009-05-22 2014-03-0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2011040247A (ja) * 2009-08-10 2011-02-24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WO2012011947A1 (en) * 2010-07-20 2012-01-26 Magna International Inc. Hybrid projector led low beam headlamp
JP5714346B2 (ja) * 2011-01-27 2015-05-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DE102011004569A1 (de) * 2011-02-23 2012-08-23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Zum Einbau in einem Kraftfahrzeug vorgesehene Beleuchtungseinrichtung
US8851723B2 (en) * 2011-05-19 2014-10-07 Dialight Corporation LED reflector optic for an automotive headlight
JP5831788B2 (ja) * 2011-07-01 2015-12-0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ユニット
KR20130095051A (ko) * 2012-02-17 2013-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US9133999B2 (en) * 2012-03-19 2015-09-15 Ichikoh Industries, Ltd. Vehicle headlamp
DE102012006505A1 (de) * 2012-03-29 2013-10-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 Ges. d. Staates Delaware) Streulichtscheibe für einen Scheinwerfer
US8894257B2 (en) * 2012-05-17 2014-11-25 Osram Sylvania Inc. Headlamp featuring both low-beam and high-beam outputs and devoid of moving parts
US9476556B2 (en) * 2013-01-04 2016-10-25 Honda Motor Co., Ltd. Vehicle headlight assembly
US10502899B2 (en) * 2013-03-15 2019-12-10 Ideal Industries Lighting Llc Outdoor and/or enclosed structure LED luminaire
JP6271181B2 (ja) * 2013-08-06 2018-01-3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FR3011311B1 (fr) * 2013-09-27 2018-05-2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clairage a deux fonctions d'eclairement assurees par un meme groupe de source(s) de lumiere et des fuites de lumiere
JP6380846B2 (ja) * 2014-02-24 2018-08-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照明装置を有する自動車
FR3022011A1 (fr) * 2014-06-06 2015-12-11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pour la realisation d'une fonction de signalisation et/ou d'eclairage d'un vehicule automobile
EP3179158A4 (en) 2014-08-07 2018-03-21 Koito Manufacturing Co., Ltd. Lamp for vehicles
CN105584566B (zh) * 2014-10-24 2021-09-24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速克达型车辆
TWI588403B (zh) 2015-01-05 2017-06-21 隆達電子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車頭燈
US10281104B2 (en) * 2017-04-04 2019-05-07 Chian Yih Optotech Co., Ltd. Light-projecting device
EP3608170A1 (en) * 2018-08-06 2020-02-12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ular illumination device
CN216556935U (zh) * 2018-12-20 2022-05-17 亮锐有限责任公司 用于反射灯具的光源、用于汽车的反射灯具和汽车前照灯
JP7291584B2 (ja) * 2019-09-17 2023-06-1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1010A (ja) * 1997-10-03 1999-04-23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KR100210299B1 (ko) * 1995-12-29 1999-07-15 류정열 자동차의 헤드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2895C3 (de) * 1977-07-21 1981-09-10 Ford-Werke Ag, 5000 Koeln Scheinwerfer,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19526023A1 (de) * 1995-07-17 1997-01-23 Daimler Benz Ag Scheinwerfer
JP4080780B2 (ja) * 2002-04-23 2008-04-2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光源ユニット
AT500750B8 (de) 2003-06-06 2007-02-15 Zizala Lichtsysteme Gmbh Fahrzeugscheinwerfer
JP4044024B2 (ja) * 2003-09-29 2008-02-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4053489B2 (ja) 2003-11-04 2008-02-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DE102004009790A1 (de) * 2004-02-28 2005-09-15 Daimlerchrysler Ag Fahrzeuglichtanlage mit Fahr- und Begrenzungslicht
JP2005332640A (ja) 2004-05-18 2005-12-02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0299B1 (ko) * 1995-12-29 1999-07-15 류정열 자동차의 헤드 램프
JPH11111010A (ja) * 1997-10-03 1999-04-23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02495A1 (fr) 2007-12-21
DE102007016294B4 (de) 2009-04-02
FR2902495B1 (fr) 2016-01-29
CN100593095C (zh) 2010-03-03
CN101055066A (zh) 2007-10-17
KR20070101154A (ko) 2007-10-16
US20070236953A1 (en) 2007-10-11
DE102007016294A1 (de) 2007-10-25
US7736039B2 (en)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953B1 (ko) 차량용 등기구
CN107435884B (zh) 车辆用灯具
KR100706061B1 (ko) 차량용 조명 등기구
KR101186723B1 (ko) 차량용 등기구
JP4771723B2 (ja) 車両用灯具
KR100570480B1 (ko) 차량용 전조등
KR100570481B1 (ko) 차량용 전조등
US7201506B2 (en) Vehicular headlamp with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s and electric discharge bulb
JP2007305575A (ja) 車両用灯具
KR20030084634A (ko) 광원 유닛
JP2008251243A (ja) 車輌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CN109386807B (zh) 车辆用灯具
US10612743B2 (en) Vehicle lamp
JP4784570B2 (ja) 車両用灯具
JP4654979B2 (ja) 車両用灯具
EP2075500A2 (en) Vehicle headlamp
EP2075501A2 (en) Vehicle headlamp
EP2187117B1 (en) Vehicle headlamp
CN112136000A (zh) 车辆用灯具
CN115769021A (zh) 车辆用灯具
JP2012099419A (ja) 車両用灯具
JP5344957B2 (ja) 車両用前照灯
JP2020205147A (ja) 導光体及び車両用灯具
JP4158140B2 (ja) 車両用灯具
KR101393342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