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325B1 -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및 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및 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325B1
KR100856325B1 KR1020050133396A KR20050133396A KR100856325B1 KR 100856325 B1 KR100856325 B1 KR 100856325B1 KR 1020050133396 A KR1020050133396 A KR 1020050133396A KR 20050133396 A KR20050133396 A KR 20050133396A KR 100856325 B1 KR100856325 B1 KR 100856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layer
etch stop
insulating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0637A (ko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3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325B1/ko
Priority to US11/611,711 priority patent/US7678661B2/en
Publication of KR20070070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19Smoothing of the di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the dielectric comprising air g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9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37Filling up the space between adjacent conductive structures; Gap-filling properties of dielect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유전율의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층간 절연막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유전율을 낮출수 있어 RC 값을 줄일 수 있으므로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도체 소자의 전력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고집적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기존의 공정 용이성이 뛰어난 저유전물질을 이용하고 그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유전율을 낮출 수 있으므로 효용성이 뛰어나고 개발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층을 절연막 내부에 인위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후속 공정 등에 의한 데미지(damage)를 방지할 수 있어 생산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공기층, 저유전율, 절연막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및 그 형성 방법{semiconductor device's insulator and the forming method}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형성 공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형성 공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200 : 반도체 기판 111, 211 : 하부 금속 패턴
121, 221 : 제 1 절연막 122 : 222 : 제 2 절연막
123, 223 : 제 3 절연막 130, 230 : 식각 정지막
135, 235 : 공기층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유전율의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컴퓨터와 같은 정보 매체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반도체 장치도 비 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 기능 면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는 고속으로 동작하는 동시에 대용량의 저장 능력과 정보 처리 능력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상기 반도체 장치는 집적도, 신뢰도 및 응답 속도 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제조 기술이 급발전되고 있다.
최근들어 반도체 소자는 더욱더 집적도를 높이기 위한 방식으로 다층으로 된 구조의 각 층에 금속 배선을 형성하거나, 동일 층상에서 금속 배선과 금속 배선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하는 방식의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금속 배선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동일 층상에서 서로 인접한 금속 배선 사이 또는 상하로 인접한 각 금속 배선층 사이에 존재하는 기생 저항 및 기생 캐패시턴스가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초 고집적 반도체 소자의 경우에는 다층 금속 배선 구조에 존재하는 기생 저항 및 기생 캐패시턴스 성분들은 RC(Resistance Capacitance, 이하 RC)에 의해 유도되는 지연(delay)에 의하여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열화시키고, 더 나아가 반도체 소자의 전력 소모량을 증가시키고 신호 누설량 또한 증가시킨다.
따라서, 초 고집적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RC 값이 작은 다층 금속 배선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RC가 작은 고성능의 다층 금속 배선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비저항이 낮은 금속을 사용하여 배선층을 형성하거나, 유전율이 낮은 절연막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캐패시턴스를 줄이기 위한 낮은 유전상수(K)를 갖는 물질, 예를 들면 기존의 USG(undoped silicate glass)막, 이보다 더 낮은 유전율을 가지는 FSG(fluorine silicate glass) 등이 있으며, 이보다 유전율이 더 낮은 SiC 계열의 낮은 유전상수 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는 있으나 이는 실제 공정 상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상기 기존에 공인된 물질인 FSG는 유전율을 더 낮추기 위하여 F의 농도를 더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FSG막의 물성을 관리하기가 어려워지고 상부 금속(top metal)에 부식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서, 층간 절연막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금속 배선층 사이에 존재하는 기생 저항 및 기생 캐패시턴스를 낮춤으로써 초 고집적 반도체 소자를 개발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은, 하부 패턴이 형성된 기판 상에 형성되어 골과 마루가 형성된 제 1 절연막과; 상기 제 1 절연막의 골을 따라 형성된 식각 정지막과; 상기 식각 정지막의 양 옆에 형성된 공기층과; 상기 식각 정지막 상부에 형성된 제 2 절연막과; 상기 제 1, 2 절연막 상에 형성된 제 3 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각 정지막은 실리콘 질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각 정지막의 두께는 300Å~700Å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절연막은 상부가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절연막의 마루는 상기 제 3 절연막과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층의 형상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층은 상기 식각 정지막의 언더컷(undercu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형성 방법은, 하부 패턴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막의 굴곡을 따라 식각 정지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식각 정지막 상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식각 정지막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식각 정지막을 습식 식각하여 상기 식각 정지막에 언더컷된 공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식각 정지막 상에 제 3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절연막은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에 의해서 식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절연막은 습식 식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절연막은 PECVD 또는 HDP-CVD로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각 정지막은 실리콘 질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각 정지막에 언더컷된 공기층을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식각 정지막은 오버에칭(overetch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형성 공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0) 상에 하부 금속 패턴(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 기판(110) 상에 형성된 하부 금속 패턴(111)은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다층으로 적층되는 금속 배선일 수도 있고, 실리콘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패턴일 수도 있다.
상기 반도체 기판(110) 상에 형성된 하부 금속 패턴(111) 상에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으로 제 1 절연막(121)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절연막(121)은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방법으로 FSG(fluorinated- silicate-glass) 등의 저 유전율을 갖는 물질을 증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 1 절연막(121)은 4000Å~50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절연막(121)은 하부 금속 패턴(111)의 단차에 의해 골과 마루를 가지며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후,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절연막(121) 상에 식각 정지막(130)으로서 실리콘 질화막(SiNx)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실리콘 질화막은 300Å~7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식각 정지막(130)은 상기 제 1 절연막(121)의 굴곡을 따라 골과 마루를 가지며 형성된다.
이후, 상기 실리콘 질화막 상에 PECVD 방법으로 FSG 등의 저 유전율을 갖는 물질을 증착하여 제 2 절연막(122)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절연막(122)은 상기 제 1 절연막(121)과 상기 식각 정지막(130)의 굴곡을 따라 형성된다.
이후, 상기 제 2 절연막(122)은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에 의해서 평탄화가 이루어지며 식각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절연막(122)은 상기 식각 정지막(130)이 드러나는 지점을 엔드 포인트(end point)로 검출하여 화학적기계적연마를 멈춘다.
상기 식각정지막(130)은 상기 제 1 절연막(121)의 굴곡을 따라 골과 마루를 가지며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화학적기계적연마에 의해 드러난 부분은 굴곡진 식각 정지막(130)의 마루가 된다.
이때, 상기 식각 정지막(130)과 상기 제 2 절연막(122)의 고선택비에 의해 오버에칭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절연막(122)이 더 연마되고 상기 식각 정지막(130)이 돌출되어 노출될 수도 있다.
이후,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학적기계적연마된 제 2 절연막(122)에 의해 노출된 식각 정지막(130)은 습식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되어 제 1 절연막(121)을 노출한다.
이때, 상기 식각 정지막(130)인 실리콘 질화막의 식각액(etchant)으로서 인 산(H3PO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습식 식각은 등방성 식각으로서 오버에칭시에 언더컷(undercut)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절연막(122) 하부에 형성된 식각 정지막(130)은 언더컷(A) 식각되어 동굴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식각 정지막(130)은 마루 부분이 노출되어 식각된 것이고, 언더컷(A) 되는 위치의 식각 정지막(130)은 골쪽으로 굴곡지어 내려가는 부분이므로 상기 식각액에 의해 더욱 식각이 이루어져 언더컷(A)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상기 식각 정지막(130)의 습식 식각 공정에서 식각액(etchant)과 식각 시간(etching time), 식각률(etch rate)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공기층(135)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각 정지막(130)은 상기 제 2 절연막(122) 하부에 남아 있다.
이후,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절연막(121, 122) 상부에 제 3 절연막(123)을 형성한다.
상기 제 3 절연막(123)은 PECVD 방법으로 FSG 등의 저 유전율을 갖는 물질을 증착하여 형성하며, 이때, 상기 제 3 절연막(123)은 4000Å~50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3 절연막(123)은 거의 굴곡이 없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절연막(123)은 상기 식각 정지막(130)에 동굴 형태로 형 성된 언더컷(A) 영역은 협소하고 굴곡을 따라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으므로 매립되지 않으므로 공기층(135)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층(135)은 하부 금속 패턴(111)의 양측 상부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절연막(121, 122, 123)으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 내부에 다수의 공기층(135)이 형성되며, 공기의 유전율이 1 이어서 그 값이 매우 작으므로 초 고집적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다층 컨택구조에서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턴스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층간 절연막의 유전율을 낮출수 있어 RC 값을 줄일 수 있으므로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도체 소자의 전력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초고집적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기존의 공정 용이성이 뛰어난 저유전물질을 이용하고 그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유전율을 낮출 수 있으므로 효용성이 뛰어나고 개발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층을 절연막 내부에 인위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후속 공정 등에 의한 데미지(damage)를 방지할 수 있어 생산 수율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형성 공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210) 상에 하부 금속 패턴(2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 기판(210) 상에 형성된 하부 금속 패턴(211)은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다층으로 적층되는 금속 배선일 수도 있고, 실리콘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패턴일 수도 있다.
상기 반도체 기판(210) 상에 형성된 하부 금속 패턴(211) 상에 금속 패턴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는 갭-필(gap fill)능력이 우수한 고밀도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법(High Density Plasma-Chemical Vapor Deposition; 이하 HDP-CVD라함)에 제 1 절연막(221)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절연막(221)은 FSG(fluorinated- silicate-glass) 등의 저 유전율을 갖는 물질을 4000Å~50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HDP-CVD는 종래의 PECVD 보다 높은 이온화 효율을 갖도록 전기장과 자기장을 인가하여 높은 밀도의 플라즈마 이온을 형성, 소스 가스를 분해하여 웨이퍼 상에 절연막을 증착하는 방식으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소스 전원과 함께 웨이퍼 상에 증착된 절연막을 에칭시키는 바이어스 전원을 절연막이 증착되는 중에 인가함으로써, 절연막의 증착과 절연막의 스퍼터 에칭을 동시에 진행한다.
이때, 상기 HDP-CVD는 사일렌 가스(SiH4)와 산소(O)가스 또는 SiF4 가스를 사용하여 절연막의 증착(deposition)이 이루어지며, 아르곤(Ar) 가스를 사용하여 절연막의 스퍼터링 식각(sputtering etching)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HDP-CVD에 의해 형성된 제 1 절연막(221)은 증착과 식각이 동시에 일어나 형성되므로 그 프로파일이 상기 하부 금속 패턴(211) 상에는 뾰족한 침탑형상의 굴곡으로 형성된다.
이후, 상기 제 1 절연막(221) 상에 식각 정지막(230)으로서 실리콘 질화막(SiNx)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실리콘 질화막은 300Å~7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식각 정지막(230)은 상기 제 1 절연막(221)의 침탑 형상의 굴곡을 따라 골과 마루를 가지며 형성된다.
이후, 상기 실리콘 질화막 상에 PECVD 방법으로 FSG 등의 저 유전율을 갖는 물질을 증착하여 제 2 절연막(222)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절연막(222)은 상기 제 1 절연막(221)과 상기 식각 정지막(230)의 굴곡을 따라 형성된다.
이후, 상기 제 2 절연막(222)은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에 의해서 평탄화가 이루어지며 식각된다.
상기 제 2 절연막(222)은 상기 식각 정지막(230)이 드러나는 지점을 엔드 포인트(end point)로 검출하여 화학적기계적연마를 멈춘다.
한편, 상기 제 2 절연막(222)은 습식 식각 공정으로 상기 식각 정지막(230)과 고선택비를 가지는 식각액으로 상기 제 2 절연막(222)을 식각한다.
따라서, 상기 화학적기계적연마 또는 습식 식각에 의해 드러난 부분은 침탑 형상의 식각 정지막(230)의 마루가 된다.
상기 식각 정지막(230)과 상기 제 2 절연막(222)의 고선택비에 의해 상기 제 2 절연막(222)이 더 식각되어 상기 식각 정지막(230)이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식각되어 남은 제 2 절연막(222)은 상기 침탑 형상의 굴곡 사이의 골에 형성되어 있다.
이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절연막(222)에 의해 노출된 식각 정지막(230)은 습식 식각 공정에 의해 제거되어 제 1 절연막(221)을 노출한다.
이때, 상기 식각 정지막(230)인 실리콘 질화막의 식각액(etchant)으로서 인산(H3PO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습식 식각은 등방성 식각으로서 오버에칭시에 언더컷(undercut)(A)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절연막(222) 하부에 형성된 식각 정지막(230)은 언더컷(A) 식각되어 동굴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식각 정지막(230)은 제 1 절연막(221)의 급격히 경사진 슬로프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급격히 경사진 부분에서 상기 식각액에 의해 상기 식각 정지막이 더욱 식각이 이루어져 언더컷(A)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습식 식각된 식각 정지막(230)은 상기 제 2 절연막(222) 하부에 남아 있다.
이후,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절연막(221, 222) 상부에 제 3 절연막(223)을 형성한다.
상기 제 3 절연막(223)은 PECVD 방법으로 FSG 등의 저 유전율을 갖는 물질을 증착하여 형성하며, 이때, 상기 제 3 절연막(223)은 4000Å~5000Å의 두께로 형성 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절연막(223)은 상기 식각 정지막(230)에 동굴 형태로 형성된 언더컷(A) 영역은 협소하여 상기 제 3 절연막 물질이 매립되지 않으므로 공기층(235)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층(235)은 하부 금속 패턴(211)의 양측 상부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절연막으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 내부에 다수의 공기층이 형성되므로 층간 절연막의 유전율을 크게 낮출 수 있어 절연막의 기생 캐패시턴스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형성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층간 절연막의 유전율을 낮출수 있어 RC 값을 줄일 수 있으므로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도체 소자의 전력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제 1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고집적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기존의 공정 용이성이 뛰어난 저유전물질을 이용하고 그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유전율을 낮출 수 있으므로 효용성이 뛰어나고 개발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제 2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층을 절연막 내부에 인위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후속 공정 등에 의한 데미지(damage)를 방지할 수 있어 생산 수율을 증가시키는 제 3의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하부 패턴이 형성된 기판 상에 형성되어 골과 마루가 형성된 제 1 절연막과;
    상기 제 1 절연막 위에 형성되고, 골의 상측 부분을 이루는 상기 제1 절연막을 노출시키는 식각 정지막과;
    상기 제1 절연막을 노출시키는 상기 식각 정지막 부분에 형성된 공기층과;
    상기 식각 정지막 상부에 형성된 제 2 절연막과;
    상기 제 1, 2 절연막 상에 형성된 제 3 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정지막의 두께는 300Å~700Å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막은 상부가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의 마루는 상기 제 3 절연막과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의 형상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은 상기 식각 정지막의 언더컷(undercu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8. 하부 패턴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막의 굴곡을 따라 식각 정지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식각 정지막 상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식각 정지막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식각 정지막을 습식 식각하여 상기 식각 정지막에 언더컷된 공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식각 정지막 상에 제 3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형성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막은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 또는 습식 식각 공정에 의해서 식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형성 방법.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은 PECVD 또는 HDP-CVD로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형성 방법.
  12. 삭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정지막에 언더컷된 공기층을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식각 정지막은 오버에칭(overetch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형성 방법.
KR1020050133396A 2005-12-29 2005-12-29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및 그 형성 방법 KR100856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396A KR100856325B1 (ko) 2005-12-29 2005-12-29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및 그 형성 방법
US11/611,711 US7678661B2 (en) 2005-12-29 2006-12-15 Method of forming an insulating layer in a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396A KR100856325B1 (ko) 2005-12-29 2005-12-29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및 그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637A KR20070070637A (ko) 2007-07-04
KR100856325B1 true KR100856325B1 (ko) 2008-09-03

Family

ID=38263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396A KR100856325B1 (ko) 2005-12-29 2005-12-29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및 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78661B2 (ko)
KR (1) KR1008563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3585B2 (en) 2013-03-11 2016-03-2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same
TWI517439B (zh) * 2013-08-13 2016-01-11 隆達電子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結構、發光二極體基板及其製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807A (ko) * 2000-07-31 2002-02-06 박종섭 반도체소자의 층간절연막 형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327A (ja) * 1991-01-09 1994-02-18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767018A (en) * 1995-11-08 1998-06-16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etching a polysilicon pattern
US5679606A (en) * 1995-12-27 1997-10-2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of forming inter-metal-dielectric structure
US5872401A (en) * 1996-02-29 1999-02-16 Intel Corporation Deposition of an inter layer dielectric formed on semiconductor wafer by sub atmospheric CVD
US5792705A (en) * 1996-06-28 1998-08-1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Optimized planarization process for SOG filled vias
US5814564A (en) * 1997-05-15 1998-09-29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Etch back method to planarize an interlayer having a critical HDP-CVD deposition process
US6593241B1 (en) * 1998-05-11 2003-07-15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of planariz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a high density plasma system
US6255207B1 (en) * 1999-06-21 2001-07-0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Composite planarizing dielectric layer employing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ed (HDP-CVD) underlayer
US6339027B1 (en) * 1999-11-22 2002-01-15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Process for borderless stop in tin via formation
TW444342B (en) * 2000-02-17 2001-07-01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metal interconnect having inner gap spacer
FR2826183A1 (fr) * 2001-06-15 2002-12-20 St Microelectronics Sa Transistor mos de puissance later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807A (ko) * 2000-07-31 2002-02-06 박종섭 반도체소자의 층간절연막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78661B2 (en) 2010-03-16
US20070166984A1 (en) 2007-07-19
KR20070070637A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7490B1 (ko) 반도체 장치의 기생 용량 감소 방법
US5866920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250947A (zh) 制造双重镶嵌接触窗的方法
JP2005535124A (ja) 集積回路におけるコンタクトサイズをサイジングすることによって多層コンタクト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5305651B2 (ja) 回路の配線構造および集積回路の配線構造の製作方法
US9287214B2 (en) Semiconductor device
CN101770977B (zh) 半导体器件导线的绝缘方法
CN103165522B (zh) 半导体结构及半导体结构的形成方法
CN104377189A (zh) 具有侧壁层和超厚金属层的集成电路及其制造方法
US8421239B2 (en) Crenulated wiring structure and method for integrated circuit interconnects
KR100856325B1 (ko) 반도체 소자의 절연막 및 그 형성 방법
CN103050433A (zh) 半导体的接触孔结构及其制作方法
US20020055243A1 (en) Gap-type metallic interconnect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885503A (zh) 用于在半导体器件中形成接触孔的方法
JP3000935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2339791B (zh) 一种半导体器件制作方法
US6358845B1 (en) Method for forming inter metal dielectric
KR100905828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및 그 형성 방법
TWI722058B (zh) 半導體結構及其製造方法
CN103094190A (zh) 互连层中空气间隙的形成方法
JP2007521630A (ja) 集積回路におけるコンタクトサイズをサイジングすることによって多層コンタクト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N103094136B (zh) 半导体器件的形成方法
KR100265828B1 (ko)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JP2004241635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241634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