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929B1 - 환경 조정 시스템 및 환경 조정 방법 및 공조기 및 리모트컨트롤러 - Google Patents

환경 조정 시스템 및 환경 조정 방법 및 공조기 및 리모트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929B1
KR100852929B1 KR1020077006662A KR20077006662A KR100852929B1 KR 100852929 B1 KR100852929 B1 KR 100852929B1 KR 1020077006662 A KR1020077006662 A KR 1020077006662A KR 20077006662 A KR20077006662 A KR 20077006662A KR 100852929 B1 KR100852929 B1 KR 100852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control
color tone
control command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6941A (ko
Inventor
타카유키 이시와타
쇼코 키노
쥰이치로 아라이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6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6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24F11/66Sleep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을 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고, 텔레비전 등의 디스플레이에 투영된 화상을 보면서도 양호한 수면 상태를 얻는 것이 목적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경 조정 시스템은 주로 공조기(1)와 디스플레이(2)를 구비한다. 공조기(空調機, 1)는 온도 조절 제어부(11), 송신부(12) 및 온도 조절부(13)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2)는 영사(映寫) 제어부(21), 수신부(23) 및 영사부(24)를 구비한다. 온도 조절 제어부(11)는 송신부(12)에서 디스플레이(2)로 제어 지령(S21)을 송신시킨다. 제어 지령(S21)은 디스플레이(2)에 화상의 색조를 제어시킨다. 수신부(23)는 공조기(1)로부터 송신된 제어 지령(S21)을 수신하고, 영사 제어부(21)는 제어 지령(S21)에 기초하여 화상을 침정(沈靜) 작용이 있는 색조로 영사부(24)에 표시시킨다. 그 후, 온도 조절 제어부(11)는 온도 조절부(13)에 환경 온도를 저하시킨다.
Figure R1020077006662
환경 조정 시스템, 공조기, 디스플레이, 리모트 컨트롤러, 침정 작용

Description

환경 조정 시스템 및 환경 조정 방법 및 공조기 및 리모트 컨트롤러{ENVIRONMENT ADJUSTMENT SYSTEM, ENVIRONMENT ADJUSTMENT METHOD, AIR CONDITIONER, AND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환경을 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수면 제어 기술에 적용할 수 있다.
사람은 빛의 조도 등으로 생체 리듬을 조정하고 있다. 생체 리듬이란 예를 들면 기상이나 취침의 시각 또는 수면 시간 등 생활에 관계한 리듬이다.
현대에는 생체 리듬을 흩트리는 요인이 많이 있어, 예를 들면 밤 늦게까지 잠을 안 잔 경우에는, 그 생체 리듬이 흐트러지기 쉽다. 이 때문에, 흐트러진 생체 리듬을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시키는 기술이 지금까지도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계측된 조도와 환경 온도에 기초하여 환경 온도를 조절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빛의 조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생체 리듬을 조절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관련하는 기술이 이하에 나타내져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양호한 수면 상태를 얻기 위한 환경 온도의 제어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 5에는 복수의 장치를 일원(一元) 관리하기 위한 리모트 제어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19373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52084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공보 제2987981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25465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8672호 공보
텔레비전의 보급에 따라 침실에 텔레비전을 설치하고 취침 전에 텔레비전을 보는 사람도 많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취침하는 시각이 늦어져 생체 리듬이 흐트러지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을 적용하여도 텔레비전의 빛이 그 효과를 방해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사정(事情)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텔레비전 등의 디스플레이에 투영된 화상을 보면서도 양호한 수면 상태를 얻는 것이 목적으로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 태양(態樣)은, 색조를 가변으로 하여 화상의 표시 또는 투사를 행하는 영사부(映寫部, 24)와, 환경 온도의 조절을 행하는 온도 조절부(13)와, 상기 화상의 색조의 변화와 상기 환경 온도의 상기 조절을 서로 관련지어 각각 상기 영사부 및 상기 온도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1, 21)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2 태양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사부(24)가 상기 색조를 침정(沈靜)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키고 나서, 상기 온도 조절부(13)가 상기 환경 온도를 저하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3 태양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2 태양에 있어서, 입면(入眠) 시점을 검출하는 입면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입면 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입면 시점으로부터 상기 온도 조절부(13)에 대하여 상기 환경 온도를 저하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4 태양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2 또는 제3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영사부(24)에 설정되는 색온도가 저하하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5 태양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2 내지 제4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가 저하하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6 태양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2 내지 제 5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 발생부(4)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가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는 것에 따라 상기 음향의 음량이 감소하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7 태양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13)가 상기 환경 온도를 상승시키고 나서, 상기 영사부(24)가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킨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8 태양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7 태양에 있어서, 각성(覺醒) 시점을 검출하는 각성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각성 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각성 시점으로부터 상기 영사부(24)에 대하여 상기 화상의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9 태양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7 또는 제8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영사부(24)에 설정되는 색온도가 상승하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0 태양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7 내지 제9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가 상승하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1 태양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7 내지 제10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 발생부(4)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가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는 것에 따라 상기 음향의 음량이 증대하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2 태양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2 내지 제11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조절부(13)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11)와 상기 영사부(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영사 제어부(21)를 가지고, 상기 온도 조절부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기(空調機, 1)와, 상기 영사부와 상기 영사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3 태양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6 또는 제1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조절부(13)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11)와 상기 영사부(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영사 제어부(21)와 상기 음향 발생부(4)의 동작을 제어하는 음향 제어부(21)를 가지고, 상기 온도 조절부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기(1)와, 상기 영사부와 상기 영사 제어부와 상기 음향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4 태양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2 또는 제13 태양에 있어서, 상기 공조기(1)는 제1 제어 지령(S21)을 송신하는 송신부(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2)는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11)는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제1 수신부로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송신시키고, 상기 영사 제어부(21)는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제1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의 상기 색조를 변화시켜 상기 영사부에 표시 또는 투사시킨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5 태양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4 태양에 있어서, 제2 제어 지령(S11)을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3)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공조기(1)는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11)는 상기 제2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제2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 조절부(13)에 상기 환경 온도를 제어시키고 상기 제2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지령(S21)을 상기 송신부(12)에서 상기 제1 수신부(23)로 송신시킨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6 태양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2 또는 제13 태양에 있어서, 제1 제어 지령(S21)을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3)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공조기(1)는 제2 제어 지령(S201)을 송신하는 송신부(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2)는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11)는 상기 송신부(12)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로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송신시키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수신한 상기 제2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수신부로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송신하며, 상기 영사 제어부(21)는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제1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의 상기 색조를 변화시켜 상기 영사부에 표시 또는 투사시킨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7 태양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2 또는 제13 태양에 있어서, 상기 영사부(24)의 제어를 지령하는 제1 제어 지령(S21)과 상기 온도 조절부(13)의 제어를 지령하는 제2 제어 지령(S11)을 송신하는 송신부(32)와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31)를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3)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2)는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조기(1)는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제1 수신부로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송신시키고, 상기 제2 수신부로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송신시키고, 상기 영사 제어부(21)는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제1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의 상기 색조를 변화시켜 상기 영사부(24)에 표시 또는 투사시키며,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11)는 상기 제2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제2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 조절부(13)에 상기 환경 온도를 변화시킨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8 태양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7 태양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31)에는 상기 공조기(1)의 제어를 지령하는 제3 제어 지령(Sl)이 입력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3 제어 지령에 기초하는 상기 제2 제어 지령(S11)을 상기 송신부(32)에서 상기 제2 수신부(14)로 송신시키고 상기 제1 제어 지령(S21)을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제1 수신부(23)로 상기 제3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송신시킨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9 태양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7 태양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3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2)의 제어를 지령하는 제3 제어 지령(S2)이 입력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3 제어 지령에 기초하는 상기 제1 제어 지령(S21)을 상기 송신부(32)에서 상기 제1 수신부(23)로 송신시키고 상기 제2 제어 지령(S11)을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제2 수신부(14)로 상기 제3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송신시킨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1 태양은, 디스플레이(2)에 표시 또는 투사하는 화상을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키는 영사 단계와, 상기 영사 단계 후에 환경 온도를 저하하는 온도 조절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2 태양은, 환경 조정 방법의 제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단계에서는 입면 시점으로부터 상기 환경 온도를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3 태양은, 환경 조정 방법의 제1 또는 제2 태양에 있어서,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색조의 색온도의 저하도 실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4 태양은, 환경 조정 방법의 제1 내지 제3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의 저하도 실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5 태양은, 환경 조정 방법의 제1 내지 제4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2)에 상기 화상을 표시 또는 투사하는 것에 병행하여 음향 발생부(4)로부터 음향이 나오고,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는 것에 따라 상기 음향의 음량을 감소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6 태양은, 환경 온도를 상승하는 온도 조절 단계와, 상기 온도 조절 단계 후에 디스플레이(2)에 표시 또는 투사하는 화상을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키는 영사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7 태양은, 환경 조정 방법의 제6 태양에 있어서,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각성 시점으로부터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킨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8 태양은, 환경 조정 방법의 제6 또는 제7 태양에 있어서,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색조의 색온도의 상승도 실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9 태양은, 환경 조정 방법의 제6 내지 제8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의 상승도 실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10 태양은, 환경 조정 방법의 제6 내지 제9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2)에 상기 화상을 표시 또는 투사하는 것에 병행하여 음향 발생부(4)로부터 음향이 나오고,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는 것에 따라 상기 음향의 음량을 증대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11 태양은, 환경 조정 방법의 제1 내지 제10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서 구비된 상기 온도 조절 단계를 실행하는 공조기(1)와 상기 하나의 태양에 기재된 상기 영사 단계를 실행하는 디스플레이(2)를 가지고, 상기 공조기는 제1 제어 지령(S21)을 송신하는 송신부(12)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23)를 포함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상기 제1 수신부로 송신시키는 송신 단계와,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수신한 후 상기 제1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영사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12 태양은, 환경 조정 방법의 제11 태양에 있어서, 제2 제어 지령(S11)을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3)를 더 가지고, 상기 공조기(1)는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14)를 더 포함하는 상기 환경 조정 시스템에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송신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상기 제2 수신부에서 수신한 후 상기 제2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 조절 단계를 실행하고 상기 제2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지령(S21)을 상기 공조기(1) 내에서 발생시키는 단계를 상기 송신 단계 전에 실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13 태양은, 환경 조정 방법의 제1 내지 제10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서 구비된 상기 온도 조절 단계를 실행하는 공조기(1)와 상기 하나의 태양에 기재된 상기 영사 단계를 실행하는 디스플레이(2)와 제1 제어 지령(S21)을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3)를 가지고, 상기 공조기(1)는 제2 제어 지령(S201)을 송신하는 송신부(12)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2)는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23)를 포함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리모트 컨트롤러로 송신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수신한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상기 제2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상기 제1 수신부로 송신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후 상기 제1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영사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14 태양은, 환경 조정 방법의 제1 내지 제10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서 구비된 상기 온도 조절 단계를 실행하는 공조기(1)와 상기 하나의 태양에 기재된 상기 영사 단계를 실행하는 디스플레이(2)와 리모트 컨트롤러(3)를 가지고, 상기 디스플레이(2)는 제1 제어 지령(S21)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조기(1)는 제2 제어 지령(S11)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제어 지령과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송신하는 송신부(32)를 포함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에서, (a)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제1 수신부(23)로 상기 제1 제어 지령(S21)을 송신시키고, 상기 제2 수신부(14)로 상기 제2 제어 지령(S11)을 송신시키는 단계와, (b)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제1 수신부에서 수신한 후 상기 제1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영사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와, (c)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제2 수신부에서 수신한 후 상기 제2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 조절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15 태양은, 환경 조정 방법의 제14 태양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3)에 상기 온도 조절 단계의 실행을 지령하는 제3 제어 지령(S1)을 입력하는 단계를 상기 단계(a) 전에 실행하고, 상기 단계(a)에서는 상기 제3 제어 지령에 기초하는 상기 제2 제어 지령(S11)을 상기 송신부(32)에서 상기 제2 수신부(14)로 송신시키고 상기 제1 제어 지령(S21)을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제1 수신부(23)로 상기 제3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송신시킨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16 태양은, 환경 조정 방법의 제14 태양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3)에 상기 영사 단계의 실행을 지령하는 제3 제어 지령(S2)을 입력하는 단계를 상기 단계(a) 전에 실행하고, 상기 단계(a)에서는 상기 제3 제어 지령에 기초하는 상기 제1 제어 지령(S21)을 상기 송신부(32)에서 상기 제1 수신부(23)로 송신시키고 상기 제2 제어 지령(S11)을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제2 수신부(14)로 상기 제3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송신시킨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조기는, 색조를 가변으로 하여 화상의 표시 또는 투사를 행하는 디스플레이(2)에 대해 제1 제어 지령(S21)을 송신하는 송신부(12)와 환경 온도의 조절을 행하는 온도 조절부(13)와 상기 온도 조절부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11)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는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로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송신시키며, 상기 제1 제어 지령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가 상기 온도 조절부에 상기 환경 온도를 조절시키는 것에 관련지어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화상의 색조를 제어시킨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는, 송신부(32)와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31)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색조를 가변으로 하여 화상의 표시 또는 투사를 행하는 디스플레이(2)로의 제1 제어 지령(S21)의 송신과 공조기(1)로의 제2 제어 지령(S11)의 송신이 실행 가능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로 상기 제1 제어 지령(S21)을 송신시키고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공조기로 상기 제2 제어 지령(S11)을 송신시키고, 상기 제1 제어 지령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화상의 색조를 제어시키고, 상기 제2 제어 지령은 상기 공조기에 환경 온도를 조절시키며, 상기 화상의 상기 색조의 변화와 상기 환경 온도의 조절은 서로 관련지어져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 태양, 공조기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하면, 온도에 의한 수면/각성 제어와 색조에 의한 수면/각성 제어를 관련지어 행할 수 있다. 게다가, 단색이 아닌 화상이 표시되므로 사람은 해당 화상이 가지는 정보를 향수(享受)하면서도 수면/각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2 태양 또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1 태양에 의하면, 표시 등이 되는 화상의 색조가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화상을 보고 있는 사람에게 침정 작용이 있는 색을 느끼게 하여 그 사람의 입면을 촉진한다. 나아가, 그 후에 환경 온도가 저하하므로 수면 시의 체온이 저하한다. 따라서, 원활하게 사람을 수면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3 태양 또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2 태양에 의하면, 입면 시점으로부터 환경 온도가 저하하므로 입면 전에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4 태양 또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3 태양에 의하면, 색온도가 저하한 색조에서 침정 작용이 얻어지므로 그 색조로 표시 등이 된 화상을 보고 있는 사람의 입면이 촉진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5 태양 또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4 태양에 의하면, 주위가 어두워지므로 화상을 보고 있는 사람의 입면이 촉진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6 태양 또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5 태양에 의하면, 주위가 조용해지므로 음향을 듣고 있는 사람의 입면이 촉진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7 태양 또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6 태양에 의하면, 환경 온도가 상승하므로 수면 시의 체온이 상승하여 자고 있는 사람을 각성으로 유도한다. 나아가, 그 후에 표시 등이 되는 화상의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각성 후에 화상을 본 사람에게 흥분 작용이 있는 색을 느끼게 하여 그 사람의 졸음을 줄인다. 따라서, 원활하게 사람을 각성으로 유도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8 태양 또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7 태양에 의하면, 각성 시점으로부터 화상의 색조가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므로 각성이 앞당겨진 것에 의한 불쾌감이 저감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9 태양 또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8 태양에 의하면, 색온도가 상승한 색조에서 흥분 작용이 얻어지므로 그 색조로 표시 등이 된 화상을 본 사람의 졸음이 줄어든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0 태양 또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9 태양에 의하면, 주위가 밝아지므로 화상을 본 사람의 졸음이 줄어든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1 태양 또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10 태양에 의하면, 주위가 시끄러워지므로 음향을 들은 사람의 졸음이 줄어든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2 또는 제13 태양에 의하면, 환경 조정 시스템을 공조기 및 디스플레이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4 태양 또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11 태양에 의하면, 각자 따로따로 설치되는 공조기와 디스플레이에서 공조기가 제1 제어 지령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를 원격 조작하므로 공조기의 제어와 디스플레이의 제어가 서로 관련지어진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5 태양 또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12 태양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에 공조기에 대한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의 제어가 행해진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6 태양 또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13 태양에 의하면, 공조기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의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7 태양 또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14 태양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서, 공조기 및 디스플레이를 일원 관리할 수 있으므로 공조기의 제어와 디스플레이의 제어를 서로 관련짓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8 태양 또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15 태양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에 공조기에 대한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의 제어가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제19 태양 또는 환경 조정 방법의 제16 태양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에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공조기의 제어가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하여 보다 명백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9는 환경 조정 시스템의 사용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해당 시스템은 주로 공조기(1) 및 디스플레이(2)를 구비한다.
공조기(1)는 온도 조절 제어부(11), 송신부(12) 및 온도 조절부(13)를 구비한다. 온도 조절 제어부(11)는 송신부(12) 및 온도 조절부(13)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제어한다.
송신부(12)에는 제어 지령(S20)을 입력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로 제어 지령(S21)을 송신시킨다. 제어 지령(S21)은 디스플레이(2)에 화상의 색조 등의 제어를 시킨다. 여기서, 화상이란 정지 화상이나 동화상이며 단색 화상을 포함하지 않는다.
온도 조절부(13)에는 환경 온도를 조절시킨다. 온도 조절부(13)는 소정 위치의 환경, 예를 들면 공조기(1)가 설치된 환경으로 온도 조절한 공기(100)를 송출하는 것으로, 그 환경의 온도 즉, 환경 온도를 조절한다.
디스플레이(2)는 영사 제어부(21), 수신부(23) 및 영사부(24)를 구비한다.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2)에 음향 발생부(4) 및 화상 신호 생성부(6)가 접속되어 있다. 음향 발생부(4) 및 화상 신호 생성부(6)는 디스플레이(2)에 대하여 외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에 내장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수신부(23)는 공조기(1)로부터 송신된 제어 지령(S21)을 수신하고, 이것을 제어 지령(S22)으로서 영사 제어부(21)에 입력한다.
영사 제어부(21)는 영사부(24), 음향 발생부(4) 및 화상 신호 생성부(6)를 이하와 같이 제어한다.
화상 신호 생성부(6)에는 화상 신호(S3)를 출력시킨다. 화상 신호 생성부(6)는 예를 들면 튜너, 비디오 레코더, DVD(Digital Versatile Disk) 레코더 또는 단말기 등이다. 튜너는 VHF(Very High Frequency), UHF(Ultra High Frequency) 대의 텔레비전 신호로부터 영사 제어부(21)에 의하여 희망된 채널을 선택하여 수신하고, 이것을 화상 신호(S3)로서 영사 제어부(21)로 출력한다. 비디오 레코더나 DVD 레코더는 비디오나 DVD로부터 화상을 읽어내고, 이것을 화상 신호(S3)로서 영사 제어부(21)로 출력한다. 단말기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상으로부터 화상을 받아들이고, 이것을 화상 신호(S3)로서 영사 제어부(21)로 출력한다.
영사부(24)에는 화상 신호 생성부(6)로부터 얻어진 화상 신호(S3)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의 화면에 표시시키거나 또는 디스플레이(2)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된 스크린상에 투사시킨다. 화상 신호(S3)는 반드시 영사 제어부(21)를 경유하지 않고, 화상 신호 생성부(6)로부터 직접 영사부(24)로 주어져도 무방하다.
영사부(24)에서 표시 등이 된 화상은 제어 지령(S22)에 기초하여 즉, 제어 지령(S21)에 기초하여 그 색조가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취침 시에는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기상 시에는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각각 제어된다.
음향 발생부(4)에는 영사부(24)에서의 화상의 표시 또는 투사에 병행하여 음향을 발생시킨다. 음향 발생부(4)는 예를 들면 스피커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화상 신호 생성부(6)에 내장된 음성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음성 신호가 화상 신호(S3)와 함께 영사 제어부(21)에 입력되고, 영사 제어부(21)는 이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음향 발생부(4)에 음향을 발생시켜도 무방하다. 또한, 이때의 음향 발생부(4)의 제어는 영사 제어부(21)와는 별도로 설치된 음향 제어부가 시켜도 무방하다.
공조기(1)에 있어서의 온도 조절부(13)의 제어와 제어 지령(S21)에 기초하는 디스플레이(2)의 제어 즉, 화상의 색조의 제어는 서로 연계한다. 따라서, 상기 환경 조정 시스템을 다음과 같이 파악할 수 있다. 즉, 환경 조정 시스템은 영사부(24), 온도 조절부(13) 및 제어부를 구비한다. 영사부(24)는 색조를 가변으로 하여 화상의 표시 또는 투사를 행한다. 온도 조절부(13)는 환경 온도를 조절한다. 제어부는 온도 조절 제어부(11)와 영사 제어부(21)를 포함한다. 이들은 화상의 색조의 변화와 환경 온도의 조절을 서로 관련지어 각각 온도 조절부(13) 및 영사부(24)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환경 조정 시스템에 의하면, 온도에 의한 수면/각성 제어와 색조에 의한 수면/각성 제어를 관련지어 행할 수 있다. 게다가, 단색이 아닌 화상이 표시되므로 사람은 해당 화상이 가지는 정보를 향수하면서도 수면/각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취침(수면) 시와 기상(각성) 시로 나누어 환경 조정 시스템에 의한 제어 기술을 설명한다.
취침 시에는 영사부(24)가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키고 나서, 온도 조절부(13)가 환경 온도를 저하시킨다.
구체적으로, 우선 디스플레이(2)에 있어서 영사 제어부(21)가 제어 지령(S22)에 기초하여 즉, 제어 지령(S21)에 기초하여 화상을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영사부(24)에 표시 또는 투사시킨다.
예를 들면, 백색의 색온도가 6000K 이하에 상당하도록 변경하는 것으로,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가 얻어진다. 이 색조에 의하면, 그 색조로 표시 등이 된 화상을 보고 있는 사람의 입면이 촉진된다.
또한,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를 얻는 것에 병행하여 화상의 휘도를 낮추어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면, 주위가 어두워지므로 화상을 보고 있는 사람의 입면이 보다 촉진된다.
나아가,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를 얻는 것에 병행하여 음향 발생부(4)로부터 나오는 음량을 감소시켜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면, 주위가 조용해지므로 음향을 듣고 있는 사람의 입면이 보다 촉진된다.
상기 제어 후, 공조기(1)에 있어서 온도 조절 제어부(11)가 온도 조절부(13)에 환경 온도를 저하시킨다. 이때, 입면 시점으로부터 환경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쌀쌀함을 느끼는 등의 불쾌감을 입면 전에 주는 일이 없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입면 시점은 예를 들면 입면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다.
이와 같은 제어 기술에 의하면, 표시 등이 되는 화상의 색조가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화상을 보고 있는 사람에게 침정 작용이 있는 색을 느끼게 하여 그 사람의 입면을 촉진한다. 나아가, 그 후에 환경 온도가 저하하므로 수면 시의 체온이 저하한다. 따라서, 원활하게 사람을 수면으로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상 시에는 온도 조절부(13)가 환경 온도를 상승시키고 나서, 영사부(24)가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 우선 공조기(1)에 있어서 온도 조절 제어부(11)가 온도 조절부(13)에 환경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 후, 디스플레이(2)에 있어서 영사 제어부(21)가 제어 지령(S22)에 기초하여 즉, 제어 지령(S21)에 기초하여 화상을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영사부(24)에 표시 또는 투사시킨다. 이때, 각성 시점으로부터 화상을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제어하는 것이 각성이 앞당겨지는 등의 불쾌감을 저감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각 성 시점은 예를 들면 각성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다.
예를 들면, 백색의 색온도가 10000K 이상에 상당하도록 색조를 변경하는 것으로,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가 얻어진다. 이것에 의하면, 그 색조로 표시 등이 된 화상을 본 사람의 졸음이 줄어든다.
또한,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를 얻는 것에 병행하여 화상의 휘도를 높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면, 주위가 밝아지므로 화상을 본 사람의 졸음이 줄어든다.
나아가,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를 얻는 것에 병행하여 음향 발생부(4)로부터 나오는 음량을 증가시켜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면, 주위가 시끄러워지므로 음향을 들은 사람의 졸음이 줄어든다.
이와 같은 제어 기술에 의하면, 환경 온도가 상승하므로 수면 시의 체온이 상승하여 자고 있는 사람을 각성으로 유도한다. 나아가, 그 후에 표시 등이 되는 화상의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각성 후에 화상을 본 사람에게 흥분 작용이 있는 색을 느끼게 하여 그 사람의 졸음을 줄인다. 따라서, 원활하게 사람을 각성으로 유도한다.
도 2는 공조기(1)와 통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3)를 포함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공조기(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지령(S11)에 기초하여 환경 온도를 제어해도 무방하며, 이 태양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도시되는 구성 요소 중, 도 1에서 도시되는 구성 요소와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가 붙어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3)는 송신 제어부(31) 및 송신부(32)를 구비한다. 리모트 컨트롤러(3)에는 공조기(1)에 대한 제어 지령(S1)이 입력된다. 제어 지령(S1)에는 예를 들면 온도 조절부(13)에서 조절되는 환경 온도나 그 제어를 개시하는 시각에 관한 지령이 포함된다.
송신 제어부(31)는 송신부(3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송신부(32)에는 입력된 제어 지령(S1)에 기초하여 제어 지령(S10)을 주고, 이것에 기초하여 공조기(1)로 제어 지령(S11)을 송신시킨다. 제어 지령(S11)은 제어 지령(S1)에 기초하는 환경 온도의 제어를 공조기(1)에 시킨다.
공조기(1)는 수신부(14)를 더 구비한다. 수신부(14)는 리모트 컨트롤러(3)로부터 송신된 제어 지령(S11)을 수신하고, 이것을 제어 지령(S12)으로서 온도 조절 제어부(11)에 입력한다.
온도 조절 제어부(11)는 제어 지령(S12)에 기초하여 즉, 제어 지령(S11)에 기초하여 온도 조절부(13)에 환경 온도를 제어시킨다. 나아가, 제어 지령(S12)에 기초하여 즉, 제어 지령(S11)에 기초하여 제어 지령(S21)을 송신부(12)에서 송신시키기 위한 제어 지령(S20)을 발생한다. 그리고 이것을 송신부(12)에 입력하는 것으로, 송신부(12)에서 디스플레이(2)로 제어 지령(S21)을 송신시킨다. 제어 지령(S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에 화상의 색조 등의 제어를 시킨다.
디스플레이(2)는 수신부(23)에서 제어 지령(S21)을 수신하고, 상술한 것과 같이 하여 화상의 색조, 나아가 화상의 휘도나 음향의 양을 제어한다.
이 경우에도, 제어 지령(S21)에 기초하는 디스플레이(2)의 제어와 공조기(1)에 있어서의 온도 조절부(13)의 제어는 서로 제휴하며 상술한 것과 같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제어 기술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3)에 공조기(1)에 대한 제어 지령(S1)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2)의 제어가 행해진다.
도 3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공조기(1)는 리모트 컨트롤러(3)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에 화상의 색조를 제어시켜도 무방하며, 이 태양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도시되는 구성 요소 중, 도 1에서 도시되는 구성 요소와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가 붙어 있다.
공조기(1)에 있어서 온도 조절 제어부(11)는 송신부(12)에서 리모트 컨트롤러(3)로 제어 지령(S201)을 송신시킨다. 제어 지령(S201)은 리모트 컨트롤러(3)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에 화상의 색조를 제어시킨다.
리모트 컨트롤러(3)는 송신 제어부(31), 송신부(32) 및 수신부(33)를 구비한다.
수신부(33)는 공조기(1)로부터 송신된 제어 지령(S201)을 수신하고, 이것을 제어 지령(S202)으로서 송신 제어부(31)에 입력한다.
송신 제어부(31)는 제어 지령(S202)에 기초하여 제어 지령(S203)을 송신부(32)에 주고, 송신부(32)에서 디스플레이(2)로 제어 지령(S21)을 송신시킨다.
디스플레이(2)는 수신부(23)에서 제어 지령(S21)을 수신하고, 상술한 것과 같이 하여 화상의 색조, 나아가 화상의 휘도나 음향의 양을 제어한다.
이 경우에도, 제어 지령(S21)에 기초하는 디스플레이(2)의 제어와 공조기(1)에 있어서의 온도 조절부(13)의 제어는 서로 제휴하며 상술한 것과 같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제어 기술에 의하면, 공조기(1)가 리모트 컨트롤러(3)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2)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어느 제어 기술에 있어서도, 온도 조절 제어부(11)는 디스플레이(2)에 화상의 색조 등의 제어를 시키기 직전에, 제어 지령(S21)을 송신부(12)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3)에서 송신시켜도 무방하고, 또는 디스플레이(2)에 소정 시각부터 제어를 개시시키는 지령을 제어 지령(S21)에 포함시켜 미리 송신부(12)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3)에서 디스플레이(2)로 송신시켜도 무방하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해당 시스템은 주로 디스플레이(2) 및 공조기(1)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2)는 영사 제어부(21), 영사부(24) 및 송신부(25)를 구비한다. 도 4에서는 디스플레이(2)에 음향 발생부(4) 및 화상 신호 생성부(6)가 접속되어 있다. 음향 발생부(4) 및 화상 신호 생성부(6)는 디스플레이(2)에 대하여 외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에 내장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영사 제어부(21)는 영사부(24), 송신부(25), 음향 발생부(4) 및 화상 신호 생성부(6)를 이하와 같이 제어한다.
송신부(25)에는 제어 지령(S10)을 입력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공조기(1)로 제어 지령(S11)을 송신시킨다. 제어 지령(S11)은 공조기(1)에 환경 온도를 제어시킨다.
영사부(24), 음향 발생부(4) 및 화상 신호 생성부(6)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영사부(24)에서 표 시 등이 된 화상은 영사 제어부(21)에 의하여 그 색조가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취침 시에는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기상 시에는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각각 제어된다.
공조기(1)는 온도 조절 제어부(11), 온도 조절부(13) 및 수신부(14)를 구비한다.
수신부(14)는 디스플레이(2)로부터 송신된 제어 지령(S11)을 수신하고, 이것을 제어 지령(S12)으로서 온도 조절 제어부(11)에 입력한다.
온도 조절 제어부(11)는 온도 조절부(13)를 다음과 같이 제어한다. 즉, 온도 조절부(13)에는 제어 지령(S12)에 기초하여 즉, 제어 지령(S11)에 기초하여 환경 온도를 조절시킨다. 온도 조절부(13)는 소정 위치의 환경, 예를 들면 공조기(1)가 설치된 환경으로 온도 조절한 공기(100)를 송출하는 것으로, 그 환경의 온도 즉, 환경 온도를 조절한다.
디스플레이(2)에서의 화상의 색조의 제어와 제어 지령(S11)에 기초하는 공조기(1)의 제어 즉, 환경 온도의 제어는 서로 연계한다. 이하에서는 취침 시와 기상 시로 나누어 환경 조정 시스템에 의한 제어 기술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취침 시에는 우선 디스플레이(2)에 있어서 영사 제어부(21)가 화상을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영사부(24)에 표시 또는 투사시킨다.
예를 들면, 백색의 색온도가 6000K 이하에 상당하도록 변경하는 것으로,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가 얻어진다. 이 색조에 의하면, 그 색조로 표시 등이 된 화상을 보고 있는 사람의 입면이 촉진된다.
또한,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를 얻는 것에 병행하여 화상의 휘도를 낮추어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면, 주위가 어두워지므로 화상을 보고 있는 사람의 입면이 보다 촉진된다.
나아가,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를 얻는 것에 병행하여 음향 발생부(4)로부터 나오는 음량을 감소시켜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면, 주위가 조용해지므로 음향을 듣고 있는 사람의 입면이 보다 촉진된다.
상기 제어 후, 공조기(1)에 있어서 온도 조절 제어부(11)가 제어 지령(S12)에 기초하여 즉, 제어 지령(S11)에 기초하여 온도 조절부(13)에 환경 온도를 저하시킨다. 이때, 입면 시점으로부터 환경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쌀쌀함을 느끼는 등의 불쾌감을 입면 전에 주는 일이 없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입면 시점은 예를 들면 입면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다.
이와 같은 제어 기술에 의하면, 표시 등이 되는 화상의 색조가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화상을 보고 있는 사람에게 침정 작용이 있는 색을 느끼게 하여 그 사람의 입면을 촉진한다. 나아가, 그 후에 환경 온도가 저하하므로 수면 시의 체온이 저하한다. 따라서, 원활하게 사람을 수면으로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상 시에는 우선 공조기(1)에 있어서 온도 조절 제어부(11)가 제어 지령(S12)에 기초하여 즉, 제어 지령(S11)에 기초하여 온도 조절부(13)에 환경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 후, 디스플레이(2)에 있어서 영사 제어부(21)가 화상을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영사부(24)에 표시 또는 투사시킨다. 이때, 각성 시점으로부터 화상을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제어하는 것이 각성이 앞당겨지는 등의 불쾌감을 저감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각성 시점은 예를 들면 각성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다.
예를 들면, 그 색온도를 10000K 이상에 상당하도록 색조를 변경하는 것으로,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가 얻어진다. 이것에 의하면, 그 색조로 표시 등이 된 화상을 본 사람의 졸음이 줄어든다.
또한,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를 얻는 것에 병행하여 화상의 휘도를 높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면, 주위가 밝아지므로 화상을 본 사람의 졸음이 줄어든다.
나아가,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를 얻는 것에 병행하여 음향 발생부(4)로부터 나오는 음량을 증가시켜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면, 주위가 시끄러워지므로 음향을 들은 사람의 졸음이 줄어든다.
이와 같은 제어 기술에 의하면, 환경 온도가 상승하므로 수면 시의 체온이 상승하여 자고 있는 사람을 각성으로 유도한다. 나아가, 그 후에 표시 등이 되는 화상의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각성 후에 화상을 본 사람에게 흥분 작용이 있는 색을 느끼게 하여 그 사람의 졸음을 줄인다. 따라서, 원활하게 사람을 각성으로 유도한다.
도 5는 디스플레이(2)와 통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3)를 포함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디스플레이(2)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지령(S21)에 기초하여 화상의 색조 등을 제어해도 무방하며, 이 태양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도시되는 구성 요소 중, 도 4에서 도시되는 구성 요 소와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가 붙어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3)는 송신 제어부(31) 및 송신부(32)를 구비한다. 리모트 컨트롤러(3)에는 디스플레이(2)에 대한 제어 지령(S2)이 입력된다. 제어 지령(S2)에는, 예를 들면 화상의 색조나 그 제어를 개시하는 시각에 관한 지령이 포함된다.
송신 제어부(31)는 송신부(3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송신부(32)에는 입력된 제어 지령(S2)에 기초하여 제어 지령(S20)을 주고, 이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로 제어 지령(S21)을 송신시킨다. 제어 지령(S21)은 제어 지령(S2)에 기초하는 화상의 색조 등의 제어를 디스플레이(2)에 시킨다.
디스플레이(2)는 수신부(23)를 더 구비한다. 수신부(23)는 리모트 컨트롤러(3)로부터 송신된 제어 지령(S21)을 수신하고, 이것을 제어 지령(S22)으로서 영사 제어부(21)에 입력한다.
영사 제어부(21)는 제어 지령(S22)에 기초하여 즉, 제어 지령(S21)에 기초하여 화상의 색조 등을 제어한다. 나아가, 제어 지령(S22)에 기초하여 즉, 제어 지령(S21)에 기초하여 제어 지령(S11)을 송신부(25)에서 송신시키기 위한 제어 지령(S10)을 발생한다. 그리고 이것을 송신부(25)에 입력하는 것으로, 송신부(25)에서 공조기(1)로 제어 지령(S11)을 송신시킨다. 제어 지령(S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공조기(1)에 환경 온도의 제어를 시킨다.
공조기(1)는 수신부(14)에서 제어 지령(S11)을 수신하고, 상술한 것과 같이 하여 환경 온도를 제어한다.
이 경우에도, 제어 지령(S11)에 기초하는 공조기(1)의 제어와 디스플레이(2) 에 있어서의 화상의 색조의 제어는 서로 제휴하며 상술한 것과 같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제어 기술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3)에 디스플레이(2)에 대한 제어 지령(S2)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공조기(1)의 제어가 행해진다.
도 6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디스플레이(2)는 리모트 컨트롤러(3)를 통하여 공조기(1)에 환경 온도를 제어시켜도 무방하며, 이 태양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도시되는 구성 요소 중, 도 5에서 도시되는 구성 요소와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가 붙어 있다.
디스플레이(2)에 있어서 영사 제어부(21)는 송신부(25)에서 리모트 컨트롤러(3)로 제어 지령(S101)을 송신시킨다. 제어 지령(S101)은 리모트 컨트롤러(3)를 통하여 공조기(1)에 환경 온도를 제어시킨다.
리모트 컨트롤러(3)는 송신 제어부(31), 송신부(32) 및 수신부(33)를 구비한다.
수신부(33)는 디스플레이(2)로부터 송신된 제어 지령(S101)을 수신하고, 이것을 제어 지령(S102)으로서 송신 제어부(31)에 입력한다.
송신 제어부(31)는 제어 지령(S102)에 기초하여 제어 지령(S103)을 송신부(32)에 주고, 송신부(32)에서 공조기(1)로 제어 지령(S11)을 송신시킨다.
공조기(1)는 수신부(14)에서 제어 지령(S11)을 수신하고, 상술한 것과 같이 하여 환경 온도를 제어한다.
이 경우에도, 제어 지령(S11)에 기초하는 공조기(1)의 제어와 디스플레이(2)에 있어서의 화상의 색조의 제어는 서로 제휴하며 상술한 것과 같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제어 기술에 의하면, 디스플레이(2)가 리모트 컨트롤러(3)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공조기(1)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어느 제어 기술에 있어서도, 영사 제어부(21)는 공조기(1)에 소정의 제어를 시키기 직전에, 제어 지령(S11)을 송신부(25)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3)에서 송신시켜도 무방하고, 또는 공조기(1)에 소정 시각부터 제어를 개시시키는 지령을 제어 지령(S11)에 포함시켜 미리 송신부(25)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3)에서 공조기(1)로 송신시켜도 무방하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환경 조정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해당 시스템은 주로 리모트 컨트롤러(3), 공조기(1) 및 디스플레이(2)를 구비한다.
공조기(1)의 구성은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4에서 도시되는 공조기(1)와 같고, 디스플레이(2)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1에서 도시되는 디스플레이(2)와 같으므로 각각의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되는 구성 요소와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가 붙어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3)는 송신 제어부(31) 및 송신부(32)를 구비한다. 리모트 컨트롤러(3)에는 공조기(1)에 대한 제어 지령(S1)과 디스플레이(2)에 대한 제어 지령(S2)이 각각 입력된다. 제어 지령(S1)은 예를 들면 온도 조절부(13)에서 조절되는 환경 온도에 관한 지령을 포함한다. 제어 지령(S2)은 예를 들면 화상의 색조에 관한 지령을 포함한다.
송신 제어부(31)는 송신부(3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송신부(32)에는 입력된 제어 지령(S1)에 기초하여 제어 지령(S10)을 주고, 이것에 기초하여 공조기(1)로 제어 지령(S11)을 송신시킨다. 또한, 송신부(32)에는 입력된 제어 지령(S2)에 기초하여 제어 지령(S20)을 주고, 이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로 제어 지령(S21)을 송신시킨다. 제어 지령(S11)은 제어 지령(S1)에 기초하는 환경 온도의 제어를 공조기(1)에 시킨다. 제어 지령(S21)은 제어 지령(S2)에 기초하는 화상의 색조 등의 제어를 디스플레이(2)에 시킨다.
공조기(1)에서는 수신부(14)가 제어 지령(S11)을 수신하고, 이것을 제어 지령(S12)으로서 온도 조절 제어부(11)에 입력한다. 그리고 온도 조절 제어부(11)는 제어 지령(S12)에 기초하여 즉, 제어 지령(S11)에 기초하여 온도 조절부(13)에 환경 온도를 제어시킨다. 온도 조절부(13)는 소정 위치의 환경, 예를 들면 공조기(1)가 설치된 환경으로 온도 조절한 공기(100)를 송출하는 것으로, 그 환경의 온도 즉, 환경 온도를 조절한다.
디스플레이(2)에서는 수신부(23)가 제어 지령(S21)을 수신하고, 이것을 제어 지령(S22)으로서 영사 제어부(21)에 입력한다. 그리고 영사 제어부(21)는 제어 지령(S22)에 기초하여 즉, 제어 지령(S21)에 기초하여 화상의 색조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취침 시에는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기상 시에는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각각 제어된다.
제어 지령(S11)에 기초하는 공조기(1)의 제어와 제어 지령(S21)에 기초하는 디스플레이(2)의 제어는 서로 연계한다.
상기 환경 조정 시스템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3)에 의하여 공조기(1) 및 디스플레이(2)를 일원 관리할 수 있으므로 공조기(1)의 제어와 디스플레이(2)의 제어를 서로 관련짓는 것이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취침 시와 기상 시로 나누어 환경 조정 시스템에 의한 제어 기술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취침 시에는 우선 디스플레이(2)에 있어서 영사 제어부(21)가 제어 지령(S22)에 기초하여 즉, 제어 지령(S21)에 기초하여 화상을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영사부(24)에 표시 또는 투사시킨다.
예를 들면, 백색의 색온도가 6000K 이하에 상당하도록 색조를 변경하는 것으로,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가 얻어진다. 이 색조에 의하면, 그 색조로 표시 등이 된 화상을 보고 있는 사람의 입면이 촉진된다.
또한,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를 얻는 것에 병행하여 화상의 휘도를 낮추어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면, 주위가 어두워지므로 화상을 보고 있는 사람의 입면이 보다 촉진된다.
나아가,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를 얻는 것에 병행하여 음향 발생부(4)로부터 나오는 음량을 감소시켜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면, 주위가 조용해지므로 음향을 듣고 있는 사람의 입면이 보다 촉진된다.
상기 제어 후, 공조기(1)에 있어서 온도 조절 제어부(11)가 제어 지령(S12)에 기초하여 즉, 제어 지령(S11)에 기초하여 온도 조절부(13)에 환경 온도를 저하시킨다. 이때, 입면 시점으로부터 환경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쌀쌀함을 느끼는 등의 불쾌감을 입면 전에 주는 일이 없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입면 시점은 예를 들면 입면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다.
이와 같은 제어 기술에 의하면, 표시 등이 되는 화상의 색조가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화상을 보고 있는 사람에게 침정 작용이 있는 색을 느끼게 하여 그 사람의 입면을 촉진한다. 나아가, 그 후에 환경 온도가 저하하므로 수면 시의 체온이 저하한다. 따라서, 원활하게 사람을 수면으로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상 시에는 우선 공조기(1)에 있어서 온도 조절 제어부(11)가 제어 지령(S12)에 기초하여 즉, 제어 지령(S11)에 기초하여 온도 조절부(13)에 환경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 후, 디스플레이(2)에 있어서 영사 제어부(21)가 제어 지령(S22)에 기초하여 즉, 제어 지령(S21)에 기초하여 화상을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영사부(24)에 표시 또는 투사시킨다. 이때, 각성 시점으로부터 화상을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제어하는 것이 각성이 앞당겨지는 등의 불쾌감을 저감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각성 시점은 예를 들면 각성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다.
예를 들면, 그 색온도가 10000K 이상에 상당하도록 색조를 변경하는 것으로,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가 얻어진다. 이것에 의하면, 그 색조로 표시 등이 된 화상을 본 사람의 졸음이 줄어든다.
또한,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를 얻는 것에 병행하여 화상의 휘도를 높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면, 주위가 밝아지므로 화상을 본 사람의 졸음이 줄어든다.
나아가,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를 얻는 것에 병행하여 음향 발생부(4)로부터 나오는 음량을 증가시켜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면, 주위가 시끄러워지므로 음향을 들은 사람의 졸음이 줄어든다.
이와 같은 제어 기술에 의하면, 환경 온도가 상승하므로 수면 시의 체온이 상승하여 자고 있는 사람을 각성으로 유도한다. 나아가, 그 후에 표시 등이 되는 화상의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각성 후에 화상을 본 사람에게 흥분 작용이 있는 색을 느끼게 하여 그 사람의 졸음을 줄인다. 따라서, 원활하게 사람을 각성으로 유도한다.
도 8은 환경 조정 시스템의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8에서 도시되는 구성 요소 중, 도 7에서 도시되는 구성 요소와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가 붙어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3)에는 제어 지령(S1, S2) 중 어느 일방(一方)이 입력된다.
제어 지령(S1)이 입력된 경우에는, 송신 제어부(31)는 제어 지령(S10)을 송신부(32)에 주는 것으로, 제어 지령(S1)에 기초하는 제어 지령(S11)을 송신부(32)에서 공조기(1)로 송신시킨다. 나아가, 제어 지령(S20)을 송신부(32)에 주는 것으로, 제어 지령(S21)을 송신부(32)에서 디스플레이(2)로 제어 지령(S1)에 기초하여 송신시킨다.
이와 같은 제어 기술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3)에 공조기(1)에 대한 제어 지령(S1)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2)의 제어가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한편, 제어 지령(S2)이 입력된 경우에는, 송신 제어부(31)는 제어 지령(S20) 을 송신부(32)에 주는 것으로, 제어 지령(S2)에 기초하는 제어 지령(S21)을 송신부(32)에서 디스플레이(2)로 송신시킨다. 나아가, 제어 지령(S10)을 송신부(32)에 주는 것으로, 제어 지령(S11)을 송신부(32)에서 공조기(1)로 제어 지령(S2)에 기초하여 송신시킨다.
이와 같은 제어 기술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3)에 디스플레이(2)에 대한 제어 지령(S2)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공조기(1)의 제어가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상술한 어느 제어 기술에 있어서도, 송신 제어부(31)는 공조기(1) 및 디스플레이(2)의 각각에 제어를 시키기 직전에, 제어 지령(S11, S21)을 송신부(32)에서 각각 송신시켜도 무방하고, 또는 공조기(1) 및 디스플레이(2)에 각각 소정 시각부터 제어를 개시시키는 지령을 제어 지령(S11, S21)에 포함시켜 미리 송신부(32)에서 공조기(1) 및 디스플레이(2)로 각각 송신시켜도 무방하다.
도 9는 환경 조정 시스템에 있어서 그 사용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 9에서는 음향 발생부(4)는 베개에 내장되고, 리모트 컨트롤러(3)는 휴대 가능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환경 조정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를 내장한 공조기(1)를 채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술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화상으로 동화상을 채용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2)에서 표시 등이 된 그 화상에 주의(注意)가 끌리게 되므로, 화상의 색조에 의한 침정 작용 또는 흥분 작용을 정지 화상에 비해 보다 효율 좋게 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2)의 전원, 특히 영사부(24)의 전원이나 화상 신호 생성부(6)의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영사 제어부(21) 또는 제어 지령(S21)에 의하여 각각 제어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영사부(24)의 전원은 입면 시점에서 오프로 제어되고, 또는 각성 시점에서 온으로 제어된다.
본 발명은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 있어서 예시이며, 본 발명이 그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의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61)

  1. 색조를 가변으로 하여 화상의 표시 또는 투사를 행하는 영사부(映寫部, 24)와,
    환경 온도의 조절을 행하는 온도 조절부(13)와,
    상기 화상의 색조의 변화와 상기 환경 온도의 상기 조절을 서로 관련지어 각각 상기 영사부 및 상기 온도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1, 21)
    를 구비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사부(24)가 상기 색조를 침정(沈靜)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키고 나서, 상기 온도 조절부(13)가 상기 환경 온도를 저하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입면(入眠) 시점을 검출하는 입면 센서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입면 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입면 시점으로부터 상기 온도 조절부(13)에 대하여 상기 환경 온도를 저하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영사부(24)에 설정되는 색온도가 저하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가 저하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가 저하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영사부(24)에 설정되는 색온도가 저하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가 저하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가 저하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 발생부(4)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가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는 것에 따라 상기 음향의 음량이 감소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조절부(13)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11)와
    상기 영사부(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영사 제어부(21)
    를 가지고,
    상기 온도 조절부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기(空調機, 1)와
    상기 영사부와 상기 영사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
    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조절부(13)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11)와
    상기 영사부(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영사 제어부(21)와
    상기 음향 발생부(4)의 동작을 제어하는 음향 제어부(21)
    를 가지고,
    상기 온도 조절부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기(1)와
    상기 영사부와 상기 영사 제어부와 상기 음향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13.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조절부(13)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11)와
    상기 영사부(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영사 제어부(21)
    를 가지고,
    상기 온도 조절부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기(1)와
    상기 영사부와 상기 영사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
    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조절부(13)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11)와
    상기 영사부(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영사 제어부(21)
    를 가지고,
    상기 온도 조절부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기(1)와
    상기 영사부와 상기 영사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
    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15. 제2항에 있어서,
    음향을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색조가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는 것에 따라 상기 음향의 음량을 감소하는 음향 발생부(4)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조절부(13)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11)와
    상기 영사부(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영사 제어부(21)와
    상기 음향 발생부(4)의 동작을 제어하는 음향 제어부(21)
    를 가지며,
    상기 온도 조절부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기(1)와
    상기 영사부와 상기 영사 제어부와 상기 음향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조절부(13)가 상기 환경 온도를 상승시키고 나서, 상기 영사부(24)가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각성(覺醒) 시점을 검출하는 각성 센서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각성 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각성 시점으로부터 상기 영사부(24)에 대하여 상기 화상의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영사부(24)에 설정되는 색온도가 상승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가 상승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가 상승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영사부(24)에 설정되는 색온도가 상승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가 상승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가 상승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24.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 발생부(4)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조가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는 것에 따라 상기 음향의 음량이 증대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조절부(13)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11)와
    상기 영사부(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영사 제어부(21)
    를 가지고,
    상기 온도 조절부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기(1)와
    상기 영사부와 상기 영사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
    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조절부(13)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11)와
    상기 영사부(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영사 제어부(21)와
    상기 음향 발생부(4)의 동작을 제어하는 음향 제어부(21)
    를 가지고,
    상기 온도 조절부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기(1)와
    상기 영사부와 상기 영사 제어부와 상기 음향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27.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조절부(13)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11)와
    상기 영사부(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영사 제어부(21)
    를 가지고,
    상기 온도 조절부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기(1)와
    상기 영사부와 상기 영사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
    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2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조절부(13)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11)와
    상기 영사부(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영사 제어부(21)
    를 가지고,
    상기 온도 조절부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기(1)와
    상기 영사부와 상기 영사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
    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29. 제16항에 있어서,
    음향을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색조가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는 것에 따라 상기 음향의 음량을 증대하는 음향 발생부(4)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조절부(13)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11)와
    상기 영사부(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영사 제어부(21)와
    상기 음향 발생부(4)의 동작을 제어하는 음향 제어부(21)
    를 가지며,
    상기 온도 조절부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기(1)와
    상기 영사부와 상기 영사 제어부와 상기 음향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30. 제14항, 제15항, 제28항 및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기(1)는 제1 제어 지령(S21)을 송신하는 송신부(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2)는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11)는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제1 수신부로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송신시키고,
    상기 영사 제어부(21)는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제1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의 상기 색조를 변화시켜 상기 영사부에 표시 또는 투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제2 제어 지령(S11)을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3)
    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공조기(1)는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11)는
    상기 제2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제2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 조절부(13)에 상기 환경 온도를 제어시키고
    상기 제2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지령(S21)을 상기 송신부(12)에서 상기 제1 수신부(23)로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32. 제14항, 제15항, 제28항 및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제어 지령(S21)을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3)
    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공조기(1)는 제2 제어 지령(S201)을 송신하는 송신부(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2)는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11)는 상기 송신부(12)에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송신시키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수신한 상기 제2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수신부로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송신하며,
    상기 영사 제어부(21)는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제1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의 상기 색조를 변화시켜 상기 영사부에 표시 또는 투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33. 제14항, 제15항, 제28항 및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부(24)의 제어를 지령하는 제1 제어 지령(S21)과 상기 온도 조절부(13)의 제어를 지령하는 제2 제어 지령(S11)을 송신하는 송신부(32)와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31)
    를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3)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2)는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조기(1)는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제1 수신부로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송신시키고, 상기 제2 수신부로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송신시키고,
    상기 영사 제어부(21)는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제1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의 상기 색조를 변화시켜 상기 영사부(24)에 표시 또는 투사시키며,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11)는 상기 제2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제2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 조절부(13)에 상기 환경 온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31)에는 상기 공조기(1)의 제어를 지령하는 제3 제어 지령(S1)이 입력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3 제어 지령에 기초하는 상기 제2 제어 지령(S11)을 상기 송신부(32)에서 상기 제2 수신부(14)로 송신시키고
    상기 제1 제어 지령(S21)을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제1 수신부(23)로 상기 제3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3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2)의 제어를 지령하는 제3 제어 지령(S2)이 입력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제3 제어 지령에 기초하는 상기 제1 제어 지령(S21)을 상기 송신부(32)에서 상기 제1 수신부(23)로 송신시키고
    상기 제2 제어 지령(S11)을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제2 수신부(14)로 상기 제3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
  36. 디스플레이(2)에 표시 또는 투사하는 화상을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키는 영사 단계와,
    상기 영사 단계 후에 환경 온도를 저하하는 온도 조절 단계
    를 구비하는 환경 조정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단계에서는 입면 시점으로부터 상기 환경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색조의 색온도의 저하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의 저하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의 저하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4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색조의 색온도의 저하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의 저하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43.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의 저하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44. 제36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2)에 상기 화상을 표시 또는 투사하는 것에 병행하여 음향 발생부(4)로부터 음향이 나오고,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침정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는 것에 따라 상기 음향의 음량을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45. 환경 온도를 상승하는 온도 조절 단계와,
    상기 온도 조절 단계 후에 디스플레이(2)에 표시 또는 투사하는 화상을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키는 영사 단계
    를 구비하는 환경 조정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각성 시점으로부터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색조의 색온도의 상승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의 상승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49.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의 상승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50.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색조의 색온도의 상승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의 상승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52.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시킬 때에 상기 화상의 휘도의 상승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53. 제45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2)에 상기 화상을 표시 또는 투사하는 것에 병행하여 음향 발생부(4)로부터 음향이 나오고,
    상기 영사 단계에서는 상기 색조를 흥분 작용이 있는 색조로 변화하는 것에 따라 상기 음향의 음량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54. 제36항 내지 제43항 및 제45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환경 조정 방법에서 구비된 상기 온도 조절 단계를 실행하는 공조기(1)와
    상기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영사 단계를 실행하는 디스플레이(2)
    를 가지고,
    상기 공조기는 제1 제어 지령(S21)을 송신하는 송신부(12)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23)를 포함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상기 제1 수신부로 송신시키는 송신 단계와,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수신한 후 상기 제1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영사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제2 제어 지령(S11)을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3)를 더 가지고,
    상기 공조기(1)는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14)를 더 포함하는 상기 환경 조정 시스템에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송신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상기 제2 수신부에서 수신한 후 상기 제2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 조절 단계를 실행하고 상기 제2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지령(S21)을 상기 공조기(1) 내에서 발생시키는 단계
    를 상기 송신 단계 전에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56. 제36항 내지 제43항 및 제45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환경 조정 방법에서 구비된 상기 온도 조절 단계를 실행하는 공조기(1)와
    상기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영사 단계를 실행하는 디스플레이(2)와
    제1 제어 지령(S21)을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3)
    를 가지고,
    상기 공조기(1)는 제2 제어 지령(S201)을 송신하는 송신부(12)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2)는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23)를 포함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송신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수신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상기 제2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상기 제1 수신부로 송신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후 상기 제1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영사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57. 제36항 내지 제43항 및 제45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환경 조정 방법에서 구비된 상기 온도 조절 단계를 실행하는 공조기(1)와
    상기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영사 단계를 실행하는 디스플레이(2)와
    리모트 컨트롤러(3)
    를 가지고,
    상기 디스플레이(2)는 제1 제어 지령(S21)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조기(1)는 제2 제어 지령(S11)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제어 지령과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송신하는 송신부(32)를 포함하는 환경 조정 시스템에서,
    (a)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제1 수신부(23)로 상기 제1 제어 지령(S21)을 송신시키고, 상기 제2 수신부(14)로 상기 제2 제어 지령(S11)을 송신시키는 단계와,
    (b)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제1 수신부에서 수신한 후 상기 제1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영사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와,
    (c) 상기 제2 제어 지령을 제2 수신부에서 수신한 후 상기 제2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온도 조절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3)에 상기 온도 조절 단계의 실행을 지령하는 제3 제어 지령(S1)을 입력하는 단계
    를 상기 단계(a) 전에 실행하고,
    상기 단계(a)에서는
    상기 제3 제어 지령에 기초하는 상기 제2 제어 지령(S11)을 상기 송신부(32)에서 상기 제2 수신부(14)로 송신시키고
    상기 제1 제어 지령(S21)을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제1 수신부(23)로 상기 제3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3)에 상기 영사 단계의 실행을 지령하는 제3 제어 지령(S2)을 입력하는 단계
    를 상기 단계(a) 전에 실행하고,
    상기 단계(a)에서는
    상기 제3 제어 지령에 기초하는 상기 제1 제어 지령(S21)을 상기 송신부(32)에서 상기 제1 수신부(23)로 송신시키고
    상기 제2 제어 지령(S11)을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제2 수신부(14)로 상기 제3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조정 방법.
  60. 색조를 가변으로 하여 화상의 표시 또는 투사를 행하는 디스플레이(2)에 대해 제1 제어 지령(S21)을 송신하는 송신부(12)와
    환경 온도의 조절을 행하는 온도 조절부(13)와
    상기 온도 조절부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 제어부(11)
    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는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로 상기 제1 제어 지령을 송신시키며,
    상기 제1 제어 지령은 상기 온도 조절 제어부가 상기 온도 조절부에 상기 환경 온도를 조절시키는 것에 관련지어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화상의 색조를 제어시키는 공조기.
  61. 송신부(32)와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31)
    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색조를 가변으로 하여 화상의 표시 또는 투사를 행하는 디스플레이(2)로의 제1 제어 지령(S21)의 송신과
    공조기(1)로의 제2 제어 지령(S11)의 송신
    이 실행 가능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로 상기 제1 제어 지령(S21)을 송신시키고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공조기로 상기 제2 제어 지령(S11)을 송신시키고,
    상기 제1 제어 지령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화상의 색조를 제어시키고,
    상기 제2 제어 지령은 상기 공조기에 환경 온도를 조절시키며,
    상기 화상의 상기 색조의 변화와 상기 환경 온도의 조절은 서로 관련지어져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
KR1020077006662A 2004-09-30 2005-09-07 환경 조정 시스템 및 환경 조정 방법 및 공조기 및 리모트컨트롤러 KR100852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87887 2004-09-30
JP2004287887A JP3806880B2 (ja) 2004-09-30 2004-09-30 環境調整システム及び環境調整方法並びに空調機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941A KR20070046941A (ko) 2007-05-03
KR100852929B1 true KR100852929B1 (ko) 2008-08-19

Family

ID=36142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662A KR100852929B1 (ko) 2004-09-30 2005-09-07 환경 조정 시스템 및 환경 조정 방법 및 공조기 및 리모트컨트롤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80319253A1 (ko)
EP (1) EP1806159A4 (ko)
JP (1) JP3806880B2 (ko)
KR (1) KR100852929B1 (ko)
CN (1) CN100500242C (ko)
AU (1) AU2005290735B2 (ko)
WO (1) WO20060384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514B1 (ko) * 2005-06-01 2007-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JP4755032B2 (ja) * 2006-06-28 2011-08-24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照明式覚醒装置
CN101576705B (zh) * 2009-06-26 2011-01-26 苏州信达光电科技有限公司 多功能投影装置
DE102010016404A1 (de) * 2010-04-12 2012-12-27 Forschungszentrum Jüli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onditionierten desynchronisierenden nicht-invasiven Stimulation
CN103501849B (zh) * 2011-04-14 2017-02-15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触发呼吸响应以减少关联的焦虑的系统和方法
JP6008564B2 (ja) * 2011-06-20 2016-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1275902B1 (ko) * 2011-09-06 2013-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TWI435038B (zh) 2011-12-14 2014-04-21 Ind Tech Res Inst 空調控制裝置與方法
US9094489B1 (en) * 2012-05-29 2015-07-28 West Corporation Controlling a crowd of multiple mobile station devices
CN103776130A (zh) * 2012-10-25 2014-05-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温度控制方法、装置及空调设备
KR102149198B1 (ko) 2013-11-25 2020-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CN103900206B (zh) * 2014-03-25 2017-02-08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空调
CN103941703B (zh) * 2014-04-29 2017-06-27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廊坊供电公司 多机房之间的通信管理方法和装置
CN104007746A (zh) * 2014-06-17 2014-08-27 科蓝纳尔(杭州)空气净化技术有限公司 一种环境管家控制装置和电子设备
CN105202691B (zh) * 2015-08-11 2019-10-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空调的智能终端物联睡眠系统及控制方法
WO2018061248A1 (ja) * 2016-09-28 2018-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番組表生成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CN106440213A (zh) * 2016-09-29 2017-02-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及其控制方法和控制系统
JP6933013B2 (ja) * 2017-06-15 2021-09-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用コントローラー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CN109114738A (zh) * 2018-08-31 2019-01-01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空调及可读存储介质
CN109375518A (zh) * 2018-09-30 2019-02-22 安徽独角仙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对比分析功能的睡眠环境智能化调控方法
EP3875773A4 (en) * 2018-11-02 2021-12-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and environmental control method
EP3875772A4 (en) * 2018-11-02 2021-12-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an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method
CN109945408A (zh) * 2019-03-28 2019-06-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投影显示时间的方法、空调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216228B (zh) * 2021-11-11 2023-07-1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的控制方法、控制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2901A (ja) * 1990-06-20 1992-0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寝室システムコントロール装置
JPH04203745A (ja) * 1990-11-29 1992-07-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環境制御装置
JP2811977B2 (ja) * 1991-02-27 1998-10-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就寝装置
JP2549469B2 (ja) * 1991-03-12 1996-10-30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瞑想室装置
JPH04295372A (ja) * 1991-03-23 1992-10-20 Namco Ltd 気分転換装置
JP3360837B2 (ja) * 1991-03-23 2003-01-07 株式会社ナムコ 気分転換装置
US5304112A (en) * 1991-10-16 1994-04-19 Theresia A. Mrklas Stress reduction system and method
JPH05146512A (ja) * 1991-11-26 1993-06-15 Susumu Sakuma スリーピングシステム
JPH05214822A (ja) * 1992-02-06 1993-08-24 Toto Ltd 浴室装置
JPH06121839A (ja) * 1992-10-08 1994-05-06 Isao Kuriyama 睡眠誘発装置
JPH07136277A (ja) * 1993-11-16 1995-05-30 Hazama Gumi Ltd 瞑想室システム
JP3322225B2 (ja) * 1998-03-24 2002-09-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放電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2000017869A (ja) * 1998-07-02 2000-01-18 Mitsubishi Heavy Ind Ltd 屋内環境演出装置
US6623511B1 (en) * 1999-04-12 2003-09-23 Visibelle Derma Institute, Inc. Chromatherapy shower system
JP4495814B2 (ja) * 1999-12-28 2010-07-07 アビックス株式会社 調光式led照明器具
US6888779B2 (en) * 2001-11-20 2005-05-03 Pulsar Informat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waking control system
WO2003057098A1 (fr) * 2001-12-28 2003-07-17 Noriyasu Sakamoto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thermique corporel total
JP3754394B2 (ja) * 2002-05-29 2006-03-08 横河電機株式会社 睡眠段階推定装置及び睡眠段階推定装置から出力される信号を利用した装置
US6902296B2 (en) * 2002-06-15 2005-06-07 Searfoss, Iii Robert Lee Nightlight for phototherapy
WO2004075714A2 (en) * 2003-02-28 2004-09-10 Cornel Lustig Device for manipulating the state of alertness
JP2005098043A (ja) * 2003-08-21 2005-04-14 Misawa Homes Co Ltd 居室環境演出装置
US20050113723A1 (en) * 2003-10-16 2005-05-26 Kenji Ueyama Relaxation system, relaxation method, relaxation program, massage system, massage method, massage program, physical activity determiner, physical activity determination method, and physical activity determination program
US7041049B1 (en) * 2003-11-21 2006-05-09 First Principles, Inc. Sleep guidance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7524279B2 (en) * 2003-12-31 2009-04-28 Raphael Auphan Sleep and environment control method and system
JP2005211319A (ja) * 2004-01-29 2005-08-11 Sekisui House Ltd 睡眠環境形成装置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3-0032529 A(2003.04.26.)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4-0022915 A(2004.03.18.)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362532 Y1(2004.09.09.)
일본공개특허 평11-135273 A(1999.05.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00242C (zh) 2009-06-17
WO2006038419A1 (ja) 2006-04-13
EP1806159A1 (en) 2007-07-11
US20140135571A1 (en) 2014-05-15
CN101035586A (zh) 2007-09-12
JP2006095232A (ja) 2006-04-13
AU2005290735A1 (en) 2006-04-13
KR20070046941A (ko) 2007-05-03
EP1806159A4 (en) 2012-04-25
JP3806880B2 (ja) 2006-08-09
US20080319253A1 (en) 2008-12-25
AU2005290735B2 (en)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929B1 (ko) 환경 조정 시스템 및 환경 조정 방법 및 공조기 및 리모트컨트롤러
US105659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 spectrum filtering
JP6713880B2 (ja) 空調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EP2696572A2 (en) Power saving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2007044201A (ja) 睡眠環境調整システム及び睡眠環境調整方法
CN105650830A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装置和遥控器
JP4497346B2 (ja) 電子機器制御装置、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
WO2017024949A1 (zh) 一种基于空调的智能终端物联睡眠系统及控制方法
JP2011071680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方法
US10708535B2 (en) Light output system
CN105737344A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装置和遥控器
EP2263530A1 (en) Intelligent power-saving device
CN107666733A (zh) 一种具有唤醒助眠功能的灯具及其控制方法
JP2009284998A (ja) 睡眠制御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JP6161055B2 (ja) 体感温度制御システム、体感温度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137325A (ja) 据え置き型テレビ
CN114207591A (zh) 控制方法、控制装置、以及程序
CN215730199U (zh) 遥控器
JP6458175B2 (ja) 光出力システム
CN105611403A (zh) 智能电视开机噪音消除方法及装置
CN111816128B (zh) 遥控器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存储介质
JP6446571B2 (ja) 光出力システム
KR20070122282A (ko)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tv 및 tv의 전원제어방법
WO2018078905A1 (ja) 光出力システム
CN113952585A (zh) 一种失眠治疗用睡眠环境调节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