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2282A -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tv 및 tv의 전원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tv 및 tv의 전원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2282A
KR20070122282A KR1020060057645A KR20060057645A KR20070122282A KR 20070122282 A KR20070122282 A KR 20070122282A KR 1020060057645 A KR1020060057645 A KR 1020060057645A KR 20060057645 A KR20060057645 A KR 20060057645A KR 20070122282 A KR20070122282 A KR 20070122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hours
power
user
variable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57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22282A/ko
Publication of KR20070122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2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5Memor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V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원의 온(on)/오프(off)를 설정된 시점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TV에 관한 것으로, 특히 24시간의 범위에서 결정되는 현재시간과는 관계없이 타이머의 동작 시점과 종점으로 특정되는 일정한 범위의 가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가변 타이머가 내장된 TV와 그러한 TV의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TV는 내부 구성에 있어서 가변타이머가 더 포함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방법에는 24시간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현재 시간과는 관계없이 타이머의 동작 시점과 종점으로 특정되는 일정한 범위의 가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가변 타이머를 선택하는 단계; 가변 타이머의 가동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가변 타이머에 TV의 전원을 온/오프 시킬 횟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일정한 범위의 가동 시간 내에서 횟수의 제한 없이 TV 전원의 온/오프 시점을 설정할 수 있게 하여 장기간의 부재시에도 마치 실내에 사람이 있는 듯이 보이게 하여 외부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V, 타이머, 전원, OSD, 온, 오프, 제어

Description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TV 및 TV의 전원제어방법{ON/OFF control TV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TV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TV의 전원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모리 20 : 가변 타이머
30 : 제어부 40 : 전원부
50 : OSD 60 : 리모컨 수신부
70 : 리모컨 80 : 키입력부
본 발명은 TV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TV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가변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원의 온(on)/오프(off)를 설정된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TV 및 TV의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TV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TV의 전원을 온/오프 시킬 수 있는 타이머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타이머는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가동된 다. 현재 시간이란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것과 같이 24시간의 범위 내에서 반복되는 실질적 시간 개념을 말한다. 이러한 TV의 온/오프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우선적으로 TV에 현재시간을 입력해야 하며, 원하는 온/오프 시간을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기술에 의한 TV는 1회에 한하여 TV의 온/오프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보통이며, 정해진 시간에 TV의 전원이 온/오프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리모컨 또는 외부 선택키를 조작하여 TV의 화면상에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실행시킨다. 사용자는 OSD를 통해 화면색상의 조절이나 채널선국, 채널기억 또는 현재시간설정을 할 수 있다. TV에 따라 다양한 메뉴가 제공된다. 여기서 TV의 온/오프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우선 현재시간을 설정하여야 한다. 현재시간이 설정되면 사용자는 원하는 온/오프 시간을 설정한다. 통상적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TV는 0에서 24시간의 범위 내에서 분 단위까지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원하는 온/오프 시간은 단 1회에 한해 가능한 것이 보통이며, 설령 다수의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고 하여도, 현재시간의 기준 범위인 24시간 이내에서만 가능한 것이다.
사용자가 이러한 TV의 온/오프 기능을 이용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아침에 기상 알람 대용으로 TV의 전원을 원하는 시간에 온(on) 되고 외출하는 시간에 맞춰 오프(off)되게 설정하는 것이 보통일 것이다. 또는 야간에 취침이후 자동으로 TV 전원이 오프(off)되게 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외에도 휴가 등에 의한 장기간의 부재시에 외부의 침입자로부터 마치 집에 사람이 있는 듯한 효과를 내기 위하여 TV의 온/오프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TV는 통상적으로 24시간의 범위 내에서, 1회에 한하여 TV의 온/오프가 가능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외부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치 실내에 사람이 있는 듯한 효과를 내기에는 부족하다. 보다 확실한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TV의 온/오프 시점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24시간의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온/오프 시점의 영역을 보다 길게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실제로 실내에서 사람이 TV를 시청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외부 침입자의 침입시점이 어느 때라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24시간의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현재 시간과는 관계없이 타이머의 동작 시점과 종점으로 특정되는 일정한 범위의 가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가변 타이머가 포함된 TV를 제공함으로써, 일정한 범위의 가동 시간 내에서 횟수의 제한 없이 TV 전원의 온/오프 시점을 설정할 수 있게 하여 장기간의 부재시에도 마치 실내에 사람이 있는 듯한 효과를 발생시켜 외부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24시간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현재 시간과는 관계없이 사용자의 설정에 의한 동작 시점과 종점으로 특정되는 일정한 범위의 가동 시간을 갖는 가변 타이머; 및, 상기 가변 타이머와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가동 시간 내에 온/오프 시점이 설정된 경우 상기 온/오프 시점에 대응하여 TV의 전원을 온/오프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TV를 제공한다.
상기 온/오프 시점은 상기 가동 시간 내에서 횟수에 제한 없이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동 시간은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또는 120시간 중 어느 하나의 시간 범위를 갖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한 온/오프 시점 및 가동 시간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가변 타이머를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TV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TV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가변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변 타이머의 가동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동 시간 내에서 상기 TV의 전원을 온/오프 시킬 횟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TV의 전원을 온/오프 시킬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의 전원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는 상기 설정된 TV 전원의 온/오프 시킬 횟수와, 상기 온/오프 시킬 시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 시간은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또는 120시간 중 어느 하나의 시간 범위를 갖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기능을 구비한 TV의 블록 도이다.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TV의 전원을 온/오프 하는 전원부(40), 각종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하기 위한 메모리(10), 가변 타이머(20), 외부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도와주는 OSD(On Screen Display, 50), 외부 키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에 전달하는 키입력부(80), TV의 외부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90), 원격으로 TV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70)과 리모컨에서 송출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수신부(60)로 구성된다.
현재 시간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 TV의 온/오프 시간에 따라 TV의 전원을 제어하는 일반적인 타이머와는 달리, 가변 타이머(20)는 현재 시간과는 관계없이 타이머의 동작 시점과 종점을 사용자가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리모컨(70)이나 키입력부(80)를 조작하여 OSD(50) 기능을 TV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시키고 가변 타이머(20)의 가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정한 시점부터 가변 타이머(20)가 작동하며 사용자가 지정한 종점에 가변 타이머의 작동은 종료한다. 가동 시간은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휴가 등으로 인한 장기간 부재시에 마치 실내에 사람이 있는 듯한 효과를 내어 외부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을 고려할 때, 가동 시간은 최소 24시간 이상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4시간 내지 120시간(1일에서 5일)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사용자는 정해진 가동 시간 내에서 횟수의 제한 없이 다양한 온/오프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가동시간을 48시간으로 설정한 경우,
00시 00분 내지 06시 00분 : 오프상태
06시 00분 내지 07시 30분 : 온상태(06 시 00분 온으로 설정)
07시 30분 내지 09시 00분 : 오프상태(07시 30분 오프로 설정)
09시 00분 내지 11시 00분 : 온상태(09시 00분 온으로 설정)
11시 00분 내지 19시 00분 : 오프상태(11시 00분 오프로 설정)
19시 00분 내지 22시 45분 : 온상태(19시 00분 온으로 설정)
22시 45분 내지 29시 00분 : 오프상태(22시 45분 오프로 설정)
29시 00분 내지 31시 30분 : 온상태(29시 00분 온으로 설정)
31시 30분 내지 44시 00분 : 오프상태(31시 30분 오프로 설정)
44시 00분 내지 45시 00분 : 온상태(44시 00분 온으로 설정)
45시 00분 내지 48시 00분 : 오프상태(45시 00분 오프로 설정)
과 같이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괄호에 기재된 것처럼 00시 00분 내지 48시 00분의 범위 내에서 원하는 시점에 횟수의 제한 없이 온/오프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리모컨(70, 도 2 참조)이나 키입력부(80)를 이용하여 OSD(50) 기능을 실행시킨다. 제공되는 OSD 메뉴를 통해 가변 타이머(20)의 기능을 선택한다(S110).
사용자가 가변 타이머(20) 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가변 타이머(20)의 가동 시간을 설정한다(S120). 설정된 가동 시간의 범위 내에서 사용자는 온/오프 횟수를 설정한다(S130). 온/오프 횟수란 TV의 전원이 켜지고 꺼지는 두 개의 시점을 한 쌍 으로 하여, 그러한 온/오프를 한 쌍으로 한 횟수가 몇 번 있는지를 의미하는 수이다. 앞서 예를 들어 상술한 48시간의 가동시간 내에서 온/오프 횟수는 5회가 될 것이다(온 5회, 오프 5회). TV의 전원이 온 되는 시점이 있으면, 그에 대응하여 오프 되는 시점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불필요하게 TV의 전원이 계속적으로 켜져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S130"에서 온/오프 횟수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를 거치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설정된 온/오프 횟수에 맞추어서 온 타임과 오프 타임을 설정한다(S140, S150). 주의할 점은 여기서(S140, S150) 의미하는 온 타임과 오프 타임은 현재 시간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것이다. 단지 사용자가 설정한 가동시간 내에서 정해지는 온/오프 시점을 의미할 뿐이다. 사용자가 온 타임과 오프 타임을 설정하면 미리 설정된 온/오프 횟수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160)를 거쳐 가변 타이머(20)의 구동이 시작된다. 사용자가 “S140"과 “S150"의 단계에서 설정한 온/오프 시점의 횟수(온/오프를 한 쌍으로 한 횟수)가 "S130"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온/오프 횟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온 타임 설정단계(S140)로 복귀한다.
본 발명은 타이머를 이용한 것으로서, 실재의 시계를 이용한 것과는 달리 사용자의 설정시점부터 작동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타이머는 TV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전원을 제어할 필요성이 있는 어떠한 전자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실내의 조명이나 음향기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TV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24시간의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현재 시간과는 관계없이 타이머의 동작 시점과 종점으로 특정되는 일정한 범위의 가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가변 타이머가 포함된 TV를 제공함으로써, 일정한 범위의 가동 시간 내에서 횟수의 제한 없이 TV 전원의 온/오프 시점을 설정할 수 있게 하여 장기간의 부재시에도 마치 실내에 사람이 있는 듯이 보이게 하여 외부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24시간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현재 시간과는 관계없이 사용자의 설정에 의한 동작 시점과 종점으로 특정되는 일정한 범위의 가동 시간을 갖는 가변 타이머; 및,
    상기 가변 타이머와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가동 시간 내에 온/오프 시점이 설정된 경우 상기 온/오프 시점에 대응하여 TV의 전원을 온/오프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TV.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시점은 상기 가동 시간 내에서 횟수에 제한 없이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TV.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시간은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또는 120시간 중 어느 하나의 시간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TV.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한 온/오프 시점 및 가동 시간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TV.
  5. 가변 타이머를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TV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TV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가변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변 타이머의 가동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동 시간 내에서 상기 TV 전원의 온/오프 횟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TV의 전원을 온/오프 시킬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의 전원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TV 전원의 온/오프 횟수와, 상기 온/오프 시점의 횟수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의 전원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시간은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또는 120시간 중 어느 하나의 시간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의 전원제어방법.
KR1020060057645A 2006-06-26 2006-06-26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tv 및 tv의 전원제어방법 KR20070122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645A KR20070122282A (ko) 2006-06-26 2006-06-26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tv 및 tv의 전원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645A KR20070122282A (ko) 2006-06-26 2006-06-26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tv 및 tv의 전원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2282A true KR20070122282A (ko) 2007-12-31

Family

ID=3913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645A KR20070122282A (ko) 2006-06-26 2006-06-26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tv 및 tv의 전원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222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7366A (zh) * 2014-03-31 2014-07-30 福建省科正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儿童使用电视机的智能控制方法及其系统
KR20160094637A (ko) 2015-02-02 2016-08-10 주식회사 신흥정밀 사출금형의 보스부위 싱크마크 생성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7366A (zh) * 2014-03-31 2014-07-30 福建省科正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儿童使用电视机的智能控制方法及其系统
KR20160094637A (ko) 2015-02-02 2016-08-10 주식회사 신흥정밀 사출금형의 보스부위 싱크마크 생성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8067B2 (en) TV use simulation
US5894331A (en) Method of checking sleep mode function in a TV
US9798309B2 (en) Home automation control based on individual profiling using audio sensor data
US9838736B2 (en) Home automation bubble architecture
US6713975B2 (en) Lighting apparatus, lighting control system and home electric appliance
US20080319253A1 (en) Environment Adjustment System and Environment Adjustment Method, and Air Conditioner and Remote Controller
JPH04222419A (ja) 電源自動遮断装置
CN112291633B (zh) 一种智能家居设备屏幕亮度的控制方法及装置
KR20070122282A (ko)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tv 및 tv의 전원제어방법
JP4927591B2 (ja) 電子機器の起動モード設定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0115649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4623615B2 (ja) Tv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159046A (ja) 映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95803A (ko) 가정용 컴퓨터의 모니터 및 그 사용제한 방법
KR20020014200A (ko) 멀티미디어 인터넷 텔레비전을 이용한 전자기기의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640840B2 (ja) リモコン信号受信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映像表示装置
KR200391296Y1 (ko) 전자 타이머에 의한 가정용 전자기기의 사용제한 장치
KR100289285B1 (ko) 슬립타임 분할제어 방법
JP200235437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CN109683560B (zh) 一种智能灯控制方法及装置
JP2002152624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200089B1 (ko) 텔레비전 전원 자동 온/오프 제어방법
KR100808170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자동 켜짐 제어 방법
JPH1122538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KR950005946B1 (ko) 텔레비젼의 알람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