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713B1 -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및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속도 증가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및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속도 증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0713B1
KR100850713B1 KR1020060030151A KR20060030151A KR100850713B1 KR 100850713 B1 KR100850713 B1 KR 100850713B1 KR 1020060030151 A KR1020060030151 A KR 1020060030151A KR 20060030151 A KR20060030151 A KR 20060030151A KR 100850713 B1 KR100850713 B1 KR 100850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inkjet image
time
print data
execu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3542A (ko
Inventor
백오현
마사히코 하부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427,966 priority Critical patent/US7588310B2/en
Publication of KR2007000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28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aiming at warming up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02/0055Heating elements adjacent to nozzle orifices of printhead for warming up ink meniscuses, e.g. for lowering the surface tension of the ink menisc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2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a continuous ink jet
    • B41J2002/022Control methods or devices for continuous ink jet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및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에 대해서 개시된다. 개시된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및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에 의하면,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를 호스트에서 처리한 다음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전달하는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과, 메인트넌스부에 의하여 프린트 헤드를 메인트넌스하는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이 적어도 일부 겹쳐짐으로써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및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Inkjet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printing spe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시스템 중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을 시간 순서대로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이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보다 작은 경우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도 3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이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보다 작은 경우를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프린트 헤드 유니트 110.......몸체
111.......프린트 헤드 112.......노즐부
113.......배지롤러 114.......지지부재
115.......피딩롤러 117.......픽업롤러
125.......화상형성장치 130.......제어부
132.......감지부 140.......적재부
200.......호스트 310.......제1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
319.......제1 프로세스의 완료 시점 320.......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
329.......제2 프로세스의 완료 시점 L1........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
L2........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
LL........제1 및 제2 프로세스 전체의 수행 시간
본 발명은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잉크젯 프린트 헤드의 메인트넌스(maintenance) 방법을 개선하여 인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및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은 호스트 디바이스(host device : 이하 '호스트'라 명명함)와,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한다. 호스트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호스트 시스템을 의미하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잉크젯 프린터나 잉크젯 팩시밀리와 같은 장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는 프린트 헤드의 인쇄 시간, 인쇄매체의 급지 및 배지 시간, 메인트넌스 시간 등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메인트넌스 시간이란 와이핑(wiping) 시간이나 스피팅(spitting) 시간과 같이 프린트 헤드의 노즐부를 인쇄 대기 상태로 회복시키기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잉크젯 프린트 헤드를 사용하여 인쇄하는 방법이 미국특허 US 6,082,846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US 6,082,846에는 잉크젯 프린트 헤드의 토출면을 와이핑(wiping)한 후, 프린트 헤드로부터 잉크를 예비 토출시키고(spitting), 예비 토출 단계 이후에 프린트 헤드의 토출면을 와이핑(wiping)하지 않고 인쇄를 수행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발명은 호스트에서 인쇄데이터를 처리한 후 메인트넌스 동작인 와이핑(wiping) 동작과 스피팅(spitting) 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인쇄데이터를 처리한 후 메인트넌스 동작을 수행하므로 인쇄 속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인쇄데이터 처리 시간과 메인트넌스 동작 시간을 제어하여 인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및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은,
프린트 헤드 및 메인트넌스부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가 연결되는 호스트를 포함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에 있어서,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를 상기 호스트에서 처리한 다음 상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전달하는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과, 상기 메인트넌스부에 의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를 메인트넌스하는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이 적어도 일부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 및 상기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이 최대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과 완료 시점이 서로 동기화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이 상기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 중에 상기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과 완료 시점이 모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 또는 완료 시점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이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 중에 상기 제1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과 완료 시점이 모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 또는 완료 시점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프로세스는,
상기 호스트에서 수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인쇄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쇄데이터를 상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명령어를 상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프로세스는,
상기 프린트 헤드 주위의 잉크를 닦아내는 와이핑(wiping) 단계;
상기 프린트 헤드에서 소량의 잉크를 미리 분사시키는 스피팅(spitting)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프로세스는, 인쇄 환경에 따라 상기 프린트 헤드를 예열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은,
잉크를 분사하여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 및 메인트넌스(maintenance)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트넌스부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상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가 연결되는 호스트;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를 상기 호스트에서 처리한 다음 상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전달하는 제1 프로세스와, 상기 메인트넌스부에 의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를 메인트넌스하는 제2 프로세스를 적어도 일부 겹쳐서 수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 및 상기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이 최대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과 완료 시점을 서로 동기화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이 상기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 중에 상기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과 완료 시점을 모두 포함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 또는 완료 시점 중 어느 하나를 서로 일치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이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 중에 상기 제1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과 완료 시점을 모두 포함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 또는 완료 시점 중 어느 하나를 서로 일치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호스트에서 수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인쇄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쇄데이터 생성부;
상기 인쇄데이터를 상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변환하는 인쇄데이터 변환부;
상기 명령어를 상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전달하는 인쇄데이터 전달부; 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image forming system)과,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Method for increasing printing speed)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화상형성시스템의 전체적 인 구성을 먼저 설명한 후, 인쇄 속도 증가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시스템 중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시스템(100)은 호스트 디바이스(200)(host device : 이하 '호스트'라 명명함)와, 화상형성장치(125)를 포함한다.
호스트(200)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복합기(MFP : Multi Function Peripheral)와 같은 호스트 시스템을 의미하며,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이와 같은 호스트(200)는 인쇄데이터 생성부(210), 인쇄데이터 양 및 시간 계산부(220), 인쇄데이터 변환부(230), 및 인쇄데이터 전달부(240)를 포함한다.
인쇄데이터 생성부(210)는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를 생성한다. 인쇄데이터란 사용자(user)가 호스트(200)에서 수행되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이용하여 작업시 생성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응용 프로그램은 화상형 성장치(125)를 이용하여 출력이 가능한 오브젝트(object)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기능을 한다. 응용 프로그램의 예로는, Microsoft 사(社)의 MS-Word와 같은 문서 작성 프로그램이나, Excel과 같은 스프레드 쉬트(spread sheet)나, PowerPoint와 같은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프로그램, Adobe 사(社)의 Photoshop과 같은 그래픽 작업 프로그램 등이 있다. 응용 프로그램이 문서 작성 프로그램인 경우 인쇄데이터는 문서 데이터이며, 응용 프로그램이 그래픽 작업 프로그램인 경우 인쇄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호스트(200)가 마이크로소프트 사(社)의 윈도우즈(Windows)라는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에 기반하여 동작되는 경우, 생성된 인쇄데이터는 일반적으로 EMF(Enhanced Meta File)라는 확장자를 갖는 파일에 담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이 수행되면서 생성된 인쇄데이터는 후술하는 인쇄데이터 변환부(230)에 의해 소정의 프린팅 언어에 따라 변환되어 화상형성장치(125)로 전달된다.
인쇄데이터 양 및 시간 계산부(220)는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의 양과 처리 시간을 계산한다. 즉, 인쇄데이터 양 및 시간 계산부(220)는 상기 인쇄데이터 생성부(210)에 의해 생성된 인쇄데이터의 양이나 처리 시간 등을 계산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후술하는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인쇄데이터 처리 시간은 후술하는 인쇄데이터 변환부(230)에서의 인쇄데이터 변환 시간과, 인쇄데이터 전달부(240)에서 화상형성장치(125)로의 인쇄데이터 송신 시간을 합친 시간을 의미한다. 즉, 인쇄데이터 처리 과정은 인쇄데이터 변환부(230)에서의 인쇄데이터 변환 과정과, 인쇄데이터 전달 부(240)에서 화상형성장치(125)로의 인쇄데이터 송신 과정을 포함한다.
인쇄데이터 변환부(230)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인쇄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25)가 해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변환한다. 인쇄데이터 변환부(230)는 인쇄데이터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인쇄데이터에 대하여 인터프리팅(interpreting), 파싱(parsing), 및 렌더링(rendering)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인쇄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컬러, 예를 들면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블랙(Black)에 대하여 페이지 단위로 인쇄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렌더링(rendering)이란 화상형성장치(125)가 인식할 수 없는 상태의 인쇄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25)가 인식할 수 있는 상태의 인쇄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작업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서, 인쇄데이터 변환부(230)는 GDI(미도시)(Graphics Device Interface)와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미도시)를 포함한다. 응용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오브젝트(object)인 인쇄데이터는 호스트(200) 상의 운영체제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인 GDI(미도시)(Graphics Device Interface)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미도시)로 전달된다. 즉, 응용 프로그램은 화상형성장치(125)를 이용하여 출력이 가능한 인쇄데이터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기능을 한다. GDI(미도시)는 호스트(200) 상의 운영체제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응용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인쇄데이터를 받아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미도시)에 전달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미도시)가 요청하는 인쇄데이터에 관한 명령어를 생성한다.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미도시)는 호스트(200) 상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화상형성장치(125)가 해석할 수 있는 명령어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미도시)가 생 성한 명령어는 후술하는 인쇄데이터 전달부(24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25)와 연결된 물리적인 입출력장치(미도시)로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데이터 변환부(230)는 인쇄데이터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인쇄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25)에 마련된 펌웨어(firmware)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한다.
인쇄데이터 전달부(240)는 인쇄데이터 변환부(230)에 의해 변환된 인쇄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25)에 전달한다. 인쇄데이터 전달부(240)는 스풀러(Spooler)를 포함한다. 스풀러(미도시)(Spooler)는 호스트(200) 상의 운영체제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미도시)가 생성한 명령어를 화상형성장치(125)와 연결된 물리적인 입출력장치(미도시)에 전달한다. 이와 같은 인쇄데이터 전달부(240)는 호스트(200)에 마련된 드라이버(미도시)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을 구성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카세트(120)와, 프린트 헤드 유니트(105)와, 이와 대면되게 위치되는 지지부재(114)와, 불량 노즐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32)와, 인쇄매체(P)를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인쇄매체 이송부(117, 116, 115, 113)와, 인쇄매체(P)가 배지 후 적재되는 적재부(140)를 구비한다. 또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구비한다.
인쇄매체(P)는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다.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 인쇄매체(P)는 후술하는 인쇄매체 이송부(117, 116, 115, 113)에 의해 프린트 헤 드(111)로 이송된다.
인쇄매체 이송부(117, 116, 115, 113)는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픽업롤러(117)와, 보조롤러(116)와, 피딩롤러(115), 및 배지롤러(113)를 구비한다. 인쇄매체 이송부(117, 116, 115, 113)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131)에 의해 구동되며, 인쇄매체(P)를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원(131)의 동작은 후술하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픽업롤러(117)는 급지카세트(120)의 일측에 설치되며,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인출한다. 피딩롤러(115)는 프린트 헤드(111)의 입측에 설치되며, 픽업롤러(117)에 의해 인출된 인쇄매체(P)를 프린트 헤드(111)로 이송시킨다. 피딩롤러(115)는 인쇄매체(P)를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115A)와, 이에 탄력적으로 맞물리는 아이들롤러(115B)를 포함한다. 픽업롤러(117)와 피딩롤러(115) 사이에는 인쇄매체(P)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보조롤러(11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배지롤러(113)는 프린트 헤드(111)의 출측에 설치되며,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P)를 화상형성장치의 밖으로 배지시킨다. 화상형성장치에서 배지된 인쇄매체(P)는 적재부(140)에 적재된다. 배지롤러(113)는 인쇄매체(P)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타휠(113A)과, 이에 대면되어 인쇄매체(P)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113B)를 구비한다. 노즐부(112)를 통과하면서 그 상면에 잉크가 분사된 인쇄매체(P)는 잉크에 의하여 젖어서 웨이브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웨이브로 인해 인쇄매체(P)와 노즐부(112)와의 간격이 유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스타휠(113A)은 노즐부(112)의 하방으로 이송되는 인쇄매 체(P)가 노즐부(112) 또는 몸체(110)의 저면에 접촉되거나 인쇄매체(P)와 노즐부(112)와의 간격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일부분은 노즐부(112)보다 더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인쇄매체(P)의 상면에 점접촉된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상형성장치(125)의 서비스 영역에는 메인트넌스부(maintenance unit)(도 1 참조, 172)가 구비된다. 메인트넌스부는 프린트 헤드(111)를 인쇄 대기 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한 장치로, 프린트 헤드(111)의 노즐부(112)를 캡핑하는 캡핑 부재(미도시), 노즐부(112)를 와이핑하는 와이핑 부재(미도시), 및 스피팅(spitting) 동작시 노즐부(112)로부터 소량 분사된 잉크를 수용하여 보관하는 폐잉크 수용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메인트넌스부 자체의 구성 및 작용은 당해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부재(114)는 노즐부(112)와 인쇄매체(P)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프린트 헤드(111)의 하측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인쇄매체(P)의 배면을 지지한다. 노즐부(112)와 인쇄매체(P)와의 간격은 약 0.5 ∼ 2.5 mm 정도이다.
감지부(132)는 프린트 헤드(111)에 마련된 노즐부(112)의 불량 노즐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감지부(132)는 인쇄 작업을 시작하기 이전에 노즐부(112)의 불량 노즐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132A)와, 인쇄가 진행되는 도중에 노즐부(112)의 불량 노즐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132B)를 구비한다. 감지부(132)에 의해 감지된 정보는 후술하는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프린트 헤드 유니트(105)는 인쇄매체(P)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몸체(110)와, 몸체(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프린트 헤드(111)와, 프린트 헤드(111)에 마련되는 노즐부(112)를 구비한다. 노즐부(112)의 입측에는 피딩롤러(115)가, 출측에는 배지롤러(1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노즐부(112)에 구비된 각 노즐들에는 후술하는 제어부(130)에 의한 구동 신호와 잉크 분사를 위한 전력, 인쇄 데이터 등이 전달되는 구동회로(미도시)와 케이블(미도시)이 구비된다. 케이블로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유연한 케이블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으로 첨부되지는 않았지만, 몸체(110)에는 잉크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형태의 잉크 저장 공간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몸체(110)에는 노즐부(112)의 각 노즐들과 연통되고 잉크를 분사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구동 수단(미도시)(예를 들면, 압전 방식의 피에조 소자, 열구동 방식의 히터)이 마련된 챔버와, 몸체(110)에 수용된 잉크를 챔버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예를 들면, 오리피스(orifice)), 유로를 통해 유입된 잉크를 챔버로 공급하는 공통 유로인 매니폴드와, 매니폴드로부터 각각의 챔버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개별 유로인 리스트릭터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구동수단, 챔버, 유로, 매니폴드, 리스트릭터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25)는 비디오 컨트롤러(180), 제어부(130), 메모리(175), 메인트넌스 동작 계산부(170), 및 화상형성부(165)를 포함한다. 또한, 비디오 컨트롤러(180)는 비휘발성 메모리(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185), SRAM(미도시), SDRAM(미도시), NOR Flash(미도시), 및 실시 간 클록(RTC; real time clock)(190)을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180)는 인쇄데이터 변환부(230)가 생성한 명령어를 해석하여 비트맵(bitmap)화 한 후, 후술하는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비디오 컨트롤러(180)가 생성한 비트맵을 화상형성장치(125)의 각 구성요소로 전달하여 인쇄매체(P)에 화상이 형성되게 한다.
메인트넌스부(172)는 프린트 헤드를 인쇄 대기 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하여, 흡인(suction) 동작과, 캡핑(capping) 동작과, 와이핑(wiping) 동작, 및 스피팅(spitting) 동작을 포함한다. 상온이나 저온에서 최초 인쇄시, 프린트 헤드의 온도 저하로 인하여 잉크의 점성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인쇄 화질이 저하된다. 상기 메인트넌스부(172)는 인쇄 환경에 따른 인쇄 화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프린트 헤드를 예열하는 온도 제어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인(suction) 동작은 프린트 헤드의 노즐 구멍 내에 남아있는 잉크를 빨아들여 잉크가 분사되는 부분을 클리닝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캡핑 동작은 프린트 헤드에 마련된 노즐부의 건조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노즐부를 캡핑하거나 언캡핑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거나 인쇄대기 중에는 프린트 헤드에 마련된 노즐부의 잉크가 건조되거나 먼지 등으로 인해 오염될 수 있다. 이때, 프린트 헤드에 구비된 노즐부의 잉크가 건조되거나 먼지 등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작이 캡핑 동작이다.
와이핑 동작은 노즐부의 표면에 남아있는 잉크를 닦아내는 동작을 의미한다. 노즐부에서 잉크가 분사된 후, 그 표면에 잔류하는 잉크량이 증가하게 되면, 이로 인해 잉크 액적의 진로가 휘게 되는 등 인쇄 품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와이핑 장치에 의해 이를 닦아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피팅(spitting) 동작은 프린트 헤드에 소량의 잉크를 미리 분사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이 건조하여 잉크가 정상적으로 분사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쇄 전이나 인쇄 중 프린트 헤드의 잉크 분사 노즐을 통해 잉크를 스피팅한다.
메인트넌스 동작 계산부(170)는 잉크를 분사하는 프린트 헤드를 인쇄 대기 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한 장치인 메인트넌스부(172)의 동작 시간을 계산한다. 메인트넌스 동작 계산부(170)는 상기 메인트넌스부(172)의 동작 시간을 계산한 후 이를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제어부(130)는 화상형성장치(125)의 마더보드(mother board) 상에 마련되며, 인쇄데이터 양 및 시간 계산부(220)와 메인트넌스 동작 계산부(17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호스트(200)에서 인쇄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 중에 메인트넌스부(172)를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인쇄데이터 처리 시간(즉, 인쇄데이터 변환부(230)에서의 인쇄데이터 변환 시간과 인쇄데이터 전달부(240)에서의 인쇄데이터 송신 시간)과, 메인트넌스부(172)의 메인트넌스 동작 시간이 중첩되도록 메인트넌스부(172)를 동작시킨다. 즉, 제어부(130)는 인쇄데이터의 처리와 메인트넌스부(172)의 동작이 중첩되게 수행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을 시간 순서대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잉크젯 화 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을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25)가 고속화, 고해상도화됨에 따라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의 양 또한 증가되고 있다. 이로 인해 호스트(200)에서 화상형성장치(125)로 전송하는 인쇄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각종 압축 기술 및 전송 프로토콜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점점 증가하여 화상형성시스템의 고속화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는 프린트 헤드(111)의 인쇄 시간, 인쇄매체(P)의 급지 및 배지 시간, 메인트넌스 시간 등에 의해 결정된다. 이 중 메인트넌스 시간은 실제 인쇄에 기여하지 않으면서도 화상형성시스템의 실제 인쇄 시간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이로 인해 전체적인 인쇄 속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은 인쇄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과 메인트넌스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중첩시켜 전체적인 인쇄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예를 들어, 호스트(200)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자나 이미지 등이 편집된다. 이를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대기(stand-by) 단계로 정의한다.
대기 단계에서 편집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의 인쇄 메뉴를 실행시킴으로써 이들을 인쇄하려고 한다. 인쇄 메뉴가 실행되면 인쇄데이터 생성부(210)의 동작이 개시되며 상기 문자나 이미지 등에 대한 인쇄데이터가 생성된다. 생성된 인쇄데이터는 인쇄데이터 변환부(230) 및 인쇄데이터 전달부(240)를 거쳐 화상형성장치(125)로 전달된다. 이를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제1 프로세스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제1 프로세스는, 호스트(200)에서 수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인쇄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데이터를 잉크젯 화상형성장치(125)가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명령어를 잉크젯 화상형성장치(125)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125)가 호스트(200)로부터 인쇄데이터를 전달받으면 프린트 헤드(111)의 노즐부(112)에서 잉크를 분사함으로써 인쇄데이터를 인쇄한다. 이를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프린트(print) 단계라고 정의한다.
잉크를 분사하기에 앞서 프린트 헤드(111)를 인쇄 대기 상태로 회복시키는 메인트넌스 동작이 선행된다. 이를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제2 프로세스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제2 프로세스는, 프린트 헤드(111) 주위의 잉크를 닦아내는 와이핑(wiping) 단계와, 프린트 헤드(111)에서 소량의 잉크를 미리 분사시키는 스피팅(spitting) 단계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제2 프로세스는, 인쇄 환경에 따라 상기 프린트 헤드(111)를 예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형성시스템의 동작을 시간 순서대로 나열하면 대기 단계, 제1 및 제2 프로세스, 및 프린트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면서 화상이 인쇄된다. 이때,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를 호스트(200)에서 처리한 다음 잉크젯 화상형성장치(125)에 전달하는 제1 프로세스의 수행시간(L1)과, 메인트넌스부(172)에 의하여 프린트 헤드(111)를 메인트넌스하는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L2)이 적어도 일부 겹쳐지면서 시스템의 인쇄 속도가 향상된다. 제어부(130)는 이러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화상형성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쇄 속도의 향상을 위하여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L1,L2)이 참조부호 S 만큼 겹쳐진다. 대기 단계로부터 제1 및 제2 프로세스 전체의 수행 시간(LL)이 경과된 다음 프린트 단계가 개시된다. 인쇄 속도 개선을 극대화하려면 참조부호 S의 크기를 최대로 하고 제1 및 제2 프로세스 전체의 수행 시간(LL)을 최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L1) 및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L2)이 최대로 중첩되도록,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310,320)과 완료 시점(319,329)이 서로 동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L2)이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L1)보다 작은 경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L1) 중에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320)과 완료 시점(329)이 모두 포함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310,320)과 완료 시점(319,329)에 대한 동기화 방법은 다음의 3 종류가 있다. 제어부(130)는 이러한 동기화 방법에 의하여 화상형성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에는 개시 시점(320)의 시간적 위치에 따라 제2 프로세스의 수행시간(L2)이 L21, L22, L23으로 표시되었다.
먼저,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310,320)을 일치시키는 동기화 방법이다. 이는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L1,L2)의 크기를 제어부(130)에서 비교할 필요없이 획일적으로 제1 및 제2 프로세스 전체의 수행 시간(LL)을 최소화시 킨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완료 시점(319,329)을 일치시키는 동기화 방법이 있다. 이는 프린트 헤드(111)의 메인트넌스가 완료되는 즉시 잉크의 분사가 이루어지므로 인쇄 속도 향상은 물론 메인트넌스 효과가 극대화된다. 마지막으로,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320) 및 완료 시점(329)을 제1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310) 및 완료 시점(319) 사이에 위치시키는 동기화 방법이 있다. 이는 화상형성시스템의 특성상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310,320) 또는 완료 시점(319,329)을 일치시키기 곤란한 경우에 유용하다.
도 5는 도 3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L1)이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L2)보다 작은 경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L2) 중에 제1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310)과 완료 시점(319)이 모두 포함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310,320)과 완료 시점(319,329)에 대한 동기화 방법은 3 종류가 있다. 도 5에는 개시 시점(310)의 시간적 위치에 따라 제1 프로세스의 수행시간(L1)이 L11, L12, L13으로 표시되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및 인쇄 속도 증가 방법은 종래 발명과 달리 인쇄데이터 처리 및 전달 시간과 메인트넌스 동작 시간을 중첩시킴으로써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및 인쇄속도 증가 방법은 종래 발명보다 고속으로 인쇄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프린트 헤드 및 메인트넌스부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가 연결되는 호스트를 포함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에 있어서,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를 상기 호스트에서 처리한 다음 상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전달하는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과, 상기 메인트넌스부에 의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를 메인트넌스하는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이 적어도 일부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 및 상기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이 최대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과 완료 시점이 서로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이 상기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 중에 상기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과 완료 시점이 모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 또는 완료 시점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이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 중에 상기 제1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과 완료 시점이 모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 또는 완료 시점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스는,
    상기 호스트에서 수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인쇄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쇄데이터를 상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변 환하는 단계;
    상기 명령어를 상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스는,
    상기 프린트 헤드 주위의 잉크를 닦아내는 와이핑(wiping) 단계;
    상기 프린트 헤드에서 소량의 잉크를 미리 분사시키는 스피팅(spitting)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스는,
    인쇄 환경에 따라 상기 프린트 헤드를 예열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 속도 증가 방법.
  10. 잉크를 분사하여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 및 메인트넌스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트넌스부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상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가 연결되는 호스트;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를 상기 호스트에서 처리한 다음 상기 잉크젯 화 상형성장치에 전달하는 제1 프로세스와, 상기 메인트넌스부에 의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를 메인트넌스하는 제2 프로세스를 적어도 일부 겹쳐서 수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 및 상기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이 최대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과 완료 시점을 서로 동기화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이 상기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 중에 상기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과 완료 시점을 모두 포함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 또는 완료 시점 중 어느 하나를 서로 일치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이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 중에 상기 제1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과 완료 시점을 모두 포함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프로세스의 개시 시점 또는 완료 시점 중 어느 하나를 서로 일치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16. 제 10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호스트에서 수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인쇄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쇄데이터 생성부;
    상기 인쇄데이터를 상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변환하는 인쇄데이터 변환부;
    상기 명령어를 상기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전달하는 인쇄데이터 전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KR1020060030151A 2005-06-30 2006-04-03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및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속도 증가 방법 KR100850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27,966 US7588310B2 (en) 2005-06-30 2006-06-30 Inkjet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increasing a printing spee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8605 2005-06-30
KR1020050058605 2005-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542A KR20070003542A (ko) 2007-01-05
KR100850713B1 true KR100850713B1 (ko) 2008-08-06

Family

ID=3787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151A KR100850713B1 (ko) 2005-06-30 2006-04-03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및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속도 증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7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9724A (ja) * 2000-02-29 2001-09-0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印刷制御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印刷装置および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9724A (ja) * 2000-02-29 2001-09-0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印刷制御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印刷装置およ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542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8251B2 (en) Ink jet printing method and ink jet printing apparatus
US7399046B2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inkjet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US9809028B2 (en) Print head check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588310B2 (en) Inkjet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increasing a printing speed thereof
US83584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determining a print restart time after maintenance
JP200134769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850713B1 (ko)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 및 잉크젯 화상형성시스템의 인쇄속도 증가 방법
JP576210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1403082B1 (en) Apparatus having a printing function
JP426664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96663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制御方法
JP200423084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911332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7140959A (ja) プリンタシステム
JP4156396B2 (ja) 画像形成装置
JPH0958014A (ja) プリンタ
JP200500789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7337488B2 (ja) 記録装置、記録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066032U (ja) プリンタシステム
JP2004209862A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H10222326A (ja) 記録装置
JP2004122685A (ja) 画像形成装置
JP401193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423757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27210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012

Effective date: 2008050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