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557B1 -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을 갖는 포징 프레스 - Google Patents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을 갖는 포징 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0557B1
KR100850557B1 KR1020060121173A KR20060121173A KR100850557B1 KR 100850557 B1 KR100850557 B1 KR 100850557B1 KR 1020060121173 A KR1020060121173 A KR 1020060121173A KR 20060121173 A KR20060121173 A KR 20060121173A KR 100850557 B1 KR100850557 B1 KR 10085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connecting rod
press
cylinder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0667A (ko
Inventor
윤형섭
Original Assignee
(주)한얼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얼공업 filed Critical (주)한얼공업
Priority to KR1020060121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557B1/ko
Publication of KR20080050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28Arrangements for preventing distortion of, or damage to, press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10Drives for forging presses
    • B21J9/12Drives for forging presses operated by hydraulic or liq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10Drives for forging presses
    • B21J9/20Control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forging press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preceding sub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1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toggle mechanism
    • B30B1/16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toggle mechanism operated by fluid-pressur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을 갖는 포징 프레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프레스 본체(10)의 상측부에 장착되며 하측에는 커넥팅로드(22)가 구비된 크랭크축(20)과, 상기 크랭크축(20)의 커넥팅로드(22)의 하측에서 승강되도록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슬라이드(15)와, 상기 크랭축의 커넥팅로드(22)와 상기 슬라이드(15)를 축결합하여 상기 크랭크축(2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15)를 승강 작동시키는 조절편심축(30)과, 상기 조절편심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20)과 슬라이드(15) 사이에 배치된 조정레버(40)와, 내부의 피스톤이 상기 조정레버(40)의 일측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둘레부에는 상기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제1 및 제2챔버(C1,C2)에 각각 연통된 제1 및 제2포트(P1,P2)가 형성된 실린더(50)와, 상기 실린더(50)의 제1 및 제2챔버(C1,C2)에 각각 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작동하는 유압펌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포징 프레스의 작동을 멈추지 않고 스틱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며, 프레스 작업 중단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고, 프레스 작업을 계속하는 동안에 슬라이드(15)를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작업 효율과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음은 물론 원자재를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프레스 작업 중단, 스틱, 해제, 슬라이드, 거리, 정밀 조절

Description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을 갖는 포징 프레스{Forging press}
도 1은 통상의 포징 프레스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포징 프레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스 본체 20. 크랭크축
30. 조절편심축 40. 조정레버
50. 실린더 60. 유압 서보모터 펌프
65. 제어부
본 발명은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을 갖는 포징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징 프레스를 중지하지 않고 계속 작업하는 도중에도 프레스의 스틱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된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을 갖는 포징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징(단조) 프레스는 피단조물을 단조 가공하는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장착된 크랭크축(20)이 모터(M)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면 상측의 슬라이드(15)가 하측의 테이블 방향으로 하강하여 슬라이드(15)와 테이블 사이의 단조 가압력에 의해 피가공물을 단조 가공한다. 즉, 상측 슬라이드(15) 하측에 상금형이 장착되고, 하측 테이블(미도시) 상면에 하금형이 장착되어, 슬라이드(15)가 크랭크축(20)의 작동에 의해 하강함에 따라 상금형과 하금형 사이에 재치된 금속재의 피단조물이 큰 가압력에 의해 단조 가공되는 것이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12, 14, 16, 17은 각각 플라이휠, 클러치, 브라이크, 슬라이드 지지축을 나타낸다.
이때, 포징 프레스 가동시에 스틱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러한 스틱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포징 프레스에 스틱 해제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스틱 현상이란 포징 프레스의 가동시 크랭크축(20)과 상금형 및 하금형이 고착되어 더 이상 크랭크축(20)이 회동 작동되지 않아 금형 상호간 또는 피단조물과 금형 상호간에 극압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 스틱현상은 포징 프레스의 가동시 오작동이 발생하거나 피단조물의 두께가 슬라이드(15)에 장착된 상금형과 하측 테이블에 장착된 하금형 사이의 거리보다 두꺼운 경우 등에 발생하는데, 스틱 현상이 발생한 경우, 크랭크축(20)을 작동시키는 모터(M) 등에 무리한 과부하가 걸리고 모터(M)가 손상되는 것과 같은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포징 프레스의 작동시 스틱 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틱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된 스틱해제장치가 출시되거나 특허출원된 바 있다.
또한, 포징프레스의 경우 피단조물의 두께 등에 조건에 따라 슬라이드(15)와 하측 테이블 사이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슬라이드의 조절을 위한 슬라이드 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포징 프레스의 가동을 중단하고 나서 슬라이드(15)의 거리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매우 떨어지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트랜스퍼 다이(연속 이송다이)에 의해 피단조물을 연속 이송시키면서 대량 생산하는 체제에서는 이러한 작업 효율 저하와 생산성 저하로 인한 손실이 막대하다.
구체적으로, 피단조물을 규정 두께가 2mm±0.03mm가 되도록 가공해야 할 경우, 트랜스퍼 다이에서 연속적인 단조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피단조물을 시험 가공한 후, 포징 프레스의 가공을 중단한 상태에서 규정 두께에 맞는지 테스트하게 된다. 즉, 처음 포징 프레스를 셋팅할 때, 포징 프레스의 슬라이드(15)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피단조물의 두께가 2mm+0.1mm가 되었다면, 규정 두께에 맞지 않기 때문에, 테스트 가공된 피단조물을 폐기하고, 다시 포징 프레스를 가동하여 피단조물을 단조 가공한다. 이어서, 포징 프레스의 가동을 다시 중단한 상태에서 가공된 피단조물의 두께를 측정하여 규정 두께에 맞는지 테스트하게 된다. 만일, 테스트한 피단조물의 두께가 규정 두께인 2mm±0.03mm가 되면 비로소 포징 프레스를 가동함과 동시에 트랜스퍼 다이에 의해 피단조물을 연속 이송시키면서 가공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포징 프레스의 가동 중단과 피단조물의 테스트 과정을 수차례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과 생산성이 매우 저하되고, 특히, 피단조물을 연속 이송시키면서 가공하는 트랜스퍼 프레스 방식인 경우에는 작업 효율과 생산성 저하로 인한 손실이 막대하다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포징 프레스는 통상 피단조물에 열을 가하여 가공하는 열간 포징 프레스를 채용하는데, 열단 포징 프레스 가공시에는 피단조물이 열에 의해 팽창된 상태가 되었다가 다시 식으면서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온도차로 인하여 테스트 결과도 정확하지 않게 나오는 단점도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포징 프레스의 가동 중단과 피단조물의 테스트 과정을 반복하여 수차례 수행하는 과정에서 불량 피단조물이 다량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원자재의 폐기량도 상당하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징 프레스의 작동을 멈추지 않고 슬라이드와 프레스 금형 사이의 간격을 정밀제어할 수 있으며, 아울러, 프레스 작업 중단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을 갖는 포징 프레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징 프레스 작업을 계속하는 동안에 슬라이드를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작업 효율과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음은 물론 원자재를 상당히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을 갖는 포징 프레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스 본체(10)의 상측부에 장착되며 하측에는 커넥팅로드(22)가 구비된 크랭크축(20)과, 상기 크랭크축(20)의 커넥팅로드(22)의 하측에서 승강되도록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슬라이드(15)와, 상기 크랭축의 커넥팅로드(22)와 상기 슬라이드(15)를 축결합하여 상기 크랭크축(2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15)를 승강 작동시키는 조절편심축(30)과, 상기 조절편심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20)과 슬라이드(15) 사이에 배치된 조정레버(40)와, 내부의 피스톤이 상기 조정레버(40)의 일측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둘레부에는 상기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제1 및 제2챔버(C1,C2)에 각각 연통된 제1 및 제2포트(P1,P2)가 형성된 실린더(50)와, 상기 실린더(50)의 제1 및 제2챔버(C1,C2)에 각각 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작동하는 유압펌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 갖는 포징 프레스가 제공된다.
상기 유압펌핑수단은 상기 실린더(50)의 제1 및 제2포트(P1,P2)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스 본체(10)에 장착된 유압 서보모터 펌프(60)와, 상기 유압 서보모터 펌 프(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스 본체(10)의 상측부에 수평 장착된 크랭크축(20)은 상기 프레스 본체(10)의 하측으로 연장된 커넥팅로드(22)가 구비되고, 상기 크랭크축(20)의 커넥팅로드(22)에는 구비된 조절편심축(30)에 의해 상기 조정레버(40)가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실린더(50)는 상기 크랭크축(20)의 커넥팅로드(22)의 길이 방향 중심선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피스톤(58)의 일단부가 링크부재(51)를 매개로 상기 조정레버(4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50)는 상기 링크부재(51)를 향하는 단부에 가이드부시(52)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시(52)의 내부에는 상기 링크부재(51)의 일단부에 힌지축(51a)을 매개로 연결된 커플러(56)가 전후진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50)에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슬라이드(15)의 승강 거리를 조절하도록 작동되는 마이크로 스케일(7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마이크로 스케일(70)은 제어부(65)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포징 프레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프레스 본체(10)의 상측부에 크랭크축(20)이 장착되어 구성된다. 크랭크축(20)의 하측에는 커넥팅로드(22)가 구비된다. 크랭크축(20)의 커넥팅로드(22)는 프레스 본체(10)의 하측으로 일자형으로 연장된 형상이다.
상기 크랭크축(20)의 커넥팅로드(22) 하측에서 승강되는 슬라이드(15)가 구비된다. 슬라이드(15)의 저면에는 단조 프레스용 상금형(미도시)이 장착된다. 부호 18은 상금형을 관통하는 푸셔이고, 이 푸셔(18)의 상단부에는 녹아웃레버(19)가 접촉되며, 녹아웃레버(19)는 프레스 본체(10)의 적소에 회동 작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크랭크축(20)의 커넥팅로드(22)와 슬라이드(15)는 조절편심축(30)에 의해 축결합된다. 조절편심축(30)은 커넥팅로드(22)의 하측 편심 위치에 구비된 것으로, 이 조절편심축(30)에 슬라이드(15)가 슬라이드(15)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크랭크축(20)과 커넥팅로드(22)가 회동하면, 조절편심축(30)에 의해 회동력을 전달받아 슬라이드(15)가 상하로 승강된다.
즉, 프레스 본체(10)에는 슬라이드(15)의 양측이 접촉되어 상하로 연장된 한 쌍의 좌우 가이드면(G)이 구비되어, 슬라이드(15)가 크랭크축(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좌우 가이드면(G)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로 직선 승강되며, 슬라이드(15) 하측에 장착된 단조 프레스의 상금형이 프레스 본체(10) 하측의 하금형(미도시)에 재치된 피단조물을 가압하여 단조 가공하게 된다.
상기 조절편심축(30)의 둘레부에는 조정레버(40)가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축결합된다. 이 조정레버(40)는 조절편심축(30)의 둘레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조정레버(40)의 상단부에는 힌지축(54)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조정레버(40) 상단부에 결합된 힌지축(54)에 링크부재(51)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링크부재(51)의 타단부는 힌지축(51a)이 구비되고, 링크부재(51) 타단부의 힌지축(51a)에는 커플러(56)가 결합되며, 커플러(56)는 실린더(50)의 피 스톤(58)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50)는 프레스 본체(10)에 수평 방향으로 장착된 유압실린더(50)로서, 실린더(50) 내부의 피스톤(58)은 조정레버(40)의 상단부에 힌지축(54)과 커플러(56) 및 링크부재(51)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실린더(50)의 둘레부에는 피스톤(58)에 의해 구획된 제1 및 제2챔버(C1,C2)에 각각 연통된 제1 및 제2포트(P1,P2)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스 본체(10)의 일측방에는 유압펌핑수단을 구성하는 유압 서보모터 펌프(60)가 장착된다. 유압 서보모터 펌프(60) 상측에는 유압탱크(T)가 연결된다. 또한, 유압 서보모터 펌프(60)에는 제어부(65)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50)는 링크부재(51)를 향하는 단부에 가이드부시(52)가 설치되고, 가이드부시(52)의 내부에는 링크부재(51)의 일단부에 힌지축(51a)을 매개로 연결된 커플러(56)가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50)에는 피스톤(58)의 이동 거리를 감지하여 슬라이드(15)의 승강 거리를 조절하도록 작동되는 마이크로 스케일(70)이 더 구비되고, 마이크로 스케일(70)에는 제어부(65)가 연결된다.
이하,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단조 프레스 작업중 오작동이나 크랭크축(20)(구체적으로, 커넥팅로드(22))가 상하측 방향으로 일자로 펴진 상태에서 단조 가공용 상금형과 하금형이 고착되어 더 이상 회동 작동되지 않아 금형 상호간 또는 피단조물과 금형 상호간에 극압이 발생하는 스틱상태가 되어, 크랭크축(20)을 가동하는 모터(미도시) 등에 과부하 가 걸리려고 하는 순간에 유압 서보모터 펌프(6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유압실린더(50)의 제1포트(P1)를 통해 제1챔버(C1)의 내부로 유압이 유입됨과 동시에 제2포트(P2)를 통해 제2챔버(C2) 내부의 유압이 배출되면서 피스톤(28)이 밀려나고, 피스톤(58)이 밀려나면, 링크부재(51)가 힌지축(54)을 중심으로 당겨지면서 조정레버(40)를 A 방향으로 회동시키며, 이때, 조절편심축(30)에 조정레버(40)가 축결합되어 있으므로, 크랭크축(20)과 커넥팅로드(22)가 일자형으로 펴진 상태에서 휘어지면서 크랭크축(20)과 상하 금형이 꽉 끼어있는 스틱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조 프레스 작업시에 스틱 상태가 발생하면, 유압 서보모터 펌프(60) 및 유압실린더(50)에 의해 스틱 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한편, 스틱 상태를 해제하고 난 후에는 슬라이드(15)가 큰 힘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가 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유압 서보모터 펌프(60)에 의해 유압실린더(50)의 제1 및 제2포트(P1,P2)로 유입되는 유압의 양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포징 프레스의 작동을 중단하지 않고 슬라이드(15)의 거리 미세 조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징 프레스 작업을 계속하는 동안에 슬라이드(15)를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작업 효율과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음은 물론 원자재를 상당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다시 말해, 처음 포징 프레스를 셋팅할 때, 포징 프레스의 슬라이드(15) 거 리를 조절하도록 테스트 단조 가공하게 되는데, 가공된 테스트 피단조물의 두께가 규정 두께에 맞지 않으면, 포징 프레스를 중단하지 않고 작동을 계속한 상태에서 상기 유압 서보모터 펌프(60)에서 유압실린더(50)의 제1 및 제2챔버(C1,C2)로 유입되는 유압의 양을 미세 조절한다.
그러면, 유압의 양에 따라 링크부재(51)를 매개로 조정레버(40)가 미세하게 회동하며, 이처럼 조정레버(40)가 미세하게 회동됨에 따라 슬라이드(15)가 상하 방향으로 미세하게 승강되기 때문에, 슬라이드(15)의 상하 거리가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징 프레스의 가동을 중단하지 않더라도 정밀하게 슬라이드(15)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과 생산성이 매우 향상되고, 특히, 피단조물을 연속 이송시키면서 가공하는 트랜스퍼 프레스 방식인 경우에는 작업 효율과 생산성 저하로 인한 막대한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것에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단조물의 열의 식지 않은 상태에서 슬라이드(15)를 미세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온도차로 인하여 피단조물의 테스트 결과가 정확하게 나오지 않는 경우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포징 프레스의 가동 중단과 피단조물의 테스트 과정을 수차례 반복 수행하는 과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불량 피단조물의 다량 발생으로 인한 원자재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50)에 유압을 공급 및 배출하는 수단이 유압 서보모터 펌프(60)로 이루어져서, 신호에 의해 정확한 위치와 속도를 추종할 수 있으므로, 포징 프레스의 슬라이드(15) 거리를 보다 확실하고 정확하게 조절 가능한 효 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실린더(50)에는 피스톤의 이동 거리를 정밀하게 감지하여 슬라이드(15)의 승강 거리를 조절하도록 작동되는 마이크로 스케일(70)이 더 구비되고, 마이크로 스케일(70)에는 제어부(65)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포징 프레스에 의해 피단조물을 단조 가공하는 순간에 제어부(65)에 의해 피단조물의 두께가 규정 두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65)가 유압 서보모터 펌프(60)를 정밀 작동되도록 가동시키기 때문에, 슬라이드(15)의 승강 거리를 정확하게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실린더(50)는 링크부재(51)를 향하는 단부에 가이드부시(52)가 설치되고, 가이드부시(52)의 내부에는 링크부재(51)의 일단부에 힌지축(51a)을 매개로 연결된 커플러(56)가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린더(50)의 피스톤이 전후진 작동될 때, 상기 가이드부시(52)를 따라 커플러(56)와 피스톤이 정확하게 직선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되므로, 결국, 슬라이드(15)의 승하강 거리를 미세하게 조절하는데 더욱 기여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압 서보모터 펌프와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포징 프레스의 스틱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새로운 구성의 포징 프레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포징 프레스 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작업을 지속하면서 슬라이드와 프레스 금형 사이의 거리를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작업 효율과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음은 물론 원자재를 상당히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포징 프레스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프레스 본체(10)의 상측부에 장착되며 하측에는 커넥팅로드(22)가 구비된 크랭크축(20)과, 상기 크랭크축(20)의 커넥팅로드(22)의 하측에서 승강되도록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슬라이드(15)와, 상기 크랭축의 커넥팅로드(22)와 상기 슬라이드(15)를 축결합하여 상기 크랭크축(2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15)를 승강 작동시키는 조절편심축(30)과, 상기 조절편심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20)과 슬라이드(15) 사이에 배치된 조정레버(40)와, 내부의 피스톤이 상기 조정레버(40)의 일측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둘레부에는 상기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제1 및 제2챔버(C1,C2)에 각각 연통된 제1 및 제2포트(P1,P2)가 형성된 실린더(50)와, 상기 실린더(50)의 제1 및 제2챔버(C1,C2)에 각각 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작동하는 유압펌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압펌핑수단은 상기 실린더(50)의 제1 및 제2포트(P1,P2)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스 본체(10)에 장착된 유압 서보모터 펌프(60)와, 상기 유압 서보모터 펌프(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스 본체(10)의 상측부에 수평 장착된 크랭크축(20)은 상기 프레스 본체(10)의 하측으로 연장된 커넥팅로드(22)가 구비되고, 상기 크랭크축(20)의 커넥팅로드(22)에는 구비된 조절편심축(30)에 의해 상기 조정레버(40)가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실린더(50)는 상기 크랭크축(20)의 커넥팅로드(22)의 길이 방향 중심선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피스톤(58)의 일단부가 링크부재(51)를 매개로 상기 조정레버(40)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50)는 상기 링크부재(51)를 향하는 단부에 가이드부시(52)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시(52)의 내부에는 상기 링크부재(51)의 일단부에 힌지축(51a)을 매개로 연결된 커플러(56)가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50)에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슬라이드(15)의 승강 거리를 조절하도록 작동되는 마이크로 스케일(7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마이크로 스케일(70)은 제어부(65)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을 갖는 포징 프레스.
KR1020060121173A 2006-12-04 2006-12-04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을 갖는 포징 프레스 KR100850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173A KR100850557B1 (ko) 2006-12-04 2006-12-04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을 갖는 포징 프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173A KR100850557B1 (ko) 2006-12-04 2006-12-04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을 갖는 포징 프레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667A KR20080050667A (ko) 2008-06-10
KR100850557B1 true KR100850557B1 (ko) 2008-08-06

Family

ID=39805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173A KR100850557B1 (ko) 2006-12-04 2006-12-04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을 갖는 포징 프레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5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01284A (zh) * 2012-03-06 2012-07-25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压力机
CN110238338A (zh) * 2018-03-08 2019-09-17 赵珠显 锻压机的滑块调节用液压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5368B (zh) * 2010-12-02 2012-11-28 沈阳重型机械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实现自由锻造水压机快锻功能的方法
CN109692932B (zh) * 2019-03-04 2023-10-27 南京工程学院 一种多连杆机构驱动的压力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5300A (en) 1979-06-08 1980-12-23 Aida Eng Ltd Stick detaching device of link press
JPS6131600U (ja) 1984-07-30 1986-02-25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機械プレスのステイツク離脱装置
JPH01241345A (ja) * 1988-03-23 1989-09-26 Sumitomo Heavy Ind Ltd 熱間鍛造プレスにおける上金型高さ調整装置
JPH05309500A (ja) * 1992-05-08 1993-11-22 Asai Kosan Kk 油圧式リンクプレスにおけるシリンダオーバーラン防止およびスティック解除機構
JPH10305398A (ja) 1997-05-08 1998-11-17 Kurimoto Ltd 鍛造プレス機のスライド調整構造
JPH1147987A (ja) * 1997-07-31 1999-02-23 Aida Eng Ltd スクリュープレスのスティック解除装置
KR20010000059A (ko) * 1999-12-10 2001-01-05 정하익 단조용 프레스의 스틱해제장치 및 슬라이드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5300A (en) 1979-06-08 1980-12-23 Aida Eng Ltd Stick detaching device of link press
JPS6131600U (ja) 1984-07-30 1986-02-25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機械プレスのステイツク離脱装置
JPH01241345A (ja) * 1988-03-23 1989-09-26 Sumitomo Heavy Ind Ltd 熱間鍛造プレスにおける上金型高さ調整装置
JPH05309500A (ja) * 1992-05-08 1993-11-22 Asai Kosan Kk 油圧式リンクプレスにおけるシリンダオーバーラン防止およびスティック解除機構
JPH10305398A (ja) 1997-05-08 1998-11-17 Kurimoto Ltd 鍛造プレス機のスライド調整構造
JPH1147987A (ja) * 1997-07-31 1999-02-23 Aida Eng Ltd スクリュープレスのスティック解除装置
KR20010000059A (ko) * 1999-12-10 2001-01-05 정하익 단조용 프레스의 스틱해제장치 및 슬라이드조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01284A (zh) * 2012-03-06 2012-07-25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压力机
CN102601284B (zh) * 2012-03-06 2015-03-25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压力机
CN110238338A (zh) * 2018-03-08 2019-09-17 赵珠显 锻压机的滑块调节用液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667A (ko) 2008-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015B1 (ko) 발포 수지 성형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0850557B1 (ko)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을 갖는 포징 프레스
CN111822580B (zh) 用于操作精细冲裁系统的方法
WO19880064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rackers of granular material
CN101972830A (zh) 超大型环锻件大高径比铸锭热镦粗工艺
US20100247697A1 (en) Resin sealing apparatus
JP4836611B2 (ja) 発泡樹脂成形機の運転方法
KR100400706B1 (ko) 작업물을 열간 프레스하는 방법
JP6800798B2 (ja) 射出成形機、および射出成形用情報処理装置
EP2295165B1 (en) Press for simultaneously rough-pressing and finishing / embossing
EP18825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a first structure from a second structure at a connecting point
CN115608903A (zh) 一种铝合金锻压件加工装置
EP2210686B1 (en) Press for hot pressing billets and the like
JP6130444B2 (ja) 型締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型締装置
JP5093809B2 (ja) ディスク基板成形機およびディスク基板成形方法
KR101330610B1 (ko) 용탕 단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탕 단조 방법
JP7055682B2 (ja) 射出成形機
CN112091196A (zh) 一种多功能的铝合金低压铸造机
CN117505757B (zh) 一种锻件批量成型的锻造装置及锻造方法
JP2009255463A (ja) 射出成形機および射出成形方法
CN218476104U (zh) 一种母合金圆铸锭环形切割机
JP6379894B2 (ja) 竪型鋳造機の竪型締装置及び型締制御方法
JP2004283901A (ja) 鍛造プレスにおける成形状況監視装置
JP5410349B2 (ja) 成形機の金型交換方法
KR20190106233A (ko) 단조 프레스의 슬라이드 조절용 유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