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059A - 단조용 프레스의 스틱해제장치 및 슬라이드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단조용 프레스의 스틱해제장치 및 슬라이드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059A
KR20010000059A KR1019990056440A KR19990056440A KR20010000059A KR 20010000059 A KR20010000059 A KR 20010000059A KR 1019990056440 A KR1019990056440 A KR 1019990056440A KR 19990056440 A KR19990056440 A KR 19990056440A KR 20010000059 A KR20010000059 A KR 20010000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all screw
gear
stick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1552B1 (ko
Inventor
정하익
Original Assignee
정하익
주식회사 한얼프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하익, 주식회사 한얼프레스 filed Critical 정하익
Priority to KR1019990056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552B1/ko
Priority to KR2019990027789U priority patent/KR200197421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10Drives for forging presses
    • B21J9/20Control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forging press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preceding sub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조용프레스 작업시 스틱현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이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슬라이드를 정밀하게 조정하는 것으로서, 단조용 프레스에 있어서, 조정레버(7)의 일단에 상부가 나사결합되고 하측에는 볼이 형성되어 조정레버를 미세각도 회전시키는 볼스크류(20)와, 그 볼스크류(20)의 볼과 핀(21)으로 결합된 조정기어(22)와, 그 볼스크류(20)의 볼(21) 및 조정기어(22)를 위에서 감싸고 있고 일측에 유압급유구(23)가 형성된 스틱해제피스톤(24)과, 그 볼스크류(20) 및 조정기어(22)를 하측에서 받치고 있는 볼스크류시트(25)와, 그 볼스크류시트(25)를 하측에서 받치고 있는 둘로 갈라진 V블럭(27)과, 그 V블럭(27)에 관통되어 V블럭(27)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해제용볼트(28)와, 그 조정기어(22)를 구동시키는 조정기어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해제용볼트를 풀기만 하면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스틱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스틱해제작업이 용이하고 해제작업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스틱해제장치와 조정기어구동수단을 같이 사용하면 간단하게 슬라이드 조정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조용 프레스의 스틱해제장치 및 슬라이드조정장치{A stick removal and a slide adjusting apparatus of forging press}
본 발명은 단조용 프레스의 슬라이드 조정장치 및 스틱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조용 프레스 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스틱현상이 나타났을 경우에 이를 용이하게 해제함과 동시에 단조용 프레스의 슬라이드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에 있어서, 스틱현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이를 해제하기 위하여 조정 볼스크류 시트 하측에 유압을 집어넣어 사용하기도 하지만, 단조프레스에서는 일반프레스와는 달리 스틱현상 발생시 극압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조정크랑크와 메탈베어링 서로 맞물고 있기 때문에 스틱이 자동적으로 해제되지 않는다.
만약 프레스 작업중 스틱현상과 같은 과부하가 발생하여 그 과부하가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해제되지 않으면 단조프레스의 특성상 중대한 결함에 속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볼스크류 시트의 하측에 납이나 우레탄과 같은 용융체를 집어넣고 스틱 발생시 용융체를 가열하여 녹여내고 그 공간부를 이용하여 조정레버를 아래로 강제 이동하는 방식을 채택하기도 하였다.
나아가, 1996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442호에 의하면, 단조용 프레스의 미세조정이 가능한 슬라이드 안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그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S)와 테이블(T)의 접합 가압력으로 소정 형태의 단조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단조용 프레스(P)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P)의 슬라이드(S) 일측에 오버로드프로텍터(P)에서 발생한 유압에 의하여 가압되는 오버로드실린더(SY)를 구비하고, 오버실린더(SY)의 외부에는 케이스(CA)를 구비하여 이 사이에 유체층(O)을 형성하며, 오버실린더(SY)의 상측에는 조절스크류(SC)를 설치하고, 조절스크류(SC)에는 조절레버(L)를 체결시키며, 조절스크류(SC)는 슬라이드(S)에 편심축지된 조정크랭크(CR)에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CA)의 일측에는 브레이크모터(M)를 설치하며, 모터(M)에는 기어(G)를 연결시키고, 기어(G)에는 각각 모터(M)의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엔코더(E)가 구비된 체인기어(CG)와 웜기어(WG)를 연결시키며, 웜기어(WG)는 조절스크류(SC)의 외부에 설치된 웜휠(WH)과 치합시킴으로서 테이블(T)과 접합되는 슬라이드의 셋팅위치의 미세조정이 가능하고,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구성된 단조용 프레스의 미세조정이 가능한 슬라이드 안전장치는 초기 테이블과 접합되는 슬라이드의 위치를 세팅할 때는 조정크랭크(CR)가 부하를 받고 있지 않으므로 미세조정이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스틱현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조정크랭크(CR)와 베어링메탈이 서로 빡빡하게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자동으로 스틱이 해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체층(O)의 압유를 빼내고, 조절레버(L)나 조절스크류(SC)를 큰망치로 여러 번 타격하여 오버로드 실린더(SY)를 유체층(O)의 공간부만큼 아래로 이동시켜야 슬라이드(S)와 테이블(T)의 스틱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스틱 해제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단조작업의 특성상 동일 제품을 작업하는데 있어서, 가열온도 및 작업방법에 따라 프레스가 받는 부하율의 차이가 대단히 많으므로 유압을 사용하여 스틱해제장치를 고정하는 것은 유압의 압축성으로 인하여 슬라이드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작업중 항상 유압발생장치를 가동하게 되므로 유압발생장치가 고장일 경우 슬라이드 또는 조정크랑크가 파손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브레이크 모터(M)와 엔코더(E)등의 전기, 전자 제품이 충격과 고열이 많이 발생하는 슬라이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틱해제장치의 고장이 빈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틱해제장치의 구조를 변경하여 슬라이드의 조정은 원활하게 하면서도 스틱현상의 발생시 해제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작업 또한 간단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와 엔코더와 같은 전기 전자제품을 본체로 이동시켜 고열과 단조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고장원인을 원천적으로 해결하는데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단조용프레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종래 단조용프레스의 미세조정이 가능한 슬라이드 안전장치의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해제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해제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 는 도 3 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모터 2 : 크랭크샤프트 3 : 슬라이드 4 : 콘넥팅로드 5 : 조정크랭크 7 : 조정레버 8 : 상테이블 9 : 조정핀 10 : 녹아우트레버 20 : 볼스크류 21 : 핀 22 : 조정기어 23 : 유압급유구 24 : 스틱해제피스톤 25 : 볼스크류시트 27 : V블럭 28 : 해제용볼트 30,33 : 평기어 31 : 유니버버셜조인트 32 : 연결축 34 : 전동모터 36 : 공간부
본 발명은 구동모터와, 그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샤프트와, 크랭크샤프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슬라이드를 상하 작동시키는 콘넥팅로드와, 그 콘넥팅로드와 결합된 슬라이드와, 그 콘넥팅로드 및 슬라이드를 축결합하는 조정크랭크와, 그 조정크랭크의 일측에 장착되고 슬라이드 거리조정 및 스틱해제 기능을 하는 조정레버와, 그 슬라이드 하측에 장착된 상테이블과, 그 슬라이드에 관통되어 상태이블의 간격조절을 하는 조정핀과, 그 조정레버의 하측에 장착되어 그 조정레버의 회전에 따라 조정핀을 작동시키는 녹아우트레버로 이루어진 단조용 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조정레버의 일단에 상부가 나사결합되고 하측에는 볼이 형성되어 조정레버를 미세각도 회전시키는 볼스크류와, 그 볼스크류의 볼과 핀으로 결합된 조정기어와, 그 볼스크류의 볼 및 조정기어를 위에서 감싸고 있고 일측에 유압급유구가 형성된 스틱해제피스톤과, 그 볼스크류 및 조정기어를 하측에서 받치고 있는 볼스크류시트와, 그 볼스크류시트를 하측에서 받치고 있는 둘로 갈라진 V블럭과, 그 V블럭에 관통되어 V블럭을 이동시키는 해제용볼트와, 그 조정기어를 구동시키는 조정기어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조정기어구동수단은 그 조정기어와 맞물고 있는 평기어와 그 평기어와 결합되어 있는 유니버셜조인트와, 그 유니버셜조인트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축과, 그 연결축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평기어와 그 평기어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예시도를 참고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에서 종래기술과 중복되는 부분은 편의상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단조용프레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종래 단조용프레스의 미세조정이 가능한 슬라이드 안전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해제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해제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 는 도 3 의 측면도이다.
도1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조용 프레스의 기본적인 구성은 통상적인 단조용 프레스와 마찬가지로 구동모터(1)가 작동하여 크랭크샤프트(2)를 구동하면, 그 크랭크샤프트(2)에 장착된 콘넥팅로드(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슬라이드(3)가 상하 작동하면서 그 슬라이드(3)의 하측에 장착되어 하측에 금형이 장착된 상테이블(8)이 동시에 구동을 하면서 단조작업을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최초 작업을 하기 전 금형을 교환한 후에 슬라이드의 작동거리를 미세하게 맞추는 경우에는 콘넥팅로드(4) 및 슬라이드(3)를 축결합하는 조정크랭크(5)에 슬라이드 작동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조정레버(7)가 장착되어 있고, 조정크랭크(5)와 조정레버(7)는 편심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조정레버(7)를 하측으로 내리면 녹아우트레버(10)가 아래로 움직이면서 그 슬라이드(3)에 관통되어 상테이블의 간격조절을 하는 조정핀(9)을 눌러내려 상테이블(8)과 하테이블의 간격을 좁히고, 조정레버(7)를 위로 움직이면 그 반대로 간격이 넓어진다.
또한,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해제장치는 프레스 작업시 상태이블(8)과 하테이블 사이에 설치된 금형이 상호 고착된 경우 자동으로 그 고착상태 즉 스틱이 해제되지 않으므로 의도적으로 조정레버(7)를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켜 스틱을 해제하는 장치이다.
상기 조정레버(7)의 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상부가 조정레버(7)와 나사결합되고 하측에는 볼이 형성되어 조정레버를 미세각도 회전시키는 볼스크류(20)가 장착되어 있고, 그 볼스크류(2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볼의 원주면상에는 조정기어(22)가 회전가능하게 핀(21)으로 결합되어 있고, 그 볼스크류(20)의 볼(21) 및 조정기어(22)의 상측에는 일측에 유압급유구(23)가 형성된 스틱해제피스톤(24)이 장착되어 있고, 그 볼스크류(20) 및 조정기어(22)의 하측에는 볼스크류시트(25)가 받치고 있다.
또한, 그 볼스크류시트(25)의 하측에는 둘로 갈라져 반대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V블럭(27)이 받치고 있고, 그 V블럭(27)에는 그 V블럭을 관통하여 V블럭(27)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해제용볼트(28)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조정기어(22)의 하측과 볼스크류시트(25)의 사이에는 공간부(36)가 형성되어 있어 그 해제용볼트(28)의 회전에 의하여 V블럭(27)이 양옆으로 벌어지면 그 볼스크류시트(25)는 V블럭(27)이 벌어진 수직거리만큼, 조정기어(22)는 공간부(36)의 유격만큼 아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정기어(22)의 측면에는 그 조정기어(22)를 회전시키는 조정기어구동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
그 조정기어구동수단(40)은 조정기어(22)와 맞물고 있는 평기어(30)와, 그 평기어(30)와 결합되어 있는 유니버셜조인트(31)와, 그 유니버셜조인트(31)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축(32)과, 그 연결축(32)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평기어(33)와, 그 평기어(33)와 연결되어 있는 전동모터(34)로 구성되어 있고, 그 평기어(33)의 상측에는 그 평기어(33)의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엔코더(35)가 장착되어 있다. 물론 그 엔코더(35)는 슬라이드(3)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하여 조정기어(22)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조정기어(22)의 회전수를 측정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그 조정기어(22)와 결합되어 구동하는 어떠한 부품측에 설치하면 되는데 가능하면 고열과 충격이 발생되는 슬라이드와 테이블의 접합부위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스틱해제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단조프레스 작업중 금형의 고착상태, 즉 스틱이 발생하고 그 스틱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지 않을 경우 먼저, 해제용볼트(28)를 돌려 V블럭(27)을 양옆으로 벌려 놓으면 볼스크류시트(25)와 V블럭(27)과의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유격이 형성되고, 조정기어(22)의 하측에는 공간부(3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틱해제피스톤(24)에 형성된 유압급유구(23)로 별도의 유압장치(예를 들면 유압잭)로부터 압유를 공급하면 그 스틱해제피스톤(24)이 조정기어(22), 볼스크류(20) 및 볼스크류시트(25)를 아래로 이동시킨다. 이 때 그 볼스크류(20)와 조정레버(7)는 나사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볼스크류(20)가 아래로 이동한 거리만큼 조정레버(7)는 회전을 하게되고, 그 조정레버(7)와 조정크랭크(5)는 편심을 이루고 있으므로 조정레버(7)의 하측이 녹아우트레버(10)를 눌러내리고, 이어서 그 녹아우트레버(10)가 조정핀(9)을 눌러내려 스틱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스틱상태가 해제되고 나면 슬라이드(3)가 커다란 힘을 받고 있지 않으므로 그 상태에서 슬라이드 간격을 조정하고 다시 작업을 하면 된다. 즉 스틱해제피스톤(24)에 작용되던 압유를 빼내고, 조정기어구동수단(40)을 작동시켜 조정기어(22)를 회전시키면 볼스크류(20)에 의하여 조정레버(7)가 상측으로 움직여 적당한 슬라이드(3)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정기어구동수단을 스틱해제장치와 같이 사용하면 작업초기 슬라이드의 간격을 조절하는 슬라이드 조정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스틱현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스틱해제장치 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해제용볼트를 풀기만 하면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스틱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스틱해제작업이 용이하고 해제작업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스틱해제장치와 조정기어구동수단을 같이 사용하면 간단하게 슬라이드 조정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틱해제장치의 하단을 V블럭이 견고하게 받치고 있기 때문에 단조프레스 작업시 최초에 슬라이드 간격을 세팅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단조프레스 작업의 안정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 조정장치에 사용되는 구동모터 및 엔코더 등의 전기, 전자부품을 고열과 충격이 발생되는 슬라이드측에서 멀리 본체측으로 이동하여 설치함으로써 장비의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구동모터(1)와, 그 구동모터(1)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샤프트(2)와, 그 크랭크샤프트(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슬라이드(3)를 상하 작동시키는 콘넥팅로드(4)와, 그 콘넥팅로드(4)와 결합된 슬라이드(3)와, 그 콘넥팅로드(4) 및 슬라이드(3)를 축결합하는 조정크랭크(5)와, 그 조정크랭크(5)의 일측에 장착되고 슬라이드(3) 거리조정 및 스틱해제 기능을 하는 조정레버(7)와, 그 슬라이드(3) 하측에 장착된 상테이블(8)과, 그 슬라이드(3)에 관통되어 상테이블의 간격조절을 하는 조정핀(9)과, 그 조정레버(7)의 하측에 장착되어 그 조정레버(7)의 회전에 따라 조정핀(9)을 작동시키는 녹아우트레버(10)로 이루어진 단조용 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조정레버(7)의 일단에 상부가 나사결합되고 하측에는 볼이 형성되어 조정레버를 미세각도 회전시키는 볼스크류(20)와, 그 볼스크류(20)의 볼과 핀(21)으로 결합된 조정기어(22)와, 그 볼스크류(20)의 볼(21) 및 조정기어(22)를 위에서 감싸고 있고 일측에 유압급유구(23)가 형성된 스틱해제피스톤(24)과, 그 볼스크류(20) 및 조정기어(22)를 하측에서 받치고 있는 볼스크류시트(25)와, 그 볼스크류시트(25)를 하측에서 받치고 있는 둘로 갈라진 V블럭(27)과, 그 V블럭(27)에 관통되어 V블럭(27)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해제용볼트(28)와, 그 조정기어(22)를 구동시키는 조정기어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용프레스의 스틱해제장치 및 슬라이드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어구동수단은 조정기어(22)와 맞물고 있는 평기어(30)와, 그 평기어(30)와 결합되어 있는 유니버셜조인트(31)와, 그 유니버셜조인트(31)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축(32)과, 그 연결축(32)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평기어(33)와, 그 평기어(33)와 연결되어 있는 전동모터(3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용프레스의 스틱해제장치 및 슬라이드조정장치.
KR1019990056440A 1999-12-10 1999-12-10 단조용 프레스의 스틱해제장치 및 슬라이드조정장치 KR100361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440A KR100361552B1 (ko) 1999-12-10 1999-12-10 단조용 프레스의 스틱해제장치 및 슬라이드조정장치
KR2019990027789U KR200197421Y1 (ko) 1999-12-10 1999-12-10 단조용 프레스의 스틱해제장치 및 슬라이드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440A KR100361552B1 (ko) 1999-12-10 1999-12-10 단조용 프레스의 스틱해제장치 및 슬라이드조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789U Division KR200197421Y1 (ko) 1999-12-10 1999-12-10 단조용 프레스의 스틱해제장치 및 슬라이드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059A true KR20010000059A (ko) 2001-01-05
KR100361552B1 KR100361552B1 (ko) 2002-11-21

Family

ID=196247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440A KR100361552B1 (ko) 1999-12-10 1999-12-10 단조용 프레스의 스틱해제장치 및 슬라이드조정장치
KR2019990027789U KR200197421Y1 (ko) 1999-12-10 1999-12-10 단조용 프레스의 스틱해제장치 및 슬라이드조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789U KR200197421Y1 (ko) 1999-12-10 1999-12-10 단조용 프레스의 스틱해제장치 및 슬라이드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61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57B1 (ko) * 2006-12-04 2008-08-06 (주)한얼공업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을 갖는 포징 프레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944B1 (ko) 2021-05-18 2023-01-04 주식회사 제이앤에이취프레스 과부하 방지 및 자동 스틱해제 기능을 구비한 단조용 프레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1600U (ja) * 1984-07-30 1986-02-25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機械プレスのステイツク離脱装置
JPS62179900A (ja) * 1986-02-04 1987-08-07 Hitachi Ltd プレスのステツク離脱装置
JPH1147987A (ja) * 1997-07-31 1999-02-23 Aida Eng Ltd スクリュープレスのスティック解除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57B1 (ko) * 2006-12-04 2008-08-06 (주)한얼공업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을 갖는 포징 프레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1552B1 (ko) 2002-11-21
KR200197421Y1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32639B1 (de) Spannvorrichtung mit einem elektromotor
CN101585068B (zh) 上传动快锻液压机的快速换砧装置
CN111514964B (zh) 一种双腔液压圆锥破碎机及调节方法
CN105498896A (zh) 辊筒间间隙与压力可控的辊压机
CN107470895A (zh) 一种预压螺栓装配设备及其装配方法
KR100361552B1 (ko) 단조용 프레스의 스틱해제장치 및 슬라이드조정장치
US4782749A (en) Screw press with an actuator
JP2003071554A (ja) 鋳造装置の上金型昇降機構
CN211540151U (zh) 一种轴承装配装置
KR100850557B1 (ko) 스틱해제 및 자동 슬라이드 조절기능을 갖는 포징 프레스
JP6487710B2 (ja) 浸漬ノズル保持装置
CN206854653U (zh) 一种压力自平衡小型油压机
CN112013804B (zh) 变速箱差速器半轴端隙测量装置
JP3591980B2 (ja) バルブブリッジ高さ調整装置
JPS632181Y2 (ko)
CN112008552A (zh) 一种适用于不同尺寸轴颈的不拆卸修复装置
JP3017449B2 (ja) 竪型ミル
CN217142965U (zh) 一种用于控制器生产的预压装置
CN211230222U (zh) 一种适用于带压作业机的转盘
CN109974913B (zh) 一种自动测量轴力、调整轴力的装置的方法
CN219444738U (zh) 一种提供恒定顶出力的磨床尾架
JP3806247B2 (ja) タイヤ加硫機及びタイヤプレス方法
CN220532945U (zh) 一种用于汽车压铸模具的合模辅助装置
JPS5941078Y2 (ja) 射出成形機等の金型取付装置
CN116001292A (zh) 一种回转体防热结构一体式套装成型工装和成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