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288B1 -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과, 계기 패널용중앙 스택 제조 방법 및 자동차 계기 패널 중앙 스택 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과, 계기 패널용중앙 스택 제조 방법 및 자동차 계기 패널 중앙 스택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288B1
KR100849288B1 KR1020047011072A KR20047011072A KR100849288B1 KR 100849288 B1 KR100849288 B1 KR 100849288B1 KR 1020047011072 A KR1020047011072 A KR 1020047011072A KR 20047011072 A KR20047011072 A KR 20047011072A KR 100849288 B1 KR100849288 B1 KR 100849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panel
central stack
housing
assembl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084A (ko
Inventor
우드만다니엘
하트시그윌리암
드래그트더크
헤네거제임스
헤이워드로버트
클리포드존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40083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10)은 적어도 하나의 벽(14, 16, 18)을 구비하는 열가소성 하우징(12)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컨덕터 조립체(40)는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벽내로 성형된다.

Description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과, 계기 패널용 중앙 스택 제조 방법 및 자동차 계기 패널 중앙 스택 키트{INSTRUMENT PANEL CENTER STACK WITH INTEGRATED WIRIN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 계기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 일체식 컨덕터 조립체를 구비한 계기 패널 중앙 스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계기 패널 조립체는 비임 구조체와, 이 비임 구조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장식 계기 패널을 포함한다. 장식 패널의 일부는 충돌 사고시에 차량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무릎 받침대로서 역할을 한다. 계기 패널 조립체는 자동차 본체에 부착된 비임 구조체, 전형적으로 A-필라(A-pillar)를 구비한 자동차의 승객실 내측에 장착된다. 공지된 계기 패널 비임 구조체는 강제, 알루미늄, 마그네슘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또한, 공지된 계기 패널 조립체는 전형적으로 비임 구조체에 부착된 중앙 스택(center stack)을 포함한다. 중앙 스택은 예를 들면 난방 및 공기 조화 제어부, 라디오 및 CD 체인저와 같은 다양한 차량 시스템 및 제어부를 보유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들 시스템 및 제어부는 전력이 필요하며, 메인 계기 패널 배선 하네스(main instrument panel wiring harness)에 접속될 필요가 있다. 전형적으로, 접속상자(junction box)가 메인 배선 하네스에 연결되고, 계기 패널 조립체 내측에 장착된다. 별개의 배선 하네스는 접속상자를 중앙 스택의 전기 부품에 연결한다. 중앙 스택 전기 부품 접속부의 이러한 구성은 많은 부품이 필요하고, 조립을 위한 노동 시간이 많아지게 된다.
발명의 요약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이 제공된다. 중앙 스택은 적어도 하나의 벽을 구비하는 열가소성 하우징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컨덕터 조립체는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벽내로 성형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은 적어도 하나의 벽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접속상자 하우징은 하우징의 벽중 하나내로 성형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계기 패널용 중앙 스택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중앙 스택은 적어도 하나의 벽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몰드를 제공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컨덕터 조립체를 몰드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시키는 단계와, 열가소성 재료로 몰드를 충전하여 중앙 스택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차 계기 패널 중앙 스택 키트가 제공된다. 키트 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구비하는 성형된 열가소성 하우징과, 하우징의 벽중 하나내로 성형된 접속상자를 포함한다. 또한, 키트는 접속상자 하우징에 끼워맞출 수 있는 크기로 된 커넥터 보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 패널 중앙 스택의 분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속상자의 분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속상자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 스택 하우징의 후방 사시도,
도 5는 중앙 스택 하우징 몰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몰드가 개방 위치에 있는 몰드의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몰드가 폐쇄 위치에 있는 몰드의 단면도.
일체식 매몰성형된 컨덕터 조립체를 구비한 열가소성 하우징을 포함하는 계기 패널 중앙 스택 조립체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매몰성형된 컨덕터 조립체는 중앙 스택 조립체의 배선 및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며, 조립 시간 및 중량을 감소시킨다.
열가소성 중앙 스택 하우징은 많은 열가소성 재료중 하나로 성형될 수 있다. 적당한 열가소성 재료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ABS 혼련물, 코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터, 아크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ASA),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폴리프로필렌 디아민 변형)-스티렌(AES), 페닐렌 에테르 수지, 폴리페닐렌 산화물 및 폴리스티렌의 유리 충전 혼련물,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아미드의 혼련물(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의 NORYL GTX(등록상표)), 폴리카보네이트/PET/PBT의 혼련물,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충격 변형제(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의 XENOY(등록상표)), 폴리아미드, 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염화 폴리비닐 PVC, 고충격 폴리스티렌(HIPS), 저/고 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열가소성 올레핀(TPO)을 포함하지만, 이들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 패널 중앙 스택 조립체(10)의 분해도이다. 중앙 스택(10)은 측벽(14, 16) 및 후방벽(18)을 구비하는 열가소성 중앙 스택 하우징(12)을 포함한다. 중앙 스택 베젤(20)은 하우징(12)에 부착된다. 중앙 스택 하우징(12)은 오디오 시스템(22) 및 난방 및 공기 조화 제어부(24)와 같은 다양한 차량 시스템 및 제어부를 수납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접속상자(26)는 하우징(12)에 결합되어 있다. 접속상자(26)는 커넥터(30, 32)를 구비하는 커넥터 보드(28)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30, 32)는 접속상자(26)를 계기 패널 메인 배선 하네스(34) 내지 컨덕터 조립체(36, 38)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앙 스택 하우징(12)은 후방벽(18)에 성형된 컨덕터 조립체(40)를 포함한다. 컨덕터 조립체(40)는 절연 평면 와이어 조립체, 복수의 개별 와이어를 구비한 절연 리본 와이어 조립체, 및 절연 단일 와이어 조립체와 같은 모든 공지된 배선 조립체일 수 있다. 컨덕터 조립체(40)는 피그테일(42, 44, 46, 48, 50, 52, 54, 56, 58)을 포함한다. 피그테일(42, 44, 46, 48, 50, 52, 54, 56, 58)은 컨덕터 조립체로부터 후방벽(18) 외측의 위치까지 연장된다. 전기 커넥터(60)는 각 피그테일(42, 44, 46, 48, 50, 52, 54, 56, 58)에 부착된다. 전기 커넥터(60)는 예를 들면 오디오 시스템(22) 및 난방 및 공기 조화 제어부(24)와 같은 다양한 차량 시스템 및 제어부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컨덕터 조립체(40)는 접속상자 커넥터 보드(28)를 통해서 메인 배선 하네스(34)에 연결된다. 특히, 컨덕터 조립체(40)는 하우징 후방벽(18)내의 일체식 커넥터(62)(도 3에 도시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상자 커넥터 보드(28)상에 위치된 커넥터(64)는 일체식 커넥터(62)에 연결된다.
도 2를 또한 참조하면, 접속상자(26)는 커넥터 보드(28)를 수납하는 크기로 된 하우징 측벽(14)의 연장 부분(66)을 포함한다. 연장 부분(66)은 하우징 측벽(14)내로 일체로 성형된 접속상자 하우징(67)을 한정한다. 접속상자 커버(68)가 측벽 연장 부분(64)에 연결되어 접속상자(26)를 폐쇄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상자(26)는 하우징(12)내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패스너 및 접착제 접착과 같은 모든 적당한 방법에 의해서 하우징(12)에 부착된 별개의 요소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덕터 조립체(40)는 하우징 후방벽(18)내로 일체화된 일체식 커넥터(62)에 연결된다. 일체식 커넥터(62)는 후방벽(18)내로 성형되거나, 후방벽(18)내의 적당한 크기로 된 개구부에서 제 위치로 스냅된다. 커넥터(64)는 일체식 커넥터(62)와 정렬되도록 커넥터 보드(28)상에 위치된다. 컨덕터 조립체(36)는 커넥터 보드(28)상의 커넥터(30)와 연결되는 크기로 되고 형성된 커넥터(70)를 포함한다.
도 4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중앙 스택 하우징(72)의 후방 사시도이다. 하우징(72)은 후방벽(74) 및 측벽(76, 78)을 포함한다. 컨덕터 조립체(80)는 제 1 단부(82)가 일체식 컨덕터(84)에 연결된다. 컨덕터 조립체(80)는 하우징(72)내로 성형되고, 후방벽(74) 및 측벽(76)을 통해 연장된다. 컨덕터 조립체(80)는 하우징(72)을 통해서 하우징(72) 외측 위치로 연장되는 피그테일(86, 88, 90, 92)을 포함한다. 커넥터(94, 96, 98, 100)는 각각 피그테일(86, 88, 90, 92)에 부착된다. 커넥터(94, 96, 98, 100)는 하우징 후방벽(74)에 연결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특히, 커넥터(94, 96, 98, 100)는 하우징 후방벽(74)내의 커넥터 개구부(102, 104, 106, 108)에 수납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커넥터(94, 96, 98, 100)는 하우징 후방벽(74)을 수납하는 크기로 된 노치(110)를 포함하여, 커넥터(94, 96, 98, 100)를 각각 커넥터 개구부(102, 104, 106, 108)내에 제 위치에 유지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열가소성 중앙 스택 하우징(12)은 중앙 스택 하우징(12)의 소망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적당한 몰드(112)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은 개방 위치의 몰드(112)를 도시한 반면에, 도 7은 폐쇄 위치의 몰드(112)를 도시한 것이다. 몰드(112)는 제 1 몰드 부재(114) 및 제 2 몰드 부재(116)를 포함한다. 제 1 몰드 부재(114)는 제 2 몰드 부재(116)와 맞물리는 크기로 되고 구성되어 캐비티 (117)를 형성하며, 이 캐비티(117)는 중앙 스택 하우징(12)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열가소성 재료를 수납한다.
컨덕터 조립체(40)는 몰드(112)내에 위치하며, 컨덕터 조립체(40)의 일부분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몰드(112)의 캐비티 외측으로 연장된다. 몰드(112)는 각기 제 1 몰드 부재(114)의 외부 표면(122, 124)상에 위치된 위치설정 롤(118, 120)을 포함한다. 제 1 몰드 부재(114)는 내부 표면(130)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설정 태브(126, 128)를 포함하며, 제 2 몰드 부재(116)는 내부 표면(136)으로부터 연장되는 맞물림 위치설정 부재(132, 134)를 포함한다. 위치설정 태브(126, 128, 132, 134)는 몰딩 공정 동안에 컨덕터(40)를 몰드(112) 내측에서 제 위치에 유지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몰드 부재는 또한 내부 표면(130)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설정 태브(138, 140)를 포함한다. 제 2 몰드 부재(116)내의 맞물림 함몰부(142)는 컨덕터(40)를 수납한다. 위치설정 태브(138) 및 맞물림 함몰부(142)의 작용은 내부 표면(136)을 따라 컨덕터(40)를 위치시키는 것이며, 컨덕터(40)는 몰딩후에 하우징(12)을 통해 돌출될 것이다.
몰드(112)가 폐쇄된 후에, 사전결정된 열가소성 재료는 사출 포트(144)를 통해 몰드 캐비티(117)내로 사출되어 중앙 스택 하우징(12)을 형성한다. 다음에, 몰드(112)는 개방되고, 중앙 스택 하우징(12)은 제거된다. 적절한 커넥터가 컨덕터(40)에 부착되며, 접속상자 커넥터 보드(28)는 하우징(12)에 결합되고 집적 커넥터(62)에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매몰성형된 컨덕터(40) 및 일체식 접속상자를 갖는 열가소성 하우징(12)을 구비하는 상술한 열가소성 중앙 스택 조립체(10)는 계기 패널 조립체내의 배선의 양을 감소시킨다. 또한, 감소된 배선 및 부품의 양으로 인해서, 조립 시간이 감소되어, 제조 비용을 절감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들에 의해 특허청구범위의 정신 및 영역내에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

Claims (33)

  1.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automobile instrument panel assembly)용 중앙 스택(10)(central stack)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벽(14, 16, 18)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벽내에 성형된 적어도 하나의 컨덕터 조립체(40)를 포함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덕터 조립체(4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벽(14, 16, 18)을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컨덕터 조립체(40)가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조립체(40)의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에 연결된 커넥터(60)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조립체(40)의 상기 제 1 단부에 연결된 상기 커넥터(60)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에 위치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조립체(40)의 상기 제 1 단부에 연결된 상기 커넥터(6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벽(14, 16, 18)내에 성형된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조립체(40)가 복수의 피그테일(42, 44, 46, 48, 50, 52, 54, 56, 58)(pigtail)을 포함하는데, 상기 컨덕터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단부 및 복수의 제 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 2 단부가 하나의 피그테일을 포함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피그테일(42, 44, 46, 48, 50, 52, 54, 56, 58)은 커넥터(60)에 연결된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이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개구부(102 내지 108)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 커넥터 개구부는 커넥터(6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는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조립체(40)에 연결된 접속상자(2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상자는 메인 계기 패널 배선 하네스(34)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스택 하우징(12)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14, 16, 18)중 하나내에 성형된 접속상자 하우징(67)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상자 하우징(67)에 끼워맞출 수 있는 크기로 된 커넥터 보드(28)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상자 하우징(67)에 연결된 접속상자 커버(68)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14.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1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벽(14, 16, 18)을 포함하는 하우징(12)과,
    상기 중앙 스택의 하우징(12)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중 하나내에 성형된 접속상자 하우징(67)을 포함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상자 하우징(67)에 끼워맞출 수 있는 크기로 된 커넥터 보드(28)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상자 하우징(67)에 연결된 접속상자 커버(68)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14, 16, 18)내로 성형된 적어도 하나의 컨덕터 조립체(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덕터 조립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을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컨덕터 조립체(40)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조립체(40)의 상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에 연결된 커넥터(60)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조립체(40)가 복수의 피그테일(42, 44, 46, 48, 50, 52, 54, 56, 58)을 포함하는데, 상기 컨덕터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단부 및 복수의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 2 단부가 하나의 피그테일을 포함하며, 상기 각 피그테일이 커넥터(60)에 연결된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21. 제 1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개구부(102 내지 108)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커넥터 개구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덕터 조립체(40)에 연결된 커넥터(6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는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
  22. 계기 패널용 중앙 스택(10)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중앙 스택이 적어도 하나의 벽(14, 16, 18)을 구비하는 하우징(12)을 포함하는, 계기 패널용 중앙 스택 제조 방법에 있어서,
    몰드(112)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몰드내에 적어도 하나의 컨덕터 조립체(40) 중 적어도 일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열가소성 재료로 몰드를 충전하여 중앙 스택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기 패널용 중앙 스택 제조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112)는 각 컨덕터 조립체(40)를 상기 몰드 내측에 정렬시키기 위한 복수의 위치설정 태브(126, 128)를 포함하는
    계기 패널용 중앙 스택 제조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치설정 태브(126, 128)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몰드내에 위치하여, 측면 표면을 하우징 벽(14, 16, 18)에서 볼 수 있도록 컨덕터 조립체(40)의 측면 표면을 배치하는
    계기 패널용 중앙 스택 제조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컨덕터 조립체(40)가 복수의 피그테일(42, 44, 46, 48, 50, 52, 54, 56, 58)을 포함하고, 상기 컨덕터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단부 및 복수의 제 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 2 단부가 하나의 피그테일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컨덕터 조립체(40)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몰드 내에 배치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컨덕터 조립체를 몰드내에 배치하여 각 피그테일의 일부분이 몰드 외측에 위치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기 패널용 중앙 스택 제조 방법.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스택의 하우징(12)의 하나의 벽(14, 16, 18)이 접속상자 하우징(67)을 포함하는
    계기 패널용 중앙 스택 제조 방법.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스택(10)을 몰드(112)로부터 제거하는 단계와,
    각 컨덕터 조립체(40)의 단부에 전기 커넥터(60)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계기 패널용 중앙 스택 제조 방법.
  28. 자동차 계기 패널 중앙 스택(10) 키트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벽(14, 16, 18)을 포함하는 성형된 열가소성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 중 하나에 성형된 접속상자 하우징(67)과,
    상기 접속상자 하우징에 끼워맞춰지는 크기로 된 커넥터 보드(28)를 포함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중앙 스택 키트.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이 적어도 하나의 벽(14, 16, 18)내에 성형된 적어도 하나의 컨덕터 조립체(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덕터 조립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을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중앙 스택 키트.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이 상기 컨덕터 조립체(40)의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에 연결된 커넥터(60)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중앙 스택 키트.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조립체(40)의 상기 제 1 단부에 연결된 상기 커넥터(60)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12)의 적어도 하나의 벽(14, 16, 18)내에 위치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중앙 스택 키트.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컨덕터 조립체(40)의 상기 제 1 단부에 연결된 상기 커넥터(60)가 상기 하우징(12)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14, 16, 18)내에 성형되는
    자동차 계기 패널 중앙 스택 키트.
  33. 제 28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 시스템 제어부(24)를 더 포함하고, 이 자동차 시스템 제어부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12)내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는
    자동차 계기 패널 중앙 스택 키트.
KR1020047011072A 2002-01-16 2002-01-16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과, 계기 패널용중앙 스택 제조 방법 및 자동차 계기 패널 중앙 스택 키트 KR100849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2/001159 WO2003063300A1 (en) 2002-01-16 2002-01-16 Instrument panel center stack with integrated wi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084A KR20040083084A (ko) 2004-09-30
KR100849288B1 true KR100849288B1 (ko) 2008-07-29

Family

ID=2760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072A KR100849288B1 (ko) 2002-01-16 2002-01-16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과, 계기 패널용중앙 스택 제조 방법 및 자동차 계기 패널 중앙 스택 키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474846B1 (ko)
JP (1) JP2005515926A (ko)
KR (1) KR100849288B1 (ko)
CN (1) CN1615565A (ko)
AT (1) ATE377855T1 (ko)
AU (1) AU2002235382B2 (ko)
DE (1) DE60223413T2 (ko)
ES (1) ES2296890T3 (ko)
WO (1) WO20030633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2888B2 (en) * 2004-04-20 2006-09-0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onically integrated vehicle structure
KR101446534B1 (ko) * 2013-05-21 2014-10-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블랙박스 전원공급장치
FR3065588B1 (fr) * 2017-04-25 2019-06-21 Jtekt Europe Procede de cablage incluant une etape d’enrobage de connecteurs non etanches dans une resin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2128A1 (en) * 1980-01-07 1981-07-15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Thiazolidine derivatives and their production and use
US5382169A (en) * 1994-01-14 1995-01-17 Labinal Components And Systems, Inc. Electrical connectors
US5805402A (en) * 1993-06-09 1998-09-08 Ut Automotive Dearborn, Inc. Integrated interior trim and electrical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US6062888A (en) * 1997-07-31 2000-05-16 Yazaki Corporation Wire harness device for use in instrument panel
US6120327A (en) * 1997-07-22 2000-09-19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Foam wire harness with shape memory
US6176534B1 (en) * 1999-08-02 2001-01-23 Lear Corporation Integral center stack storage door for instrument panel assembly
US6250706B1 (en) * 1999-08-17 2001-06-26 Lear Corporation Integrated flat cabl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0189A (en) * 1987-12-17 1989-04-11 Amp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al wiring of structural assembli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2128A1 (en) * 1980-01-07 1981-07-15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Thiazolidine derivatives and their production and use
US5805402A (en) * 1993-06-09 1998-09-08 Ut Automotive Dearborn, Inc. Integrated interior trim and electrical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US5382169A (en) * 1994-01-14 1995-01-17 Labinal Components And Systems, Inc. Electrical connectors
US6120327A (en) * 1997-07-22 2000-09-19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Foam wire harness with shape memory
US6062888A (en) * 1997-07-31 2000-05-16 Yazaki Corporation Wire harness device for use in instrument panel
US6176534B1 (en) * 1999-08-02 2001-01-23 Lear Corporation Integral center stack storage door for instrument panel assembly
US6250706B1 (en) * 1999-08-17 2001-06-26 Lear Corporation Integrated flat cabl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96890T3 (es) 2008-05-01
EP1474846A1 (en) 2004-11-10
AU2002235382B2 (en) 2008-01-31
KR20040083084A (ko) 2004-09-30
ATE377855T1 (de) 2007-11-15
DE60223413T2 (de) 2008-09-04
CN1615565A (zh) 2005-05-11
EP1474846A4 (en) 2005-08-17
JP2005515926A (ja) 2005-06-02
DE60223413D1 (de) 2007-12-20
WO2003063300A1 (en) 2003-07-31
EP1474846B1 (en)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8020A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module for vehicle instrument panel
US5856908A (en) Wire harness and instrument panel assembly
JP3067092B2 (ja) 自動車用ドア
US8913371B2 (en) Automotive fuse and relay block assembly
JP2001058548A (ja) 内部に電気導線を配置した部品を作製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り作製する特に自動車用のドア・モジュールとしての部品
CN102015374A (zh) 车载用电连接箱
US6462279B1 (en) Wiring structure of flat circuit for vehicle
US6036501A (en) Trim panel with integrally formed electrical connectors
KR100849288B1 (ko) 자동차 계기 패널 조립체용 중앙 스택과, 계기 패널용중앙 스택 제조 방법 및 자동차 계기 패널 중앙 스택 키트
JP3728347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車体パネル取付構造
AU2002235382A1 (en) Instrument panel center stack with integrated wiring
EP1410931B1 (en) Air vent having a electronic component embedded therein
JP6222694B2 (ja) 車両用コネクタ固定構造
JP3888339B2 (ja) 自動車用ドア構造
CN111032495B (zh) 加强件及加强件模块
JP2001151046A (ja) 自動車用樹脂成形品のハーネス取付構造
JP2001150979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用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構造
JP2791381B2 (ja) 自動車用回路体
US7527224B2 (en) Radio bin spacer
JP4871574B2 (ja) トリムの固定構造
JP3383096B2 (ja) ワイヤハーネスとそのプロテクタ
WO2023195357A1 (ja) ワイヤハーネス
JP3388574B2 (ja) 樹脂成形体への電線の係止構造
KR200153559Y1 (ko) 자동차의 오디오 및 에어컨 컨트롤 박스 장착 구조
JPH11203945A (ja) 車両用ワイヤーハーネ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