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987B1 - 차량용 차량 새시 - Google Patents

차량용 차량 새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987B1
KR100848987B1 KR1020070049036A KR20070049036A KR100848987B1 KR 100848987 B1 KR100848987 B1 KR 100848987B1 KR 1020070049036 A KR1020070049036 A KR 1020070049036A KR 20070049036 A KR20070049036 A KR 20070049036A KR 100848987 B1 KR100848987 B1 KR 10084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shbox
longitudinal support
support beam
vehicle chassis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625A (ko
Inventor
발도 브라운벡
테오발드 호크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15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차량용 차량 새시는 크래쉬박스를 포함하고 종방향 지지 빔(2)을 포함하며, 종방향 지지 빔(2)으로부터 분리될 때 종방향 지지 빔(2)으로 삽입된 크래쉬박스(4)는 종방향 지지 빔(2)의 2개의 마주보는 벽(7, 7')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크래쉬박스(4)는 종방향 지지 빔(2)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조립 후 크래쉬박스(4)의 횡방향 쉘 부분(8, 8')은 종방향 지지 빔(2)의 벽(7, 7')에 대해 사전-인장된다. 따라서 크래쉬박스(4)는 종방향 지지 빔(2)과 고정되게 연결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차량 새시{MOTOR VEHICLE CHASIS FOR A MOTOR VEHICLE}
도 1은 이동 방향을 향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 새시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도 1의 차량 새시의 횡방향 부분을 도시하는 투시도.
도 3a,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르는 크래쉬박스를 조립한 후 그리고 조립 전 도 2의 차량 새시의 삽입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
도 4a,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르는 크래쉬박스를 조립한 후 그리고 조립 전 차량 새시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삽입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
도 5a,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르는 크래쉬박스를 조립한 후 그리고 조립 전 차량 새시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삽입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르는 크래쉬박스를 조립한 후 그리고 조립 전 차량 새시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삽입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량 새시 2: 종방향 지지 빔
3: 횡방행 범퍼 바 4: 크래쉬박스
5: 삽입 영역 6: 체결 요소
7, 7’: 벽 8,8’: 쉘 부분
9, 9’: 크래쉬박스 부품 10, 10’: 보강 요소
11: 센터링 돌출부 12, 12’: 내부 쓰레드
13: 슬롯 14, 15: 벽 요소
16: 캠버 17: 벽 요소
18: 영역 19: 벽 요소
본 발명은 종방향 지지 빔의 2개의 마주보게 위치된 벽들 사이로 고정되고 이동 방향 또는 이동 방향과 상반된 방향으로 향하는 종방향 지지 빔의 한 단부로 삽입되는 크래쉬박스를 포함하고, 종방향 지지 벽을 포함하는 차량용 차량 새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 새시는 현존하는 차량에 종종 사용되며, 실질적으로 공지되었다. 크래쉬박스는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 충돌 시 충돌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동 방향을 향하는 종방향 지지 빔의 개방된 단부로 크래쉬박스가 삽입됨에 따라 심지어 하중까지 종방향 지지 빔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따른 문제점으로는 종방향 지지 빔과 크래쉬박스 사이에 오차(tolerance)가 발생되는 데 있다. 종방향 지지 빔과 크래쉬박스 사이의 오차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간격(gap)이 제공된다. 크래쉬박스의 본래의 기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종방향 지지 빔의 마주보게 위치된 벽들과의 하중-고정(force-locking) 및/또는 형태-고정 조인트(form-locking joint)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크래쉬박스를 조립하는 동안 마주보게 위치된 벽들을 변형시키고 종방향 지지 빔의 마주보게 위치된 벽들을 가요성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종방향 지지 빔은 매우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추가적으로 보강 시트가 제공되어 이동 방향을 향하는 종방향 지지 빔의 단부의 적절한 변형이 보장되지 못한다.
게다가 다른 제안점에 따르면, 볼트는 종방향 지지 빔의 단부와 종방향 지지 빔의 축에 대해 가로지르는 크래쉬박스를 통과시키며, 이에 따라 종방향 지지 빔과 크래쉬박스는 서로 볼트 고정된다. 이에 따른 문제점으로는 종방향 지지 빔의 벽들이 정확히 평행한 상태로 형성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래쉬박스의 용이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전단부에 언급된 타입의 차량 새시를 추가적으로 개선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이러한 목적은 크래쉬박스가 종방향 지지 빔으로부터 분리될 때 종방향 지지 빔의 2개의 벽들 사이의 거리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구현되며, 종방향 지지 빔으로 돌출되는 크래쉬박스의 단부는 종방향 지지 빔의 벽의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크래쉬박스는 종방향 지지 빔의 벽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사전-인장된다(pre-tension).
이러한 형상에 따라 오차를 상쇄시키기 위해 크래쉬박스와 종방향 지지 빔의 마주보게 위치된 벽들 사이에는 간격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을 위해 크래쉬박스는 이동 방향을 향하는 종방향 지지 빔의 단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크래쉬박스는 종방향 지지 빔의 벽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사전-인장되고, 이에 따라 하중-고정 및/또는 형태-고정 방식으로 종방향 지지 빔과 결합된다. 크래쉬박스가 종방향 지지 빔의 벽에 대해 사전-인장될 때, 크래쉬박스는 변형될 것이다. 따라서 종방향 지지 빔은 특정 강성을 가질 수 있으며, 보강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 새시는 이동 방향으로 볼 때 미리 결정된 강성을 가진 크래쉬박스 뒤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종방향 지지 빔의 벽들은 평행하게 형성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선점에 따르면, 종방향 지지 빔의 벽에 대한 크래쉬박스의 사전-인장(pre-tensioning)은 크래쉬박스가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크래쉬박스 부품들을 가지며 크래쉬박스 부품들 중 한 부품이 한 벽에 고정되고, 그 외의 다른 크래쉬박스 부품들이 종방향 지지 빔의 마주보게 위치된 벽에 고정될 때 보다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선점에 따르면, 종방향 지지 빔과 크래쉬박스는 크래쉬박스가 2개의 보강 요소를 가지며 체결 요소들이 종방향 지지 빔의 인접한 벽과 보강 요소를 각각 결합시킬 때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선점에 따르면, 크래쉬박스의 구조는 하나 이상의 크래쉬박스 부품이 보강 요소들 중 한 보강요소에 배열될 때 특히 단순해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선점에 따르면, 조립 전에 크래쉬박스는 크래쉬박스 부품이 보강 요소들 중 한 보강요소와 사전 결합될 때 매우 안정적이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보강 요소와 크래쉬박스는 종방향 지지 빔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부품들이 사전 고정됨에 따라 조립 전 안정적인 이송(secure transport)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은 크래쉬박스 부품들이 종방향 지지 빔의 벽들 중 한 벽과 보강 요소들 중 한 보강요소 사이에 클램프 고정될 때 특히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추가적인 개선점에 있어서, 크래쉬박스의 안정성은 크래쉬박스의 크래쉬박스 부품들 또는 쉘 부분들이 종방향 지지 빔의 외측에 위치된 크래쉬박스의 벽 요소에 의해 결합될 때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래쉬박스는 삽입 영역의 외측에 위치된 종방향 지지 빔 내에 둘러싸여 진 프로파일을 가진다.
크래쉬박스는 크래쉬박스 부품들을 결합시키는 벽 요소가 종방향 지지 빔의 내측에 배열될 대 종방향 지지 빔의 벽에 대해 측면 한계점까지 사전-인장되고, 종방향 지지 빔의 내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용이하게 만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홀이 벽 요소의 슬롯의 단부에 위치되어 크래쉬박스의 응력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추가적인 개선점에 있어서, 크래쉬박스는 크래쉬박스가 크래쉬박스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쉘 부분들을 가지며 쉘 부분들이 종방향 지지 빔의 외측에서 서로 결합될 때 보다 단순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추가적인 개선점에 있어서, 쉘 부분들 또는 크래쉬박스 부품들을 결합시키는 벽의 탄성 변형가능한 구조는 쉘 부분들 또는 크래쉬박스 부품들을 결합시키는 크래쉬박스의 벽 요소가 종방향 지지 빔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캠버(camber)를 가질 때 보다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추가적인 개선점에 있어서, 종방향 지지 빔의 벽들에 대한 사전-인장 동안 쉘 요소들 또는 크래쉬박스 부품들을 연결하는 크래쉬박스의 벽 요소가 변형 가능한 스탬프된 영역을 가질 때 크래쉬박스의 변형 가능성이 추가적으로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추가적인 개선점에 있어서, 사전-인장 동안 쉘 부분들 또는 크래쉬박스 부품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크래쉬박스의 벽 요소는 쉘 부분들 또는 크래쉬박스 부품들을 연결시키는 벽 요소가 탄성 재료로부터 제조될 때 종방향 지지 빔의 벽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추가적인 개선점에 있어서, 크래쉬박스의 조립은 보강 요소가 하나 이상의 내측 쓰레드를 가지며, 체결 요소가 종방향 지지 빔의 벽들 중 한 벽을 통과하고 내측 쓰레드들 중 한 쓰레드로 나사 고정될 때 보다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추가적인 개선점에 있어서, 크래쉬박스가 종방향 지지 빔 상에 배열된 센터링 돌출부를 가질 때 종방향 지지 빔에 대한 크래쉬박스의 조립이 보다 단순해진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원리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한 실시예는 하기에 따라 기술되고 도면에 도시된다.
도 1은 횡방향 범퍼 바 캐리어(transverse bumper bar carrier, 3)와 종방향 지지 빔(2)을 포함하고, 이동 방향을 향하는 차량의 차량 새시(1)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횡방향 범퍼 바 캐리어(3)와 종방향 지지 빔(2) 사이에는 크래쉬박스(crashbox, 4)가 제공된다. 대안의 실시예에서(도시되지 않음) 종방향 지지 빔(2)은 크래쉬박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크래쉬박스의 단부들은 이동 방향과 상반된 방향을 향한다. 도 2는 크래쉬박스(4)들 중 한 크래쉬박스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며, 상기 크래쉬박스(4)는 이동 방향을 향하는 종방향 지지 빔(2)의 단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크래쉬박스(4)는 삽입 영역(5)을 가지며, 크래쉬박스는 상기 삽입 영역과 함께 종방향 지지 빔(2)으로 삽입된다. 삽입 영역(5)에서 크래쉬박스(4)는 볼트로 구성된 체결 요소(6)에 의해 종방향 지지 빔(2)의 측면의 마주보는 벽(7, 7’)들과 결합된다.
도 3a는 체결 요소(6)와 결합되기 전 그리고 이와 조립되는 동안 종방향 지지 빔(2)에서 크래쉬박스(4)의 삽입 영역(5)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크래쉬박스(4) 는 2개의 보강 요소(10, 10’)와 쉘 부분(8, 8’)에 배열된 몇몇의 크래쉬박스 부품(9, 9’)을 가지며, 도시된 위치에서 조립 전의 종방향 지지 빔(2)의 마주보는 벽(7, 7’)들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크래쉬박스(4)와 종방향 지지 빔(2)의 허용 오차(tolerance)가 상쇄되며, 크래쉬박스(4)는 종방향 지지 빔(2)으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게다가 조립을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크래쉬박스(4)는 종방향 지지 빔(2)에 배치된 센터링 돌출부(centring projection, 11)를 가진다. 보강 요소(10, 10’)는 체결 요소(6)를 위한 몇몇의 내부 쓰레드(thread, 12, 12’)를 가진다. 조립을 위해 크래쉬박스(6)는 센터링 돌출부(11)가 종방향 지지 빔(2)으로 도달될 때까지 종방향 지지 빔(2)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크래쉬박스(4)와 종방향 지지 빔(2)은 서로 정렬되고, 체결 요소(6)는 종방향 지지 빔(2) 내의 컷-아웃(cut-out)을 통하여 보강 요소(10, 10’)로 나사 고정될 수 있다. 볼트로 구성된 체결 요소(6)가 단단히 죄어질 때, 크래쉬박스(4)는 변형되고 보강 요소(10, 10’)와 함께 종방향 지지 빔(2)의 벽(7, 7’)에 대해 가압되며, 이는 도 3b에 도시된다. 이러한 변형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크래쉬박스(4)는 벽 요소(14) 내에 크래쉬박스 부품(9, 9’)들을 결합시키는 슬롯(slot, 13)을 가진다. 조립 후 크래쉬박스(4)는 종방향 지지 빔(2)과 형태-고정(form-lock) 및 하중-고정(force-lock) 결합된다.
도 4a 및 도 4b는 조립하는 동안 그리고 조립한 후 크래쉬박스(4)의 삽입 영역을 따라 절단한 종방향 지지 빔(2) 내의 차량 새시(1)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보강 요소(10, 10’)를 연결하는 크래쉬박스(4)의 벽 요 소(15)가 종방향 지지 빔(2)으로부터 분리될 때 캠버(camber, 16)를 가진다는 점에서 도 3a 및 도 3b와 상이하다. 크래쉬박스(4)가 종방향 지지 빔(2)으로 볼트 고정될 때, 인장 하중은 캠버(16) 내로 유입되고, 벽 요소(15)는 신장되며, 이는 도 4b에 도시된다.
도 5a 및 도 5b는 조립을 하는 동안 그리고 조립한 뒤 종방향 지지 빔(2) 내에서 크래쉬박스(4)의 삽입 영역(5)을 절단한 차량 새시(1)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5a 및 도 5b는 크래쉬박스(4)의 보강 요소(10, 10’)를 연결하는 벽 요소(17)가 영역(18)으로 스탬프된다는(stamp) 점에서 도 4a 및 도 4b와 상이하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조립하는 동안 인장 하중은 벽 요소(17)로 유입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탬프된 영역(18)은 상부를 향해 상승되며, 이에 따라 종방향 지지 빔(2)의 벽(7, 7’)에 대해 위치된 크래쉬박스(4)의 영역은 벽(7, 7’)에 대해 이동되고 사전-인장(pre-tension)된다.
도 6a 및 도 6b는 조립을 하는 동안 그리고 조립한 뒤 종방향 지지 빔(2) 내에서 크래쉬박스(4)의 삽입 영역(5)을 절단한 차량 새시(1)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종방향 지지 빔(2)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크래쉬박스(4)의 쉘 부분(8, 8’)은 중첩된 상태의 벽 요소(19)를 형성한다. 조립을 하는 동안 쉘 부분(8, 8’)은 종방향 지지 빔(2)의 벽(7, 7’)에 대해 볼트로 구성된 체결 요소(6)에 의해 사전-인장된다.
차량용 차량 새시는 크래쉬박스를 포함하고 종방향 지지 빔(2)을 포함하며, 종방향 지지 빔(2)으로부터 분리될 때 종방향 지지 빔(2)으로 삽입된 크래쉬박스(4)는 종방향 지지 빔(2)의 2개의 마주보는 벽(7, 7')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크래쉬박스(4)는 종방향 지지 빔(2)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조립 후 크래쉬박스(4)의 횡방향 쉘 부분(8, 8')은 종방향 지지 빔(2)의 벽(7, 7')에 대해 사전-인장된다. 따라서 크래쉬박스(4)는 종방향 지지 빔(2)과 고정되게 연결된다.

Claims (14)

  1. 종방향 지지 빔(2)의 2개의 마주보게 위치된 벽(7, 7’)들 사이에 고정되고 이동 방향 또는 이동 방향과 상반된 방향으로 향하는 종방향 지지 빔(2)의 한 단부로 삽입되는 크래쉬박스(4)를 포함하고, 종방향 지지 벽(2)을 포함하는 차량용 차량 새시(1)에 있어서,
    크래쉬박스(4)는 종방향 지지 빔(2)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크래쉬박스(4)는 종방향 지지 빔(2)의 2개의 벽(7, 7’)들 사이의 거리보다 좁게 형성되며, 종방향 지지 빔(2)으로 돌출된 크래쉬박스(4)의 단부는 종방향 지지 빔(2)의 벽(7, 7’)의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크래쉬박스(4)는 종방향 지지 빔(2)의 벽(7, 7’)에 대해 횡방향으로 사전-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새시.
  2. 제 1 항에 있어서, 크래쉬박스(4)는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크래쉬박스 부품(9, 9’)들을 가지며, 상기 크래쉬박스 부품(9)들 중 한 부품은 벽(7)에 고정되며, 그 외의 다른 크래쉬박스 부품(9’)은 종방향 지지 빔(2)의 마주보게 위치된 벽(7’)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새시.
  3. 제 1 항에 있어서, 크래쉬박스(4)는 2개 이상의 보강 요소(10, 10’)를 가지며, 체결 요소(6)는 종방향 지지 빔(2)의 인접한 벽(7, 7’)과 보강 요소(10, 10’)를 각각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새시.
  4. 제 3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크래쉬박스 부품(9, 9’)은 보강 요소(10, 10’)들 중 한 보강 요소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새시.
  5. 제 4 항에 있어서, 크래쉬박스 부품(9, 9’)은 보강 요소(10, 10’)들 중 한 보강 요소와 사전-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새시.
  6. 제 4 항에 있어서, 크래쉬박스 부품(9, 9’)은 종방향 지지 빔(2)의 벽(7, 7’)들 중 한 벽과 보강 요소(10, 10’)들 중 한 보강 요소 사이에 클램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새시.
  7. 제 2 항에 있어서, 크래쉬박스(4)의 쉘 부분(8, 8’) 또는 크래쉬박스 부품(9, 9’)은 크래쉬박스(4)의 벽 요소(14, 15, 17, 19)에 의해 종방향 지지 빔(2)의 외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새시.
  8. 제 7 항에 있어서, 크래쉬박스 부품(9, 9’)들을 연결시키는 벽 요소(14)는 종방향 지지 빔(2)의 내측에 배열되는(slot)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새시.
  9. 제 7 항에 있어서, 크래쉬박스(4)는 크래쉬박스 부품(9, 9’)들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쉘 부분(8, 8’)을 가지며, 상기 쉘 부분(8, 8’)은 오직 종방향 지지 빔(2)의 외측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새시.
  10. 제 7 항에 있어서, 쉘 부분(8, 8’) 또는 크래쉬박스 부품(9, 9’)들을 연결하는 크래쉬박스(4)의 벽 요소(15)는 종방향 지지 빔(2)으로부터 분리될 때 캠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새시.
  11. 제 7 항에 있어서, 쉘 요소(8, 8’) 또는 크래쉬박스 부품(9, 9’)들을 연결하는 크래쉬박스(4)의 벽 요소(15)는 변형 가능하고 스탬프된 영역(1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새시.
  12. 제 7 항에 있어서, 쉘 부분(8, 8’) 또는 크래쉬박스 부품(9, 9’)들을 연결하는 벽 요소(14, 15, 17, 19)는 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새시.
  13. 제 4 항에 있어서, 보강 요소(10, 10’)는 하나 이상의 내측 쓰레드(12, 12’)를 각각 가지며, 체결 요소(6)는 종방향 지지 빔(2)의 벽(7, 7’)들 중 한 벽을 통과하고 내측 쓰레드(12, 12’)들 중 한 쓰레드로 나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새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크래쉬박스(4)는 종방향 지지 빔(2)상에 배열된 센터링 돌출부(1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새시.
KR1020070049036A 2006-06-02 2007-05-21 차량용 차량 새시 KR100848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25856.8 2006-06-02
DE102006025856A DE102006025856A1 (de) 2006-06-02 2006-06-02 Kraftfahrzeugkarosserie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625A KR20070115625A (ko) 2007-12-06
KR100848987B1 true KR100848987B1 (ko) 2008-07-30

Family

ID=38640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036A KR100848987B1 (ko) 2006-06-02 2007-05-21 차량용 차량 새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94167B2 (ko)
EP (1) EP1902927A3 (ko)
JP (1) JP2007320552A (ko)
KR (1) KR100848987B1 (ko)
CN (1) CN100500495C (ko)
AU (1) AU2007202454A1 (ko)
BR (1) BRPI0701671A (ko)
DE (1) DE102006025856A1 (ko)
RU (1) RU2342276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5876A1 (de) * 2006-04-05 2007-10-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Crashbox und Dämpfungsanordnung mit Crasbox
US8454064B2 (en) * 2006-04-25 2013-06-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rrangement and method for attaching a bumper to side members of a vehicle
DE102007015865A1 (de) * 2007-04-02 2008-10-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raftfahrzeug-Rahmenstruktur und Crashbox dafür
DE102008012623A1 (de) 2008-02-28 2009-09-03 Decoma (Germany) Gmbh Trägersystem
DE102008035448A1 (de) 2008-07-30 2009-03-19 Daimler Ag Kraftfahrzeugkarosserie
DE102009014822B4 (de) * 2009-03-25 2013-07-11 Audi Ag Verbindungsstruktur mit Toleranzausgleich
DE102010018470A1 (de) * 2010-04-28 2011-11-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Heckpartie für eine Kraftfahrzeugkarosserie
FR2971980A1 (fr) * 2011-02-28 2012-08-3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ehicule comportant un absorbeur de choc et absorbeur de choc correspondant
JP5864354B2 (ja) * 2011-11-08 2016-0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DE102011118327A1 (de) * 2011-11-11 2013-05-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Kraftfahrzeug mit Crashbox
CN103448834B (zh) * 2013-08-16 2018-08-03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汽车零件连接结构及其连接方法
CN104276138A (zh) * 2014-10-12 2015-01-14 黄园媚 车用高压气体发射器防护系统
CN104786969B (zh) * 2015-04-27 2017-08-29 北京汽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碰撞被动安全装置及汽车
DE102016005581B4 (de) 2016-05-04 2024-05-16 Hbpo Gmbh Verbindungselement zur Verbindung eines Kraftfahrzeugfrontends mit einem Kraftfahrzeug
DE102017118515B3 (de) * 2017-08-14 2018-10-25 Kirchhoff Automotive Deutschland Gmbh Fahrzeuglängsträgeranordnung
KR102586916B1 (ko) * 2018-07-16 202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초경량 로어 멤버리스 프론트 엔드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9156A (ja) * 1990-09-07 1992-06-02 Mazda Motor Corp 車両用バンパー構造
JPH1120733A (ja) 1997-07-03 1999-01-26 Mazda Motor Corp 車両の車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1224B2 (ja) * 1998-01-26 2005-05-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ンパレインフォースの取付構造
DE19928099C2 (de) * 1999-06-19 2001-04-19 Daimler Chrysler Ag Stoßenergieaufnahmevorrichtung
DE102004039592C5 (de) * 2004-08-13 2008-05-21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Crashbox
DE102004060088B3 (de) * 2004-12-13 2006-02-16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toßfäng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21661B4 (de) * 2005-05-06 2007-10-04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Crashbox
DE102005021663B3 (de) * 2005-05-06 2006-05-04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Crashbox
DE102006040178B3 (de) * 2006-04-25 2008-11-13 Alcan Technology & Management Ag Profilelement zum Befestigen einer Stoßstange an Längsträgern eines Fahrzeug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9156A (ja) * 1990-09-07 1992-06-02 Mazda Motor Corp 車両用バンパー構造
JPH1120733A (ja) 1997-07-03 1999-01-26 Mazda Motor Corp 車両の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2927A3 (de) 2008-07-16
BRPI0701671A (pt) 2008-02-19
EP1902927A2 (de) 2008-03-26
CN101081628A (zh) 2007-12-05
US20070278824A1 (en) 2007-12-06
RU2342276C1 (ru) 2008-12-27
KR20070115625A (ko) 2007-12-06
JP2007320552A (ja) 2007-12-13
CN100500495C (zh) 2009-06-17
AU2007202454A1 (en) 2007-12-20
US7494167B2 (en) 2009-02-24
DE102006025856A1 (de)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987B1 (ko) 차량용 차량 새시
US9045100B2 (en) Shock absorbing member
CN108657280B (zh) 汽车的前部车身结构
JP5664637B2 (ja) 車体前部構造
US8210601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7896428B2 (en) Vehicle body structure
EP1733951B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hollow member or half hollow member
CN103534145B (zh) 车身结构
US8844987B2 (en) Crash box and bumper device
US8801080B2 (en) Crash structure for attachment to a front subframe for a motor vehicle
JP6562064B2 (ja) 車両の衝撃吸収構造
CN109131575B (zh) 车身前部构造
EP3132980B1 (en) Vehicle frame structure
CN107792183B (zh) 车辆的后部车体构造
US9573628B2 (en) Vehicle body with structural component
KR20150016609A (ko) 펜더 지지부 구조
US6666500B2 (en) Vehicle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10000866A5 (ko)
JP2010000866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20100115385A (ko) 차량용 범퍼 비임
JP7201145B2 (ja) 車両前部構造
KR101927382B1 (ko) 연장된 차체프레임 구조
JP5234324B2 (ja) 車両の車体構造
JP2009035233A (ja) 車体構造
JP6051813B2 (ja) 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