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740B1 - 펀칭머신 푸시장치 - Google Patents

펀칭머신 푸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740B1
KR100843740B1 KR1020080009365A KR20080009365A KR100843740B1 KR 100843740 B1 KR100843740 B1 KR 100843740B1 KR 1020080009365 A KR1020080009365 A KR 1020080009365A KR 20080009365 A KR20080009365 A KR 20080009365A KR 100843740 B1 KR100843740 B1 KR 100843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punching machine
sensor
shaft
pu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광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광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광테크
Priority to KR1020080009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08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금형 및 하부 금형을 갖추고 그 사이에 펀칭하고자 하는 작업물을 올려 놓고 펀치(6)로 펀칭 작업하는 펀칭머신에서 작업물을 연속 공급하기 위한 펀칭머신 푸시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펀치의 측부에 펀칭하고자 하는 작업물(5)을 적층한 공급장치(7)와, 상기한 공급장치(7)의 상부로 올라온 작업물(5)을 하나씩 펀치로 공급하는 작업물 푸시장치와, 상기한 작업물 공급장치(7) 상부에 설치되고 작업물(5)이 올라오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14)를 갖춘 높이조절장치(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공급장치(7)는, 모터(11)와, 모터(11)의 동력을 전동 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2)과, 회전축(12)의 회전을 전달 받는 베벨기어(10)와, 베벨기어(10)의 회전으로 동력 전달 받는 스크류(9)와, 스크류(9)의 양단에 설치되고 작업물(5)을 적층할 수 있게 구성한 받침대(8)를 포함하며, 상기한 작업물 푸시장치는, 에어실린더(1)와, 에어실린더(1)의 동력을 전달 받아 전후진 하는 피스톤(2)과, 피스톤(2)의 선단에 구성한 푸셔(3)와, 푸셔(3)의 선단에 구성한 푸셔헤드(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높이조절장치(20)는, 상기한 센서(14)와 연결되며 몸체에 나사산을 구성한 축(17)과, 축(17)에 연결한 핸들(16)을 포함하여, 핸들(16)의 회전에 따라 축(17)이 회전하면 센서(14)가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펀칭머신, 푸시장치

Description

펀칭머신 푸시장치{push apparatus of punching machine}
본 발명은 철판 등에 구멍을 뚫기 위한 펀칭 머신에 작업물을 연속 공급하여 주기 위한 펀칭머신의 푸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펀칭머신의 작업 예를 들면, 빔 구조물 등에는 대량의 연결부재가 필요하는데 이 연결부재에는 다수의 구멍을 뚫는 가공을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종래의 펀칭머신는 단지 철판에 구멍만 가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대량으로 작업을 할 경우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고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
예를 들어 일일이 하나의 천공 작업 대상물을 손으로 옮겨서 천공 작업 한 후, 다시 다른 장소에 적재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며 안전사고 위험도 항상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대량의 천공 작업물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주는 그 공급 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상부금형 및 하부 금형을 갖추고 그 사이에 펀칭하고자 하는 작업물을 올려 놓고 펀치(6)로 펀칭 작업하는 펀칭머신에서 작업물을 연속 공급하기 위한 펀칭머신 푸시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펀치의 측부에 펀칭하고자 하는 작업물(5)을 적층한 공급장치(7)와, 상기한 공급장치(7)의 상부로 올라온 작업물(5)을 하나씩 펀치로 공급하는 작업물 푸시장치와, 상기한 작업물 공급장치(7) 상부에 설치되고 작업물(5)이 올라오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14)를 갖춘 높이조절장치(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공급장치(7)는, 모터(11)와, 모터(11)의 동력을 전동 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2)과, 회전축(12)의 회전을 전달 받는 베벨기어(10)와, 베벨기어(10)의 회전으로 동력 전달 받는 스크류(9)와, 스크류(9)의 양단에 설치되고 작업물(5)을 적층할 수 있게 구성한 받침대(8)를 포함하며, 상기한 작업물 푸시장치는, 에어실린더(1)와, 에어실린더(1)의 동력을 전달 받아 전후진 하는 피스톤(2)과, 피스톤(2)의 선단에 구성한 푸셔(3)와, 푸셔(3)의 선단에 구성한 푸셔헤드(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높이조절장치(20)는, 상기한 센서(14)와 연결되며 몸체에 나사산을 구성한 축(17)과, 축(17)에 연결한 핸들(16)을 포함하여, 핸들(16)의 회전에 따라 축(17)이 회전하면 센서(14)가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우 편리하게 자동으로 작업물을 공급하여 주므로 그 작업이 신속하고 그리고 안전하게 작업이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의 측면에서 볼때, 에어실린더(1)가 작동하여 연결된 피스톤(2)을 밀어주면, 피스톤(2)과 연결된 푸셔(3)가 전진한다. 그러면 푸셔(3)의 선단에 연결된 푸셔헤드(4)가 펀칭하고자하는 작업물(5)을 밀어준다. 그러면 작업물(5)은 펀치(6) 위치로 이동된다. 한편, 일정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천공 대상 작업물(5)은 공급장치(7)에 의하 하나씩 공급된다
그 공급 방법을 이하 설명한다
받침대(8)에는 여러 장의 천공하고자하는 작업물(5)이 적층되어 있다
받침대(8)의 양측은 스크류(9)에 설치되어 있어, 스크류(9)의 정역 회전에 따라 받침대(8)가 승하강 한다. 스크류(9)의 하단에는 베벨기어(10)가 설치되어 있어 모터(11)의 회전이 풀리 등의 전동수단을 거쳐 회전축(12)을 거쳐 전동된다
한편, 푸셔헤드(4)에는 센서(14)가 설치된다. 센서(14)는 근접센서로 작업물(5)이 상승하는 것을 감지한다. 센서(14)의 위치는 핸들(16)로 높이를 조절한다. 핸들(16)에는 나사로 이루어지는 축(17)과 연결되어 핸들(16)의 좌우 회전에 따라 센서(14)가 승하강한다. 상기한 센서(14)의 높이 조절 장치(20)는 푸셔(3)나 푸셔 헤드(4)에 설치하거나 또는 이들 부재에 취부하지 않고 별개의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센서(14)의 높이를 조절하는 이유는 대상 작업물(5)의 두께에 따라 그 높이 차이가 나므로, 이에 대한 감지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16mm 두께의 철판을 적층하여 천공 작업 완료한 후, 다음 작업 대상물이 앞선 두께와 다른 두께를 갖는 작업 대상물을 적층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센서((14)의 감지 높이를 조절하여야 한다
푸셔(3)에 의해 펀치(6) 위치에 진입한 작업물(5)은 유압클램프(22)가 고정한다. 유압클램프(22)로 작업물(5)을 물은 후, 에어실린더(1)가 후진하고 펀치(6)로 천공 작업을 하고, 그리고 작업물(5)을 X,Y 축으로 위치 이동시켜 작업물(5)에 다수의 구멍을 뚫는 천공 작업할 수 있다
유압클램프(22)의 좌우, 전후 이송은 도 1에 도시한 좌우볼스크류(23) 및 전후볼스크류(24)와 이들에 동력을 전달하여주는 서보모터(26)에 의하여 이송된다
볼스크류에 의한 좌우 및 전후 이송기구는 공지의 기구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상세한 설명은 불필요하다. 유압클램프(22)에는 근접센서(27)가 설치되어 작업물(5)이 들어오면 그 작업물(5)의 진입을 감지하여 유압클램프(22)가 클램핑 작동을 한다. 미설명부호 28은 펀치(6)에 의한 천공 작업 후, 작업물(5)이 함께 따라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름판이다
받침대(8)에 적층된 작업물(5)이 상기와 같은 공정 순서로 천공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한 받침대(8)에 적층된 작업물(5)이 전부 배출되면, 받침대(8)에 설치된 센서(31)가 이를 감지한다. 센서(31)는 하중 감지 센서로, 예를 들어 센서 상부에 돌출된 부재가 형성되어 있어서, 작업물(5)에 의한 하중을 감지하지 않으면 작업물(5)이 전부 배출되었음을 감지하여 받침대(8)가 하강하도록 작동된다
도 2 는 도 1 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펀칭작업 완료된 작업물(5)은 적재장치(40)로 이송된다
즉, 도 1 에 도시한 유압클램프(22)로 작업물(5)을 물은 상태에서 펀칭 작업 완료된 작업물(5)은 도 1 의 도면의 배면으로 즉, 도 1 의 우측면도인 도 3 (장치의 정면도)의 우측으로 이송되어 유압클램프(22)의 물림을 해제하여 적재다이(41) 위에 하나씩 적층된다
작업물(5)이 하나씩 적층될때 마다 적재다이(41)는 그 작업물(5)의 두께만큼 하나씩 점차 하강한다. 적재다이(41)는 도 1 에 도시한 받침대(8)의 작동과 연계하여 받침대(8)가 작업물(5)의 두께 만큼 일정 높이 상승될때 마다 그 반대로 적재다이(41)는 일정 높이 하강하게 구성한다. 그 작동에 필요한 부품과 동작 원리는 도 1 에 도시한 공급장치(7)의 구성과 원리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3 은 도 1 의 우측면도, 즉 장치의 정면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물의 펀칭을 위한 상부금형(43)과 하부금형(44)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 우측으로는 적재장치(40)가 구성된다
또한 유압클램프(22)를 전후 좌우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가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서보모터(26)와 그의 동력을 전동 받아 회전하는 전후볼스크류(24)가 정면에 구성되고 그 우측으로는 좌우볼스크류(23)에 의하여 유압 클램가 좌우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좌우볼스크류(23)는 별도의 좌우볼스크류모터(46)에 의하여 회전 작동된다
다시말해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유압클램프(22)가 도 3 의 위치에서 좌우 전후 이동한다. 왜냐하면 펀치(6)의 펀칭 작업은 고정된 위치에서 이루어지므로 작업물(5)에 여러 개의 구멍을 뚫고자 할 경우에는 유압클램프(22)로 작업물(5)을 물은 상태에서 좌우 전후로 이동해 가면서 펀칭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한 전후, 좌우 이송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배면도이고,
도 3 은 도 1 의 우측면도이다

Claims (4)

  1. 상부금형 및 하부 금형을 갖추고 그 사이에 펀칭하고자 하는 작업물을 올려 놓고 펀치(6)로 펀칭 작업하는 펀칭머신에서 작업물을 연속 공급하기 위한 펀칭머신 푸시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펀치의 측부에 펀칭하고자 하는 작업물(5)을 적층한 공급장치(7)와,
    상기한 공급장치(7)의 상부로 올라온 작업물(5)을 하나씩 펀치로 공급하는 작업물 푸시장치와,
    상기한 작업물 공급장치(7) 상부에 설치되고 작업물(5)이 올라오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14)를 갖춘 높이조절장치(20)를 포함하되,
    상기한 높이조절장치(20)는, 상기한 센서(14)와 연결되며 몸체에 나사산을 구성한 축(17)과, 축(17)에 연결한 핸들(16)을 포함하여, 핸들(16)의 회전에 따라 축(17)이 회전하면 센서(14)가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머신 푸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급장치(7)는,
    모터(11)와,
    모터(11)의 동력을 전동 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2)과,
    회전축(12)의 회전을 전달 받는 베벨기어(10)와,
    베벨기어(10)의 회전으로 동력 전달 받는 스크류(9)와,
    스크류(9)의 양단에 설치되고 작업물(5)을 적층할 수 있게 구성한 받침대(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머신 푸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업물 푸시장치는,
    에어실린더(1)와,
    에어실린더(1)의 동력을 전달 받아 전후진 하는 피스톤(2)과,
    피스톤(2)의 선단에 구성한 푸셔(3)와,
    푸셔(3)의 선단에 구성한 푸셔헤드(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머신 푸시 장치
  4. 삭제
KR1020080009365A 2008-01-30 2008-01-30 펀칭머신 푸시장치 KR100843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365A KR100843740B1 (ko) 2008-01-30 2008-01-30 펀칭머신 푸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365A KR100843740B1 (ko) 2008-01-30 2008-01-30 펀칭머신 푸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3740B1 true KR100843740B1 (ko) 2008-07-04

Family

ID=39823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365A KR100843740B1 (ko) 2008-01-30 2008-01-30 펀칭머신 푸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7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683B1 (ko) 2006-03-23 2013-03-28 (주)다진기업 소재 자동 공급 장치
CN106003785A (zh) * 2016-05-30 2016-10-12 湖州机床厂有限公司 一种精冲液压机及精冲液压机控制方法
CN108972670A (zh) * 2018-07-17 2018-12-11 刘道灵 一种鱼豆腐加工用自动切块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8047U (ko) 1984-10-08 1986-05-09
JPS61119554U (ko) * 1985-01-10 1986-07-28
JPH02127326A (ja) * 1988-11-02 1990-05-16 Dainippon Printing Co Ltd 枚葉機給紙部の用紙高さ位置制御装置
JPH0922916A (ja) * 1995-07-05 1997-01-21 Sumitomo Kinzoku Electro Device:Kk 縦型マガジン内に積み重ね収納した半田付きリッドの取り出し装置
JP2000001300A (ja) 1998-06-16 2000-01-07 Uchida Seihon Kako:Kk 昇降機のテーブル昇降制御装置
JP2000344359A (ja) 1999-06-01 2000-12-12 Riso Kagaku Corp 給紙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8047U (ko) 1984-10-08 1986-05-09
JPS61119554U (ko) * 1985-01-10 1986-07-28
JPH02127326A (ja) * 1988-11-02 1990-05-16 Dainippon Printing Co Ltd 枚葉機給紙部の用紙高さ位置制御装置
JPH0922916A (ja) * 1995-07-05 1997-01-21 Sumitomo Kinzoku Electro Device:Kk 縦型マガジン内に積み重ね収納した半田付きリッドの取り出し装置
JP2000001300A (ja) 1998-06-16 2000-01-07 Uchida Seihon Kako:Kk 昇降機のテーブル昇降制御装置
JP2000344359A (ja) 1999-06-01 2000-12-12 Riso Kagaku Corp 給紙制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683B1 (ko) 2006-03-23 2013-03-28 (주)다진기업 소재 자동 공급 장치
CN106003785A (zh) * 2016-05-30 2016-10-12 湖州机床厂有限公司 一种精冲液压机及精冲液压机控制方法
CN108972670A (zh) * 2018-07-17 2018-12-11 刘道灵 一种鱼豆腐加工用自动切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925B1 (ko) 펀칭머신의 작업물 이송 적재 장치
CN103817354B (zh) 一种加工管件的前送料数控机床
CN106564111A (zh) 一种装饰板加工安装设备及其加工方法
KR100843740B1 (ko) 펀칭머신 푸시장치
CN210549821U (zh) 一种自动化阶梯轴打孔装置
KR100753201B1 (ko) 로봇 플라즈마 절단장치
CN105081458B (zh) 用于锯切金属工件的锯机
KR101308670B1 (ko) 다목적 형강가공기
CN209748907U (zh) 一种拆解装置
KR200479453Y1 (ko) 포밍용 성형장치
CN205702537U (zh) 水泵溢水孔加工设备
CN104260155A (zh) 一种带有止逆器的木工刨床
CN109434482B (zh) 端板与裙板加工流水线
KR101350443B1 (ko) 프레스가공 소재공급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03434A (ko) 더블 펀칭기
CN217095247U (zh) 一种具有推废料功能的工件冲孔机构
KR100566545B1 (ko) 비닐원단의 펀칭/이송장치
EP046923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holes in wood board or the like
CN110961688B (zh) 夹体中心孔钻机
CN105665774A (zh) 一种自动打孔设备
KR101306178B1 (ko) 자동공급장치가 구비된 수차식 가공기
CN111974892A (zh) 一种冲压机床的自动送料装置
CN104960840A (zh) 焊接板输送线系统
CN210548169U (zh) 一种车床的短料检测装置
CN210614905U (zh) 冲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