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210B1 - 저항 메모리 소자 및 데이터 기입 방법 - Google Patents

저항 메모리 소자 및 데이터 기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210B1
KR100843210B1 KR1020060107946A KR20060107946A KR100843210B1 KR 100843210 B1 KR100843210 B1 KR 100843210B1 KR 1020060107946 A KR1020060107946 A KR 1020060107946A KR 20060107946 A KR20060107946 A KR 20060107946A KR 100843210 B1 KR100843210 B1 KR 100843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ive memory
row
high level
cell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0249A (ko
Inventor
조우영
김두응
강상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7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210B1/ko
Priority to US11/844,511 priority patent/US7859882B2/en
Publication of KR20080040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4Word line organisation; Word line lay-o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23Address circuits or deco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23Address circuits or decoders
    • G11C13/0028Word-line or row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69Writing or programm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9Array wherein the access device being a tran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항 메모리 소자는 M 행의 워드 라인(word line)들, N 열의 비트 라인(bit line)들,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local source line)들 및 M 행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들을 구비한다. 상기 저항 메모리 셀들 각각은, 제 1 전극이 대응되는 비트 라인에 연결되는 저항 가변 소자 및 제 1 단자가 상기 저항 가변 소자의 제 2 전극에 연결되고 제 2 단자가 대응되는 로컬 소스 라인에 연결되며 제어 단자가 대응되는 워드 라인에 연결되는 셀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어느 1 행의 로컬 소스 라인은 이웃하는 2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의 제 2 단자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저항 메모리 소자, 저항 가변체, 양방향, 로컬 소스 라인

Description

저항 메모리 소자 및 데이터 기입 방법{Resistiv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writing data on the sam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는 저항 메모리 소자의 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저항 메모리 셀의 등가 모델이다.
도 2는 양방향성 저항 가변체의 저항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단방향성(uni-directional) 저항 메모리 소자의 셀 어레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양방향성(bi-directional) 저항 메모리 소자의 셀 어레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항 메모리 소자의 셀 어레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항 메모리 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항 메모리 소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저항 메모리 소자 및 데이터 기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 행의 로컬 소스 라인이 이웃하는 2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저항 메모리 소자 및 그 저항 메모리 소자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메모리 소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의 고집적성, FLASH 메모리의 비휘발성, SRAM(Static RAM)의 고속성 등을 갖출 것을 요구받고 있다. 현재 차세대 메모리 소자로 거론되고 있는 메모리 소자로서는 PRAM(Phase change RAM), NFGM(Nano Floating Gate Memory), PoRAM(Polymer RAM), MRAM(Magnetic RAM), FeRAM(Ferroelectric RAM), RRAM(Resistive RAM) 등이 있다. 이 중에서 RRAM은 저항 가변 소자의 저항값 변화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입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이다.
도 1a는 저항 메모리 소자의 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저항 메모리 셀의 등가 모델이다. 저항 메모리 셀은 도 1b의 <A>와 같이 표시되기도 하고 도 1b의 <B>와 같이 표시되기도 한다.
저항 메모리 셀은 1 개의 저항 가변 소자와 1 개의 셀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저항 가변 소자는 제 1 전극(상부 전극 TE: Top Electrode)과 제 2 전극(하부 전극 BE: Bottom Electrode) 사이에 저항 가변체(Resistance variable substance)를 구비한다. 셀 트랜지스터는 제 1 단자(DRAIN), 제 2 단자(SOURCE) 및 제어 단자(GATE)를 구비한다. 저항 가변 소자의 제 1 전극(TE)은 비트 라인 연결 단 자(BCT)를 통하여 대응되는 비트 라인(미도시)에 연결된다. 셀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자(SOURCE)는 공통 단자(COM)에 연결된다.
저항 가변 소자에 구비되는 저항 가변체(Resistance variable substance)는 인가되는 전압(VR) 또는 전류(IR)에 따라서 저항값이 변화한다. 단방향성(uni-directional) 저항 가변체는 인가되는 전압(VR) 또는 전류(IR)의 크기에 따라서 저항값이 변화하며, 양방향성(bi-directional) 저항 가변체는 인가되는 전압(VR) 또는 전류(IR)의 크기와 인가되는 전압(VR) 또는 전류(IR)의 방향에 따라서 저항값이 변화한다.
도 2는 양방향성 저항 가변체의 저항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가로축은 저항 가변체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VR)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저항 가변체의 저항값(R)을 나타낸다. 도 2에서 α와 β는 어느 저항 가변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제 1 저항값(R1)을 갖는 상태의 저항 가변체의 양단에 +βV 이상의 전압(VR)을 인가하면 저항 가변체는 제 2 저항값(R2)을 갖는 상태로 변화한다. 반대로, 제 2 저항값(R2)을 갖는 상태의 저항 가변체의 양단에 -αV 이하의 전압(VR)을 인가하면 저항 가변체는 제 1 저항값(R1)을 갖는 상태로 변화한다. 이와 같이, 저항 가변체에 인가되는 전압(VR) 또는 전류(IR)의 크기와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저항 가변체에 하이 레벨 데이터 또는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저항 값(R1)을 갖는 상태는 하이 레벨 데이터가 기입된 상태에 대응될 수 있고, 제 2 저항값(R2)을 갖는 상태는 로우 레벨 데이터가 기입된 상태에 대응될 수 있다.
도 3a는 단방향성(uni-directional) 저항 메모리 소자의 셀 어레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양방향성(bi-directional) 저항 메모리 소자의 셀 어레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는 제 1 비트 라인(BL1) 내지 제 4 비트 라인(BL4), 제 1 워드 라인(WL1) 내지 제 4 워드 라인(WL4) 및 4 행 4 열의 저항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는 단방향성 저항 메모리 소자가 도시되어 있다. 각 저항 메모리 셀들의 공통 단자들(예컨대, COM41, COM42, ...)은 필요에 따라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b에는 제 1 비트 라인(BL1) 내지 제 4 비트 라인(BL4), 제 1 워드 라인(WL1) 내지 제 4 워드 라인(WL4), 제 1 소스 라인(SL1) 내지 제 4 소스 라인(SL4) 및 4 행 4 열의 저항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는 양방향성 저항 메모리 소자가 도시되어 있다. 어느 1 행의 워드 라인을 활성화시켜 대응되는 셀 트랜지스터들을 턴 온 시키고, 대응되는 비트 라인과 대응되는 소스 라인에 전압을 인가하여 하이 레벨 데이터 또는 로우 레벨 데이터를 저항 메모리 셀에 기입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셀 어레이 구조 외에도 다양한 셀 어레이 구조에 관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방안들은 모두 저항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를 높여 대용량의 저항 메모리 소자를 제공하려는 방안들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집적 대용량의 구현에 적합한 셀 어레이 구조를 갖는 저항 메모 리 소자 및 그 저항 메모리 소자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항 메모리 소자는 M 행의 워드 라인(word line)들, N 열의 비트 라인(bit line)들,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local source line)들 및 M 행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들을 구비한다. 상기 저항 메모리 셀들 각각은, 제 1 전극이 대응되는 비트 라인에 연결되는 저항 가변 소자 및 제 1 단자가 상기 저항 가변 소자의 제 2 전극에 연결되고 제 2 단자가 대응되는 로컬 소스 라인에 연결되며 제어 단자가 대응되는 워드 라인에 연결되는 셀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어느 1 행의 로컬 소스 라인은 이웃하는 2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의 제 2 단자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컬 소스 라인에는 상기 제 1 하이 레벨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비트 라인에는 상기 로우 레벨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다. 상기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셀 단위(저항 메모리 셀 1 개 단위), 행 단위(저항 메모리 셀 N 개 단위) 또는 블럭 단위(저항 메모리 셀 M×N 개 단위)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컬 소스 라인에는 상기 로우 레벨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비트 라인에는 상기 제 2 하이 레벨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저항 메모리 셀에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다. 상기 저항 메모리 셀에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셀 단위(저항 메모리 셀 1 개 단위)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행 단위(저항 메모리 셀 N 개 단위) 또는 블럭 단위(저항 메모리 셀 M×N 개 단위)로 실행되고, 상기 저항 메모리 셀에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셀 단위(저항 메모리 셀 1 개 단위)로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이 상기 저항 메모리 셀에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보다 먼저 실행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이 레벨 전압의 전위는 상기 제 2 하이 레벨 전압의 전위보다 낮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메모리 소자는 상기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들 각각에 연결되는 M/2 개의 인버터(inverter)들 및 상기 M/2 개의 인버터들 각각에 연결되는 M/2 개의 글로벌 소스 라인(global source line)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M/2 개의 인버터들 각각은, 대응되는 글로벌 소스 라인의 전압에 응답하여 제 1 하이 레벨 전압을 상기 로컬 소스 라인으로 전달하는 하이 레벨 트랜지스터 및 대응되는 글로벌 소스 라인의 전압에 응답하여 로우 레벨 전압을 상기 로컬 소스 라인으로 전달하는 로우 레벨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제 m(m은 1~M 중에서 임의의 자연수) 행 제 n(n은 1~N 중에서 임의의 자연수) 열의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 또는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경우에, 제 m 행의 워드 라인, 제 n 열의 비트 라인, 제 m/2[m이 홀수인 경우에는 (m+1)/2] 행의 로컬 소스 라인, 제 m/2[m이 홀수인 경우에는 (m+1)/2] 번째 인버터 및 제 m/2[m이 홀수인 경 우에는 (m+1)/2] 번째 글로벌 소스 라인이 관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항 메모리 소자는 상기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들 모두와 연결되는 1 개의 인버터(inverter) 및 상기 1 개의 인버터와 연결되는 1 개의 글로벌 소스 라인(global source line)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1 개의 인버터는, 상기 1 개의 글로벌 소스 라인의 전압에 응답하여 제 1 하이 레벨 전압을 상기 로컬 소스 라인으로 전달하는 하이 레벨 트랜지스터 및 상기 1 개의 글로벌 소스 라인의 전압에 응답하여 로우 레벨 전압을 상기 로컬 소스 라인으로 전달하는 로우 레벨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제 m(m은 1~M 중에서 임의의 자연수) 행 제 n(n은 1~N 중에서 임의의 자연수) 열의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 또는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경우에, 제 m 행의 워드 라인, 제 n 열의 비트 라인, 상기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들, 상기 1 개의 인버터 및 상기 1 개의 글로벌 소스 라인이 관여한다.
M 행의 워드 라인들, N 열의 비트 라인들,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들 및 대응되는 비트 라인에 연결된 저항 가변 소자와 대응되는 로컬 소스 라인에 연결된 셀 트랜지스터를 각각 구비하는 M 행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입 방법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특징을 구비한다.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어느 1 행의 워드 라인을 활성화시켜 대응되는 셀 트랜지스터들을 턴 온 시키고, 이웃하는 2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어느 1 행의 로컬 소스 라인에는 제 1 하이 레벨 전압을 인가하며, 데이터를 기입시키고자 하는 저항 가변 소 자에 연결된 비트 라인에는 로우 레벨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실행된다.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어느 1 행의 워드 라인을 활성화시켜 대응되는 셀 트랜지스터들을 턴 온 시키고, 데이터를 기입시키고자 하는 저항 가변 소자에 연결된 비트 라인에는 제 2 하이 레벨 전압을 인가하며, 이웃하는 2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어느 1 행의 로컬 소스 라인에는 로우 레벨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입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행 단위(저항 메모리 셀 N 개 단위) 또는 블럭 단위(저항 메모리 셀 M×N 개 단위)로 실행되고 상기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셀 단위(저항 메모리 셀 1 개 단위)로 실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이 상기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보다 먼저 실행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항 메모리 소자의 셀 어레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는 M 행의 워드 라인들[WL1, WL2, ..., WL(M-1), WLM], N 열의 비트 라인들[BL1, BL2, ..., BL(N-1), BLN],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들[LSL12, LSL34, LSL56, ..., LSL(M-1)M] 및 M 행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저항 메모리 셀들 각각은 저항 가변 소자와 셀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저항 가변 소자의 제 1 전극은 대응되는 비트 라인[BLn]에 연결되고, 저항 가변 소자의 제 2 전극은 셀 트랜지스터에 연결된다. 셀 트랜지스터의 제 1 단자는 저항 가변 소자의 제 2 전극에 연결되고, 셀 트랜지스터의 제 2 단자는 대응되는 로컬 소스 라인[m이 짝수인 경우에는 LSL(m-1)m, m이 홀수인 경우에는 LSLm(m+1)]에 연결되며, 셀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는 대응되는 워드 라인[WLm]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m(m은 1~M 중에서 임의의 자연수) 행의 워드 라인[WLm]은 대응되는 제 m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의 제어 단자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되고, 제 n(n은 1~N 중에서 임의의 자연수) 열의 비트 라인[BLn]은 대응되는 제 n 열의 저항 가변 소자들의 제 1 전극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항 메모리 소자에서는, 어느 1 행의 로컬 소스 라인이 이웃하는 2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의 제 2 단자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즉, m이 짝수인 경우에, 제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은 제 m-1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의 제 2 단자들과 제 m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의 제 2 단자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m이 홀수인 경우에, 제 (m+1)/2 행의 로컬 소스 라인은 제 m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의 제 2 단자들과 제 m+1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의 제 2 단자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항 메모리 소자에서는 어느 1 행의 로컬 소스 라인이 이웃하는 2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의 제 2 단자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저항 메모리 소자는 도 3b에 도시된 저항 메모리 소자에 비하여 집 적도가 높으며,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셀 어레이 구조는 대용량의 저항 메모리 소자에 적합한 셀 어레이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저항 메모리 셀들에 하이 레벨 데이터 또는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과정을 살펴 본다.
제 m 행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과정에서, 제 m 행의 워드 라인[WLm]을 활성화시켜 제 m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을 턴 온 시키고, 대응되는 로컬 소스 라인[m이 짝수인 경우에는 LSL(m-1)m, m이 홀수인 경우에는 LSLm(m+1)]에는 제 1 하이 레벨 전압(예컨대, 도 2를 참고할 때 |-α|V) 또는 로우 레벨 전압(예컨대, 접지 전압)을 인가하며, 대응되는 비트 라인[BLn]에는 로우 레벨 전압(예컨대, 접지 전압) 또는 제 2 하이 레벨 전압(예컨대, 도 2를 참고할 때 |+β|V)을 인가한다.
구체적으로, 제 m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을 턴 온 시키고 대응되는 로컬 소스 라인[m이 짝수인 경우에는 LSL(m-1)m, m이 홀수인 경우에는 LSLm(m+1)]에는 제 1 하이 레벨 전압(예컨대, 도 2를 참고할 때 |-α|V)을 인가하며 대응되는 비트 라인[BLn]에는 로우 레벨 전압(예컨대, 접지 전압)을 인가하는 동작을, 제 m 행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서는 제 m 행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의 양단에 -αV가 인가되므로, 제 m 행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은 제 1 저항값(도 2에서의 R1)을 갖는 상태로 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저항 메모리 셀이 제 1 저항값(도 2에서의 R1)을 갖는 상태를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가 기입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한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엄밀하게 설명하자면, 셀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Vth)을 고려할 때 저항 가변체의 양단에 -αV 이상의 전압(VR)이 인가되려면, 제 1 하이 레벨 전압은 [ |-α|+ Vth ] V 이상의 전위를 가져야 한다.
그리고, 제 m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을 턴 온 시키고 대응되는 로컬 소스 라인[m이 짝수인 경우에는 LSL(m-1)m, m이 홀수인 경우에는 LSLm(m+1)]에는 로우 레벨 전압(예컨대, 접지 전압)을 인가하며 대응되는 비트 라인[BLn]에는 제 2 하이 레벨 전압(예컨대, 도 2를 참고할 때 +βV)을 인가하는 동작을, 제 m 행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에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서는 제 m 행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의 양단에 +βV가 인가되므로, 제 m 행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은 제 2 저항값(도 2에서의 R2)을 갖는 상태로 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저항 메모리 셀이 제 2 저항값(도 2에서의 R2)을 갖는 상태를 저항 메모리 셀에 로우 레벨 데이터가 기입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엄밀하게 설명하자면, 셀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Vth)을 고려할 때 저항 가변체의 양단에 +βV 이상의 전압(VR)이 인가되려면, 제 2 하이 레벨 전압은 [ β + Vth ] V 이상의 전위를 가져야 한다.
물론, 위의 설명과는 반대로, 저항 메모리 셀이 제 1 저항값(도 2에서의 R1)을 갖는 상태를 저항 메모리 셀에 로우 레벨 데이터가 기입된 상태로 설정하고 저항 메모리 셀이 제 2 저항값(도 2에서의 R2)을 갖는 상태를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가 기입된 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저항 메모리 셀이 제 1 저항값(도 2에서의 R1)을 갖는 상태를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가 기입된 상태로 설정하고 저항 메모리 셀이 제 2 저항값(도 2에서의 R2)을 갖는 상태를 저항 메모리 셀에 로우 레벨 데이터가 기입된 상태로 설정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셀 단위(저항 메모리 셀 1 개 단위), 행 단위(저항 메모리 셀 N 개 단위) 또는 블럭 단위(저항 메모리 셀 M×N 개 단위)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저항 메모리 셀에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셀 단위(저항 메모리 셀 1 개 단위)로 실행될 수 있다.
셀 단위(저항 메모리 셀 1 개 단위)로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경우에는, 제 m 행 제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하여, 제 m 행의 워드 라인[WLm]을 활성화시켜 제 m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을 턴 온 시키고, 대응되는 로컬 소스 라인[m이 짝수인 경우에는 LSL(m-1)m, m이 홀수인 경우에는 LSLm(m+1)]에는 제 1 하이 레벨 전압(앞서 설명하였듯이, |-α|+ Vth )을 인가하며, 대응되는 비트 라인[BLn]에는 로우 레벨 전압(예컨대, 접지 전압)을 인가한다.
행 단위(저항 메모리 셀 N 개 단위)로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경우에는, 제 m 행의 저항 메모리 셀들에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하여, 제 m 행의 워드 라인[WLm]을 활성화시켜 제 m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을 턴 온 시키고, 대응되는 로컬 소스 라인[m이 짝수인 경우에는 LSL(m-1)m, m이 홀수인 경우에는 LSLm(m+1)]에는 제 1 하이 레벨 전압(앞서 설명하였듯이, |-α|+ Vth )을 인가하 며, 제 1 열의 비트 라인(BL1) 내지 제 N 열의 비트 라인(BLN)에는 모두 로우 레벨 전압(예컨대, 접지 전압)을 인가한다. 또는, 제 m 행의 저항 메모리 셀들 중에서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시키고자 하는 특정 저항 메모리 셀들에 대응되는 비트 라인들에만 로우 레벨 전압(예컨대, 접지 전압)을 인가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 m 행의 저항 메모리 셀들 중에서 특정 저항 메모리 셀들에만 하이 레벨 데이터가 기입된다.
블럭 단위(저항 메모리 셀 M×N 개 단위)로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경우에는, M×N 개의 저항 메모리 셀들 모두에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하여, 제 1 행의 워드 라인(WL1) 내지 제 M 행의 워드 라인(WLM)을 활성화시켜 M×N 개의 셀 트랜지스터들을 모두 턴 온 시키고, 제 1 행의 로컬 소스 라인[LSL12] 내지 제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LSL(M-1)M]에는 모두 제 1 하이 레벨 전압(앞서 설명하였듯이, |-α|+ Vth )을 인가하며, 제 1 열의 비트 라인(BL1) 내지 제 N 열의 비트 라인(BLN)에는 모두 로우 레벨 전압(예컨대, 접지 전압)을 인가한다.
셀 단위(저항 메모리 셀 1 개 단위)로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경우에는, 제 m 행 제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에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하여, 제 m 행의 워드 라인[WLm]을 활성화시켜 제 m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을 턴 온 시키고, 대응되는 로컬 소스 라인[m이 짝수인 경우에는 LSL(m-1)m, m이 홀수인 경우에는 LSLm(m+1)]에는 로우 레벨 전압(예컨대, 접지 전압)을 인가하며, 대응되는 비트 라인[BLn]에는 제 2 하이 레벨 전압(앞서 설명하였듯이, β + Vth )을 인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행 단위(저항 메모리 셀 N 개 단위) 또는 블럭 단위(저항 메모리 셀 M×N 개 단위)로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의 소거(erase) 동작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행 단위(저항 메모리 셀 N 개 단위) 또는 블럭 단위(저항 메모리 셀 M×N 개 단위)로 실행되고 저항 메모리 셀에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셀 단위(저항 메모리 셀 1 개 단위)로 실행되는 경우에는,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이 저항 메모리 셀에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보다 먼저 실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행 단위 또는 블럭 단위로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을 실행한 후 셀 단위로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것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블럭(block) 단위로 소거(erase) 동작을 실행한 후 페이지(page) 단위로 프로그램(program) 동작을 실행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제까지의 설명에서와는 반대로, |+β|V를 로컬 소스 라인에 인가하여 하이 레벨 데이터를 저항 메모리 셀에 기입하고 |-α|V를 비트 라인에 인가하여 로우 레벨 데이터를 저항 메모리 셀에 기입하는 방안도 가능하다. 그러나, 도 2에서 |-α|< |+β|이므로, |-α|V를 로컬 소스 라인에 인가하여 하이 레벨 데이터를 저항 메모리 셀에 기입하고 |+β|V를 비트 라인에 인가하여 로우 레벨 데이터를 저항 메모리 셀에 기입하는 방안이 소비 전력의 절감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 메모리 소자의 셀 어레이 구조에서는, 어느 1 행의 로컬 소스 라인이 이웃하는 2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의 제 2 단자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로컬 소스 라인에 인가되는 제 1 하이 레벨 전압의 전위가 비트 라인에 인가되는 제 2 하이 레벨 전압의 전위보다 낮도록 설정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항 메모리 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는 M 행의 워드 라인들[WL1, WL2, ..., WL(M-1), WLM], N 열의 비트 라인들[BL1, BL2, ..., BL(N-1), BLN], M 행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들,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local source line)들[LSL12, LSL34, LSL56, ..., LSL(M-1)M], M/2 개의 인버터들 및 M/2 개의 글로벌 소스 라인(global source line)들[GSL12, GSL34, GSL56, ..., GSL(M-1)M]이 도시되어 있다.
M/2 개의 인버터들 각각은 대응되는 로컬 소스 라인과 대응되는 글로벌 소스 라인에 연결된다. M/2 개의 인버터들 각각은 하이 레벨 트랜지스터와 로우 레벨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하이 레벨 트랜지스터는 대응되는 글로벌 소스 라인의 전압에 응답하여 제 1 하이 레벨 전압( Va = |-α|+ Vth )을 대응되는 로컬 소스 라인으로 전달한다. 로우 레벨 트랜지스터는 대응되는 글로벌 소스 라인의 전압에 응답하여 로우 레벨 전압(Vg. 예컨대, 접지 전압)을 로컬 소스 라인으로 전달한다. 제 m/2 번째 인버터는 글로벌 소스 라인 GSL(m-1)m의 전압에 응답하여 로컬 소스 라인 LSL(m-1)m을 구동하는 드라이버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도 5a에서, 제 m(m은 1~M 중에서 임의의 자연수) 행 제 n(n은 1~N 중에서 임의의 자연수) 열의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 또는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경우에는, 제 m 행의 워드 라인 WLm, 제 n 열의 비트 라인 BLn, 제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 LSL(m-1)m [m이 홀수인 경우에는 제 (m+1)/2 행의 로컬 소스 라인 LSLm(m+1)], 제 m/2 번째 인버터 [m이 홀수인 경우에는 제 (m+1)/2 번째 인버터] 및 제 m/2 번째 글로벌 소스 라인 GSL(m-1)m [m이 홀수인 경우에는 제 (m+1)/2 번째 글로벌 소스 라인 GSLm(m+1)]이 관여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항 메모리 소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에는 M 행의 워드 라인들[WL1, WL2, ..., WL(M-1), WLM], N 열의 비트 라인들[BL1, BL2, ..., BL(N-1), BLN], M 행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들, 서로 연결된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들[LSL12, LSL34, LSL56, ..., LSL(M-1)M], 1 개의 인버터 및 1 개의 글로벌 소스 라인(GSL)이 도시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된 인버터는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들[LSL12, LSL34, LSL56, ..., LSL(M-1)M]과 글로벌 소스 라인(GSL)에 연결된다. 상기 인버터는, 글로벌 소스 라인(GSL)의 전압에 응답하여 제 1 하이 레벨 전압( Va = |-α|+ Vth )을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들[LSL12, LSL34, LSL56, ..., LSL(M-1)M]로 전달하는 하이 레벨 트랜지스터 및 글로벌 소스 라인(GSL)의 전압에 응답하여 로우 레벨 전압(Vg. 예컨대, 접지 전압)을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들[LSL12, LSL34, LSL56, ..., LSL(M-1)M]로 전달하는 로우 레벨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상기 인버터는 글로벌 소스 라인(GSL)의 전압에 응답하여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들[LSL12, LSL34, LSL56, ..., LSL(M-1)M]을 구동하는 드라이버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도 5b에서, 제 m(m은 1~M 중에서 임의의 자연수) 행 제 n(n은 1~N 중에서 임 의의 자연수) 열의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 또는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경우에는, 제 m 행의 워드 라인 WLm, 제 n 열의 비트 라인 BLn,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들[LSL12, LSL34, LSL56, ..., LSL(M-1)M], 상기 1 개의 인버터 및 상기 1 개의 글로벌 소스 라인(GSL)이 관여한다.
전체의 로컬 소스 라인들이 일괄적으로 구동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구동되므로, 도 5a에 도시된 저항 메모리 소자는 도 5b에 도시된 저항 메모리 소자에 비하여 낮은 전력을 소비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M/2 개의 인버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1 개의 인버터만을 필요로 하므로, 도 5b에 도시된 저항 메모리 소자는 도 5a에 도시된 저항 메모리 소자에 비하여 높은 집적도를 갖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즉, 저전력 소비라는 목적의 측면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저항 메모리 소자가 우수하고, 고집적도라는 목적의 측면에서는 도 5b에 도시된 저항 메모리 소자가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방법 발명의 측면에서 파악될 수도 있다. 즉, M 행의 워드 라인들[WL1, WL2, ..., WL(M-1), WLM], N 열의 비트 라인들[BL1, BL2, ..., BL(N-1), BLN],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들[LSL12, LSL34, LSL56, ..., LSL(M-1)M] 및 대응되는 비트 라인[BLn]에 연결된 저항 가변 소자와 대응되는 로컬 소스 라인[LSL(m-1)m 또는 LSLm(m+1)]에 연결된 셀 트랜지스터를 각각 구비하는 M 행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입 방법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특징을 구비한다.
먼저, 제 m 행 제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 작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제 m 행의 워드 라인(WLm)을 활성화시켜 대응되는 셀 트랜지스터들을 턴 온 시킨다. 이웃하는 2 행[m이 짝수인 경우에는 제 m-1 행과 제 m 행, m이 홀수인 경우에는 제 m 행과 제 m+1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로컬 소스 라인[m이 짝수인 경우에는 LSL(m-1)m, m이 홀수인 경우에는 LSLm(m+1)]에는 제 1 하이 레벨 전압( Va = |-α|+ Vth )을 인가한다. 데이터를 기입시키고자 하는 저항 가변 소자에 연결된 비트 라인(BLn)에는 로우 레벨 전압(예컨대, 접지 전압 Vg)을 인가한다.
다음으로, 제 m 행 제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에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제 m 행의 워드 라인(WLm)을 활성화시켜 대응되는 셀 트랜지스터들을 턴 온 시킨다. 데이터를 기입시키고자 하는 저항 가변 소자에 연결된 비트 라인(BLn)에는 제 2 하이 레벨 전압(|+β|+ Vth )을 인가한다. 이웃하는 2 행[m이 짝수인 경우에는 제 m-1 행과 제 m 행, m이 홀수인 경우에는 제 m 행과 제 m+1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로컬 소스 라인[m이 짝수인 경우에는 LSL(m-1)m, m이 홀수인 경우에는 LSLm(m+1)]에는 로우 레벨 전압(예컨대, 접지 전압 Vg)을 인가한다.
본 발명에서는 어느 1 행의 로컬 소스 라인이 이웃하는 2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로컬 소스 라인에 인가되는 제 1 하이 레벨 전압의 전위가 비트 라인에 인가되는 제 2 하이 레벨 전압의 전위보다 낮도록 설정하는 것이 소비 전력의 절감 측면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입 방법에 있어서,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셀 단위(저항 메모리 셀 1 개 단위), 행 단위(저항 메모리 셀 N 개 단위) 또는 블럭 단위(저항 메모리 셀 M×N 개 단위)로 실행될 수 있고,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셀 단위(저항 메모리 셀 1 개 단위)로 실행될 수 있다.
특히,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행 단위(저항 메모리 셀 N 개 단위) 또는 블럭 단위(저항 메모리 셀 M×N 개 단위)로 실행되고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셀 단위(저항 메모리 셀 1 개 단위)로 실행되는 경우에는,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이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보다 먼저 실행된다.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 및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 메모리 소자의 셀 어레이 구조에서는 어느 1 행의 로컬 소스 라인이 이웃하는 2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저항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20)

  1. M 행의 워드 라인(word line)들;
    N 열의 비트 라인(bit line)들;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local source line)들; 및
    M 행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며,
    상기 저항 메모리 셀들 각각은,
    제 1 전극이 대응되는 비트 라인에 연결되는 저항 가변 소자; 및
    제 1 단자가 상기 저항 가변 소자의 제 2 전극에 연결되고 제 2 단자가 대응되는 로컬 소스 라인에 연결되며 제어 단자가 대응되는 워드 라인에 연결되는 셀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들 중에서 어느 1 행의 로컬 소스 라인은 이웃하는 2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의 제 2 단자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m(m은 1~M 중에서 임의의 자연수) 행의 워드 라인은 대응되는 제 m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의 제어 단자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되고,
    제 n(n은 1~N 중에서 임의의 자연수) 열의 비트 라인은 대응되는 제 n 열의 저항 가변 소자들의 제 1 전극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트랜지스터를 턴 온 시킨 상태에서 상기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 또는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경우에,
    상기 로컬 소스 라인에는 제 1 하이 레벨 전압 또는 로우 레벨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비트 라인에는 상기 로우 레벨 전압 또는 제 2 하이 레벨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이 레벨 전압의 전위는 상기 제 2 하이 레벨 전압의 전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소스 라인에는 상기 제 1 하이 레벨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비트 라인에는 상기 로우 레벨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셀 단위(저항 메모리 셀 1 개 단위), 행 단위(저항 메모리 셀 N 개 단위) 또 는 블럭 단위(저항 메모리 셀 M×N 개 단위)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소스 라인에는 상기 로우 레벨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비트 라인에는 상기 제 2 하이 레벨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저항 메모리 셀에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메모리 셀에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셀 단위(저항 메모리 셀 1 개 단위)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행 단위(저항 메모리 셀 N 개 단위) 또는 블럭 단위(저항 메모리 셀 M×N 개 단위)로 실행되고, 상기 저항 메모리 셀에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셀 단위(저항 메모리 셀 1 개 단위)로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이 상기 저항 메모리 셀에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보다 먼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들 각각에 연결되는 M/2 개의 인버터(inverter)들; 및
    상기 M/2 개의 인버터들 각각에 연결되는 M/2 개의 글로벌 소스 라인(global source line)들;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M/2 개의 인버터들 각각은,
    대응되는 글로벌 소스 라인의 전압에 응답하여 제 1 하이 레벨 전압을 상기 로컬 소스 라인으로 전달하는 하이 레벨 트랜지스터; 및
    대응되는 글로벌 소스 라인의 전압에 응답하여 로우 레벨 전압을 상기 로컬 소스 라인으로 전달하는 로우 레벨 트랜지스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제 m(m은 1~M 중에서 임의의 자연수) 행 제 n(n은 1~N 중에서 임의의 자연수) 열의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 또는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경우에,
    제 m 행의 워드 라인, 제 n 열의 비트 라인, 제 m/2[m이 홀수인 경우에는 (m+1)/2] 행의 로컬 소스 라인, 제 m/2[m이 홀수인 경우에는 (m+1)/2] 번째 인버터 및 제 m/2[m이 홀수인 경우에는 (m+1)/2] 번째 글로벌 소스 라인이 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들 모두와 연결되는 1 개의 인버터(inverter); 및
    상기 1 개의 인버터와 연결되는 1 개의 글로벌 소스 라인(global source line);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1 개의 인버터는,
    상기 1 개의 글로벌 소스 라인의 전압에 응답하여 제 1 하이 레벨 전압을 상기 로컬 소스 라인으로 전달하는 하이 레벨 트랜지스터; 및
    상기 1 개의 글로벌 소스 라인의 전압에 응답하여 로우 레벨 전압을 상기 로컬 소스 라인으로 전달하는 로우 레벨 트랜지스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
  15. 제 13 항에 있어서,
    제 m(m은 1~M 중에서 임의의 자연수) 행 제 n(n은 1~N 중에서 임의의 자연수) 열의 저항 메모리 셀에 하이 레벨 데이터 또는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경우에,
    제 m 행의 워드 라인, 제 n 열의 비트 라인, 상기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들, 상기 1 개의 인버터 및 상기 1 개의 글로벌 소스 라인이 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
  16. M 행의 워드 라인들, N 열의 비트 라인들, M/2 행의 로컬 소스 라인들 및 대응되는 비트 라인에 연결된 저항 가변 소자와 대응되는 로컬 소스 라인에 연결된 셀 트랜지스터를 각각 구비하는 M 행 N 열의 저항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는 저항 메모리 소자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어느 1 행의 워드 라인을 활성화시켜 대응되는 셀 트랜지스터들을 턴 온 시키고, 이웃하는 2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어느 1 행의 로컬 소스 라인에는 제 1 하이 레벨 전압을 인가하며, 데이터를 기입시키고자 하는 저항 가변 소자에 연결된 비트 라인에는 로우 레벨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을 실행하고,
    어느 1 행의 워드 라인을 활성화시켜 대응되는 셀 트랜지스터들을 턴 온 시키고, 데이터를 기입시키고자 하는 저항 가변 소자에 연결된 비트 라인에는 제 2 하이 레벨 전압을 인가하며, 이웃하는 2 행의 셀 트랜지스터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어느 1 행의 로컬 소스 라인에는 로우 레벨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로우 레벨 데 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입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셀 단위(저항 메모리 셀 1 개 단위), 행 단위(저항 메모리 셀 N 개 단위) 또는 블럭 단위(저항 메모리 셀 M×N 개 단위)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입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셀 단위(저항 메모리 셀 1 개 단위)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입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행 단위(저항 메모리 셀 N 개 단위) 또는 블럭 단위(저항 메모리 셀 M×N 개 단위)로 실행되고, 상기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은 셀 단위(저항 메모리 셀 1 개 단위)로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하이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이 상기 로우 레벨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보다 먼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입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이 레벨 전압의 전위는 상기 제 2 하이 레벨 전압의 전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입 방법.
KR1020060107946A 2006-11-02 2006-11-02 저항 메모리 소자 및 데이터 기입 방법 KR100843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946A KR100843210B1 (ko) 2006-11-02 2006-11-02 저항 메모리 소자 및 데이터 기입 방법
US11/844,511 US7859882B2 (en) 2006-11-02 2007-08-24 Resistiv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writing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946A KR100843210B1 (ko) 2006-11-02 2006-11-02 저항 메모리 소자 및 데이터 기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249A KR20080040249A (ko) 2008-05-08
KR100843210B1 true KR100843210B1 (ko) 2008-07-02

Family

ID=3935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946A KR100843210B1 (ko) 2006-11-02 2006-11-02 저항 메모리 소자 및 데이터 기입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59882B2 (ko)
KR (1) KR1008432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8518B2 (en) * 2007-12-21 2011-07-12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Hierarchical common source line structure in NAND flash memory
US8300448B2 (en) * 2008-03-25 2012-10-30 Nec Corporatio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memory cell array, and a fabrication method and drive method of a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8593854B1 (en) * 2012-05-21 2013-11-2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conductive path in resistive random-access memory device
US9064578B2 (en) * 2012-12-18 2015-06-23 Micron Technology, Inc. Enable/disable of memory chunks during memory access
US9373399B2 (en) * 2013-07-22 2016-06-21 Micron Technology, Inc. Resistance variable element methods and apparatuses
US9224468B2 (en) * 2014-05-08 2015-12-29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Resistive memory and associated operation method
TWI514392B (zh) * 2014-06-24 2015-12-21 Winbond Electronics Corp 電阻式記憶體及其控制方法與記憶胞
US10497442B1 (en) * 2018-11-15 2019-12-03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Memristor arrays in crossbars
JP7262162B2 (ja) * 2020-03-24 2023-04-21 マイクロン テクノロジー,インク. シングルトランジスタドライバを備えたメモリデバイス及びメモリデバイスを操作す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1381A (ja) 2004-03-03 2005-09-15 Sharp Corp 電気的に書込み可能なクロスポイント型不揮発性可変抵抗記憶装置及びクロスポイント型可変抵抗メモリアレイの読み出し方法
KR20060030237A (ko) * 2004-10-05 2006-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읽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의공통 소오스 라인 제어 스킴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4295A (ja) * 2003-08-14 2005-03-10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不揮発性メモリ、この半導体不揮発性メモリへの情報の記録方法、及びこの半導体不揮発性メモリからの情報の読み出し方法
US7068533B2 (en) * 2004-09-30 2006-06-27 Infineon Technologies Ag Resistive memory cell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sensing resistance values
US7238994B2 (en) * 2005-06-17 2007-07-03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Thin film plate phase change ram circuit and manufacturing method
US7321130B2 (en) * 2005-06-17 2008-01-22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Thin film fuse phase change RAM and manufacturing method
US7534647B2 (en) * 2005-06-17 2009-05-19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Damascene phase change RAM and manufacturing method
US8237140B2 (en) * 2005-06-17 2012-08-07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elf-aligned, embedded phase change RAM
US7514288B2 (en) * 2005-06-17 2009-04-07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anufacturing methods for thin film fuse phase change ram
US7605079B2 (en) * 2005-12-05 2009-10-20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anufacturing method for phase change RAM with electrode layer process
JP4203506B2 (ja) * 2006-01-13 2009-01-07 シャー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書き換え方法
US7608848B2 (en) * 2006-05-09 2009-10-27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Bridge 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device with a singular contact structure
JP4129274B2 (ja) * 2006-05-18 2008-08-06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8008643B2 (en) * 2007-02-21 2011-08-30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Phase change memory cell with heat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1381A (ja) 2004-03-03 2005-09-15 Sharp Corp 電気的に書込み可能なクロスポイント型不揮発性可変抵抗記憶装置及びクロスポイント型可変抵抗メモリアレイの読み出し方法
KR20060030237A (ko) * 2004-10-05 2006-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읽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의공통 소오스 라인 제어 스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59882B2 (en) 2010-12-28
US20080106924A1 (en) 2008-05-08
KR20080040249A (ko)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6501B2 (ja) メモリを動作させる方法
KR100843210B1 (ko) 저항 메모리 소자 및 데이터 기입 방법
KR100745516B1 (ko) 비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 및 판독방법
US9202574B2 (en) Memory device having a different source line coupled to each of a plurality of layers of memory cell arrays
JP2019511802A (ja) 階層選択ゲートトランジスタを有するnand構造
US8050092B2 (en) NAND flash memory with integrated bit line capacitance
JP2000222895A5 (ko)
KR100855966B1 (ko) 멀티 디코딩이 가능한 양방향성 rram 및 이를 이용하는데이터 기입 방법
US9361976B2 (en) Sense amplifier including a single-transistor amplifier and level shifter and methods therefor
US9805793B2 (en) Filament confinement in reversible resistance-switching memory elements
JP7129312B2 (ja) 不揮発性メモリ装置
US2018027720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gramming barrier modulated memory cells
CN101645302A (zh) 半导体器件
KR100855965B1 (ko) 서브 셀 어레이를 구비하는 양방향성 rram 및 이를이용하는 데이터 기입 방법
US10777233B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US10269444B2 (en) Memory with bit line short circuit detection and masking of groups of bad bit lines
US9418740B2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writing data into memory cells using a half selected state and a write state
JP6148534B2 (ja) 不揮発性メモリ
US20160049196A1 (en) Memory with specific driving mechanism applied on source line
KR101395086B1 (ko) 메모리 셀 및 이를 이용한 메모리 장치
JP2010218623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102617801B1 (ko)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리드 동작 방법
TW201624485A (zh) 電阻式隨機存取記憶體
CN117672288A (zh) 一种铁电随机存取存储器阵列及其控制方法
CN115398537A (zh) 半导体存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