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514B1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514B1
KR100841514B1 KR1020077002199A KR20077002199A KR100841514B1 KR 100841514 B1 KR100841514 B1 KR 100841514B1 KR 1020077002199 A KR1020077002199 A KR 1020077002199A KR 20077002199 A KR20077002199 A KR 20077002199A KR 100841514 B1 KR100841514 B1 KR 100841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ionic surfactant
water
inorganic powder
grains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9827A (ko
Inventor
코우타로우 마츠이
마사시 카이
타카오 마츠오
신이치 후쿠도메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9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40Specific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44Multi-step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Glanul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당한 입자 강도를 가지며, 다른 세제 함유 입자와 병용하여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 단독일 때와 같은 용해성을 발휘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 흡유능이 15㎖/100g 이상이고, 또한 80㎖/100g 미만인 수불용성 무기 분체, (B) 흡유능이 30㎖/100g 이하인 수용성 무기 분체 및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 및 그 제조 방법{NONIONIC SURFACTANT-CONTAINING P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의료 등에 이용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부서짐이 작은 입자 강도를 가지며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 이외의 세제 함유 입자(이하, 「다른 세제 함유 입자」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와 병용한 때라도, 용해성이 양호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교반조립법(攪拌造粒法)을 이용하여 이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조립(造粒)장치 내부로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 등의 부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가동률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세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세정 기제(基劑)와 세제 빌더를 함유하는 입자로 제조되고 있다. 세정 기제로서는, 합성 아니온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염을 주체로 한 것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저포성(低泡性)이고, 세정력이 물 경도의 영향을 받 기 어렵고, 특히 흙 오염이나 저온에서의 오염 분산성에도 우수하고, 생분해성이 양호하여 환경 부하가 낮고, 저독성으로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는 등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특히 그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세제 빌더는, 기본적인 역할인 세정 조제에 더하여 세제 입자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구조화제(構造化劑)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그런데, 세제 빌더를 함유하여도, 세정 기제로서 많은 비율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입자의 입자 강도가, 많은 비율의 아니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입자에 비하여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고, 그 결과, 세제 입자 부서짐에 수반하는 분급(分級), 세정성 저하가 문제로 되어 있다.
지금까지, 입자 강도를 향상하는 방법으로서, 교반조립장치 내에 평균 입자경(지름) 50㎛ 이하의 미분을 5% 이상 포함하는 분체 원료를 유동화시켜 발진(發塵) 존을 형성시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바인더 힘을 증강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입자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입자경을 특정할 필요가 있고, 미립화가 어려운 액체에 대해서는 응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래, 의료용 세제 조성물에 요구되는 성능이 높아지는데 수반하여, 세제 입자에는 종래 배합되지 않았던 원료·소재를, 지금까지와는 다른 입자 형태로 배합하는 등의 연구가 필요하게 되어 오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원료·소재를 함유하는 입자나 다른 세제 함유 입자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를 혼합한 경우, 어느 것인가의 입자가 선택적으로 녹지 않고 남아 버리는 현상이 발견되고 단일 조성 입자에 비하여 용해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세제 조성물의 용해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특정한 결정성 층상 규산염과 흡유능(吸油能)이 80㎖/100g 이상의 다공성 흡유 담체를 특정량 병용하는 것(특허 문헌 2 참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점토 광물을 병용하는 것(특허 문헌 3 참조), 특정량의 기름 겔화제, 알루미노 규산염, 다공질 산화물 분체, 탄산나트륨과 함께 비이온성 계면 활성을 병용하는 것(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 문헌에 기재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주체 입자와 다른 세제 함유 입자를 후(後)혼합하면, 비이온 계면활성제 입자 단독의 물성과는 달리, 특히 용해성의 악화가 인정되었다.
다른 한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를 교반조립에 의해 제조할 때의 문제점으로서,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세정 빌더 그 밖의 분체 재료와의 치밀 혼합성이 나쁘기 때문에, 장치 내부에의 생성물 등의 부착이 발생하기 쉽고, 조립물의 유동성이나 내케이킹성의 저하 등을 야기하고, 안정한 연속 생산이 어렵다는 결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조립 시작부터 종료까지의 겉보기밀도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조립장치의 용량의 20 내지 30vol% 정도밖에 제조할 수 없고, 또한 전술한 부착물의 영향으로 배치(batch)당의 생산량이 안정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지금까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반조립장치 내벽에 세제 원료 혼합물의 부착층을 형성시키면서 조립을 행한 후, 표면개질제로 코팅을 행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5, 특허 문헌 6 참조).
그러나, 이들 방법에 의해 반복 조립 작업을 행하면, 장치 클리어런스에 생기는 분체층의 구조가 밀도가 높은 부착층으로 변화하여, 조립장치의 부하가 커져서 연속적인 생산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을 갖는 것을 알았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개2000-73099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개평6-10000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특개평9-87691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특개평7-268399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특개평5-125400호 공보
특허 문헌 6 : 일본특개평5-209200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당한 입자 강도를 가지며, 다른 세제 함유 입자와 병용하여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 단독일 때와 동등한 용해성을 유지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교반조립에 의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를 제조함에 있어서, 조립장치 내부에서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함유물 또는 미조립물(未造粒物)의 부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가동률의 저하를 억제시키고, 교반조립장치를 세정할 때에 단시간이고 또한 효율 좋게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열심히 연구를 거듭한 결과,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혼합·조립하는 분체를 특정한 조성으로 행함으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A) 흡유능이 15㎖/100g 이상이고, 또한 80㎖/100g 미만인 수불용성(水不溶性) 무기 분체, (B) 흡유능이 30㎖/100g 이하인 수용성 무기 분체, 및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교반조립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첨가 전에 특정한 수불용성 무기 분체로 조립장치 내벽에 분체층(粉體層)을 형성시킨 후, 조립을 행하면, 상기 제조상의 목적이 달성되는 것을 발견하여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또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i) 흡유능이 15㎖/100g 이상이고, 또한 80㎖/100g 미만인 수불용성 무기 분체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립장치에 투입하는 공정,
(ⅱ) 상기 조립장치를 작동시켜서, 상기 조립장치에 들어 있는 수불용성 무기 분체를 교반 시킴에 의해, 적어도 그 일부를 해당 장치의 내벽에 부착시키는 공정,
(ⅲ) 또한, 흡유능이 30㎖/100g 이하의 수용성 무기 분체,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상기 조립장치에 투입하는 공정 및
(ⅳ) 상기 조립장치를 작동시켜서, 상기 수불용성 무기 분체, 상기 수용성 무기 분체 및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함에 의해,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함유 입자를 조립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당한 입자 강도를 가지며, 다른 세제 함유 입자와 병용하여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 단독일 때와 같은 용해성을 발휘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가동률의 저하를 억제하고,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높은 겉보기밀도로, 스며나옴이 적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를 얻을 수 있다.
(A) 수불용성 무기 분체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불용성 무기 분체란, 흡유능이 15㎖/100g 이상, 80㎖/100g 미만,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78㎖/1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7㎖/100g의 수불용성 무기 분체를 말한다. 흡유능이 15㎖/100g 이상이면, 조립장치 내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스며나옴(染出)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흡유능이 80㎖/100g 미만일 때, 다른 세제 입자와 병용하여도, 세제 조성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일 없이, 특히, 양호한 용해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흡유능은 JIS-K6220에 규정되는 시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불용성 무기 분체는, 20℃에서의 물에의 용해도가 바람직하게는 0.1g/100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g/100g 이하, 더욱 바 람직하게는 0.01g/100g 이하이다. 물에의 용해도가 이와 같은 범위에 있으면, 냉수 용해시의 겔화, 이온성 물질의 과도한 수화(水和)를 억제하여, 용해성의 열화를 억제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불용성 무기 분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노 규산염, 결정성 규산염, 수난용성의 탄산염, 황산염, 염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알루미노 규산염, 탄산염이 바람직하고, 특히, 알루미노 규산 나트륨, 알루미노 규산 마그네슘, 탄산 칼슘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불용성 무기 분체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형 제올라이트(실톤B, 미즈사와화학(주)제), P형 제올라이트(쿠로스필드사제), 탄산 칼슘(시라이시공업제) 등을 들 수 있다.
수불용성 무기 분체는,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중에,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하 배합된다. 20중량% 이상이면,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의 장치 내벽에의 부착이 억제되고, 조립물의 유동성이 저하되는 일이 적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80중량% 초과에서는 발진성(發塵性)이 악화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B) 수용성 무기 분체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무기 분체란, 흡유능이 30㎖/100g 이하, 바람직하게는 25㎖/100g 이하이다. 흡유능이 30㎖/100g 이하이면, 계면활성제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되는 겔상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특히 겨울철의 의 류에의 세제의 녹지않고 남음이 개선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무기 분체는, 20℃에서의 물에의 용해도가 바람직하게는 1g/100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g/100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g/100g 이상이다. 물에의 용해도가 이와 같은 범위에 있으면, 세탁시에 세제가 녹고, 헹굼시에 녹지않고 남음이 없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용성 무기 분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성의 탄산염, 황산염, 염화물, 규산염, 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용성 무기 분체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산나트륨(립회(粒灰), 아사히초자(주)제), 황산 나트륨(중성 무수망초, 니혼화학공업(주)), 아황산 나트륨(무수 아황산 소다, 신슈화학(주))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무기 분체의 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45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30㎛이다. 평균 입자경이 이와 같은 범위에 있으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강도가 높고,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흡유능이 25㎖/100g 이하이고, 평균 입자경이 200㎛ 이상 450㎛ 미만, 특히, 흡유능이 25㎖/100g 이하이고, 평균 입자경이 230㎛ 이상 430㎛의 수용성 무기 분체가 바람직하다. 흡유능이 높고, 평균 입자경이 작으면, 다른 세제 함유 입자와 혼합한 때의 품질, 특히, 용해성의 열화에 더하여, 비이온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강도가 저하되어 분체의 유동성·고화성이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스며 나옴 이외의 효과에서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수용성 무기 분체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중에,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 배합된다. 배합량이 0.5중량% 이상이면 입자 강도가 높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35중량%를 넘으면 제조시에 과조립으로 되어 조대 입자가 다량 생성하여 실생산에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특히 제한 없이 각종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1) 탄소수 6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의 지방족 알코올에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옥사이드를 평균 3 내지 30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몰 부가한 폴리옥시알킬렌알킬(또는 알켄일)에테르. 이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알킬(또는 알켄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또는 알켄일)에테르가 알맞다.
(2) 폴리옥시에틸알킬(또는 알켄일)페닐에테르.
(3) 장쇄(長鎖) 지방산 알킬에스테르의 에스테르 결합 사이에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이하의 식(I)로 표시되는 지방산 알킬에스테르알콕실레이트.
R1CO(0A)n0R2 …………… (I)
(R1CO는, 탄소수 6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의 지방산 잔기(殘基)를 나타낸다. OA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탄소수 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의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 단위를 나타낸다. n은,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일반적으로 3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의 수이다. R2는, 탄소수 1 내지 3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저급 알킬기를 나타낸다)
(4)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6)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7) 폴리옥시에틸렌 경화(硬化) 피마자유.
(8)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이 중에서, 유동화점(流動化点)이 65℃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Griffin의 식에 의해 산출되는 HLB값이 9 내지 16인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중에서도, 유동화점이 65℃ 이하이고 HLB가 9 내지 16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또는 알켄일)에테르,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에 에틸렌옥사이드가 부가된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에톡실레이트가 특히 알맞게 이용된다. 특히, 탄소수 8 내지 18의 지방족 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를 5 내지 25몰 부가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I)에서, R1의 탄소수가 8 내지 18이고, R2의 탄소수가 1이고, 0A가 에틸렌옥사이드이고, n가 5 내지 25인 지방산 알킬에스테르알콕실레이 트도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혼합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유동화점은, DS에 의한 흡열(발열) 피크의 최대치(온도)로서 측정할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중에,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8중량% 이하 함유된다. 10중량% 이상 배합함에 의해, 다른 세제 함유 입자와 병용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품질, 특히 용해성, 고화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60중량% 이하이면, 얻어지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용해성, 유동성 등이 양호하고, 또한, 제조시, 조립장치 내벽에의 조립물의 부착이 억제되고, 가동률이 저하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임의성분>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는, 상기 (A) 내지 (C)성분 외에, 임의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세제에 배합되는 점토 광물이나 소량 성분, 예를 들면 형광제, 효소, 표백제, 대전방지제, 표면개질제, 아니온 계면활성제, 카치온 계면활성제, 양성(兩性) 계면활성제, 재오염 방지제, 증량제, 향료, 환원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의 임의성분은, 예를 들면, 수용성 무기 분체와 함께 조립장치에 투입하여 혼합함에 의해,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중에 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임의성분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
(1) 점토 광물 : 몬모릴로나이트(momtmorillonite), 논트로나이트(nontronite), 바이델라이트(beidellite), 파이로필라이트(pyrophyllite), 사포나이트(sap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스티븐사이트(stevensite), 타르크(talc) 등.
(2) 형광제 : 비스(트리아지닐아미노)스틸벤 디술폰산 유도체, 비스(술포스티릴)비페닐염[티오팔CBS] 등.
(3) 효소 : 리파아제(lipase), 프로테아제(protease), 셀룰라아제(cellulase), 아밀라아제(amilase) 등.
(4) 표백제 : 과탄산염, 과붕산염 등.
(5) 대전방지제 : 디알킬형 4급 암모늄염 등의 카치온 계면활성제 등.
(6) 표면개질제 : 미분(微粉) 탄산칼슘, 미분 제올라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7) 아니온 계면활성제 : a-술포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염, 직쇄(直鎖) 알킬벤젠 슬혼산염, a-올레핀 술폰산염,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지방산 비누 등.
(8) 카치온 계면활성제 : 제 3급 아민 및/또는 4급 암모늄 화합물
(9) 양성 계면활성제 : 알킬카보베타인, 알킬술포베타인, 알킬하이드록시술포베타인, 알킬아미드히이드록시술포베타인, 알킬아미드아민형 베타인, 알킬이미다졸린형 베타인 등
(10) 재오염 방지제 :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
(11) 증량제 : 황산 나트륨, 황산 칼륨, 염산 나트륨, 요소 등.
(12) 향료 :
(13) 환원제 : 아황산 나트륨, 아황산 칼륨 등.
(14) 섬유 표면 처리제 : 셀룰로오스류 등.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가,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더하여, (7) 아니온 계면활성제, (8) 카치온 계면활성제 및 (9) 양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경우, 입자중의 계면활성제 전량에 차지하는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량은,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이다. 70중량% 이상이면,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 자체의 물에의 용해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른 세제 함유 입자>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는 또한, 다른 세제 함유 입자와 병용하여 세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세제 함유 입자중에 배합할 수 있는 성분으로서는, 상기 (1) 내지 (14)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경우, 입자중의 계면활성제 전량에 차지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량은,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8중량% 이하이다. 다른 세제 함유 입자는,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제조 방법>
공정(i)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장치로서는, 교반혼합기능과 전단(剪斷)기능을 구비한 조립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내부에 교반축을 가지며 전체 혼합용의 교반익(攪拌翼)과 분쇄용의 교반익을 장착한 것이나, 내부에 교반익을 갖지 않고, 장치 전체가 회전함에 의해, 장치 내에 충전된 내용물을 교반·혼합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교반익과 조립장치 내부 벽면 사이에, 1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의 클리어런스를 갖는 교반식 조립장치가 바람직하다. 클리어런스가 1㎜ 미만에서는 부착층에 의해 혼합기가 과(過)동력으로 되기 쉽다. 30㎜를 초과하면 압밀화(壓密化)의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입자 분포가 넓고, 또한, 조립 시간이 길어져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장치로서는, 하이스피드 믹서[후카에 공업(주)제], 버티컬 그래뉼레이터[(주)파우렉제]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횡형의 혼합조를 갖는 믹서로서 쟁기날 또는 톱날형상 교반익을 장착한 것, 예를 들면 레디게 믹서[(주)마츠보제], 플라우셰어 믹서[다이헤이요 기공(주)제]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서, 수불용성 무기 분체를 투입하기 전에 교반익을 작동시켜서, 교반익을 회전시키면서 수불용성 무기 분체를 투입하여도 좋고, 수불용성 무기 분체를 전부 투입한 후에 교반하기 시작하여도 좋다.
교반은, 교반축의 회전수를 50 내지 300rpm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반익을 주속도(周速度)(u) 1.5 내지 7.0m/sec의 범위에서 회전시킴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6.2m/sec.,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6.0m/sec.이다. 이와 같은 범위 내에서 교반혼합을 행함에 의해, 용해성에 우수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를 얻을 수 있다.
공정(ⅱ)
본 발명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조립장치에 투입하기 전에, 수불용성 무기 분체의 적어도 일부를 조립장치 내벽에 부착시킨다. 이 결과, 조립장치 내벽에 조립물 등이 부착하여, 가동률이 저하된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수불용성 무기 분체를 조립장치 내벽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수불용성 무기 분체 그 자체가 갖는 부착력과 장치 내벽과의 친화력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장치 내벽의 재료가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인 경우, 수불용성 무기 분체를 그 내벽에 부착시키는데는, 수불용성 무기 분체의 평균 입자경을 10㎛ 이하로 하여 주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마찰을 일으킴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교반은, 공정(i)의 회전수, 주속도와 동일하거나 상이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범위 내에서 교반혼합을 행함에 의해, 수불용성 무기 분체를 조립장치 내벽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공정에서 수용성 무기 분체를 투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 이유로서는, 메커니즘은 해명할 수 없지만 수용성 무기 분체가, 이미 장치 내벽에 부착하고 있는 조립물 분체층과 수분을 개재한 복합물을 형성하여, 수불용성 무기 분체의 부착층 형성을 방해하기 때문에 추정되지만, 어떤 이론에도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공정(ⅲ)
수용성 무기 분체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조립장치에 첨가한 공정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1) 내지 4)의 방법중 어느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 분체층을 형성시킨 후, 조립장치에 수용성 무기 분체를 투입하고 신속하게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첨가한다.
2) 분체층을 형성시킨 후, 조립장치에 수용성 무기 분체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동시에 첨가한다.
3) 분체층을 형성시킨 후, 조립장치에 소량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다시 나머지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수용성 무기 분체를 첨가한다.
4) 분체층을 형성시킨 후, 조립장치에 수용성 무기 분체와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첨가한다.
이들중에서, 조립장치에 수용성 무기 분체를 투입하고 신속하게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수불용성 무기 분체의 일부를 수용성 무기 분체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함께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량에 관해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중의 분체층 형성시에 첨가하는 수불용성 무기 분체량이 20중량%를 하회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ⅳ)
본 공정에서, 수불용성 무기 분체, 수용성 무기 분체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필요에 따라 임의성분을 함께 전단·압밀화함으로서 조립(造粒)한다.
임의성분을 배합하는 경우는, 수용성 무기 분체와 동시에 조립장치에 투입하 거나, 또는 조립장치에 투입하기 전에 수용성 무기 분체와 혼합하고 나서 해당 장치에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얻어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에 대해, 예를 들면, 전동(轉動) 드럼 중에서 코팅제를 첨가하여 코팅 처리하여도 좋다. 이로써, 유동 특성을 개량할 수 있다. 코팅제로서는, JIS 200메시 체 통과분이 50% 이상의 무기질 분말이 알맞고, 소재적으로는 예를 들면, 탄산 나트륨, 탄산 칼슘 등의 탄산염이나, 비정질 실리카, 규산 칼슘, 규산 마그네슘 등의 규산염, 제올라이트 등의 알루미노 규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코팅제는,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중에, 일반적으로 0.5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의 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조 조건>
(1) 후루드 수(Fr)
교반조립법에서는,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후루드 수는 1 내지 16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9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후루드 수가 1 미만이면, 유동화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고분자에 의한 코팅도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16을 초과하면 입자에 대한 전단력이 너무 강해져서 코팅막에 깨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Fr=V2/(R×g)
V : 교반익의 선단의 주속(周速)(m/s)
R : 교반익의 회전 반경(m)
g : 중력 가속도(m/s2)
(2) 초퍼(chopper) 회전수
교반조립법에서, 사용되는 교반조립장치에는, 조립물의 압밀화 촉진 및 조분(粗粉) 분쇄 촉진을 위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초퍼가 장비되어 있다. 초퍼의 회전 속도로서는 코팅막의 깨짐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회전수가 바람직하다. 초퍼 선단 속도(주속)로 0 내지 40m/s가 바람직하고, 5 내지 30m/s가 보다 바람직하다.
(3) 조립 시간
교반조립법에서, 알맞는 조립물을 얻기 위한 회분식(回分式)의 조립에서의 조립 시간 및 연속식의 조립에서 평균 체류 시간은, 0.5 내지 30분이 바람직하고, 3 내지 20분이 보다 바람직하다. 조립 시간(평균 체류 시간)이 0.5분 미만이면, 시간이 너무 짧아서 알맞는 평균 입자경 및 겉보기밀도를 얻기 위한 조립 제어가 곤란하게 되어, 입자 분포가 브로드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 한편, 30분을 초과하면 시간이 너무 길어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4) 비이온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 제조시의 충전률
교반조립법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조립장치에의 충전률(집어넣는 량)로서는, 혼합기의 모든 내용적(內容積)의 70용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내지 55용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충전률(접어넣는 량)이 , 70용량%를 초과하면 혼합기 내에서의 혼합 효율이 저하되고, 알맞게 조립을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5) 조립 온도
교반조립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0℃이다. 온도가 20℃보다 낮은 경우에는, 조립이 진행하기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온도가 60℃보다 높아지면, 역으로, 조립장치에의 부착이 생기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물성>
본 발명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입자 강도는, 입자 압축 시험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통상, 55g 이상, 바람직하게는 75g 이상이다.
겉보기밀도는, JIS K3362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통상, 0.3g/㎖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3g/㎖,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2/㎖이다. 겉보기밀도가 너무 작아도 너무 커도 다른 입자와 혼합하여 사용할 때에 분급되기 쉬워진다.
평균 입자경은, 로탑식 체 진탕기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000㎛이다. 평균 입자경이 150㎛ 미만이 되면, 비(比)표면적이 너무 크고, 발진(發塵)이 많아질 가능성이 있고, 한편, 1500㎛를 초과하면 피복 입자 그 자체의 용해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안식각(安息角)은, JIS K2502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통상, 3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이다.
압괴치(壓壞値)란, 분체의 자중에 의해 그 분체가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의 지표로서, 후술하는 (물성 측정)(4)에서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통상 3kg 이하, 바람직하게는 2kg 이하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해,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표 1]
<사용 원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
(A) 수불용성 무기 분체
Figure 112007008549535-pct00001
(B) 수용성 무기 분체
Figure 112007008549535-pct00002
(C) 비이온 계면활성제
Figure 112007008549535-pct00003
(다른 세제 함유 입자)
LAS-H : 직쇄 알킬벤젠술폰산(라이온(주)제, 라이폰LH-200)
α-SF-H : a-술포지방산 알킬에스테르(메틸에스테르(파스텔 M-14, 파스텔M-16(라이온오레오케미칼(주)제)를 2 : 8로 혼합한 것)를 일본특개2001-64248호 공보의 실시예 1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준거하여 술폰화하고, 에스텔화 공정 후에 꺼내서 a-술포지방산 알킬에스테르로 한 것)
비누 : 라이온(주)제
노니온 : 라이온(주)제
폴리아크릴산 Na : 아쿠아릭DL-40(니혼촉매(주)제)(순분(純分) 40% 수용액)
아크릴산/말레산 코폴리머 : 아쿠아릭TL-400(니혼촉매(주)제) A형
제올라이트 : 탄산 칼슘(미스사와화학(주)제)
탄산 칼륨 : 탄산 칼륨(분말)(아사히초자(주)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제조>
상기 원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6에 관해서는 표 1, 비교예 1 내지 5에 관해서는 표 2에 나타내는 비율, 첨가 순서로 각종 원료를 레디게 믹서[(주)마츠보제 M-20형, 내용적 20ℓ, 교반익 직경 0.3m]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를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에서는, A-1 및 A-2의 수불용성 무기 분체를 장치에 첨가하고, 주축 200rpm, 초퍼 5800rpm의 조건으로 Air를 혼입시키면서 교반, 분체층을 형성한 후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C-1)와 수용성 무기 분체(B-2)를 각각 다른 첨가구(添加口)에서 첨가하였다.
실시예 2에서는, 첨가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수용성 무기 분체의 종류를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작을 행하였다.
실시예 3에서는, A-1 및 A-3의 수불용성 무기 분체를 장치에 첨가하고, 주축 200rpm, 초퍼 5800rpm의 조건으로 Air를 혼입시키면서 교반, 분체층을 형성한 후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C-3)와 수용성 무기 분체(B-1)를 미리 혼합한 후에 첨가하였다.
실시예 4에서는, 첨가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수용성 무기 분체의 종류를 바꾼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같은 조작을 행하였다.
실시예 5 및 6은, 첨가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수용성 무기 분체의 종류를 바꾸고, 실시예 1과 같은 조작을 행하였다.
비교예 1은, 주축 200rpm, 초퍼 5800㎛의 조건으로 교반하고 있는 레디게 믹 서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C-2), 수불용성 무기 분체(A-1, A-5), 수용성 무기 분체(B-4)를 동시에 첨가하였다.
비교예 2는, 주축 200rpm, 초퍼 5800㎛의 조건으로 교반하고 있는 레디게 믹서에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C-1)를 첨가한 후, 수불용성 무기 분체, 수용성 무기 분체를 첨가하였다.
비교예 3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무기 분체를 미리 혼합한 후에 레디게 믹서에 첨가하고, 그 후, 수불용성 무기 분체를 첨가하였다.
여기서, 충전률은 투입한 모든 분체 용적이 내용적의 50vol%가 되도록 하고, 한편, 첨가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공급 속도는 1ℓ/min으로 첨가하였다. 최후로 30초간 혼합하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를 얻었다.
<다른 세제 함유 입자의 제조 방법>
표-3에 기재된 다른 세제 함유 입자의 조성중,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3.0% 상당량의 분쇄 조제용 및 0.5% 상당량의 표면 피복용의 A형 제올라이트, 효소, 색소 및 향료를 제외한 성분을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수분 38%의 슬러리를 조제한 후, 향류식 분무 건조탑을 이용하여 열풍 온도 300℃의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고, 수분 3%의 분무 건조 입자를 얻었다. 이 건조 입자와 함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물을 연속 니더((주)쿠리모토 철공소제, KRC-S4형)에 투입하고, 반죽 능력 120kg/h, 온도 60℃의 조건으로 반죽하여, 부정형 고형 세제를 얻었다. 이 부정형 고형 세제를 구멍 지름 10㎜의 다이스를 장비한 필레터-더블(불이 파우덜(주)제, EXDFJS-100형)을 이용하여 압출하면서, 커터로 절단하여(커터 주속은 5m/s) 길이 5 내지 30㎜ 정도의 펠릿형상 고형 세제를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고형 세제에 분쇄 조제로서의 입자형상 A형 제올라이트(평균 입자경 180㎛)를 4.2% 첨가하고, 냉풍(10℃, 15m/s) 공존하에서 직렬 3단으로 배치한 피츠밀(호소카와 미크론(주)제, DKA-3)을 이용하여 분쇄하였다(스크린 구멍 지름 : 1단째/2단째/3단째 =12㎜/6㎜/2㎜, 회전수 : 전단(全段) 4700rpm). 최후로 수평 원통형 전동 혼합기(원통 직경 585㎜, 원통 길이 490㎜, 용기 131.7ℓ의 드럼 내부 벽면에 내부 벽면과의 클리어런스 20㎜, 높이 45㎜의 방해판을 2매 갖는 것)로, 충전률 30%, 회전수 22rpm, 25℃의 조건으로 0.5%의 미분 A형 제올라이트를 가하고, 1분간 전동하여 표면 개질하여, 세제 입자를 얻었다.
이어서, 수평 원통형 전동 혼합기(원통 직경 585㎜, 원통 길이 490㎜, 용기 131.7ℓ의 드럼 내부 벽면에 내부 벽면과의 클리어런스 20㎜, 높이 45㎜의 방해판을 2매 갖는 것)로, 충전률 30%, 회전수 22rpm, 25℃의 조건으로 얻어진 세제 입자를 혼합하면서, 0.1% 상당량의 향료를 분무하여 세제 입자에 부향(賦香)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세제 입자의 일부를 착색하기 위해, 세제 입자를 벨트컴베어로 0.5m/s의 속도로 이송하면서(벨트컴베어상의 세제 입자층 높이 30㎜, 층 폭 300㎜)그 표면에 청색 색소 용액을 분무하여, 세제 입자(평균 입자경 550㎛, 겉보기밀도 0.85g/㎤)를 얻었다.
(물성의 측정)
하기 방법에 의거하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평균 입자경, 겉보기밀도, 안식각, 압괴치, 및 다른 세제 함유 입자와 혼합한 때의 비이온성 계면활 성제 함유 입자의 포(布)부착을 평가하였다.
(1) 평균 입자경의 측정
망의 눈 크기 1680㎛, 1410㎛, 1190㎛, 1000㎛, 710㎛, 500㎛, 350㎛, 250㎛, 149㎛의 9단의 체와 받침접시를 이용하여 분급조작을 행하였다. 분급조작은, 받침접시에 눈크기가 작은 체부터 눈크기가 큰 체의 순으로 적층하고, 최상부의 1680㎛의 체의 위에서 100g/회(回)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를 넣고, 뚜껑을 닫고 로탑형 체 진탕기((주)이다 제작소제, 태핑 : 156회/분, 롤링 : 290회/분)에 장착하여, 10분간 진동시킨 후, 각각 체 및 받침접시상에 잔류한 샘플을 체눈마다 회수하는 조작을 행하였다.
이 조작을 행함에 의해 1410 내지 1680㎛(1410㎛. on), 1190 내지 1410㎛(1190㎛. on), 1000 내지 1190㎛(1000㎛. on), 1000 내지 710㎛(710pm. on), 500 내지 710㎛(500㎛. on), 350 내지 500㎛(350㎛. on), 250 내지 350㎛(250㎛. on), 149 내지 250㎛(149um. on), 접시 내지 149㎛(149㎛. pass)의 각 입자경의 분급 샘플을 얻고, 중량빈도(%)를 산출하였다.
다음에, 산출한 중량 빈도가 50% 이상이 되는 최초의 체의 눈크기를 a㎛으로 하고, 또한 a㎛보다도 1단(段) 큰 체의 눈크기를 b㎛으로 하고, 받침접시로부터 a㎛의 체까지의 중량빈도의 적산(積算)을 c%, 또한 a㎛의 체 위의 중량빈도를 d%로 하여, 다음 식에 의해 평균 입자경(중량 50%)을 구하였다.
평균 입자경(중량 50% 지름)=
10(50-(c-d/(log b-log a)×log b))/(d/(log b-log a))
(2) 겉보기밀도의 측정
겉보기밀도는 JIS K3362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3) 안식각
JIS Z2502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4) 압괴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를 직경 5cm, 높이 5cm의 원통형의 통에 균일하게 되도록 넣고, 45℃ 항온조중에서 3Kg의 하중을 3분 가하여 성형한 후, 얻어진 성형체를 메토라의 위에 정치(靜置)하고, 3cm/분의 조건으로 하중을 가하여, 성형체가 붕괴하기까지 가한 최대 하중(Kg)을 측정하였다.
◎ … 최대 가중(加重)이 1kgf 미만
○ … 최대 가중이 1 내지 3kgf
△ … 최대 가중이 3 내지 5kgf
× … 최대 가중이 5kgf 이상
제조상의 핸들링성을 고려하면 ○ 이상의 평가가 바람직하다.
(5) 입자 강도의 측정
JIS 14메시 체를 통과하고, JIS 16메시 체를 통과하지 않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입자 10샘플을, (주)프론텍스제 압축 시험기 S479-004-#를 이용하여 압축 속도 0.10㎜/s의 조건으로 입자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값의 평균치를 취하여 평가하였다.
◎ … 최대 강도가 75g 이상
○ … 최대 강도가 55 내지 75g
△ … 최대 강도가 40 내지 55g
× … 최대 강도가 40g 이하
사용상의 편리성을 고려하면 ○ 이상의 평가가 바람직하다.
(6) 포부착
2조식 세탁기(미쓰비시 전기(주)제, CW-C30A1-H)에, 5℃의 수도물 30ℓ를 넣고, 면 셔츠 7매, 폴리에스테르 셔츠 2매, 아크릴 셔츠 2매로 욕비(浴比) 20배로 조정하고, 그것들을 접어 개어 수면에 떠올렸다. 그 중심에 비이온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와 표 3에 나타내는 다른 세제 함유 입자를 20/80의 비율로 혼합한 분체 30g을 용해성 시험용 샘플로 하고, 옷감마다 2분간 침지 후, 약하게 흐르는 물로 5분간 교반하였다. 배수 후, 옷감을 1분간 탈수하고, 옷감에서와 세탁기중에 있는 녹지않고 남은 것을 골라내어, 육안으로 녹지않고 남은 량을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 : 녹지않고 남음이 거의 없다
○ : 녹지않고 남음이 약간 보이지만 문제없는 레벨
△ : 녹지않고 남음이 눈에 띈다
×: 녹지않고 남음이 현저하게 보인다
가정에서의 사용성을 고려하면, 세제 조성물로서는 ○ 이상의 평가가 바람직하다.
(7) 조립장치 부착성의 평가
레디게 믹서[(주)마츠보제 M-20형, 내용적 20ℓ, 교반익 직경 0.3m]에서의 조립시의 교반익(주축) 부하에 의해 평가하였다.
◎ … 최대 부하가 4.3A 이내
○ … 최대 부하가 4.4 내지 4.5A
△…최대 부하가 4.6 내지 5.0A
× … 최대 부하가 5.0A 이상으로 조립장치가 진동한다.
제조상의 안정성을 고려하면 ○ 이상의 평가가 바람직하다.
(8) 조립장치 세정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나타난 조성을 10Bt 반복 조립하고, 그 후의 조립내 부착물을 50℃ 온수로 세정한 경우의 상황을 이하의 척도로 평가하였다. 평가에는 레디게 믹서[(주)마츠보제 M-20형, 내용적 20ℓ, 교반익 직경 0.3m]를 이용하였다.
◎… 1 내지 2회에서 거의 부착물이 없어졌다.
○ … 1 내지 2회에서 부착물이 약간 남았지만, 3 내지 4회에서 부착물이거의 없어졌다.
△ … 3 내지 4회에서 부착물이 약간 남았다.
× … 3 내지 4회에서 부착물이 남고, 다음 회의 생산시에 교반익의 부하가 높은 채로 되어 재차 세정을 필요로 하였다.
제조상의 안정성을 고려하면 ○ 이상의 평가가 바람직하다.
[표 2]
(표-1)
Figure 112007008549535-pct00004
*1 : 첨가 순서에서 B, C는 동시 첨가, A+B는 혼합후 첨가를 나타낸다.
*2 : 10배치째의 값 및 부착 상황
[표 3]
(표-2)
Figure 112007008549535-pct00005
*1 : 첨가 순서에서 A, B는 동시 첨가, B+C는 혼합 전 첨가를 나타낸다.
*2 : 10배치째의 값 및 부착 상황
[표 4]
(표-3)
Figure 112007008549535-pct00006

Claims (8)

  1.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흡유능이 15㎖/100g 이상이며, 또한 80㎖/100g 미만인 수불용성 무기 분체를, 교반 기능을 구비한 조립장치에 투입하는 공정과,
    상기 조립장치를 작동시켜서, 상기 조립장치에 들어가 있는 수불용성 무기 분체를 교반시킴에 의해, 적어도 그 일부를 상기 장치의 내벽에 부착시키는 공정과,
    흡유능이 30㎖/100g 이하의 수용성 무기 분체,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상기 조립장치에 투입하는 공정 및,
    상기 조립장치를 작동시켜서, 상기 수불용성 무기 분체, 상기 수용성 무기 분체 및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함에 의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를 조립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무기 분체의 평균 입자경이 25㎛ 이하이고,
    상기 수용성 무기 분체의 평균 입자경이 150㎛ 이상 450㎛ 미만이며,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유동화점이 6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제조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무기 분체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 중에, 20 내지 8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제조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무기 분체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중에, 0.5 내지 35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제조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 중에, 10 내지 6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제조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무기 분체의 20℃에서의 물에의 용해도가 0.1g/100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제조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무기 분체의 20℃에서의 물에의 용해도가 1g/100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의 제조 방법.
  8. 삭제
KR1020077002199A 2004-08-13 2005-08-15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41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36052 2004-08-13
JP2004236052 2004-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827A KR20070029827A (ko) 2007-03-14
KR100841514B1 true KR100841514B1 (ko) 2008-06-25

Family

ID=3583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199A KR100841514B1 (ko) 2004-08-13 2005-08-15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70036B2 (ko)
KR (1) KR100841514B1 (ko)
WO (1) WO20060167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0875B (zh) * 2021-02-25 2022-08-05 广西博世科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温热化学清洗重质油泥的处理方法及处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096A (ja) * 1998-09-01 2000-03-07 Lion Corp 粒状ノニオン洗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21599A (ja) * 2002-01-30 2003-08-08 Kao Corp 粉末洗剤用充填剤造粒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9300A (ja) * 1984-10-09 1986-05-07 ライオン株式会社 非イオン界面活性剤を含む粒状洗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2802450B2 (ja) * 1990-03-16 1998-09-24 ライオン株式会社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
US5200844A (en) * 1992-05-22 1993-04-06 Kaiser Aerospace & Electronics Corporation Color head-up display system
JP3875412B2 (ja) * 1998-10-01 2007-01-31 ライオン株式会社 ノニオン界面活性剤組成物の微粒化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粒状洗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3269616B2 (ja) * 1998-10-16 2002-03-25 花王株式会社 単核性洗剤粒子群の製法
JP2000192098A (ja) * 1998-12-25 2000-07-11 Lion Corp タブレット洗剤組成物
JP2001081499A (ja) * 1999-09-17 2001-03-27 Lion Corp 粒状洗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3774663B2 (ja) * 2000-12-28 2006-05-17 花王株式会社 微粒子ゼオライ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096A (ja) * 1998-09-01 2000-03-07 Lion Corp 粒状ノニオン洗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21599A (ja) * 2002-01-30 2003-08-08 Kao Corp 粉末洗剤用充填剤造粒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70036B2 (ja) 2012-07-04
KR20070029827A (ko) 2007-03-14
WO2006016700A1 (ja) 2006-02-16
JPWO2006016700A1 (ja) 200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5755B2 (ja) 界面活性剤担持用顆粒群
JP3916248B2 (ja) コンパクト洗剤組成物の製法
JPH0649879B2 (ja) 洗剤組成物、その成分、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85982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morphen alkalisilikats mit imprägnierung
KR100841514B1 (ko)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함유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432925B1 (ko) 계면활성제 지지용 과립군 및 그의 제법
JP5192156B2 (ja) 洗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4143853B2 (ja) 水溶性無機物質含有粒子
JP4088793B2 (ja) ノニオン界面活性剤含有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洗剤組成物
JPH05125400A (ja) ノニオン活性剤含有粒状組成物の製造法
JP4480810B2 (ja) 顆粒状洗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176595B2 (ja) 洗浄剤組成物
EP1550712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granular anionic surfactant
JP4393862B2 (ja) 洗剤粒子群の製法
KR101029298B1 (ko) 입상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3161710B2 (ja) 界面活性剤組成物
JP5004315B2 (ja) 洗剤粒子群
KR100267274B1 (ko) 고농축 비이온성 과립형 세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1127104A (ja) 洗剤粒子群の製造方法
JP4108188B2 (ja) 粒状ノニオン洗剤組成物の連続製造方法
JP3933827B2 (ja) 粒状洗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323397A (ja) 粒状ノニオン洗剤の嵩密度制御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粒状ノニオン洗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7045865A (ja) 単核性洗剤粒子群の製造方法
JP2001172691A (ja) 粒状ノニオン洗剤組成物
JP2007211168A (ja) 非イオン性界面活性剤含有粒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