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488B1 -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과 이를 설치한 무선컨트롤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과 이를 설치한 무선컨트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488B1
KR100840488B1 KR1020050091220A KR20050091220A KR100840488B1 KR 100840488 B1 KR100840488 B1 KR 100840488B1 KR 1020050091220 A KR1020050091220 A KR 1020050091220A KR 20050091220 A KR20050091220 A KR 20050091220A KR 100840488 B1 KR100840488 B1 KR 100840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lever
lever unit
stick
wireless control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1842A (ko
Inventor
마사히로 아라이
마사시 도키타
다카히로 이소노
Original Assignee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01C10/32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 H01C10/34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the contact or the associated conducting structure riding on collector formed as a ring or por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characterised by means converting mechanical movement into electric signals
    • G05G2009/04748Position sensor for rotary movement, e.g. potentio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oy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과 이를 설치한 무선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틱 레버 유닛(2)은 가변 저항기(25)가 설치된 고정 부재(21), 스틱 레버(24)를 구비하고 고정부재(21)에 축 지지됨과 동시에 외주에 원호 형상 홈부(22c)를 구비한 회동부재(22), 및 고정부재(21)에 가교되어 원호 형상 홈부(22c)를 억압하는 억압부재(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억압부재(30)는 원호 형상 홈부(22c)와 접촉되는 부분이 다른 형상이 되는 2종류의 탄성판(30a, 30b)을 구비하고 있고 그 중에서 원호 형상 홈부(22c)에 대해서 억압 작용시키는 탄성판을 조정부재(32)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에서의 스틱 레버의 유지 기구의 타입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과 이를 설치한 무선 컨트롤 장치{STICK LEVER UNIT FOR RADIO CONTROLLED DEVICE AND RADIO CONTROLLED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에서의 스틱 레버의 유지기구의 구성부재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5a는 모형 비행기를 조작하는 경우의 스틱 레버 유닛의 모습을 도시한 우측면도,
도 5b는 모형 헬리콥터를 조작하는 경우의 스틱 레버 유닛의 모습을 도시한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컨트롤 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컨트롤 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8은 도 7의 A-A 절단선에서의 무선 컨트롤 장치의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무선 컨트롤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종래의 스틱 레버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및
도 11은 종래의 스틱 레버 유닛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무선 컨트롤 장치 2: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
21: 고정 프레임(고정 부재) 22: 회동 프레임(회동부재)
23: 회동 조작자 24: 스틱 레버
25, 26: 가변 저항기 27: 접촉핀
28: 암 부재 29: 스프링
30: 탄성판(억압부재) 31: 고정용 나사
32: 조정용 나사(조정부재) 33: 완충부재
본 발명은 스틱 레버의 조작에 의해 모형 비행기나 헬리콥터 또는 차나 보트 등의 피조종체를 원격 조종하는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과 이를 설치한 무선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형의 비행기·헬리콥터·차·보트 등의 피조종체를 원격 조종하는 무선 컨트롤 장치(모형용 무선 컨트롤 장치)에는 스틱 레버의 조작에 의해 가변 저항기의 회동량을 조작 제어하는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이하, 스틱 레버 유닛이라고 함)이 설치되어 있다(일본 공개 특허 공보 소62-87697호 참조).
그 모습을 도 9에 도시했지만, 일반적인 무선 컨트롤 장치(1)에서는 2세트의 스틱 레버 유닛(2)이 정면 상부의 좌우에 한 세트씩 설치되어 있다. 각 스틱 레버 유닛(2)에 구비된 스틱 레버는 각각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스틱 레버 유닛(2)을 조작함으로써, 무선 컨트롤 장치로부터 전파로서 발신되는 피조종체에 대한 제어신호를 비례 제어하고, 피조종체측에 탑재되어 있는 각종 서보 기구 등의 조작량을 제어함으로써 피조종체를 원격 조종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스틱 레버 유닛에는 스틱 레버의 조작방향에 따라 조종자가 스틱 레버를 조작한 상태로부터 손을 떼면, 미리 규정된 중립 위치에 스틱 레버를 자동적으로 복귀시키는 스틱 레버의 복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와, 조종자가 스틱 레버를 조작한 상태로부터 손을 떼어도 그대로의 위치에 스틱 레버를 유지시키는 스틱 레버의 유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모형 비행기의 비행방향을 제어하는 에일러론, 래더,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스틱 레버의 조작방향에는 상기 스틱 레버의 복귀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형 비행기에서의 모형용 엔진의 출력 제어를 실시하는 스틱 레버의 조작방향에는, 엔진의 회동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비행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한 복귀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조종자가 스틱 레버로부터 손을 떼어도 그 상태의 제어량이 유지되도록 상기 스틱 레버의 유지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스틱 레버의 복귀 기구와 유지 기구가 병설된 스틱 레버 유닛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종래의 스틱 레버 유닛을 도시한 것으로 도 10은 그 평면도, 도 11은 그 배면도이다. 우선, 상기 스틱 레버 유닛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틱 레버 유닛(2)은 고정부재로서의 고정 프레임(21)과, 회동부재로서의 회동 프레임(22) 및 회동 조작자(23)와, 회동 조작자(23)에 부착된 스틱 레버(24)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프레임(21)의 거의 중앙에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창부(21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 프레임(22)은 반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고정 프레임(21)에 부착된 가변 저항기(25)의 회동축(25a)을 한쪽의 회동축으로 하고, 회동 프레임(22)에 설치된 회동축(22a)을 다른쪽의 회동축으로 하여 고정 프레임(21)에 대해서 회동 자유롭게 축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동 프레임(22)의 거의 중앙에는 장방형상의 소형 창부(22b)가 설치되고, 스틱 레버(24)가 부착된 회동 조작자(23)가 상기 소형 창부(22b)의 범위 내에서 회동 자유롭게 헐겁게 끼워져 있다. 상기 회동 조작자(23)의 회동축은 회동 프레임(22)에 고정된 가변 저항기(26)의 회동축(26a)으로 이루어지고, 회동축(26a)의 선단부는 회동 프레임(22)에 축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조종자가 스틱 레버(24)를 상하 좌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회동 프레임(22), 회동 조작자(23)가 회동하고, 가변 저항기(25, 26)가 회동 조작되어 피조종체로의 출력신호가 제어된다.
다음에 이와 같은 스틱 레버 유닛(2)에서의 스틱 레버(24)의 복귀기구와 유지기구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틱 레버(24)의 복귀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회동 조작자(23)에는 2개의 접촉핀(27)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회동 프레임(22)에는 암 부재(28) 및 스프링(2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암 부재(28)는 일단(28a)이 회동 프레임(22)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고, 타단(28b)에는 스프링(29)이 부착되고, 암부재(28)를 상기 접촉핀(27)을 항상 억압하도록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스틱 레버(24)에 의해 회동 조작자(23)를 회동시키면 접촉핀(27)의 한쪽이 암 부재(28)에 억압되고, 스틱 레버(24)를 떼면 회동 조작자(23)는 소정의 원위치에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스틱 레버(24)의 유지 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회동 프레임(22)에는 회동축(22a)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이고, 또한 외주에 톱니형상의 홈이 형성된 원호 형상 홈부(2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프레임(21)에는 억압부재로서의 탄성판(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판(30)이 상기 원호 형상 홈부(22c)를 억압함으로써 회동 프레임(22)의 회동 동작에 저항력을 가지게 하고, 스틱 레버(24)가 회동 조작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스틱 레버의 유지기구에서는 탄성판(30)의 일단을 고정 프레임(21)에 대해서 나사에 의해 고정하고 있으므로, 상기 탄성판(30)의 고정 프레임(22)으로부터의 이간 거리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조정 나사를 회동 조작함으로써 스틱 레버의 유지 기구로서 원호 형상 홈부(22c)에 작용하는 억압 부재의 억압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스틱 레버 유닛에서 스틱 레버의 유지기구를 구성하는 탄 성판(억압부재)은 무선 컨트롤 장치에서의 피조종체에 따라서 다른 타입의 것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모형 비행기를 피조종 대상으로 하는 스틱 레버 유닛에서는 탄성판에 볼록부를 설치하고, 상기 볼록부를 원호 형상 홈부에 걸어 맞추게 하고, 스틱 레버의 조작위치를 단계식으로 유지할 수 있는, 소위 라체트식 탄성판이 사용된다. 또한, 모형 헬리콥터에서는 탄성판에 볼록부를 설치하지 않고 평판형상으로 하고, 원호 형상 홈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스틱 레버의 조작위치를 무단계식으로 유지할 수 있는, 소위 브레이크식 탄성판이 사용된다.
종래의, 메이커측에서는 무선 컨트롤 장치의 제품 사양에 맞춘 탄성판을 스틱 레버 유닛에 부착하고, 상기 스틱 레버 유닛을 무선 컨트롤 장치 본체에 설치하여 출하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제품 구입 후에 탄성판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무선 컨트롤 장치 본체의 하우징을 일단 개방하고 설치되어 있는 탄성판을 떼어 다른 종류의 탄성판을 부착하지 않으면 안되어, 그 작업이 번거로워져 있었다.
또한, 변경하는 탄성판이 가까이에 없는 경우나 사용자 자신이 변경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품을 제작자에게 보내어 상기 부재의 변경을 의뢰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이 경우 그로 인한 수고와 시간이 소요되어 매우 불편한 것이 되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가 스틱 레버 유닛의 탄성판을 변경하는 경우에, 탄성판을 교환하지 않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스틱 레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틱 레버 유닛을 구비한 무선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스틱 레버 유닛의 탄성판을 변경하는 경우에, 무선 컨트롤 장치 본체의 하우징을 개방하지 않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무선 컨트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은 가변 저항기가 설치된 고정부재와, 스틱 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가변 저항기의 회동부위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서 회동 자유롭게 축 지지함과 동시에, 외주에 톱니형상의 홈이 형성된 원호 형상 홈부를 갖는 회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가교되고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원호 형상 홈부를 억압함으로써, 상기 회동부재를 임의의 회동 위치에서 유지하는 억압 부재와, 상기 억압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서 위치 결정 고정하고,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억압부재의 이간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 부재를 갖는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에서, 상기 억압부재는 상기 원호 형상 홈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다른 형상이 되는 적어도 2종류의 탄성판을 구비하고, 그 중에서 상기 원호 형상 홈부에 대해서 접촉하고, 또한 억압하는 탄성판을 상기 조정부재에 의해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에서 상기 탄성판은 서로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타단부는 상기 조정부재를 통하여 각각 별도로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에서 상기 탄성판은 완충부재를 통하여 상기 조정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에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컨트롤 장치는 상기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컨트롤 장치에서, 상기 무선 컨트롤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배면에는 상기 조정부재와 수평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조정부재의 조정을 실시하기 위한 조정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재된 무선 컨트롤 장치에서 상기 조정구멍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외주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동 배면도, 도 3은 동 우측면도,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에서의 스틱 레버의 유지 기구의 구성부재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이하, 스틱 레버 유닛이라고 함)은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도 10, 도 11의 것과 각 구성의 구체적인 형상은 다르지만, 그 기본적인 구성 및 기능은 거의 동일하다. 이 때문에,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부가 되는 스틱 레버의 유지 기구에 관한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고, 도 10, 도 11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틱 레버 유닛(2)의 회동 프레임(회동부재(22))에는 스틱 레버(24)의 유지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회동축(22a)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이고, 또한 외주에 톱니형상의 홈이 형성된 원호 형상 홈부(2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호 형상 홈부(22c)는 그 주연부가 회동 프레임(22)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종래의 스틱 레버 유닛의 해당 부분보다 폭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프레임(고정부재)(21)에는 2개의 지주(21b, 21c)가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지주(21b)의 선단에는 나사 구멍(21d)이 설치되고 또 한쪽의 지주(21c)의 선단에는 2개의 나사 구멍(21e)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주(21b, 21c)에는 회동 프레임(22)에 형성된 원호 형상 홈부(22c)를 억압하는 억압부재로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 2종류의 탄성판(30a, 30b)이 가교되어 있다. 한쪽의 탄성판(30a)은 모형 비행기 조종시에 작용시키는 억압부재로서의 형상, 즉 회동 프레임(22)의 원호 형상 홈부(22c)와의 접촉 부분에서 회동 프레임(22) 측으로 구부러진 볼록부를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른 한쪽의 탄성판(30b)은 모형 헬리콥터 조종시에 작용시키는 억압 부재로서의 형상, 즉 회동 프레임(22)의 원호 형상 홈부(22c)와의 접촉 부분에서 평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탄성판(30a, 30b)의 일단측은 각각의 일단측이 결합되어 두 탄성판 공통의 고정부(30c)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고정부(30c) 및 탄성판(30a, 30b)의 두 선단부근에는 부착구멍(30d, 30e, 30f)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30c)는 부착구멍(30d)이 지주(21b)에 설치된 나사구멍(21d)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용 나사 (31)에 의해 직접 고정되어 있다. 또한, 탄성판(30a, 30b)은 각각의 부착구멍(30e, 30f)을 지주(21c)에 설치된 나사구멍(21d)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지주(21c)로부터의 이간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재로서의 조정용 나사(32) 및 완충부재(33)를 통하여 각각 별도로 고정되어 있다.
완충부재(33)는 거의 직방체 형상의 수지 부재로 구성되고, 한 방향으로 절개부(33a)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절개부(33a)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는 관통구멍(3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33a)에서 탄성판(30a, 30b)의 선단부를 끼우고 상기 관통구멍(33b)과 탄성판(30a, 30b)의 각 부착구멍(30e, 30f) 및 나사구멍(21d)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정용 나사(32)를 통과시켜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탄성판(30a, 30b)을 지주(21c)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33)는 탄성판(30a, 30b)과 조정용 나사(32)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틱 레버(24)를 조작하여 회동 프레임(22)을 회동시켰을 때의 충격음 등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33)는 탄성판(30a, 30b)의 지주(21c)로부터의 이간거리가 어느 일정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상기에서 특별히 언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판(30a, 30b)측에서 각각의 완충부재(33)의 방향을 상하 반대로 한 상태에서 탄성판(30a, 30b)을 끼우고 있다. 이에 의해, 다른 부재를 준비하지 않고 단일화된 공통의 부재를 가지고 탄성판(30a, 30b)의 지주(21c)로부터의 이간거리로서 최소가 되는 이간거리를 탄성판(30a, 30b) 측에서 다르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틱 레버의 유지기구의 구성에 의해 탄성판(30a, 30b)은 고정 프레임(21)에 형성된 지주(21b, 21c)에 위치 결정 고정되지만, 그 때 탄성판(30a, 30b)을 고정하는 조정용 나사(32)에 의해 탄성판(30a, 30b)의 지주(21c)로부터의 이간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스틱 레버의 유지기구로서 조종자가 작용시키고 싶은 탄성판(억압부재)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또는 그 작용시키는 억압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도 5a는 통상, 모형 비행기를 조작하는 경우의 스틱 레버의 유지 기구를 구성하는 억압부재로서, 탄성판(30a)을 선택했을 때의 스틱 레버 유닛의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도 5b는 통상, 모형 헬리콥터를 조작하는 경우의 스틱 레버의 유지기구를 구성하는 억압부재로서, 탄성판(30b)을 선택했을 때의 스틱 레버 유닛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판(30a)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판(30a)을 고정하는 조정용 나사(32)를 조여 탄성판(30a)의 볼록부가 상기 원호 형상 홈부(22c)에 걸어 맞추어 억압되도록 하고, 다른쪽 탄성판(30b)을 고정하는 조정용 나사(2)를 풀어 상기 탄성판(30b)이 원호 형상 홈부(22c)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해, 원호 형상 홈부(22c)는 탄성판(30a)만으로 억압되고, 스틱 레버(24)를 회동 조작하여 회동 프레임(22)을 회동 조작한 경우, 단계식으로 그 위치가 유지된다.
이에 대해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판(30b)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판(30b)을 고정하는 조정용 나사(32)를 조여 탄성판(30b)이 상기 원호 형 상 홈부(22c)를 억압하도록 하고, 다른쪽 탄성판(30a)을 고정하는 조정용 나사(32)를 풀어 상기 탄성판(30a)이 원호 형상 홈부(22c)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해, 원호 형상 홈부(22C)는 탄성판(30b)만으로 억압되어, 스틱 레버(24)를 회동 조작하여 회동 프레임(22)을 회동 조작한 경우, 무단계식으로 그 위치가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스틱 레버 유닛은 스틱 레버의 유지기구를 구성하는 억압부재로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 2종류의 탄성판을 구비하고, 각 탄성판은 조정부재에 의해 고정부재로부터의 이간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조종자가 작용시키고 싶은 탄성판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스틱 레버 유닛의 탄성판을 변경하는 경우, 탄성판을 교환하지 않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스틱 레버 유닛을 설치한 무선 컨트롤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컨트롤 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동 배면도, 도 8은 도 7의 A-A 절단선에서의 무선 컨트롤 장치의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컨트롤 장치로서 종래와 상이하고, 본 발명의 주요부가 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컨트롤 장치(10)에는 상술한 본 발명에 관한 스틱 레버 유닛(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컨트롤 장치(10)의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10a)의 배면에서, 스틱 레버 유닛(2)에서의 조정용 나사(32)와 수평 대향하는 위치에는 조정용 나사(32)를 무선 컨 트롤 장치(10)의 외측으로부터 드라이버나 렌치 등에 의해 직접 조작하기 위한 조정구멍(10b, 10c)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스틱 레버 유닛의 탄성판을 변경하는 경우에, 조정구멍(10b, 10c)으로부터 드라이버나 렌치 등을 진입시켜 조정용 나사(32)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스틱 레버 유지기구로서 작용시키는 탄성판(억압부재)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무선 컨트롤 장치 본체의 하우징을 개방하지 않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조정구멍(10b, 10c)에는 상기 조정을 실시할 때를 제외하고 고무 또는 수지 등으로 형성된 덮개 부재가 끼워져 있고, 조정구멍(10b, 10c)으로부터 무선 컨트롤 장치(10) 내에 먼지나 물방울 등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조정구멍(10c)은 덮개 부재가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고, 조정구멍(10b)은 덮개부재가 벗겨져 조정용 나사(32)가 들여다 보이는 상태이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정구멍(10b)은 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주연부에는 하우징(10a)의 내측 표면에서 일단(一段) 연장된 연장부(10d)가 형성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은 조정구멍(10c)에 대해서도 동일).
이에 의해, 스틱 레버의 유지기구를 구성하는 억압부재로서 작용하는 탄성판을 선택하거나 또는 그 작용하는 억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조정용 나사(32)를 조정할 때, 조정용 나사(32)를 일정 이상 느슨하게 하여 지주(21c)로부터 일정 이상 떨어지게 한 경우에는 조정용 나사(32)의 나사 머리 부분이 상기 연장부에 접촉되어 그 이상 풀어지지 않게 되므로, 조정용 나사(32)를 너무 풀어 나사 구멍(21d)으로 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스틱 레버 유닛과 이를 설치한 무선 컨트롤 장치를 도시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 부의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임의의 구성의 것으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임의의 구성물이 부가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틱 레버 유닛에서의 스틱 레버의 유지기구를 구성하는 억압부재로서 모형 비행기를 조작하는 경우에 작용하는 탄성판과 모형 헬리콥터를 조작하는 경우에 작용하는 탄성판이 일체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이 별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별체로 형성된 각 탄성판을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난 요령과 동일하게 하여 고정부재에 병설함으로써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과제에 대해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틱 레버 유닛에서의 스틱 레버의 유지기구를 구성하는 억압부재가 접촉되어 억압하는 원호 형상 홈부는 모형 비행기용과 헬리콥터용 탄성판이 접촉되어 억압하는 원호 형상 홈부가 고정부재에 공통화되어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 탄성판이 억압하는 원호 형상 홈부는 개개로 독립하여 고정부재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두 기체 각각에 적합한 스틱 레버의 유지기구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은 스틱 레버의 유지 기구를 구성하는 억압 부재로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 2종류의 탄성판을 구비하고, 각 탄성판은 조정부재에 의해 고정 부재로부터의 이간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조종자가 작용시키고 싶은 탄성판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스틱 레버 유닛의 탄성판을 변경하는 경우에, 탄성판을 교환하지 않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정용 나사에 대해서는 스틱 레버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무선 컨트롤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드라이버나 렌치 등에 의해 직접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무선 컨트롤 장치 본체의 하우징을 개방하지 않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가변 저항기가 설치된 고정부재,
    스틱 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가변 저항기의 회동부위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서 회동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또한, 외주에 톱니형상의 홈이 형성된 원호 형상 홈부를 구비한 회동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가교되고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원호 형상 홈부를 억압함으로써 상기 회동부재를 임의의 회동위치에서 유지하는 억압부재, 및
    상기 억압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서 위치 결정 고정하고,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억압부재의 이간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재를 갖는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에 있어서,
    상기 억압부재는 상기 원호 형상 홈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다른 형상이 되는 적어도 2종류의 탄성판을 구비하고, 그 중에서 상기 원호 형상 홈부에 대해서 접촉하고, 또한 억압하는 탄성판을 상기 조정부재에 의해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은 서로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타단부는 상기 조정부재를 통하여 각각 별도로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은 완충부재를 통하여 상기 조정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에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컨트롤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컨트롤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배면에는 상기 조정부재와 수평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조정부재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컨트롤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구멍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있는 외주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컨트롤 장치.
KR1020050091220A 2004-10-01 2005-09-29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과 이를 설치한 무선컨트롤 장치 KR100840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90798A JP4339770B2 (ja) 2004-10-01 2004-10-01 ラジオコントロール装置用スティックレバーユニット及びこれを装備したラジオコントロール装置
JPJP-P-2004-00290798 2004-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842A KR20060051842A (ko) 2006-05-19
KR100840488B1 true KR100840488B1 (ko) 2008-06-20

Family

ID=36126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220A KR100840488B1 (ko) 2004-10-01 2005-09-29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과 이를 설치한 무선컨트롤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50844B2 (ko)
JP (1) JP4339770B2 (ko)
KR (1) KR100840488B1 (ko)
CN (1) CN17654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VR20070098A1 (it) * 2007-07-11 2009-01-12 Autec Srl Dispositivo attuatore elettromeccanico ad azionamento manuale particolarmente per scatole di comando
DE102008063238A1 (de) * 2008-12-15 2010-06-17 CoActive Technologies, Inc., Greenwich Vorrichtung zum Steuern von Maschinen und Fahrzeugen
JP6366903B2 (ja) * 2013-05-13 2018-08-01 株式会社栗本鐵工所 ラジオコントロール用送信機
CN105938369B (zh) * 2013-06-25 2018-11-02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飞行器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D740708S1 (en) * 2014-01-28 2015-10-13 Horizon Hobby, LLC Transmitter
US9829909B2 (en) 2014-10-30 2017-11-28 Kurimoto, Ltd. Stick device and radio control transmitter using the same
USD749527S1 (en) * 2014-12-23 2016-02-16 Eken Electronics Limited Electronic wireless remote controller
USD774933S1 (en) * 2015-03-06 2016-12-27 Horizon Hobby, LLC Transmitter
JP1543295S (ko) * 2015-04-28 2016-02-08
JP6765206B2 (ja) * 2016-04-06 2020-10-07 株式会社アガツマ 送信機
USD821506S1 (en) * 2017-04-07 2018-06-26 SZ DJI Technology Co., Ltd. Controller
USD823949S1 (en) * 2017-05-16 2018-07-24 Shenzhen Jitian Innovation Technology Co., Ltd. Remote control
USD868177S1 (en) 2018-07-20 2019-11-26 SZ DJI Technology Co., Ltd. Controll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719U (ja) * 1991-08-09 1993-03-05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ステイツクレバー装置
JPH08103572A (ja) * 1994-10-05 1996-04-23 Futaba Corp スティックレバ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9330A (en) * 1982-01-07 1984-09-04 Atari, Inc. Controller unit for video game
US4683984A (en) 1985-10-03 1987-08-04 Sundstrand Corporation Scavenge oil system
JPH0751625Y2 (ja) * 1990-06-18 1995-11-22 京セラ株式会社 ジョイスティック
US5238005A (en) * 1991-11-18 1993-08-24 Intelliwire, Inc. Steerable catheter guidewire
US5491462A (en) * 1994-02-22 1996-02-13 Wico Corporation Joystick controller
US6573885B1 (en) * 1999-03-22 2003-06-03 Logitech Europe S.A. Folded gear drive force feedback mechanism with direct drive sensors
ES1049932Y (es) * 2001-08-21 2002-06-01 Lorenzo Ind Sa Organo de mando multidireccio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719U (ja) * 1991-08-09 1993-03-05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ステイツクレバー装置
JPH08103572A (ja) * 1994-10-05 1996-04-23 Futaba Corp スティックレバ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842A (ko) 2006-05-19
JP2006102010A (ja) 2006-04-20
US20060073762A1 (en) 2006-04-06
CN1765451B (zh) 2011-06-22
JP4339770B2 (ja) 2009-10-07
CN1765451A (zh) 2006-05-03
US7250844B2 (en) 200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488B1 (ko) 무선 컨트롤 장치용 스틱 레버 유닛과 이를 설치한 무선컨트롤 장치
US5441451A (en) Air vent control apparatus
US4643069A (en) String tuner attachment
US20170072532A1 (en) Grinder, cover, and lock nut
JP2004134400A (ja) ハウジングに支持されたピボット要素を内蔵する自動車用ランプユニット
KR101028729B1 (ko) 차량용 스티어링컬럼
JP5697469B2 (ja) 操作装置
US20090213566A1 (en) Rotatable vehicular lamp assembly having a plate spring
US5939684A (en) Switch assembly having jog shuttle function and contact function
JP6687661B2 (ja) マルチコプタ
KR101988464B1 (ko) 카트리지형 서스펜션
JP4327661B2 (ja) 力覚付与型入力装置
CN219312429U (zh) 一种防扭抗震的胎压监测器
KR200486045Y1 (ko) 도어록의 손잡이 조절장치
JP3669465B2 (ja) パチンコ遊技機における遊技盤枠の下枠
JP4801562B2 (ja) ロータリスイッチ装置
JP4451767B2 (ja) 揺動型スイッチ機構付きのグリップ
JP4553997B2 (ja) 駆動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
CN211765272U (zh) 一种具有防晃动结构的车用眼镜盒
JPH0532150Y2 (ko)
JPS6316592Y2 (ko)
JP2001050323A (ja) ダンパー装置
JP2750425B2 (ja) ヘリコプタのロータブレードに対するダンパー構造
KR960008053Y1 (ko) 콤팩트디스크 체인저의 텐션조절장치
JP2003276612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